KR20230097485A -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 Google Patents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485A
KR20230097485A KR1020210187025A KR20210187025A KR20230097485A KR 20230097485 A KR20230097485 A KR 20230097485A KR 1020210187025 A KR1020210187025 A KR 1020210187025A KR 20210187025 A KR20210187025 A KR 20210187025A KR 20230097485 A KR20230097485 A KR 2023009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facility
management
visu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본엽
최영철
박인선
이유연
김경섭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 지오씨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오씨엔아이 filed Critical (주) 지오씨엔아이
Priority to KR102021018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485A/en
Publication of KR2023009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 형상, 속성 등을 3차원 정보로 표현한 BIM 정보와 함께, 시설물의 노후도와 위험도를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M information expressing facilities, shapes, attributes, etc. Together, it is about technology that can visualize and provide the aging and risk levels of facilities.

Description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3차원 형태로 제공되는 시설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와 함께 노후도와 위험도를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자에게 시설물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ization servic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provides a visualization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and risk along with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of the facility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thereby providing the facility manager with the facility's It relates to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intuitively provide status.

최근 국내 대형 사회간접자본(SOC, Social Overhead Capital) 시설물의 노후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the deterioration of large social overhead capital (SOC) facilities in Korea is accelerating, interest in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is increasing.

이와 관련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이 국내외 다수 존재하지만, 3차원 모델과 시간 및 비용까지 고려한 일명 '5D' 기반의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In this regard, there are many domestic and foreign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s, but the development of a so-called '5D'-based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considers 3D models, time, and cost is insufficient.

사회간접자본 분야의 예산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효율적으로 도시 자원과 인프라 사용이 요구되고 있어, 시간과 비용까지 모두 고려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높다.In the trend of gradually decreasing budget in the field of social overhead capital, efficient use of urb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is required, so there is a high need to develop a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considers both time and cost.

국내에는 다양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국가 주요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있어서는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 Facilit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FMS에서는 시설물 정보, 유지관리 정보, 생애주기 비용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획득할 수 있지만, 관련 정보가 매우 방대하고 텍스트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시설물 관리자가 이를 이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데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Despite the existence of various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s in Korea, the dependence 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of the Korea Facilities Safety Corporation is high in the maintenance of major national facilities. In FMS, information such as facility inform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and life cycle cost can be comprehensively acquired, but the related information is very extensive and consists mainly of text, so facility managers use it to make decisions for facility maintenanc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또한, 여러 지자체에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오픈 API(Applicaton Programming Interface)의 2차원 지도를 기반으로 FMS 또는, 각 지자체가 보유한 시설물 관리 데이터를 단순하게 표출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활용성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several local governments develop and use their own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s, but most of them are based on the open API (Applicaton Programming Interface) 2D map based on FMS or simply displaying facility management data held by each local government. It's stuck, and it's not very usable.

이와 관련해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990981호("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는 관리업무의 전산화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관리업무의 전문성 및 과학성을 제고하며 투명한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0981 ("Network-base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creases the computerization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tasks, reduces the cost required for facility management, and specializes in management tasks. And technology that can improve scientificity and perform transparent facility management is disclosed.

한국등록특허 제10-0990981호(등록일 2010.10.2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90981 (registration date 2010.10.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거시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BIM을 통해서 시설물의 위험도와 노후도 및 유지관리 관련 정보들을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설물 유지관리에 대한 직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legacy data and real-time data to visualize and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sk and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maintenance through BIM. , It is about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help intuitiv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on facility maintenanc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00), 해당하는 시설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200),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300), 상기 제1 입력부(100)에 의한 상기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부(200)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는 분석부(400), 상기 제3 입력부(3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수행부(500) 및 기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부(400)에 의한 노후도 및 위험도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에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는 가시화 처리부(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unit that receives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 100), a second input unit 200 that receives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viously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a device that receive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or the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3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by applying the input unit 300 to a predetermined analysis module using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unit 100 and the sensing data by the second input unit 200 400, a rendering performer 500 that analyzes the BIM data by the third input unit 300,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performs rende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 and CS (Client Server) type systems that are related to the system,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nit 400 to analyz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and the rendered BIM data by the rendering unit 500, and visualiz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that performs.

더 나아가, 상기 제1 입력부(100)는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제1 데이터 도출부(110) 및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는 제2 데이터 도출부(1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first input unit 100 analyzes the input management data to derive drawing-related information, and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analyzes the input management data to obtain attribute information and 3D objec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data derivation unit 120 for deriving information.

