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277A -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277A
KR20230097277A KR1020210186351A KR20210186351A KR20230097277A KR 20230097277 A KR20230097277 A KR 20230097277A KR 1020210186351 A KR1020210186351 A KR 1020210186351A KR 20210186351 A KR20210186351 A KR 20210186351A KR 20230097277 A KR20230097277 A KR 2023009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information
depositor
accou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비파이낸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비파이낸셜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비파이낸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8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277A/ko
Publication of KR2023009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예금자보장대상의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예금자보호 대상으로서 은행명 및 지점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금융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 정보는 금융기관명, 지점명, 금융상품명 및 잔고를 포함하고, 상기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예금자보호 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도 한도액 대비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PROVIDING INDIVIDUAL INQUIRY RESULT FOR DEPOSITOR INSURANCE}
본 개시는 개인별 예금자보험대상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소액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예금자보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예금자보호제도란 '동일한 종류의 위험을 가진 사람들이 평소에 기금을 적립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는 보험의 원리를 이용하여 예금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예금보험공사가 보험기관으로서 예금업무를 취급하는 금융사로부터 예금보험료를 납부받고 금융사가 경영부실이나 파산등을 이유로 예금자에게 예금을 지급할 여력이 없을 때, 금융사를 대신하여 예금자에게 예금을 지급하여 예금액을 보장한다.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는 한도액은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세전)까지 예금을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각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액수가 20년째 5천만원에 고정되어 있어서, 금융소비자는 예금자보호의 한도 액수 보다 큰 금액을 예금하려면, 복수개의 금융사에 예금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예금자보호제도의 대상이 저축성예금상품을 취급하는 금융사가 외환, 투자, 연금, 펀드 등과 같은 계좌를 취급하면서, 각 금융사의 전체 계좌 호출만으로는 보호가 되는 예금계좌 및 예금 액수가 식별이 불가능하여,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자산관리에 많은 난점이 있다.
특히, 현재 금융결제원이 제공하는 금융사별 계좌 데이터만으로는 각 금융사별로 추가로 얼마를 보호받을 수 있는지 또는 각 금융사별로 예금보호를 받지 못하는 금액이 있는지 식별이 불가하여 예금자보호계좌 및 한도 식별 방식 모델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금자의 계좌들 중에서 예금자보호대상의 금융사 및 금융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별 예금자보험대상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예금자보장대상의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예금자보호 대상으로서 은행명 및 지점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금융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 정보는 금융기관명, 지점명, 금융상품명 및 잔고를 포함하고, 상기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예금자보호 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도 한도액 대비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금융사 지점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찾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 서비스의 GUI를 도시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서버,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 또는 앱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예금자보호제도를 통해 예금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한도(예: 5,000만원)는 법인을 기준으로 지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예금자가 각각 다른 법인의 A 금융사와 B 금융사에 각각 3,000만원씩 예금자보호제도에 의해 보호되는 금융상품(예: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A 금융사와 B 금융사가 모두 파산하는 경우에 예금자는 총 예금액 6,000만원 중에서 한도액으로서 5,000만원만 보호받는 것이 아닌, A 금융사와 B 금융사가 각각에 대하여 3,000만원씩 보호받을 수 있다. 그런데, 제1 금융권으로서 예금은행은 하나의 법인아래에 복수의 지점이 등록되게 된다. 따라서, 제1 금융권인 예금은행에서 사용자가 금융상품의 계좌를 개설하게 되면, 이는 복수의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취급되며, 예금자보호제도도 지점이 아닌 공통 계좌를 기준으로 한도액이 결정된다.
