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538A -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538A
KR20230094538A KR1020210183787A KR20210183787A KR20230094538A KR 20230094538 A KR20230094538 A KR 20230094538A KR 1020210183787 A KR1020210183787 A KR 1020210183787A KR 20210183787 A KR20210183787 A KR 20210183787A KR 20230094538 A KR20230094538 A KR 2023009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terials
conveying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0459B1 (en
Inventor
우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로봇
Priority to KR102021018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459B1/en
Publication of KR2023009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2Indicators for positioning work, e.g. with graduated sca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의 일 양태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재봉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재봉선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기설정된 땀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박음질하는 재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봉 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 상기 재봉선을 따라서 재봉하기 위하여 박음질 개시 위치에서 승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박음질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 상기 바늘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각각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이송되면서 상기 재봉선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 및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ing device. One aspect of the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sew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t predetermined stitch intervals along a sewing line se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sewing interval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stacked vertically In the sewing device for sewing with: The sewing devic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is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he base plat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wing material; A backstitch unit including a needle that sew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while moving up and down from a backstitch start position to sew along the seam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needl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rotating and linearly moving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Whil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edg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detected by the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sewn along the sewing line while the stitching unit and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it; includes

Figure P1020210183787
Figure P1020210183787

Description

재봉 장치{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Sewing device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본 발명은 재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device.

일반적으로 재봉의 경우, 2개의 재봉물, 예를 들면, 동일한 형상의 2개의 재봉물이 겹쳐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2개의 재봉물의 테두리가 서로 형합되도록 이송하면서 박음질하거나, 매트의 테두리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테두리 부재를 박음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sewing, in a state in which two sewing materials, for example, two sewing materials of the same shape are arranged so that they overlap, the two sewing materials are sewn while being transported so that the edges of the two sewing materials are molded to each other, or the edges of the mat are continuously stitched. It is made by stitching the supplied rim member. Recently, various methods for automating this have been proposed.

선행특허문헌들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감지 유닛이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재봉물이 이송되면서 박음질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상부 롤러 및 다수개의 하부 롤러가 각각 상하로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방의 재봉물의 상면 및 하방의 재봉물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고,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각각이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함으로써, 재봉물이 그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방향이 가변되면서 이송된다.Referring to the prior patent documents, conventionally,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and accordingly, the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while stitching is performed. More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rollers and a plurality of lower rollers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re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By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and each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rotates at a different number of rotations, the sewing material is transported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m.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봉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s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재봉물의 테두리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재봉물이 이송되면서 박음질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에는, 그 구체적인 방법, 특히, 직선과 곡선이 반복되는 재봉물의 경우에 재봉물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체적인 구성 및 재봉물의 테두리를 따라서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재봉물의 회전된 후 이송된 경우에는, 그 이전 재봉 위치와 재봉물의 회전 및 이송후 재봉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실제 땀 간격을 초과하는 간격이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를 보정하는 기술이 전혀 제안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First,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s sensed, and accordingly, the sewing material is sewn while being transported.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s, the specific metho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wing products in which straight lines and curves are repeated,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sewing fabric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 and a specific configuration in which transfer and stitching are per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wing fabric This is not disclosed at all. In particular, when the sewing material is rotated and then transferred,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previous sewing position and the sewing position after rotation and transfer of the sewing material becomes an interval exceeding the actual stitch interval. However, in the prior art, a technique for correcting this has not been proposed at all.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왕복운동하는 노루발에 의하여 재봉물이 직선 이동하고, 상부 재봉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 및 하부 재봉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하부 롤러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그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방향이 가변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재봉물의 경우에는, 노루발에 의하여 직선 이동하는 과정 또는 롤러에 의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노루발 또는 롤러와 접촉되는 재봉물의 일부만 이송 또는 회전됨으로써, 주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종국적으로 정확한 박음질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the sewing material is linearly moved by the presser foot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when in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ewing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ewing material, by adjus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lower roller , it can be transferred while the direction is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m. However, in the case of sew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n the process of linear movement by the presser foot or rotation by the roller, only a portion of the sewing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presser foot or roller is transported or rotated, which may cause wrinkles, which ultimately causes As a result, it causes a problem that accurate stitching cannot be performed.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재봉물의 이송 및 회전이 각각의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재봉물의 이송 및 회전을 위한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고, 그 제어도 복잡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Furthermore, in the prior art, the conveyance and rotation of the sewing material is made by each configuration. Therefore, in the prior art, the number of parts for conveying and rotating the sewing material is increased, and the control is also complicated.

