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661A - Cooker with folding handle - Google Patents

Cooker with fold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661A
KR20230093661A KR1020210182476A KR20210182476A KR20230093661A KR 20230093661 A KR20230093661 A KR 20230093661A KR 1020210182476 A KR1020210182476 A KR 1020210182476A KR 20210182476 A KR20210182476 A KR 20210182476A KR 20230093661 A KR20230093661 A KR 2023009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container body
unfolded
c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21018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661A/en
Publication of KR2023009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6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되,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조리 습관에 따라 손잡이를 완전히 펼쳐서 잡거나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파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되, 고정장치에 의해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조리 습관에 따라 손잡이를 완전히 펼쳐서 잡거나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파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한 효과를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having a foldable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he handle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to reduce the volume for convenient storage, but the handle can be gradually unfolded to provide a cooking spac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able handle that enables convenient cooking by allowing the cook to cook by gripping the handle with the handle completely unfolded or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a cook's cooking hab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volume is reduced and stored conveniently, but the handle can be gradually unfolded by the fixing device so that the cooking space or Depending on the cook's cooking habit, the handle can be fully unfolded and gripped or gri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ok, resulting in an effect of enabling convenient cooking.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Cooker with folding handle}Cooker with folding handle {Cooker with folding handle}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되,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조리 습관에 따라 손잡이를 완전히 펼쳐서 잡거나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파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having a foldable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he handle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to reduce the volume for convenient storage, but the handle can be gradually unfolded to provide a cooking spac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able handle that enables convenient cooking by allowing the cook to cook by gripping the handle with the handle completely unfolded or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a cook's cooking habit.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볶거나 튀기거나 굽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프라이팬이라 하고, 삶거나 국을 끓일 때 사용되는 것을 냄비라 한다. 근래에는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본 고안에서도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긴손잡이가 구비된 것이면 다 포함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In general, a cooking vessel is used for cooking food, and a frying pan is used for frying, frying, or baking, and a pot is used for boiling or boiling soup. In recent years, frying pans and pots are used without distinc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rying pans and pots are not distinguished,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ny long handle can be included.

종래, 접이식 손잡이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5455호(2006.01.11. 공고)가 있다. 종래에 따르면 두 개의 관절에 의해 손잡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접이식 손잡이를 제안하고 있다. 물론, 손잡이를 접게 되면 크기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보관할 때 공간 활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손잡이는 조리를 할 때에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만 파지해야 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어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위치나 습관에 따라 무조건 길게 펼쳐지는 손잡이가 때로는 불편함도 있었다.Conventionally, as a folding handle, 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5455 (published on January 11, 2006).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foldable handle for a cooking container has been proposed so that the handle can be folded and stored by two joints. Of course, as the size is reduced when the handle is folded, there is an advantage of excellent space utilization when storing. However, the conventional foldable handle h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at it must be gripped only in a completely unfolded state during cooking, so the handle that is unconditionally extended depending on the cooking space or the position or habit of the cook is sometime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되,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조리 습관에 따라 손잡이를 완전히 펼쳐서 잡거나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파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handle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volume is reduced and storage is convenient, but the handle can be unfolded step by step to improve the cooking space or cook's cooking habits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able handle that enables convenient cooking by allowing the handle to be fully unfolded and grasped or to be gri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o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되 양 측벽과 바닥에 안치판을 구비한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상기 양 측벽에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완전히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통해 완전히 펼쳐지기 전 일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일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조리를 하거나 운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oking space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surrounding the bottom portion, and penetrates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ut has a seating plate on both side walls and the bottom. a grooved container body; And a handle mounted on both side walls of the container body via a rotating shaft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tainer body to b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oking space and stored, and to hold the container bod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ating plate when fully unfolded.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before fully unfolded through a fixing device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the handle is gripped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to cook or be transported. do.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slope gradually lowering toward the cooking space, so that water is well drained during washing.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다단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unfold in multiple stages.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본체의 측판 상부 혹은 손잡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서 손잡이를 일부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upper side plate or the handle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handle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를 완전히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치판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fastening means coupled to the seat plate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unauthorized folding when the handle is fully unfolded.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되, 고정장치에 의해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공간 혹은 조리자의 조리 습관에 따라 손잡이를 완전히 펼쳐서 잡거나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파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한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volume is reduced and stored conveniently, but the handle can be gradually unfolded by the fixing device so that the cooking space or Depending on the cook's cooking habit, the handle can be fully unfolded and gripped or gri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ok, resulting in an effect of enabling convenient cook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접히는 동작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접히는 동작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배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ing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line showing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handle.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lding oper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nd "B" of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oper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n FIG. 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schematic rear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ab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접히는 동작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접히는 동작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able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handle, Figure 4 is a folding oper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n, and "A" and "B" in FIG. 5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00) 및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to 5 , a cooking vessel having a foldab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ontainer body 100 and a handle 200 .

