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699A -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699A
KR20230095699A KR1020210185435A KR20210185435A KR20230095699A KR 20230095699 A KR20230095699 A KR 20230095699A KR 1020210185435 A KR1020210185435 A KR 1020210185435A KR 20210185435 A KR20210185435 A KR 20210185435A KR 20230095699 A KR20230095699 A KR 2023009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ilding
power
transmission syste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근
장병훈
김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정보(주)
Priority to KR102021018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699A/ko
Publication of KR2023009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은, 건물 내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는 센서부, 센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내 다른 영역으로 저전력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 및 건물의 전력량계의 설치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와 제1 정보 수집 장비로부터 저전력 방식으로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외의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In-buil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tegrated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내 환경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 다양한 개소에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현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 아파트, 소형 빌딩, 중형 빌딩 뿐만 아니라 대형 빌딩에 이르기까지 전기 시스템, 공조 시스템, 상하수도 시스템, 화재 시스템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빌딩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빌딩 시스템의 목표는 건물 내 모든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면서도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서 전력, 온도, 습도, 미세먼지, 상하수도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공조 시스템, 냉난방 시스템, 공기 청정 시스템, 화재 시스템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최근 에너지를 소비하는 컨슈머 관점에서 나아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소비하는 프로슈머 관점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슈머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거나 남는 전력(잉여 전력)을 커뮤니티의 이웃에게 판매할 수 있는 소규모 분산 자원 및 개인간 피어투피어 전력 거래 시스템에 대해서도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에너지 관점에서의 컨슈머-프로슈머들의 전력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단순히 스마트 전력계를 옥내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건물내 다양한 개소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수집하고, 이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관리자 등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수집된 센싱값을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여 중앙 집권식 또는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관리함으로써 전력 거래 등을 위한 가상 발전소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2248727호(공고일 : 2021.04.29)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2133034호(공고일 : 2020.07.06) 특허문헌 3 : 등록특허 제10-2103412호(공고일 : 2020.04.16) 특허문헌 4 : 등록특허 제10-1949957호(공고일 : 2019.02.13)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다양한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환경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원격 서버로 센싱값을 전송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장 예측, 소비 전력 예측, 장비 상태 예측 등 통합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은, 건물 내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내 다른 영역으로 저전력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 및 건물의 전력량계의 설치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와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로부터 저전력 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외의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디지털 유량 센서 또는 아날로그 유량 센서이고, 상기 아날로그 유량 센서에 부착되서 상기 아날로그 유량 센서에 표시되는 유량 정보를 광학 문자 인식 방식으로 수집하는 OCR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는 LoRa 모듈, NB-IoT 모듈 및 Cat M1 모듈 중 하나로 구성된 저전력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는, LoRa 모듈, NB-IoT 모듈 및 Cat M1 모듈 중 하나로 구성된 저전력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정보 수집 장비는, WiFi, 3G, 4G, 5G, 6G 또는 차세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전력 정보 및 상기 센싱값을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전력 송신기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패킷화하여 상기 저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전력 수신기는, 상기 저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패킷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는, 복호화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라 패킷화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정보 수집 장비는, 복호화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라 패킷화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민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 제1 정보 수집 장비,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포함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건물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건물 내 다른 영역으로 저전력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수집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상기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 다양한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현장에서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관리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수집된 환경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여 기계학습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장 예측, 소비 전력 예측, 장비 상태 예측 등 수행할 수 있으므로 통합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프로슈머들의 개인간 전력 거래를 위해서 정확한 에너지 사용량 및 발전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 거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센싱된 건물 내 환경 정보에 대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보관, 저장,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무결성과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된 정보 수집 장비들 사이의 통신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정보 수집 장치에 의한 아날로그 유량계의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OCR 센서부에 의해서 수집된 아날로그 유랑계를 제1 정보 수집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예를 도시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의해서 센싱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구현한 프로토 타입 모델에 대한 사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정보 수집 장비를 구현한 프로토 타입 모델에 대한 사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정보 수집 장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건물 환경 정보를 탈중앙화하여 처리하는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13은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민팅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풀 노드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지역 풀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전파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17은 인접 노드에서 풀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전파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18은 채굴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전파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의한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된 범위까지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는 센서부(110), 제1 정보 수집 장비(130) 및 제1 정보 수집 장비(15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건물 내 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미세 먼지 센서(111), 온도 센서(112), 습도 센서(113), 디지털 유량계(114), 아날로그 유량계(115) 및 OCR 센서(116)을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다양한 개소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의 미세먼지 센서(111)는 건물 공기에 대한 미세 먼지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111)는 광학적 방식으로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미세먼지 측정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 범위 밖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 센서(112)는 건물 내 특정 개소 또는 건물 전체 영역에 대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2)는 디지털 방식, 아날로그 방식 모두 가능하며,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에는 센싱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비된 것을 활용할 수 있다.