일본 공개특허 제1995-096091호(명칭: 깔게주연부의 봉제장치)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5-096091 (Name: sewing device for the rim of the carpe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93407호(명칭: 매트 재봉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2093407 (Name: Mat sew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10255호(명칭: 매트 재봉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2110255 (Name: Mat sewing devic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309호(명칭: 누비기)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0019309 (Name: Quilt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4512호(명칭: 테두리 천 바인더가 부착된 미싱)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354512 (Name: Sewing Machine with Border Cloth Binder Attac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8155호(명칭: 차량용 매트 구조체)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558155 (Name: vehicle mat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정확한 이송 및 정간격으로의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ccurate transfer and stitching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얇은 재질의 재봉물의 경우에도 정확한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particular, to provide a sewing device configured to enable accurate transfer and stitching even in the case of sewing materials made of thin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재봉물의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device configured so that sewing materials can be transported and stitched more simp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의 일 양태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재봉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재봉선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기설정된 땀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박음질하는 재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봉 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 상기 재봉선을 따라서 재봉하기 위하여 박음질 개시 위치에서 승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박음질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 상기 바늘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각각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이송되면서 상기 재봉선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이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 및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One aspect of the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long a sewing line se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sewing interval from the rim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stacked up and down In the sewing device for continuously stitching at predetermined stitch intervals: The sewing device includes: a base plate on which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support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wing material; A backstitch unit including a needle that sew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while moving up and down from a backstitch start position to sew along the seam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needl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rotating and linearly moving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Whil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edg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detected by the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are sewn along the sewing line while the stitching unit and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을 각각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거거나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에 직교되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rotate forward or backward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in the first or second transfer direction, respectively, or the first or second In order to transfer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direction, it moves linearly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은, 상기 재봉 위치로부터 상기 제2이송 방향 및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 상기 땀 간격 및 상기 재봉 간격만큼 이격되는 감지 위치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가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감지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are located at a sensing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wing position by the stitch interval and the sewing interval in the second transport direction and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It detects whether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wing material are position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제1 및 제2보정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이동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for convey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in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ewing For the transfer of water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are controlled to alternately linearly move i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제1보정 방향으로 이송된 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감지 위치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땀 간격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s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the upper or lower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After the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the upper or lower sensing unit rotates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unit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osition. Alternatively, the lower sewing material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by the stitch interval.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제2보정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상기 감지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제1보정 방향으로 이송된 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감지 위치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땀 간격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s not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the upper to move toward the detection position Alternatively, when the lower sewing material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correction direction and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edge is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the upper or low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osition again. After the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the upper or lower sensing unit rotates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unit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osition. Alternatively, the lower sewing material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by the stitch interval.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박음질 유닛에 의하여 박음질이 완료된 박음질 완료 위치와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 사이의 간격이 상기 땀 간격으로 보정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이 상기 제2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etween the backstitch completion position and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where the backstitch is completed by the backstitch uni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by reverse rotation of the upper or lower transfer unit so that the interval of is corrected by the stitch interval.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은, 상부 및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의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가 상기 상부 회전축에 평행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 를 포함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includ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respectively rotating around upper and lower rotational shafts; The first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bout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respectively, for conveyance in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1 lower driving source; And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for convey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ng direction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are linearly mov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rotating shaft, respectively. 2 lower drive source;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이송 유닛은, 상기 상부 이송 롤러 및 상부 재봉물의 선택적인 접촉을 위하여 상기 상부 이송 롤러가 승하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상부 구동원을 더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ransfer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upper drive source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transfer roller elevates and descends for selective contact between the upper transfer roller and the upper sew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 유닛이 감지한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이송 유닛에 의하여 재봉물의 땀 간격만큼 제1이송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제1이송 방향에 직교되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 이송된 후 땀 간격만큼 제1이송 방향으로 이송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의 이송에 의하여 박음질된 위치와 박음질 개시 위치 사이의 간격이 땀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이송 방향에 반대되는 제2이송 방향으로 재봉물이 이송되어 박음질된 위치 및 박음질 개시 위치 사이의 간격이 땀 간격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 및 이에 대한 박음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by the stitch interval by the transfer unit or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fter being transferred to the stitch interval, it is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stitch position and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by the transfer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exceeds the stitch distance, the second transfer opposite to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The sewing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itched position and the stitched start position is corrected as a stitch interv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sewing material and the stitching thereof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유닛의 회전이 아닌 직선 이동에 의하여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유닛이 재봉물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재봉물의 이동 및 위치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송 유닛과 재봉물 사이의 간헐적인 동작에 의하여 재봉물에 주름이 생길 수가 있고, 특히, 재봉물이 상대적으로 얇은 재질의 경우에도, 재봉물에 주름의 발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s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linear movement rather than rotation of the conveying unit.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vement and position cor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is performed while the transfer uni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wrinkles may occur on the sewing material due to intermittent operation between the transfer unit and the sewing material, especially , Even if the sewing material is made of a relatively thin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such as wrinkles in the sewing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얇은 재봉물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테두리 형상에 따른 재봉을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sewing according to a more accurate edge shape with respect to a relatively thin sewing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유닛의 회전 및 직선 이동에 의하여 재봉물이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 및 이에 대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ing material is conveyed in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 or convey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y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of the conveying un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and the stitching thereof can be made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재봉물의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conveying and stitching the sew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봉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재봉물의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conveyance of the sew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stitching.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봉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 박음질 유닛(300),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 및 제어 유닛(C)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재봉 장치(1)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재봉 간격(G)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기설정된 땀 간격(g)으로 연속적으로 박음질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ew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00,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201 and 202, a backstitch unit 300, an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and a control unit (C). In particular, the sewing device 1, along the sewing line (L) is se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sewing interval (G) from th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stacked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sewing material (MA) (MB) is continuously stitched at a predetermined stitch interval (g).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박음질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되는 곳이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되면서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박음질된다. More specifically, the base plate 100 is a place wher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to be sewn are supported on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sewn along the seam line (L) while being transported while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100, respectiv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박음질 개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박음질 개구(1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박음질 개구(110), 후술할 바늘(310)이 박음질을 위하여 하강한 상태에서 관통하는 곳이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backstitch opening 110 is formed in the base plate 100 . The backstitch opening 110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ase plate 100 . Substantially, the lockstitch opening 110, a needle 31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in a lowered state for lockstitch.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 중 적어도 1개의 테두리 위치를 각각 감지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이송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위치를 각각 감지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은, 감지 위치(P)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감지한다. And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201 and 202 detect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respectively. Substantially, the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201 and 202 ar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tha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t can be said that each edge position is detected.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201 and 202 detect whether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position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respectively.

