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528A -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 Google Patents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528A
KR20230095528A KR1020210185102A KR20210185102A KR20230095528A KR 20230095528 A KR20230095528 A KR 20230095528A KR 1020210185102 A KR1020210185102 A KR 1020210185102A KR 20210185102 A KR20210185102 A KR 20210185102A KR 20230095528 A KR20230095528 A KR 2023009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loor
noise
floor structure
buff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3306B1 (en
Inventor
고효진
최영락
김용로
구본수
홍성신
구정모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06B1/en
Publication of KR2023009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2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을 억제하여 공진을 제어하는 한편,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제1슬래브와 슬래브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슬래브를 합성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전체 두께 증가 없이 중량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은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는 제1슬래브와 제2시멘트 복합체로 상기 제1슬래브의 상부에 타설되는 무근인 제2슬래브로 구성되는 합성 슬래브; 상기 합성 슬래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패널; 및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된 마감모르타르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sonance by suppressing the plate vib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or structure communicates, while synthesizing a first slab that plays a structural role and a second slab f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lab.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impact nois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loor structure.
The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the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in an apartment house, and includes a first slab and a second cement composi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first cement composite. A composite slab composed of a second slab that is unrooted and placed on top of the slab; a buffer panel provided on top of the composite slab;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panel and having ventilation holes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of the buffer pane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Description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을 억제하여 공진을 제어하는 한편,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제1슬래브와 슬래브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슬래브를 합성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전체 두께 증가 없이 중량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sonance by suppressing the plate vib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or structure communicates, while synthesizing a first slab that plays a structural role and a second slab f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lab.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impact nois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loor structure.

최근 주거용 건물로서 공동주택이 일반화되면서 세대 간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분쟁이 증가하는 등 층간소음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ecently, as apartment buildings have become common as residential buildings, noise between floors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such as increasing disputes between neighbor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between households.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바닥충격음은 크게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경량충격음과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중량충격음으로 분류된다.Floor impact noise that causes inter-floor noise is largely classified into light impact sound caused by light and hard impact and heavy impact sound caused by heavy and soft impact.

경량충격음은 일시적으로 거주자를 놀라게 하지만 잔향이 없어 불쾌감이 상대적으로 적은 데 비해, 중량충격음은 발생 시 잔향이 남아 심한 불쾌감과 정신적 고통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공동주택에서 특히 큰 문제가 되고 있다.Light impact sounds temporarily startle residents, but they do not have reverberation and cause relatively little discomfort, whereas heavy impact sounds tend to leave reverberations and cause severe discomfort and mental pain, which is a particularly big problem in apartment houses.

저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인 중량충격음은 슬래브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소음으로, 슬래브의 두께, 밀도, 강성, 지지 조건 등에 의한 슬래브의 동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Weight impact sound, which is a low-frequency impact sound, is a noise transmitted by slab vibrat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lab due to the thickness, density, stiffness, and support conditions of the slab.

종래에는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완충재와 모르타르층 및 마감재를 순서대로 적층하였다(공개특허 제10-2018-0029335호 등).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s, a buffer material, a mortar layer, and a finishing material we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a concrete slab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9335, etc.).

그러나 완충재 시공은 경량충격음 저감에는 효과적이나 슬래브 판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중량충격음 저감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the buffer material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light weight impact sound, there is a limit to the reduction of the weight impact sound transmitted by the vibration of the slab plate.

특히, 이러한 바닥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완충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와 모르타르층은 차폐 부재로서, 완충재 내부 미세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가 하부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부의 모르타르층 사이에 갇히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 상부 가진 시, 상부 모르타르층의 판 진동이 갇힌 공기에 의해 하부 콘크리트 슬래브 층으로 전달되어 충격음 저감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such a floor structure, a buffer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mortar layer. Here, the concrete slab and the mortar layer are shielding members, and the air present in the micropores inside the cushioning material is trapped between the lower concrete slab and the upper mortar layer. Accordingly, when the upper floor is excited, the plate vibration of the upper mortar lay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oncrete slab layer by the trapped air, thereby reducing the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by half.

한편,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해 바닥 두께를 벽식 구조나 무량판 구조인 경우 210㎜ 이상, 라멘 구조인 경우 150㎜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해 바닥 구조체 위에 설치되는 완충재의 성능을 경량충격음에 대해 58dB 이하, 중량충격음에 대해 50d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lock floor impact sound, the floor thickness is limited to 210 mm or more for wall-type or non-removable plate structures and 150 mm or more for ramen structur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floor structure to absorb impact sound is reduced. It is regulated to be less than 58dB for impact sound and less than 50dB for heavy impact sound.

이러한 규정은 슬래브 두께가 바닥충격음, 특히 중량충격음과 큰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se regulations mean that the slab thickness has a great relationship with the floor impact sound, especially the weight impact sound.

그러나 210㎜를 초과하여 바닥 두께를 더욱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충격음 차단 성능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However, even if the floor thickness is further increased beyond 210 mm, the impact sound blocking performance effect is very limited.

또한, 충격음 저감을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층고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콘크리트 물량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is increased to reduce the impact sou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loor height and the amount of concrete increases, which reduces economic feasibil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을 억제하여 공진을 제어할 수 있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low-frequency resonance control breathable floor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resonance by suppressing plate vib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or structure communicat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posite floor system.

본 발명은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제1슬래브 상부에 슬래브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슬래브를 합성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전체 두께 증가 없이 중량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impact nois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loor structure by synthesizing a second slab f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lab on top of the first slab that plays a structural ro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posite floor system.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는 제1슬래브와 제2시멘트 복합체로 상기 제1슬래브의 상부에 타설되는 무근인 제2슬래브로 구성되는 합성 슬래브; 상기 합성 슬래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패널; 및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된 마감모르타르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in apartment houses, with a first slab and a second cement composi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first cement composite, and the second cement composite is unrooted and placed on top of the first slab. composite slabs made up of slabs; a buffer panel provided on top of the composite slab;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panel and having ventilation holes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of the buffer panel. It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슬래브는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시멘트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lab is formed of a weight cement composite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 / m or more .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감모르타르층은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ortar layer is formed by weight mortar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m or mor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래브의 상면은 조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is roughen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통기구는 완충패널을 관통하여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holes penetrate the buffer panel and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buffer panel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do.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충패널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공기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panel,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protrusions, and the ventilation hole is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layer. It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통기구는 마감모르타르층의 내부에 매립되는 가이드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 hole is formed by a guide pipe buried inside the finishing mortar lay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은 완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관의 하부 외주면에는 완충패널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buffer panel,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pened toward the buffer panel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Provided i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floor structur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ip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par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충패널 및 마감모르타르층의 측단부와 벽체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가 형성된 측면완충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 side buffer is formed between the side end of the buffer panel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and the wall, one end of which is open to the buffer panel and the other end is open to the top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Provided i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래브의 상부에는 건식 벽체가 설치되어 제2슬래브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a dry wall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slab to divide the second slab.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슬래브는 분리대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lab is divided by a sepa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합성 슬래브 상부에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이 차례대로 구비되되, 마감모르타르층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기구가 구비된 바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구에 의하여 완충패널이 구비된 층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마감모르타르층의 진동이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공진을 억제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r system in which a buffer panel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slab, and ventilation holes penetrating the finishing mortar layer vertically are provided. Therefore, since the air inside the layer equipped with the buffer pan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t is possible to reduce inter-floor noise by suppressing the resonanc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being transferred to the concrete floor slab.

