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980A -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980A
KR20230091980A KR1020237017155A KR20237017155A KR20230091980A KR 20230091980 A KR20230091980 A KR 20230091980A KR 1020237017155 A KR1020237017155 A KR 1020237017155A KR 20237017155 A KR20237017155 A KR 20237017155A KR 20230091980 A KR20230091980 A KR 2023009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odule
pants
sensor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조우
레이 수
메이키 리
펭윤 리아오
신 키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81Patients' garments with incorporated means for medical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7Analysis of electromyogr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2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the body and the electrodes by the action of the subjects, e.g. by placing the body on the electrodes or by grasping th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4Coupling media or elements to improve sensor contact with skin or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7Conductive fabrics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5Common mode re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전극모듈(100, 200, 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모듈은 베이스구조(103, 203, 303)과 적어도 2개의 전극들(101, 102, 201, 202, 204, 301, 302, 304, 305)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101, 102, 201, 202, 204, 301, 302, 304, 305)은 상기 베이스구조(103, 203, 303)의 표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Description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1] 본 개시는 신호의 수집과 처리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근전(EMG)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 2] 사람들의 과학적 운동과 신체건강에 대한 주의와 더불어,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막대한 발전을 가져왔다.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의 안내와 감시는 센서와 전극에 의거한다. 현재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편안감과 신호 품질(안정성 및 신호 대 소음 비율) 사이의 모순에 직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순을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은 하이드로겔 전극의 사용, 피부표면처리, 건전극 재료와 젤 재료 고정,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들은 수집되는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편하지 못하고, 짧은 사용수명, 및 복잡한 조작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다. 건전극(금속직물전극, 전도성 실리콘전극, 등.)의 직접 사용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전극모듈과 사람 피부는 서로 잘 핏팅되지 않으며, 따라서 신호를 수집할 수 없게 하고, 소음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체가 움직일 때, 전극과 인체 사이의 접촉위치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전극의 움직임은 타겟 위치의 신호수집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신호 품질에 영향을 주고 소음을 증가시킨다. 최종적으로, 건전극은 사람 피부와 큰 접촉 임피던스를 가지고, 따라서 큰 변동을 초래하고 신호 품질에 영향을 준다.
[ 3] 따라서, 본 개시는 인체의 근전(EMG)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편안한 전제하에서 전극모듈에 의해 수집하는 인체 피부에서의 EMG신호의 품질을 현저히 개선한다.
[ 4]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은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모듈은 베이스구조와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인체의 근전(EMG)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 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한다.
[ 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참고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상기 참고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차례로 배치된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전극과 제4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3 전극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4 전극과 나란히 배치된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구조들을 포함한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어레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된다.
[ 1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내부공심이고, 각 상기 돌출구조들의 공심부에는 충전재가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상기 돌출구조들의 높이는 0.5mm~10mm의 범위 내에 있다.
[1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흡판구조들을 구비한다.
[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어레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된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주위에 분포된다.
[1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상기 흡판구조들은 3차원 구조이고, 공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심부는 상기 흡판구조의 단부에서 사람 피부에 접촉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1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흡판구조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에 위치하는 중간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구조의 일부분은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가 위치하는 측벽에 연결된다.
[1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중간구조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를 복수의 상호 연결된 공간구역들로 나눈다.
[1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융기구조들을 더 포함한다.
[1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융기구조들의 높이는 10μm~80μm의 범위 내에 있다.
[2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융기구조들의 분포 밀도는 2개/2.25mm2~10개/2.25mm2의 범위 내에 있다.
[2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들 및/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통기공들을 더 포함한다.
[22]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웃옷과 바지를 포함하고, 상기 웃옷과 상기 바지는 적어도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근전신호모듈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2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웃옷은 적어도 상체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 상기 상체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되는 웃옷 밑단을 포함한다.
[2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은 적어도 제1 웃옷 센서모듈과 제2 웃옷 센서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우측에 위치한다.
[2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과 상기 제2 웃옷 센서 모은 적어도 근전신호모듈, 심전도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관성센서, 산염기센서, 및 음파변환기를 포함한다.
[2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에 위치한다.
[2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은 적어도 제1 웃옷 처리모듈과 제2 웃옷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웃옷 처리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왼쪽 어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웃옷 처리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오른쪽 어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2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처리모듈과 상기 제2 웃옷 처리모듈은 종속관계 또는 병행관계이다.
[2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바지는 적어도 하체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 상기 하체의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된 바지 밑단을 포함한다.
