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212A -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212A
KR20230092212A KR1020210181400A KR20210181400A KR20230092212A KR 20230092212 A KR20230092212 A KR 20230092212A KR 1020210181400 A KR1020210181400 A KR 1020210181400A KR 20210181400 A KR20210181400 A KR 20210181400A KR 20230092212 A KR20230092212 A KR 2023009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estraining
roof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광기업
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광기업, 조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광기업
Priority to KR102021018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212A/ko
Publication of KR2023009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지지하는 H 형강에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for roof installation type}
본 발명은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지지하는 H 형강에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에너지 소비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의 개발은 각국의 에너지 보유 정책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된지 이미 오래이며, 해가 갈수록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무게를 더해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솔라셀(solar cell)을 집적한 태양광 모듈 패널을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고, 태양광 모듈로부터 획득된 친환경적에너지를 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공장 건물의 내부에는 기계들이 복잡하게 배치되고 연속적인 생산활동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둥의 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장건물의 지붕은 경량으로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레탄이나 스티로폼이 내장된 샌드위치 판넬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장치는 다수의 태양광모듈 및 골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한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조립식판넬 지붕에 설치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장치의 무게를 지붕에서 분산시켜야 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55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장치를 내구성이 약한 조립식판넬 지붕에 무게를 분산시키면서 고정하는 과정은 매우 어려웠고,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를 지붕에 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력 및 시간이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558호 :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붕 판넬을 지지하는 H빔에 하부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지지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듈지지프레임을 건축물의 지붕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주와,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상기 건축물의 H 형강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고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위치한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돌출되게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플랜지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을 관통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게 각각 절곡되어, 상기 H 형강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리볼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고리볼트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H 형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헤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와 상기 지붕을 관통하는 볼트본체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고정볼트와, 상기 지붕에 대해 돌출된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너트와,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가 관통되되 상기 지지너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붕에 대해 상방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부에 상기 지주의 하부가 결합되는 지주결합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결합브라켓은 상기 지지너트에 지지되어 상기 H 형강에 나란한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 상기 베이스부 양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양측부와 마주하며, 각 하부에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축 관통공과, 상기 제1축관통공의 상방에서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제1축결합공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판상의 복수의 지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에 상기 제1축관통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축관통공과, 상기 제2축관통공에 대해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이격되게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제3축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제1축관통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2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지주구속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지주구속볼트에 결합되는 지주구속너트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3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기울기고정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기울기고정볼트에 결합되는 기울기고정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위치한 플랜지에 안착되어 상기 지붕을 관통하며 상부에 상기 지주가 결합되는 지주결합관과,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상기 지주결합관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는 체결판과, 하부에 상기 플랜지에 대응되는 두께로 인입되고 상기 H 형강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진입되는 플랜지 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구속홈에 대해 상방에 위치한 일측면이 상기 체결판과 연결되는 구속판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H 형강과 상기 지주결합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의 상기 체결판들과 상기 체결판들 사이의 상기 지주결합관을 관통하는 구속볼트와, 상기 체결판에 대해 돌출된 상기 구속볼트에 나사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을 상기 지주결합관 방향으로 상기 구속볼트와 함께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지주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붕을 관통하여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상기 지주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는 체결판과, 하부에 상기 플랜지에 대응되는 두께로 인입되고 상기 H 형강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진입되는 플랜지 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구속홈에 대해 상방에 위치한 일측면이 상기 체결판과 연결되는 구속판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H 형강과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의 상기 체결판들과 상기 체결판들 사이의 상기 지주의 하부를 관통하는 구속볼트와, 상기 체결판에 대해 돌출된 상기 구속볼트에 나사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을 상기 지주 방향으로 상기 구속볼트와 함께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붕을 지지하는 상부골조의 H 형강에 하부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H 형강 가공 없이 지주가 H 형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일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9)는 건축물(1)의 지붕(2)을 지지하는 상부 골조인 H 형강(5)에 하부가 지지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9)는 태양광 모듈(10)과, 태양광 모듈(10)을 지지하는 모듈지지프레임(40)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듈지지프레임(40)을 건축물(1)의 지붕(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주(60,63)와, 지주(60)의 상부와 상기 모듈지지프레임(40)을 결합하는 복수의 프레임결합유닛(80)과, 지붕(2)을 지지하는 건축물(1)의 H 형강(5)에 설치되며 지주(60,63)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고정유닛(100);을 구비한다.