둘째, 상부 하중을 수직 부재로 전달하는 구조 부재인 제1슬래브 상부에 슬래브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슬래브를 합성함으로써, 고유진동수 대역을 낮은 쪽으로 이동시켜 바닥 구조의 전체 두께 증가 없이 중량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Second, by synthesizing a second slab for increasing the slab weight on top of the first slab, which is a structural member that transmits the upper load to the vertical member, the natural frequency band is moved to the lower side to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loor structure. can do.

셋째, 완충패널의 하면에 돌부가 형성되는 경우, 이웃하는 돌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하여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바닥충격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Third, whe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ffer panel, an air layer formed between neighboring protrusions can offset an impact excitation from the upper portion, so that floor impact sound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바닥 구조 고유진동수와 중량충격음 가진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상하부완충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완충패널 관통형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가이드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균열 유무에 따른 중량충격음 실험을 위한 합성 슬래브를 나타내는 사진.
도 14는 건식 벽체에 의한 제2슬래브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 함수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분리대에 의한 제2슬래브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loor structure and the excitation frequency of the weight impact sou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upper and lower buffer panels are provid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pip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the guide tube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panel through-type guide tub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the guide pipe of Fig. 7;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guide tub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 is formed by the guide pipe of Fig. 10;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composite slab for a weight impact sound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vided state of a second slab by drywall;
15 is a graph showing surfac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results over time.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slab is divided by a separator;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은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철근(111)이 배근되는 제1슬래브(11)와 제2시멘트 복합체로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타설되는 무근인 제2슬래브(12)로 구성되는 합성 슬래브(1); 상기 합성 슬래브(1)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패널(2); 및 상기 완충패널(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된 마감모르타르층(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etc., the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the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in an apartment house, and the reinforcing bar 111 is placed inside the first cement composite. A composite slab (1) composed of 1 slab (11) and a second cement composite slab (12) cast on top of the first slab (11); A buffer panel (2) provided on top of the composite slab (1);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ffer panel (2) and having ventilation holes (H) penetrating vert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H)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을 억제하여 공진을 제어하는 한편,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제1슬래브(11)와 슬래브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슬래브(12)를 합성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전체 두께 증가 없이 중량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sonance by suppressing the plate vib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a ventilation hole (H) in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or structure communicate, while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first slab 11 and the slab that plays a structural role. It is to provide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impact nois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loor structure by synthesizing the second slab 12 for the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합성 슬래브(1), 완충패널(2) 및 마감모르타르층(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composite slab (1), a buffer panel (2)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3).

상기 합성 슬래브(1)는 하부의 제1슬래브(11)와 상부의 제2슬래브(12)가 합성되어 형성된다.The composite slab 1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slab 11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slab 12 at the top.

상기 제1슬래브(11)는 상부 하중을 벽체나 기둥과 같은 수직 부재로 전달하는 구조 부재로, 제1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철근(111)이 배근된다.The first slab 11 is a structural member that transmits an upper load to a vertical member such as a wall or a column, and reinforcing bars 111 are reinforced inside the first cement composite.

상기 제1슬래브(11)를 구성하는 제1시멘트 복합체는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며, 제1슬래브(11) 자체로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를 어느 정도 발휘할 수 있다. The first cement composite constituting the first slab 11 can be configured by including cement, fine aggregate, and coarse aggregate as binders, and the first slab 11 itself can exert an effect of reducing weight impact sound to some extent.

상기 제2슬래브(12)는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타설된다. The second slab 12 is cast on top of the first slab 11.

상기 제2슬래브(12)는 제2시멘트 복합체 타설에 의해 형성된다. The second slab 12 is formed by pouring a second cement composite.

상기 제2슬래브(12)는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슬래브(1)의 충격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어서 철근이 배근되지 않는 무근 부재로 구성된다.The second slab 12 does not play a structural role, but is intended to improve the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slab 1, and is composed of an unreinforced member without reinforcing bars.

상기 제2슬래브(12)의 합성에 의해 바닥 구조의 고유진동수 대역을 낮은 쪽을 이동시킴으로써 중량충격음 가진파와의 공명을 방지할 수 있다. Resonance with excitation waves of weight impact sound can be prevented by moving the natural frequency band of the floor structure to the lower side by the synthesis of the second slab 12 .

기존 바닥 구조에서는 전기 또는 설비 배관 매립을 위해 별도의 바닥층이 구비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제2슬래브(12)의 내부에 전기 또는 설비 배관 매립이 가능하므로, 배관 매립을 위한 별도의 바닥층을 생략할 수 있다. In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a separate floor layer is provided for electrical or facility piping. Unlike th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embed electrical or facility pipes inside the second slab 12, a separate bottom layer for burying pipes can be omitted.

이에 따라 합성 슬래브(1)의 전체 두께를 기존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더라도 전체적인 층고 증가가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mposite slab 1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xisting concrete slab,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overall floor height does not increase.

상기 합성 슬래브(1)를 구성하는 하부의 제1슬래브(11)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상부에 타설된다. 이에 제1시멘트 복합체 타설 시 거푸집 처짐으로 인해 상면 평활도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The lower first slab 11 constituting the composite slab 1 is cast on top of the formwork after installing the formwork.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match the smoothness of the upper surface due to deflection of the formwork when placing the first cement composite.

이 경우 완충패널(2)이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면, 제1슬래브(11)의 처짐으로 인해 완충패널(2) 하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밀폐 공간에 갇힌 공기에 의해 탄성계수가 커지고, 이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uffer panel 2 is directly installed on top of the first slab 11, a sealed space is formed under the buffer panel 2 due to the sagging of the first slab 11.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s due to the air trapped in the confined space, and thus the floor impact sound increases.

그런데 제2슬래브(12)는 이미 경화되어 강성이 강한 제1슬래브(11) 상부에 제2시멘트 복합체를 타설하여 형성되므로, 제2시멘트 복합체 경화 중 처짐 발생 우려가 없다. However, since the second slab 12 is formed by pouring the second cement composite on top of the first slab 11, which is already hardened and has high rigidity, there is no concern about sagging during curing of the second cement composite.