여기서, '감지 위치(P)'는, 후술할 바와 같이, 박음질 개시 위치(p1)로부터 제2이송 방향(A2)으로 상기 땀 간격(g)만큼 이격되고, 박음질 개시 위치(p1)로부터 제2보정 방향(B2)으로 상기 재봉 간격(G)만큼 이격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으로는, 발광 및 수광에 의하여 상기 감지 위치(P)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nsing position P'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A2 by the stitch interval g, and from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to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A2. It may be defined as a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sewing interval (G) in the correction direction (B2). And as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201 and 202, an optical sensor for respectively detecting wheth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position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by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can be used

상기 박음질 유닛(300)은,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박음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음질 유닛(300)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박음질하는 바늘(310)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늘(310)이 승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에 삽입 및 이격을 반복하면서 실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박음질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310)은,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재봉물(Ma), 박음질 개구(110) 및 하부 재봉물(Ma)(Mb)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늘(310)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위치, 즉 상기 바늘(310)에 의하여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박음질 개시 위치(p1)이라 칭한다.The backstitch unit 300 sew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long the sewing line L. In this embodiment, the stitching unit 300 includes a needle 310 for stitch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long the sewing line L while moving up and down. In practic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sewn by a thread while the needle 310 moves up and down and repeatedly inserts and separate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nd, while descending, the needle 310 sequentially penetrates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the backstitch opening 110, and the lower sewing material Ma and Mb. Hereinafter,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needle 310, that is, a position where stitching is performed by the needle 310 is referred to as a stitching start position p1.

