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045A - 온에어크래프트 에지 서버를 통한 콘텐츠 전달 라우팅 - Google Patents

온에어크래프트 에지 서버를 통한 콘텐츠 전달 라우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045A
KR20230097045A KR1020237014966A KR20237014966A KR20230097045A KR 20230097045 A KR20230097045 A KR 20230097045A KR 1020237014966 A KR1020237014966 A KR 1020237014966A KR 20237014966 A KR20237014966 A KR 20237014966A KR 20230097045 A KR20230097045 A KR 2023009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restrial
media content
servers
conten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쥐. 슬레이터
Original Assignee
비아셋,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셋, 인크 filed Critical 비아셋,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9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04L12/40182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by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6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 H04B7/18508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with satellite system used as relay, i.e. aeronautical mobile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26Media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4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 H04N21/2146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located in mass transportation means, e.g. aircraft, train or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들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들 상에 위치된 서버들의 에지 티어 및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면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방법은 아이템이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방법은 요청을 제1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에어크래프트 에지 서버를 통한 콘텐츠 전달 라우팅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성 통신 시스템은 위성 단말들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플라이트 엔터테인먼트 (in-flight entertainment)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에 제공되는 엔터테인먼트는 항공기 상에 위치된 하드 드라이브 상에 저장된 영화들의 세트와 같은, 항공기 상에 위치된 콘텐츠일 수 있다. 항공기에 탑재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는 항공기에 탑재 크기, 중량 및 전력 제약들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들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항공기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만으로 제한하는 것은 승객들에 대한 미디어 경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설명된 특징부들은 일반적으로 요청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on-aircraft edge server)들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서버들로의 요청 라우팅의 포괄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서버들의 티어(tier)들을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 content delivery network)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티어의 서버들(예를 들어,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은 항공기와 같은 온보드 상이한 모바일 운송 수단들에 위치된 서버들일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은 상이한 지역들에서 지상에 위치된 서버들일 수 있다. 서버들의 후속 티어들이 제2 티어의 서버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이한 서버들은 상이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하거나 그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이 티어 연결 토폴로지 전체에 걸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요청들을 핸들링한다.
요청 라우팅 시스템은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위성 단말에 연결된 모바일 플랫폼 내에 위치된 디바이스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요청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고객 또는 승객은 항공기에 탑재 저장될 수 있거나 저장되지 않을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기 위해 항공기에 탑재 위치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소스의 위치를 찾기 위해 요청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요청들을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로 또는 지상 서버로 라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은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할 영화를 요청할 수 있다. CDN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예를 들어, 지상 또는 항공기 탑재)은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이미 항공기에 탑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항공기에 저장되면, 온보드 에지 서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그러나,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항공기에 저장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요청을 미디어 콘텐츠를 갖는 지상 서버에(예를 들어, 직접 또는 다른 지상 서버들을 통해) 라우팅한다. 일부 경우에, 서로 다른 서버가 서로 다른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되어 서로 다른 자료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은 주문형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된 콘텐츠 아이템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핸드오버(handover)들을 수행하고,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tier connection topology)를 유지 및 업데이트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토포그래피(topography)를 사용하기 위한 상이한 방식들을 제공한다. 일단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서버가 발견되면, CDN은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on-aircraft edge server)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서버가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반드시 지리적 위치가 아닌 네트워크 근접도(network proximity)의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가장 가까운 서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에지 서버는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한다. 서버는 항공기가 서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 내에 남아 있는 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일단 항공기가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비행하기 시작하면,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다른 서버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의 특징부들 및 기술적 이점들을 다소 광범위하게 개괄하였다. 추가적인 특징부들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의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들을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가물의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의 특성들, 그것들의 구성 및 동작 방법 둘 모두는 연관된 이점들과 함께,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고, 청구항들의 제한들의 정의로서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성질 및 이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대시(dash)로 참조 라벨을 따르고,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구분하는 제2 라벨을 따름으로써 동일한 유형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참조 라벨만이 사용되는 경우, 제2 참조 라벨에 관계없이 동일한 제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어느 하나에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에서의 위성 경로들의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지상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지상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terrestrial content delivery network hierarchy)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on-aircraft) 에지 서버에 대한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을 이용한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티어 연결 토폴로지(tier connection topology)에서의 네트워크 핸드오프(network handoff)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티어 연결 관리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13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온보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 전송(content delivery) 동안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콘텐츠 전송 라우팅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위성 통신 시스템 내의 위성 단말(예를 들어, 다중 사용자 액세스 단말)은 위성 단말과 통신 위성 사이에 통신 링크를 수립하기 위해 통신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링크는, 일부 경우들에서, 양방향 통신들(예를 들어, 송신 및 수신 등), 또는 단방향 통신들(예를 들어, 수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지상 기반 네트워크와 위성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링크들은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승객들을 위해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 태블릿들, 및 랩탑들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항공기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에 탑재 위치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아이템과 같은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공하며, 이는 위성 통신 시스템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들에 대한 연결성을 갖는다. 위성 통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사이에서 특정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중계한다. 즉,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모바일 플랫폼들이 경로 내에 있는 동안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플랫폼들 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콘텐츠의 전송을 제공한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지상에 위치된 지상 서버들 및 항공기, 선박, 기차, 우주선 등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들에 위치된 에지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지상 서버들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 및 에지 서버들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단말은 하나 이상의 위성 통신 링크들을 통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들의 에지 티어의 모바일 에지 서버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들의 지상 티어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지상 서버들의 하나 이상의 티어들에 저장된 콘텐츠는 위성 통신 링크들을 통해 직접 모바일 에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 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포워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을 위성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위성 단말은 위성 단말과 통신하는 모바일 플랫폼에 탑재된 디바이스들에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공할 수 있다. CDN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를 찾을 수 있다. CDN은 콘텐츠 복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느 서버가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함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단 적합한 소스의 위치가 찾아지면, CDN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연관된 에지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에지 서버는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해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은 연관된 에지 서버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리턴(return)한다.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에지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에지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면, 에지 서버는 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에지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지 않으면, 에지 서버는 서버들의 연결된 티어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또한 CDN이 상이한 서버들 상에 저장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푸시(push)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은 원격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더 가까운 서버 또는 심지어 에지 서버로 푸시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은 주문형(on-demand)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될 수 있다. 위성 단말은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중계기(relay)로서 작용함으로써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은 라이브 스트림으로서 멀티캐스팅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이브 콘텐츠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동시에 스트리밍된다.
이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실시예들의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의 설명은 당업자들에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가능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다.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치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된 양태들 및 엘리먼트들은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시스템들,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소프트웨어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더 큰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절차들은 그것들의 애플리케이션에 우선하거나 달리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1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위성 통신 환경(100)은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통신 위성 시스템인 무선 통신 시스템(105)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위성 통신 시스템(105)은 하나 이상의 통신 위성(102),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10) 및 하나 이상의 위성 단말(112)을 포함한다. 위성 단말들(112)은 모바일 플랫폼(160) 상의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네트워크 액세스 연결성을 제공하는 다중 사용자 액세스 단말들일 수 있다. 위성 통신 환경(100)은 CDN(122)을 포함할 수 있다. CDN(122)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 에지 서버들(170),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및 하나 이상의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 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위성(102)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10) 및 하나 이상의 위성 단말(112)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통신 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위성(102)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정지 궤도(geostationary orbit) 상에 있을 수 있어서, 지상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가 상대적으로 고정되거나, 동작 허용 오차 또는 다른 궤도 윈도우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위성 통신 환경(100)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위성들(102)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궤도(예를 들어, 저지구 궤도(LEO : low Earth orbit), 중간 지구 궤도(MEO : medium Earth orbit)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통신 위성(102)으로부터 및 통신 위성으로 신호(106)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 단말(112)은 위성 통신 시스템(105)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위성(102)과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지향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1차 축(예를 들어, 안테나 보어사이트(boresight))을 따라 피크 이득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피크 이득은 축외 방향들에서 가파르게 롤 오프(roll off)될 수 있다. 안테나 이득에서의 급격한 롤 오프(roll-off)는 안테나의 좁은 시야(field of view)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파라볼릭 접시 반사기(parabolic dish reflector) 또는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를 갖는 안테나와 같은 집속(focusing) 및/또는 반사 엘리먼트들의 고정된 구성에 의해 좁은 시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포지셔너(positioner)(예를 들어, 고도/방위각 포지셔너)에 의해 (예를 들어, 통신 위성(102)을 가리키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빔포밍(beamforming)에 의해 좁은 시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시야는 원하는 방향을 따라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을 목표로 하기 위해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어레이에서 전자적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통신 위성(102)은 위성 단말들(112)을 포함하는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109)을 향해 지향되는 서비스 빔들(108)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1은 서비스 빔들(108)의 집합을 도시하며, 여기서, 각각의 서비스 빔(108)은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109)과 연관될 수 있다.