더 나아가,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은 도출한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가 아닐 경우, 기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and converts it into a preset format if it is not digitized drawing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입력 단계(S100), 제2 입력부에서, 해당하는 시설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입력 단계(S200), 분석부에서,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에 의한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단계(S200)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S300), 제3 입력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입력 단계(S400), 렌더링 수행부에서, 상기 제3 입력 단계(S4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단계(S500) 및 가시화 처리부에서, 기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 단계(S300)에 의한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단계(S500)에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는 가시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in which each step is performed by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implemented by a compu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input unit, A first input step of receiving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S100), and a second input step of receiving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facility in the second input unit (S200). ), the analysis unit analyzes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by applying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step (S100) and the sensing data by the second input step (S200) to a predetermined analysis module. Step (S300), a third input step of receiv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 a third input unit (S400), in a rendering execution unit, the third input In the rendering step (S500) of analyzing the BIM data by step (S400),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performing rende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and 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isualization step (S600) of applying the analysis result by the analysis step (S300) and the rendered BIM data by the rendering step (S500) to a CS (Client Server) system, and performing visualization. desirable.

더 나아가,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는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 및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는 제2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의 분석 결과에 의해, 도출한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가 아닐 경우, 기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first input step (S100) analyzes the input management data and derives drawing-related information (S110) and analyzes the input management data to obtain attribute information and 3 Including a second input data analysis step (S120) of deriving dimensional object information, bu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and digitization is performed. If it is not the original drawing data, it is desirable to convert it to a preset format.

더 나아가, 상기 분석 단계(S300)는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에 의한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시설물의 상세 제원 정보와 과거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초 데이터를 분석하며, 상기 가시화 단계(S600)는 상기 분석 단계(S300)에 의한 상기 기초 데이터를 포함하여 시스템에 적용 및 가시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analysis step (S300) uses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step (S100) to analyze basic data including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past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the visualization step ( S600)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system and visualized including the basic data from the analysis step (S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레거시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BIM를 통해 시설물의 위험도와 노후도 및 비용분석 결과를 가시화하여 시설물 유지관리에 대한 직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legacy data and real-time data to visualize the risk, deterioration, and cost analysis results of facilities through BIM, thereby managing facility maintenanc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ervice that can help intuitiv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즉, 시설물의 노후도와 위험도를 BIM 상에 가시화(visualization)하여 시설물 관리자에게 시설물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of the facility can be intuitively provided to the facility manager by visualizing the level of deterioration and risk of the facility on BIM.

특히, 게임 엔진의 하나인 Unity 3D를 사용하여, 3차원 정보모델인 BIM와 함께, 시간 및 비용을 고려한 시설물의 노후도 및 위험도, 이에 따른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using Unity 3D, one of the game engines, along with BIM, a 3D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including the age and risk of facilities considering time and cost, and maintenance guidelines accordingly can be provided more efficiently. ca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가시화 서비스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 예시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of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ed by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sualization service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set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regularly interact to perform necessary 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게임 엔진의 하나인 Unity 3D를 사용하여, 3차원 정보모델인 BIM와 함께, 시간 및 비용을 고려한 시설물의 노후도 및 위험도, 이에 따른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Unity 3D, one of the game engines, along with BIM, a 3D information model, to determine the aging of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time and cost. It relates to a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degree and risk, and maintenance guidelines accordingl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을 의미한다. BIM 기술의 활용으로 기존의 2차원 도면 환경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의 사업정보 통합 관리를 통해, 설계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시공오차 최소화, 체계적 유지관리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국가의 정부 및 건설회사에서도 BIM 기술을 도입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fers to a digital model that expresses the shape and properties of a facility as information so that al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the facility can be integrated and utilized based on a 3D information model. The utilization of BIM technology is expected to improve design quality and productivity, minimize construction errors, and systematic maintenance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of project information in the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tages, which was difficult to achieve in the existing two-dimensional drawing environment. Therefore, national government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ntroduce BIM technolog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BIM 기술의 활용의 일환으로, 시설물의 노후도와 위험도를 BIM 상에 가시화(visualization)하여 시설물 관리자에게 시설물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art of the utilization of BIM technology, visualizes the level of deterioration and risk of facilities on BIM to provide information to facility manag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tuitively provide the state of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로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explain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00), 제2 입력부(200), 제3 입력부(300), 분석부(400), 렌더링 수행부(500) 및 가시화 처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들은 컴퓨터 등과 같이 MCU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을 통해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연산처리수단 또는 하나의 연산처리수단을 통해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00, a second input unit 200, a third input unit 300, an analysis unit ( 400), a rendering unit 500, and a visualization unit 600. Each component is preferably operated through an arithmetic processing means including an MCU, such as a computer, and is preferably operated through each arithmetic processing means or one arithmetic processing mea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용이한 설명을 위한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 대구시 동구에 위치하고 있는 도로 교량인 아양교를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아양교에 의한 출력 데이터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yang Bridge, a road bridge located in Dong-gu, Daegu-si, as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area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for easy explanation. Accordingly, although FIGS. 3 to 5 show output data by the bridg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구성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For a detailed look at each component,

