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300A - Shaft separtion device - Google Patents

Shaft separ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300A
KR20230094300A KR1020210183335A KR20210183335A KR20230094300A KR 20230094300 A KR20230094300 A KR 20230094300A KR 1020210183335 A KR1020210183335 A KR 1020210183335A KR 20210183335 A KR20210183335 A KR 20210183335A KR 20230094300 A KR20230094300 A KR 2023009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er
coupled
support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5133B1 (en
Inventor
고유승
강순구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1018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33B1/en
Publication of KR2023009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리드스크류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크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 분리 장치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구비한 리드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결합부;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결합하고, 말단이 상기 하우징 표면에 안착하여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ft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separated from the disk by moving a lead screw upward. Shaf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haft, having a lead screw having a male thread on the outside, the shaft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shaft; a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ead screw and adjus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ad screw;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adjusting portion and having an end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adjusting portion.

Description

샤프트 분리 장치 {SHAFT SEPARTION DEVICE}Shaft separation device {SHAFT SEPARTION DEVICE}

본 발명은 샤프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일부위가 조립된 샤프트를 부품의 손상 없이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eparating a shaft partially assembled in a housing without damaging parts.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많은 부분에서 샤프트를 이용하는데, 모든 샤프트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를 분리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은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이용하여 샤프트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는 샤프트 일단에 파인 홈을 지지점으로 잡고 기어풀러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샤프트를 분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우징과 결합된 샤프트의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지지점이 마땅치 않아 기어풀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샤프트를 분해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샤프트의 하우징에 치구를 조립한 후 이 치구에 충격을 가하여 샤프트를 분해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와 주변의 하우징 등의 부품에 손상을 가하여 부품을 폐기시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hafts are used in many parts of machinery, and all shafts are coupled to housing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for separating the shaft, the shaft could be separated using a shaft coupling part coupled to a threaded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Alternatively, the housing and the shaft could be separated using a gear puller while holding a groove at one end of the shaft as a support point. However, if the gear puller cannot be used because there is no thread on one side of the shaft coupled to the housing or the support point is not suitable, as there is no mechanism to disassemble the shaft, after assembling the jig to the housing of the shaft, apply an impact to the jig disassemble the shaf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rts such as the shaft and the surrounding housing are damaged and the parts are discarded.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6-0013723 호(발명의 명칭 : 동력장치의 베어링-샤프트 분리기구)는 1. 베어링(9)에 걸기 위한 단턱부(7)가 있는 걸쇠(2)와, 이러한 걸쇠(2)를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홈과 그 중앙에 나사공(11)이 구비된 Y자형의 지지체(1)와, 지지체(1)의 정중앙에 끼워져서 볼트헤드(4)를 회전 시킴에 따라 승강되도록 볼트(3)를 개시한다.Publicat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13723 (Title of Invention: Bearing-Shaft Separation Mechanism of Power Unit) includes: 1. A latch (2) having a stepped part (7) for hooking on a bearing (9), and this latch As the Y-shaped support (1) provided with a groove for fixing (2) to the end and a screw hole (11)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bolt head (4)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upport (1) Initiate the bolt (3) to be raised.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샤프트와 하우징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어 샤프트가 휘거나 하우징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device has problems such as bending the shaft or damaging the housing by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shaft and the housing.

