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735A -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735A
KR20230093735A KR1020210182600A KR20210182600A KR20230093735A KR 20230093735 A KR20230093735 A KR 20230093735A KR 1020210182600 A KR1020210182600 A KR 1020210182600A KR 20210182600 A KR20210182600 A KR 20210182600A KR 20230093735 A KR20230093735 A KR 2023009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ircuit
resistor
resistance
current flowing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520B1 (ko
Inventor
박준형
이현웅
민병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8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지능화 기기와 축전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내부 시험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외부 시험 회로, 및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과, 외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에 기반하여 축전지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FRTU}
본 발명은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은 배전설비의 현장정보(상태정보, 전류/전압, 고장유무 등)를 실시간으로 취득 및 모니터링하고, 정전구간을 축소시키고 정전시간을 단축시키도록 배전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배전 지능화 기기(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과 주장치로 구성된다. 배전 지능화 기기는 배전 선로의 전압 및 전류 등를 기록하여 주장치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자동화용 개폐기 제어함 내부에 장착된다.
한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축전지로부터 배전 지능화 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개폐기 등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축전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전압 위주의 축전지 고장 진단 방식의 경우 허전압 발생 등에 의해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배전 지능화 기기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가 불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전류 위주의 축전지 고장 진단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나, 배전 지능화 기기의 제작사별로 개폐기의 내부 저항이 상이함에 따라 전류 위주의 축전지 고장 진단 방식을 배전 지능화 기기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408호(2018.08.08.)의 'FRTU 관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류에 기반하여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는 배전 지능화 기기와 축전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내부 시험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외부 시험 회로; 및 상기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과, 외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축전지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는, 상기 축전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외부 시험 회로는,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축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은 제어부가, 배전 지능화 기기와 축전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과,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외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축전지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는, 상기 축전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외부 시험 회로는,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축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류 위주로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상태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으로써, 배전 지능화 기기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어,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배전 지능화 기기(10), 축전지(20), 내부 시험 회로(100), 외부 시험 회로(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지능화 기기(10)는 배전 선로에 구비되어, 전압 및 전류를 포함한 배전 선로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배전 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으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전 지능화 기기(10)는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전 선로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및 감시 장치가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포함될 수 있다.
축전지(20)는 배전 지능화 기기(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축전지(20)는 배전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즉,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축전지(20)는 배전 지능화 기기(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경우, 배전 지능화 기기(10)는 외부 전원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내부 시험 회로(100)는 축전지(20)와 배전 지능화 기기(10) 사이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장치로서, 축전지(20)로부터 배전 지능화 기기(10)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거나,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축전지(20)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예: 개폐기)일 수 있다. 내부 시험 회로(100)는 제1 저항(110), 제1 스위치(120), 전력 변환 장치(130) 및 전력 공급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110)은 축전지(20)와 배전 지능화 기기(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110)은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저항(110)은 20Ω 내지 50Ω일 수 있다. 제1 저항(110)은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제작사별로 상이할 수 있다.
하기 표 1과 같이, 일반적으로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즉, 제1 저항(110))은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제작사별로 상이할 수 있다.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이 제작사별로 상이함에 따라 축전지(2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값 또한 제작사별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전압 위주로 축전지(20)의 상태를 판별하였다. 구체적으로, 내부 시험 회로(100)에 구비된 내부 저항을 통해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인가되는 전압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압을 기준 전압(예:21.5V)과 비교하여 축전지(20)의 상태를 판단하였다.
제작사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저항 불량판정 기준(전류(A))
A 50Ω 0.43A
B 24Ω 2.08A
C 22Ω 1.09A
D 20Ω 1.1A
E 27Ω 0.74A
그러나 이와 같이, 전압 위주로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연결된 축전지(20)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는 경우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가 불가하여 감시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종래에는 전압 위주로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연결된 축전지(20)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에 따라 내부 감시 회로의 내부 저항이 비교적 큰 값으로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제1 스위치(120)는 제1 저항(110)에 직렬로 연결되어 내부 시험 회로(100)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120)는 제1 저항(110)과 배전 지능화 기기(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20)는 NO(Normal Open) 타입(즉, a접점)일 수 있다. 제1 스위치(120)는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130)는 외부 전원(교류)을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스위치(140)는 축전지(20)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할 수 있다. 즉, 전력 공급 스위치(140)는 전력 변환 장치(130)와 축전지(2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스위치(140)는 NC(Normal Close) 타입(즉, b접점)일 수 있다.
외부 시험 회로(200)는 축전지(20)로부터 배전 지능화 기기(1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 시험 회로(10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시험 회로(200)는 제2 저항(210), 제2 스위치(220) 및 퓨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항(210)은 제1 저항(1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210)은 외부 시험 회로(200)의 내부 저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저항(210)은 제1 저항(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 저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저항(210)은 3Ω일 수 있다.
제2 스위치(220)는 제2 저항(210)에 직렬로 연결되어 외부 시험 회로(200)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220)는 제2 저항(210)과 배전 지능화 기기(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2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퓨즈(230)는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시켜 외부 시험 회로(200)를 보호할 수 있다. 퓨즈는 제2 저항(21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과, 외부 시험 회로(200)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에 기반하여 축전지(2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외부 시험 회로(200)의 내부 저항이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과 외부 시험 회로(200)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은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작은 내부 저항을 갖는 외부 시험 회로(200)를 내부 시험 회로(100)에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축전지(20)와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저항값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전 지능화 기기(10)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고, 제작사별로 상이한 불량 판정 기준값을 표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배전 지능화 기기(10)에 구비되는 마이컴일 수 있으며, 내부 시험 회로(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스위치(120, 220)를 온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전력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전력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켜 외부 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120, 220)를 온시켜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이 병렬 연결되도록 한 후,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시험 회로(100)와 배전 지능화 기기(10) 사이 또는 내부 시험 회로(100) 내부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전류 센서를 통해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된 전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축전지(2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범위는 축전지(20)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류 위주로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상태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으로써, 배전 지능화 기기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어,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스위치(120, 220)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전력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S201). 즉,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스위치(120, 220)를 온시켜 제1 및 제2 저항(110, 210)이 병렬 연결되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내부 시험 회로(100)의 내부 저항인 제1 저항(110)과, 외부 시험 회로(200)의 내부 저항안 제1 저항(110)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S203)
이어서, 제어부(300)는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5)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207). 즉, 제어부(300)는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축전지(2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축전지(2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축전지(2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전류 위주로 배전 지능화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상태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으로써, 배전 지능화 기기의 개폐 시에 필요한 실제 전류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어,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전 지능화 기기 20: 축전지
100: 내부 시험 회로 110: 제1 저항
120: 제1 스위치 130: 전력 변환 장치
140: 전력 변환 스위치 200: 외부 시험 회로
210: 제2 저항 220: 제2 스위치
230: 퓨즈 300: 제어부

