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704A -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704A
KR20230092704A KR1020220056203A KR20220056203A KR20230092704A KR 20230092704 A KR20230092704 A KR 20230092704A KR 1020220056203 A KR1020220056203 A KR 1020220056203A KR 20220056203 A KR20220056203 A KR 20220056203A KR 20230092704 A KR20230092704 A KR 2023009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composite plating
graphite
contact
pl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삼
Original Assignee
박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삼 filed Critical 박성삼
Publication of KR2023009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5/00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containing embedded materials, e.g. particles, whiskers,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sil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는 도금액으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금액은 시안화은(AgCN), 시안화칼륨(KCN), 탄산칼륨(K2CO3) 및 수산화칼륨(KO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COMPOSITE PLATING METHOD OF CONTACT PART FOR ELECTRICAL SWITCHGREAR}
본 발명은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전기용량이 큰 전기 개폐기에서 반복적으로 접동하는 접촉부를 은탄소 복합도금함으로써 향상된 전기적 특성 및 내구성을 나타내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개폐기는 옥내 배선 전기회로의 개폐기를 말하며, 누전 및 누전으로 인한 화재, 그리고 과전류로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전기 개폐기는 누전이나 과전류 발생시 누전 검출부 또는 과전류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회로를 차단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많은 용량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 개폐기의 접촉부는 통전율이 좋고 수천회의 접동에도 견딜 수 있는 내마모성인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의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는 표면처리 과정에서 은 합금 도금을 수행하여 제조되므로, 과전류로 인하여 접동 시 아크현상이 발생하고 내마모성 및 윤활성이 부족하여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 개폐기의 접촉부는 통전을 담당하는 접촉점이 접동할 때 접촉저항이 비접동 상태보다 불안정하고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접촉저항이 높아지면 전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접촉부가 가열되면서 접촉부 소재로 사용되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 등의 산화반응을 일으켜 내구성을 급격히 감소시킨다.
이에,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내마모성 및 내구성 향상은 물론, 반복적인 접동에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는 도금액으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금액은 시안화은(AgCN), 시안화칼륨(KCN), 탄산칼륨(K2CO3) 및 수산화칼륨(KO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도금 수행 전, 상기 도금액을 전단력(Shear force) 60 Pa 이상에서 혼합하는 니딩(kneading)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도금은 전류밀도 0.5 내지 5 A/dm2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도금액은 상기 흑연계 물질 10 내지 60 g/L, 시안화은(AgCN) 10 내지 60 g/L, 시안화칼륨(KCN) 80 내지 150 g/L, 탄산칼륨(K2CO3) 5 내지 40 g/L 및 수산화칼륨(KOH) 2 내지 30 g/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흑연계 물질은 면방향 평균 장축길이: 두께의 비가 2 내지 20인 천연흑연 플레이크(flak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은 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증가시켜 반복적인 접동에 따른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저항 및 통전율 등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장기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 도금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는 도금액으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금액은 시안화은(AgCN), 시안화칼륨(KCN), 탄산칼륨(K2CO3) 및 수산화칼륨(KO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 개폐기는 누전이나 과전류로 인한 감전사고 또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누전 또는 과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시켜주는 가동 접촉자 및 접촉판으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한다. 우수한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접촉부의 소재로 구리 또는 구리합금 등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천회 이상의 반복적인 접동에도 안정적인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도금을 수행하기에 앞서 우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탈지, 산처리 및 은 스트라이크(strike)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를 탈지하는 제1단계; 상기 탈지된 접촉부를 산처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산처리된 접촉부를 은 스트라이크 처리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탈지는 상기 접촉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산화물, 수산화물, 금속염 및 유지류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탈지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지는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지를 수행한 후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2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회 수세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탈지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탈지제면 크게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계 탈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칼리계 탈지제 30 내지 90 g/L,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g/L를 포함하는 탈지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접촉부 표면에 존재하는 유지류 불순물을 비누화 반응(saponification)에 의해 지방산염와 글리세린으로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된 지방산염은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상기 비누화 반응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광물성유지를 상기 탈지액에 분산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도금층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도면면의 부풀음, 취화 (brittle), 부식 등 불량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산처리는 상기 접촉부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산성용액을 사용하여 15 내지 25℃에서 1 내지 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성용액은 황산, 염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0.1 내지 10 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 M 농도일 수 있다. 