먼저, 상기 용기본체(100)는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를 둘러싸는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조리공간(130)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120)의 후방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고 양 측벽(142)과 바닥에 안치판(144)이 형성된 수용홈(140)이 형성된다.First, the container body 100 is composed of a bottom part 110 and a side wall part 120 surrounding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cooking space 130, and the rear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120 Accommodating grooves 140 are formed which are penetr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have a seating plate 144 formed on both side walls 142 and the bottom.

한편, 도면상 수용홈(140)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이 도면을 토대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이는 기준을 잡는 위치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groove 140 is penet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drawing, and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is drawing, but it is very obvious that the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reference is take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wn direction I will explain the criteria.

이때,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안치판(144) 즉, 수용홈(140)의 바닥면을 살펴보면, 조리공간(130)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세척시 수용홈(140)으로 물이나 세제가 유입될 수 있는데, 경사를 따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2 , looking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144 ,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140 , it has a gradually lowered slope toward the cooking space 130 . This is formed so that water or deterg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0 during washing, and is easily discharged along the slope.

그리고, 상기 수용홈(140)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142)에는 삽입공(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손잡이(200)를 장착하는 회전축(150)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40)의 안치판(144)과 측벽부(120)가 만나는 경계지점(R)에는 호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수용홈(140)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음식물이나 수분 등이 자연스럽게 수용공간으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46 is formed in the side wall 142 forming the accommodation groove 140, which is formed to insert a rotational shaft 150 for mounting a hand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oundary point R where the seating plate 144 and the side wall portion 120 of the receiving groove 140 meet is rounded in an arc shape, which can flow into the receiving groove 140. This is to induce the natural flow of food or moisture into the receiving space.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수용홈(140) 내에서 회전축(150)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130)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144)에 저면이 지지되면서 용기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00)에도 축공(2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140)을 형성하는 측벽(142)에 형성된 삽입공(146)과 손잡이(200)에 형성된 축공(230)의 위치를 맞춰서 회전축(150)을 끼움 장착하면 장착이 완료되는데, 상기 회전축(150)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반대편에서 스냅링 같은 고정클립(152)을 회전축(150)에 결합하면 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150)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고, 손잡이(200) 양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삽입공(146)에 끼움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다.Next, the handle 200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40 of the container body 100 via the rotation shaft 150, is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oking space 130 and stored, and when unfolded on the contrary, the settling It is provid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100 can be gripped while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by the plate 144,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haft hole 230 is also formed in the handle 200, and th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When the rotation shaft 150 is inserted and mounted by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 146 formed in the side wall 142 and the shaft hole 230 formed in the handle 200,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and the rotation shaft 150 is not separated without permission. Just combine the fixing clip 152, such as a snap ring, to the rotating shaft 150 from the other side so that it does not. Of course, the rotary shaft 150 may be of a completely separate type as shown, or may be of a typ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2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6.

한편, 상기 손잡이(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겠지만,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용홈(140)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00)와 접촉되는 제1손잡이(210) 및 상기 제1손잡이(210) 후측에 볼팅 체결되는 제2손잡이(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가 편리한 관점에서 선택될 수도 있고, 또는 용기본체(100)에 접촉되는 제1손잡이(210)는 열에 강한 소재를 사용하고, 제2손잡이(220)는 열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그립감이 좋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composed of a single body, but as shown, the first handle 210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0 and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handle 220 fasten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andle 210 by bolting, which may b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convenient manufacturing, or the first handle 210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body 100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using a material resistant to heat and using a material having a good grip because the second handle 220 is not directly exposed to heat.