따라서, 나사부가 없거나 지지점이 없는 샤프트와 하우징을 분리할 시 하우징 등의 부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분해하는 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a mechanism for disassembling without damaging parts such as the housing when separating the shaft and the housing without a threaded portion or a supporting point is required.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6-0013723 호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1372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부가 없거나, 지지점이 없는 샤프트를 다른 부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분해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disassemble a shaft without a threaded portion or without a support point without damaging other par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 및 고정핀으로 샤프트를 고정하여 적은 힘으로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해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disassemble the shaft with little force by fixing the shaft with a clamp and a fixing pi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구비한 리드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결합부;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결합하고, 말단이 상기 하우징 표면에 안착하여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shaft, having a lead screw having a male thread on the outside, the shaft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shaft; a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ead screw and adjus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ad screw; and a support unit coupled to the control unit and having a distal end seated on the housing surface to support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며, 수나사산을 구비한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하는 조절너트; 상기 조절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리드스크류를 축 회전 시키는 트러스트베어링; 상기 트러스트베어링과 결합하는 서포트바디; 및 상기 서포트바디와 결합하며, 상기 조절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트바디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n adjusting nut having a female thread and threaded with the lead screw having a male thread; a thrust bearing coupled to the adjusting nut and rotating the lead screw;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thrust bearing; and a support body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를 조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상방으로 이동할 시, 상기 하우징에 안착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와 결합한 상기 샤프트결합부가 상기 샤프트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d screw is moved upwar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the support seated on the housing moves the housing downward, and the shaft coupling unit coupled with the shaft moves the shaft upward. can be mov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인 샤프트홀에 인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클램프의 결속력을 높이는 샤프트핀;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하며, 상기 리드스크류를 고정하는 리드스크류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haft, a clamp for fixing the shaft; a shaft pin coupled to the shaft and inserted into a shaft hole having a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shaft to increase a binding force between the shaft and the clamp; and a lead screw fixing unit coupled to the lead screw and fixing the lead screw.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샤프트 고정을 위한 제1그랩부위와 제2그랩부위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랩부위는 상기 제1그랩부위 내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홈인 제1클램프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그랩부위는 상기 제2그랩부위 내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홈인 제2클램프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ab part and a second grab part for fixing the shaft are provided, and the first grab part is a groove formed up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ab part and leading to the upper edge. A first clamp groove may be provided, and the second grab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lamp groove, which is a groove formed upward from a lower edge of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ab por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ed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서포트바디와 결합하며,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 및 제2서포터를 구비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와 결합하며, 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의 표면에 안착하는 서포터풋;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er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 first supporter and a second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adjusting unit; and a supporter foot coupled to the supporter and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by adjusting an ang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인 서포터홀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having a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suppor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디는, 상기 서포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바디 양측에서 형성되며 'ㄷ'자 형상을 구비하는 제1서포트결합부위와 제2서포트결합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ody may include a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 'c' shape.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터는,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위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 중 하나의 서포터홀과 상기 제1세포터결합부위를 핀결합하여 상기 서포터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s, and pin-couples one supporter hole among a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and the first cell carrier coupling part to length of the supporter.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서포터는, 상기 제2서포트결합부위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 중 하나의 서포터홀과 상기 제2서포트결합부위를 핀결합하여 상기 서포터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er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s, and pin-couples one supporter hole among a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supporter.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나사부가 없거나, 지지점이 없는 샤프트를 다른 부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isassembled without damage to other parts of the shaft without a threaded portion or without a support point.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클램프 및 고정핀으로 샤프트를 고정하여 적은 힘으로 샤프트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haft can be easily disassembled with little force by fixing the shaft with a clamp and a fixing pi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 분리 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 분리 후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 분리 장치의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f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before separa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after separa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shaf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10)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10) 분리 전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10) 분리 후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10) 분리 장치의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ft 110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before separation of the shaf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shaft 110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10) 분리 장치는, 샤프트(110)와 결합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구비한 리드스크류(600)를 구비하고, 샤프트(110)를 고정시키는 샤프트겹합부(200; 리드스크류(600)와 결합하고, 리드스크류(6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조절부와 결합하고, 말단이 하우징(100) 표면에 안착하여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haft 110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ead screw 600 coupled to the shaft 110 and having a male thread on the outside, and the shaft 110 ); A shaft coupling part 200 for fixing; an adjustment unit that is combined with the lead screw 600 and adjust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ead screw 600; and combined with the adjustment unit, the end of which is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It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trol unit.

버터플라이 밸브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을 개폐시키는 디스크, 하우징(100)에 디스크를 축고정 시키는 샤프트(110)를 구비할 수 있고, 버터플라이 밸브에 형성된 샤프트(110)에 결합부 또는 파인 홈이 구비되지 않을 시 디스크에서 샤프트(110)를 분리하기 위한 샤프트(110) 분리 장치를 본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utterfly valve may include a housing 100 forming a flow path, a disk that opens and closes the housing 100, and a shaft 110 that shaft-fixes the disk to the housing 100, and a shaft formed on the butterfly valve ( A shaft 110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the shaft 110 from the disk when the coupling part or the groove is not provided in the disk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is description.

다만, 본 발명의 샤프트(110)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샤프트(110)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가 버터플라이 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다른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버터플라이 밸브에서의 샤프트(110)를 분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the device for separating the shaft 110 using the shaft 110 sepa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utterfly valve, and other similar devices may also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case in which the shaft 110 is separated from the butterfly valve will be described.

