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200A -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 Google Patents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200A
KR20230093200A KR1020230076180A KR20230076180A KR20230093200A KR 20230093200 A KR20230093200 A KR 20230093200A KR 1020230076180 A KR1020230076180 A KR 1020230076180A KR 20230076180 A KR20230076180 A KR 20230076180A KR 20230093200 A KR20230093200 A KR 2023009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ermanent magnet
support frame
clos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6324B1 (en
Inventor
오승열
김태균
한기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7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24B1/en
Publication of KR2023009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81Electromagnetic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coil desig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중간지지 프레임과, 중간지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지지 프레임과, 중간지지 프레임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톰슨코일과,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중간지지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톰슨코일과, 투입용 톰슨코일과 개방용 톰슨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고, 투입용 톰슨코일과 개방용 톰슨코일의 반발력에 의해 투입용 톰슨코일 또는 개방용 톰슨코일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판과, 반발판에 연결되며, 중간지지 프레임과 상부지지 프레임을 관통하는 바(bar) 형상의 이동자와, 이동자의 단부에 연결되며, 이동자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전극에 접하거나 이격되는 이동전극과, 상부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영구자석과 상부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영구자석과, 중간지지 프레임과 투입용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투입용 흡착판과, 개방용 영구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동자의 측부에 고정되어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개방용 흡착판을 포함하며, 이동전극이 고정전극 측으로 이동되어 접하는 투입모드 동작 시, 투입용 흡착판은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이동되고,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상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동전극이 고정전극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 시, 개방용 흡착판은 개방용 영구자석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개방용 영구자석 측으로 하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개방모드 동작 시간이 투입모드 동작 시간 보다 더 빠르게,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이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 보다 크고, 이동전극이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d1, 개방모드에서 투입용 영구자석과 투입용 흡착판 사이의 거리를 d2, 투입모드에서 개방용 흡착판과 개방용 영구자석 사이의 거리를 d4라 하면, d1 < d2 이고, d1 < d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comprising: a fixedly installed base plate, an intermediate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and an upper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nd, a Thomson coil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 Thomson coil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facing the base plate, and a Thomson coil for input and a Thomson for opening It is located between the coils and is connected to a rebound plate that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losing Thomson coil or opening Thomson coil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losing Thomson coil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and the rebound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nd upper support. A bar-shaped mover penetrating the frame, a movable electrod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er and moved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er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and an input devic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upper support frame, a suction plate for input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input and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ver, and an upper part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ver and includes an opening suction plate tha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mover and extends to the side of the mover. When the movable electrode is moved to the fixed electrode side and contacts the insertion mode operation, the suction plate for input is moved to the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input,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input is It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moved upward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when the movable electrode is in an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it is separated from the fixed electrode, the suction plate for open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t is maintained in a downwardly moved state to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opening mode operation time is faster than the closing mode operation time,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s greater than that of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the moving electrode opens If d1 is the moving distance to switch from mode to closing mode,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losing permanent magnet and the closing suction plate in the opening mode, and d4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suction plate and the opening permanent magnet in the closing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1 < d2 and d1 < d4.

Description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Actuator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son coil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본 발명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톰슨 코일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capable of performing a stable breaking operatio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using the Thomson coil.

일반적으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는 전력 계통에서 부하전류 또는 사고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핵심 전력기기이다.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해서는 조작기인 액츄에이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In general,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pson coils are key power devices for blocking load currents or fault currents in power systems. In order to drive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pson coils, actuators, which are manipulators, are indispensably installed.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사용되는 조작기는 일반적으로 전동 스프링 방식이며,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정격이 상향되면서 더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유압식 스프링 방식이 점차 사용되고 있다.Actuators used for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pson coils are generally of the electric spring type. As the rating of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son coils increases, greater operating force is required, so hydraulic spring types are gradually used.

종래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사용되는 전동 스프링 방식 및 유압식 스프링 방식은 부품수가 많으므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Since the electric spring method and the hydraulic spring method used in conventional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son coils have a large number of par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actuators for circuit breakers using Thomson coils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2646호(2015.05.14 공개, 발명의 명칭: 회로 차단기)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052646 (published on May 14, 2015, title of the invention: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톰슨 코일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that can perform a stable breaking operatio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using the Thomson coil.