[3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은 적어도 제1 바지 센서모듈과 제2 바지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은 바지 밑단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은 상기 바지 밑단의 우측에 위치한다.
[3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과 상기 제2 바지 센서는 적어도 근전신호모듈, 심전도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관성센서, 산염기센서, 및 음파변환기를 포함한다.
[3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은 적어도 제1 바지 처리모듈과 제2 바지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지 처리모듈은 바지 밑단의 왼쪽 다리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바지 처리모듈은 바지 밑단의 오른쪽 다리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3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바지 처리모듈과 상기 제2 바지 처리모듈은 종속관계 또는 병행관계이다.
[34]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더 설명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니며, 여기에서 유사한 부호들은 첨부도면 중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구조들을 나타낸다.
[35]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36]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타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37]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타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38]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이다.
[39]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도성 실리콘전극의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이다.
[40]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도성 실리콘전극과 그 두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1] 도 7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2] 도 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의 병렬모델이다.
[43]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4]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하나의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5]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하나의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6]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하나의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7]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구비하는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8]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49]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한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50]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의 예시적인 배선연결방식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1] 도 16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의 겨드랑이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2] 도 16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겨드랑이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3] 도 17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전극모듈의 예시적인 고리형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4] 도 1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전극모듈의 예시적인 특정방향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5]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예시적인 공심조각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6] 도 19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칼모양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57] 도 1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칼모양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8]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기술방안들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들 또는 실시예들이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임의의 더 창조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근거하여 본 개시를 기타 유사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상하문에서 명확히 얻을 수 있거나 설명된 경우 외에,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고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59] 여기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장치", "유닛" 및/또는 "모듈"은 상이한 수준의 상이한 부재들, 소자들, 부품들, 또는 조립체들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기타 단어들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이 단어들은 다른 표현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60] 본 개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 "포괄"은 명시된 절차들 및 소자들을 포함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차들 및/또는 소자들은 배타적인 나열을 형성하지 않는다. 방법 또는 장치는 기타 절차들 또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61] 본 명세서에서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들을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후 동작들은 정확하게 순서에 따라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동작들은 반대 순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동시에, 기타 동작들을 이러한 절차들에 더 추가하거나, 또는 일정한 동작 또는 여러 동작들을 이러한 절차들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62] 사람들의 과학적 운동과 신체건강에 대한 주의와 더불어,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막대한 발전을 가져오고,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주로 전극으로 생물전기신호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일종의 생물전기신호로써, 근전(EMG)신호는 근력을 생성하는 전기신호의 소스이다. 근전신호는 근육에서의 많은 운동단위들의 동작전위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중첩으로서, 신경과 근육의 운동상태를 크게 반영한다. 일반적으로, EMG신호를 수집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로는, 침전극을 근육에 꽂아서 EMG신호, 즉, 침 EMG신호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는 간섭이 적고 쉽게 식별가능한 장점을 가지지만, 인체에 손상을 준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사람 피부에 전극편을 부착하여 사람 피부표면에서 EMG신호, 즉, 표면 EMG(SEMG)신호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인체가 정지해 있을 때 S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된다. 인체가 움직일 때, 전극과 인체 사이에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고, 수집된 EMG신호가 불정확하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하이드로겔 전극의 사용, 피부표면처리, 건전극 재료와 젤 재료 고정,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들은 수집되는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편하지 못하고, 짧은 사용수명, 및 복잡한 조작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다.
[63]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기재하는 전극모듈과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예를 들면, 옷, 손목밴드, 어깨띠, 등.)은 주로 피부표면 EMG신호(아래에서는 "EMG신호"로 통칭한다)의 수집에 관한 것이다. 상기 EMG신호는 주로 인체, 예를 들면, 장딴지, 허벅지, 엉덩이, 허리, 등, 가슴, 어깨, 목,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이한 부분들로터 얻은 상기 EMG신호는 상응한 부분들의 동작과 기능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다리의 EMG신호는 다리의 자세와 운동 상태, 를 들면, 걷기, 달리기, 스쿼트, 등을 반영한다. 따라서, 상기 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를 통해 상기EMG신호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단련과 피트니스 지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할 때 여러 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의 EMG신호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옷일 수 있다. 인체의 다양한 부분들(예를 들면, 장딴지, 허벅지, 엉뎅이, 허리, 등, 가슴, 어깨, 및 목, 등.)에 대응되는 전극모듈들을 설치함으로써, 단련시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부분들의 EMG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써,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수집된 EMG신호들을 직접 분석하고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수집된 EMG신호들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들을 통해 처리단말기(예를 들면, 이동단말장치,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여 분석하고 처리하여 사용자의 동작이 정확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상응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확하지 못한 동작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수집된 EMG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과학적인 개인 단련계획을 작성하여, 상기 사용자를 지도하여 단련시킬 수 있다. 그리고, EMG신호를 인체의 운동상태에 대한 연구에 응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예를 들면, 의료재활공학에서, EMG신호는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바이오닉스에서, EMG신호는 인공 사지의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64] 상기 옷이 지능형 착용가능한 장치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단련할 때의 EMG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전극모듈은 좋은 품질의 EMG신호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 초박형, 내구성, 피부 친화성, 등을 포함하는 특징들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단련과 피트니스를 위해 상기 옷을 착용할 때 상기 전극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함을 피한다.