따라서 상기 제2시멘트 복합체를 고유동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면, 셀프레벨링을 통한 합성 슬래브(1)의 상면 평활도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합성 슬래브(1) 상부에 완충패널(2) 설치 시, 완충패널(2) 하부의 공기층 발생을 방지하여 바닥충격음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second cement composit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fluidit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moothness of the top surface of the composite slab 1 through self-leveling. In addition, when the buffer panel 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ynthetic slab 1, an increase in floor impact sound can be suppressed by preventing an air layer from occurring under the buffer panel 2.

상기 제2시멘트 복합체는 셀프레벨링에 의한 평활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로우치 230~270㎜ 범위의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in the range of 230 to 270 mm in flow value so that the smoothness can be adjusted by self-leveling for the second cement composite.

하중의 크기, 바닥 구조의 면적, 중량충격음 저감 목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슬래브(11)는 120~210㎜ 두께로 형성하고, 제2슬래브(12)는 30~120㎜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lab 11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20 to 210 mm and the second slab 12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30 to 120 m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oad, the area of the floor structure, and the target for reducing weight impact noise. there is.

상기 합성 슬래브(1)의 상부에는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고 단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완충패널(2)이 시공된다.A buffer panel 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slab 1 to reduce floor impact sound and secur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고유동성의 제2시멘트 복합체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제2슬래브(12)에 의해 바닥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상면 평활도를 맞춘 상태에서, 제2슬래브(12)의 상부에 완충패널(2)을 설치한다. 이로써, 완충패널(2)은 구조체인 제1슬래브(11)와 뜬바닥 구조를 형성한다. With the second slab 12 formed by pouring the second cement composite of high fluidity on the top of the first slab 11, in a state where the bottom thickness is constant and the top smoothness is matched, the second slab 12 Install the buffer panel (2) on the top. As a result, the buffer panel 2 forms a floating bottom structure with the first slab 11 as a structure.

상기 완충패널(2)의 상부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없이 마감모르타르층(3)이 바로 시공된다.On the top of the buffer panel 2, a finishing mortar layer 3 is directly constructed without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따라서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없이 완충패널(2)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2슬래브(12)와 마감모르타르층(3)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중량충격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slab 12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are provided in duplicate o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buffer panel 2 without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respectively, so that weight impact nois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기존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부에 난방배관을 설치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단열 성능에 의해 난방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대신 마감모르타르층(3) 하부에 위치하는 완충패널(2)의 단열 성능에 의해 난방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heating pipes were installed on top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to improve heating efficiency due to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Unlik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heating efficiency can be secured by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ffer panel 2 located under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nstead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아울러 제2슬래브(12) 내부에 전기 배관을 매립 설치하면, 완충패널(2)이 난방 배관의 열을 차단하여 전기 배관 주변 온도가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pipe is embedded and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lab 12, the buffer panel 2 blocks heat from the heating pipe to prevent the temperature around the electric pipe from exceeding the allowable temperature.

선타설 기초모르타르층이 시공되는 경우, 기초모르타르층은 두께 20~60㎜, 완충패널(2)은 두께 40㎜ 이상, 마감모르타르층(3)은 두께 35~6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re-casting base mortar layer is constructed, the base mortar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20 to 60 mm, the buffer panel 2 has a thickness of 40 mm or more,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has a thickness of 35 to 60 mm.

상기 마감모르타르층(3)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된다.Ventilation holes H penetrating vertically are formed in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

상기 통기구(H)는 하부는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되고, 상부는 마감모르타르층(3) 상면 측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바닥 구조 상부에서 가진 시, 완충패널(2)이 구비된 층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H)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그러므로 마감모르타르층(3)의 진동이 하부의 합성 슬래브(1)로 전달되어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hole (H) is opened to the side of the buffer panel (2),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Accordingly, when held at the top of the floor structure, the air inside the layer provided with the buffer panel 2 escap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H). Therefore, the vibration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s transmitted to the synthetic slab 1 below, and resonanc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아울러 상기 통기구(H) 자체가 가진점에서 마감모르타르층(3) 자체의 진동이 수평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해하여 투과 손실(transmission loss)을 높임으로써 충격음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is exhibited 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loss by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the vibration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tsel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point that the ventilation hole H itself has.

상기 통기구(H)는 거실 외곽 측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ventilation holes H may be formed toward the outside of the living room.

아래 [표 1] 은 KS 기준 측정 방법에 의한 바닥충격음의 역A값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단위 dB).[Table 1] below i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nverse A value of floor impact sound by the KS standard measurement method (unit dB).

구분division 뱅머신bang machine cheek tab 통기구 미형성no vent formation 48.148.1 44.744.7 48.848.8 통기구 형성vent formation 47.947.9 43.543.5 48.548.5 차이difference -0.2-0.2 -1.2-1.2 -0.3-0.3

뱅머신, 볼, 탭에 의해 각각 측정한 결과, 통기구(H) 형성시 각각에 대해 0.2dB, 1.2dB, 0.3dB 바닥충격음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bang machine, the ball, and the tap,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or impact sound was reduced by 0.2dB, 1.2dB, and 0.3dB, respectively, when the ventilation hole (H) was formed.

상기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부에는 마감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A finishing panel 4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

상기 마감패널(4)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끼워 맞추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강화마루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감모르타르층(3)에 부착 시공되는 강마루 등일 수 있다.The finishing panel 4 may be a prefabricated laminated floor that is fitt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or a steel floor that is attached to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using an adhesive.

상기 마감패널(4)이 강화마루인 경우, 강화마루의 패널 사이 틈새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통기구(H)를 통해 빠져나온 공기는 강화마루패널 사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finishing panel 4 is a laminated floor, there is a gap between panels of the laminated floor. Therefore, the air escap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aminated floor panels.

상기 마감패널(4)이 강마루인 경우, 접착제 도포 시 접착제 자체에 골을 형성함으로써 골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finishing panel 4 is a steel floor,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valleys by forming valleys in the adhesive itself during adhesive application.

도 1,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2) 및 마감모르타르층(3)의 측단부와 벽체(6)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71)가 형성된 측면완충재(7)가 구비될 수 있다.1, 3, etc., between the side end of the buffer panel 2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and the wall 6, one end is open to the buffer panel 2 side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 side cushioning material 7 having a side vent 71 open to the top of the mortar layer 3 may be provided.

최근 공동주택 중량 바닥충격음이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824호에서는 바닥 마감모르타르가 벽에 직접 닿지 않게 바닥 마감모르타르와 벽체(6) 사이에 측면완충재(7)를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floor impact sound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wall of an apartment hous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No. 2016-824 installed a side buffer (7) between the floor finishing mortar and the wall (6) so that the floor finishing morta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wall. are required to be built.

상기 측면완충재(7)를 이용하여 바닥 단부 측을 통해서도 완충패널(2) 측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측면완충재(7)에 측면통기구(71)를 형성할 수 있다.A side vent 71 may be formed in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7 so that air on the side of the buffer panel 2 is discharged even through the bottom end side by using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7 .