본 발명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는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중간지지 프레임;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지지 프레임;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톰슨코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톰슨코일;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과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과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 또는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판; 상기 반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을 관통하는 바(bar) 형상의 이동자; 상기 이동자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자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전극에 접하거나 이격되는 이동전극;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영구자석;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영구자석;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투입용 흡착판; 및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자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개방용 흡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 측으로 이동되어 접하는 투입모드 동작 시, 상기 투입용 흡착판은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상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 시, 상기 개방용 흡착판은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 측으로 하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개방모드 동작 시간이 투입모드 동작 시간 보다 더 빠르게,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이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 보다 크고, 상기 이동전극이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d1, 개방모드에서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과 상기 투입용 흡착판 사이의 거리를 d2, 투입모드에서 상기 개방용 흡착판과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 사이의 거리를 d4라 하면, d1 < d2 이고, d1 < d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ly installed base plate; An intermediate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An upper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 Thomson coil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 Thomson coil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facing the base plate; A rebound plate located between the closing Thomson coil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and mov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closing Thomson coil or the opening Thomson coil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losing Thomson coil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 a bar-shaped mover connected to the rebound plate and penetrating the middl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support frame; a movable electro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mover and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er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A permanent magnet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 suction plate for input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input and extending to a side of the mover; and an opening suction plate located above the opening permanent magnet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mover and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ver, wherein the movable electrode is moved toward the fixed electrode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mode operation. The suction plate for closing is moved to the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moved upward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during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electrode. , The suction plate for open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and is maintained in a downwardly moved state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and the opening mode operation time is the closing mode operation time More quickl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s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the distance that the movable electrode moves to switch from the opening mode to the closing mode is d1,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If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lates for closing and d4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late for opening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n the closing mode, d1 < d2 and d1 < d4.

본 발명은 상기 투입용 흡착판과 마주하는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facing the input suction plate.

상기 투입용 흡착판은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시 상기 완충부재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movable electrode is operated in an open mode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the suction plate for insertion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는, 반발판을 사이에 두고 투입용 톰슨코일과 개방용 톰슨코일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반발판의 이동으로 투입모드 및 개방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Thomson coil for closing and a Thomson coil for opening with a rebound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be operated in closing mode and opening mode by moving the rebound plate. Operational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에 적용된 조작 방식을 대체하여 링크 구조 감소 및 부품수 축소를 통해 고장요인을 줄일 수 있고,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placing the operation method a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using the existing Thomson coi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ilure factor through a reduction in the link structure and the number of parts,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using the Thomson coil, ,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의 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랫치, 판스프링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 횟수에 따른 상태 유지 성능 저하 없이 투입모드 또는 개방모드 상태를 일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parts such as latches and leaf springs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so parts and failure rates can be reduced, and the closing mode or open mode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deterioration in state maintena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It can be maintained with constant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개방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가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투입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n mode state of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n open mode to a closing mod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osing mode state of the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개방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가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의 투입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mode, and FIG. 2 is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mod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switching to the closing mod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osing mode of the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는,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중간지지 프레임(105)과, 중간지지 프레임(105)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지지 프레임(109)과, 중간지지 프레임(105)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톰슨코일(102)과,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마주하는 중간지지 프레임(105)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톰슨코일(104)과, 투입용 톰슨코일(102)과 개방용 톰슨코일(104)의 사이에 위치하고 투입용 톰슨코일(102)과 개방용 톰슨코일(104)의 반발력에 의해 투입용 톰슨코일(102) 또는 개방용 톰슨코일(104)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판(103)과, 반발판(103)에 연결되며 중간지지 프레임(105)과 상부지지 프레임(109)을 관통하는 바(bar) 형상의 이동자(10) 및 이동자(10)의 단부에 연결되며 이동자(1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전극(4)에 접하거나 이격되는 이동전극(2)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는, 투입용 흡착판(107)과 투입용 영구자석(108)과 완충부재(106)와 개방용 영구자석(110)과 개방용 흡착판(111)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ly installed base plate 101 and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1 An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fixedly installed, an upper support frame 109 fixedly installed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and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1 facing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A Thomson coil 102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01, a Thomson coil 104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facing the base plate 101, and a Thomson coil 102 for input It is located between the opening Thomson coils 104 and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losing Thomson coil 102 or the opening Thomson coil 104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losing Thomson coil 102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104. A rebound plate 103 connected to the rebound plate 103 and a bar-shaped mover 10 passing through the middle support frame 105 and the upper support frame 109 and at the end of the mover 10 It is connected and includes a moving electrode 2 that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er 10 and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4. In addition,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late for input 107, a permanent magnet for input 108, a buffer member 106, a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110, A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is further included.