지주(60,63)는 복수 개 구비되는데,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지붕(2)의 경사 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그룹을 이루는 다수의 제1지주(60)와, 상기 제1그룹보다 상방 또는 하방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지붕(2)의 경사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2그룹을 이루는 다수의 제2지주(6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주(60,63)는 태양광모듈(10)이 설치되는 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상호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거나, 상호 다른 길이로 연장되게 적용될 수 있다.
모듈지지프레임(40)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상부들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환봉 형상의 제1지지바(41)와, 제1지지바(41)의 상단에 제1지지바(4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태양광모듈(10)이 장착되며 일측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의 복수의 제2지지바(43)와, 제1지지바(41)와 제2지지바(43)을 결합하는 지지바결합유닛(45)을 구비한다.
제1지지바(4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관 형상이고, 제2지지바(43)는 C 형강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바결합유닛(45)은 U볼트(46)과, 복수의 지지바결속너트(51)와, 보강판(53)을 구비한다.
U볼트(46)는 제1지지바(4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2지지바(43)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제2지지바(43) 내부로 진입되는 복수의 체결부(47)와, 체결부(47)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제1지지바(41)의 하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구속부(48)로 구분될 수 있다.
보강판(53)은 일정한 폭으로 길이 연장된 판재로서, 제2지지바(43) 내에 수용된다. 보강판(53)은 길이방향 양측에 제2지지바(43) 내부로 진입되는 복수의 체결부(47)가 관통되는 체결부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복수의 지지바결속너트(51)는 제2지지바(43)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보강판(53)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부(47)에 나사 결합된다.
프레임결합유닛(80)은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상단과 제1지지바(41)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포스트브라켓(81)과, 브라켓구속볼트(84)와, 브라켓구속너트(85)와, 지지바구속볼트(86)와, 지지바구속너트(87)를 구비한다.
한 쌍의 포스트브라켓(81)은 H 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여 하부가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양측부를 각각 감싸며 상부가 제1 또는 제2지주(60,63)에 대해 상방으로 나란하게 판상으로 연장되어 제1지지바(41)의 양측부와 마주한다.
복수의 브라켓 구속볼트(84)는 한 쌍의 포스트브라켓(81)의 하부와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상부를 관통하며, 복수의 브라켓 고정너트(85)는 포스트브라켓(81)에 대해 돌출된 브라켓 구속볼트(84)에 나사결합된다.
복수의 지지바구속볼트(86)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포스트브라켓(81)의 상부와 제1지지바(41)를 관통하며, 복수의 지지바 고정너트(87)는 포스트브라켓(81)에 대해 돌출된 지지바 구속볼트(86)에 나사결합된다.
지주고정유닛(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1)와, 복수의 고리볼트(106)와, 복수의 가압너트(111)와, 복수의 브라켓 고정볼트(116)와, 복수의 결합너트(119)와, 복수의 지지너트(121)와, 지주결합브라켓(126)과, 브라켓 고정너트(134)를 구비한다.
한편, H 형강(5)은 도 2를 참고하면, 상호 이격되며 나란한 제1 및 제2플랜지(6,7)와, 제1 및 제2플랜지 중심측을 연결하는 웨브(8)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1)은 H 형강(5)의 상단에 위치한 제1플랜지(6)에 대해 제1플랜지(6)의 폭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돌출되게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1)는 길이방향 각 양측에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1볼트관통공(103)과, 길이방향 중심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2볼트관통공(105)이 형성된다.
복수의 고리볼트(106)는 일측이 제1플랜지(6)에 대해 돌출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일측 또는 타측을 관통하고 타측이 제1플랜지(6)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게 각각 절곡되어, H 형강(5)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고리볼트(106)는 도 2를 참고하면,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수직연장부(107)와, 복수의 수직연장부(107)의 각 하단에서 웨브(8)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평연장부(108)와, 복수의 수평연장부(108)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09)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연장부(107)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의 제1볼트관통공(103)을 관통한다. 수평연장부(108)는 후술되는 가압너트(111)가 수직연장부(107)에 결합된 위치에 따라 제1플랜지(6)의 하면에 접하거나 이격된다.
복수의 가압너트(111)는 베이스플레이트(101)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고리볼트(106)의 수직연장부(107)에 나사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1)를 H 형강(5)으로 가압한다.