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109)은 임의의 적절한 서비스 영역(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육각형, 로컬, 지역, 국가 등)을 커버하고,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109) 내에 위치된 임의의 수의 위성 단말들(112)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위성(102)은 멀티 빔 위성일 수 있고, 인접한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과 오버랩(overlap)하거나 오버랩하지 않을 수 있는 다수의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109)을 커버하는 다수의 서비스 빔들(108)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위성(102)은 위성 단말(112)에 의해 수신될 서비스 빔(108)을 통해 신호(106)에서 포워드 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위성 단말(112)과 통신 위성(102) 사이의 포워드 링크 신호들에 대한 적절한 통신 링크를 수립하기 위해, 포워드 링크 신호는, 통신 위성(102)의 송신 전력,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의 정렬 및 포지션(position), 및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 주위의 감쇠 환경(예를 들어, 위성 단말(112)과 통신 위성(102) 사이의 감쇠 환경)에 의존할 수 있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강도 또는 신호 대 잡음비(SNR)로 위성 단말(112)에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위성(102)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빔(132)을 통해 신호(104)를 발신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게이트웨이(11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각각의 게이트웨이 빔 커버리지 영역(136)과 연관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빔(132)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위성 단말(112)에 대한 통신 트래픽(예를 들어, 통신 위성(102)에 의해 중계됨), 또는 통신 위성(102)과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10) 사이의 다른 통신을 전달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신호(106)를 통해 리턴 링크 신호를 통신 위성(102)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리턴 링크 신호를 신호(104)를 통해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10)에 중계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과 통신 위성(102) 사이의 리턴 링크 신호들에 대한 적절한 통신 링크를 수립하기 위해, 리턴 링크 신호들은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강도 및/또는 SNR을 갖는 통신 위성(102)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이는 위성 단말(112)의 송신 전력, 위성 단말(112)의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의 정렬 및 포지션 및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 주위의 감쇠 환경(예를 들어, 위성 단말(112)과 통신 위성(102) 사이의 감쇠 환경)에 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는 위성 단말(112)의 송신된 신호가 원하는 성능 특성들을 갖는 신호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타겟의 방향으로 충분한 안테나 이득을 가질 때 타겟(예를 들어, 통신 위성(102))과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위성 단말 안테나들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하드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위성 단말 안테나 어셈블리의 일부일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160)은 위성 단말 안테나 어셈블리 및 위성 단말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위성 단말(112)을 운반하거나 이에 결합될 수 있다. 위성 단말 안테나 어셈블리는 또한 라디오 주파수(RF) 위성 통신 신호들(예를 들어, 신호들(106))과 위성 단말 통신 안테나와 위성 단말 수신기 사이에서 송신되는 위성 단말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변환(예를 들어, 주파수 변환 수행, 변조/복조, 다중화/역다중화(multiplexing/demultiplexing), 필터링, 포워딩 등)하기 위한 회로들 및/또는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들 및/또는 프로세서들은 모바일 플랫폼(160)의 외부(예를 들어, 항공기의 동체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는 안테나 통신 어셈블리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위성 단말 수신기는 다양한 RF 신호 동작들(예를 들어, 수신, 주파수 변환 수행, 변조/복조,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들 및/또는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모바일 플랫폼(160)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위성 통신 환경(100)을 통해 디바이스들 각각에 특정한 스트리밍된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들(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콘텐츠 아이템들 등) 또는 다른 통신 서비스들(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미디어 등)과 같은 복수의 콘텐츠 오퍼링(offering)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160) 내의 디바이스(들)는 모바일 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PDA들),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넷북들, 노트북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랩톱들, 또는 연결성 또는 콘텐츠 소비(예를 들어, TV들, 컴퓨터 모니터들, 등)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예에서, 위성 단말(112)은 통신 위성(102) 및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디바이스와 지상 CDN 계층 구조(120) 간의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위성 통신 환경(100)(통신 위성(102), 게이트웨이(110), 및 위성 단말(112) 등을 포함)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Ku, K, 또는 Ka-대역들, C-대역, X-대역, S-대역, L-대역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은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160)은 위성 단말(112)을 지원할 수 있고 위치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장치 또는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플랫폼(160)은 항공기, 선박,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기차), 우주선 등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 캐리어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모바일 플랫폼(160)은 항공기이지만, 다른 예들에서 보트들, 선박들, 기차들, 또는 버스들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모바일 플랫폼들은 위성 단말들(112) 및/또는 에지 서버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3 개의 모바일 플랫폼들(160), 제1 에지 서버(170-1)를 갖는 제1 모바일 플랫폼(160-1), 제2 에지 서버(170-2)를 갖는 제2 모바일 플랫폼(160-2), 및 제 n 에지 서버(170-n)를 갖는 제 n 모바일 플랫폼(160-n)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10)는 게이트웨이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위성(102)으로 그리고 통신 위성으로부터 신호(104)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안테나 시스템들은 위성 통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위성(102)과 신뢰성 있게 통신하기 위해 적절한 송신 전력 및 수신 감도로 설계되고 양방향 가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또한 지상 콘텐츠 분배 네트워크 계층 구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위성 통신 환경(100) 내의 위성 단말들(112)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들(110)을 통해 지상 CDN 계층 구조(1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AN), 광역 네트워크(WAN),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공중 또는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연결된 지상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지상 부분을 나타낼 수 있고, 서버들의 하나 이상의 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들의 각각의 티어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서버들의 티어는 지리적 영역 전체에 걸쳐 위치되는 복수의 서버들을 포함한다. 서버들은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하거나 그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 중 일부는 단지 하나의 서버 상에 또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수의 서버들 상에 또는 다수의 서버들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서버들의 티어 내의 서버들 각각은 동일한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반면, 다른 예들에서, 서버들의 티어 내의 서버는 서버들의 티어 내의 다른 서버들에 대해 적어도 일부 고유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는 하나 이상의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130)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서버 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티어의 서버는 서비스 영역 전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제1 수량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은 제1 수량의 서버들 보다 적은 제2 수량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이 또한 지리적으로 분산될 수 있지만, 제2 티어의 서버들은 일반적으로 서버들 사이 또는 네트워크의 (예를 들어, 사용자들 또는 게이트웨이들(110)이 위치될 수 있는) 주변 연결들과 제2 티어의 서버들의 임의의 주어진 서버 사이의 더 큰 지리적 또는 네트워킹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서버들은 일반적으로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서버들보다 더 많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더 큰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리진 서버(130)는 서버들의 마지막 티어로서 지상 CDN 계층 구조(120)의 일부일 수 있다. 즉, 오리진 서버(130) 뒤에 연결된 서버들의 다른 티어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CDN 계층 구조(120)는 제1 티어의 서버들, 제1 티어의 서버들에 연결된 제2 티어의 서버들, 제2 티어의 서버들에 연결된 제3 티어의 서버들 등을, 제 n 티어의 서버들이 하나 이상의 오리진 서버들(130)에 연결될 때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오리진 서버(130)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복제되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궁극적으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오리진 서버(130)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은 서버들의 다른 티어들의 다른 서버들 상에 복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리진 서버(130)는 임의의 다른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오리진 서버(130)는 요청될 때 해당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오리진 서버(130)는 콘텐츠 제공자와 연관될 수 있고, CDN 계층 구조(120)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CDN(122)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들에 대한 CDN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콘텐츠 제공자는 상이한 오리진 서버(130)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지상 CDN 계층 구조(120)의 제1 티어의 서버들의) 지상 서버가 게이트웨이(110)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서버들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지상 서버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들(110)와 같은 장소에 위치(co-located)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게이트웨이(110)를 서빙하는 지상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들 사이의 인터넷 교환 포인트(IXP : Internet exchange point)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상 서버는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게이트웨이(110) 및/또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는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 및 도메인 이름 시스템(domain name system)(15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은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및 에지 서버들(170)을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의 동작들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 이름 시스템(150)은 (예를 들어, CDN(122) 외부에 있는 경우) CDN(122) 및 하나 이상의 오리진 서버들(130) 내의 각각의 서버에 대한 도메인 이름들 및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메인 이름 시스템(150)은 위성 통신 환경(100)이 (예를 들어, 모바일 플랫폼(160)에 탑재된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때 질의(query)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 및 도메인 이름 시스템(150)의 부분들은 지상 서버들, 오리진 서버(130), 또는 에지 서버들(170)을 포함하는 CDN(122)의 다양한 서버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CDN(122)은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및 복수의 모바일 에지 서버들(170)을 포함한다. 이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모바일 플랫폼에 저장되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크기, 중량 및 전력(SWaP) 요건들로 인해, CDN(122)은 "하이브리드" CDN 토폴로지를 가질 수 있다. 즉, SWaP 요건들로 인해, 에지 서버들(170)은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내의 서버들 중 적어도 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CDN 계층 구조(120)의 서버는 사실상 고용량 데이터 센터일 수 있다. 이 토폴로지는 모바일 플랫폼들(160) 상의 디바이스들이 모바일 플랫폼(160)에 탑재하여 달리 이용가능할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예들에서, 에지 서버들(170)의 수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내의 서버들의 수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에지 서버들(170)은 지상 CDN 계층 구조(120) 내의 동일한 서버와 연관될 수 있다. 연관은 지상 서버 및 하나 이상의 에지 서버들이 네트워크 티어 연결 토폴로지에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위성 통신 환경(1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요청들에 응답하여 모바일 플랫폼(16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모바일 플랫폼(160)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공될 수 있다. 위성 통신 환경(100)은 온보드 디바이스들과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호스팅하는 지상 기반 CDN들 사이의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비용을 감소시키고, 스트리밍 기능을 개선하고, 온보드 모바일 플랫폼들에 대한 크기, 중량 및 전력 요건들을 감소시키고, 더 개인화되고 관련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승객들에게 제공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통신 환경(2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통신 환경(200)은 모바일 플랫폼(160-a)(예를 들어, 항공기)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위성(102-a), 게이트웨이들(110-a) 및 위성 단말(112-a)을 포함하는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5-a)을 포함한다. 통신 환경(200)은 또한 모바일 플랫폼(160-a)에 탑재된 지상 CDN 계층 구조(120-a), 오리진 서버(130-a), 및 에지 서버(170-a)를 포함할 수 있는 CDN(122-a)을 포함한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a)는 게이트웨이들(110-a)과 통신할 수 있다. 동작시, 무선 통신 시스템(105-a)은 에지 서버(170-a)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160-a) 상의 디바이스들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a) 및 다른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인터넷)을 포함하는 지상 네트워크들 사이의 양방향 통신들을 제공한다. 위성(102-a), 게이트웨이들(110-a), 위성 단말(112-a), 오리진 서버(130-a), 및 지상 CDN 계층 구조(120-a)는 각각 도 1의 위성(102), 게이트웨이들(110), 위성 단말(112), 오리진 서버(130), 및 지상 CDN 계층 구조(120)의 예이거나 또는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a)의 하나 이상의 위성(102-a)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통신 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지구 동기(geosynchronous) 또는 정지 지구 궤도 (GEO)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위성 통신 시스템(105-a)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궤도 (예를 들어, 중간 지구 궤도 (MEO), 저 지구 궤도 (LEO)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a)의 위성들(102-a)의 일부 또는 전부는 미리 정의된 지리적 서비스 영역에서 다수의 서비스 빔 커버리지 영역들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 빔 위성들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들(110-a)은 위성 통신 시스템(105-a)과 신뢰성 있게 통신하기 위해 적절한 송신 전력 및 수신 감도로 설계되고 양방향 가능할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a)은 하나 이상의 빔들을 통해 신호들(104-a)을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게이트웨이들(110-a)과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a)는 게이트웨이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성 통신 시스템(105-a)과 신호(104-a)를 발신하고 수신한다. 게이트웨이들(110-a)은 지상 CDN 계층 구조(120-a)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a)는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a)은 복제 관리자(240), 서버 인덱스(242), CDN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244), 및 티어 연결 토폴로지(tier connection topology)(24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제 관리자(240)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a) 및 에지 서버(170-a)와 같은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 내의 콘텐츠의 복제를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은 단일 서버에만 저장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서버들에 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새로운 또는 더 인기 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은 지상 서버들 또는 항공기 상의(on-aircraft) 에지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여러 서버들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무명이거나(obscure), 오래되거나, 덜 인기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은 더 적은 서버들에 저장될 수 있다. 복제 관리자(240)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추적하고, 특정 서버들 상에 특정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복제하는 것을 제어하고, 복제 또는 삭제를 위한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복제 관리자(240)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이 저장되는 곳을 결정하기 위해 서버 인덱스(server index)(242)를 사용할 수 있다. 서버 인덱스(242)는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a)와 같은 에지 서버들 및 지상 CDN 계층 구조(120-a) 내의 다양한 서버들 각각에 저장된 콘텐츠의 인덱스일 수 있다.