[6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직접 상기 전극에 의해 수집되는 초기의 EMG신호의 진폭은 매우 작고, 큰 소음을 가지므로, 상기 EMG신호에 대하여 후속의 분석 또는 처리를 진행하기 전에 필터링 및 차동증폭, 등을 포함하는 처리가 요구된다.
[6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초기의 EMG신호 중의 소음은 주로는 동상모드(CM)소음을 포함하며, 상기 동상모드소음은 주로 전력 주파수 동상모드신호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동상모드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력 주파수 동상모드신호는 차동회로, 오른쪽 다리 구동회로, 필터회로, 등을 통해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동상모드소음을 감소하거나 소거한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차동회로와 상기 오른쪽 다리 구동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전력 주파수 동상모드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동상모드소음이 주로 상기 전력 주파수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동상모드소음의 주파수는 주로 50Hz 또는 60Hz(또는 그의 조파들) 주위에 집중되며, 상기 EMG신호의 주요 강도의 주파수 분포는20~140Hz이며, 따라서 상기 동상모드소음은 하나 이상의 필터들 또는 노치필터들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50Hz의 노치필터와 140Hz 저주파통과필터는 동상모드소음를 필터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50Hz의 노치필터, 100Hz의 노치필터, 150Hz의 노치필터, 및 240Hz의 저주파통과필터는 동상모드소음을 필터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50Hz 노치필터, 150Hz 노치필터, 및 230Hz 저역통과필터는 동상모드소음을 필터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6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초기 EMG신호 중의 소음은 상기 동상모드신호로부터 차동모드신호로의 변환에 의해 생성되는 차동모드소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동회로가 상기 동상모드소음을 억제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극들과 상기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변동은 상기 차동회로에 대응되는 2개의 전극들과 상기 사람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불일치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동상모드신호가 차동신호로 변환되고 차동모드소음을 생성하게 한다. 특히, 차동증폭기 회로는 차동모드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을 감소시키거나 피하므로써 상기 동상모드신호가 상기 차동모드신호로 변환되는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값이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접촉 임피던스는 비교적 작은 변동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접촉 임피던스의 변동에 의한 차동모드소음을 감소시킨다.
[6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접촉 임피던스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피부의 접촉 임피던스와 불일치한 상기 차동회로에 대응되는 2개의 전극들의 접촉 임피던스는 전압분할 문제를 더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집된 EMG신호의 진폭은 작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들(예를 들면, 차동회로)에 연결되는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를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압분할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임피던스와 상기 접촉 임피던스 사이의 차이가 충분한 경우, 상기 EMG신호의 강도에 대한 접촉임피던스의 변동의 영향을 감소하거나 피한다.
[6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소음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EMG신호의 품질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MG신호의 품질은 진일보 등급을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저품질 EMG신호를 제거하고 고품질 EMG신호를 유지하거나,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품질 EMG신호를 고품질 EMG신호로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접촉 임피던스 평가회로를 상기 전극와 연결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임피던스 평가회로는 상기 전극접촉 임피던스의 크기 또는 정상여부를 측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집된 EMG신호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계수는 상기 수집된 EMG신호의 품질의 지수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수는 상기 수집되는 EMG신호에 가중치를 분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가 클 수록, 상기 EMG신호의 품질이 더 높다.