브라켓 고정볼트(116)는 제1플랜지(6)와 베이스플레이트(101)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117)와, 헤드(117)보다 작은 직경으로 헤드(117)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볼트관통공(105)과 지붕(2)을 관통하는 볼트본체부(118)로 구분될 수 있다. 브라켓 고정볼트(116)는 4개이상이 구비되어, 정방형태로 배열되게 베이스플레이트(101)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너트(119)는 지붕(2)에 대해 돌출된 브라켓 구속볼트(116)의 볼트본체부(118)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1)에 브라켓 구속볼트(116)를 고정한다.
지지너트(121)는 지붕(2)에 대해 돌출된 브라켓 구속볼트(116)의 볼트본체부(118)의 상부에 나사결합된다.
지주결합브라켓(126)은 볼트본체부(118)가 관통되되 지지너트(121)에 지지되어 지붕(2)에 대해 상방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부에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하부가 결합된다. 지주결합브라켓(126)은 지지너트(121)에 지지되어 H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부(127)와, H 형강(5)의 폭 방향 베이스부(127) 양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양측부와 마주하는 한 쌍의 지주결합부(129)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27)는 브라켓 구속볼트(116)의 볼트본체부(118)가 관통되는 제3볼트관통공(128)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주결합부(129)는 각 하부에 H 형강(5)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축 관통공(130)과, 제1축관통공(130)의 상방에서 H 형강(5)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제1축결합공(1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132)이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 고정너트(134)는 지주결합브라켓(126)의 베이스부(127)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본체부(118)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지주결합브라켓(126)을 구속한다.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는 H 형강(5)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에 제1축관통공(130)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축관통공(67)과, 제2축관통공(67)에 대해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이격되게 관통되어 가이드공(132)과 연통되는 제3축관통공(69)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지주(60,63)는 H 형강(5)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에 프레임 결합유닛(80)의 브라켓 구속볼트(84)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3볼트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고정유닛(100)은 지주결합부(129)들의 제1축관통공(130)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2축관통공(67)들을 관통하는 지주구속볼트(136)와, 지주결합부(129)에 대해 돌출된 지주구속볼트(136)에 결합되는 지주구속너트(138)와, 지주결합부(129)들의 가이드공(132)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3축관통공(69)들을 관통하는 기울기고정볼트(140)와, 지주결합부(129)에 대해 돌출된 기울기구속볼트(140)에 결합되는 기울기고정너트(14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9)는 H 형강에 지지되므로 지붕(2)을 지지하는 H 형강(5)에 하부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H 형강(5) 가공 없이 제1 및 제2지주(60,63)가 H 형강(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9)는 H 형강에 결합된 지주결합브라켓(126)에 대해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기울기를 조절 후, 기울기고정볼트(140)와 기울기고정너트(142)을 지주결합브라켓(126)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에 결합시켜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기울기를 고정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고 설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209)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209)는 지주고정유닛(2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9)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지주(60,63)는 각 하부가 지붕(2)을 관통하여 H 형강(5)의 상단에 안착되어, H 형강(5)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된다.
지주고정유닛(200)은 H 형강(5)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201)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 사이에 위치된 제1 또는 제2지주(60,63)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속볼트(220)와, 하나의 구속브라켓(210)에 대해 돌츨된 구속볼트(220)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너트(2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지주(60,6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및 제3축관통공(67,69)이 형성되지 않으며, H 형강(5)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 복수의 구속볼트(2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4볼트관통공(68)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속브라켓(201)은 체결판(202)과, 구속판(205)을 각각 구비한다.
체결판(202)은 H 형강(5)의 폭 방향을 향하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도록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H 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구속볼트(220)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제5볼트관통공(203)이 형성된다.
구속판(205)은 상하방향 및 H 형상(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상부 일면이 제1 또는 제2지주(60,63)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체결판(202)의 일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체결판(202)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에 제1플랜지(6)에 대응되는 두께로 H형강(5)의 폭 방향으로 인입되고 H 형강(5)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제1플랜지(6)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진입되는 플랜지 구속홈(206)이 형성된다.
구속볼트(220)는 복수의 구속브라켓(201)의 각 체결판(202)들과, 체결판(202)들의 제5볼트관통공(203)과 연통되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4볼트관통공(68)을 관통한다.