Claims (12)

  1. 배전 지능화 기기와 축전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내부 시험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외부 시험 회로; 및
    상기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과, 외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축전지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험 회로는,
    상기 축전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험 회로는,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축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7. 제어부가, 배전 지능화 기기와 축전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내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과,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외부 시험 회로의 내부 저항의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축전지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험 회로는,
    상기 축전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험 회로는,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시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합성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축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182600A 2021-12-20 2021-12-20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62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00A KR102627520B1 (ko) 2021-12-20 2021-12-20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00A KR102627520B1 (ko) 2021-12-20 2021-12-20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35A true KR20230093735A (ko) 2023-06-27
KR102627520B1 KR102627520B1 (ko) 2024-01-24

Family

ID=8694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00A KR102627520B1 (ko) 2021-12-20 2021-12-20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89A (ko)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검출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전류량을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27057A (ko) * 2005-08-29 2007-03-09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용 축전지의 감시 시스템
KR100913766B1 (ko) * 2008-12-03 2009-08-25 (주)한위드정보기술 축전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88153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89A (ko)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검출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전류량을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27057A (ko) * 2005-08-29 2007-03-09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용 축전지의 감시 시스템
KR100716899B1 (ko) * 2005-08-29 2007-05-10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용 축전지의 감시 시스템
KR100913766B1 (ko) * 2008-12-03 2009-08-25 (주)한위드정보기술 축전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88153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520B1 (ko)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305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distributing standby power
KR102068862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류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7634329B2 (en) Intelligent aircraft secondary power distribution system that facilitates condition based maintenance
EP3876333A1 (en) Battery energy storage bms system enabling dual path-based information sampling and detection and protection control
BR102013005184A2 (pt) método e dispositivo de manutenção de instalação elétrica
JP2007535888A (ja) 電力供給装置
JP2012052445A (ja) 風力発電装置の異常振動検出装置
US10855106B2 (en) Enclosure monitoring devices having battery backup
US6124797A (en) Backup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20230093735A (ko) 배전 지능화 기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00000793U (ko) 리튬배터리의 수명연장 및 원격 불량시험 장치
US11588315B2 (en) Control system for an electrical apparatus
EP4152013A1 (en) Input/output (io) module power supply with online load test capability
KR10218215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이중화 보호 장치 및 이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BR112015028984B1 (pt) Dispositivo e processo de assistência para um sistema de geração de energia de uma aeronave
RU23318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с цепью отключения
JP2013074715A (ja) 充電装置
WO2019208147A1 (ja) 蓄電装置、蓄電装置の制御装置及び蓄電装置の制御方法
CN214374995U (zh) 用于车载多媒体设备的故障检测装置及车辆
CN115792386B (zh) 绝缘检测方法及系统
JP7325319B2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240011958A (ko) 복합 모니터링을 활용한 배터리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100568960B1 (ko) 이동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보호계전 시스템 및 방법
JP3815432B2 (ja) コンデンサのショート故障早期検出方式および方法
KR20200039998A (ko) 에너지저장장치 보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