반면에, 제2 금융권, 예를 들어 저축은행은 지점마다 별개의 법인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제2 금융권으로서 저축은행은 A 지점과 B 지점에서 각각 금융상품의 계좌를 개설하면, A 지점에서 개설한 금융계좌와 B 지점에서 개설한 금융계좌가 각각 예금자보호제도의 한도 금액내에게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금자가 복수의 은행에서 복수의 금융상품을 개설하였을 때, 금융상품의 종류에 따라 예금자보호제도에 보호받는지 여부를 고려해야할 뿐만 아니라, 은행의 종류, 나아가 은행의 지점까지 고려하여 예금자보호제도의 한도 금액 내에서 상품이 가입되어 있는지 고려해야한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 이거나,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로서 데이터 서버(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계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금융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종래에도 웹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서버도부터 예금자 개인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집하여 예금자가 개설한 계좌를 전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서비스가 있었다. 하지만 해당 계좌가 예금자보호제도로 보호될 수 있는 계좌인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무하다. 또한, 예금자보호제도에 대상의 되는 금융사 정보 및 예금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데이터로서 제공하는 주체 및 해당 데이터의 데이터구조가 모두 상이하여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별 예금자보험대상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 서버로서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 이거나,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금융사 정보 및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예금자보호계좌를 식별하고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 결과를 생성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융사 지점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100)은, 사용자 장치(110), 예금자보호 한도 시스템 서버(120) 및 데이터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10)는,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client device)(예: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10)에는 시스템 서버(12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시스템 서버(120)에 접속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예금자보호 한도 시스템 서버(120)(이하, 시스템 서버(120)로 지칭)에 의해 제공되는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와 연동하여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다른 금융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은행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되는 형태로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애드온 프로그램(add-on program) 또는 플러그인 프로그램(plug-in program)의 형태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사파리(Safa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는 로그인부(121) 데이터 수집부(122), 데이터 변환부(123), 데이터베이스(124) 및 금융상품 추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서버(12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예: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시스템 서버(120)에 포함된 로그인부(121) 데이터 수집부(122), 데이터 변환부(123), 데이터베이스(124) 및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시스템 서버(120)를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이 다른 모듈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서버(120)의 각 구성은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서버(130)는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에게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130)는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 이거나,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일 수 있다. 데이터 서버(130)는 데이터의 종류 및 운영하는 주체에 따라 복수개 일 수 있다. 데이터 서버(130)는 예를 들어,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이 때 통계목록, 계정항목, 금융사 및 통계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130)는 금융사, 정기예금 상품, 적금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10)와 시스템 서버(120) 및 데이터 서버(130)는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 연결이 실행(execute)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의 주기적 또는 실시간 수행을 위하여 시스템 서버(120)와 데이터 서버(130)는 항상 서로 통신 연결이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그인부(121)는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그인부(121)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10)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할 때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해 로그인부(121)에 입력하는 로그인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로그인 수단은 키패드 상의 키들이 연결된 패턴 정보, 지문/얼굴/홍채 등과 생체 정보, 및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로그인 수단은 상기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기타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정보는 은행 업무 처리를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PIN 번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로그인부(121)는 사용자가 시스템 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그인부(121)는 시스템 서버(120)의 최초 실행시 사용자에게 시작하기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인인증을 위한 정보가 수신되면 로그인부(121)는 사용자에게 회원가입 페이지를 표시하여 회원가입을 안내할 수 있다.