샤프트(110) 결합부는, 리드스크류(600), 클램프(210), 샤프트핀(112) 및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600)는 둘레가 램프(경사 평면)로 둘러싸인 강철 샤프트(110)로 램프의 경사도에 따라 작은 회전력을 큰 하중 지탱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of the shaft 110 may be provided with a lead screw 600, a clamp 210, a shaft pin 112, and a lead screw fixing unit 300, and the lead screw 600 has a circumference of a ramp (inclined plane). The steel shaft 110 surrounded by a small rotational force can be converted into a large load bearing forc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amp.

리드스크류(600)는 리드스크류(600) 상부면에 서비스렌치(6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렌치를 이용하여 리드스크류(600)를 상하 이동시켜 하우징(100)에서 샤프트(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lead screw 600 may include a service wrench 601 on an upper surface of the lead screw 600, and thereby move the lead screw 600 up and down using the wrench to remove the shaft 110 from the housing 100. can be easily separated.

클램프(210)는 샤프트(110)를 고정하는 장치로 복수개의 네모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그랩부위(213) 일부면에 제1그랩부위(213) 하부모서리로부터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제1클램프홈(215)을 구비할 수 있다The clamp 210 is a device for fixing the shaft 110,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quare plate shapes,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grab portion 213 from the lower edge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grab portion 213. A first clamp groove 215 may be provided.

샤프트(110)와 접촉하는 제2 그랩부위(214) 일부면에 제2 그랩부위(214) 하부모서리로부터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제2클램프홈(21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그랩부위(213)에 형성된 제1클램프홈(215)과 제 2그랩부위(214)에 형성된 제2클램프홈(216) 사이에 샤프트(110)가 인입되어 샤프트(110)가 클램프(210)에 고정될 수 있다.A second clamp groove 216 extending from a lower edge to an upper edge of the second grab portion 214 may be provided on a partial surface of the second grab portion 214 that contacts the shaft 110 . As a result, the shaft 11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lamp groove 215 formed in the first grab portion 213 and the second clamp groove 216 formed in the second grab portion 214, and the shaft 110 is clamped. (210).

클램프(210)는 복수개의 타공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클램프(210)는 클램프핀(211)과 클램프너트(212)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핀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The clamp 210 may have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and the plurality of clamps 210 may be fixed by a clamp pin 211 and a clamp nut 212,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n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there is.

샤프트(110)의 두께에 따라 제1그랩부위(213)와 제2그랩부위(214) 사이 거리를 클램프핀(211)과 클램프너트(212)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클램프(210) 홈의 크기에 비례하여 샤프트(110)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 샤프트(110)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제1그랩부위(213)와 제2그랩부위(214) 사이에 형성된 홈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21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shaft 110,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ab part 213 and the second grab part 214 can be adjusted using the clamp pin 211 and the clamp nut 212, and the If the size of the shaft 110 is too large or too small in proportion to the size,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shaft 110 and the size of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grab portion 213 and the second grab portion 214 The clamp 210 may optionally be replaced.

클램프(210)와 결합하는 샤프트(110) 상부면에 샤프트(110)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샤프트(110) 상부에 위치하며 타공된 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홀(111)에 클램프(210) 상부 모서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샤프트핀(112)을 결합하여 샤프트(110)와 클램프(21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An additional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haft 1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aft 110 coupled with the clamp 210, and the clamp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aft 110 and is located in the shaft hole 111 formed in a perforated shape. (210) The coupling between the shaft 110 and the clamp 210 can be strengthened by coupling the shaft pin 112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다른 실시예로, 클램프(210)와 결합하는 샤프트(110) 상부면에 고리고정클램프를 구비하고, 샤프트(110) 크기 및 두께에 따라 고리고정클램프의 볼트와 너트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샤프트(110)와 클램프(21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ring fixing clamp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aft 110 coupled to the clamp 210, and the coupling degree of the bolt and nut of the ring fixing clam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haft 110 to form a shaft ( 110) and the clamp 210 can be firmly bonded.

