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184A -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5184A KR20230095184A KR1020210184300A KR20210184300A KR20230095184A KR 20230095184 A KR20230095184 A KR 20230095184A KR 1020210184300 A KR1020210184300 A KR 1020210184300A KR 20210184300 A KR20210184300 A KR 20210184300A KR 20230095184 A KR20230095184 A KR 202300951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bbles
- macro
- ultra
- fine
- porous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5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group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GNFTZDOKVXKIBK-UHFFFAOYSA-N 3-(2-methoxyethoxy)benzohydrazide Chemical compound COCCOC1=CC=CC(C(=O)NN)=C1 GNFTZDOKVXKIBK-UHFFFAOYSA-N 0.000 claims 1
- FGUUSXIOTUKUDN-IBGZPJMESA-N C1(=CC=CC=C1)N1C2=C(NC([C@H](C1)NC=1OC(=NN=1)C1=CC=CC=C1)=O)C=CC=C2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NC([C@H](C1)NC=1OC(=NN=1)C1=CC=CC=C1)=O)C=CC=C2 FGUUSXIOTUKUDN-IBGZPJMESA-N 0.000 claims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1 nanobub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MGWGWNFMUOTEHG-UHFFFAOYSA-N 4-(3,5-dimethylphenyl)-1,3-thiazol-2-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2N=C(N)SC=2)=C1 MGWGWNFMUOTE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superoxide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41 combus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ZSVVCFHMVMYCR-UHFFFAOYSA-N 2-pyridin-2-ylpyridine;ruthenium Chemical group [Ru].N1=CC=CC=C1C1=CC=CC=N1.N1=CC=CC=C1C1=CC=CC=N1.N1=CC=CC=C1C1=CC=CC=N1 BZSVVCFHMVMY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53 Brownian motion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BUYRJDOAKODT-UHFFFAOYSA-N Chlorine Chemical compound ClCl KZBUYRJDOAKO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6 acid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7 brownian mo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1 health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UZPPFZMUPKLLV-UHFFFAOYSA-N methane;hydrate Chemical compound C.O VUZPPFZMUPKL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2 phot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5 surface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7 surfac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driven stirrers with completely immersed stirr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 B01J35/00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2—Water
- C04B22/0053—Water added in a particular physical form, e.g. atomised or in the gas ph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04B38/1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by adding preformed foa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2—Controlling the process of mixing, e.g. adding ingredients in a quantity depending on a measured or desired valu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2—Set accel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61—Materials containing photocatalysts, e.g. TiO2, for avoiding staining by air pollutant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광촉매를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시, 매크로기포를 사용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초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콘크리트 내에 나노 공극을 형성하여 시멘트 수화물이 용이하게 생성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분말의 적절한 분산과 기포제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가 광촉매 분말에 의해 소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광촉매를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시, 매크로기포(Macro Bubble)를 사용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이와 함께 초미세기포(Ultra Fine Bubble)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 도로이동오염원이나 산업용 보일러나 발전설비와 같은 고정원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탄화수소 유도체류와 반응하여 광화학 스모그(Smog)를 유발하거나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유해 대기오염물질이다.
국내의 경우, 최근 차량 운행대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차량 배기가스량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고, 또한, 중국 동부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편서풍을 따라 유입되는 대기 오염물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의 대기오염을 급격히 악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소산화물(NOx)에 의한 대기오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사회적으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질소산화물(NOx)은 대도시나 공장지대에서 심각한 대기 공해를 야기시키는 성분으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이산화질소(NO2)는 주요한 위험 성분으로서 대기중에 50ppm 정도의 존재로 생체의 사멸을 초래하며, 0.05∼0.2ppm 사이의 낮은 농도에 서도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보다 낮은 대기중 농도에서도 대기중의 수분 및 탄화수소류와의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대도시의 가장 심각한 문제중의 하나인 스모그 현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 중에서는 대부분의 질소산화물(NOx)이 고온에서 비교적 안정한 일산화질소(NO)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상온에서는 쉽게 이산화질소(NO2)로 산화되어 공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및 장치 내에서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주로 배연탈질 기술 및 연소방법의 변경 기술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질소산화물(NOx)의 제어는 황산화물의 제어와는 달리 연소 방법의 변경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공해 차량 제조 기술만에 의존하여 대기오염 증가를 극복 내지 완화시키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더욱이 차량의 주요 배출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공해물질(PM:Particulate Materials)의 발생은 상호 교환적 변경 관계에 있어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저감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중에 배출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질소산화물(NOx)이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RV(Recreation Vehicle)차량을 중심으로 디젤차의 증가에 따라 내호흡기에 악영향을 주는 질소산화물(NOx) 증가가 우려된다. 