또한, 상기 손잡이(200)에는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치판(144)에 체결되는 체결수단(2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200)를 바깥쪽으로 펼쳐서 조리시 파지하고자 할 때 무단으로 접어지면 사용상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펼쳤을 때에는 용기본체(100)에서 형성된 안치판(144)에 체결되어 손잡이(200)를 고정하게 되고, 분리되면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240)을 말하는 것으로, 아주 간단하게는 고정핀과 같은 타입으로 구성되어 손잡이(200)를 펼쳤을 때 손잡이(200)와 안치판(144)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ing means 240 fastened to the seat plate 144 is further provided on the handle 200 to prevent unauthorized folding when unfolded. That is, when unfolding the handle 200 outward to grip it during cooking,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if it is folded without step. It refers to the fastening means 240 that is foldable when separated, and is very simply composed of the same type as a fixing pi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such as an insertion method.

한편, 상기 체결수단(240) 중 간단하면서 작동이 편리한 타입이 슬라이더방식이다. 즉,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된 레일홈(244)에 전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4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도 간단하고 작동방법도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fastening means 240, a simple and convenient type of operation is a slider type.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200 is provided with a slider 242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n the rail grooves 244 formed on both sides. This will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ecaus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operation method is simple.

즉, 슬라이더(242)를 손잡이(200)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4와 같이 안치판(144)과 분리됨에 따라 자유롭게 접거나 펼 수 있고, 슬라이더(242)를 전측으로 이동시켜 안치판(144)에 결합되도록 하면 손잡이(200)는 구속되어서 무단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lider 242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handle 200, it can be freely folded or unfolded as it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late 144 as shown in FIG. When combined, the handle 200 is constrained and does not rotate without permission.

한편, 손잡이(200)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는데, 본원에서는 단순히 손잡이(200)를 접는 것이 아니라 수용홈(140)을 형성하고 그 내에 손잡이(200)를 장착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손잡이(200)를 편리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or allowing the handle 200 to be folded has already been mentioned in the prior art, but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andle 200 is not simply folded, but a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and the handle 200 is mount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conveniently fold the handle 200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나아가, 본원에서는 상기 손잡이(200)는 단순히 접었다 완전히 펼쳐져서 용기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장치(300)를 구비하여서 손잡이(200)가 완전히 펼쳐지기 전 일부 펼쳐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상태에서도 용기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즉, 손잡이(200)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펼칠 때 한 번에 완전히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중간 어느 지점에서 1단계로 펼쳐서 고정할 수 있고, 2단계로 완전히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각도로 손잡이(20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나아가 손잡이(200)를 여러 단계에 걸쳐 고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andle 200 is not simply configured to be folded and fully unfolded to hold the container body 100, but as shown in FIG. 5, a fixing device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 200) can be fixed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before fully unfold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100 can be gripped even in that state. That is, when the handle 200 is unfolded from a fully folded state, it is not configured to be fully unfolded at once, but can be unfolded and fixed in one step at any point in the middle by the user's choice, and is configured to be fully unfolded in two steps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by fixing the handle 200 at a convenient angle. 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the handle 200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fixed in several steps.

한편, 상기 손잡이(200)를 소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간편하게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을 형성하는 측벽(142)에 고정핀(310)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200)의 측면에 고정홈(250)을 형성하여 손잡이(200)를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핀(310)을 고정홈(250)에 삽입시키게 되면 그 상태로 손잡이(200)가 고정됨에 따라 손잡이(200)를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아니라도 용기본체(100)를 파지하면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device 300 for fixing the handle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have various shapes and configurations, but conveniently, as shown in FIG. 1, the side wall 142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140 )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310, and a fixing groove 25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200 to rotate the handle 200 so that the fixing pin 3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50. As the handle 200 is fixed in that state, cooking is possible while holding the container body 100 even when the handle 200 is not completely unfolded.

이렇게 구성되면, 사용자는 주변 환경이나 요리 자세에 따라 손잡이(200)를 완전히 펼쳐서 사용하거나 일부 펼친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user can use the handle 200 in a completely unfolded or partially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cooking posture, so that the user can cook more conveniently.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 배면도이다."A" in FIG. 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schematic rear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0a)는 원터치 잠금장치(일명, 랏찌)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손잡이(200)를 구속할 때에는 후방에서 이동봉(320)을 밀어서 고정홈(250)에 삽입되도록 하고, 구속을 해제할 때에는 상측에 구비된 버튼(322)을 누르면 이동봉(320)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후퇴하도록 작동되는 타입이다.First, referring to "A", the fixing device 3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one-touch locking device (aka latch). That is, when the handle 200 is restrained, the moving rod 320 is pushed from the rear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50, and when the restraint is released, pressing the button 322 provided on the upper side moves the moving rod 320 to the spring. It is a type that operates to automatically retreat due to restoring force.