상기 측면통기구(71)는 측면완충재(7)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인 하부가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되어 완충패널(2)이 구비된 층과 연통되고, 타단인 상부가 개방된다.The side vents 71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7, and one e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ward the buffer panel 2 and communicates with the layer provided with the buffer panel 2, and the other end, the upper part, opens to the buffer panel 2. It is open.

상기 측면통기구(71)의 상부는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부로 개방되게 구비된다. The upper part of the side vent 71 is provided open to the upper part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도 2는 바닥 구조 고유진동수와 중량충격음 가진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natural frequency of a floor structure and the excitation frequency of a weight impact sound.

상기 제2슬래브(12)는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시멘트 복합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lab 12 may be formed of a cement composite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m 3 or more.

고유진동수는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바닥 구조의 질량을 증가시키면 고유진동수 대역을 낮은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충격음 가진파와의 공명(공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콘크리트 슬래브는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해 구조적으로 필요한 두께보다 훨씬 두껍게 설계되고 있다. Since the natural frequenc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mass, increasing the mass of the floor structure moves the natural frequency band to a lower side, thereby preventing resonance (resonance) with the excitation wave of the weight impact sound. However, existing concrete slabs are designed to be much thicker than structurally necessary to reduce weight impact noise.

따라서 합성 슬래브(1)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질량을 증가시켜 중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2슬래브(12)를 고밀도로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slab 12 can be configured with high density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by increasing the mass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slab 1 .

이에 따라 구조적 역할을 하는 하부의 제1슬래브(11)는 하중을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최소화하면서도 중량충격음 저감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전체적인 바닥 구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층고 절감도 가능다. Accordingly, the lower first slab 11, which plays a structural role, can be minimized to a thickness that can support the load and prevent sagging, while reducing the weight impact soun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overall floor structure can be reduced to increase the floor height Savings are also possible.

상기 제2슬래브(12)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부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슬래브(1)의 질량을 증가시켜 중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2슬래브(12)를 형성하는 제2시멘트 복합체는 굵은 골재 없이 결합재인 시멘트와 잔골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lab 12 does not serve as a structural member supporting a load, but is intended to reduce weight impact noise by increasing the mass of the composite slab 1. Therefore, the second cement composite forming the second slab 12 may be composed of only cement and fine aggregate as binders without coarse aggregate.

상기 제1슬래브(11)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수준의 2300㎏/㎥의 단위중량을 갖도록 구성하고, 제2슬래브(12)는 2300~2700㎏/㎥의 밀도로 제1슬래브(11)보다 고밀도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slab 11 is configured to have a unit weight of 2300 kg / m 3 at the level of general concrete, and the second slab 12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slab 11 with a density of 2300 to 2700 kg / m 3 can do.

상기 제2슬래브(12)가 상기 수치 범위의 단위용적 중량을 만족할 때, 도 2의 (a) 및 (b)에서와 같이 바닥 구조의 고유진동수(f0) 대역이 낮은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공명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층간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slab 12 satisfies the unit volume weight in the numerical range, the natural frequency (f 0 ) band of the floor structure moves to the lower side, as shown in (a) and (b) of FIG. 2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inter-floor nois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resonance phenomenon.

이 경우 합성 슬래브(1)의 고유진동수 피크 지점 주파수와 중량충격음 가진주파수 피크 지점 주파수와의 차가 32~125Hz 범위 이내가 되며, 이러한 범위에서 층간소음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point frequency of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composite slab 1 and the peak point frequency of the excitation frequency of the weight impact sound is within the range of 32 to 125 Hz, and in this range,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is large.

아래 [표 2] 는 제2슬래브의 중량 증가에 의한 중량충격음 저감 결과를 나타낸다. [Table 2] below shows the results of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econd slab.

제1슬래브 두께 210㎜ 기준으로 제2슬래브 두께가 30㎜, 40㎜, 50㎜일 때 중량충격음을 측정하였다. Weight impact sound was measured when the second slab thickness was 30 mm, 40 mm, and 50 mm based on the first slab thickness of 210 mm.

측정 결과, 제2슬래브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2.1dB, 2.8dB, 3.4dB의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a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lab increases, the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of 2.1 dB, 2.8 dB, and 3.4 dB, respectively, is exerted.


Hz

Hz

기존 슬래브

existing slab
합성 슬래브composite slab
제2슬래브 30㎜
(중량 +80㎏/㎡)
2nd slab 30mm
(Weight +80kg/㎡)
제2슬래브 40㎜
(중량 +100㎏/㎡)
2nd slab 40mm
(Weight +100kg/㎡)
제2슬래브 50㎜
(중량 +130㎏/㎡)
2nd slab 50mm
(Weight +130kg/㎡)
6363 82.682.6 80.880.8 80.380.3 79.879.8 125125 70.470.4 67.667.6 66.766.7 66.066.0 250250 61.961.9 59.459.4 58.758.7 58.158.1 500500 54.754.7 53.853.8 53.153.1 52.452.4 역A값inverse A value 55.055.0 52.952.9 52.252.2 51.651.6 저감(dB)reduction (dB) -2.1-2.1 -2.8-2.8 -3.4-3.4

상기 마감모르타르층(3)은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nishing mortar layer 3 may be formed by weight mortar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m 3 or more.

바닥 구조의 질량을 증가시켜 중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해 마감모르타르층(3)을 고밀도로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by increasing the mass of the floor structure,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may be configured with a high density.

이를 위해 단위중량이 2100㎏/㎥인 일반적인 모르타르보다 단위중량이 큰 중량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weight mortar having a unit weight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mortar having a unit weight of 2100 kg/m 3 may be used.

이 경우 중량모르타르는 단위중량 2300㎏/㎥ 이상을 사용하며, 2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중량이 2600㎏/㎥를 초과할 경우, 자중 증가로 인해 구조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도하게 증가된다.In this case, the unit weight of mortar is 2300 kg/m3 or more, preferably 2600 kg/m3 or less. When the unit weight exceeds 2600 kg/m 3 , the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excessively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dead weight.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면은 조면 처리 가능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can be roughened.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2슬래브(12)를 제1슬래브(11)와 견고하게 부착하여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가 일체화된 부재로 거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ximize the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it is preferable to firmly attach the second slab 12 to the first slab 11 so that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behave as an integrated member. .

이를 위해 상기 제2슬래브(12) 형성을 위한 제2시멘트 복합체를 타설하기 전에 기 타설된 제1슬래브(11)의 상면을 조면 처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may be roughened prior to pouring the second cement composite for forming the second slab 12 .