상기 제1 입력부(10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바람직하게는, FMS)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일 예를 들자면, 아양교)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input unit 100 receives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eg, Ayang Bridge) to be visualized from an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preferably, FMS).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입력부(10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시설물에 대해 획득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시설물 정보, 유지관리 정보, 생애주기 비용 등의 데이터인 일명 '레거시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detail, the first input unit 100 receives so-called 'legacy data', which is data such as text-type facility inform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and life cycle costs that can be acquired for a desired facility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will be entered

상기 제1 입력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도출부(110)와 제2 데이터 도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 the first input unit 10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data extraction unit 110 and a second data extraction unit 120 .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때문에, 이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도출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a vast amount of data about facilities is received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t is desirable to derive and utilize desired data from among them.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derives drawing-related information by analyzing a large amount of facility data input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는 도출한 상기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일 예를 들자면, 아양교는 1932년에 준공되어 1983년에 지금과 같은 형태로 확장되었으며, 확장 이후 30년 이상이 경과해 유지관리가 필요한 노후 교량이다. 상기 제1 입력부(100)는 대구광역시 시설안전관리사업소 시설안전과의 협조를 통해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를 통해서 상기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한 결과, 아양교를 확장할 당시의 도면(PDF 파일 형태)과 2016년 진행한 내진보강공사 당시의 설계도(CAD 파일 형태)를 도출하였다.For example, Ayanggyo Bridge was completed in 1932 and expanded to its present form in 1983, and it is an old bridge that requires maintenance as more than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xpan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put unit 100 receives management data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Facility Safety Division of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Off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deri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awing through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the drawing at the time of expanding the Ayang Bridge (PDF file form) and the design drawing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work in 2016 (CAD file form) Derive did

그렇지만, PDF 형태의 자료는 수기로 작성된 도면을 추후 디지털 형식으로 스캔한 것으로 가독성이 좋지 않아, CAD 형태의 설계도를 기본 자료로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PDF 형태의 도면을 통해서 보정하게 된다.However, PDF-type data is a handwritten drawing that is later scanned in digital format and is not readable, so CAD-type design drawings are applied as basic data and corrected through PDF-type drawings as needed.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거시 데이터 중 디지털화가 되지 않은 PDF 형식의 도면을 도출하여, DWG, DXF, DWT 등과 같은 형색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derives a non-digitized PDF format drawing from among the legacy data and converts it into a format such as DWG, DXF, DWT, etc.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는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와 변환한 도면 데이터를 수집하여, 3D Object Layer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deriving unit 110 collects digitized drawing data and converted drawing data and stores them in a 3D object layer.

상기 제2 데이터 도출부(12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data derivation unit 120 derives attribute information and 3D object information by analyzing a vast amount of facility data input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데이터 도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거시 데이터 중 속성 정보(meta data), 3차원 시설물 정보(3D Object Meta data) 및 Edge computing data를 도출하여, Database Layer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data derivation unit 120 derives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3D facility information (3D Object Meta data), and edge computing data from among the legacy data, , it is desirable to store it in the database layer.

상기 제2 입력부(200)는 해당하는 시설물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하는 시설물은 시설물 통합 관리를 원하는 만큼 다양한 측정 센서들을 시설물에 미리 부착 설치하고, 센서들로부터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input unit 200 receives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viously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facility. That is, a corresponding facility may attach and install various measurement sensors to the facility in advance as many as desired for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and receive various sensing data from the sensors.

상기 제2 입력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센싱 데이터 뿐 아니라, 시나리오 적용을 위한 로우 데이터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Raw Data Layer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input unit 200 preferably receives raw data for scenario application and raw data for simulation as well as real-time sensing data, classifying and storing them as a Raw Data Layer it is desirable

상기 제3 입력부(30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입력부(300)에 의해 입력받은 상기 BIM 데이터를 가시화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input unit 300 receives BIM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n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process for providing a visualization service for the BIM data input by the third input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분석부(400)는 상기 제1 입력부(100)에 의한 상기 관리 데이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에 의한 상기 도면 관련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 도출부(120)에 의한 상기 속성 정보, 3차원 시설물 정보 및 Edge computing data와, 상기 제2 입력부(200)에 의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alysis unit 400 includes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unit 100, more specifically, the drawing related information by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ata derivation unit 120. Us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3D facility information, edge computing data, and the sensing data by the second input unit 200,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are analyzed by applying to a preset analysis module. It is preferable.