연장부(220)는 클램프(210)와 결합하며, 클램프(210)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연장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210) 일측과 결합하는 일측연장유닛과 클램프(210) 타측과 결합하는 타측연장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일측연장유닛은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 타측과 결합하고, 타측연장유닛은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 일측과 결합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20 is coupled to the clamp 2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units coupled to the clamp 210 . One side extens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amp 210 and the other side extens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 210 may be provided. One side extension unit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and the other side extension uni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은 리드스크류(600)의 하단과 결합하며 클램프(210)을 지지할 수 있다.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은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 상부면 중앙에 리드스크류(600)와 결합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관통홀에 인입된 리드스크류(600) 상하부에 너트결합을 체결하여 리드스크류고정유닛(300)에 리드스크류(600)를 고정 할 수 있다.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ad screw 600 and support the clamp 210 . 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has a through hole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lead screw 600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and nut coupling is per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lead screw 6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lead screw 600 may be fixed to the lead screw fixing unit 300 by fastening.

도1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는 조절너트(412), 트러스트베어링(411), 서포트바디(400) 및 서포트바디(400)커버를 구비하며, 리드스크류(6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하우징(100)으로부터 샤프트(110)를 분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djusting nut 412, a thrust bearing 411, a support body 400, and a cover of the support body 400, and moves the lead screw 600 upward to The shaft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서포트바디(400)는 네모난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서포트바디(400)의 길이 방향으로 서포트바디(40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ㄷ'자 형상을 구비하는 제1서포트결합부위(401)와 제2서포트결합부위(402)를 구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400 is provided in a square plate shape, is formed b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400, and has a 'c' shap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401 ) and a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402, which can be formed in an 'H' shape.

서포트바디(400)와 리드스크류(600)가 결합하는 중앙부는 서포트바디(400)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리드스크류(6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A central portion where the support body 400 and the lead screw 600 are coupled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00 , so that the lead screw 600 can be easily moved.

서포트바디(400)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돌출부(4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돌출부(410) 상부 모서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트러스트베어링(411)이 인입될 수 있으며, 트러스트베어링(411)과 리드스크류(600)가 결합할 시 트러스트베어링(411)이 리드스크류(600)에 가해지는 힘을 같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A protrusion 410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00 may be provided, and a thrust bearing 411 may b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edge of the protrusion 410, and the thrust bearing ( 411) and the lead screw 600 are coupled, the thrust bearing 411 can support the force applied to the lead screw 600 in the same direction.

트러스트베어링(411) 상부면은 조절너트(412)와 결합할 수 있으며, 조절너트(412)를 조여 리드스크류(600)를 상방으로 이동할 시, 하우징(100) 표면에 안착한 지지부가 하우징(100)에 힘을 가해 하우징(100)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샤프트(110)와 결합한 샤프트겹합부(200가 샤프트(110)를 상부로 이동시켜 밸브에 형성된 하우징(100)으로부터 샤프트(110)를 분리 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thrust bearing 411 can be combined with the adjusting nut 412, and when the lead screw 600 is moved upwar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412, the support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moves along the housing 100. Force is applied to move the housing 100 downward,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200 coupled with the shaft 110 moves the shaft 110 upward to separate the shaft 110 from the housing 100 formed in the valve. can

조절너트(412)는 수나사산을 구비한 리드스크류(600)와 나사결합하며, 암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조절너트(412)는 트러스트베어링(411)과 결합하며 트러스트베어링(411)이 조절너트(412)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adjusting nut 412 is screwed with the lead screw 600 having a male thread, and may have a female thread. The adjusting nut 412 is combined with the thrust bearing 411 and the thrust bearing 411 may guide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nut 412 .

돌출부(410) 상부에 위치하며 돌출부(410) 외부모서리와 결합하는 서포트바디커버(4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서포트바디커버(420)는 조절너트(412)가 인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서포트바디커버(420)의 높이는 조절너트(4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너트(412)를 조절하여 샤프트(110)와 하우징(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외부에서 조절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support body cover 420 located above the protrusion 410 and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protrusion 410 may be provided, and the support body cover 4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ing nut 412 can be inserted.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body cover 42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djustment nut 412. Due to this, the shaft 110 and the housing 100 can be easily separated by adjusting the adjusting nut 412,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djusting unit from the outside.