습도 센서(113)는 건물 내 특정 개소 또는 건물 전체 영역에 대한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113)는 디지털 방식, 아날로그 방식 모두 가능하며,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에는 센싱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비된 것을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유량계(114)는 건물 내에 상수, 하수 등의 파이프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파이프에 설치된 별도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서 상수, 하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 면적, 압력 등을 고려하여 파이프를 흐르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아날로그 유량계(115)는 파이프에 설치되서 기계적 방식으로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직접 측정해서 게이지로 표시하는 유량 측정 장비이다. 이러한 아날로그 유량계(115)에 대한 유량 정보 수집 방식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OCR 센서(116)는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를 분석해서 문자를 인식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이다. OCR 센서(116)는 광학 촬상 모듈을 구비하고, 피사체를 전기적 이미지로 촬상하여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 이미지를 OCR 분석하여 유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제1 마이크로 컨트롤러(131), 제1 디스플레이부(132), 제1 전원부(133) 및 저전력 송신기(134)를 포함한다. 제1 정보 수집부(130)는 센서부(1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센서부(110)로부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해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저전력 송신기(134)에 의해서 저전력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력 송신기(134)는 LoRa 모듈, NB-IoT 모듈 및 Cat M1 모듈 중 하나로 구성된 저전력 송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제2 마이크로 컨트롤러(151), 제2 디스플레이부(152), 제2 전원부(153), 저전력 수신기(154). 전력 미터기(155) 및 게이트웨이(156)를 포함한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와 저전력 통신 채널로 연결되고,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로부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전력 미터기(155)로부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수신된 전력 정보 및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게이트웨이(156)에 의해서 저전력 TCP/IP 방식으로 원격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TCP/IP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 WiFi, 3G, 4G, 5G, 6G 또는 차세대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된 정보 수집 장비들 사이의 통신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와 제2 정보 수집 장비(150) 사이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저전력 데이터 채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와 제2 정보 수집 장비(150) 사이의 저전력 통신 채널은 LoRa(Long Range), NB-IoT(Narrowband IoT) 및 Cat M1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Cat M1의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의 망개통 작업이 추가로 요구될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센서부(110)에 의해서 건물의 환경 정보로써 센싱된 온도에 대한 센싱값 1을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센서부(110)에 의해서 건물의 환경 정보로써 센싱된 습도, 미센먼지, 유량에 대한 센싱값 2,3, 4를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수집된 센싱값 1, 2, 3, 4를 제1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저전력 송신기(134)에 의해서 수신된 센싱값 1 내지 4를 저전력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패킷화하여 제2 정보 수집 장비(150)의 저전력 수신기(154)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저전력 수신기(154)를 통해서 패킷화된 센싱값 1 내지 4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한 뒤, 게이트웨이(154)에 의해서 TCP/IP 방식의 패킷으로 암호화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를 통하여 원격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정보 수집 장치에 의한 아날로그 유량계의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파이프를 지나는 일 영역에 아날로그 유량계(115)를 구비하고 있다. 아날로그 유량계(115)는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유랑계(115)의 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 상부에 OCR 센서(116)를 구비함으로써, OCR 센서(116)는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를 이미지로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유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파이프의 아날로그 유량계(115)에 설치된 무선 통신이 가능한 OCR 센서(116)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OCR 센서(116)는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촬상하고, 문자 인식 처리를 하여 해당 게이지의 유량값을 추출한 뒤, 이러한 정보를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로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센싱값으로써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OCR 센서에 의해서 수집된 아날로그 유량계를 제1 정보 수집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OCR 센서(116)는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아날로그 유량계의 유량값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OCR센서(116)는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OCR 센서(116)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 이미지를 제1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해서 제1 화면(UI 1)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의해서 센싱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32)에는 제2 화면(UI 2)으로 센서부(1100에 의해서 센싱된 다양한 센싱값들을 하나의 통합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측정 값을 표시하기 위하여 게이지 이미지와 함께 OCR 센서(116)에 의해서 인식된 문자값이 제2 화면(UI 2)에 표시될 수 있고, 공기질 측정 정보로써 온도 정보, 습도 정보, eCO2, eH2O, TVOC, PM 2.5, PM 10 등의 정보를 제2 화면(UI 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센서부(110)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공기질 센서를 통합된 모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유량계의 경우에는 디지털 유량계(114)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아날로그 유량계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유량계(115)의 게이지를 OCR로 인식할 수 있도록 OCR 센서(116)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다양한 센서부(110)로부터의 건물 내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정보 