상기 분석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후도/위험도/비용분석 예측 모듈(Precision Modeling Function), Game Object 모듈, 물리 엔진, 스크립트와의 연계를 위한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analysis unit 400 includes an aging/risk/cost analysis prediction module (Precision Modeling Function), a Game Object module, a physics engine, and a module for linking with a script. it is desirable

상세하게는, 상기 분석부(400)는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한 과거 데이터인 도면 관련 정보, 속성 정보, 3차원 시설물 정보 및 Edge computing data와 실시간 데이터인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한 활용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해당하는 시설물의 노후도와 위험도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analysis unit 400 uses drawing-related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3D facility information, and edge computing data, which are past data for a corresponding facility, and the sensing data, which is real-time data,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level of deterioration and risk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by creating a utilization scenario for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performing a simulation accordingly.

뿐만 아니라, 상기 분석부(400)는 분석한 노후도와 위험도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nalysis unit 400 also analyzes maintenance costs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analyzed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이 때, 상기 분석부(400)는 노후도와 위험도를 산출하는 알고리즘과,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알고리즘을 널리 이용되는 상용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alysis unit 400 applies an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and an algorithm for analyzing the corresponding maintenance cost. Since these algorithms are widely used commercial algorithm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상기 제3 입력부(3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unit 500 analyzes the BIM data by the third input unit 300,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performs rende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상세하게는,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상기 제3 입력부(3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포함되어 있는 각 개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설정된(저장되어 있는)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달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속성정보 추출을 위한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편집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rendering unit 500 analyzes the BIM data by the third input unit 300, and sets (stored)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included object. ) is preferably extract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source code for extrac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BIM data to be reached, and to extract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M data so that work such as editing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상기 속성정보 추출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입력된 상기 BIM 데이터의 메쉬(mesh) 구조 기반에 대해서 자동으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수행하는 과정과, 테셀레이션된 상기 BIM 데이터에 대한 단계별 LOD(Level Of Detail) 및 UV 좌표를 생성하여 포함되어 있는 폴리곤 수의 감소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ndering unit 500 automatically performs tessellation based on the mesh structure of the input BIM data so that the attribute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nd the tessellated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number of included polygons by creating step-by-step LOD (Level Of Detail) and UV coordinates for BIM data.

이 때, 테셀레이션이란, 3D 그래픽의 토대가 되는 데이터를 최소화하되, 그래픽 품질은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3D 그래픽은 수많은 다각형(폴리곤)으로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그림(텍스처)을 입혀 만드는데 다각형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표면의 굴곡이 매끄럽고 질감이 높아지게 된다. 그렇지만, 다각형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래픽 카드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테셀레이션 수행 과정과 폴리곤 수의 감소 과정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essellation is a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data that is the basis of 3D graphics, while furthe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raphics. The higher the number, the smoother the curves of the surface and the higher the texture. However, as the number of polygons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oo much data needs to be processed by the graphics car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unit 500 preprocesses the input BIM data through the tessellation process and the polygon count reduction process so that efficient work can be performed.

이를 통해서,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상기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크기(scale)을 설정하되 기본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텍스처(texture)를 매핑하기 위해 CH.0 UVs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rough this,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performer 500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M data and sets a scale but maintains a default value. It is also desirable to generate CH.0 UVs for mapping textures.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추출한 상기 속성정보를 고려하여, 전달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ndering unit 500 performs rendering of the transmitted BIM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extracted attribute information.

렌더링이란, 2차원적인 그래픽에 광원과 위치, 색상 등의 외부 정보(속성정보) 등을 고려하여 입체감과 사실감을 불어넣기 위해 물체의 각 면에 색깔이나 효과를 넣어가, 그림자나 색상과 농도의 변화 등을 통해 3차원 질감을 넣는 과정을 의미한다.Rendering is the process of adding colors or effects to each side of an object to infus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realism by considering external information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light source, location, and color in two-dimensional graphics. It means the process of adding a 3D texture through change.

이를 위해,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적용된 Unity 3D 엔진을 이용하여, Directional Light 컴포넌트 중 Type와 Color 값을 조정하여 빛의 색상을 추가하거나, 각각의 모델링 데이터에 Material Shader를 Metallic으로 설정한 후, 추가적인 수치 조적을 통하여 렌더링되는 모델의 사실감을 향상시키거나,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적용한 도로 교량의 경우, 교량 아래 흐르는 물에 대해 여러 텍스처를 조합하여 텍스쳐들의 Tile 크기와 Scale 등을 조절하여 겹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흐르는 모습의 물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모든 오브젝트에 반사되는 질감을 추가하여 현실감있는 렌더링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rendering unit 500 uses the applied Unity 3D engine to adjust the Type and Color values of the Directional Light components to add the color of light or to set the Material Shader to Metallic for each modeling data. , Improve the realism of the model rendered through additional numerical masonry, or, in the case of a road bridge applied as an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everal textures for water flowing under the bridge and adjusting the tile size and scale of the textures After overlapping,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water that flows over tim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realistic rendering by adding a reflective texture to all objects.