이동자(10)는 제2코일 프레임(104a), 중간지지 프레임(105), 완충부재(106), 제1자석 프레임(108a), 상부지지 프레임(109), 제2자석 프레임(110a)을 관통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이동자(10)의 하부는 반발판(103)에 고정되어 반발판(103)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mover 10 passes through the second coil frame 104a,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the buffer member 106, the first magnet frame 108a, the upper support frame 109, and the second magnet frame 110a. It has a rod shape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lower part of the mover 10 is fixed to the rebound plate 103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rebound plate 103 .

이동자(10)는 제2코일 프레임(104a), 중간지지 프레임(105), 완충부재(106), 제1자석 프레임(108a), 상부지지 프레임(109), 제2자석 프레임(110a)에 의해 좌우 측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2코일 프레임(104a), 중간지지 프레임(105), 완충부재(106), 제1자석 프레임(108a), 상부지지 프레임(109), 제2자석 프레임(110a)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er 10 is moved by the second coil frame 104a, the middle support frame 105, the buffer member 106, the first magnet frame 108a, the upper support frame 109, and the second magnet frame 110a. In the stat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upported, the second coil frame 104a, the middle support frame 105, the buffer member 106, the first magnet frame 108a, the upper support frame 109, and the second magnet frame 110a ) and can move up and down.

이동자(10)의 상측에 이동전극(2)이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자(10)의 상측에 이동로드(1)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로드(1)의 상측에 이동전극(2)이 연결될 수 있다.The moving electrode 2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ver 10, and the moving electrode 2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rod 1 while the moving rod 1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ver 10. there is.

이동전극(2)의 상측에는 고정전극(4)이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전극(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로드(3)의 하측에 연결된다.A fixed electrode 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able electrode 2, and the fixed electrode 4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ed rod 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고정전극(4)과 이동전극(2)이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를 개방모드라 하며, 이동전극(2)이 이동되어 고정전극(4)에 접한 상태를 투입모드라 한다.A state in which the fixed electrode 4 and the movable electrode 2 are separated by a set interval is referred to as an open mode, and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2 moves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electrode 4 is referred to as a closing mode.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최하부에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위치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측에는 판상의 중간지지 프레임(105)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A plate-shaped base plate 101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and a plate-shaped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is fix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1 at regular intervals. installed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상면에 판상의 제1코일 프레임(102a)이 고정되며, 제1코일 프레임(102a) 상측에 구비된 홈부에 판상의 투입용 톰슨코일(102)이 설치된다.And, the plate-shaped first coil frame 102a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and the plate-shaped Thomson coil 102 for inputting is installed in the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il frame 102a.

투입용 톰슨 코일(102)의 상부에 판상의 반발판(103)이 설치되며, 이러한 반발판(10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투입 및 개방 동작 수행을 위한 반발판(103)은 개방용 톰슨코일(104)과 투입용 톰슨코일(102)의 사이에 1개가 설치된다.A plate-shaped rebound plate 103 is installed on top of the input Thomson coil 102, and this rebound plate 103 includes a metal material. One rebound plate 103 for closing and opening operations is installed between the opening Thomson coil 104 and the closing Thomson coil 102.

중간지지 프레임(105)의 하면에 판상의 제2코일 프레임(104a)이 고정되며, 제2코일 프레임(104a)의 하측에 구비된 홈부에 판상의 개방용 톰슨 코일(104)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plate-shaped second coil frame 104a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and the plate-shaped Thomson coil 104 for openin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il frame 104a. It is fixed.