각국의 질소산화물(NOx) 환경설정기준을 살펴보면, 국내의 이산화질소에 대한 환경기준치는 0.05ppm으로서 WHO의 권고기준 0.021ppm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에 따라 이러한 기준치는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광촉매란 용어는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반응에 직접 참여하여 소모되지 않으며, 기존 광반응에 따른 메커니즘 경로를 제공하여 반응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것을 광촉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산화티탄(TiO2)으로 대표되는 광촉매는 반도체 물질로서, 빛을 받아 생성되는 공유띠 정공과 여기된 전도띠 전자가 계면에서 전자전이를 일으킴으로써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광촉매로서 이산화티탄(TiO2)은 일정한 영역의 에너지(3.2eV 이상, 388nm 이하의 파장)가 가해지면 전자가 가전자대(Valence band)에서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된다. 이때 전도대에는 전자(e-)들이 형성되고, 가전자대에는 전공(h+)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자와 정공은 강한 산화작용 또는 환원작용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리시키는 등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전자와 전공은 각각 O2와 H2O와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티탄(TiO2) 표면에 슈퍼옥사이드음이온(O2 -)과 수산라디칼을 형성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전체적인 메커니즘은 수산라디칼뿐만 아니라 공유대 전공, 전도대 전자, 산소 분자 등이 관련되는 일련의 산화환원 표면반응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일어나므로, 광촉매 분해 메커니즘은 대상물질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일반화시키기 매우 어려우며,
특히, 반응속도가 다른 환경정화공법에 비하여 느린 편이므로 고농도의 환경정화 방법에 비하여 저농도의 오염물질 제거에는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광에너지에 의한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광촉매로서, 이산화티탄(TiO2) 외에도 루테늄트리스비필리딜, ZnO, ZrO2, CdS, WO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이산화티탄(TiO2)은 그 자체가 빛에 의해 분해되거나 촉매독 현상이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염소 기체나 오존보다 높은 산화력을 갖고 있어서 강한 살균력을 나타냄과 아울러, 대기와 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오염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산화티탄(TiO2)은 산, 염기, 유기용매 등에 대한 내약품성이 강하여 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지며, 다른 광촉매와는 달리 중독성 및 발암성도 없다.
이러한 이산화티탄(TiO2)은 밴드갭이 약 3eV로서, 태양광의 파장으로 환산시 400nm 이하의파장을 갖는 자외선 영역에 해당한다.
즉, TiO2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여기(exiting) 되어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며, 즉, 밴드 갭에 해당되는 에너지를 가진 빛에 의해 가전자대의 전자가 전도대로 올라가고, 여기된 전자와 정공은 주변의 산소나 수소 혹은 OH- 등과 반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O2 -, 0-, 0, OH 등은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산화반응을 일으키며, 오염물질의 주성분인 유기물질을 분해시키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이 많은 도시 중심은 대기질 악화로 인한 경제 및 보건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산화티탄(TiO2) 기반의 광촉매는 질소 산화물로 오염된 공기의 정화에 유용한 물질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하며, 독성을 유발하지 않아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 기반의 광촉매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여 오염물질의 정화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광촉매가 적용된 콘크리트는 이미 유럽을 포함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정화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지난 20년간 광촉매 시멘트질 재료에 대한 수많은 연구는 주로 질소산화물의 농도 감소에 대한 것들이 많았으나, 이러한 연구만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광촉매를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따른다.
예를 들면, 모르타르 조성물에 이산화티탄 기반의 광촉매를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는 응집이 발생하여 유효 표면적이 감소하고 시멘트의 수화 반응으로 인해 광촉매가 태양광에 대한 활성을 제대로 갖지 못하여 광촉매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광촉매인 이산화티탄을 모르타르 조성물에 그대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양생과정에서 결함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구조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 기반의 광촉매를 모르타르 조성물에 적용하면서도, 이로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함유된 광촉매의 태양광에 따른 활성의 감소를 최소화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 효율이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80294호에는 "내화, 공기질 개선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경량기포 콘크리트 패널에 있어서, 결합재로서 알루미나시멘트, 조강시멘트, 초조강시멘트를 사용하고, 골재로서 규사, 메타카올린, 황토분말을 사용하며, 혼화재료로서 고성능감수제, 광촉매(TiO2) 및 목탄을 사용하고 굴곡강도 개선을 위한 보강섬유와 경량성을 위한 식물성 기포제, 동물성 기포제 또는 합성 기포제를 사용하여 흡음, 차음 및 단열효과 외에도 내화, 공기질 개선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28924호에는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저감용 아스팔트 표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기존에 존재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에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광촉매 물질의 조성물을 분사하고, 그 광촉매 물질의 조성물을 실시간으로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에서 경화시켜서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해줌으로써,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 코팅층에서 질소산화물을 산화시킬 수 있는 아스팔트 표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99085호에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모르타르 조성물로 제조된 콘크리트 소재는 이산화티탄 기반의 광촉매를 포함함에도, 압축강도 및 구조 안정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콘크리트 소재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함유된 이산화티탄 기반의 광촉매의 태양광에 따른 활성 감소를 최소화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 효율이 우수한 광촉매를 포함하는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미세먼지 대표적인 처리기법은 정전기력을 이용한 전기적 집진, 필터방식의 여과 집진, 원심력 집진, 습식집진 등으로 입자형태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이 있다.