상기 가시화 처리부(600)는 미리 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부(400)에 의한 노후도 및 위험도 분석 결과,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에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provides the result of analysis of deterioration and risk by the analysis unit 400, the analysis result of maintenance cost, and the rendering unit 500 ),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rendered BIM data and perform visualization.

상세하게는, 상기 가시화 처리부(6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적용한 데이터들을 그래픽라이브러리(WebGL)로 빌드하여,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detail, as shown in FIGS. 3 to 5, 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builds the data applied to the pre-linked CS (Client Server) system into a graphic library (WebGL), visualization can also be performed.

이를 통해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 등을 포함하여 방대한 데이터량을 이루고 있는 BIM 데이터를 웹 환경에서 구축하기 위하여, 상용 3차원 GIS 엔진에 비해 개발 자유도가 높고 플랫폼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Unity 3D를 활용함으로써, 입체감과 사실감있게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in order to build BIM data, which constitutes a vast amount of data, including shap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etc. in the web environment, Unity 3D, which has a higher degree of development freedom and can flexibly respond to platform changes, compared to commercial 3D GIS engines, is used. By using i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visualization in the web environment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realism.

도 3은 상기 가시화 처리부(600)를 통해서 상기 BIM 데이터와 함께, 시설물 정보, 주요 센싱 데이터, 종합 노후도, 종합 위험도 및 유지관리 가이드 라인을 대쉬보드 형태로 보여지도록 가시화를 수행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visualization is performed to show facility information, main sensing data, comprehensive deterioration, comprehensive risk, and maintenance guidelines along with the BIM data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in the form of a dashboard.

더불어,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를 통해서,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렌더링을 수행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되는 데이터에 따라 분석 결과 이상이 있는 부분만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하는 사용자가 축소 및 시점을 변경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rendering is performed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through the rendering unit 500, as shown in FIG. 4, only the parts with abnormal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can be separately displayed. And the user who needs to make a decision can intuitively check it by zooming out and changing the viewpoint.

도 5는 입력받은 레거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 분석이 필요하지 않는 시설물의 상세 제원, 점검/진단 이력, 보수/보강 이력 정보를 대쉬보드 형태로 보여지도록 가시화를 수행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detailed specifications, inspection/diagnosis history, and maintenance/reinforcement history information of a facility that does not require predictive analysis are visualized in a dashboard form using inputted legacy dat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 예시도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영상과 LiDAR 점군 데이터를 활용한 하천 지형의 3차원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 예시도로서,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상세히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visualization method,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단계(S100), 제2 입력 단계(S200), 분석 단계(S300), 제3 입력 단계(S400), 렌더링 단계(S500) 및 가시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고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게 된다.As shown in FIG. 6, a method for providing visualization servic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step (S100), a second input step (S200), an analysis step (S300), and a third input step (S1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put step (S400), a rendering step (S500) and a visualization step (S600). In addition, each step is performed by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high-tech facilities implemented by a computer.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For a detailed look at each step,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는 상기 제1 입력부(100)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바람직하게는, FMS)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일 예를 들자면, 아양교)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the first input step (S100),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for example, Ayang Bridge) desired to be visualized is input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preferably, FMS) associated with the first input unit 100. You will receive.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시설물에 대해 획득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시설물 정보, 유지관리 정보, 생애주기 비용 등의 데이터인 일명 '레거시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the first input step (S100), so-called 'legacy data', which is data such as text-type facility inform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life cycle cost, etc., which can be obtained for a desired facility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input. .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때문에, 이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도출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a vast amount of data about facilities is received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t is desirable to derive and utilize desired data from among them.

이를 위해,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와 제2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2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n the first input step (S100),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and the second input data analysis step (S120).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In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erived by analyzing a vast amount of facility data input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는 도출한 상기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게 된다.In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일 예를 들자면, 아양교는 1932년에 준공되어 1983년에 지금과 같은 형태로 확장되었으며, 확장 이후 30년 이상이 경과해 유지관리가 필요한 노후 교량이다. 상기 제1 입력부(100)는 대구광역시 시설안전관리사업소 시설안전과의 협조를 통해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를 통해서 상기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한 결과, 아양교를 확장할 당시의 도면(PDF 파일 형태)과 2016년 진행한 내진보강공사 당시의 설계도(CAD 파일 형태)를 도출하였다.For example, Ayanggyo Bridge was completed in 1932 and expanded to its present form in 1983, and it is an old bridge that requires maintenance as more than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xpan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put unit 100 receives management data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Facility Safety Division of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Off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deri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awing through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the drawing at the time of expanding the Ayang Bridge (PDF file form) and the design drawing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work in 2016 (CAD file form) Derive did

그렇지만, PDF 형태의 자료는 수기로 작성된 도면을 추후 디지털 형식으로 스캔한 것으로 가독성이 좋지 않아, CAD 형태의 설계도를 기본 자료로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PDF 형태의 도면을 통해서 보정하게 된다.However, PDF-type data is a handwritten drawing that is later scanned in digital format and is not readable, so CAD-type design drawings are applied as basic data and corrected through PDF-type drawings as needed.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는 상기 레거시 데이터 중 디지털화가 되지 않은 PDF 형식의 도면을 도출하여, DWG, DXF, DWT 등과 같은 형색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is point, in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it is preferable to derive a non-digitized PDF format drawing from among the legacy data and convert it into a format such as DWG, DXF, or DWT.