로그인부(121)는 로그인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시스템 서버(120)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 허용 여부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고 정당한 권원이 없는 사용자의 시스템 서버(120)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장치(110)에 저장된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서는 사용자 장치(110) 내의 하드웨어적인 보안영역(Secure Element)에 저장될 수 있고, 금융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로그인부(121)가 사용자 장치(110)로 수신한 로그인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로그인 정보는 시스템 서버(120)가 데이터 서버(130)에 개인금융정보를 요청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가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개인금용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 인증과, 권한획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개인금융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법적 또는 절차적 규칙(예: 본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 서명 등)에 맞는 절차들이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부(122)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금융사 및 금융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22)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장치(11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있을 때, 또는 데이터 서버(130)에서 정보의 갱신(예: 분기별 업데이트)이 있을 때마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금융사에 대한 데이터로서 금융사 정보는 은행 코드, 은행명, 점포명, 전화번호, 팩스, 우편번호,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레이아웃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금융상품에 대한 데이터로서 금융상품 정보는 금융상품 조건 및 금융사 건전성 평가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금융사 건전성 평가 조건은, 총자산, BIS비율, 당기순이익,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 총 자산 순익율(ROC),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부(122)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를 위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집에 필요한 개인신용정보를 시스템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22)는 정보 제공에 대한 정보 주체(즉, 사용자)의 동의를 위하여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인증 요청에 대한 결과를 시스템 서버(1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부(122)는 데이터 서버(130)와의 통신을 통하여 개인금융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이체(출금이체, 입금이체 등) 거래에 대한 처리, 또는 조회(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 계좌실명조회, 송금인정보조회 등) 거래에 대한 처리 등의 금융업무를 더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개인금융정보는 계좌정보(은행, 예금주명, 계좌번호, 잔액, 신규일자 등) 조회, 입출금내역(은행, 계좌번호, 거래일자, 거래시작, 출금액, 입금액, 거래 후 잔액, 거래수단 등) 조회, 예적금정보(계좌번호, 예금종류, 현재 잔액, 약정액, 월납입액, 거래일자시간, 입금액, 만기일자 등) 조회, 대출금정보(계좌번호, 대출종류, 대출잔액, 월납입액, 거래일자시간, 이자금액, 이자율, 만기일자 등) 조회, 카드사용내역(카드종류, 카드번호, 승인일자시간, 승인금액, 결제 후 잔액, 결제일 등) 조회, 예금주정보(예금주명, 실명번호, 계좌진위여부 등) 조회에 의하여 수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부(122)의 개인금융정보의 수집은 보안을 위하여 API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오픈 API를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서버(13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오픈 API를 이용한 통신이란, 은행, 카드사, 보험사, 통신사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 중 조회를 필요로 하는 개인금융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API를 지정하고, 데이터 서버(130)와 시스템 서버(120)의 약정에 의해 해당 API를 시스템 서버(120) 또는 사용자 장치(110)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개인금융정보의 조회가 실현되는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3)는, 데이터 수집부(122)에 의해 수신한 금융사 정보, 금융상품 정보 및 개인금융정보를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에 적합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부(123)는, 데이터 서버(130)가 제공한 데이터의 레이아웃(layout) 정보에 기반하여 금융사별로 예금자보호 한도 금액의 조회를 위한 레이아웃의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고, 이때 변환된 레이아웃은 금융사의 종류 및/또는 순서를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 구조를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데 적합한 레이아웃(layout)으로 변환하여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123)는 변환된 레이아웃에 따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를 요청한 사용자 장치(110)에 송신하기 위한 조회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부(123)는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에 필요한 금융사의 종류 및/또는 순서를 정의하는 레이아웃에 따른 정보와 예금자보호 기준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110)에 제공되기 위한 조회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예금자보호가 가능한 금융사(부보금융회사)를 나타내는 금융사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데이터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금융권 기관명 주소 FAX
은행 국민은행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8길 26 02-2073-5209
은행 신한은행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일 20 0505-177-6001
... ... ... ...
저축은행 오케이저축은행 서울 중구 세종대로39 10층 02-511-8667
저축은행 SBI저축은행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9층 10층 11층 3445-2227
... ... ... ...