다음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은, 상기 바늘(31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각각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 및 직선 이동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각각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에 직교되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이,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 상부 및 하부 볼 스크류(451)(452)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461)(462)를 각각 포함한다. Next,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in a state in which the needle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the upper surface and It rotates and moves linearly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rotate forward or backward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in the first or second transfer direction A1, respectively. ) (A2), forward or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401 and 402,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each orthogonal to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 (A1) (A2) first or In order to transfer in the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1) (B2), it linearly mov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401 and 402 are configured to includ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ing sources 421 and 422, and upper and lower movement. It includes frames 431 and 432,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upper and lower ball screws 451 and 452, and upper and lower sliders 461 and 462,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는,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를 지나는 가상의 직선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rotate about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411A and 412A,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411A and 412A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substantially passing through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그리고 상기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을 중심으로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 각각 이송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에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ing sources 421 and 422 move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bout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411A and 412A, respectively. It provides driving force to rotate. That is, the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e sources 421 and 422 are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transported in the first or second transport directions A1 and A2, respectively.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e sources 421 and 422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411A and 412A, respectively, to rotate them respectively.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에는, 상기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이 결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은, 상기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직선 이동한다.The upper and lower rotational shafts 411A and 412A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431 and 43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ing sources 421 and 422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431 and 432 . Substantially,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431 and 432 are linearly moved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by the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do.

다음으로, 상기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상부 회전축(401A)에 평행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각각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Next, the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linearly move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rotating shaft 401A, respectively. provides driving force. Therefore, the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have a driving force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transferr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respectively. provides

상기 상부 및 하부 볼 스크류(451)(452)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461)(462)는, 상기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의 구동력을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볼 스크류(451)(452)는, 상기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에 의하여 각각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461)(462)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동 프레임(431)(432)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볼 스크류(451)(452)를 따라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451 and 452 and the upper and lower sliders 461 and 462 appl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to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 431 and 432,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451 and 452 are rotated by the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sliders 461 and 462 reciprocate along the upper and lower ball screws 451 and 452 while being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431 and 432, respectively. ,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move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이송 유닛(401)이, 상부 승하강 프레임(471) 및 제3상부 구동원(48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승하강 프레임(471)은, 상기 제2상부 구동원(421), 상부 볼 스크류(451) 및 상부 슬라이더(461)가 지지되는 곳이다. 상기 제3상부 구동원(481)은,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가 승하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이동 프레임(431)이 상기 상부 슬라이더(461)에 결합되고, 상기 제3상부 구동원(481)은, 상기 상부 승하강 프레임(471)에 승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승하강 프레임(471) 전체가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의 승하강은,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 및 상부 재봉물(MA)의 선택적인 접촉, 실질적으로 선택적인 가압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3상부 구동원(481)에 의하여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가 상기 상부 재봉물(MA)에 접촉 또는 상기 상부 재봉물(MA)로부터 이격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의 승하강은, 상기 상부 재봉물(MA), 실질적으로 박음질이 완료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함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transfer unit 401 further includes an upper elevating frame 471 and a third upper driving source 481 . The upper elevating frame 471 is where the second upper driving source 421, the upper ball screw 451, and the upper slider 461 are supported. The third upper driving source 481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transfer roller 411 moves up and down. Substantially, the upper moving frame 431 is coupled to the upper slider 461, and the third upper driving source 481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lifting to the upper lifting frame 471, so that the The entire upper elevating frame 471 including the upper transfer roller 411 moves up and down.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upper conveying roller 411 is for selective contact and substantially selective pressing of the upper conveying roller 411 and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by the third upper driving source 481. The upper conveying roller 4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upper transfer roller 411 is to withdraw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from the base plate 100. am.

또한, 상기 하부 이송 유닛(402)은, 하부 고정 프레임(472)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 프레임(472)은, 상기 상부 승하강 프레임(472)와 대동소이하되, 상기 베이프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별도로 승하강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lower transfer unit 402 further includes a lower fixing frame 472 . The lower fixing frame 47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elevating frame 472, but is fixed to the vape plate 100 and does not separately elevate.

한편,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이송되면서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300) 및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각각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거거나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에 직교되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C), according to the edg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detected by the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201, 202),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 Operations of the backstitching unit 300 and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sewn along the sewing line L while the MA) (MB) is transported. to control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C),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 401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n the first or second transfer direction (A1) (A2), respectively 402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for conveying in a first or second correcting direction (B1) (B2) orthogonal to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 (A1) (A2), respectively. The transport units 401 and 402 are controlled to linearly move forward or backwar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이동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박음질을 위하여 상기 땀 간격(g)만큼 이송되는 동작과 상기 박음질 선(L)이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이송되는 동작이 교호되게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 for the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n the first or second transfer direction (A1) (A2)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for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401 and 402 and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401) is controlled so that the linear movement is alternately perform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402).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by the stitch interval (g) for stitching and the stitching line (L) at the stitching start position ( It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veyed operation is alternately repeated so as to be positioned directly below p1).