초미세먼지 원인물질인 NOx, SOx, NH3, VOCc 등을 제거하기 위해 촉매반응을 활용하지만, 기존 방법의 경우, 세라믹 또는 섬유계열의 필터에 광촉매를 코팅하거나 이산화티탄(TiO2) 분말을 필터로 가공처리하여 사용하므로 악취 제거와 같은 유기물(VOCc) 저감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65450호에는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며, 도 1을 참조하여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로서,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65~85중량부의 굵은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0~60중량부의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우, 광촉매가 태양빛, 자외선(UV) 등의 광원에 노출될 경우, 광활성 반응을 통해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표면에 이온결합하여 흡착된 후, 물에 의해 씻겨 질소산화물(NOx)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포제를 이용한 다공성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5% 희석된 기포제를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매크로기포를 형성하고, 별도의 콘크리트 믹서에 시멘트, 물, 증점제, 감수제, 광촉매((TIO2)를 적정한 비율로 배합한 슬러리를 제조한 후, 미리 만들어놓은 기포를 슬러리에 투입하여 적절히 비빔을 하여 제조한다.
이때, 다량의 매크로기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이 지연되는데, 콘크리트 내에 존재하는 매크로기포가 부풀어 터지면서 수분이 증가하는 역할로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더욱 지연시키고 종국에는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자기형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주저 않게 되는 소포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매크로기포의 소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매크로기포가 꺼지지 않도록 급결제나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여 경화속도를 빨리 하여 매크로의 형상을 유지한 채 콘크리트를 굳히면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에 따르면, 분산성을 향상시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여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TIO2)는 초미세먼지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물질로러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만든 광촉매 콘크리트는 햇빛(자외선)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질소산화물이 흡착하여 산화되면서 염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빗물에 의해 씻겨 제거되는 원리를 갖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우,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만들기 위해 기포제를 사용하고, 질소산화물 흡착을 위해 광촉매(TiO2) 분말을 사용한다. 여기서, 기포제를 이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에 광촉매를 혼입하여 다공성 광촉매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데, 이때, 입경이 나노 크기로 매우 작은 광촉매가 다공성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다량의 매크로기포를 깨뜨려 공극 형성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광촉매(TIO2)를 사용해야 하고, 다공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량의 매크로기포를 콘크리트에 투입해야 하는 상관관계를 해결해야 하므로, 광촉매와 기포제를 함께 혼입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촉매를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시, 매크로기포를 사용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초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콘크리트 내에 나노 공극을 형성하여 시멘트 수화물이 용이하게 생성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분말의 적절한 분산과 기포제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가 광촉매 분말에 의해 소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는,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65~85중량부의 굵은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하되, 상기 매크로기포 배합수는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를 함유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상기 초미세기포 배합수는 초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기포를 함유하여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는, 펌프 및 수압조절밸브를 포함하며,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제어 모듈; 콤프레셔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제어 모듈; 물과 기포제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 모듈; 상기 정량공급 모듈에서 공급되는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매크로기포를 발생하는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 및 상기 물과 공기의 압력,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량공급 모듈은,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압력조절장치와 체크밸브가 설치된 정량공급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한 수조; 상기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하여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초미세기포 구역을 복수 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기; 및 회전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함과 동시에 진동 에너지로 진동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재분쇄하도록 상기 수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상기 분산성 혼화재에 의해 분산성을 향상시킨 이산화티탄-매개담체이고; 상기 분산성 혼화재는 일정한 유동성과 점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감수제 또는 증점제로서, 상기 광촉매 분말이 분산성을 갖도록 혼합되고, 상기 분산된 광촉매 분말이 가라앉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시멘트의 칼슘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이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이온결합하여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이 원활하도록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 표면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매크로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를 형성하는 단계; c) 초미세기포 발생장치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초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및 상기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에 결합재, 굵은골재 및 잔골재를 혼합하는 단계; f) 분산성 혼화재 및 급속 경화재를 혼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에 광촉매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h) 상기 광촉매 분말이 