즉,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면을 거친 면 처리하여 제2슬래브(12)와 제1슬래브(11) 사이 강한 부착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ecure strong adhesion between the second slab 12 and the first slab 11 by rough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

아래 [표 3] 은 제1슬래브와 제2슬래브를 분리한 경우와 일체화한 경우의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존 슬래브와 제1슬래브의 두께는 210㎜이고, 제2슬래브의 두께는 150㎜이다. [Table 3] below compares the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when the first slab and the second slab are separated and integrated. Here, the thickness of the existing slab and the first slab is 21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lab is 150 mm.


Hz

Hz

기존 슬래브

existing slab
합성 슬래브composite slab
제1,2슬래브 분리
(제2슬래브 50㎜)
Separation of the 1st and 2nd slabs
(2nd slab 50mm)
제1,2슬래브 부착
(제2슬래브 50㎜)
1st and 2nd slab attached
(2nd slab 50mm)
6363 82.682.6 80.680.6 79.879.8 125125 70.470.4 67.167.1 66.066.0 250250 61.961.9 58.958.9 58.158.1 500500 54.754.7 5353 52.452.4 역A값inverse A value 55.055.0 52.552.5 51.651.6 저감(dB)reduction (dB) -2.5-2.5 -3.4-3.4

상기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 사이에 절연층(비닐)을 구비하여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를 완전 분리한 경우보다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제2슬래브(12)를 부착 시공한 경우, 중량충격음이 0.9dB 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y providing an insulating layer (vinyl) between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the first slab 11 is more stable than when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are completely separated. When the second slab 12 was attached to the top and constructed, it was found that the weight impact sound was reduced by about 0.9 dB.

상기 제1슬래브(11) 상면에 대한 조면 처리는 제1슬래브(11) 경화 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성을 위해 제1슬래브(11)가 완전 경화하기 전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제1슬래브(11) 상면을 조면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oughen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may be performed after the first slab 11 is cured. In addition, for workability, it is also possible to rough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using an appropriate tool before the first slab 11 is completely hardened.

상기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슬래브(11)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제2시멘트 복합체를 타설하여 제2슬래브(12)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integrity of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a primer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and then a second cement composite is poured to form the second slab 12. You may.

물론 별도의 조면 처리 없이, 제1슬래브(11)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만으로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를 일체화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may be integrated only by applying a prim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without a separate roughening treatment.

도 3은 본 발명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H)는 완충패널(2)을 관통하여 완충패널(2)과 마감모르타르층(3)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ventilation holes H may pass through the buffer panel 2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buffer panel 2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

상기 통기구(H)를 완충패널(2)까지 연장 형성하면, 바닥 가진 시 완충패널(2)이 구비된 층의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공진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ventilation hole H is formed to extend to the buffer panel 2, the air of the layer provided with the buffer panel 2 is mor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floor is vibrated, and resonance contro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 통기구(H)가 완충패널(2)까지 연장되면, 통기구(H)와 완충패널(2)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공기 배출 효율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저주파 공진 제어 효과가 증진된다.When the vent hole H extends to the buffer panel 2,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ent hole H and the buffer panel 2 is widened, resulting in excellent air discharge efficiency, thereby enhancing the low-frequency resonance control effect.

도 4는 상하부완충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upper and lower buffer panels are provi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2)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21) 사이에 공기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H)는 상기 공기층(22)과 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uffer panel 2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so that an air layer 22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protrusions 21, and the ventilation hole H is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layer 22.

상기 완충패널(2)의 하면에는 복수의 돌부(21)가 돌출 형성되어 돌부(21) 사이에 공기층(2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이 상쇄되어 효율적으로 바닥충격음을 줄일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21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ffer panel 2 so that an air layer 22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21, so that the shock excitation from the upper part is offset and floor impact sound can be effectively reduced. .

이 경우 통기구(H)를 돌부(21) 사이의 공기층(2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완충패널(2)이 구비된 층의 공기를 적극적으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저주파 공진 제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ntilation hole H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layer 22 between the protrusions 21 to actively discharge the air of the layer equipped with the buffer panel 2 to the outside, thereby enhancing the low-frequency resonance control effect of the floor structure. can make i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2)은 하부완충패널(2a)과 상부완충패널(2b)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buffer panel 2 may have a dual structure of a lower buffer panel 2a and an upper buffer panel 2b.

이때, 하부완충패널(2a)의 하면에는 제1돌부(21a)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고, 상부완충패널(2b)의 하면에는 제2돌부(21b)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a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uffer panel 2a,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1b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uffer panel 2b.

각 돌부(21a, 21b)는 서로 이격 형성되어 제1돌부(21a) 사이 및 제2돌부(21b) 사이에는 각각 제1공기층(22a)과 제2공기층(22b)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rotrusions 21a and 21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first air layer 22a and a second air layer 22b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21a and the second protrusion 21b, respectively.

상기 완충패널(2)이 상하부완충패널(2a, 2b)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이중 공기층(22a, 22b)에 의해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이 상쇄되므로, 바닥충격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When the buffer panel 2 is composed of a double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buffer panels 2a and 2b, the shock excitation from the upper part is offset by the double air layers 22a and 22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by making the floor impact sound more efficient. can be reduced

일반적으로 완충패널로 많이 사용되는 EPS 등의 연질완충재는 소재 자체로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은 우수하지만, 하중 작용 시 처짐 및 잔류 변형이 크다. 이에 연질완충재만으로 완충 구조를 형성하면 사용성이 떨어진다. In general, soft cushioning materials such as EPS, which are widely used as buffer panels, have excellent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as a material itself, but have large deflection and residual deformation under load. Therefore, if the buffer structure is formed only with the soft buffer material, the usability is reduced.

예를 들어, EPS는 밀도가 16㎏/㎥에 불과하여 국부적인 하중에 큰 변형이 발생한다. For example, EPS has a density of only 16 kg/m3, which causes large deformation under local load.

반면, 경질완충재는 처짐이나 잔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동탄성계수가 높아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이 떨어져 완충패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hard cushioning material hardly causes deflection or residual deformation, but has a high dynamic elastic modulus and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buffer panel because of its poor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예를 들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로, 동탄성계수가 높아 125Hz에서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이 떨어진다.For example,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is a 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ethylene and vinyl acetate monomers, and has a high dynamic elastic modulus, resulting in poor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at 125 Hz.

따라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하부완충패널(2a, 2b)을 연질완충재와 경질완충재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닥충격음 전달을 줄이면서도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figuring the upper and lower buffer panels 2a and 2b stacked vertically by combining a soft buffer material and a hard buff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floor impact sound transmission and minimize deflection.

즉, 연질완충재는 연질 소재 자체의 충격음 저감 성능과 돌부(21) 사이의 공기층(22)에 의해 바닥충격음을 저감한다. That is, the soft cushioning material reduces floor impact sound by the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soft material itself and the air layer 22 between the protrusions 21 .