가압너트(230)는 체결판(202)에 대해 돌출된 구속볼트(220)에 나사결합되어 복수의 구속브라켓(201)을 제1 또는 제2지주(30,60) 방향으로 구속볼트(220)와 함께 가압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309)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309)는 지주고정유닛(3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9)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지주고정유닛(300)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주고정유닛(200)에 지주결합관(350)을 더 구비한다.
즉, 지주고정유닛(300)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강(5)의 상단에 위치한 제1플랜지(6)에 안착되며 지붕을 관통하는 상부에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하부가 결합되는 지주결합관(350)과, H 형강(5)과 지주결합관(35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201)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 사이에 위치된 지주결합관(350)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속볼트(220)와, 하나의 구속브라켓(201)에 대해 돌츨된 구속볼트(220)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너트(230)를 구비한다.
지주결합관(350)은 H 형강(5)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 H 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관통형성되어 복수의 구속볼트(2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4볼트관통공(68)이 형성되고, H 형강(5)의 폭 방향 양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관통형성된 복수의 제5볼트관통공(355)이 형성된다.
제1 또는 제2지주(60,63)는 지주결합관(350)내로 삽입되며, H 형강(5)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 형성된 제2축관통공(67)과 제3축관통공(69)이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제5볼트관통공(355)과 연통된다.
또한, 지주고정유닛(300)은 복수의 지주구속볼트(136)와, 복수의 지주구속너트(138)를 구비한다.
하나의 지주구속볼트(136)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2축관통공(67)과, 제2축관통공(67)과 연통되는 제5축관통공(355)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의 지주구속볼트(136)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3축관통공(69)과, 제3축관통공(69)과 연통되는 제5축관통공(355)을 관통한다. 복수의 지주구속너트(138)는 지주결합관(350)에 대해 돌출된 지주구속볼트(136)에 결합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409)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409)는 지주고정유닛(4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309)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지주고정유닛(400)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강(5)의 상단에 위치한 제1플랜지(6)에 안착되며 지붕을 관통하는 상부에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하부가 결합되는 지주결합관(450)과, H 형강(5)과 지주결합관(45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210)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과 복수의 구속브라켓(201) 사이에 위치된 지주결합관(450)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속볼트(220)와, 하나의 구속브라켓(201)에 대해 돌츨된 구속볼트(220)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너트(230)를 구비한다.
지주결합관(450)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속브라켓(210)과 결합되는 결합관본체부(451)와, H 형강(5)의 폭 방향의 결합관본체부(451) 양측 상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양측부와 마주하는 판상의 한 쌍의 지주결합부(129)를 구비한다.
결합관본체부(451)는 H 형강(5)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 복수의 구속볼트(2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4볼트관통공(68)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주결합부(129)는 각 하부에 H 형강(5)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축 관통공(130)과, 제1축관통공(130)의 상방에서 H 형강(5)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제1축결합공(1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132)이 각각 형성된다.
지주고정유닛(300)은 지주결합관(450)의 지주결합부(129)들의 제1축관통공(130)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2축관통공(67)들을 관통하는 지주구속볼트(136)와, 지주결합부(129)에 대해 돌출된 지주구속볼트(136)에 결합되는 지주구속너트(138)와, 지주결합부(129)들의 가이드공(132)과,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제3축관통공(69)들을 관통하는 기울기고정볼트(140)와, 지주결합부(129)에 대해 돌출된 기울기구속볼트(140)에 결합되는 기울기고정너트(142)를 구비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509)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509)는 지주고정유닛(5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409)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509)의 지주고정유닛(500)은 지주결합관(550)과, 복수의 구속브라켓(501)과, 복수의 구속볼트(220)와, 복수의 가압너트(230)와, 보강구속볼트(570)와, 보강가압너트(575)를 구비한다.
지주결합관(550)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속브라켓(210)과 결합되는 결합관본체부(551)와, H 형강(5)의 폭 방향의 결합관본체부(551) 양측 상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양측부와 마주하는 판상의 한 쌍의 지주결합부(129)를 구비한다
결합관본체부(551)는 H 형강(5)의 폭 방향을 향하는 일측부 및 타측부 하부에 각각 H 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관통형성되어 복수의 구속볼트(2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4볼트관통공(68)과, H 형강(5)의 폭 방향 각 양측부 하부에 H 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4볼트관통공(68)들 사이의 하방에서 관통된 제5볼트관통공(552)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속브라켓(501)은 체결판(502)과, 복수의 구속판(205)을 각각 구비한다.