수집 장비(130)가 제2 정보 수집 장비(15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통신인 LoRa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LoRa 모듈을 적용할 경우에는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에는 저전력 송신기(134)를 구비하고, 제2 정보 수집 장비(150)에는 저전력 수신기(15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이중화된 정보 수집 장비 중 제1 정보 수집 장비로 수신하고,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와 제2 정보 수집 장비(130) 사이에는 저전력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센싱값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음영 지역을 감소시키고,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전송하기 위하여 각 센서들에서 통신을 위한 전력 소모를 줄여줌으로써 센서들의 사용시간을 늘려주고 보다 정확한 센싱값을 수집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복수의 센서부(110)로부터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면서 복수의 센서부(110)로부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1차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건물 내 다양한 장소에서 수집되는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의 제1 디스플레이부(132)에 의해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환경 정보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저전력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 음역 없이도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로 복수의 센싱값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전력량계(155)가 설치된 영역의 인접 영역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의 크기가 커서 다양한 개소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부(110)를 설치할 경우에는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복수의 개소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전력량계(155)가 설치된 영역에 설치되고, 건물의 전력량계(155)가 복수개 존재하더라도 전력량계(155)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1개소에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를 설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2 정보 수집 장비(1500를 복수의 장소에 복수 개 설치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를 운영하더라도 그 중에 하나의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복수의 센싱값을 수집하고, 해당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집하며, 이렇게 수집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전력 정보를 WiFi,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된 원격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구현한 프로토 타입 모델에 대한 사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는 함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함체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132)를 구비한다. 함체의 내부에는 제1 마이크로 컨트롤러(131), 제1 전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디지털 유량계(114)를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의 함체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마이크로 컨트롤러(131)와 제1 디스플레이부(132)는 제1 PC로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PC(131, 132)는 제1 전원부(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1 PC(131, 132)는 저전력 송신부(LoRa Sender, 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전원부(133)는 제1 PC(131, 13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디지털 유량계(114)에도 구동 전압(5볼트)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33)는 220볼트 AC 전원을 인가받아서 12볼트로 변환하는 12V SMPS를 구비할 수 있고, 5V 단자대를 구비하여 12볼트 전압을 5볼트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33)는 이상 전압이나 전류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정보 수집 장비를 구현한 프로토 타입 모델에 대한 사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함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함체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152)를 구비한다. 함체의 내부에는 제2 마이크로 컨트롤러(151), 제2 전원부(153), 전력 미터기(155) 및 게이트웨이(15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2 정보 수집 장비(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수집 장비(130)로부터 건물의 환경 정보의 센싱값을 저전력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과 해당 건물의 전력 정보를 WiFi 또는 LTE 등의 방식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원격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정보 수집 장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마이크로 컨트롤러(151)와 제2 디스플레이부(152)는 제2 PC로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PC(151, 152)는 제2 전원부(1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2 PC(151, 152)는 저전력 수신부(LoRa Receiver, 1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전원부(153)는 제2 PC(151, 15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전력 미터기(155)에도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부(153)는 220볼트 AC 전원을 인가받아서 12볼트로 변환하는 12V SMPS를 구비할 수 있다. 전력 미터기(155)에 의해서 감지된 전력 정보와 제1 정보 수집 장비(130)에서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원격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SMGW Data Gateway(1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미터기(155)에 연결되는 전류 트랜스포머 센서(CT sensor, 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을 설치한 프로슈머 1(100-1), 컨슈머 1(100-2) 프로슈머 2(100-3) 및 컨슈머 2(100-4) 들은 웹을 통해서 원격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1 내지 100-4)은 원격 서버(200)로 에너지 소비 데이터, IoT 센서 데이터, 태양광 발전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 서버(200)는 가상 발전소 서버(210)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서버(200) 전력 거래 서버(220)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서버(200)는 개인간의 전력 거래를 위한 P2P 전력 거래 서버(230)를 구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P2P 전력 거래 서버(230)에 의해서 운영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를 통해서 개인 간의 전력 거래 또는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 등을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이벤트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관리하고 운영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건물 환경 정보를 탈중앙화하여 처리하는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탈중앙화된 정보 수집 전송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ation Application : DApp)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탈중앙화된 정보 수집 전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건물 내 환경 정보 수집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하기 위한 웹 페이지 상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시킨다.