이 같은 구조에서 반발판(103)은 투입용 톰슨 코일(102)에 전원이 인가되는 투입모드 동작시, 반발판(103)에 유도되는 맴돌이 전류에 의한 반발력으로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개방용 톰슨 코일(104)에 전원이 인가되는 개방모드 동작시, 반발판(103)에 유도되는 맴돌이 전류에 의한 반발력으로 반팔판(103)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repelling plate 103 moves upward due to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eddy current induced in the repelling plate 103 during the closing mode operation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closing Thomson coil 102 . In addition, during an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opening Thomson coil 104, the half-sleeve plate 103 may move downward due to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eddy current induced in the rebound plate 103.

반발판(103)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개방모드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입용 톰슨 코일(102)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투입모드일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용 톰슨 코일(104)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is in an open mode, the rebound plate 103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homson coil 102 for insertion, as shown in FIG. 1, and the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When 1000 is in the closing mode, it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homson coil 104 for opening, as shown in FIG. 3 .

이러한 반발판(103)의 가운데에는 직상방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이동자(10)의 하부가 고정된다.At the center of the rebound plate 103, a lower portion of a bar-shaped mover 10 extending directly upward is fixed.

완충부재(106)는 투입용 흡착판(107)과 마주하는 중간지지 프레임(105)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The buffer member 106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5 facing the suction plate 107 for input,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이동자(10)의 측면에 측부로 연장되는 판상의 투입용 흡착판(107)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용 흡착판(107)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며, 투입용 영구자석(108)과 완충부재(106)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A plate-shaped input suction plate 107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ver 10 is provided. The suction plate 107 fo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tal material and has a plate shape position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and the buffer member 106 .

투입용 흡착판(107)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개방모드 상태에서는 완충부재(106)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투입모드 상태에서는 투입용 영구자석(108)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투입용 영구자석(108)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투입모드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투입용 흡착판(107)은 투입용 영구자석(108)과 기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입 동작시 투입용 흡착판(107)이 투입용 영구자석(108)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투입용 영구자석(108)이 파손되지 않도록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설계될 수 있다.The input suction plate 107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106 in an open mode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In addition, in the input mode state of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it can b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When the input mode operation is completed, the input suction plate 10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put permanent magnet 10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is designed so that the closing permanent magnet 108 is not damag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closing suction plate 107 with the closing permanent magnet 108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It can be.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투입모드 상태에서 개방모드 상태로 전환할 때, 투입용 흡착판(107)이 상부에서 하부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에 가하는 충격을 완충부재(106)가 완충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소음도 줄일 수 있다.When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switches from the closing mode state to the open mode state, the closing suction plate 107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high spee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6 can buffer the impact, and noise caused by the impact can also be reduced.

투입용 흡착판(107)은 이동전극(2)이 고정전극(4)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시 완충부재(106)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insertion suction plate 107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106 during an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2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4 .

투입용 영구자석(108)은 상부지지 프레임(109)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동전극(2)이 고정전극(4)을 향하여 이동되어 접할 때, 투입용 흡착판(107)은 투입용 영구자석(108) 측으로 이동되어 투입용 영구자석(108)에 의해 고정된다.The input permanent magnet 10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frame 109 . When the movable electrode 2 moves toward and contacts the fixed electrode 4, the insertion suction plate 107 moves toward the input permanent magnet 108 and is fixed by the input permanent magnet 108.

중간지지 프레임(105)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판상의 상부지지 프레임(109)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판상의 제1자석 프레임(108a)이 상부지지 프레임(109) 하면에 고정된다.A plate-shaped upper support frame 109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on the middle support frame 105 in a fixed state. And the plate-shaped first magnet frame 108a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109 .

판상의 투입용 영구 자석(108)이 제1자석 프레임(108a)에 고정된다. 투입용 영구자석(108)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투입모드 동작시 투입용 흡착판(107)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자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입용 영구자석(108)은 자력으로 투입용 흡착판(107)을 당기는 힘에 의해 투입모드 동작이 보다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다.A plate-shaped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ting is fixed to the first magnet frame 108a.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closing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plate 107 for closing moves upw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mode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In addition, the input mod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by the force of the input permanent magnet 108 pulling the input suction plate 107 with its own force.

개방용 영구자석(110)은 상부지지 프레임(109)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109 .