"나"를 참조로 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0b)는 슬라이더판(33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손잡이(200)의 후면에 상하 슬라이더 작동되는 슬라이더판(330)을 구비하여 손잡이(200)를 세운뒤 슬리이더판(330)을 하향시키면 용기본체(100) 상면에 안착되면서 손잡이(200)를 고정하는 타입이다.Referring to "I", the fixing device 3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slider plate 330. That is, when the slider plate 33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andle 200 and operates as a vertical slider, the slider plate 330 is lowered after raising the handle 200, and the handle 2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It is a fixed type.

이렇듯, 고정장치(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본원에서는 이 고정방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As such, it is obvious that the fixing device 30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application makes it clear that the fixing method is not limited.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for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ail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may readily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purposes similar to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cep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erve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to achieve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or chang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patented.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00 : 용기본체 110 : 바닥부
120 : 측벽부 130 : 조리공간
140 : 수용홈 142 : 측벽
144 : 안치판 146 : 삽입공
150 : 회전축 152 : 고정클립
200 : 손잡이 210 : 제1손잡이
220 : 제2손잡이 230 : 축공
240 : 체결수단 242 : 슬라이더
244 : 레일홈 250 : 고정홈
300,300a,300b : 고정장치 310 : 고정핀
320 : 이동봉 322 : 버튼
330 : 슬라이더판
100: container body 110: bottom
120: side wall 130: cooking space
140: receiving groove 142: side wall
144: seating plate 146: insertion hole
150: rotation axis 152: fixing clip
200: handle 210: first handle
220: second handle 230: shaft hole
240: fastening means 242: slider
244: rail groove 250: fixed groove
300,300a,300b: fixing device 310: fixing pin
320: moving bar 322: button
330: slider plate

Claims (5)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되 양 측벽과 바닥에 안치판을 구비한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상기 양 측벽에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완전히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통해 완전히 펼쳐지기 전 일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일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조리를 하거나 운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 container body formed of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surrounding the bottom portion to form a cooking space,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penetr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having receiv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s and bottom with a settling plate; and
A handle mounted on both side walls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tainer body via a rotating shaft to b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oking space and stored, and conversely, when fully unfolded, to hold the container bod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plate. but
The handle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before fully unfolded through a fixing device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the handle is gripped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to cook or transport. Cooking vessel provided wi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slope that gradually lowers toward the cooking space so that water is well drained during was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다단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configured to unfold in multiple st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본체의 측판 상부 혹은 손잡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서 손잡이를 일부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handle or the top of the side plate of the container body to fix the handle in a partially unfold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완전히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치판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means coupled to the seat plate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unauthorized folding when the handle is fully unfolded.
KR1020210182476A 2021-12-20 2021-12-20 Cooker with folding handle KR202300936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76A KR20230093661A (en) 2021-12-20 2021-12-20 Cooker with fold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76A KR20230093661A (en) 2021-12-20 2021-12-20 Cooker with folding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661A true KR20230093661A (en) 2023-06-27

Family

ID=8694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476A KR20230093661A (en) 2021-12-20 2021-12-20 Cooker with fold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6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8646T3 (en) Pressure cooker with bifunctional locking / unlocking control unit
KR101509482B1 (en)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in cookware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CN102309249B (en) Culinary article with folding gripping element
CN108013853B (en) Drying rack
US10463228B2 (en) Wine glass drying rack
KR20230093661A (en) Cooker with folding handle
ES2271936T3 (en) APPLIANCES FOR FOOD PREPARATION.
KR102393089B1 (en) Cooker with folding handle
KR200439892Y1 (en) A cookware having handle
KR20110011200U (en) cook pot
CN211155427U (en) Foldable handle and cooker
KR20230074881A (en) Cooker with folding handle
CN213371391U (en) Portable breakfast machine
JP2014502906A (en) Detachable cookware gripping device
CN217338216U (en) Egg clamping device
CN211722864U (en) Frying and baking machine
KR101257822B1 (en) Grip for cooking vessel
EP1712162A1 (en) Traditional teapot having rotatable holding means to avoid burns
JP3112113U (en) Pouring container mounting table for jar pot
CN108078378A (en) A kind of pot mouth structure of rotatable storage handle and the kettle with the pot mouth structure
KR101438203B1 (en) foldable handle of pot
CN217959845U (en) Pot tool
KR101562308B1 (en) Cooked pot
CN211722863U (en) Frying and ba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