혼합된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경화 및 양생시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의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매크로기포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c) 단계의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초미세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촉매를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시, 매크로기포를 사용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초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콘크리트 내에 나노 공극을 형성하여 시멘트 수화물이 용이하게 생성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분말의 적절한 분산과 기포제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가 광촉매 분말에 의해 소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에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도심 지하터널 공기정화시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에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도심 지하터널 공기정화시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는,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65~85중량부의 굵은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기포 배합수는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를 함유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상기 초미세기포 배합수는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기포를 함유하여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미세기포 배합수는 나노 크기의 기포경을 갖는 기포가 무수히 연행된 배합수를 말한다. 또한, 초미세기포의 특정한 기준이 없어 형성된 기포 중 일부가 나노 크기를 갖는 경우, 초미세기포라고 불리기도 하며, 이러한 초미세기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분해 방식으로 제조된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미세기포는 약 2~3달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분해 방식으로 제조된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포제를 희석하는 물과 슬러리를 만들기 위해서 초미세기포가 연행된 물을 초미세기포 배합수로 사용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상호간에 응집된 초미세기포가 광촉매 입자를 양호하게 잡아주어 광촉매 입자가 침강하거나 서로 간에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내 광촉매 입자를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매크로기포의 경우, 미세입자를 갖는 광촉매 분말에 의해 매크로기포가 쉽게 깨어져 소포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초미세기포 배합수 내의 초미세기포가 나노입자인 광촉매를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다공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미세기포는 콘크리트 내에 나노 공극을 형성하여 시멘트 수화물이 용이하게 생성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이온결합하여 흡착하게 되며, 상기 광촉매 분말은 상기 분산성 혼화재에 의해 분산성을 향상시킨 이산화티탄(TiO2)-매개담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성 혼화재는 일정한 유동성과 점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감수제 또는 증점제로서, 상기 광촉매 분말이 분산성을 갖도록 혼합되고, 상기 분산된 광촉매 분말이 가라앉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초미세원자인 광촉매의 특성상 시멘트와 배합시, 광촉매 입자끼리 재응집하므로, 광촉매의 배합량에 비해 질소산화물(NOx)의 제거율이 낮아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우, 분산성이 향상된 광촉매를 활용하여 시멘트 배합한다.
또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이 원활하도록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 표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우, 광촉매가 태양빛, 자외선(UV) 등의 광원에 노출될 경우, 광활성 반응을 통해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표면에 이온결합하여 흡착된 후, 물에 의해 씻겨 질소산화물(NOx)이 제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를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시, 매크로기포를 사용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초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성을 향상시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여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매크로기포(Macro Bubble)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크기의 기포로서, 50㎛ 이상의 크기를 갖고 빠른 속도로 수면 상승하거나 기화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기포(Micro Bubble)는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크기의 기포로서 0.1㎛ 내지 50㎛의 크기를 갖는 기포로서, 수면 상승 또는 기화 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초미세기포(Ultra-Fine Bubble)는 육안으로 관찰이 힘들 정도의 극히 작은 크기의 기포로서, 0.1㎛ 미만의 크기를 갖고 장시간 수중에서 브라운운동(자율운동)을 하면서 기화되지 않고 수중에서 파열 용해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초미세 기포는 나노기포(Nano Bubble)라고도 한다.
즉, 초미세기포는 그 직경이 1㎛ 미만, 특히 수십에서 수백 ㎚ 크기의 가포를 말하며, 그 특성으로 인하여 초미세기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물은 세정, 살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높은 산소포화도 등으로 농업, 수산업에 적용될 경우 다양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매크로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용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물공급제어 모듈(410), 공기공급제어 모듈(420), 정량공급(Dosing) 모듈(430),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 및 제어 패널(450)을 포함한다.
물공급제어 모듈(410)은 펌프(411) 및 수압조절밸브(412)를 포함하며, 물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공급제어 모듈(410)은 가압펌프(411)로 물을 공급하고, 수압조절밸브(412)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스트레이너 필터를 통과시킨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공급과 차단을 결정하는 단위로 구성되며,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인 정량공급펌프에 안정된 수량수질의 물을 공급한다.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은 콤프레셔(421) 및 솔레노이드 밸브(422)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은 공기 콤프레셔(421)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실험조건에 맞도록 조절하여 발포혼합액과 혼합하는 공기의 공급과 제어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은 공기 콤프레셔(421)의 압력을 실험조건에 따라 조절하는 압력제어장치와 압력계, 차단과 공급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공기중 응축수를 제거하는 스트레이너로 구성될 수 있다.