[7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인체의 다양한 부분들의 상기 EMG신호들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인체의 다양한 부분들의 상기 EMG신호들을 수집할 때, 상이한 수량들의 전극들을 인체의 다양한 부분들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된 부분의 EMG신호들을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모듈로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부분의 근육중심구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부분의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71]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모듈(100)은 베이스구조(103)와 2개의 전극들("전극유닛들"이라고도 부른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103의 표면에서 거리를 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베이스구조(103)는 유연한 절연재료(예를 들면, 수지, 유연한 PVC, 실리콘)로 제조될 수 있고, 베이스구조의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 불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극들은 부착, 클램핑, 용접, 등을 통해 상기 베이스구조(103)에 고정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극모듈(100)은 상기 베이스구조(103)를 통해 착용가능한 장치의 상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2개의 전극들은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100)이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101)과 상기 제2 전극(102)은 근육섬유들의 길이방향(도 1에서의 x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에서 상이한 위치들은 상이한 전위들을 가진다.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1 전극(101)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1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2 전극(102)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2 전위를 가진다. 상기 제1 전위와 상기 제2 전위 사이에는 전위차(상기 전위차는 상기 EMG신호를 반영하는 데 이용된다)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은 차동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차동회로의 2개의 입력단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동회로는 차동모드신호를 증폭시키고 동상모드신호를 억제하는 회로구조를 가리킬 수 있다.
[72]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타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모듈(200)은 베이스구조(203)의 표면에서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전극(201), 제3 전극(204), 및 제2 전극(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1 전극(201)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1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2 전극(202)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2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3 전극(204)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3 전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전위와 상기 제2 전위 사이에는 전위차가 있고,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은 각각 차동회로의 입력단들에 연결된다. 중심에 있는 상기 제3 전극(204)을 상기 전극모듈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EMG신호 중의 운동 아티팩트(MA) 소음 및 불량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기록하기 위한 참고전극으로 할 수 있으며, 소음은 일정한 정도로 약화될 수 있다. 상기 MA는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며, 예를 들면,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극 핏팅 또는 위치의 변화는 출력신호 중의 소음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MA 소음 주파수는 운동과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MA 소음은 고주파통과필터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상기 MA 소음은 기타 소스와 곱셈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결국 주파수의 중첩을 초래한다. 이 때, 필터를 통해 MA 소음을 여과해내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MA 소음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전극(204)은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3 전극(204)은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전극(204)은 상기 전극모듈(200)을 표시하는 참고적 의의가 있다. 상기 제3 전극(204)을 단독으로 측정하여 관련정보, 예를 들면, 접촉 임피던스, 전력 주파수출력, 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204)의 관련정보를 평가시스템에 도입하여 상기 전극모듈(200)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EMG신호의 품질을 판정하는 감독값으로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3 전극(204)는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전극(204)은 전체 전극모듈(2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이 상기 EMG신호를 측정할 때 유입되는 MA 소음 또는 상기 전극들이 피부와 접촉하지 않아 생성되는 기타 소음들은 상기 제3 전극(204)에도 반영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전극모듈(200)이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만을 포함할 때, 상기 전극모듈(200)의 측정회로의 기준점(전위가 0인, 예를 들면, GND)은 상기 제1 전극(201), 상기 제2 전극(202), 또는 고정된 소스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모듈의 측정결과는 실제상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 사이의 차이의 차동증폭의 결과이다. 상기 전극모듈(200)에 상기 제3 전극(204)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기준점은 상기 제3 전극(204)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모듈의 측정결과는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3 전극(204) 사이의 전위차와 상기 제2 전극(202)과 상기 제3 전극(204) 사이의 전위차 사이의 차이의 차동증폭의 결과이다. 상기 제3 전극(204)를 측정함으로써 획득한 전위에는 상기 MA와 불량 접촉,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포함된다.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3 전극(204) 사이의 전위차 및 상기 제2 전극(202)과 상기 제3 전극(204)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MA와 불량 접촉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제3 전극(204)은 오른쪽 다리 구동회로의 출력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른쪽 다리 구동회로는 상기 전극모듈의 동상모드신호를 수집하고, 방향을 증폭시키고, 상기 동상모드신호를 인체에 피드백하여, 상기 소스로부터 동상모드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204)은 상기 제1 전극(201) 및 상기 제2 전극(202)와 유사하게 EMG신호수집전극으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상이한 전극쌍들 중에서의 수집조합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3 전극(204)은 한 조의 EMG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202)과 상기 제3 전극(204)은 다른 한 조의 EMG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2조의 EMG신호들의 특성들(예를 들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기 EMG신호들의 강도들은 상기 전극 수집 사이의 거리들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을 통해, 상기 EMG신호들을 추출하여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베이스구조(203)는 상기 베이스구조(103)와 같거나 유사하다.