CDN DNS(24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에 의해 행해진 콘텐츠에 대한 요청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는, 요청된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도메인 이름 시스템 질의들을 수신할 수 있다. CDN DNS(244)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DNS 쿼리를 해결(resolve)할 수 있다. CDN DNS(244)는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가 요청된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DNS 요청을 적절한 CDN 서버에 매핑할 수 있다. 적절한 CDN 서버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일부일 수 있거나 에지 서버일 수 있다. 적절한 CDN 서버에 DNS 요청을 매핑하는 것은 DNS 질의를 CDN DNS(244)로 리다이렉션(redirect)하는 비-CDN DNS 서버(이하에서 "DNS 리졸버(resolver)"로 지칭됨)에 대한 초기 DNS 요청에 선행될 수 있다. CDN DNS(244)는 서버 인덱스(242) 및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사용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현재 저장하고 있는 가장 가까운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CDN DNS(244)는 DNS 질의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위성 액세스 노드 (또는 코어 노드와 같은 위성 통신 시스템(105-a)에서의 다른 엔티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로부터 DNS 질의를 수신하는 DNS 리졸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각각의 항공기(160-a)는 DNS 리졸버를 포함할 수 있다. DNS 리졸버는 DNS 질의에 정보를 추가하고 수정된 DNS 질의를 CDN DNS(24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된 정보는 요청이 발생한 항공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CDN DNS(244)는 어느 항공기가 어느 에지 서버들을 함유하는지를 표시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요청이 발생한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를 결정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룩업(lookup)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첨부된 정보는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를 식별할 수 있다. 항공기에서 에지 서버를 결정할 때, CDN DNS는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사용할 수 있고, 적절한 CDN 서버의 어드레스를 (예를 들어, 도 6-8에 도시된 기술들 중 일부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에 리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 6에 예시된 예와 같이, CDN DNS(244)는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가 그런 다음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서버의 어드레스를 리턴할 수 있다. CDN DNS(244)가 요청된 콘텐츠를 현재 저장하는 요청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가장 가까운 (반드시 물리적 근접도가 아니라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의 어드레스를 리턴하는 예들에서, CDN DNS(244)는 특정 서버들이 콘텐츠를 현재 저장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 인덱스(24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예와 같은 대안적인 예들에서, CDN DNS(244)는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a)의 어드레스를 리턴할 수 있고, 그런 다음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a)는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사용하여 또는 로컬에 저장된 복사본(copy)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담당한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는 에지 서버들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서버들 사이의 연관들 또는 관계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는 상이한 서버들이 다양한 네트워크들 내에서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를 알 수 있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는 또한 어느 서버들이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어느 티어들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CDN DNS(244)는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사용하여 적절한 CDN 서버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에 리턴할 수 있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는 또한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주어진 CDN 서버에 의해 사용되어, 그 주어진 CDN 서버가 현재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에 어느 "업스트림(upstream)" 서버(들)가 콘텐츠를 요청할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와 티어 2 서버(또는 서버들) 사이의 티어 연결 토폴로지는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가 현재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요청된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는 곳이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에 서버들의 다수의 티어들이 존재하는 예들에서,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는 이들 다양한 티어들의 서버들 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a)은 티어 연결 토폴로지 정보를 CDN(예를 들어, CDN(122))의 다양한 서버들에 배포할 수 있고, 티어들의 연결 토폴로지의 변화들로 인해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들을 발신할 수 있다. 특히, 항공기(160-a)의 이동 성질로 인해, 항공기(106-a)를 서비스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는 항공기(106-a)가 상이한 사용자 빔들로 이동할 때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항공기(160-a) 상의 에지 서버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서버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a)은 콘텐츠의 전송을 개선하기 위해 에지 서버(170-a)에 대한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네트워크 근접도에 추가하여,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a)은 또한 티어 연결 토폴로지(246)를 관리할 때 다른 인자들(예를 들어,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네트워크 속도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항공기 통신 장비(206)는 위성 단말(112-a)(다중 사용자 액세스 단말의 양태들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음), 에지 서버(170-a),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 무선 액세스 포인트(216),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220 및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a)은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 안테나, 트랜시버(210) 및 모뎀(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160-a)는 안테나 어레이일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위성 단말(112-a)을 포함하는 항공기 통신 장비(206)를 포함한다. 항공기(160-a)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108-a)을 통해 위성 통신 시스템(105-a)과 통신하기 위해 위성 단말(112-a)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위성 단말(112-a)의 부분들(예를 들어, 안테나, 트랜시버(210))은 항공기(160-a)의 외부 상의 다른 위치 또는 동체 외부에 장착될 수 있고, 레이돔(radome)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다른 유형들의 하우징들이 위성 단말(112-a)의 부분들을 하우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성 단말(112-a)의 다른 부분들은 항공기의 내부(예를 들어, 모뎀(212))에 있을 수 있다. 위성 단말(112-a)은 ITU Ku, K, 또는 Ka-대역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위성 단말(112-a)은 C-대역, X-대역, S-대역, L-대역 등과 같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신호들(104-a 및 108-a)을 통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위성 통신 시스템(105-a)으로 발신된 데이터는 위성에 맞춤화될 수 있거나 또는 산업에서의 다른 것들과 유사할 수 있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사용하여 포맷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CS는 변조 기술(예를 들어,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과 각각 연관되는 다수의 코드 포인트들 및 이중화 정보(redunda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코딩된 비트들의 총 수에 대한 코딩된 정보 비트들의 비율에 기초하는 코딩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a)는 항공기(160-a)에 탑재 위치될 수 있고, 프로세서(2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 및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에지 서버(170-a)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234)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34)는 에지 서버(170-a)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콘텐츠의 로컬 사본들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인덱스(236)를 저장할 수 있다. 인덱스(236)는 메모리(234)에 저장된 콘텐츠의 인덱스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인덱스(236)는 다른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의 인덱스일 수 있고 콘텐츠의 저장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236)는 요청된 콘텐츠가 로컬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및 그것이 검색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항공기(160-a)의 온보드(on-board) 통신 시스템은 모뎀(212)을 통해 항공기(160-a)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및 222)에 대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및 222)은 모뎀(212)을 통해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에 연결하고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및 222)는 항공기(160-a) 내의 모바일 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및 222)은 DNS, IP 어드레스 관리(예를 들어,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NA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을 통해 모뎀(212)과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들을 통해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2)은 항공기(160-a) 내에서 무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AP)(216)를 통해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에 연결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예를 들어, IEEE 802.11 (Wi-Fi)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기술,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에 따를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2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a 및 220-b)(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로 집합적으로 지칭됨)뿐만 아니라 2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2-a 및 222-b)(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2)로 집합적으로 지칭됨)이 도시된다. 다른 예들에서, 다른 수들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및 222)이 포함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는 무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용어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또한 유닛, 스테이션(station),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로 지칭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는 또한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2)는 좌석 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모니터와 같은 항공기(160-a) 내에 설치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또는 222)는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a)와 연관된 사용자는 WAP(216),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 및 위성 단말(112-a)에 의해 제공된 연결성을 사용하여 CDN(122-a)과 연관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진 서버(130-a) 또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a) 내의 다른 서버에 연결함). 수락할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발신하도록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a)에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 및 요청된 피처들, 콘텐츠의 지속기간, 관련 콘텐츠, 추천된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CDN(122-a)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a)에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에지 서버(170-a)에 로컬로 저장되면, 에지 서버(170-a)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 및 WAP(216)를 통해) 콘텐츠를 서빙할 수 있다. 콘텐츠가 로컬로 저장되지 않으면, 지상 CDN 계층 구조(120-a)의 서버는 (예를 들어, 위성 단말(112-a),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 및 WAP(216)를 통해 서빙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 통신 환경(2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요청들을 모바일 플랫폼(160)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CDN(122-a)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연관된 에지 서버(170-a)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은 모바일 플랫폼(160)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리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다른 서버들보다 지리적으로 더 멀리(예를 들어, 위성(102-a) 및 게이트웨이들(110-a)을 통한 연결을 고려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더 가까이) 있을 수 있는 서버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비용을 감소시키고, 스트리밍 기능을 개선하고, 모바일 플랫폼들에 대한 크기, 중량 및 전력 제한들을 감소시키고, 더 개인화되고 관련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승객들에게 제공하고, 더 넓은 범위의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승객들에게 제공하거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통신 환경 (300)에서의 위성 경로들 (310)의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통신 환경(300)은 위성 통신 시스템(105-b)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b)은 적어도 하나의 위성(102-b) 및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 (본 명세서에서 게이트웨이들(110-b)로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통신 환경(300)은 또한 지상 CDN 계층 구조(120-b), 오리진 서버(130-b), 및 항공기일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 탑재 위치된 에지 서버(170-b)를 포함하는 CDN(122-a)을 포함한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b), 위성(102-b), 게이트웨이들(110-b), CDN(122-b)은 예시일 수 있거나 또는 도 1 및 2의 위성 통신 시스템들(105), 위성들(102), 게이트웨이들(110), 및 CDN들(122)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b)은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과 에지 서버들(170-b) 사이의 통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은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은 각각 위성 통신 시스템(105-b) 내의 단말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들(112))과 통신하기 위해 위성 경로들 (310)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위성 액세스 노드(110-b)는 위성 경로들 (3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빔 그룹들 (320) 내의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들(110-b)과 사용자 빔 그룹들(320) 사이의 대응은 고정되거나 동적일 수 있다.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과 사용자 빔 그룹들 (320) 사이의 대응이 동적인 예들에서, 특정 위성 액세스 노드(110-b)에 대한 사용자 빔 그룹들 (320)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예에서,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b)과 사용자 빔 그룹들 (320) 사이의 대응은 고정되며, 이는 특정 위성 액세스 노드(110-b)와 연관된 사용자 빔 그룹들 (320)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빔 그룹(320) 내의 사용자 빔들은 고정되는 반면, 다른 예들에서 사용자 빔들은 동적일 수 있다(예를 들어, 활성 또는 비활성).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및 에지 서버(170-b)는 항공기가 그 내에 있는 사용자 빔 그룹(user beam group)(320)에 따라 특정 위성 액세스 노드(110-b)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가 사용자 빔 그룹들(320) 사이로 이동할 때, 항공기는 어느 위성 액세스 노드(110-b)가 연결성을 제공하는지를 변경할 수 있다.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170-b) 및 사용자 빔 그룹들 (320) 사이의 대응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도시된 사용자 빔들/에지 서버 링크들 (330)에 의해 표현된다.