개방용 흡착판(111)은 개방용 영구자석(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동자(10)의 측부에 고정되어 이동자(10)의 측부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개방용 흡착판(111)은 개방모드 동작시 개방용 영구자석(11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용 영구자석(110)에 의해 고정된다.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is located above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s fixed to the side of the mover 10 and has a plate shape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ver 10.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and is fixed by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개방용 흡착판(111)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며, 개방용 흡착판(111)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개방모드 상태에서, 개방용 영구자석(110)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개방용 연구자석(108)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진공차단기의 투입모드 동작시 개방용 영구자석(110)과 이격된다.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includes a metal material, and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is for opening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n the open mode state of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It is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researcher's seat (108). And it is spaced apart from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mod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한편 이동자(10)의 상단에 이동로드(1)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로드(1)의 상단에는 이동전극(2)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전극(2)의 상부에 고정전극(4)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고정전극(4)은 고정로드(3)의 하단에 고정된다.Meanwhile, the moving rod 1 may be installed in a fixed state at the top of the mover 10, and the moving electrode 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oving rod 1. Then, the fixed electrode 4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electrode 2, and the fixed electrode 4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3.

판상의 제2자석 프레임(110a)이 상부지지 프레임(109)의 상면에 고정되며, 판상의 개방용 영구자석(110)이 제2자석 프레임(110a)의 상측에 고정된다.The plate-shaped second magnet frame 110a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109, and the plate-shaped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11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agnet frame 110a.

개방용 영구자석(110)은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개방모드 동작시 개방용 흡착판(111)이 하부로 이동한 상태를 자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방용 영구자석(110)의 자력으로 개방용 흡착판(111)을 당기는 힘에 의해 개방 동작이 보다 원할히 되게 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moves downward when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operates in an opening mode. In addition, the opening operation can be made smoother by the force of pulling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통상적으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는 투입모드 동작 시간 보다 차단모드 동작 시간이 빨라야 한다. 따라서, 개방용 영구자석(110)의 자력이 투입용 영구자석(108)의 자력 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용 영구자석(110)은 투입용 영구자석(108)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should have a cut-off mode operation time faster than a close-mode operation tim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s greater than that of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투입모드와 개방모드 동작에 의해 이동로드(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투입모드가 되며, 이동로드(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가 개방모드로 동작된다.As the movable rod 1 moves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mode and the opening mode of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enters the closing mode, and the moving rod 1 While moving downward,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operates in an open mode.

또한 이동전극(2)이 개방모드에서 고정전극(4)과 이동전극(2)이 접하는 투입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d1이라 하며, 개방모드에서 투입용 영구자석(108)과 투입용 흡착판(107) 사이의 거리를 d2라 하면, d1 < d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that the movable electrode 2 moves to switch from the open mode to the input mode in which the fixed electrode 4 and the movable electrode 2 are in contact is called d1, and in the open mode,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and the Assum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lates 107 is d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1 < d2.

개방모드 상태일 때, 투입용 흡착판(107)의 하면은 완충부재(106)에 밀착된다. 이때, d1과 d2는 d1 < d2의 관계를 만족한다. When in the open mode,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107 for inp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106. At this time, d1 and d2 satisfy the relation of d1 < d2.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투입모드 동작시 이동 전극(2)이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에 의해, 투입용 흡착판(107)은 상부로 d1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즉, “d1 < d2 ” 관계를 만족하는 것에 의해, 투입용 흡착판(107)이 투입용 영구자석(108)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투입용 영구자석(10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operates in the closing mode, the moving electrode 2 serves as a stopper, so the closing suction plate 107 can move upward by d1. That is, by satisfying the relationship “d1 < d2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permanent magnet 108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suction plate 107 for input and the permanent magnet 108 for input.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투입모드 동작시 이동 전극(2)이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에 의해, 투입용 흡착판(107)은 상부로 d2 만큼 이동할 수도 있다.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tuator 1000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operates in the closing mode, the moving electrode 2 serves as a stopper, so that the closing suction plate 107 may move upward by d2.

도 3에서 도면부호 “d4”는 투입모드 상태에서 개방용 흡착판(111)과 개방용 영구자석(11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d1과 d4는 "d1 < d4"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d4”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and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in the input mode. At this time, d1 and d4 satisfy a relationship such as "d1 < d4".