상기 산처리 후에는 상기 제1단계와 동일한 수세방법으로 수세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산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탈지과정 수행 후 접촉부 표면에 잔류하는 알칼리를 중화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산화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의 은 스트라이크는 후속단계에서 수행되는 복합도금 과정에서 형성되는 복합도금 피막층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상기 복합도금 피막층에 의한 작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은 스트라이크액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은(Ag)은 환원전위가 높은 관계로 전류를 통하지 않고 도금액에 닿기만 해도 치환반응에 의해 낮은 밀착력으로 은(Ag)층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합도금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접촉부를 은 스트라이크 처리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복합도금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은(Ag) 스트라이크는 은 스트라이크액을 사용하여 3 V 초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V 전압조건에서 10 내지 60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은 스트라이크 후에는 상기 제1단계와 동일한 수세방법으로 수세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은 스트라이크액은 시안화은 및 시안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시안화은 0.5 내지 5 g/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g/L 및 시안화칼륨 80 내지 150 g/L,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 g/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 스트라이크 처리단계 수행 후에는 본 발명의 주요 기술 요지에 해당하는 공정으로써 복합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은 스트라이크 처리에 의해 형성된 은층의 표면에 복합도금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우선, 도금액을 준비한다. 상기 도금액은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며, 시안화은(AgCN), 시안화칼륨(KCN), 탄산칼륨(K2CO3) 및 수산화칼륨(KO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도금 방법은, 상기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는 시안화은계 도금액을 사용하여 은탄소 복합도금함으로써 형성된 복합도금 피막층의 마찰계수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특히 반복적으로 접동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에 적용 시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흑연계 물질은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크(flak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흑연계 물질이 상기 복합도금 피막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상술한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흑연계 물질은 천연흑연 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흑연 플레이크는 면방향 평균 장축길이: 두께의 비가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흑연 입자가 균일하게 복합화된 복합도금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도금 피막층 내부의 은층에서 상기 피막층의 외부 표면으로 갈수록 상기 천연흑연 입자의 함량이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도금 피막층을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 접촉부는 반복적인 접동과정에서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접촉저항 증가에 따른 발열에 의해 상기 접촉부의 소재가 산화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도금액은, 상기 흑연계 물질 10 내지 60 g/L, 시안화은(AgCN) 10 내지 60 g/L, 시안화칼륨(KCN) 80 내지 150 g/L, 탄산칼륨 5 내지 40 g/L 및 수산화칼륨 2 내지 30 g/L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금액은 상기 흑연계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g/L,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g/L 포함함으로써 흑연계 물질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상기 도금액은 1 내지 20 g/L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아카놀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및 α-올레핀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금은 전류밀도 0.5 내지 5 A/dm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A/dm2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평균 두께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의 복합도금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어, 충분한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통전율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복합도금 과정 수행 전, 상기 도금액을 니딩(kneading)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금액을 전단력(Shear force) 60 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Pa에서 10 내지 90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분,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니딩처리하는 경우, 상기 도금액 내 흑연계 입자, 구체적으로 천연흑연 플레이크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제조된 도금액의 상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금액 내에서 상기 흑연계 입자가 서로 응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최종 형성된 복합도금 피막층 내 상기 흑연계 입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농도 구배로 분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흑연계 물질의 산화처리 등 표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흑연계 물질의 도금액 내 분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복합도금 피막층 내 흑연계 물질의 농도 구배를 구현하기 어려워 내마모성 및 내구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은, 형성된 복합도금 피막층 내 흑연계 물질의 특정 농도 구배를 구현할 수 있어, 특히 수천회 이상 반복적인 접동에 따른 접촉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은 물론, 낮은 마찰계수에 따른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단계 1: 전처리 단계
우선, 두께 1 ㎜의 구리판을 알칼리계 탈지제로 탈지시킨 다음 3회 수세하였다.
다음, 25℃ 조건에서 0.9 M 황산용액에 2분동안 담지시켜 산처리한 후, 3회 수세하였다.
상기 탈지 및 산처리된 구리판을 은(Ag) 스트라이크액을 사용하여 은 스트라이크 처리한 후, 3회 수세하여 전처리된 구리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은 스트라이크액은 시안화은 2 g/L 및 시안화칼륨 120 g/L로 혼합된 용액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복합도금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구리판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도금액 조성으로 복합도금을 수행하여 복합도금 피막층이 형성된 복합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도금은 전류밀도 1 A/dm2 및 상온 조건에서 5분동안 실시하였다. 한편, 천연흑연 플레이크는 평균 장축길이 20 ㎛ 및 평균 두께 3 ㎛인 입자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 도금재의 표면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제조된 복합 도금재의 복합도금 피막층 표면에 천연흑연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단계 2 수행 전, 도금액을 전단력 100 Pa 에서 30 분 동안 니딩처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 복합도금 피막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복합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천연흑연 대신 인조흑연을 사용한 도금액으로 복합도금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복합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ml/L를 더 포함하는 도금액으로 복합도금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복합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도금액으로 도금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흑연계 물질 대신 카본블랙을 사용한 도금액으로 도금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도금재를 제조하였다.