에지 서버들(170-b)은 항공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이 주어진 에지 서버(170-b) 상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아이템들은 오리진 서버(130-b)로부터 또는 지상 CDN 계층 구조(120-b) 중의 다른 서버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어느 위성 액세스 노드(110-b)가 요청 항공기의 에지 서버(170-b)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는지는 콘텐츠 아이템의 요청 또는 전송 시의 항공기의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항공기가 상이한 사용자 빔 그룹들 (320)에 의해 커버되는 상이한 위치들로 이동함에 따라 통신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110-b)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에지 서버(170-b)와 지상 CDN 계층 구조의 서버들 사이의 근접도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4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400)은 오리진 서버(130-c), 지상 CDN 계층 구조(120-c),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 위성 경로들 및 사용자 빔 그룹들(410), 및 에지 서버들(402)의 티어(예를 들어, 에지 서버(170-c-1, 170-c-2, 및 170-c-n)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오리진 서버(130-c), 지상 CDN 계층 구조(120-c),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 위성 경로들 및 사용자 빔 그룹들(410), 및 에지 서버들의 티어(402)는 각각 도 1-3의 지상 CDN 계층 구조(120), 게이트웨이들(110), 위성 경로들(310), 사용자 빔 그룹들(320), 사용자 빔/에지 서버 링크들(330), 및 에지 서버들(170)의 예들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CDN 계층 구조(400) 내의 서버들은 상이한 티어(tier)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보드 항공기일 수 있는 에지 서버들(402)의 티어는 CDN 계층 구조(400)의 제1 티어로 조직화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c)은 또한 제2 티어의 서버들(404) 및 제N 티어의 서버들(406)과 같은 하나 이상의 티어들로 분할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과 제N 티어의 서버들(406 사이에 임의의 수의 티어의 서버들이 있을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 및 제N 티어의 서버들(406)은 각각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들의 티어는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이 요청될 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400)은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계층들의 서버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400)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이 항공기의 에지 서버에 저장되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항공기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검색하고, 이는 제1 티어의 서버들(402)의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일 것이다. 콘텐츠 아이템이 온보드에 저장되지 않으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계층 구조에 따라 서버들의 티어들 아래 방향에서 콘텐츠 아이템을 찾도록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콘텐츠 아이템에 대해 주어진 에지 서버와 연관된 제2 티어의 서버들(404) 내의 서버에 질의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 중 서버가 콘텐츠 아이템을 함유하면, 제2 티어의 서버들(404) 중 서버는 (예를 들어,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 중 서버가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도 4의 예에서 제N 티어의 서버들(406)인 서버들의 다음 티어 내의 연관된 서버를 질의한다. 제N 티어의 서버들(406)의 연관된 서버가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경우, 제N 티어의 서버들(406) 내의 연관된 서버가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b)은 서버들의 후속 티어들에서 연관된 서버들에 질의하도록 진행한다.
제1 티어의 서버들(402)의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 사이 및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c)의 서버들 사이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제1 티어의 서버들(402)의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 사이의 연관성들은 항공기가 그의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항공기가 이동할 때 제1 티어의 서버들(402)의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 사이의 빈번하게 변하는 연관성과는 대조적으로,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c)의 서버들 사이의 연관성은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c)의 서버들 사이의 연관성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그러나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재구성 또는 유지보수로 인해) 비교적 드물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c)과 지상 CDN 계층 구조(120-c)의 서버들 사이의 연관성은 제1 티어의 서버들(402)의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 사이의 연관성보다 덜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위성 통신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5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500)은 오리진 서버(130-d), 지상 CDN 계층 구조(120-d),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d), 위성 경로들 및 사용자 빔 그룹들(410-a), 및 제1 티어(402-a)의 에지 서버들(170-d)을 포함한다. 오리진 서버(130-d), 지상 CDN 계층 구조(120-d),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d),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a), 및 에지 서버들(170-d)은 각각 도 1-4의 지상 CDN 계층 구조(120), 위성 액세스 노드들 또는 게이트웨이들(110), 위성 경로들(310), 사용자 빔 그룹들(320), 사용자 빔/에지 서버 링크들(330), 제1 티어(402)의 에지 서버들(170),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의 예들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CDN 계층 구조(500) 내의 서버들은 도 4에서와 같이 상이한 티어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보드 항공기일 수 있는 에지 서버들(170-d)의 티어는 CDN 계층 구조(500)에서의 제1 티어의 서버들(402-a)일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d)은 또한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및 제3 티어의 서버들(406-a)과 같은 하나 이상의 티어들에 의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지상 CDN 계층 구조(120-d)는 도 5에 도시된 2개 보다 많은 추가 티어들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d)는 또한 오리진 서버(130-d)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c)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500)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티어의 서버들 내의 각각의 서버는 더 높은(예를 들어, N+1) 티어의 서버들에서의 하나의 서버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내의 각각의 서버는 제3 티어의 서버들(406-b)의 하나의 서버와 연관될 수 있는 식이다. 제N 티어의 서버들 내의 각각의 서버는 더 낮은(예를 들어, N-1) 티어의 서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서버들과 연관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주어진 서버는 서버들의 인접하지 않은 티어에서의 서버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내의 서버는 제4 티어의 서버들 내의 서버와 연관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티어의 서버들 내의 서버에 근접한 제3 티어의 서버들 내에 서버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티어의 서버들(402-a)의 각각의 에지 서버(170-d)는 제2 티어의 서버들(404-a)의 하나의 서버(522)와 연관될 수 있다. 에지 서버들(170-d)의 제2 티어 서버들(404-a)의 서버들(522)과의 연관성은 에지 서버(170-d)가 위치되는 항공기에 사용자 빔 제공 서비스를 서빙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110-d) 사이의 네트워크 근접도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a)을 통해) 위성 액세스 노드(110-d-1)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빔들 내에 있는 항공기에 탑재된 에지 서버들(170-d)은 제2 티어의 서버들(404-a)의 서버(522-a)와 연관될 수 있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a)의 서버들(522)은 다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d)에 의해 서빙되는 빔 그룹들에서 에지 서버들(170-d)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a)을 통해) 위성 액세스 노드(110-d-2)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빔들 내에 있는 항공기에 답재된 에지 서버들(170-d)은 또한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중 서버(522-a)와 연관될 수 있다. 도 5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위성 경로들/사용자 빔 그룹들(410-a)을 통해),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d-3 및 110-d-n)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빔들 내에 있는 항공기에 탑재된 에지 서버들(170-d)은 각각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중 서버들(522-b 및 522-n)과 연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티어의 서버들(406-a) 중 서버들은 각각 더 높은 티어의 서버들 내의 하나의 서버 및 더 낮은 티어의 서버들 내의 하나 이상의 서버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티어의 서버들(404-a) 중 서버들(522-a 및 522-b)은 제3 티어의 서버들(406-a) 중 서버(532-a)와 연관되는 반면, 서버(522-c)는 제3 티어의 서버들(406-a) 중 서버(532-b)와 연관된다. 지상 CDN 계층 구조(120-d)의 최상위 계층의 서버들 각각은 오리진 서버(130-d)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상 CDN 계층 구조(120-d)의 각각의 브랜치(branch)는 오리진 서버(130-d)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CDN 계층 구조(120-d)은 계층 구조 내 서버들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들의 주어진 티어의 서버들은 서로 직접 통신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CDN 계층 구조(120-d)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토폴로지는 서버들의 주어진 티어의 서버들 사이의 연결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CDN DNS(244-a)는 콘텐츠 아이템을 함유하는 어느 서버가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지를 결정할 때 이들 연관성을 사용할 수 있다. 연관성은 콘텐츠 아이템들을 검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b)에 대한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60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오리진 서버(130-e), CDN DNS(244-b), 제2 티어 서버(522-db), 에지 서버(170-e), 항공기(160-b)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를 포함한다. 오리진 서버(130-e), CDN DNS(244-a), 제2 티어 서버(522-d), 에지 서버(170-e), 항공기(160-b),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각각 도 1-5의 오리진 서버(130), CDN DNS(244), 제2 티어 서버(522), 에지 서버들(170), 항공기(16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의 예들이거나 또는 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스 흐름(600)은 도 1-5에서 설명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 또는 위성 통신 환경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처리될 때, 시간에 따라 행(row)에서 상이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취해진 액션들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서버들에 의해 어떻게 생성, 라우팅, 처리 및 이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를 제공한다. 특히, 프로세스 흐름(600)은 콘텐츠 아이템,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어떻게 라우팅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CDN DNS(244-a)는 에지 서버들의 티어 및 서버들의 제2 티어의 서버 인덱스를 사용하여 에지 서버(170-e), 대응하는 티어 2 서버(예를 들어, 제2 티어 서버(522-d)), 또는 오리진 서버(130-e)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리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서버들의 2개의 티어들(에지 서버들의 티어 및 서버들의 제2 티어)만이 도시된다. 다른 예들에서, 서버들의 2개 초과의 티어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항공기(160-b)는 에지 서버(170-e)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160-b)는 하나 초과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들은 도 1에 설명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영화, 게임, 쇼, 라이브 스트리밍된 이벤트 등일 수 있는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을 개시한다. 602에서, 아이템 A에 대한 도메인 이름 시스템 요청이 생성된다. DNS 요청은 CDN DNS(244-a)로 포워딩된다. 예를 들어, CDN DNS(244-a)는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콘텐츠 제공자와 연관될 수 있고,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예를 들어, HTTP 요청)이 콘텐츠 제공자 어드레스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604에서, CDN DNS(244-a)는 항공기(160-b) 상에 위치된 에지 서버(170-b)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은 항공기(160-b), 및 복수의 에지 서버들 중 어느 에지 서버가 항공기(160-b)에 탑재 위치되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를 식별하는 것은 (요청에 대한 NAT를 캡슐화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과 연관될 수 있는) 요청의 발신 어드레스를 룩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서버를 식별하는 것은 항공기(160-b)에 질의를 발신하는 것, 항공기들 및 에지 서버들을 인덱싱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컨설팅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은 에지 서버(170-b)의 고유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606에서, CDN DNS(244-a)는 아이템 A가 에지 서버(170-b)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CDN DNS(244-a)는 608에서 에지 서버(170-b)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리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a)는 에지 서버(170-b)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리다이렉션을 발신할 수 있다. 620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에지 서버(170-b)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b)는 622에서 요청을 수신하고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 CDN DNS(244-a)는 에지 서버(170-b)에 직접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에지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오리진 서버(130-e)의 어드레스로부터 오는 것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아이템 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a)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직접 응답하기 위한 암호화 또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보안 소켓 계층 (SSL) 인증서)를 에지 서버(170-b)에 제공할 수 있다. 62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에지 서버(170-b)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할 수 있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아이템 A에 대해 에지 서버(170-b)에 직접 질의할 수 있다.
606으로 돌아가서, 아이템 A가 에지 서버(170-e)에 저장되지 않는다고 CDN DNS(244-a)가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600)은 630으로 진행한다. 630에서, CDN DNS(244-a)는 에지 서버(170-e)와 연관된 제2 티어 서버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2 티어 서버(522-d)는 에지 서버(170-e)와 연관된다. 632에서, CDN DNS(244-a)는 아이템 A가 제2 티어 서버(522-d)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프로세스 흐름(600)은 634로 진행하고, CDN DNS(244-a)는 제2 티어 서버(522-d)의 어드레스를 (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redirect message)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리턴한다. 640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제2 티어 서버(522-d)의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642에서 제2 티어 서버(522-d)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한다. 대안으로, CDN DNS(244-a)는 메시지를 제2 티어 서버(522-d)에 직접 발신할 수 있고, 이는 그런 다음 콘텐츠 제공자 또는 오리진 서버(130-e)의 어드레스로부터 오는 것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아이템 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a)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직접 응답하기 위한 암호화 또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SSL 인증서)를 제2 티어 서버(522-d)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티어 서버(522-d)는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제공할 수 있다. 64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제2 티어 서버(522-d)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할 수 있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632로 돌아가서, 아이템 A가 제2 티어 서버(522-d)에 저장되지 않는다고 CDN DNS(244-a)가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600)은 650으로 진행한다. 650에서, CDN DNS(244-a)는 오리진 서버(130-e)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제공한다(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에). 65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654에서 오리진 서버(130-e)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대안으로, CDN DNS(244-a)는 메시지를 오리진 서버(130-e)에 직접 발신할 수 있고, 이는 그런 다음, 콘텐츠 제공자의 어드레스로부터 온 것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아이템 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a)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직접 응답하기 위한 암호화 또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SSL 인증서)를 오리진 서버(130-e)에 제공할 수 있다. 오리진 서버(130-e)는 656에서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제공할 수 있다. 656에서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의 예는 서버들의 에지 티어(edge tier)와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 사이의 서버들의 단일 티어만을 도시한다. 그러나, 서버들의 추가적인 티어들을 갖는 예들에서, CDN DNS(244-a)가 오리진 서버(130-e)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리턴하기 전에, CDN DNS(244-a)는 아이템 A에 대한 서버들의 추가적인 티어들을 질의할 수 있다. 서버들의 추가적인 티어의 서버가 아이템 A를 저장한다고 결정하면, CDN DNS(244-a)는 해당 서버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발신하거나, 또는 아이템 A를 갖는 요청에 응답하도록 해당 서버에 명령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 외에 항공기에 탑재된 다른 디바이스는 아이템 A를 저장하는 서버의 어드레스의 수신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단말, 트랜시버, 모뎀,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 에지 서버,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는 어드레스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c)에 대한 프록시 서버로서 작용함).