즉 이동전극(2)이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d1이라 하며, 투입모드에서 개방용 흡착판(111)과 개방용 영구자석(110) 사이의 거리를 d4라 하면, d1 < d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f the distance that the movable electrode 2 moves to switch from the opening mode to the closing mode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suction plate 111 and the opening permanent magnet 110 in the closing mode is d4, d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 d4.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개방 동작시 완충부재(106)가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에 의해 개방용 흡착판(111)은 d1 만큼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d1 < d4” 관계를 만족하는 것에 의해, 개방용 흡착판(111)이 개방 동작시 개방용 영구자석(110)과 개방용 흡착판(111)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개방용 영구자석(1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a Thomson coil, the buffer member 106 serves as a stopper, so that the opening suction plate 111 can move downward by d1. That is, by satisfying the relationship “d1 < d4”, the permanent magnet 110 for opening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10 and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uction plate 111 for opening damage can be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발판(103)을 사이에 두고 투입용 톰슨코일(102)과 개방용 톰슨코일(104)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반발판(103)의 이동으로 투입모드 및 개방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에 적용된 조작 방식을 대체하여 링크 구조 감소 및 부품수 축소를 통해 고장요인을 줄일 수 있고,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10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의 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랫치, 판스프링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 횟수에 따른 상태 유지 성능 저하 없이 투입모드 또는 개방모드 상태를 일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omson coil 102 for input and the Thomson coil 104 for opening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rebound plate 10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movement of the rebound plate 103 moves the insertion mode.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n open mode,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In addition, by replacing the operation method a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the existing Thomson coi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ilure factor through a reduction in the link structure and the number of parts,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actuator 1000 using the Thomson coil. and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parts such as latches and leaf springs require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parts and failure rates can be reduced, and the closing mode or opening mode state can be maintained with a constant force without deterioration in state maintena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0 :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1 : 이동로드 2 : 이동전극
3 : 고정로드 4 : 고정전극
10 : 이동자 101 : 베이스 플레이트
102 : 투입용 톰슨코일 102a : 제1코일 프레임
103 : 반발판 104 : 개방용 톰슨코일
104a : 제2코일 프레임 105 : 중간지지 프레임
106 : 완충부재 107 : 투입용 흡착판
108 : 투입용 영구자석 109 : 상부지지 프레임
110 : 개방용 영구자석 111 : 개방용 흡착판
1000: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1: moving rod 2: moving electrode
3: fixed rod 4: fixed electrode
10: mover 101: base plate
102: Thomson coil for input 102a: first coil frame
103: rebound plate 104: Thomson coil for opening
104a: second coil frame 105: intermediate support frame
106: buffer member 107: suction plate for input
108: permanent magnet for input 109: upper support frame
110: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111: suction plate for opening