정량공급 모듈(430)은 물과 기포제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여 정량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은 탱크(431)에 저장된 기포제와 상기 물공급제어 모듈(4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유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0.5∼5%)로 혼합하여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은 정량공급펌프일 수 있고, 혼합액의 안정공급을 위해 압력조절장치와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은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에서 공급되는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매크로기포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은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과 가압공기 접촉으로 발포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은 물과 기포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배출되는 관과 압축공기를 Y 상방합류관으로 혼합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합류부에 균일기포 발생장치를 추가할 수 있고, 상기 Y 상방합류관을 통하여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과 압축공기를 2∼3 Bar로 분사하여 혼합액을 기포화한다.
제어패널(450)은 상기 물과 공기의 압력,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패널(450)은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제어장치와 압력계 모니터링부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물공급 차단스위치와 공기공급 차단 스위치, 각종 배출 밸브 및 압력감지 모니터링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압력감지 모니터링부는 물과 공기의 압력,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용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의 상부에 정량공급 모듈(430),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 및 제어패널(450)이 위치하고,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의 하부에 물공급제어 모듈(410),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이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의 전체 규격은, 예를 들면, 약 650x700x1100㎜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한 수조(510); 상기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하여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초미세기포 구역을 복수 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기(520); 및 회전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함과 동시에 진동 에너지로 진동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재분쇄하도록 상기 수조(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530)는, 상기 수조(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531); 및 상기 회전 샤프트(531)에 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브러쉬(532,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0)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도록 밀폐된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수조(510)는 내부공간이 일정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압력 용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510)는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일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조(510) 내 액체의 초미세기포가 수면으로 부상하여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수조(510) 내에서는 진동기(520), 회전체 및 메쉬 스크린의 작용으로 발생된 초미세기포가 다시 각각의 작용에 의해 연속 재파쇄됨에 따라, 진동기(520)의 주파수와 회전체(530)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가속적으로 다량 생성될 수 있다.
진동기(520)는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조(510) 내 복수의 초미세기포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에너지가 하나의 초점으로 수조(510) 내 액체에 제공되면, 액체에는 초미세기포 구역이 하나로 제한되지만, 진동에너지가 복수의 초점으로 수조(510) 내 액체에 제공되면, 액체에는 초미세기포 구역이 복수로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기(520)는 진동에너지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진동체(521), 적어도 일면이 액체에 접촉가능하게 수조(510) 내 배치되는 진동판(522) 및 진동에너지가 액체에 다초점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진동 전달로드(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동판(522)은 수조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수조에 고정 또는 유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전달로드(523)는 진동체(521)와 진동판(522) 사이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거나, 하나 이상의 진동판(522) 사이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판(522)의 가장자리부와 수조(510)의 내벽 사이에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장치는 수조(510) 내 액체의 수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진동판(522)이 수조(510)의 내벽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복수의 진동 전달로드(523)는 진동판(522)의 타면에 대해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므로, 진동판(522)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초미세기포를 고르게 생성시킬 수 있다.
회전체(530)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조(510)에 설치됨으로써, 수조 내에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분쇄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체(530)는 브러쉬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수조(510) 내 액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530)는 수조(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531), 상기 회전샤프트(531)에 하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는 회전샤프트(531)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브러쉬(532) 및 회전샤프트(531)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 브러쉬(5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러쉬(532)의 길이와 제2 브러쉬(533)의 길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므로, 수조(510) 내 액체는 수조(510) 내에서 일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530)에 의해 분쇄된 초미세기포는 제1 브러쉬(532) 및 제2 브러쉬(533) 간 서로 다른 길이를 통해 수조(510) 내 초미세기포 구역으로 안내될 수 있고, 초미세기포 구역으로 안내된 초미세기포는 진동기(520)의 진동에너지에 의해 더 작은 기포로 재분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 따르면, 배관 내 스케일의 제거 및 슬라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초미세기포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수조의 내부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수조 내 액체 속의 초미세기포이 수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동기의 주파수와 회전체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초미세기포의 생성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에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를 부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초미세먼지(PM2.5)를 일으키는 원인물질들은 가능한 발생지에서 집중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대책이다.