여기서, '제1이송 방향(A1)' 및 '제2이송 방향(A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상기 땀 간격(g)으로 박음질 또는 후술할 바와 같이, 박음질 개시 위치 보정을 위하여 이송되는 방향으로, 도 2에서 도면상 상방향 및 하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이 상기 땀 간격(g)만큼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동작,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을 제어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이 박음질 개시 위치의 오차에 따라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의 회전을 제어할 것이다. Here,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and the 'second conveying direction (A2)' are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by the backstitch unit 300 at the stitch interval (g) Backstitch or, as will be described later, means an upward direction and a downward direction on the drawing in FIG. Therefore, the control unit (C) is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 (MA) (MB) so that the conveying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is made by the stitch interval (g) ( It will control the operation of 401 and 402, i.e., the number of rotations or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And the control unit (C) is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conveyed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according to the error of the stitching start position. ) will control the rotation of 412.

또한, '제1보정 방향(B1)' 및 '제2보정 방향(B2)'은, 상기 재봉선(L)의 직상방에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가 위치되도록 이송되는 방향으로, 도 2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상기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형상,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위치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에 따라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것이다. In addition,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2)' are directions in which the backstitch starting position (p1)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seam line (L), in FIG. In the drawing, the right direction and the left direction are respectively meant. Therefore, the control unit (C), the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is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detected by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detecting units 201 and 202, substantially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so that sewing of MB) can be performed. The moving distances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will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im of MA (MB).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땀 간격(g)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감지되다가 이격되는 시점에서 상기 재봉선(L)이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의 직하방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땀 간격(g)만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at the detection position (P)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is detected,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And the control unit (C), the upper or lower sensing unit (201, 202)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1) by the stitch interval (g)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or lower transfer unit (401, 402) in . That is, the control unit (C) is the sewing line (L ) is determined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and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as much as the stitch interval g.

또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P)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보정 방향(B2)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땀 간격(g)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not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When it is detected,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2) so as to move toward the detection position (P). And the control unit (C) detects that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When it is,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controlled to be transport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position (P) again. Next, the control unit (C) detects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At the time,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ported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by the stitch interval (g)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unit (401) (402). Control.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에 의하여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이 완료된 박음질 완료 위치(p2)와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상기 땀 간격(g)과 상이해진 경우에 이를 보정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또는 제2하부 구동원(441)(442)에 의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롤러(411)(412)의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에 따른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직선인 구간에서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 또는 상기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되더라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 변화되지 않을 것이다.-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롤러(411)(412)에 의하여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상기 땀 간격(g)만큼만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상기 땀 간격(g)과 동일한 간격으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stitching completion position (p2) where stitching is completed by the stitching unit 300 by the transfer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 and the backstitch starting position (p1) is corrected when it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stitch interval (g).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3, the first or second upper or lower conveying rollers 411, 412 by the second upper or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442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according to the transfer in the correction direction (B1) (B2) -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traight In the interval,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n order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or the first and Even if it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1) (B2), the position of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will not change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In -,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by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only by the stitch distance g. Therefore, stitching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titch interval g by the backstitch unit 300 .