Claims (3)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중간지지 프레임;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지지 프레임;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톰슨코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톰슨코일;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과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과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투입용 톰슨코일 또는 상기 개방용 톰슨코일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판;
상기 반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을 관통하는 바(bar) 형상의 이동자;
상기 이동자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자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전극에 접하거나 이격되는 이동전극;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용 영구자석;
상기 상부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방용 영구자석;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과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투입용 흡착판; 및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자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자의 측부로 연장되는 개방용 흡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 측으로 이동되어 접하는 투입모드 동작 시, 상기 투입용 흡착판은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 측으로 상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 시, 상기 개방용 흡착판은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 측으로 하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개방모드 동작 시간이 투입모드 동작 시간 보다 더 빠르게,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의 자력이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의 자력 보다 크고,
상기 이동전극이 개방모드에서 투입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d1, 개방모드에서 상기 투입용 영구자석과 상기 투입용 흡착판 사이의 거리를 d2, 투입모드에서 상기 개방용 흡착판과 상기 개방용 영구자석 사이의 거리를 d4라 하면,
d1 < d2 이고, d1 < d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An intermediate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An upper support frame fixedly installed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 Thomson coil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 Thomson coil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facing the base plate;
A rebound plate located between the closing Thomson coil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and mov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closing Thomson coil or the opening Thomson coil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losing Thomson coil and the opening Thomson coil. ;
a bar-shaped mover connected to the rebound plate and penetrating the middl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support frame;
a movable electro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mover and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er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A permanent magnet for input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a suction plate for input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input and extending to a side of the mover; and
A suction plate for opening located above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mover and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ver;
When the movable electrode is moved to the fixed electrode side and contacts the input mode operation, the input suction plate is moved to the input permanent magnet side, and is moved upward to the input permanent magnet si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input permanent magnet. is maintained,
During the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the suction plate for opening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and is moved downward toward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s maintained,
The opening mode operating time is faster than the closing mode operating time,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opening is greater than that of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d1 is the distance that the movable electrode moves to switch from the open mode to the closing mode;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for closing and the sucking plate for closing in the opening mod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s is d4,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characterized in that d1 < d2 and d1 < d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용 흡착판과 마주하는 상기 중간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According to claim 1,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ffer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facing the suction plate for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용 흡착판은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과 이격되는 개방모드 동작시 상기 완충부재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코일을 이용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losing suction plate is an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ing a Thomson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during an open mode operation in which the movable electrode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KR1020230076180A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636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180A KR102636324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18A KR102544868B1 (en) 2018-10-08 2018-10-08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0230076180A KR102636324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18A Division KR102544868B1 (en) 2018-10-08 2018-10-08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200A true KR20230093200A (en) 2023-06-27
KR102636324B1 KR102636324B1 (en) 2024-02-16

Family

ID=7046707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18A KR102544868B1 (en) 2018-10-08 2018-10-08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0230076180A KR102636324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0230076182A KR102636326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0230076181A KR102636325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18A KR102544868B1 (en) 2018-10-08 2018-10-08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82A KR102636326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1020230076181A KR102636325B1 (en) 2018-10-08 2023-06-14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4486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87A (en) * 2001-07-12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power switch
KR101280288B1 (en) * 2012-03-05 2013-07-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WO2014109092A1 (en) * 2013-01-11 2014-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Manual switch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operation mechanism
KR20170056970A (en) * 2015-11-16 2017-05-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homson coil actuator
WO2017154720A1 (en) * 2016-03-11 2017-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734B1 (en) * 2015-12-30 2017-10-11 주식회사 효성 Actuator for fast-swit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87A (en) * 2001-07-12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power switch
KR101280288B1 (en) * 2012-03-05 2013-07-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WO2014109092A1 (en) * 2013-01-11 2014-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Manual switch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operation mechanism
KR20170056970A (en) * 2015-11-16 2017-05-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homson coil actuator
WO2017154720A1 (en) * 2016-03-11 2017-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swi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325B1 (en) 2024-02-16
KR20230095042A (en) 2023-06-28
KR20200040327A (en) 2020-04-20
KR102636324B1 (en) 2024-02-16
KR102544868B1 (en) 2023-06-22
KR20230093201A (en) 2023-06-27
KR102636326B1 (en)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0783C2 (en) Electromagnet actuating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medium voltage breaker
KR101377342B1 (en) Circuit breaker
KR101280288B1 (en) Circuit breaker
US10818454B2 (en) High speed switch
CN112219254A (en) Disconnecting device for interrupting a direct current in a current path, and protective switch
KR102544868B1 (en)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using thomson coil
KR20130114938A (en) An electromagnetic actuator having differntial holding forces
CN218631798U (en) Switch of direct current breaker and direct current breaker
CN102315056B (en) Arc extinguishing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JP2004342552A (en) Switching device
EP4000085B1 (en) Relay
KR200445071Y1 (en) Structure of contact for magnetic contactor
EP3399536B1 (en) Actuator for high-speed switch
KR100625524B1 (en) The magnetic actuator of vacuum circuit breaker with medium voltage
KR101922011B1 (en) Auxiliary relay of electro magnetic contector
KR20180109611A (en) High-speed switch
EP2862249B1 (en) Permanent magnet moc latch for the seismic qualification of a withdrawable switchgear
KR20230014751A (en) Vacuum Bulb Switch with Vibration Reduction Inductive Control
KR20090065123A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mproved motional performance for electrical contacts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reof
CN114097054A (en) Circuit breaker
KR20190131197A (en) High-speed switch
KR20150076967A (en) 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