예를 들면, 도심지 터널이나 장대터널의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 감소를 위해 환기시설을 이용하거나 입자 형태의 미세먼지(PM10, PM2.5) 등을 포집 및 집진장치로 처리하는 공기정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기존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필터 및 집진 필터들 구비하지만, 미세먼지(PM10, PM2.5)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초미세먼지는 정화하지 못한 유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는 방법은, 광촉매가 포함된 콘크리트가 광원에 노출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활성 반응을 통해 칼슘(Ca) 성분과 대기 중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표면에 이온결합하여 흡착된 후 물에 의해 씻겨 제거되는 원리를 이용하며, 이에 따라, 다송성 콘크리트 필터를 통해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여 청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건설재료 중 시멘트에는 풍부한 칼슘(Ca)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광촉매 분말을 시멘트계 재료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연구들이 최근 진행되고 있지만,
미세한 입자인 광촉매 특성상 배합 시 내부에서 또다시 광촉매 입자끼리 재응집하기 때문에 광촉매 사용량에 비해 질소산화물(NOx) 제거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성이 향상된 광촉매를 활용한 시멘트계 소재의 필터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입자형태의 미세먼지만을 처리하던 기존 공기정화장치의 한계점인 질소산화물(NOx) 제거문제를 해결하여 매우 효과적인 미세먼지 관리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기존 연구는 세라믹 또는 섬유계열의 필터에 광촉매를 코팅하거나 이산화티탄(TiO2) 분말을 필터 소재로 가공처리한 것으로 악취제거 등의 유기물 분해 효과에만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의 경우, 분산성이 향상된 이산화티탄(TiO2)-매개담체를 사용한 다공성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필터로 개발하여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100)은,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로서, 저수조(110), 물분사 장치(120), 제1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40) 및 자외선 조사기(UV Light)(150)를 포함한다.
저수조(110)는 물분사 장치(120)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물분사 장치(120)에 의해 분사된 물을 취수한 후 다시 물분사 장치(120)에 공급한다.
물분사 장치(120)는 상기 저수조(11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에 물을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분사 장치(120)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21); 상기 분사노즐(12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배관(122); 및 상기 분사노즐(121)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공급배관(122) 사이에 설치되는 순환 펌프(123)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는 광촉매 분말이 포함된 다공성 콘크리트로서, 상기 저수조(110) 상부의 공기 유입부측에 설치된다.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40)는 광촉매 분말이 포함된 다공성 콘크리트로서, 상기 저수조(110) 상부의 공기 배출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의 광촉매 분말은 분산성 혼화재를 혼합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킨 이산화티탄(TiO2)-매개담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각각은,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65~85중량부의 굵은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성 혼화재는 일정한 유동성과 점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감수제 또는 증점제로서, 상기 광촉매 분말이 분산성을 갖도록 혼합되고, 상기 분산된 광촉매 분말이 가라앉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기(150)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내의 광촉매에 광원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는 상기 자외선 조사기(150)에 의해 조사되는 광원에 따른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내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상기 제1 및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130, 140) 표면에 이온결합하여 흡착된 후,
상기 물분사 장치(120)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씻겨내려 상기 질소산화물(NOx)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이 적용되는 도심 지하터널 공기정화시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100)은, 도로 및 공원의 질소산화물(NOx) 저감용 대용량 공기정화시설, 지하철 공기순환 배출구 및 도심 지하터널 공기정화시설 내 질소산화물(NOx) 저감 필터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치된 공기 정화장치(200)에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 지하터널(300)의 환기시설 내부 또는 도심 지하터널(300)의 입자 형태의 미세먼지(PM10, PM2.5)를 포집하여 집진장치로 처리하는 공기정화시설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성을 향상시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여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콘크리트 필터모듈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공기 정화장치 또는 도심 지하터널 환기시설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NOx)을 흡착하여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먼저,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매크로기포를 형성한다(S110),
여기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펌프(411) 및 수압조절밸브(412)를 포함하며,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제어 모듈(410); 콤프레셔(412) 및 솔레노이드 밸브(412)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제어 모듈(420);
물과 기포제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Dosing) 모듈(430);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에서 공급되는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매크로기포를 발생하는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 및
상기 물과 공기의 압력,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은,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압력조절장치와 체크밸브가 설치된 정량공급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서 발생시킨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를 형성한다(S120).
다음으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초미세기포를 형성한다(S130).
여기서,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한 수조(510); 상기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하여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초미세기포 구역을 복수 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기(520); 및 회전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함과 동시에 진동 에너지로 진동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재분쇄하도록 상기 수조(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530)는, 상기 수조(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531); 및 상기 회전 샤프트(531)에 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브러쉬(532, 5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서 발생시킨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형성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및 상기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에 결합재, 굵은골재 및 잔골재를 혼합한다(S150).
다음으로, 분산성 혼화재 및 급속 경화재를 혼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형성한다(S160).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하되,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에 광촉매 분말을 혼합한다(S170).
여기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내의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이온결합하여 흡착한다. 이때,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광촉매분말을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상부 표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촉매 분말이 혼합된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경화 및 양생시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완성한다(S180).