지지부는, 서포트바디(400)와 결합하며 조절부를 지지하는 서포터(500), 서포터(500)를 결합하며, 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100)의 표면에 안착하는 서포터풋(510)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supporter 500 coupled to the support body 400 and supporting the control unit, and a supporter foot 510 coupled to the supporter 500 and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by adjusting an angle. there is.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터(500)는 서포트바디(4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제1서포터(501)과 제2서포터(502)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5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포터(500)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인 서포터홀(503)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된 서포터홀(503)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ers 500 supporting the housing 100 may be combined with the support body 400, and preferably consist of a first supporter 501 and a second supporter 502 supporting the housing 100. It can be. The supporter 50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503, which are holes penetrating the supporter 50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503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can be formed

제1서포터(501)는, 제1서포트결합부위(401)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503) 중 하나의 서포터홀(503)과 제1서포트결합부위(401)를 핀결합하여 서포터(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직경이 제1서포터(501)의 설정 길이보다 길 시 제1서포터(501) 상부모서리에 인접한 서포터홀(503)과 제1연잡부를 핀결합하여 제1서포터(501)의 길이를 늘릴 수 있고, 하우징(100)의 직경이 제1서포터(501)의 설정 길이보다 작을 시 제1서포터(501) 하부모서리에 인접한 타공홀과 서포트바디(400)를 결합하여 제1서포터(501)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The first supporter 501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s 401, and one supporter hole 503 of the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503 and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401 are pin-coupled to form a supporter. The length of (500) can be adjusted. Whe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100 is longer than the set length of the first supporter 501, the supporter hole 503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supporter 501 and the first joint part are pin-coupled to form the first supporter 501. The length can be increased, and whe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100 is smaller than the set length of the first supporter 501, the support body 400 is combined with the perforated hole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first supporter 501 to form the first supporter ( 501) can be shortened.

제2서포터(502)는, 제2서포트결합부위(402)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503) 중 하나의 서포터홀(503)과 제2서포트결합부위(402)를 핀결합하여 제2서포터(5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직경이 제2서포터(502)의 설정 길이보다 길 시 제2서포터(502) 상부모서리에 인접한 서포터홀(503)과 제2연잡부를 핀결합하여 서포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직경이 제2서포터(502)의 설정 길이보다 작을 시 제2서포터(502) 하부모서리에 인접한 타공홀과 서포트바디(400)를 결합하여 제2서포터(5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er 502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s 402, and is formed by pin coupling one supporter hole 503 of the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503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402. 2 The length of the supporter 502 can be adjusted. Whe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100 is longer than the set length of the second supporter 502, the supporter hole 503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supporter 502 and the second soft part can be pin-coupl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 Whe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100 is smaller than the set length of the second supporter 502,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er 502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upport body 400 with the perforated hole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supporter 502. can be adjusted

또한, 서포터(500)의 총 길이가 하우징(100)의 직경보다 작을 시 복수개의 서포터(500)를 수평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의 길이에 따라 서포터(5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서포터(500)가 용이하게 하우징(100)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supporters 5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100, the plurality of supporters 500 may be horizontally coupled. For this reason, the supporter 500 can easily support the housing 10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er 50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housing 100 .

서포터(500) 하부 모서리에 인접한 타공홀은, 서포터풋(510)과 결합할 수 있으며, 서포터풋(510)은 하우징(100)과 밀착하는 하단부, 하단부 일측과 결합하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일측수직부 및 하단부 타측과 결합하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타측수직부를 구비하여,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forated hole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er 500 may be coupled with the supporter foot 510, and the supporter foot 510 is coupled with the lower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and one side of the lower end and one sid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other side and formed in a 'c' shape with an open top by having the other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

서포터풋(510)에 형성된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는, 하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 사이에 서포트를 인입하여 서포터(500)에 형성된 서포터홀(503)과 서포터풋(5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겹쳐 핀 고정 할 수 있다.One side vertical part and the other vertical part formed in the supporter foot 510 may have through hole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end, and a supporter hole formed in the supporter 500 by inserting a support between the one side vertical part and the other vertical part ( 503)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er foot 510 may be overlapped and pinned.

서포터(500)와 결합된 서포터풋(51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을 기준으로 약 180º 내외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하우징(100)의 형상에 형성된 기울기가 달라도 서포터풋(510)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하우징(100) 면에 안착하여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er foot 510 combined with the supporter 500 is formed in a 'c' shape and can adjust the angle to about 180º based on the pin, so that even if the inclina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is different, the supporter foot 510 By adjusting, it can be easily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support the support.