상기 제2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20)는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시설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In the second input data analysis step (S120), a vast amount of facility data input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nalyzed to der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3D object information.

상기 제2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20)는 상기 레거시 데이터 중 속성 정보(meta data), 3차원 시설물 정보(3D Object Meta data) 및 Edge computing data를 도출하여, Database Layer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input data analysis step (S120), it is preferable to derive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3D facility information (3D object meta data), and edge computing data from among the legacy data and store them in a database layer.

상기 제2 입력 단계(S200)는 상기 제2 입력부(200)에서, 해당하는 시설물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즉, 해당하는 시설물은 시설물 통합 관리를 원하는 만큼 다양한 측정 센서들을 시설물에 미리 부착 설치하고, 센서들로부터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In the second input step (S200), the second input unit 200 receives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at is, the corresponding facility has as many measurement sensors as desired for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may be attached to the facility in advance, and various sensing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sensors.

상기 제2 입력 단계(S200)는 실시간 센싱 데이터 뿐 아니라, 시나리오 적용을 위한 로우 데이터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the second input step (S200), raw data for scenario application and raw data for simulation are received as well as real-time sensing data.

상기 분석 단계(S300)는 상기 분석부(400)에서,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에 의한 관리 데이터(도면 관련 정보, 속성 정보, 3차원 시설물 정보 및 Edge computing data)와 상기 제2 입력 단계(S200)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게 된다.The analysis step (S300) is the analysis unit 400, management data (drawing related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3D facility information and edge computing data) by the first input step (S100) and the second input step Using the sensing data by (S200),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the degree of risk are analyzed by applying to a preset analysis module.

상기 분석 단계(S300)는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한 과거 데이터인 도면 관련 정보, 속성 정보, 3차원 시설물 정보 및 Edge computing data와 실시간 데이터인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한 활용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해당하는 시설물의 노후도와 위험도를 분석하게 된다.The analysis step (S300) uses the drawing-related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3D facility information and Edge computing data, which are past data for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the sensing data, which is real-time data,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facility over time. By creating utilization scenarios and performing simulations accordingly, the deterioration and risk of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are analyzed.

뿐만 아니라, 상기 분석 단계(S300)는 분석한 노후도와 위험도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nalysis step (S300), analysis of maintenance costs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analyzed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is also performed.

상기 제3 입력 단계(S400)는 상기 제3 입력부(300)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the third input step (S400), the third input unit 300 receives BIM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에서, 상기 제3 입력 단계(S4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rendering step (S500), the rendering unit 500 analyzes the BIM data by the third input step (S400),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considers this rendering will be performed.

상세하게는,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포함되어 있는 각 개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설정된(저장되어 있는)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달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속성정보 추출을 위한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편집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n the rendering step (S500),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BIM data and extract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set (stored)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included entity.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source code for extrac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BIM data to be reached, and to extract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M data so that work such as editing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상기 속성정보 추출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입력된 상기 BIM 데이터의 메쉬(mesh) 구조 기반에 대해서 자동으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수행하는 과정과, 테셀레이션된 상기 BIM 데이터에 대한 단계별 LOD(Level Of Detail) 및 UV 좌표를 생성하여 포함되어 있는 폴리곤 수의 감소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ndering step (S500) includes a process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essellation on the basis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input BIM data, and the tessellated BIM, so that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number of included polygons by generating step-by-step LOD (Level Of Detail) and UV coordinates for the data.

이 때, 테셀레이션이란, 3D 그래픽의 토대가 되는 데이터를 최소화하되, 그래픽 품질은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3D 그래픽은 수많은 다각형(폴리곤)으로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그림(텍스처)을 입혀 만드는데 다각형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표면의 굴곡이 매끄럽고 질감이 높아지게 된다. 그렇지만, 다각형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래픽 카드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는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테셀레이션 수행 과정과 폴리곤 수의 감소 과정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essellation is a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data that is the basis of 3D graphics, while furthe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raphics. The higher the number, the smoother the curves of the surface and the higher the texture. However, as the number of polygons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oo much data needs to be processed by the graphics car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unit 500 preprocesses the input BIM data through the tessellation process and the polygon count reduction process so that efficient work can be performed.