프로세스 흐름(600)의 예는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들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들 상에 위치된 서버들의 에지 티어 및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요청과 연관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6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프로세스 흐름(6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프로세스 흐름(6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서버들의 제1 티어의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지상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위성 액세스 노드)와 결합되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된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프로세스 흐름(6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제1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on-aircraft) 에지 서버들과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70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700)은 오리진 서버(130-f), CDN DNS(244-b), 제2 티어 서버(522-e), 에지 서버(170-f), 항공기(160-c)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를 포함한다. 오리진 서버(130-f), CDN DNS(244-b), 제2 티어 서버(522-c), 에지 서버(170-f), 항공기(160-c),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각각 도 1-6의 오리진 서버(130), CDN DNS(244), 제2 티어 서버(522), 에지 서버들(170), 항공기(16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의 예들이거나 또는 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스 흐름(700)은 도 1-5에서 설명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hierarchy) 또는 위성 통신 환경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예는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서버들에 의해 어떻게 생성, 라우팅, 처리 및 이행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특히, 프로세스 흐름(700)은 콘텐츠 아이템,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어떻게 라우팅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700)에서, CDN DNS(244-b)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때, 에지 서버(170-f)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항상 리턴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f)는 그런 다음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전송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 7의 예에서, 서버들의 2개의 티어들(에지 서버들의 티어 및 서버들의 제2 티어)만이 도시된다. 대안으로, 서버의 2개 초과의 티어들이 있을 수 있다.
항공기(160-c)는 에지 서버(170-f)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160-c)는 도 1에 설명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일 수 있는 하나 초과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영화, 게임, 쇼, 라이브 스트리밍된 이벤트 등일 수 있는 적어도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702에서, 아이템 A에 대한 도메인 이름 시스템 요청이 생성된다. DNS 요청은 CDN DNS(244-b)로 포워딩된다.
704에서, CDN DNS(244-b)는 에지 서버(170-f)가 항공기(160-c) 상에 위치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은 복수의 에지 서버들 중 어느 에지 서버가 항공기(160-c)에 탑재되어 위치되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항공기(160-c)에 질의를 발신하는 것, 항공기들 및 에지 서버들을 인덱싱(index)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컨설팅하는 것, 아이템 A에 대한 DNS 요청에서 에지 서버(170-f)에 대한 식별자를 검출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은 에지 서버(170-f)의 고유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706에서, CDN DNS(244-b)는 에지 서버(170-f)의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리턴할 수 있다. 708에서, 에지 서버(170-f)에 대한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에지 서버(170-f)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f)는 요청을 수신하고 710에서 그것이 아이템 A를 저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f)가 아이템 A를 저장하면, 에지 서버(170-f)는 712에서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서빙한다. 71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에지 서버(170-f)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한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항공기(160-c) 외부에 있는 CDN DNS를 통과하는 대신에 아이템 A에 대해 에지 서버(170-f)에 직접 질의할 수 있다. 직접 질의는 항공기(160-c)에 탑재된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214)은 질의의 어드레스를 에지 서버(170-f)로 리졸빙할 수 있는 DNS 리졸버(resolver)를 포함할 수 있다).
710으로 돌아가서, 에지 서버(170-f)가 아이템 A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700)은 720으로 진행한다. (720)에서, 에지 서버(170-f)는 에지 서버(170-f)와 연관된 제2 계층 서버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2 티어 서버(522-e)는 에지 서버(170-f)와 연관된다. 722에서, 제2 티어 서버(522-e)는 그것이 아이템 A를 저장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프로세스 흐름(700)은 724로 진행하고, 제2 티어 서버(522-e)는 아이템 A를 에지 서버(170-f)에 서빙한다. 726에서, 에지 서버(170-f)는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포워딩할 수 있다. 728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에지 서버(170-f)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한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722로 돌아가서, 제2 티어 서버(522-e)가 그것이 아이템 A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700)은 730으로 진행한다. 730에서, 제2 티어 서버(522-e)는 오리진 서버(130-f)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한다. 서버들의 에지 티어와 오리진 서버(130-f) 사이에 서버들의 추가 티어들을 갖는 다른 예들에서, 제2 티어 서버(522-e)는 오리진 서버(130-f)에 질의하기 전 또는 대신에 아이템 A에 대한 서버들의 다음 티어를 질의할 수 있다.
732에서, 오리진 서버(130-f)는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아이템 A를 제2 티어 서버(522-e)에 서빙한다. 734에서, 제2 티어 서버(522-e)는 아이템 A를 수신하고, 그것을 에지 서버(170-f)에 서빙한다. 에지 서버(170-f)는 그런 다음 736에서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서빙할 수 있다. 738에서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 출력, 또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예는 CDN 계층 구조에서 아이템 A를 인접 서버에 제공하는 각각의 서버를 도시한다. 대안으로, 요청 서버는 에지 서버(170-f)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의 어드레스를 다음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아이템 A를 저장하는 서버는 아이템 A를 에지 서버(170-f)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에 직접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진 서버(130-f)는 (예를 들어, 제2 티어 서버(522-e)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에지 서버(170-f)에 아이템 A를 서빙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지 서버(170-f)가 720에서와 같이 제2 티어 서버(522-e)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하기보다는, 에지 서버(170-f)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를 제2 티어 서버(522-e)로 리다이렉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수의 요청들을 수반할 수 있고, 따라서 위성 네트워크를 통한 각각의 라운드 트립(round trip)에 고유한 레이턴시(latency) 때문에, 이 대안은 상당한 레이턴시를 초래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700)에서, 에지 서버(170-f)는, 예를 들어, 각각의 요청과 함께 콘텐츠 아이템의 전부 또는 상이한 부분들을 수신함으로써 요청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아이템(예를 들어, 영화 또는 다른 스트리밍 콘텐츠)을 식별하는 단일 요청이 에지 서버(170-f)에서 수신될 때, 에지 서버(170-f)는 제2 티어 서버(522-e)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의 전부 또는 상당 부분을 요청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d)의 요청들에 직접 응답할 수 있고, 따라서 콘텐츠 아이템의 더 작은 부분들에 대한 각각의 요청에 대한 레이턴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프로세스 흐름(700)의 예는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들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들 상에 위치된 서버들의 에지 티어 및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700)은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에서,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요청은 모바일 플랫폼 외부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로부터 리다이렉트되었다. 프로세스 흐름(7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프로세스 흐름(700)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라우팅의 프로세스 흐름(80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800)은 오리진 서버(130-g), CDN DNS(244-c), 제2 티어 서버(522-f), 에지 서버(170-g), 항공기(160-d)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를 포함한다. 오리진 서버(130-g), CDN DNS(244-c), 제2 티어 서버(522-f), 에지 서버(170-g), 항공기(160-d),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각각 도 1-7의 오리진 서버(130), CDN DNS(244), 제2 티어 서버(522), 에지 서버들(170), 항공기(16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의 예들이거나 또는 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스 흐름(800)은 도 1-5에서 설명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 또는 위성 통신 환경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예는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서버들에 의해 어떻게 생성, 라우팅, 처리, 및 이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청된 아이템들을 다양한 서버들에 저장하기 위한 결정들이 어떻게 행해지는 지를 도시한다. 특히, 프로세스 흐름(800)은 콘텐츠 아이템, 아이템 A에 대한 요청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고 저장/비저장(no store) 결정들이 행해지는 방법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800)에서, CDN DNS(244-c)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때, 에지 서버(170-g)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리턴할 수 있다. CDN DNS(244-c)는 또한 콘텐츠 아이템을 특정 서버 상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서버들의 2개의 티어들(에지 서버들의 티어 및 서버들의 제2 티어)만이 도시된다. 대안으로, 서버들의 2개 초과의 티어들이 있을 수 있다.