체결판(502)은 H 형강(5)의 폭 방향을 향하는 제1 또는 제2지주(60,63)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도록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H 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구속볼트(220)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제5볼트관통공(203)과, 상호 이격된 제5볼트관통공(203)들이 중심측 하방에 제6볼트관통공(503)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속판(205)은 상하방향 및 H 형상(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상부 일면이 제1 또는 제2지주(60,63)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체결판(502)의 일면에 일체로 각각 연결되는데, 상방에 제5볼트관통공(203)이 각각 위치되게 체결판(502)에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사이에 제6볼트관통공(503)이 위치된다.
보강구속볼트(570)는 복수의 구속브라켓(501)의 제6볼트관통공(503)들과, 복수의 구속브라켓(501)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관본체부(551)의 제5볼트관통공(552)를 관통하며, 보강가압너트(575)는 하나의 구속브라켓(501)에 대해 돌출되는 보강구속볼트(570)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609)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60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409)의 구조에 보강지지유닛을 더 구비한다.
보강지지유닛은 한 쌍의 보강브라켓(650)과, 보강구속볼트(670)와, 보강가압너트(675)와, 밀착패드(680)를 구비한다.
한 쌍의 보강브라켓(650)은 지주결합관(450)을 사이에 두고 H 형강(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한다.
보강브라켓(650)은 H 형강(5)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지주결합관(450)의 결합관본체부(451) 일면 또는 타면에 면접하는 판상의 수직부(651)와, 수직부(651) 하단에서 결합관본체부(45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H 형강(5)의 제1플랜지(6)에 나란하게 면접하도록 수직부(651)에 직교하는 수평부(653)와, 수평부(653)의 상면과 결합관본체부(451)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수직부(651)의 일면을 연결하는 보강지지리브(655)를 구비한다.
보강지지리브(655)는 수평부(65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결합관본체부(451)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수직부(651)의 일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작아지게 형성된다.
밀착패드(680)는 수직부(651)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직부(651)의 하면과 H 형강(5)의 제1플랜지(6)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며,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나 우레탄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고정유닛은 사각관 형상의 지주결합관(미도시)과, 복수의 구속브라켓(501)과, 복수의 구속볼트(220)와, 복수의 가압너트(230)와, 보강구속볼트(570)와, 보강가압너트(575)와, 복수의 지주구속볼트(136)와, 복수의 지주구속너트(138)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주결합관은 H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 상부에 복수의 제5축관통공(355)(도 4참조)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H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 하부에 각각 H 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관통형성되어 복수의 구속볼트(2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4볼트관통공(68)과(도 7 참조), H 형강(5)의 폭 방향 각 양측부 하부에 H 형강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4볼트관통공(68)들 사이의 하방에서 관통된 제5볼트관통공(552)(도 7 참조)이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붕(2)을 지지하는 상부골조의 H 형강(5)에 하부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H 형강(5) 가공 없이 제1 및 제2지주(60,63)가 H 형강(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환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건축물 2 : 지붕
5 : H 형강 9 :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10 : 태양광 모듈 40 : 모듈지지프레임
60 : 제1지주 63 : 제2지주
80 : 프레임 결합유닛 100 : 지주고정유닛

Claims (7)

  1.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지지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듈지지프레임을 건축물의 지붕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주와,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상기 건축물의 H 형강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고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위치한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돌출되게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플랜지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을 관통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게 각각 절곡되어, 상기 H 형강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리볼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고리볼트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H 형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헤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와 상기 지붕을 관통하는 볼트본체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고정볼트와,
    상기 지붕에 대해 돌출된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너트와,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가 관통되되 상기 지지너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붕에 대해 상방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부에 상기 지주의 하부가 결합되는 지주결합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결합브라켓은
    상기 지지너트에 지지되어 상기 H 형강에 나란한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 상기 베이스부 양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양측부와 마주하며, 각 하부에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축 관통공과, 상기 제1축관통공의 상방에서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제1축결합공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판상의 복수의 지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에 상기 제1축관통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축관통공과, 상기 제2축관통공에 대해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이격되게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제3축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제1축관통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2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지주구속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지주구속볼트에 결합되는 지주구속너트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3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기울기고정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기울기고정볼트에 결합되는 기울기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위치한 플랜지에 안착되어 상기 지붕을 관통하며 상부에 상기 지주가 결합되는 지주결합관과,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상기 지주결합관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는 체결판과, 하부에 상기 플랜지에 대응되는 두께로 인입되고 상기 H 형강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진입되는 플랜지 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구속홈에 대해 상방에 위치한 일측면이 상기 체결판과 연결되는 구속판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H 형강과 상기 지주결합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의 상기 체결판들과 상기 체결판들 사이의 상기 지주결합관을 관통하는 구속볼트와,