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웹 페이지 상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시켜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IoTDet()를 호출하고, 트랙젝션을 생성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300)로 배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로컬 풀 노드(Local Full Node), 피어 풀 노드(Peer Full Node), 채굴 노드(Mining Node) 및 피어 풀 노드(Peer Full Node)로 구성될 수 있다. 로컬 풀 노드는 트랙젝션(Transcation, From :0xcba, User : 3)을 전달 받고, 트랜젝션을 검증한 뒤 피어 노드(Peer Full Node)로 전파한다. 피어 풀 노드(Peer Full Node)는 트랜젝션을 검증하고 채굴 노드(Mining Node)로 전파한다. 채굴 노드(Mining Node)는 트랜젝션을 새로운 블록에 배치하고 블록을 피어 풀 노드(Peer Full Node)로 전파한다. 피어 풀 노드는 블록 유효성을 검사하고, 실행한 뒤 피어 노드로 전파하고, 로컬 풀 노드(Local full node)로 전파한다. 인터넷을 통해서 블록을 처리 결과를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면, 블록을 처리하는 동안에 IoTSenConfirmation 이벤트를 실행시키고, 웹 페이지 상에 결과를 표시한다.
도 13은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민팅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일정한 주기로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하고,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를 인터넷으로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로컬 풀 노드(Local Full Node)으로 전파한다. 로컬 풀 노드(Locall Full node)는 연결된 다른 채굴 노드(Mining Node) 및/또는 풀 노드(Full Node) 등으로 전파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센싱 노드(301)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성하는 풀 노드(302), 피어 노드(303), 채굴 노드(304), 풀 노드(305), 피어 노드(306) 및 풀 노드(307)과 일대일(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노드 단말은 다양한 구현체(예, C++, Ruby, Java, Go, Python 등)로 구축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풀 노드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풀 노드(302)는 클라이언트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Client)는 JSON-RPC API, 클라이언트 프로세스(Client Process), EVM 및 메모리 풀(Memory Poo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지역 풀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전파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로컬 풀 노드(302)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예, tx id : 0x677a)를 전달할 수 있다. 로컬 풀 노드(302)는 전달받은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를 메모리 풀(Memory Pool)에 저장하고, EVM에 의해서 해당 컨트랙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유효한 트랜젝션으로 판단하고, 해당 트랜젝션을 피어 노드(303)를 경유하여 채굴 노드(304)로 전달한다.
도 17은 지역 풀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컨트랙트를 전파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피어 노드(303)는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예, tx id : 0x677a)를 마이닝 노드(304)로 전달하고, 메모리 풀(Memory Pool)에 로딩한다. 이후에 메모리 풀에서 EVM으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예, tx id : 0x677a)를 로딩한다. EVM은 해당 컨트랙트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효한 컨트랙트일 경우에는 해당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풀 노드(305)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블록에 대해서 참여 노드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해당 블록을 기존의 블록 체인에 연결하여 신규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은 채굴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건물 내 환경 정보 센싱 스마트 컨트랙트를 전파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채굴 노드(304)는 풀 노드(305)로 신규 블록을 전달하고 해당 블록을 EVM에 로딩한 뒤, EVM에 의해서 해당 블록에 포함된 트랜젝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해당 블록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풀 노드(305)는 유효한 블록으로 판단할 경우에 해당 블록을 피어 노드(306)로 전파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모든 복수의 노드 단말에 의해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해당 블록을 생성한 채굴 노드에게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의한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신재생 에너지를 위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고, 빌딩, 공장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웹 플랫폼으로 구축되서 웹 서비스와 데이터 분석기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웹 플랫폼 상에서 운영되는 토폴로지, 상태 추정, 전압관리, 고장예측, 고장제어 및 알고리즘 관리 등의 운영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발전-수요 예측, 전력 가격 및 정산 관리, DR 운영, 전력 거래 시장 운영 등의 전력 시장을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은 절감 효과 분석, 경제성 분석, 에너지 효율 분석, 이웃 저장간 사용량 비교, 고객서비스, 알림 서비스, 설비 성능 & 수명관리 및 어드바이저 서비스 등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여 다른 응용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100)에 의해서 구현되는 웹 플래폼 중 웹 서버와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서버의 기능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표이다.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110 : 센서부
130 : 제1 정보 수집 장비
150 : 제2 정보 수집 장비
200 : 원격 서버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0)

  1.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내 다른 영역으로 저전력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 및