서포터풋(510) 하단부 하부에는 하우징(100)에 용이한 안착을 위한 자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금속으로 형성된 하우징(100)에 서포터풋(510)이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다.A magne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foot 510 to be easily seated in the housing 100, and as a result, the supporter foot 510 can be easily seated in the housing 100 formed of metal.

다른 실시예로, 서포터풋(510) 하단부 하부에는 하우징(100)에 용이한 안착을 위한 미끄럼방지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포터풋(510)이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non-slip pad for easy seating on 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foot 510, so that the supporter foot 510 can be easily seated on the housing 100. there is.

이러한 샤프트(110) 분리 장치는, 나사부가 없거나 지지점이 없는 샤프트(110)를 다른 부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분해할 수 있고, 클램프(210) 및 샤프트핀(112)으로 샤프트(110)를 고정하여 적은 힘으로 샤프트(11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This shaft 110 separation device can disassemble the shaft 110 without a thread or without a support point without damaging other parts, and by fixing the shaft 110 with a clamp 210 and a shaft pin 112 The shaft 110 can be easily disassembled with little for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샤프트
111 : 샤프트홀 112 : 샤프트핀
200 : 샤프트결합부 210 : 클램프
211 : 클램프핀 212 : 클램프너트
213 : 제1그랩부위 214 : 제2그랩부위
215 : 제1클램프홈 216 : 제2클램프홈
220 : 연장부 300 : 리드스크류고정유닛
400 : 서포트바디 401 : 제1서포트결합부위
402 : 제2서포트결합부위 410 : 돌출부
411 : 트러스트베어링 412 : 조절너트
420 : 서포트바디커버 500 : 서포터
501 : 제1서포터 502 : 제2서포터
503 : 서포터홀 510 : 서포터풋
600 : 리드스크류 601 : 서비스렌치
100: housing 110: shaft
111: shaft hole 112: shaft pin
200: shaft coupling part 210: clamp
211: clamp pin 212: clamp nut
213: first grab part 214: second grab part
215: first clamp home 216: second clamp home
220: extension part 300: lead screw fixing unit
400: support body 401: first support coupling part
402: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410: protrusion
411: thrust bearing 412: adjusting nut
420: support body cover 500: supporter
501: first supporter 502: second supporter
503: supporter hall 510: supporter foot
600: lead screw 601: service wrench

Claims (10)

하우징에 결합된 샤프트를 분리시키기 위한 샤프트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구비한 리드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결합부;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결합하고, 말단이 상기 하우징 표면에 안착하여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A shaf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a shaft coupled to a housing,
a shaf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haft, having a lead screw having a male thread on the outside, and fixing the shaft;
a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ead screw and adjus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ad screw; and
A support unit coupled to the control unit and having a distal end seated on the housing surface to support the control unit;
Shaft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shaft from the housing by moving the lead screw up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수나사산을 구비한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하며,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조절너트;
상기 조절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조절너트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트러스트베어링;
상기 트러스트베어링과 결합하며,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서포트바디; 및
상기 서포트바디와 결합하며, 상기 조절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트바디커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an adjusting nut screwed together with the lead screw having a male thread and having a female thread;
a thrust bearing coupled to the adjusting nut and guiding rotation of the adjusting nut;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thrust bearing and supporting the thrust bearing; and
A shaft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support body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를 조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상방으로 이동할 시, 상기 하우징에 안착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서포트바디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와 결합한 상기 샤프트결합부가 상기 샤프트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lead screw is moved upwar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the support portion seated in the housing supports the support body,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haft moves the shaft upward.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인 샤프트홀에 인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클램프의 결속력을 높이는 샤프트핀; 및
상기 리드스크류의 하단과 결합하며, 상기 클램프를 지지하는 리드스크류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coupling part,
a clamp coupled to the shaft and fixing the shaft;
a shaft pin coupled to the shaft and inserted into a shaft hole having a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shaft to increase a binding force between the shaft and the clamp; and
and a lead screw fixing uni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lead screw and supporting the clam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샤프트 고정을 위한 제1그랩부위와 제2그랩부위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랩부위는 상기 제1그랩부위 내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홈인 제1클램프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그랩부위는 상기 제2그랩부위 내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부모서리로 이어진 홈인 제2클램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lamp includes a first grab portion and a second grab portion for fixing the shaft, and the first grab portion is a first clamp groove formed upward from a lower edge of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ab por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edge. and wherein the second grab portion includes a second clamp groove, which is a groove formed upward from a lower edge of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ab por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ed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서포트바디와 결합하며,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 및 제2서포터를 구비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와 결합하며, 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의 표면에 안착하는 서포터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a supporter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 first supporter and a second supporter supporting the adjusting unit; and
The shaft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supporter foot coupled to the supporter and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by adjusting the ang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인 서포터홀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er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having a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support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디는, 상기 서포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바디 양측에서 형성되며 'ㄷ'자 형상을 구비하는 제1서포트결합부위와 제2서포트결합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body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having a 'c' shape.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서포터는,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위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 중 하나의 서포터홀과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위를 핀결합하여 상기 서포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pport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s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supporter by pin coupling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and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with a pin. .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서포터는, 상기 제2서포트결합부위 사이에 인입되며, 복수개의 서포터홀 중 하나의 서포터홀과 상기 제2서포트결합부위를 핀결합하여 상기 서포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upporter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s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supporter by pin coupling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er holes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with a pin. .
KR1020210183335A 2021-12-21 2021-12-21 Shaft separtion device KR102595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35A KR102595133B1 (en) 2021-12-21 2021-12-21 Shaft separ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35A KR102595133B1 (en) 2021-12-21 2021-12-21 Shaft separ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300A true KR20230094300A (en) 2023-06-28
KR102595133B1 KR102595133B1 (en) 2023-10-27