본 발명에서는 연질완충재와 경질완충재를 조합하여 상하부완충패널(2a, 2b)을 구성함으로써, 기존 단일 소재 완충재에 비해 연질완충재의 두께가 감소해 처짐 및 잔류 변형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질완충재의 두께 감소로 인한 충격음 저감 성능 저하는 경질완충재 하부의 공기층(22)에 의해 보완되어 전체적으로 충분한 충격음 저감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upper and lower buffer panels 2a and 2b by combining a soft buffer material and a hard buffer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soft buffer material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ngle material buffer material, thereby minimizing problems caused by sagging and residual deformation. In addition, the decrease in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due to the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oft shock absorber can be compensated by the air layer 22 under the hard shock absorber to exhibit sufficient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as a whole.

이때, 연질완충재가 하부에 구비되고, 경질완충재가 상부에 구비되면, 경질완충재의 돌부(21) 가압에 의해 하부 연질완충재에 처짐이 발생한다. 이에 경질완충재의 돌부(21)가 연질완충재에 묻혀 충분한 공기층(22)이 형성되지 못한다.At this time, when the soft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and the hard buffer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deflection occurs in the lower soft cushioning material by pressing the protruding part 21 of the hard buffering material. Accordingly, the protrusions 21 of the hard cushioning material are buried in the soft buffering material so that a sufficient air layer 22 is not formed.

따라서 하부완충패널(2a)을 경질완충재로, 상부완충패널(2b)을 연질완충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완충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공기층(22a)과 제2공기층(22b)을 충분히 확보하여 바닥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buffer panel 2a may be formed of a hard buffer material and the upper buffer panel 2b may be formed of a soft buffer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floor impact noise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first air layer 22a and the second air layer 22b while minimizing deformation of the buffer structure.

상기 하부완충패널(2a)은 EVA로 구성할 수 있다. EVA는 밀도가 50㎏/㎥로, 재료의 조직이 치밀하여 접지면적 대비 큰 하중이 작용해도 반발력과 지지력이 높다.The lower buffer panel 2a may be made of EVA. EVA has a density of 50 kg/m3, and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is dense, so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compared to the ground area, the repulsive force and bearing capacity are high.

상기 상부완충패널(2b)은 EPS로 구성할 수 있다. EPS은 낮은 탄성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EPS를 사용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단열 성능도 확보할 수 있다.The upper buffer panel 2b may be made of EPS. EPS has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due to its low elasticity. In addition,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floor structure can be secured by using EPS.

결과적으로 상부 충격에 대해 상부완충패널(2b)에서 1차로 진동을 저감하고, 상부완충패널(2b)의 제2돌부(21b)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irst reduce the vibration in the upper buffer panel 2b against the upper impact, and minimiz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by the second protrusion 21b of the upper buffer panel 2b.

도 5는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tub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 is formed by the guide tube of FIG. 5 .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H)는 마감모르타르층(3)의 내부에 매립되는 가이드관(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ventilation hole H may be formed by a guide pipe 5 buried inside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

상기 통기구(H)는 마감모르타르층(3)을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부 배관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마감모르타르층(3) 타공 시 배관 손상의 우려가 있다. The ventilation hole (H) may be formed by perforating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lower pip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pipe when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s perforated.

따라서 신설 바닥에서는 마감모르타르층(3) 타설 시 통기구(H)를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거푸집 역할을 하는 가이드관(5)에 의해 통기구(H)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on a new floor, it is preferable to form a ventilation hole (H) together when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s poured.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hole (H) can be formed by the guide pipe (5) serving as a formwork.

상기 가이드관(5)은 PVC, 지관 등으로 제작 가능하며, 상하가 개방된 원형, 각형 등의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pipe 5 can be made of PVC, paper pipe, etc., and can be formed in a cross section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rismatic shape with open top and bottom.

상기 가이드관(5)의 상단이 마감모르타르 타설 시 마감모르타르층(3) 내부로 완전 매립되어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관(5)은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면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5 from being completely buried inside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when the finishing mortar is poured, to prevent the hole from being clogged, the guide pipe 5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by a predetermined height. can form

상기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면 위로 돌출된 가이드관(5) 부분은 마감모르타르층(3) 시공 완료 후 현장에서 절단 가능하다. The portion of the guide pipe 5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can be cut on site after completion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construction.

상기 가이드관(5)을 설치면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가이드관(5)의 하단에는 플랜지(51)가 형성될 수 있다. A flange 51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tube 5 to stably mount the guide tube 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도 7은 완충패널 관통형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panel through-type guide tube,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the guide tube of FIG. 7 .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5)의 하단은 완충패널(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관(5)의 하부 외주면에는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5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5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buffer panel 2, and a plurality of holes open toward the buffer panel 2 are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5. A ventilation hole 52 may be formed therethrough.

상기 통기구(H)를 완충패널(2)까지 관통하여 연장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관(5)은 완충패널(2)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xtending the ventilation hole H through the buffer panel 2, the guide tube 5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buffer panel 2.

이때, 상기 완충패널(2)의 내부 또는 이웃하는 돌부(21) 사이 공기층(2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관(5)의 외주면에는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52)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pened toward the buffer panel 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5 so that the air inside the air layer 22 between the inside of the buffer panel 2 or the adjacent protrusions 21 can be discharged. (52) can be formed.

이 경우 마감모르타르층(3) 타설 시 가이드관(5) 내부로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공(52)은 완충패널(2) 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holes 52 may be provided only on the side of the buffer panel 2 to prevent mortar from flowing into the guide pipe 5 when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s placed.

도 9 내지 도 11은 가이드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guide pipe,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nt is formed by the guide pipe of FIG. 10 .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5)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to 12 ,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ipe 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상기 가이드관(5)은 완충패널(2)을 미리 타공한 후 타공된 구멍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이드관(6) 고정을 위해 별도로 완충패널(2)을 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시공이 번거롭다.The guide tube 5 may be fixed by inserting a perforated hole in the buffer panel 2 in advance. However, in this case, it is cumbersome to construct the shock absorbing panel 2 separately because it is necessary to perforate the guide pipe 6 in order to fix it.

따라서 상기 가이드관(5)의 하부를 좁게 형성하면, 완충패널(2)을 먼저 설치한 후 가이드관(5)의 하부를 완충패널(2)의 상부에 꽂아 가이드관(5)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ipe 5 is formed narrowly, the position of the guide pipe 5 is simplified by installing the buffer panel 2 first and then inserting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ipe 5 into the upper part of the buffer panel 2. can be fix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5)은 역원뿔 형상이나 역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가이드관(5)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guide pipe 5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cone shape or an inverted truncated cone shap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guide tube 5 by cutting the cylinder obliquely.

도 11과 같은 형태의 가이드관(5)은 절단된 하부면에도 복수의 통기공(52)을 형성할 수 있다.The guide pipe 5 of the form shown in FIG. 11 may also form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2 on the cut lower surface.