이를 통해서,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상기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크기(scale)을 설정하되 기본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텍스처(texture)를 매핑하기 위해 CH.0 UVs를 생성하게 된다.Through this,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rendering step (S500) extracts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M data and sets the scale but maintains the default value. It also creates CH.0 UVs for mapping textures.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추출한 상기 속성정보를 고려하여, 전달되는 상기 BIM 데이터의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렌더링이란, 2차원적인 그래픽에 광원과 위치, 색상 등의 외부 정보(속성정보) 등을 고려하여 입체감과 사실감을 불어넣기 위해 물체의 각 면에 색깔이나 효과를 넣어가, 그림자나 색상과 농도의 변화 등을 통해 3차원 질감을 넣는 과정을 의미한다.In the rendering step (S500), rendering of the transmitted BIM data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racted attribute information. At this time, rendering refers to adding colors or effects to each side of an object to infus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realism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information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light source, location, and color in two-dimensional graphics, and shadows or colors It means the process of adding a three-dimensional texture through changes in color and density.

이를 위해, 상기 렌더링 단계(S500)는 적용된 Unity 3D 엔진을 이용하여, Directional Light 컴포넌트 중 Type와 Color 값을 조정하여 빛의 색상을 추가하거나, 각각의 모델링 데이터에 Material Shader를 Metallic으로 설정한 후, 추가적인 수치 조적을 통하여 렌더링되는 모델의 사실감을 향상시키거나,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적용한 도로 교량의 경우, 교량 아래 흐르는 물에 대해 여러 텍스처를 조합하여 텍스쳐들의 Tile 크기와 Scale 등을 조절하여 겹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흐르는 모습의 물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모든 오브젝트에 반사되는 질감을 추가하여 현실감있는 렌더링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rendering step (S500) uses the applied Unity 3D engine, adjusts the Type and Color values of the Directional Light components to add the color of light, or sets the Material Shader to Metallic for each modeling data, Improve the realism of the model rendered through additional numerical masonry, or, in the case of a road bridge applied as an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 several textures for water flowing under the bridge and adjust the tile size and scale of the textures to overlap. After that,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water that flow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realistic rendering by adding a reflective texture to all objects.

상기 가시화 단계(S600)는 상기 가시화 처리부(600)에서, 미리 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 단계(S300)에 의한 노후도 및 위험도 분석 결과,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단계(S500)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visualization step (S600), in 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ioration and risk level by the analysis step (S300)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maintenance cost in the CS (Client Server) type system linked in advance. And, the BIM data rendered by the rendering step (S500) is applied, and visualization is performed.

상기 가시화 단계(S6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적용한 데이터들을 그래픽라이브러리(WebGL)로 빌드하여,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visualization step (S600) builds the data applied to the previously linked CS (Client Server) system into a graphic library (WebGL) to perform visualization in the web environment. You may.