항공기(160-d)는 에지 서버(170-g)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160-d)는 도 1에 설명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20 또는 222)일 수 있는 하나 초과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영화, 게임, 쇼, 라이브 스트리밍된 이벤트 등일 수 있는 적어도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DNS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802에서, 아이템 A에 대한 도메인 이름 시스템 요청이 생성된다. DNS 요청은 CDN DNS(244-c)로 포워딩된다. 예를 들어, CDN DNS(244-c)는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콘텐츠 제공자와 연관될 수 있고, 콘텐츠 아이템 A에 대한 요청 (예를 들어, HTTP 요청)이 콘텐츠 제공자 어드레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804에서, CDN DNS(244-c)는 에지 서버(170-g)가 항공기(160-d) 상에 위치된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은 항공기(160-d) 및 복수의 에지 서버들 중 어느 에지 서버가 항공기(160-d)에 탑재되어 위치되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의 60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806에서, CDN DNS(244-c)는 에지 서버(170-g)가 아이템 A를 저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g)가 아이템 A를 저장하면, CDN DNS(244-c)는 808에서 (예를 들어, 리디렉션 메시지에서) 에지 서버(170-g)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리턴할 수 있다. 810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CDN DNS(244-c)로부터 에지 서버(170-g)의 어드레스를 수신할 수 있고, 에지 서버(170-g)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812에서, 에지 서버(170-g)는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서빙할 수 있다. 대안으로, CDN DNS(244-c)는 에지 서버(170-g)에 직접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고, 이는 그런 다음 에지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오리진 서버(130-g)의 어드레스로부터 오는 것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아이템 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c)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직접 응답하기 위한 암호화 또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SSL 인증서)를 에지 서버(170-g)에 제공할 수 있다. 814에서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아이템 A를 사용,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806으로 돌아가서, 에지 서버(170-g)가 아이템 A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CDN DNS(244-c)가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800)은 820으로 진행한다. 820에서, CDN DNS(244-c)는 제2 티어 서버가 에지 서버(170-g)와 연관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2 티어 서버(522-f)는 에지 서버(170-g)와 연관된다. 822에서, CDN DNS(244-e)는 제2 티어 서버(522-f)가 아이템 A를 저장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프로세스 흐름(800)은 824로 진행하고, 여기서 CDN DNS(244-c)는 에지 서버(170-g)에 아이템 A를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CDN DNS(244-c)가 에지 서버(170-g)에 아이템 A를 저장하기로 결정하면, CDN DNS(244-c)는 826에서 에지 서버(170-g)에 아이템 A를 푸시(push)하거나 또는 808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에지 서버 어드레스를 리턴한다. 아이템 A를 에지 서버(170-g)로 푸시하는 것은 에지 서버(170-g)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에 아이템 A를 에지 서버(170-g)로 포워딩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g)는 아이템 A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S(244-c)는 단계(824)에서 에지 서버(170-g)에 아이템을 저장할지 여부를 각각의 아이템에 대해 결정을 행한다. 대안으로, 각각의 아이템은 그것이 위치된 지상 서버 (예를 들어, 이 경우 티어 2 서버(522-f))로부터 에지 서버(170-g)로 푸시될 수 있다. 에지 서버(170-g)는 그런 다음 아이템을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지상 CDN 계층 구조의 다른 티어들에 저장될 수 있는 다른 아이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 A가 에지 서버(170-g)에 푸시되거나 또는 성공적으로 푸시되도록 명령되면, CDN DNS(244-c)는 808에서 에지 서버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리턴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800)은 도 6의 610, 612 및 614를 각각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810, 812 및 814를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에지 서버에 아이템 A를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는 인자들은, 다른 인자들 중에서도, 아이템 A가 얼마나 빈번한지, 또는 항공기(160-d)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요청될 수 있는지, 아이템 A의 스토리지(storage) 크기, 네트워크 레이턴시, 네트워크 로드(network load), 네트워크 트래픽, 시각(time of day), 아이템 A의 인기, 아이템 A의 등급(rating), 아이템 A의 공개 날짜, 아이템 A와 연관된 디지털 또는 다른 법적 권리들, 에지 서버(170-g)에서의 이용가능한 저장 공간, 아이템 A를 현재 저장하는 가장 가까운 서버의 네트워크 근접도, 항공기(160-d)의 나머지 비행의 지속기간(du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자들 중 하나 이상은 에지 서버에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DN DNS(244-c)가 824에서 에지 서버에 아이템 A를 저장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CDN DNS(244-d)는 830에서 제2 티어 서버(522-f)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리턴한다. 83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제2 티어 서버(522-f)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834에서, 제2 티어 서버(522-f)는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서빙한다. 대안으로, CDN DNS(244-d)는 제2 티어 서버(522-f)에 직접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콘텐츠 제공자 또는 오리진 서버(130-g)의 어드레스로부터 온 것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아이템 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DNS(244-c)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직접 응답하기 위한 암호화 또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SSL 인증서)를 제2 티어 서버(522-f)에 제공할 수 있다. 836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제2 티어 서버(522-f)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할 수 있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822로 리턴하면, 제2 티어 서버(522-f)가 아이템 A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스 흐름(800)은 840으로 진행한다. 840에서, CDN DNS(244-c)는 오리진 서버(130-g)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로) 리턴한다. 84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오리진 서버(130-g)로부터 아이템 A를 요청할 수 있다. 844에서, 오리진 서버(130-g)는 아이템 A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에 제공할 수 있다. 846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오리진 서버(130-g)로부터 아이템 A를 수신할 수 있다. 아이템 A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e)는 아이템 A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요청 라우팅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프로세스 흐름(800)은 콘텐츠가 상이한 서버들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CDN 계층 구조가 결정하고, 요청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서빙하는 것의 일부로서 에지 서버(170)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요청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근접한 네트워크에 더 가까운 서버에 아이템을 저장하는 것은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속도를 개선하고, 다시 요청될 수 있는 아이템들에 대한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c)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900)을 예시하는 맵을 도시한다. 통신 환경(900)은 위성(102-c) 및 복수의 게이트웨이들(110-e)을 포함할 수 있는 위성 통신 시스템(105-c)을 포함할 수 있다. CDN(122-c)은 온보드(on-board) 에지 서버(170-h), 오리진 서버(130-h), 및 지상 CDN의 2개의 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상 CDN의 제1 티어는 4개의 서버(522-g, 522-h, 522-i, 522-j)를 포함하는 제2 티어의 서버(총괄적으로 제2 티어의 서버(404-b)로 지칭됨)일 수 있다. 제2 티어의 지상 CDN은 서버들(532-c, 532-d)을 포함하는 제3 티어의 서버들(총괄적으로 제3 티어의 서버들(406-b)로 지칭됨)일 수 있다. 위성 통신 시스템(105-c), 복수의 게이트웨이(110-e), 온보드 에지 서버(170-h), 제2 티어의 서버(404-b), 오리진 서버(130-h) 및 제3 티어의 서버(406-b)는 각각 도 1-8의 위성 통신 시스템(105), 복수의 게이트웨이(110), 온보드 에지 서버(170), 오리진 서버(130), 제2 티어의 서버(404) 및 제3 티어의 서버(406)의 예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맵(map)은 미국 대륙에 걸쳐 분포된 CDN(122-c)을 도시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다른 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122-c)은 국제 경계들을 넘어 연장된다. 서버들(404-b 및 406-b)의 티어들은 또한 지리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에지 서버(170-h)는 미국 대륙의 동부 부분 위에 항공기에 탑재되어 위치된다. 에지 서버(170-h)는 위성 통신 시스템(105-c)과 통신한다. 항공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때, 에지 서버(170-h)는 위성 통신 시스템(105-c)을 통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DNS 요청을 발신한다. 이 예에서, CDN(122-c)은 요청된 콘텐츠 아이템을 갖는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가 제2 티어 서버(522-g)라고 결정한다. CDN(122-c)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에지 서버(170-h) 또는 제2 서버 티어 서버(522-g)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항공기가 동부측에 위치될지라도 그리고 항공기에 물리적으로 더 가까운 다른 위성 액세스 노드들 및 서버들이 존재할지라도, 미국 대륙의 서부측에 위치된 서버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CDN 계층 구조 내의 연관성들이 항공기의 지리적 위치들이 아니라, 항공기와 통신할 수 있는 위성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근접도에 기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행기에 서빙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의 근접도는 도 3-5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위성 경로 및 사용자 빔 그룹(user beam group)(320) (예를 들어, 위성 경로/사용자 빔 그룹(410))에 기초할 수 있다. 즉, 항공기의 물리적 위치는 지상 CDN 계층 구조의 서버들이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h)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크게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그것은 항공기와 그리고 따라서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170-h)와 통신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에 대한 근접도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항공기가 이동할 때 항공기에 탑재되어 위치된 위성 단말과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 사이의 통신 링크의 예시적인 핸드오버(handover)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에서의 네트워크 핸드오프(handoff)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a는 그것이 비행할 때 제1 시간(시간 A)으로부터 제2 시간(시간 B)까지 항공기(160-e)를 따른다. 도 10b는 제3 시간(시간 C)으로부터 제4 시간(시간 D)까지 항공기(160-e)의 비행을 계속한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는 항공기(160-e), 온보드 에지 서버(170-i),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110-f), 제2 티어의 서버(404-c), 제3 티어의 서버(406-c) 및 오리진 서버(130-i)를 포함한다. 제2 티어의 서버들(404-c)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티어의 지상 CDN일 수 있다. 제3 티어의 서버들(406-c)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티어의 지상 CDN일 수 있다. 항공기(160-e), 온보드 에지 서버(170-i),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f), 제2 티어의 서버들(404-c), 제3 티어의 서버들(406-c, 및 오리진 서버(130-i)는 각각 도 1-9의 항공기(160), 에지 서버(170),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 제2 티어의 서버들(404), 제3 티어의 서버들(406), 및 오리진 서버(130)의 예들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는 오리진 서버(130-i)와 연관되는 제3 티어의 서버(406-c)의 제1 서버와 연관되는 제2 티어의 서버(404-c)의 제1 서버와 연관되는 제1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도시한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는 또한 제3 티어의 서버들(406-f)의 제1 서버와 연관되는, 제2 티어의 서버들(404-c)의 제2 서버와 연관된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도시한다. 제3 위성 액세스 노드(110-f)는, 오리진 서버(130-i)와 연관된, 제3 티어의 서버들(406-c)의 제2 서버와 연관된, 제2 티어의 서버들(404-c)의 제3 서버와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제4 위성 액세스 네트워크(110-f)는 제3 티어의 서버들(406-c)의 제2 서버와 연관되는 제2 티어의 서버들(404-c)의 제4 서버와 연관되고, 이는 결국 오리진 서버(130-i)와 연관된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CDN 토폴로지에 대해 연관된다는 것은 서버에 의해 만족될 수 없는 요청들이 연관된 노드 또는 서버로 발신되거나 리다이렉트(redirect)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들에서, 다른 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 서버들의 티어들, 및 서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이한 연결들이 다양한 노드들과 서버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시간 A에서, 항공기(160-e)는 제1 사용자 빔(1030-a) 내에 있다. 이 예에서, 제1 사용자 빔(1030-a)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110-f)와 연관된다. 에지 서버(170-i)와 지상 서버의 연관성은 티어 네트워크 토폴로지(tier network topology)(10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항공기(160-e)가 제1 사용자 빔(1030-a) 내에 있기 때문에, 항공기(160-e)로부터 발원하는 임의의 DNS 요청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제2 티어의 서버들(404-c) 중 제1 서버와, 이어서 제3 티어의 서버들(406-c) 중 제1 서버와, 그런 다음 오리진 서버(130-i)와 연결하는 검은선에 의해 표현되는 네트워크 경로(1010)를 통해 라우팅될 것이다. 이것은 항공기(160-e)가 제1 사용자 빔(1030-a) 내에 있을 때 CDN DNS가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전체에 걸쳐 DNS 요청을 라우팅할 수 있는 방법의 예이다.
시간 B에서, 항공기(160-e)는 제1 사용자 빔(1030-a) 내에 있는 것으로부터 제2 사용자 빔(1030-b) 내에 있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이 예에서, 제2 사용자 빔(1030-b)은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통해 서빙된다. 항공기(160-e)가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통해 서빙되는 것으로 이동할 때,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내의 에지 서버(170-i)에 대한 연관성은 제2 티어의 서버들(404-b) 중 제1 서버로부터 제2 서버로 변경된다. 따라서, 그것이 제2 사용자 빔(1030-b) 내에 있는 동안 항공기(160-e)로부터 발원되는 DNS 요청은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제2 티어의 서버(404-c) 중 제2 서버, 그런 다음 제3 티어의 서버(406-c) 중 제1 서버, 및 그런 다음 오리진 서버(130-i)와 연결하는 검은선으로 표현되는 네트워크 경로(1020)를 통해 라우팅될 것이다. 이것은 항공기(160-e)가 제2 사용자 빔(1030-b) 내에 있을 때 CDN DNS가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전체에 걸쳐 DNS 요청을 라우팅할 수 있는 방법의 예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에서의 네트워크 핸드오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시간 B로부터 시간 C까지, 그 다음 시간 D까지 항공기(160-e)를 따른다.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는 도 10a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시간 C에서, 항공기(160-e)는 제2 사용자 빔(1030-b) 내에 있는 것으로부터 제3 사용자 빔(1030-c) 내에 있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이 예에서, 제3 사용자 빔(1030-c)은 제3 위성 액세스 노드(110-f)에 의해 서빙된다. 항공기(160-e)가 제3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통해 서빙되는 것으로 이동할 때,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내의 에지 서버(170-i)에 대한 연관성은 제2 티어의 서버들(404-b) 중 제2 서버로부터 제3 서버로 변경된다. 항공기(160-e)가 제3 사용자 빔(1030-c) 내에 있는 동안 항공기로부터 발원되는 DNS 요청은 제3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제2 티어의 서버(404-c) 중 제3 서버, 그런 다음 제3 티어의 서버(406-c) 중 제2 서버, 및 그런 다음 오리진 서버(130-i)와 연결하는 검은선으로 표현되는 네트워크 경로(1060)를 통해 라우팅될 것이다. 이것은 항공기(160-e)가 제3 사용자 빔(1030-c) 내에 있을 때 CDN DNS가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전체에 걸쳐 DNS 요청을 라우팅할 수 있는 방법의 예이다.