도 13은 균열 유무에 따른 중량충격음 실험을 위한 합성 슬래브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4는 건식 벽체에 의한 제2슬래브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 함수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ynthetic slab for weight impact soun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vided state of a second slab by drywall, and FIG. 15 is a surfac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result over time. It is a graph that represent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부에는 건식 벽체(8)가 설치되어 제2슬래브(12)를 분할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 a dry wall 8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slab 11 to divide the second slab 12 .

상기 제2슬래브(12)에 균열이 발생하면 중량충격음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When a crack occurs in the second slab 12, the weight impact sound tends to increase.

또한, 상기 제2슬래브(12)에 균열이 발생하면, 제1슬래브(11)와 제2슬래브(12)의 일체성이 떨어지면서 중량충격음에 불리하게 작용한다.In addition, when a crack occurs in the second slab 12, the integrity of the first slab 11 and the second slab 12 is deteriorate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weight impact sound.

실제 제2슬래브(12)에 균열이 있는 경우(도 13의 (a))와 균열이 없는 경우(도 13의 (b))의 중량충격음을 비교한 결과, 제2슬래브(12)에 균열이 없는 경우에 중량충격음이 2.5dB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eight impact sound between the case where the second slab 12 actually has a crack (FIG. 13(a)) and the case where there is no crack (FIG. 13(b)), the crack in the second slab 12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impact sound was reduced by 2.5 dB in the absence.

따라서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해 제2슬래브(12)의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second slab 12 in order to reduce weight impact noise.

이를 위해 도 14에서와 같이, 바닥 구조 상부에 설치되는 건식 벽체(8)를 이용하여 제2슬래브(12)를 평면상 분할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4 , the second slab 12 may be divided in plan by using the drywall 8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structure.

상기 건식 벽체(8)에 의해 제2슬래브(12)가 분할되어 길이가 단축되므로, 제2슬래브(12)의 구간별 수축량이 감소하여(수축률은 동일) 균열을 저감하고 제1슬래브(11)와의 부착 성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slab 12 is divided by the drywall 8 and the length is shortened, the amount of shrinkage for each section of the second slab 12 is reduced (the shrinkage rate is the same) to reduce cracking and the first slab 11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adhesion performance with the

상기 제2슬래브(12)를 구성하는 제2시멘트 복합체는 중량잔골재와 시멘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cement composite constituting the second slab 1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heavy fine aggregate and cement.

상기 제2슬래브(12)는 구조 부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슬래브의 중량을 증가시켜 중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며, 유동성 확보를 통한 셀프레벨링이 가능하도록 굵은 골재 없이 5㎜ 이하의 잔골재만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slab 12 does not serve as a structural member, but is intended to reduce weight impact noise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lab, and is configured by mixing only fine aggregates of 5 mm or less without coarse aggregates to enable self-leveling through securing fluidity. can do.

상기 중량잔골재는 KS 인증 골재 중 밀도 2.9~4.0g/㎤인 골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fine weight aggregate may use an aggregate having a density of 2.9 to 4.0 g/cm 3 among KS-certified aggregates.

상기 중량잔골재는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모르타르층을 중량화하여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면서도 적정 강도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중량잔골재는 탄성계수가 높아 수축량을 저감한다.The weighted fine aggregate allows the mortar layer to be weighted within the above numerical range to effectively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while exhibiting appropriate strength. In addition, the weight fine aggregate has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and reduces the amount of shrinkage.

상기 중량잔골재는 풍쇄슬래그(PS Ball, 약 3.8g/㎤), 전기로 산화슬래그(약 3.6g/㎤), 동슬래그(약 3.5g/㎤), 연슬래그(약 3.5g/㎤), 페로니켈슬래그(약 3.1g/㎤) 및 고로슬래그(약 2.9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vy fine aggregate is wind mill slag (PS Ball, about 3.8 g / cm 3), electric furnace oxidized slag (about 3.6 g / cm 3), copper slag (about 3.5 g / cm 3), soft slag (about 3.5 g / cm 3), ferro At least one of nickel slag (about 3.1 g/cm 3 ) and blast furnace slag (about 2.9 g/cm 3 ) may be included.

제2시멘트 복합체로 제2슬래브 시공 시, 일반잔골재를 사용하면 탄성계수가 9.4E+03MPa이나 중량잔골재를 사용하면 탄성계수가 1.2E+04MPa로 23% 증가된다.When constructing the second slab with the second cement composite,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9.4E+03MPa when the general fine aggregate is used, but the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s by 23% to 1.2E+04MPa when the heavy fine aggregate is used.

이에 따라 균열발생량은 일반잔골재 사용 시 62.9㎜/㎡로 측정된 반면, 중량잔골재 사용 시 14.9㎜/㎡로 측정되어 76%의 균열 저감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mount of crack generation was measured as 62.9mm/m2 when using normal fine aggregate, while it was measured at 14.9mm/m2 when using heavy fine aggregate, resulting in a crack reduction effect of 76%.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 조직이 치밀한 중량잔골재 사용 시에는 부재 내부의 수분이 건조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In addition,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moisture inside the member to dry when using heavy fine aggregate, which has a dense structure due to its high density.

이에 도 15의 표면 함수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량잔골재 사용 시(High Density)에는 제2시멘트 복합체의 내부 습도를 천천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내부의 밀실한 양생을 유도하여 수축과 균열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can be seen in the graph showing the surfac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result of FIG. 15, when using the heavy fine aggregate (High Density),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second cement composite can be slowly reduced, and the internal curing is induced to cause shrinkage. and cracking can be reduced.

결합재인 시멘트는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도는 3500±100㎠/g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cement as a binder, one typ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r the like can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ness is 3500 ± 100 cm 2 / g.

도 16은 분리대에 의한 제2슬래브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lab is divided by a separator.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슬래브(12)는 분리대(9)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second slab 12 may be divided by a separator 9.

상기 제2슬래브(12)의 균열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슬래브(11) 상부에 복수의 분리대(9)를 종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2슬래브(12)를 적절한 면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cracking of the second slab 12, the second slab 12 can be divided into appropriate area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eparators 9 on the top of the first slab 11 in the longitudinal and/or transverse directions. can

상기 분리대(9)는 제2슬래브(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폭은 70~200㎜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separator 9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econd slab 12, and preferably has a width of about 70 to 200 mm.

상기 분리대(9)로 PE 등과 같은 완충 효과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경우, 바닥 충격하중을 분산시켜 중앙 집중 충격하중으로 인한 최대 음압레벨을 낮출 수 있다.When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effect such as PE is used as the separator 9, the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due to the centralized impact load can be reduced by dispersing the floor impact load.