그런데,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예: 예금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 중 개설된 계좌에 대한 정보는 아래 표 2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금융기관명 지점명 주소 FAX
계좌번호 상품명 개설일 잔고
KB국민 청계 서울종로구청계천로199(예지동) 02-2269-2181
000**000** 일반예금 2021.9.3 48,000,000
저축은행 SBI 종로 (지) 서울시 종로구청계천로41 영풍빌딩3층 02-2136-0551
111**111** 복리정기예금 2021.9.3 48,000,000
저축은행 솔로몬 본점 서울시강남구대치동889-44 02-2022-8008
222**222** 복리정기예금 2021.10.3 30,000,000
... ... ...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1 금융권인 KB국민은행은 금융기관명에 독립적인 식별자(또는 코드)로서 'KB국민'을 부여받고 있는데, 제2 금융권인 SBI 저축은행과, 솔로몬 저축은행은 금융기관명에 통일된 식별자로서 '저축은행'을 부여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융권으로서 예금은행은 금융기관명에 부여받은 식별자로 예금자보호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호한도 금액을 확인하면 되지만, 제2 금융권으로서 저축은행은 금융기관명에 부여받은 식별자로는 불가능하다. 제2 금융권으로서 저축은행은 금융기관명에 부여받은 식별자로 저축은행임을 식별한 다음 지점명 또는 지점명에 부여받은 식별자를 이용하여 예금자보호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호한도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부(123)(또는 시스템 서버(120))는 개인금융정보로서 개인에 대한 계좌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에서, 먼저 제1 계층 데이터(예: 금융기관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제1 금융권(예: KB국민)과 제2 금융권(예: 저축은행)을 구별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3)는 제2 금융권으로 구별된 계좌에 대해서는 제2 계층 데이터(예: 지점명)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계층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데이터 변환부(123)가 표 2의 데이터 구조를 위와 같은 규칙을 통하여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금융기관명 지점명 주소 FAX
계좌번호 상품명 개설일 잔고
KB국민 청계 서울종로구청계천로199(예지동) 02-2269-2181
000**000** 일반예금 2021.9.3 48,000,000
SBI저축 종로 (지) 서울시 종로구청계천로41 영풍빌딩3층 02-2136-0551
111**111** 복리정기예금 2021.9.3 48,000,000
솔로몬 저축 본점 서울시강남구대치동889-44 02-2022-8008
222**222** 복리정기예금 2021.10.3 30,000,000
... ... ... ...
데이터 변환부(123)는 위 표 3과 같이 변경된 데이터구조에서 제1 계층 데이터로서 금융기관명에 값과, 개인금융정보와 표 1과 같은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의 값의 비교를 통하여 복수의 계좌들 중에서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계좌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부(123)(또는 시스템 서버(120))는 개인금융정보로서 개인에 대한 계좌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에서, 먼저 제1 계층 데이터(예: 금융기관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제1 금융권(예: KB국민)과 제2 금융권(예: 저축은행)을 구별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3)는 제2 금융권으로 구별된 계좌에 대해서는 다른 계층의 데이터 값과 개인금융정보와 표 1과 같은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의 값의 비교를 통하여 복수의 계좌들 중에서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계좌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를 참조하면, 제2 금융권에 속하는 저축은행들은 지점별로 개별적인 주소 값과, FAX 번호 값 또는 전화번호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의 지점별 주소 값 및 FAX 번호 값의 비료를 통하여 복수의 계좌들 중에서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계좌를 식별할 수 있다.
'예금보험공사'가 운영하는 데이터 서버(130)는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全) 금융사 지점을 나타내는 데이터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변환부(123)(또는 조회 서버)는 전 금융사 지점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들의 지점 정보로서, 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주소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전 금융사 지점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표 1과 같이 예금자보호대상을 나타내는 금융사 정보는,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금융사들의 지점을 식별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조 변환 및 비교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함께 실시되어 예금자보호대상이 되는 계좌식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서버(120)는 API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없이, 데이터베이스(124)를 조회하는 방식으로 개인금융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 API 기반의 응답에 대한 처리에 대한 개발 부담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는 개인금융정보를 데이터 서버(130)에 요청할 때, 데이터 서버(130)에서 요구하는 통신 방식(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형식을 포함함)에 의하여 전문 방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서버(120)는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위한 인증 요청을 사용자 장치(110) 또는 인증 서버(미도시)에 송신하여, 통합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130)에 개인금융정보의 접근에 대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24)는 시스템 서버(120)와 데이터 서버(130)와의 거래 이력 정보(예를 들어, 로그)나, 사용자 장치(110)가 시스템 서버(120)에 대한 서비스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는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정보 조회 요청에 상응하는 개인금융정보를 데이터 보유기관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즉, 개인금융정보의 주체)의 개인금융정보를 정보 보유기관으로부터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의 서버(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130))와 