함량 (g/L)
시안화은(AgCN) 40
시안화칼륨(KCN) 120
탄산칼륨(K2CO3) 20
수산화칼륨(KOH) 10
천연흑연 플레이크 40
실험예 1: 내마모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복합 도금재에 100 g 하중을 가하면서 내부 구리 소재가 노출될 때까지 왕복 접동 실험을 수행하여, 내부 구리판이 노출될 때까지의 접동 반복 횟수를 기준으로 내마모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왕복 접동 실험은 접동 거리 15 ㎜ 및 접동 속도 2 Hz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전기적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복합 도금재에 대해 접촉저항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관계식 1에 의해 접촉저항 변화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접촉저항은 4 point-probe로 측정하였다.
[관계식 1]
접촉저항 변화율(%)= (실험예 1에 따른 왕복 접동 실험 1,000회 수행 후 복합 도금재의 접촉저항 값/ 복합 도금재의 초기 접촉저항 값)*100
(상기 관계식 1에서 초기 접촉저항 값은 상기 실험예 1에 따른 내마모성 평가 수행 전 복합 도금재의 접촉저항 값을 지칭한다.)
내마모성
(접동 횟수)
접촉저항 변화율
실시예 1 160,000 이상 111%
실시예 2 200.000 이상 106%
실시예 3 120,000 이상 118%
실시예 4 200,000 이상 103%
비교예 1 1,000 미만 169%
비교예 2 50,000 미만 147%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도금 방법에 의해 도금된 복합 도금재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2 대비 우수한 내마모성 및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복합도금 수행 전 니딩단계를 수행한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개선된 성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금액의 니딩단계를 추가함에 따라 분산이 어려운 천연흑연을 도금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상기 도금액의 상안정성을 증가시켜 복합도금 과정에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농도 구배 및 분포를 갖는 복합도극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인조흑연을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 내마모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며, 특히 전기적 특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흑연계 물질을 포함하는 도금액으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금액은 시안화은(AgCN), 시안화칼륨(KCN), 탄산칼륨(K2CO3) 및 수산화칼륨(KO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 수행 전, 상기 도금액을 전단력(Shear force) 60 Pa 이상에서 혼합하는 니딩(kneading)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은 전류밀도 0.5 내지 5 A/dm2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액은 상기 흑연계 물질 10 내지 60 g/L, 시안화은(AgCN) 10 내지 60 g/L, 시안화칼륨(KCN) 80 내지 150 g/L, 탄산칼륨(K2CO3) 5 내지 40 g/L 및 수산화칼륨(KOH) 2 내지 30 g/L를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계 물질은 면방향 평균 장축길이: 두께의 비가 2 내지 20인 천연흑연 플레이크(flake)를 포함하는,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KR1020220056203A 2021-12-17 2022-05-06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KR20230092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53 2021-12-17
KR20210181953 202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704A true KR20230092704A (ko) 2023-06-26

Family

ID=8694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203A KR20230092704A (ko) 2021-12-17 2022-05-06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7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5603C (zh) 一种弱电铜基电触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011909A1 (zh) 一种耐电弧烧蚀的开关触点及其制备方法
CN101345143A (zh) 一种Cu/Ti3SiC2电接触材料及其制备工艺
WO2016011913A1 (zh) 一种含难熔金属合金镀层的开关触点及其制备方法
CN1667768A (zh) 铜基电触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805412B (zh) 用于滑动接触器的银-石墨烯复合材料涂层及其电镀方法
CA2171585A1 (en) Part having an electrodeposited coat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deposited layers
Praveen Kumar et al. Fabrication of a novel silver-based electrical contact composites and assessment of its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TE20506T1 (de) Sinterverbundwerkstoff fuer elektrische kontakt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20230092704A (ko) 전기 개폐기용 접촉부의 복합도금 방법
CN102031409B (zh) 银-氮化硼-铈开关电器触点材料及其制备方法
Gengenbach et al. Investigation on the switching behavior of AgSnO 2 materials in commercial contactors
US8603366B2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of silver matrix capable of resisting arc erosion and containing no cadmium-composite
EP3971928A1 (en) Electric contact comprising a metal-graphene composite layer
DE102004036113B4 (de) Löschblech für eine Lichtbogen-Löschkammer
CN111394756A (zh) 一种电接触材料的复合镀层及其制备方法
US2216654A (en) Electric switch contact
US2178508A (en) Electrical switch contact
Wang et al. Damage mechanism of crown spring for the EMU traction Motor’s connector
Furtado et al. Metallurgical study of Ag-Cd and Ag-CdO alloy electrical contacts
US2390595A (en) Electrical contact
Li et al. Simultaneously enhanced mechan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of Cu-10wt.% Mo contact material by the addition of graphite
Cao et al. Contrastive research on electrical contact performance for contact materials of Cu-SnO 2 and Cu-ZnO 2 alloys
JPH04126314A (ja) 電気機器の摺動接触子
RU2215342C2 (ru) Контактное покрытие мощных магнитоуправляемых контактов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