그런데, 도 3의 (B)에 도시돤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으로 소정의 거리(d)만큼 이송된 경우에는, 이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상기 땀 간격(g)만큼 이송되더라도, 상기 바늘(310)의 직하방, 즉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와 박음질 완료 위치(p2) 사이의 실제 간격(g1)이 상기 땀 간격(g)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C)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이송 방향(A2)으로 소정의 거리, 즉, 상술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거리만큼 이송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땀 간격(g) 및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동 거리(d)를 각각 밑변 및 대변으로 하는 삼각함수로부터 상기 실제 간격(g1) 및 이를 상기 땀 간격(g)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이송 방향(A2)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거리를 계산하고, 그 계산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이송 방향(A2)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상부 또는 제1하부 구동원(421)(4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By the way,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then the Even i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by the stitch distance (g)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1), directly below the needle 310, that is, the stitch start position (p1) and the stitch The actual distance g1 between the completion positions p2 exceeds the sweat distance g.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correct such an error, when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1) (B2), the control The unit (C) transfers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A2), that is, a distance capable of correcting the above-described error. The rollers 411 and 412 are controlled to rotate in revers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 determines the actual distance (d) from the trigonometric function of the sweat interval (g) and the movement distance (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as the base an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In order to correct the interval g1 and the stitch interval g, the distance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or MB should be transported in the second transport direction A2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valu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upper or first lower driving source 421, 422 so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or MB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conveying direction A2.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 및 박음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에의 주름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에 의하여 야기되는 오차가 보정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and stitching according to the rim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can be accurately performed.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 (MB) by being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rinkles in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rrecting the error caused by 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edg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more accurate stitching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1, 202: 감지 유닛
300: 박음질 유닛 400: 이송 유닛
C: 제어 유닛
100: base plate 201, 202: detection unit
300: backstitch unit 400: transfer unit
C: control unit

Claims (9)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재봉 간격(G)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기설정된 땀 간격(g)으로 연속적으로 박음질하는 재봉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재봉 장치(1)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재봉하기 위하여 박음질 개시 위치(p1)에서 승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박음질하는 바늘(310)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300);
상기 바늘(31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각각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이송되면서 상기 재봉선(L)을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이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300) 및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C); 을 포함하는 재봉 장치.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prepared along a sewing line (L) se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sewing distance (G) from th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stacked up and down. In the sewing device 1 that continuously sews at a set stitch interval (g):
The sewing device 1,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base plate 100;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201 and 202 for detecting the edg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 stitching unit 300 including a needle 310 for stitch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while moving up and down from the stitching start position p1 to sew along the stitching line L;
In a state where the needle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re transferred,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401 and 402 which rotate and linearly move in order to do so;
According to the edg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detected by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units (201, 202),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transported while the sewing line A control unit (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itching unit 300 and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401 and 40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are sewn along (L); Sew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을 각각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거거나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에 직교되는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rotate forward or backward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directions A1 and A2, respectively. Sewing device that linearly mov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fe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orthogonal to the first or second conveyance directions (A1) (A2),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1)(202)은,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로부터 상기 제2이송 방향(B2) 및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상기 땀 간격(g) 및 상기 재봉 간격(G)만큼 이격되는 감지 위치(P)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and lower sensing units 201 and 202 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stitch spacing (from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B2 an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and B2. g) and sewing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are positioned at the sensing position (P) spaced apart by the sewing distance (G),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제1 및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을 위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 이동이동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C) is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units 401, 402 for convey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n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s (A1) (A2).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402 for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 and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n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 Sewing device that controls linear movemen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it is alternately ma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으로 이송된 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땀 간격(g)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control unit (C) detects that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 After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or lower transfer unit 401, 402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 A sewing device for controlling MA) (MB) to be conveyed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by the stitch interval (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 위치(P)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보정 방향(B2)으로 이송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감지 위치(P)에 위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보정 방향(B1)으로 이송된 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감지 유닛(201)(202))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감지 위치(P)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땀 간격(g)만큼 상기 제1이송 방향(A1)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C) detects that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not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When it is,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2) so as to move toward the detection position (P), and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located at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again ) is transferred in the first correction direction (B1), and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osition (P) by the upper or lower detection unit (201, 202))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unit 401 or 402 rotates,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or MB moves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1 by the stitch distance g. Sewing device that controls to be transferred to.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 이송되면,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이 완료된 박음질 완료 위치(p2)와 상기 박음질 개시 위치(p1) 사이의 간격이 상기 땀 간격(g)으로 보정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 유닛(401)(402)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재봉물(MA)(MB)이 상기 제2이송 방향(A2)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control unit (C), when the upper or lower sewing material (MA) (MB) is transferred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 (B1) (B2), the backstitch by the backstitch unit 300 is completed. The upper or lower sewing is performed by reverse rotation of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unit 401 or 40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stitch completion position p2 and the backstitch start position p1 is corrected by the stitch distance g. Sew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MA) (MB)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A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유닛(401)(402)은,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상기 제1 또는 제2이송 방향(A1)(A2)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411A)(412A)을 중심으로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상부 및 제1하부 구동원(421)(422);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재봉물(MA)(MB)의 상기 제1 또는 제2보정 방향(B1)(B2)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롤러(411)(412)가 상기 상부 회전축(411A)에 평행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상부 및 제2하부 구동원(441)(442); 를 포함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s 401 and 402,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respectively rotating around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411A and 412A;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are the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s for conveying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and MB in the first or second conveying directions A1 and A2. (411A) first upper and first lower drive sources (421) (422) providing driving force to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bout (412A), respectively; and
For the transfer of the upper and lower sewing materials (MA) (MB) in the first or second correction directions (B1) (B2),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411 and 412 are the upper rotating shafts 411A ) second upper and second lower driving sources 441 and 442 providing driving forces to linearly move i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s parallel to ); Sewing device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 유닛(401)은,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 및 상부 재봉물(MA)의 선택적인 접촉을 위하여 상기 상부 이송 롤러(411)가 승하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상부 구동원(481)을 더 포함하는 재봉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upper conveying unit 401 is a third upper driving source 481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conveying roller 411 moves up and down for selective contact between the upper conveying roller 411 and the upper sewing material MA. ) Se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10183787A 2021-12-21 2021-12-21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KR102620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787A KR102620459B1 (en) 2021-12-21 2021-12-21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787A KR102620459B1 (en) 2021-12-21 2021-12-21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538A true KR20230094538A (en) 2023-06-28
KR102620459B1 KR102620459B1 (en) 2024-01-03