시간 D에서, 항공기(160-e)는 제3 사용자 빔(1030-c) 내에 있는 것으로부터 제4 사용자 빔(1030-d) 내에 있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이 예에서, 제4 사용자 빔(1030-d)은 제4 위성 액세스 노드(110-f)와 연관된다. 항공기(160-e)가 제4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통해 서빙되는 것으로 이동할 때,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내의 에지 서버(170-i)에 대한 연관성은 제2 티어의 서버들(404-b) 중 제3 서버로부터 제4 서버로 변경된다. 항공기(160-e)가 제4 사용자 빔(1030-d) 내에 있는 동안 항공기로부터 발원되는 임의의 DNS 요청은, 제4 위성 액세스 노드(110-f)를 제2 티어의 서버(404-c) 중 제4 서버와, 그런 다음 제3 티어의 서버 (406-c) 중 제2 서버와, 그런 다음 오리진 서버(130-i)와 연결하는 검은선으로 표현되는 네트워크 경로(1070)를 통해 라우팅될 것이다. 이것은 항공기(160-e)가 제4 사용자 빔(1030-d) 내에 있을 때 CDN DNS가 티어 연결 토폴로지(1000) 전체에 걸쳐 DNS 요청을 라우팅할 수 있는 방법의 예이다.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 서버에 대한 티어 연결 토폴로지는 항공기가 다양한 사용자 빔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 빔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위성 액세스 노드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에지 서버(170-i)의 연관성은 제2 티어의 서버들(404-c) 또는 제3 티어의 서버들(406-c)과 같은 서버들의 지상 티어들 중 하나 이상에서의 로딩과 같은 추가적인 인자들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티어 연결 관리의 예시적인 방법(11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방법(1100)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위성 통신 환경 또는 CDN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도 1-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위성 단말(112), 위성 통신 시스템(105)의 통신 위성(102), 게이트웨이 또는 위성 액세스 노드(110), CDN DNS(244), 에지 서버(170),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100)의 설명에서, 위성 통신 환경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단계들 각각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통신 환경의 하나의 디바이스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1100)은 모바일 운송 차량들이 지리적 영역 주위로 이동할 때 티어 연결 관리가 어떻게 수행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1110에서, 방법(1100)은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는 에지 서버들의 티어들을 제2 티어의 서버들(예를 들어, 제1 티어의 지상 서버들)의 서버들과 연관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는 모바일 운송 차량의 현재 위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액세스 노드에 기초할 수 있다. 방법(1100)은 항공기와 같은 특정 모바일 운송 차량에 대한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120에서, 방법(1100)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로부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로의 항공기의 핸드오버의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빔으로부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빔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핸드오버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항공기는 제1 및 제2 사용자 빔들 둘 모두에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상태들에 기초하여 표시된 핸드오버를 여전히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성 통신 시스템은 CDN으로의 핸드오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 상의 모뎀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 또는 위성 액세스 노드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항공기의 에지 서버 또는 지상 서버 또는 CDN의 CDN DNS에 통지할 수 있다.
1130에서, 방법(1100)은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지상 서버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1100)이 서버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방법(1100)은 1110으로 다시 진행하고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유지한다. 방법(1100) 이 서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일 예는 핸드오버에서 표시된 제2 위성 액세스 노드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와 동일하다는 것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사용자 빔들은 동일한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서버가 토폴로지내 다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되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다른 이유들(예를 들어, 서버 로딩)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방법(1100)이 서버를 변경하기로 결정하면, 방법(1100)은 1140으로 진행한다. 1140에서, 방법(1100)은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업데이트한다. 방법(1100)은 항공기가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새로운 사용자 빔 그룹에 있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이유들로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변경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위성 액세스 노드는 CDN의 특정 티어(예를 들어, 서버들의 제1 지상 티어)에서 상이한 서버에 더 가까운 네트워크 근접도에 위치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온보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 전송 동안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2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방법(1200)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위성 통신 환경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도 1-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위성 단말(112), 위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위성(102), 게이트웨이(110),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 에지 서버(170)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항공기(160-f)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 및 에지 서버(170-j),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서버(522-k),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2 서버(522-l), 및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에 의해 취해진 액션들을 포함한다. 항공기(160-f),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 온보드 에지 서버(170-k), 서버들(522-k 및 522-l) 및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각각 도 1-9의 항공기(160), 에지 서버(170),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서버들(522) 및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의 예들이거나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120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가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고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는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서버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120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항공기(160-f)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제1 티어 2 서버(522-k)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항공기(160-f)에 대한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일 수 있다. 1204에서, 제1 티어 2 서버(522-k)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에 스트리밍하고, 1206에서 그것을 계속 스트리밍한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스트리밍되고 있는 동안, 항공기(160-f)는 제1 티어 2 서버(522-k)가 더 이상 항공기(160-f)에 대한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깝지 않은 영역(예를 들어, 새로운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새로운 사용자 빔)으로 비행할 수 있다. 1208에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거나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제2 티어 2 서버(522-l)가 이제 항공기(160-f)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 것을 표시하기 위해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항공기(160-f)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빔 밖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항공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제2 위성 액세스 노드로 핸드오버되기 때문에 이러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제1 티어 2 서버(522-k)가 더 이상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거나 높은 네트워크 로드를 경험하고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이유들로 이 업데이트를 행할 수 있다.
1210에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이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했다는 메시지를 제1 티어 2 서버(522-k)에 발신할 수 있다.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에게 업데이트를 통지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가 제2 티어 2 서버(522-l)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해야 함을 통지하도록 제1 티어 2 서버(522-k)에 명령할 수 있다. 1212에서, 제1 티어 2 서버(522-k)는 제2 티어 2 서버(522-l)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에 메시지(예를 들어, 리다이렉트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121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는 제2 티어 2 서버(522-l)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한다. 1216에서, 제2 티어 2 서버(522-l)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버퍼링 또는 다른 기술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의 스트리밍을 중단하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지 서버(170-j)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들을 수행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f) 대신에 임의의 업데이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방법(1200)은 항공기(160-f)의 비행 전체에 걸쳐 필요한 횟수만큼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온보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 전송 동안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3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방법(1300)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위성 통신 환경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도 1-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위성 단말(112), 위성 통신 시스템(105)의 통신 위성(102), 게이트웨이 또는 위성 액세스 노드(110),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 에지 서버(170)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항공기(160-g)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 및 에지 서버(170-k),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서버(522-m),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2 서버(522-n), 및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e)에 의해 취해진 액션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도 1-9 및 12의 항공기(160), 에지 서버(170),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 서버들(522), 및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의 양태들의 예들이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130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가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고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의 전송을 위한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할 수 있다. 방법(1300)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는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해 에지 서버(170-k)와 통신한다. 130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는 에지 서버(170-k)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에지 서버(170-k)는 CDN 내의 어느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항공기(160-g)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제1 티어 2 서버(522-m)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네트워크 근접도의 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일 수 있다. 에지 서버(170-k)는 1304에서 제1 티어 2 서버(522-m)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1306에서, 제1 티어 2 서버(522-m)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에지 서버(170-k)로 스트리밍하고, 1310에서 그것을 계속 스트리밍한다. 에지 서버(170-k)는 1308 및 131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포워딩한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스트리밍되고 있는 동안, 항공기(160-g)는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의 사용자 빔 영역 밖으로 비행하기 시작할 수 있고, 핸드오버가 적절할 수 있다. 1314에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d)은 (예를 들어, 항공기(160-g)가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것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거나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제2 티어 2 서버(522-n)가 이제 항공기(160-g)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까운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1316에서,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e)은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e)이 CDN 티어 연결 토폴로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했다는 메시지를 에지 서버(170-k)에 발신할 수 있다. 메시지는 에지 서버(170-k)에게 제2 티어 2 서버(522-n)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하라고 통지할 수 있다. 1318에서, 에지 서버(170-k)는 제2 티어 2 서버(522-n)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1320에서, 제2 티어 2 서버(522-n)는 에지 서버(170-k)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스트리밍하기 시작한다. 1322에서, 에지 서버(170-k)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0-g)로 포워딩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콘텐츠 전송 라우팅을 지원하는 방법(14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400)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1400)의 동작들은 도 1-13을 참조하여 설명된 CD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CDN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CDN은 특수 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 있다.
1405에서, CDN은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N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에지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1410에서, CDN은 요청과 연관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1415에서, CDN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플랫폼 내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에지 서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서버 인덱스에 질의(query)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라는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에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420에서, CDN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될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하는 것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에지 서버의 어드레스를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하는 것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을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425에서, CDN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지상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와 결합되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위해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된다.
1430에서, CDN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제1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방법(14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2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지상 서버는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된다.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2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제2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디어 콘텐츠가 제2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방법(14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오리진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400)은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무선 통신 링크의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프록시 서버(proxy server)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매핑하는 단계(mapping)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방법(1400)은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모바일 에지 서버 상의 저장을 위해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sending)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무선 통신 링크의 액세스 노드는 제1 액세스 노드이고, 방법은 모바일 플랫폼이 제2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것으로 전환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에지 서버의 연관성을, 제2 액세스 노드와 결합된 제2 지상 서버와 연관되도록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405, 1410, 1415, 1420, 1425, 및 1430의 동작들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1405, 1410, 1415, 1420, 1425, 및 1430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1-13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CD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1400)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1400)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콘텐츠 전송 라우팅을 지원하는 방법(15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500)의 동작들은 본원에 설명된 에지 서버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1500)의 동작들은 도 1-13를 참조하여 설명된 에지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에지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예를 들어, 항공기)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지 서버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에지 서버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에지 서버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 있다.