연계하여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조회를 수반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 금융기관 별로 상이한 보안 방식, 통신 방식 및 전문 방식 등에 구애받지 않고 계좌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120)는 금융상품 추천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데이터 변환부(123)가 생성한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A 금융사에서의 예금 금액이 예금자 보호 한도액에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어 90% 이상)에 가까운 경우, 예금자 보호 한도액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어, 10% 미만)에 적합한 B 금융사의 금융상품을,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금융상품 데이터로부터 탐색(retrieve)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A 금융사에 예금 금액이 있는 경우, A 금융사의 지점 정보로서 주소 정보를 통하여 A 금융사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3km 내)에 위치한 B 금융사의 금융상품을 금융상품 데이터로부터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가 A 금융사의 임의의 예금 상품을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상품에 가입 또는 예금한 이력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사용자가 해당 예금 상품에 적용된 이율을 확인하고, 이율이 지점 방문(오프라인)을 통해 상품에 가입한 것인지 또는 온라인 상에서 가입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상품 추천부(125)는 탐색한 추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1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수신한 추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1 내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10), 시스템 서버(120) 또는 데이터 서버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에게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1에서, 데이터 서버(130)는 금융상품 및 금융사에 대한 데이터를 시스템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스템 서버(120)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의 데이터의 수집은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서버(120)(또는 데이터 수집부(122))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금융사 금융사에 대한 데이터로서 금융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장치(11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있을 때, 또는 데이터 서버(130)에서 정보의 갱신(예: 분기별 업데이트)이 있을 때마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203에서, 사용자 장치(110)는 시스템 서버(120)가 제공하는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10)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시스템 서버(120)가 제공하는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10)는 시스템 서버(120)가 제공하는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배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시스템 서버(120)가 제공하는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a의 (a)는 사용자 장치(110)가 조회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GUI(111)로서 제1 화면(510)을 도시한다.
제1 화면(510)은 로그인 정보(511) 및 로그인 수단(512)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511)는 이메일, ID 또는 휴대전화번호와 같이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511)에 입력되는 값은 회원가입을 진행할 때 입력받은 정보일 수 있다. 로그인 수단은 키패드 상의 키들이 연결된 패턴 정보, 지문/얼굴/홍채 등과 생체 정보, 및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5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인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4)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내에 저장된 계정 정보 사이의 관련성에 적어도 기반하여(based at least on)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와의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 정보, 사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에 관한 고유 정보(로그인 정보, 거래 번호, 트랜잭션(Transaction) 번호, 서비스 등록 번호 등), 사용자 장치(110)에 관한 환경 정보(M/B ID, CPU ID, HDD S/N, USB S/N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 OS의 버전, 이용 브라우저나 주변 기기의 patch/plugin의 버전, 브라우저의 버전/타입/언어와 같은 소프트웨어 정보, IP주소, MAC 주소, G/W IP 주소, G/W MAC 주소와 같은 네트워크 정보, USIM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를 통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시스템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금액의 조회를 위한 GUI(11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된 GUI(111) 상에서 금융사별 예금자보호의 한도 조회를 요청하는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상기 객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시스템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09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30)로부터 개인금융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법적 또는 절차적 규칙(예: 본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 서명 등)에 맞는 절차들이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장치(110), 시스템 서버(120) 및 데이터 서버(130) 간에 복수의 시그널링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b)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개인금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 중 일부가 GUI(111)로서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되는 제2 화면(520)을 도시한다.