1: 합성 슬래브 11: 제1슬래브
111: 철근 12: 제2슬래브
2: 완충패널 2a: 하부완충패널
2b: 상부완충패널 21: 돌부
21a: 제1돌부 21b: 제2돌부
22: 공기층 22a: 제1공기층
22b: 제2공기층 3: 마감모르타르층
4: 마감패널 5: 가이드관
51: 플랜지 52: 통기공
6: 벽체 7: 측면완충재
71: 측면통기구 8: 건식 벽체
9: 분리대 H: 통기구
1: composite slab 11: first slab
111: rebar 12: second slab
2: buffer panel 2a: lower buffer panel
2b: upper buffer panel 21: protrusion
21a: first projection 21b: second projection
22: air layer 22a: first air layer
22b: second air layer 3: finishing mortar layer
4: finishing panel 5: guide pipe
51: flange 52: vent hole
6: wall 7: side buffer
71: side vent 8: drywall
9: separator H: vent

Claims (12)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철근(111)이 배근되는 제1슬래브(11)와 제2시멘트 복합체로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부에 타설되는 무근인 제2슬래브(12)로 구성되는 합성 슬래브(1);
상기 합성 슬래브(1)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패널(2); 및
상기 완충패널(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된 마감모르타르층(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t is intended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s,
A composite slab composed of a first slab 11 in which reinforcing bars 111 are reinforced inside the first cement composite and a second slab 12 that is unreinforced and cast on top of the first slab 11 as a second cement composite (One);
A buffer panel (2) provided on top of the composite slab (1); and
A finishing mortar layer (3) provided on the top of the buffer panel (2) and having ventilation holes (H) penetrating vertically;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제1항에서,
상기 제2슬래브(12)는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시멘트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second slab 12 is a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 weight cement composite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 / m 3 or more.
제1항에서,
상기 마감모르타르층(3)은 단위중량 2300㎏/㎥ 이상의 중량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i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weight mortar having a unit weight of 2300 kg / m or more.
제1항에서,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면은 조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ab (11) is roughened.
제1항에서,
상기 통기구(H)는 완충패널(2)을 관통하여 완충패널(2)과 마감모르타르층(3)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ventilation hole (H) penetrates the buffer panel (2) and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buffer panel (2)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ynthetic floor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system.
제5항에서,
상기 완충패널(2)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21) 사이에 공기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H)는 상기 공기층(22)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buffer panel 2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so that an air layer 22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protrusions 21, and the vent hole H communicates with the air layer 22.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제5항에서,
상기 통기구(H)는 마감모르타르층(3)의 내부에 매립되는 가이드관(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ventilation hole (H) i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guide pipe (5) buried inside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제7항에서,
상기 가이드관(5)의 하단은 완충패널(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관(5)의 하부 외주면에는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52)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7,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5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buffer panel 2,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2 open to the buffer panel 2 are form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tube 5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제8항에서,
상기 가이드관(5)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8,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tube (5) is configured to have a narrower diameter toward the lower part.
제1항에서,
상기 완충패널(2) 및 마감모르타르층(3)의 측단부와 벽체(6)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2)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3)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71)가 형성된 측면완충재(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Between the side end of the buffer panel (2) and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and the wall (6), one end is open to the side of the buffer panel (2) and the other end is open to the top of the finishing mortar layer (3).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7) having a ventilation hole (71) is provided.
제1항에서,
상기 제1슬래브(11)의 상부에는 건식 벽체(8)가 설치되어 제2슬래브(12)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an air perme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a dry wall (8)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lab (11) to divide the second slab (12).
제1항에서,
상기 제2슬래브(12)는 분리대(9)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second slab (12) is a synthetic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using a breathable floor structure for controlling low-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by a separator (9).
KR1020210185102A 2021-12-22 2021-12-22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KR102553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102A KR102553306B1 (en) 2021-12-22 2021-12-22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102A KR102553306B1 (en) 2021-12-22 2021-12-22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528A true KR20230095528A (en) 2023-06-29
KR102553306B1 KR102553306B1 (en) 2023-07-06

Family

ID=8694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102A KR102553306B1 (en) 2021-12-22 2021-12-22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0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08Y1 (en) * 2004-11-03 2005-02-03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a crashing sound in apartment house
KR20110048500A (en) * 2011-04-20 2011-05-11 (주)칠칠공사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which uses the non-exposure rooftop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crack prevention sheet and that crack prevention sheet
KR101391396B1 (en) * 2013-12-27 2014-05-02 최근호 Noise-proof flooring structure
KR101574200B1 (en) * 2015-05-13 2015-12-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viding floor structure for impact noise red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70036918A (en)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포스코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21119B1 (en) * 2020-08-12 2021-02-26 윤이중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KR102249118B1 (en) * 2020-07-15 2021-05-07 가림종합건설 주식회사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08Y1 (en) * 2004-11-03 2005-02-03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a crashing sound in apartment house
KR20110048500A (en) * 2011-04-20 2011-05-11 (주)칠칠공사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which uses the non-exposure rooftop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crack prevention sheet and that crack prevention sheet
KR101391396B1 (en) * 2013-12-27 2014-05-02 최근호 Noise-proof flooring structure
KR101574200B1 (en) * 2015-05-13 2015-12-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viding floor structure for impact noise red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70036918A (en)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포스코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49118B1 (en) * 2020-07-15 2021-05-07 가림종합건설 주식회사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2221119B1 (en) * 2020-08-12 2021-02-26 윤이중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306B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999A (en) Complex floor structure for damping and isolation of floor impact sound
CN102926476A (en) Sound insulation board
KR100827425B1 (en) Ondo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27424B1 (en) Ondo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53306B1 (en) Composite floor system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CN214575092U (en) Combined sound insulation wall
CN206328924U (en) Low frequency flexibility acoustical insulation floor
KR100931511B1 (en) Soundproof and adiabatic unit between the storeys of a structure
KR102137373B1 (en) Heating panel including noise damp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EP3594425B1 (en) A load-bearing wall structure
CN105908894B (en) The compound floor of fireproof heat insulating noise elimination
KR102553305B1 (en) Floor structure for low frequency resonance control
KR100827841B1 (en) anel for protecting Noise between stories and Bottom Structure for Noise-Proof using the Same
FI89398C (en) Procedure for improving the sound insulation ability of a cavity-seen building plate and building plate combination with good sound insulation ability
CN212506960U (en) Prefabricated coincide floor of assembled of bathroom
KR200374808Y1 (en)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a crashing sound in apartment house
KR100611184B1 (en) Separate/dua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of wall-type apar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such floor structure
CN210828046U (en) Formwork-free composite heat-insulation sound-proof board
KR100831998B1 (en) High strength concrete with high heat insulation capacity and floor stuructue for insulating muti-level impact sound using the same
KR102214059B1 (en) Noise Absorption Structure Of Slab Concrete Using Impact Mitigating Part
Garg et al. Design considerations of building elements for traffic and aircraft noise abatement
KR20230028667A (en) Composite slab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KR100827426B1 (en) Ondo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60078348A (en) Isolating multi panels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building
JPH10292610A (en) Sound-proof flo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