여기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상기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매크로기포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크로기포 발생장치에 초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콘크리트 내에 나노 공극을 형성하여 시멘트 수화물이 용이하게 생성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분말의 적절한 분산과 기포제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가 광촉매 분말에 의해 소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
200: 공기정화장치
300: 도심 지하터널 400: 매크로기포 발생장치
500: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110: 저수조 120: 물분사 장치
130: 제1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140: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150: 자외선 조사기(UV Light) 121: 분사노즐
122: 물 공급배관 123: 순환 펌프
410: 물공급제어 모듈 420: 공기공급제어 모듈
430: 정량공급(Dosing) 모듈 440: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
450: 제어패널 510: 수조
520: 진동기 530: 회전체
521: 진동체 522: 진동판
523: 진동 전달로드 531: 회전샤프트
532: 제1 브러쉬 533: 제2 브러쉬
300: 도심 지하터널 400: 매크로기포 발생장치
500: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110: 저수조 120: 물분사 장치
130: 제1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140: 제2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150: 자외선 조사기(UV Light) 121: 분사노즐
122: 물 공급배관 123: 순환 펌프
410: 물공급제어 모듈 420: 공기공급제어 모듈
430: 정량공급(Dosing) 모듈 440: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
450: 제어패널 510: 수조
520: 진동기 530: 회전체
521: 진동체 522: 진동판
523: 진동 전달로드 531: 회전샤프트
532: 제1 브러쉬 533: 제2 브러쉬
Claims (17)
-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65~85중량부의 굵은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하되,
상기 매크로기포 배합수는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매크로기포를 함유하여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상기 초미세기포 배합수는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기포를 함유하여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펌프(411) 및 수압조절밸브(412)를 포함하며,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제어 모듈(410);
콤프레셔(412) 및 솔레노이드 밸브(412)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제어 모듈(420);
물과 기포제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Dosing) 모듈(430);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에서 공급되는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매크로기포를 발생하는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 및
상기 물과 공기의 압력,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450)을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은,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압력조절장치와 체크밸브가 설치된 정량공급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한 수조(510);
상기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하여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초미세기포 구역을 복수 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기(520); 및
회전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함과 동시에 진동 에너지로 진동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재분쇄하도록 상기 수조(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체(530)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30)는,
상기 수조(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531); 및
상기 회전 샤프트(531)에 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브러쉬(532, 533)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상기 분산성 혼화재에 의해 분산성을 향상시킨 이산화티탄(TiO2)-매개담체이고; 상기 분산성 혼화재는 일정한 유동성과 점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감수제 또는 증점제로서, 상기 광촉매 분말이 분산성을 갖도록 혼합되고, 상기 분산된 광촉매 분말이 가라앉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이온결합하여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이 원활하도록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 표면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질소산화물(NOx)을 흡착하여 저감시키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매크로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에서 발생시킨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를 형성하는 단계;
c)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서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초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에서 발생시킨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매크로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및 상기 초미세기포가 함유된 소정 량의 초미세기포 배합수에 결합재, 굵은골재 및 잔골재를 혼합하는 단계;
f) 분산성 혼화재 및 급속 경화재를 혼합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에 광촉매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h) 상기 광촉매 분말이 혼합된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를 경화 및 양생시켜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의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광촉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매크로기포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c) 단계의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상기 매크로기포의 소멸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공극을 줄임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초미세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매크로기포 발생장치(400)는,
펌프(411) 및 수압조절밸브(412)를 포함하며,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제어 모듈(410);
콤프레셔(412) 및 솔레노이드 밸브(412)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제어 모듈(420);
물과 기포제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여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Dosing) 모듈(430);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에서 공급되는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에 상기 공기공급제어 모듈(4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매크로기포를 발생하는 매크로기포 발생 모듈(440); 및
상기 물과 공기의 압력,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물과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450)을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 모듈(430)은, 상기 물과 기포제의 혼합액의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압력조절장치와 체크밸브가 설치된 정량공급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초미세기포 발생장치(500)는,
액체의 수용이 가능한 수조(510);
상기 액체에 진동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축으로 제공하여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초미세기포 구역을 복수 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기(520); 및