단계 211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금융사 정보와 개인금융정보를 비교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금융사 정보는 단계 201에서 수신한 금융사 정보일 수 있다. 단계 213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10)에 생성된 조회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수신한 조회 결과를 GUI(11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는 수신한 조회 결과로서 사용자 장치(110)의 GUI(111)에 표시된 제3 화면(530)을 도시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3 화면(530)은 업데이트 버튼(531), 분산예치 필요금액(532) 및 금융사별 예금자 보호 한도 조회 정보(533, 534, 53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한 업데이트 버튼(531)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면, 이에 응답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의 갱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시스템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 서버(120)는 이에 응답하여, 단계 209 및 단계 211를 수행하여 사용자 장치(110)에 최신의 금융사 정보와 개인금융정보를 비교하여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갱신된 조회결과를 시스템 서버(120)로부터 다시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110)의 GUI(111)에 표시할 수 있다.
분산예치 필요 금액(532)는 조회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에 표시된 예에서, 금융사별 예금자 보호 한도 조회 정보(533, 534, 53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금융권인 저축은행에에는 모두 예금자보호 한도인 50,000,000원 이내에서 금융상품에 가입되어 있으나, 제1 금융권은 '하나은행'에서는 123,456,789원을 저축예금 계좌에 예치하고 있어서, 50,000,000원을 초과하는 73,456,789원은 예금자보호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으로 분산예치가 필요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금융사에서 예금자보호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이 예치되어 있는 경우에 합산된 금액이 분산예치 필요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복수의 금융사별 가입된 금융상품과, 금융상품 별 예금자보호 한도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복수의 금융사 또는 금융상품에서 예금자 보호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 즉, 분산 예치가 필요한 금액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의 GUI(111) 상에 표시된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 장치(110)는 GUI(111) 상에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10)는 GUI(111) 상에서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금융상품을 추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A 금융사에서의 예금 금액이 예금자 보호 한도액에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어 90% 이상)에 가까운 경우, 예금자 보호 한도액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어, 10% 미만)에 적합한 B 금융사의 금융상품이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A 금융사에 예금 금액이 있는 경우, A 금융사의 지점 정보로서 주소 정보를 통하여 A 금융사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3km 내)에 위치한 B 금융사의 금융상품이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가 A 금융사의 임의의 예금 상품을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상품에 가입 또는 예금한 이력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이 더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예금 상품에 적용된 이율을 확인하고, 이율이 지점 방문(오프라인)을 통해 상품에 가입한 것인지 또는 온라인 상에서 가입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b에서 하나 은행에 대한 조회 결과(533)에 따르면 하나 은행은 잔여 보호 한도가 0원이기 때문에, 하나 은행이 발행하는 금융 상품은 추천 상품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는 SBI 저축은행 종로 지점에 대한 조회 결과(535)에 따르면 사용자가 온라인 상품이 아닌 SBI 회전 복리 정기 예금의 오프라인 금융상품에 가입한 것이 확인되므로, SBI 저축은행 종로 지점의 근방에 있는 다른 저축은행의 금융 상품이 높은 우선 순위로 추천될 수 있다.
도 5c는 조회 결과에 기반하여 금융상품 추천하는 GUI(111)로서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되는 제4 화면(540)을 도시한다. 제4 화면(540)은 예금상품 필터(541), 예금종류 필터(542), 총 예금상품(543), 일반 상품(544), 메뉴탭(54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금상품 필터(541)를 선택하면 예금상품의 필터링 조건을 세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예금상품 필터 화면 표시될 수 있다. 예금상품 필터 화면은 금융기관 종류, 예치기관 지역, 이자계산, 가입대상, 저축 예정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금상품 필터부 및, 총자산, BIS비율, 당기순이익,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 ROC, LCR을 포함하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융사 건전성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를 통하여 추천받은 금융상품 중에서 또는 직접 검색한 금융상품들 중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정보를 시스템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217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단계 215에서 수신한 금융상품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해당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들에 따라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서 설명된 단계 211에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동작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01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또는 시스템 서버(120))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포함된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제1 계층 데이터의 값에 저장된 식별자가 제1 금융권 또는 다른 금융권(예를 들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음 단계 303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는 단계 301에서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계좌의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1 금융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제2 계층 데이터 값에 저장된 지점명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제1 계층 데이터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 단계 305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는 변환된 계좌 정보의 제1 계층 데이터 값과, 금융사 정보에 포함된 예금자보호대상인 금융사 및 지점명을 비교하여 조회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된 단계 211에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동작들의 다른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 401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또는 시스템 서버(120))는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포함된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제1 계층 데이터의 값에 저장된 식별자가 제1 금융권 또는 다른 금융권(예를 들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음 단계 403에서 데이터 변환부(12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의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상기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금융사 정보에 저장되고 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한 결과에 기반하여, 조회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데이터 변환부(123)는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제2 계층 데이터 값에 저장된 지점명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제1 계층 데이터 값으로 변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예금자보호한도액 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개인별 예금자보장대상의 조회결과를 제공하도록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예금자보호 대상으로서 은행명 및 지점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금융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 정보는 금융기관명, 지점명, 금융상품명 및 잔고를 포함하고,