이를 통해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 등을 포함하여 방대한 데이터량을 이루고 있는 BIM 데이터를 웹 환경에서 구축하기 위하여, 상용 3차원 GIS 엔진에 비해 개발 자유도가 높고 플랫폼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Unity 3D를 활용함으로써, 입체감과 사실감있게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in order to build BIM data, which constitutes a vast amount of data, including shap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etc., in a web environment, Unity 3D, which has a higher degree of development freedom and can flexibly respond to platform changes compared to commercial 3D GIS engines, is used. By using i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visualization in the web environment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realis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N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제1 입력부
110 : 제1 데이터 입력부 120 : 제2 데이터 입력부
200 : 제2 입력부
300 : 제3 입력부
400 : 분석부
500 : 렌더링 수행부
600 : 가시화 처리부
100: first input unit
110: first data input unit 120: second data input unit
200: second input unit
300: third input unit
400: analysis unit
500: rendering execution unit
600: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Claims (6)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00);
해당하는 시설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200);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300);
상기 제1 입력부(100)에 의한 상기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부(200)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는 분석부(400);
상기 제3 입력부(3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수행부(500); 및
기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부(400)에 의한 노후도 및 위험도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수행부(500)에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는 가시화 처리부(600);
를 포함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first input unit 100 that receives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second input unit 200 that receives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viously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facility;
A third input unit 300 that receive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the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 analysis unit 400 that analyzes a degree of deterioration and a degree of risk by applying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unit 100 and the sensing data by the second input unit 200 to a predetermined analysis module;
A rendering performer 500 that analyzes the BIM data by the third input unit 300,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performs rende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and
Applying the deterioration and risk analysis results by the analysis unit 400 and the BIM data rendered by the rendering unit 500 to a CS (Client Server) system that is related to the machine, and performing visualization a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600;
Including,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100)는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제1 데이터 도출부(110); 및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는 제2 데이터 도출부(120)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put unit 100 is
a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for deriving drawing-related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put management data; and
A second data derivation unit 120 that analyzes the input management data and derives attribute information and 3D object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도출부(110)은
도출한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가 아닐 경우, 기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data derivation unit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If it is not digitized drawing data, a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that converts into a preset format.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입력 단계(S100);
제2 입력부에서, 해당하는 시설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입력 단계(S200);
분석부에서,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에 의한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단계(S200)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분석 모듈에 적용하여 노후도 및 위험도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S300);
제3 입력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시화를 원하는 시설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입력 단계(S400);
렌더링 수행부에서, 상기 제3 입력 단계(S400에 의한 상기 BIM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객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 별로 속성정보(meta data)를 추출하여, 이를 고려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단계(S500); 및
가시화 처리부에서, 기연계되어 있는 CS(Client Server) 방식의 시스템에 상기 분석 단계(S300)에 의한 분석 결과와 상기 렌더링 단계(S500)에 의한 렌더링한 BIM 데이터를 적용하고, 가시화를 수행하는 가시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visualization servic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in which each step is performed by a system for providing visualization servic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implemented by a computer,
A first input step of receiving, in a first input unit, management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n associ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S100);
A second input step of receiving sensing data from sensors previously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facility in a second input unit (S200);
In the analysis unit, an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risk by applying the management data by the first input step (S100) and the sensing data by the second input step (S200) to a predetermined analysis module ( S300);
In a third input unit, a third input step of receiv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or a facility to be visualized from a link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S400);
In the rendering unit, the third input step (S400) analyzes the BIM data,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meta data)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each object, and performs rende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S500). ); and
In the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a visualization step of applying the analysis result by the analysis step (S300) and the rendered BIM data by the rendering step (S500) to a CS (Client Server) type system that is already connected, and performing visualization. (S600);
Including, a method for providing visualization servic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는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면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 및
입력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와 3차원 객체 정보를 도출하는 제2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2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분석 단계(S110)의 분석 결과에 의해,
도출한 도면 관련 정보가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디지털화된 도면 데이터가 아닐 경우, 기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input step (S100)
A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of analyzing the input management data and deriving drawing-related information; and
a second input data analysis step (S120) of analyzing the input management data and deriv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3D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nput data analysis step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rived draw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ized drawing data,
If it is not digitized drawing data, a method of providing visualization servic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by converting them into a preset forma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S300)는
상기 제1 입력 단계(S100)에 의한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시설물의 상세 제원 정보와 과거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초 데이터를 분석하며,
상기 가시화 단계(S600)는
상기 분석 단계(S300)에 의한 상기 기초 데이터를 포함하여 시스템에 적용 및 가시화를 수행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analysis step (S300)
Using the management data from the first input step (S100), basic data including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past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analyzed,
The visualization step (S600)
A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ization service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including applying the basic data by the analysis step (S300) to a system and performing visualization.
KR1020210187025A 2021-12-24 2021-12-24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KR20230097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25A KR20230097485A (en) 2021-12-24 2021-12-24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25A KR20230097485A (en) 2021-12-24 2021-12-24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85A true KR20230097485A (en) 2023-07-03

Family

ID=8715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025A KR20230097485A (en) 2021-12-24 2021-12-24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48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981B1 (en) 2008-06-12 2010-10-29 박장호 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981B1 (en) 2008-06-12 2010-10-29 박장호 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BIM/GIS data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flow
Dore et al. Current state of the art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Logotheti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cultural heritage: a review
Sud et al. DiFi: Fast 3D distance field computation using graphics hardware
Roh et al. An object-based 3D walk-through model for interior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Fassi et al. A new idea of BIM system for visualization, web sharing and using huge complex 3d models for facility management.
KR20200078074A (en) Server and method for 3d city modeling based on object,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9522381B (en) Building hidden facility safety detection method based on 3DGIS + BIM
Borin et al. Condition assessment of RC bridges. Integrating machine learning, photogrammetry and BIM
Agarwal Review o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in civil engineering
CN113360583A (en) Construction progress visualization method based on BIM model and monitoring image comparison
CN115587399A (en) Project progress management system and application based on BIM
KR20140142470A (en) Method for generating a tree model and a forest model and apparatus for the same
Bacci et al. HBIM methodologies for the architectural restoration. The case of the ex-church of San Quirico all'Olivo in Lucca, Tuscany
KR101552828B1 (en) Method for Obtaining Polygon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
Yang et al. Complementarity of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Kıvılcım et al. A semi-automated point cloud processing methodology for 3D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
Jin Developing a mixed-reality based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and maintenance
KR20230097485A (en) 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CN113468626B (en) Drawing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RU2685116C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oduction dimensions for connection element
Dore Procedural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HBIM) for recording and documenting European classical architecture
Mohande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construction industry
Karim et al. 3D CityGML Building Models Development With Cross-Scale Query Database
Baroš THE APPLICATION OF BIM TECHNOLOGY AND ITS RELIABILITY IN THE STATIC LOAD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