Family

ID=8699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335A KR102595133B1 (en) 2021-12-21 2021-12-21 Shaft separ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13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627U (en) * 1995-04-03 1995-10-09 有限会社大和サービス Repair tool
KR960013723U (en) 1994-10-11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love box damper with variable working force
JP2002361571A (en) * 2001-06-04 2002-12-18 Masakatsu Yamaoka Pulley removing tool reusable without turning back
KR20160148204A (en) * 2015-06-16 2016-12-26 최봉열 Puller for caliper rod.
CN211916696U (en) * 2020-03-03 2020-11-13 华东交通大学 Split pin detacher
CN212311904U (en) * 2020-06-03 2021-01-08 诸暨市和普机电有限公司 Steering wheel puller
CN213411830U (en) * 2020-09-27 2021-06-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Pul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627B2 (en) * 1991-06-06 2000-03-06 東芝電池株式会社 Non-aqueous solvent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723U (en) 1994-10-11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love box damper with variable working force
JP3016627U (en) * 1995-04-03 1995-10-09 有限会社大和サービス Repair tool
JP2002361571A (en) * 2001-06-04 2002-12-18 Masakatsu Yamaoka Pulley removing tool reusable without turning back
KR20160148204A (en) * 2015-06-16 2016-12-26 최봉열 Puller for caliper rod.
CN211916696U (en) * 2020-03-03 2020-11-13 华东交通大学 Split pin detacher
CN212311904U (en) * 2020-06-03 2021-01-08 诸暨市和普机电有限公司 Steering wheel puller
CN213411830U (en) * 2020-09-27 2021-06-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Pu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133B1 (en)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stalling a garbage disposer
KR20200143210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lamping clamp spring
KR20070040293A (en) A die pickup apparatus
CN110418902A (en) Sliding bearing pad support
JP6676340B2 (en) Positioning device
KR101336899B1 (en) A horizontal force control unit using anchor for bridge bearing
CA2434979A1 (en) Quick connect blade iron system
KR102304628B1 (en)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clamp arm of clamping device
US20190316351A1 (en)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912025B1 (en) Device for affixing lower-level member and fluid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130041755A (en) Work pallet positioning and affixing device
EP2455649A1 (en) Grease-filled tool for bearing
KR20230094300A (en) Shaft separtion device
US7553200B2 (en) Battery terminal for a vehicle
EP3549817A1 (en) Catenary grounding device fall restri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20047833A (en) System rail and system rail unit
US20060117861A1 (en) Material tester
KR102156423B1 (en) Pipe processing apparatus
CN106050940A (en) Bearing mounting buckle and bearing assembly
KR102181850B1 (en) Height adjustable clamp
KR102400611B1 (en) 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EP3757406A1 (en) Structure base with pivot bolts
JP6186271B2 (en) Lower member fixing device and fluid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055857A (en) Governor adjustment jig
JP2017197989A (en) Floor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