    상기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예금자보호 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도 한도액 대비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포함된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제1 계층 데이터의 값에 저장된 식별자가 제1 금융권 또는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의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제2 계층 데이터 값에 저장된 지점명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제1 계층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의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제2 계층 데이터 값에 저장된 지점명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제1 계층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계층 데이터의 값과 상기 금융사 정보에 저장되고 상기 제1 계층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포함된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제1 계층 데이터의 값에 저장된 식별자가 제1 금융권 또는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지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의 제1 계층 데이터 값이 제2 금융권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상기 계좌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금융사 정보에 저장되고 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복수의 금융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금융상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융상품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금융상품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금융상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융상품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금융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지점방문을 통하여 개설한 계좌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방문한 지점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지점에서 제공하는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개인별 예금자보장대상의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예금자보호 대상으로서 은행명 및 지점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사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금융사별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금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개인금융정보와 상기 금융사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인금융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 정보는 금융기관명, 지점명, 금융상품명 및 잔고를 포함하고,
    상기 예금자보호 한도 조회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계좌에 대한 예금자보호 대상 여부 및 예금자보도 한도액 대비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KR1020210186351A 2021-12-23 2021-12-23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97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51A KR20230097277A (ko) 2021-12-23 2021-12-23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51A KR20230097277A (ko) 2021-12-23 2021-12-23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277A true KR20230097277A (ko) 2023-07-03

Family

ID=8715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351A KR20230097277A (ko) 2021-12-23 2021-12-23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76778C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background
US20160142397A1 (en) System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CN103154983B (zh) 支付系统、购买系统以及执行多个支付流程的方法
US200700278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ecurity for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a trusted third party entity
US20210150624A1 (en) Intelligent population of interface elements for converting transactions
JP2011138523A (ja) オンライン認証を利用した情報の提供方法、そのための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7536619A5 (ko)
JP65597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59165A1 (en) Automated process guidance application and method for credit instrument origination, administration and fractionalization system
US8666829B1 (en) Detecting fraudulent event listings
CN113077331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个人金融信用评价系统及方法
Chukwu et al. Effects of digital banking on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 banks in Nigeria 2010-2019
KR102602782B1 (ko) 공유별칭id 이용하는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방법
US202203508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iling and utiliziing company data to advance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KR20230097277A (ko) 예금자보험대상 개인별 조회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64310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정보 인증, 관리, 운영 시스템 및방법
US20140236793A1 (en) Business And Professional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rospective Clients That Are Unlikely To Pay For Professional Services
KR100914659B1 (ko) 프로젝트금융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00126848A (ko) 비식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적격자에게 맞춤형 대출광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을 운용하거나 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금융 기관 제휴사 단말
KR20200134615A (ko) 중개 플랫폼을 이용하여 대출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금융 기관 제휴사 단말
KR20200134614A (ko)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사용자 단말
KR20240005270A (ko) 예금자보호 한도 내 분산예치 서비스 및 이자계산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0689B1 (ko) 유무선 휴대 인터넷을 이용한 명의 도용 지킴이 방법 및 시스템
JP2005227910A (ja) 取引口座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20220151068A (ko) 자본시장 오픈 api를 활용한 공모주청약 통합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이를 위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