Family

ID=8699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787A KR102620459B1 (en) 2021-12-21 2021-12-21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459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091A (en) 1993-09-30 1995-04-11 Matsuka Shoten:Kk Sewing device for peripheral edge part of carpet
JPH09299642A (en) * 1996-05-15 1997-11-25 Juki Corp Edge control sewing device
KR20000019309A (en) 1998-09-10 2000-04-06 류정열 Structure of pneumatic pressure controlling clamp
KR101354512B1 (en) 2012-04-30 2014-01-22 오종호 Sewing machine combined bias binder
KR101558155B1 (en) 2014-10-01 2015-10-08 글로벌더원코리아(주) Floor mat for vehicle
JP2018202107A (en) * 2017-06-09 2018-1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sewing machine
KR102093407B1 (en) 2018-09-05 2020-04-14 우정오 Stitched device for mat
KR102110255B1 (en) 2019-06-26 2020-06-08 우정오 Stitched device for mat
JP2020185107A (en) * 2019-05-13 2020-11-19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091A (en) 1993-09-30 1995-04-11 Matsuka Shoten:Kk Sewing device for peripheral edge part of carpet
JPH09299642A (en) * 1996-05-15 1997-11-25 Juki Corp Edge control sewing device
KR20000019309A (en) 1998-09-10 2000-04-06 류정열 Structure of pneumatic pressure controlling clamp
KR101354512B1 (en) 2012-04-30 2014-01-22 오종호 Sewing machine combined bias binder
KR101558155B1 (en) 2014-10-01 2015-10-08 글로벌더원코리아(주) Floor mat for vehicle
JP2018202107A (en) * 2017-06-09 2018-1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sewing machine
KR102093407B1 (en) 2018-09-05 2020-04-14 우정오 Stitched device for mat
JP2020185107A (en) * 2019-05-13 2020-11-19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KR102110255B1 (en) 2019-06-26 2020-06-08 우정오 Stitched device for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459B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673B1 (en) Apparatus for cutting a panel from a quilted material web
US5018462A (en) Edge finishing system
KR102093407B1 (en) Stitched device for mat
KR102110255B1 (en) Stitched device for mat
JP2018202107A (en) sewing machine
CN101864644A (en) Upward and downward feeding sewing machine
CN109295617B (en) Sewing machine
KR20110007057A (en) Upward and downward feeding sewing machine
JP2019001580A (en) Workpiece e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9295616B (en) Sewing machine
JP7454916B2 (en) sewing machine
KR20230094538A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JP2009160071A (en) Welt fabric pressing mechanism of welt sewing machine
KR1026204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KR1022310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KR20220152689A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KR1025043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WO2012081119A1 (en) Fly supply device
KR102459825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KR102389993B1 (en) Stitched device
CN109281077B (en) Sewing machine
KR102145350B1 (en) Stitched device and method for mat
KR1024650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JP2903430B2 (en) Sewing guide for sewing machine
CA305879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ely positioning and processing a textile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