1505에서, 에지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를 위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요청은 모바일 플랫폼 외부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로부터 리다이렉션되었다. 1510에서, 에지 서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515에서, 에지 서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1520에서, 에지 서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모바일 플랫폼에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 티어의 서버들 중 제1 티어의 제1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 - 제1 지상 서버는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와 결합되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됨 -,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제1 지상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 티어들 중 제2 티어의 서버들 중 제2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 - 제2 지상 서버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됨 -,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제2 지상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제2 지상 서버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저장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에 질의하는 단계 및 오리진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500)은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에지 서버에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505, 1510, 1515, 및 1520의 동작들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1505, 1510, 1515, 및 1520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1-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에지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지 서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1400)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항공기 상의 에지 서버들과의 콘텐츠 전송 라우팅을 지원하는 방법(16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600)의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1600)의 동작들은 도 1-13을 참조하여 설명된 CDN, 에지 서버, 또는 위성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에서의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태들을 수행할 수 있다.
1605에서, 디바이스는 모바일 플랫폼들의 세트의 모바일 플랫폼 상의 모뎀이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위성 빔을 통해 통신들이 제공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1610에서, 디바이스는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및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에 기초하여,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깝다고 결정할 수 있다.
1615에서, 디바이스는 제1 서버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깝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를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600)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부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 모바일 플랫폼 상의 모뎀의 핸드오버의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1600)은 또한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 및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서버가 제1 서버보다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더 가깝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서버가 제1 서버보다 네트워크 근접도에 더 가깝다고 결정한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에지 서버를 제2 서버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1600)의 일부 예들에서, 모바일 플랫폼은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제1 위치는 서버들의 지상 티어의 제2 서버에 지리적으로 더 가깝다.
방법(1600)은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위성 빔들의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위성 빔이 위성 빔들의 그룹의 멤버인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와 통신할 제1 위성 액세스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은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및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의 개개의 서빙 위성 액세스 노드들의 위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버들의 에지 티어 각각을 지상 서버들의 티어의 개개의 서버들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600)은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은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들은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서버 또는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오리진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1600)은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오리진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605, 1610, 및 1615의 동작들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1605, 1610, 및 1615의 동작들의 양태들은 도 1-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CDN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1400)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콘텐츠 복제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에지 서버 또는 위성 노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1400)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상세한 설명은 예들을 설명하며, 구현될 수 있거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유일한 예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용어 "예"는, 본 설명에서 사용될 때, "예, 예제, 또는 예시로서 서빙하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예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술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장치들은 설명된 예들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테크닉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어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명령어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예들은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성질로 인해,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부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2개 이상의 아이템들의 리스트에 사용될 때, 열거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하나가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거나, 열거된 아이템들 중 2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성분 A, B, 및/또는 C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조성물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조합; A와 C 조합; B와 C 조합; 또는 A, B, 및 C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예를 들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문구가 서문인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 및 B 및 C)를 의미하도록 택일적 리스트(disjunctive list)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은 적절하게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고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로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문구 "에 기초하여"는 폐쇄된 조건들의 세트에 대한 참조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조건 A에 기초함"으로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단계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조건 A 및 조건 B 둘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문구 "에 기초하여"는 문구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과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전의 설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수행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예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부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여되어야 한다.

Claims (38)

  1.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에 의해 서빙되는(served)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되는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edge tier)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122)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를 통해 서빙되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160) 내의 디바이스(220)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media content item)(1202)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과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시키는 단계(redirecting);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tier) 중 제1 티어의 서버들(404) 중 제1 지상 서버(522)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상 서버(terrestrial server)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access node)(110)와 결합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됨 -;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서버들의 제1 티어의 상기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제1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티어의 서버들(406) 중 제2 지상 서버(532)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상 서버는 상기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됨 -;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제2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130)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의 어드레스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sending)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 내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서버 인덱스(server index)(242)를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요청(1302)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상기 무선 통신 링크의 상기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프록시 서버(216)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상기 무선 통신 링크의 액세스 노드는 제1 액세스 노드(110-d-1)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제2 액세스 노드(110-d-3)에 의해 서빙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의 연관성을 상기 제2 액세스 노드와 결합된 제2 지상 서버(522-b)와 연관되도록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되는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220)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1202)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 외부의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404)로부터 리다이렉션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링크(106)를 통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110)를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querying);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티어의 서버들(404) 중 제1 지상 서버(522-a)에 질의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상 서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와 결합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제1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티어의 서버들(406-b) 중 제2 지상 서버(532-a)에 질의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상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제2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오리진 서버(130)에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오리진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되는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모바일 플랫폼 중 모바일 플랫폼(160-a) 상의 모뎀(212)이 제1 위성 액세스 노드(102)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위성 빔(108)을 통해 통신이 제공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및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의 네트워크(120)의 토폴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522-a)가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network proximity)에서 가장 가깝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깝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를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제1 서버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부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d-2)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의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의 상기 모뎀의 핸드오버(handover)의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및 상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서버(522-b)가 상기 제1 서버보다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더 가깝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서버보다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더 가깝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를 상기 제2 서버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상기 제2 서버에 지리적으로 더 가까운,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위성 빔(satellite beam)들의 그룹(1030)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성 빔(1030-a)이 상기 위성 빔들의 그룹의 멤버인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와 통신할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네트워크(122)의 토폴로지 및 상기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의 개개의 서빙 위성 액세스 노드들의 위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들의 에지 티어 각각을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개개의 서버들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1304)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 내지 제22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제2 서버(522-b) 또는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오리진 서버(130)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오리진 서버(130)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되는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
    프로세서(230);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234);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 링크(108-a)를 통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160-a) 내의 디바이스(220)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1202)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과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티어의 서버들(404) 중 제1 지상 서버(522)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 상기 제1 지상 서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110)와 결합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됨 -;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티어의 서버들 중 상기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제1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티어의 서버들(406) 중 제2 지상 서버(532) 상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 상기 제2 지상 서버는 상기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됨 -;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 상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제2 지상 서버로 리다이렉션 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오리진 서버(130)로 리다이렉션 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의 어드레스를 디바이스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발신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29.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들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플랫폼(106) 상에 위치되는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
    프로세서(230);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234);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 내의 디바이스(220)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1202)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 상기 요청은 상기 모바일 플랫폼 외부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404)로부터 리다이렉션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링크(106)를 통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110)를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고(query);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티어의 서버들(404) 중 제1 지상 서버(522-a)에 질의하고 - 상기 제1 지상 서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을 서빙하는 액세스 노드와 결합되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에지 서버와 연관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제1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에 질의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1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티어의 서버들(406-b) 중 제2 지상 서버(532-a)에 질의하고, - 상기 제2 지상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제1 지상 서버와 연관됨 -;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될 때 상기 제2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이 상기 제2 지상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상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저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3.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링크(106)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모바일 플랫폼(160) 상에 위치된 서버들(402)의 에지 티어 및 상기 통신 시스템 내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404)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122);
    프로세서(230);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234);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복수의 모바일 플랫폼 중 모바일 플랫폼(160-a) 상의 모뎀(212)이 제1 위성 액세스 노드(102)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위성 빔(108)을 통해 통신이 제공되는지를 결정하고;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및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의 네트워크(120)의 토폴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522-a)가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깝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가장 가깝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모바일 에지 서버(170-a)를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와 연관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부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110-d-2)에 의해 통신들이 제공되는 것으로의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의 모뎀의 핸드오버(handover)의 표시를 획득하고;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및 상기 제2 위성 액세스 노드의 위치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2 서버(522-b)가 상기 제1 서버보다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에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더 가깝다고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서버보다 네트워크 근접도에서 더 가깝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를 상기 제2 서버와 연관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35. 제3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위성 빔(1030)들의 그룹을 결정하고; 및
    제1 위성 빔(1030-a)이 상기 위성 빔들의 그룹의 멤버인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와 통신할 상기 제1 위성 액세스 노드를 선택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네트워크(122)의 토폴로지 및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위성 액세스 노드들(110)의 개개의 서빙 위성 액세스 노드들의 위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버들의 에지 티어 각각을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개개의 서버들과 연관시키게 하는, 통신 시스템.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1304)을 수신하고;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을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 중 제1 서버에 포워딩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서버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상 티어의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고;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위치된 상기 모바일 에지 서버에 포워딩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37014966A 2020-10-06 2020-10-06 온에어크래프트 에지 서버를 통한 콘텐츠 전달 라우팅 KR202300970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0/054446 WO2022075980A1 (en) 2020-10-06 2020-10-06 Content delivery routing with on-aircraft edge serv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045A true KR20230097045A (ko) 2023-06-30

Family

ID=7301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966A KR20230097045A (ko) 2020-10-06 2020-10-06 온에어크래프트 에지 서버를 통한 콘텐츠 전달 라우팅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75944A1 (ko)
EP (1) EP4218208A1 (ko)
JP (1) JP7403030B2 (ko)
KR (1) KR20230097045A (ko)
CN (1) CN116964992A (ko)
AU (1) AU2020471750A1 (ko)
CA (1) CA3194684A1 (ko)
MX (1) MX2023004000A (ko)
WO (1) WO20220759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7188A3 (en) 1998-12-30 2001-12-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data access from remote locations
US20050136917A1 (en) 2003-12-23 2005-06-23 Taylor Scott P. Content delivery coordinator apparatus and method
WO2006062641A2 (en) 2004-11-05 2006-06-15 Thales Avionics, Inc.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with hand-out passenger terminals
WO2010121217A1 (en) 2009-04-17 2010-10-21 Viasat, Inc. Mobility across satellite beams using l2 connectivity
JPWO2010140376A1 (ja) 2009-06-05 2012-1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アップロード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WO2012107788A1 (en) * 2011-02-08 2012-08-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mobility support for caching adaptive http streaming content in cellular networks
JP2013010413A (ja) 2011-06-29 2013-01-17 Panasonic Corp 航空機用情報端末および航空機用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9420314B1 (en) 2015-05-07 2016-08-16 The Boeing Company Distribution of in-flight entertainment conten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237286B2 (en) * 2016-01-29 2019-03-19 Zscaler, Inc. Content delivery network protection from malware and data leakage
US11356530B2 (en) * 2018-03-22 2022-06-07 Netskrt Systems, Inc. Leveraging mobile environment to distribute cach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71750A1 (en) 2023-06-08
MX2023004000A (es) 2023-07-13
CA3194684A1 (en) 2022-04-14
JP2023543313A (ja) 2023-10-13
CN116964992A (zh) 2023-10-27
EP4218208A1 (en) 2023-08-02
WO2022075980A1 (en) 2022-04-14
JP7403030B2 (ja) 2023-12-21
US20230275944A1 (en) 2023-08-31
AU2020471750A9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1009B2 (ja) ハイブリッド乗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順応的変調
US11770178B2 (en) Multi-constellation satellite terminal
US107718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distribution to an in-transit media system
JP6377742B2 (ja) 様々な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音声及びメッセージ通信を促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78450B2 (en) Multicast handover for mobile communications
JP6666233B2 (ja) 乗物上の装置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通信
JP2016539570A (ja) 多元順方向リンクを使用する輸送機関でのデバイスに対するデータ配信
US11729585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data selectively over unicast paths and multicast paths
US11758202B2 (en) Content distribution and mobile wireless mesh networks
JP7403030B2 (ja) 航空機上エッジサーバでのコンテンツ配信ルーティング
US9577742B1 (en) Data compression and acceleration for air to ground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