회전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함과 동시에 진동 에너지로 진동하면서 초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초미세기포를 더 작게 재분쇄하도록 상기 수조(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체(530)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30)는,
상기 수조(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531); 및
상기 회전 샤프트(531)에 둘 이상의 단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브러쉬(532, 533)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분말은 광활성 반응을 통해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내의 시멘트의 칼슘(Ca) 성분과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대기중의 질소산화물(NOx)이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이온결합하여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결합재로서, 100중량부의 시멘트;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45~55중량부의 잔골재;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매크로기포 배합수;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초미세기포 배합수;
다공성 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매크로기포 및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혼합되는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10~20중량부의 기포제;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2~10중량부의 광촉매 분말;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8중량부의 분산성 혼화재; 및
상기 100중량부의 시멘트를 기준으로 0.1~0.5중량부의 급속경화재를 포함하되,
상기 급속경화재는 응결 및 경화속도를 촉진하도록 혼합되는 급결제 또는 급결 성분을 갖는 혼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광촉매분말을 다공성 콘크리트 페이스트 상부 표면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300A KR20230095184A (ko) | 2021-12-21 | 2021-12-21 |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300A KR20230095184A (ko) | 2021-12-21 | 2021-12-21 |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184A true KR20230095184A (ko) | 2023-06-29 |
Family
ID=8694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4300A KR20230095184A (ko) | 2021-12-21 | 2021-12-21 |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95184A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0294B1 (ko) | 2016-04-12 | 2017-09-21 | 이동원 | 내화, 공기질 개선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
KR101824240B1 (ko) | 2016-02-22 | 2018-02-01 | 주식회사 에스비이앤이 |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101930936B1 (ko) | 2018-08-24 | 2018-12-20 | 글로벌인프라텍(주) | 나노 버블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노 버블 생성시스템 |
KR102028924B1 (ko) | 2018-08-17 | 2019-10-07 | 주식회사 비앤디네트웍스 |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저감용 아스팔트 표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 |
KR102099085B1 (ko) | 2018-10-24 | 2020-04-1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촉매를 포함하는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
KR102098943B1 (ko) | 2019-06-07 | 2020-05-15 | 최상녀 | 나노버블 발생장치 |
KR102265450B1 (ko) | 2020-10-15 | 2021-06-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 |
-
2021
- 2021-12-21 KR KR1020210184300A patent/KR202300951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4240B1 (ko) | 2016-02-22 | 2018-02-01 | 주식회사 에스비이앤이 |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101780294B1 (ko) | 2016-04-12 | 2017-09-21 | 이동원 | 내화, 공기질 개선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
KR102028924B1 (ko) | 2018-08-17 | 2019-10-07 | 주식회사 비앤디네트웍스 |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저감용 아스팔트 표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 |
KR101930936B1 (ko) | 2018-08-24 | 2018-12-20 | 글로벌인프라텍(주) | 나노 버블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노 버블 생성시스템 |
KR102099085B1 (ko) | 2018-10-24 | 2020-04-1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촉매를 포함하는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
KR102098943B1 (ko) | 2019-06-07 | 2020-05-15 | 최상녀 | 나노버블 발생장치 |
KR102265450B1 (ko) | 2020-10-15 | 2021-06-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araldos et al. | Photocatalytic hydrophobic concrete coatings to combat air pollution | |
CN102941005B (zh) | 处理复杂工业有机废气的一体化物理化学净化方法及设备与应用 | |
JP5314276B2 (ja) | 窒素酸化物除去触媒、脱硝方法及び脱硝装置 | |
CN106381682B (zh) | 一种高吸附-光催化性能的纳米二氧化钛/活性炭纤维毡三维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5536458A (zh) | 氧化剂协同紫外光净化有机废气的装置及处理方法 | |
CN101209411A (zh) | 具有纳米级光催化剂的活性碳纤维及其加工方法 | |
JP2010036148A (ja) | ガス吸収塔による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システム | |
CN104307473B (zh) | 一种用于空气污染治理的吸附可见光催化材料的制备方法 | |
Son et al. | Fly ash-, foundry sand-, clay-, and pumice-based metal oxide nanocomposites as green photocatalysts | |
Chen et al. | A photocatalytic mortar prepared by tourmaline and TiO2 treated recycled aggregates and its air-purifying performance | |
KR102265450B1 (ko) | 질소산화물 저감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다공성 콘크리트 필터모듈 | |
CN102463109A (zh) | 一种新型具有纳米级光催化剂的活性碳纤维 | |
Rad et al. | Adsorp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luoxetine using TiO2-supported-clinoptilolite, NaX and MIL-101 (Fe) metal organic framework | |
Awadalla et al. | Titanium dioxide as photocatalyses to create self-cleaning concrete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 |
KR102246108B1 (ko) |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광촉매 복합체가 포함된 보차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Zhao et al. | Nanomaterials developed for removing air pollutants | |
CN102078751B (zh) | 一种具有净化汽车排放NOx功能的沥青路面渗透剂 | |
KR20230095184A (ko) | 초미세기포와 매크로기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흡착용 다공성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
CN103877855A (zh) | 一种光催化氧化结合吸附的废气零价汞脱除方法 | |
Gadore et al. | Emerging applications of waste fly ash for remedia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a high-value and sustainable approach towards utilization of waste materials | |
Park et al. | Evaluation of NOx removal performance of foam composites with titanium dioxide and active carbon | |
JP4452197B2 (ja) | 窒素酸化物除去触媒、脱硝方法及び脱硝装置 | |
CN214715578U (zh) | 一种催化分解VOCs的净化装置 | |
CN112870967B (zh) | 一种催化分解VOCs的净化方法和净化装置 | |
KR102249025B1 (ko) | 대기 중의 전구물질 흡착과 제거가 가능한 기포 콘크리트 골재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