    상기 체결판에 대해 돌출된 상기 구속볼트에 나사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을 상기 지주결합관 방향으로 상기 구속볼트와 함께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결합관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속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관본체부와,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 상기 결합관본체부 양측 상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양측부와 마주하며, 각 하부에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축 관통공과, 상기 제1축관통공의 상방에서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제1축결합공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판상의 복수의 지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에 상기 제1축관통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축관통공과, 상기 제2축관통공에 대해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이격되게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제3축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제1축관통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2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지주구속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지주구속볼트에 결합되는 지주구속너트와,
    상기 지주결합부들의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지주의 상기 제3축관통공들을 관통하는 기울기고정볼트와, 상기 지주결합부에 대해 돌출된 상기 기울기고정볼트에 결합되는 기울기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붕을 관통하여 상기 H 형강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H 형강의 폭 방향을 향하는 상기 지주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란하게 면접하는 체결판과, 하부에 상기 플랜지에 대응되는 두께로 인입되고 상기 H 형강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플랜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진입되는 플랜지 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구속홈에 대해 상방에 위치한 일측면이 상기 체결판과 연결되는 구속판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H 형강과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속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의 상기 체결판들과 상기 체결판들 사이의 상기 지주의 하부를 관통하는 구속볼트와,
    상기 체결판에 대해 돌출된 상기 구속볼트에 나사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구속브라켓을 상기 지주 방향으로 상기 구속볼트와 함께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지지프레임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상기 지주의 상부들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환봉 형상의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상단에 상기 제1지지바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태양광모듈이 장착되며 일측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의 복수의 제2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바의 하단을 상방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지지바의 하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U볼트와, 상기 제2지지바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결속너트를 포함하는 지지바 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지주의 상단과 상기 제1지지바를 연결하는 프레임 결합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210181400A 2021-12-17 2021-12-17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230092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00A KR20230092212A (ko) 2021-12-17 2021-12-17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00A KR20230092212A (ko) 2021-12-17 2021-12-17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212A true KR20230092212A (ko) 2023-06-26

Family

ID=8694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400A KR20230092212A (ko) 2021-12-17 2021-12-17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67B1 (ko) * 2023-09-18 2024-02-06 제이솔라 유한회사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58Y1 (ko) 2013-05-06 2013-12-24 권현기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58Y1 (ko) 2013-05-06 2013-12-24 권현기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67B1 (ko) * 2023-09-18 2024-02-06 제이솔라 유한회사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2401B1 (ja) 構造物設置架台、その組立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構造物設置架台を用いた施工構造
JP2011220096A (ja) 構造物用架台、その架台の施工方法、及びその架台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0135632A (ja) 構造物設置架台、及び太陽電池システム
KR20230092212A (ko)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54135B1 (ko) 베이스레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 지붕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 장치
CN114362655A (zh) 一种大跨度单跨自锚式柔性光伏支架系统及施工方法
CN215734096U (zh) 新型光伏组件柔性支架
JP2015195701A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
JP562270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
CN214959376U (zh) 一种大跨距钢缆悬索高空光伏支架
KR101165442B1 (ko)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JP201408870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載置架台及び太陽光発電装置
JP3181778U (ja) 太陽光発電パネル支持架台
KR20120007152U (ko)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14148820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16116264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JP5116749B2 (ja) 構造物接続構造、構造物接続構造に用いられる接続部材、構造物接続構造の施工方法、及び太陽電池システム
KR20160009981A (ko) 태양광 모듈 지지용 지지체 어셈블리
CN109921724B (zh) 一种柔性光伏支架
CN213213375U (zh) 预制混凝土装配式光伏支架
CN108678443B (zh) 一种天然气处理厂多维度施工方法和施工系统
KR102531564B1 (ko) 지붕 판넬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 구조물
JP3185699U (ja) 太陽電池パネル用架台
CN211172427U (zh) 一种梁柱连接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