    건물의 전력량계의 설치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와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로부터 저전력 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건물 외의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포함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디지털 유량 센서 또는 아날로그 유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날로그 유량 센서에 부착되서 상기 아날로그 유량 센서에 표시되는 유량 정보를 광학 문자 인식 방식으로 수집하는 OCR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
    LoRa 모듈, NB-IoT 모듈 및 Cat M1 모듈 중 하나로 구성된 저전력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는, LoRa 모듈, NB-IoT 모듈 및 Cat M1 모듈 중 하나로 구성된 저전력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수집 장비는,
    WiFi, 3G, 4G, 5G, 6G 또는 차세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전력 정보 및 상기 센싱값을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송신기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패킷화하여 상기 저전력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수신기는, 상기 저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패킷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수집 장비는,
    복호화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라 패킷화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는,
    복호화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과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TCP/IP 방식에 따라 패킷화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10. 센서부, 제1 정보 수집 장비, 제1 정보 수집 장비를 포함하는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건물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건물 내 다른 영역으로 저전력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수집된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상기 수신된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수집 장비에 의해서 상기 건물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상기 건물의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값을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185435A 2021-12-22 2021-12-22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95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35A KR20230095699A (ko) 2021-12-22 2021-12-22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35A KR20230095699A (ko) 2021-12-22 2021-12-22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99A true KR20230095699A (ko) 2023-06-29

Family

ID=8694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435A KR20230095699A (ko) 2021-12-22 2021-12-22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69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957B1 (ko) 2016-12-23 2019-05-10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소규모 분산자원 전력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개시스템
KR102103412B1 (ko) 2018-10-28 2020-05-29 한국전력정보(주) 소규모 분산 전력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33034B1 (ko) 2018-01-23 2020-07-10 한국전력정보(주) 실시간 수집된 수요자 부하 정보를 이용하는 스마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KR102248727B1 (ko) 2019-12-13 2021-05-06 주식회사 두두원 멀티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력 IoT 게이트웨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957B1 (ko) 2016-12-23 2019-05-10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소규모 분산자원 전력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개시스템
KR102133034B1 (ko) 2018-01-23 2020-07-10 한국전력정보(주) 실시간 수집된 수요자 부하 정보를 이용하는 스마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KR102103412B1 (ko) 2018-10-28 2020-05-29 한국전력정보(주) 소규모 분산 전력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48727B1 (ko) 2019-12-13 2021-05-06 주식회사 두두원 멀티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력 IoT 게이트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62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nergy usage in buildings
US20130116952A1 (en) Power meter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laying reading derived from the same
Mir et al. Review on smart electric metering system based on GSM/IOT
JP6030561B2 (ja) スマートなエネルギー消費のためのリソース測定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用いた方法
Chen et al. Real-time, appliance-level electricity use feedback system: How to engage users?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US10139437B2 (en) Apparatus,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easuring
Alsalemi et al. A micro-moment system for domestic energy efficiency analysis
KR20190053433A (ko) 수도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15129B2 (en)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OADR) endpoint device
KR20120071170A (ko) 에너지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289B1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US11482861B2 (en) Apparatus,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easuring
JP2006174609A (ja) 太陽光発電における発電データ管理方法
KR20070099976A (ko) 고정 ip가 할당된 자동 원격검침 미터의 망 관리 시스템
KR20230095699A (ko) 건물 내 환경 정보 통합 수집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aari et al. Embedded Linux controlled sensor network
Mourtzis et al. Personalized services for smart grids in the framework of Society 5.0: A smart university campus case study: Smart campus
Mufassirin et al. Development of IOT based smart energy meter reading and monitoring system
JP2012161167A (ja) グリーンエネルギー認証システム
Bahatskyi et al. Smart Home Subsystem for Calculating the Quality of Public Utilities
JP7127461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0964108B1 (ko)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8572A (ko) 에너지하베스팅과 ess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 홈 운영 시스템
Yahya et al. Low cost data acquisition system for electrical secondary distribu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