[73]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타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모듈(300)은 2조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조의 전극들은 베이스구조(303)의 표면에서 근육섬유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조의 전극들 중의 상기 2개의 전극들은 상기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2조의 전극들은 각각 제1 조의 전극들(310)과 제2 조의 전극들(320)이고, 상기 제1 조의 전극들(310)은 제1 전극(301)과 제2 전극(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의 전극들(320)은 제3 전극(304)과 제4 전극(305)을 포함한다.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1 전극(301)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1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2 전극(302)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2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3 전극(304)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3 전위를 가지고, 상기 근육섬유의 상기 제4 전극(305)이 위치하는 위치는 제4 전위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전극(301)과 상기 제3 전극(304)는 차동회로의 입력단에 공동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위와 상기 제3 전위의 비교적 큰 값, 비교적 작은 값 또는 평균값은 입력단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02)과 상기 제4 전극(302)는 상기 차동회로의 기타 입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전위와 상기 제4 전위의 비교적 큰 값, 비교적 작은 값 또는 평균값은 상기 차동회로의 기타 입력단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300)의 위치에서EMG신호는 상기 차동회로의 상기 2개의 입력단들의 일력들에 근거하여 얻을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301)과 상기 제2 전극(302)은 각각 상기 차동회로의 2개의 입력단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극(304)과 제4 전극(305)은 각각 다른 하나의 차동회로의 2개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위와 상기 제2 전위 사이에 제1 전위차(즉, 제1 차동신호 또는 제1 EMG신호)가 존재하고, 상기 제3 전위와 상기 제4 전위 사이에 제2 전위차(즉, 제2 차동신호 또는 제2 EMG신호)가 존재한다. 상기 제1 EMG신호와 상기 제2 EMG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Y 방향에서 상기 근육섬유 부근의 EMG신호 상호간섭 효과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EMG신호 상호간섭 효과정보에 근거하여, 수집하려는 부분의 근육 부근의 EMG신호 간섭은 알고리즘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정확한 EMG신호를 수집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모듈에 대응되는 인체 부분들의 복수의 위치로부터 오는 EMG신호들의 조합은 2조의 전극들을 통해 추출될 수 있고, 따라서 더 정확한 EMG신호들을 추출한다.
[74]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전극모듈에서 복수의 전극들 중의 적어도 2개가 상기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만 하면, 상기 전극모듈 중의 전극들의 수량과 분포는 도 1, 도 2 및 도 3에 표시하는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75] 상기 전극모듈 중의 적어도 2개의 전극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피부에 핏팅되어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각 전극이 피부에 접촉할 때 접촉 임피던스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들과 피부 사이에서 압력, 위치 등에서 특정된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임피던스의 변동을 일으키고, 따라서 상기 EMG신호들의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 중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사람 피부에 핏팅되었을 때 형성되는 접촉 임피던스에서의 큰 차이로 인해 생성되는 차동모드신호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이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접촉 임피던스는 큰 범위 내에서 변동하지 않고, 상기 전극의 양단부에서의 접촉 임피던스의 차이는 작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전극의 양단부에서의 접촉 임피던스는 서로 일치할 수 있다.
[76] 이해와 해석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극이 피부에 핏팅되어 EMG신호수집을 할 때, 상기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은 커패시터와 저항의 병렬연결과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접촉 임피던스는 공식(1)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상기 접촉 임피던스이고, S 는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면적이고, d는 전극과 피부 사이의 거리이고,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는 각각 전극과 피부 사이의 평균 저항률과 용량유전계수,
Figure pct00005
=2π·f, f는 EMG신호 주파수이다. 공식(1)에서, 상기 전극면적이 클 수록 및 전극과 피부 사이의 거리가 작을 수록,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가 더 크다.
[77] 또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를 더 작게 하기 위해,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될수록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극이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의 형상과 크기를 설계하여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의 길이는 1cm~10cm일 수 있고, 폭은 1cm~4c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의 크기는 4cmX2cm, 3cmX1.5cm, 또는 2cmX1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극의 형상은 또한 기타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들, 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는, 전극의 형상은 상기 EMG신호가 수집되는 부분의 근육형상에 따른다.
[78] 유의해야 할 것은 피부에 접촉하는 전극의 표면의 크기는 상기 크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측정되는 부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의 크기와 분포는 근육 크기와 근육들 사이의 상호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은 측정하려는 근육의 중심에 분포될 수 있으나 근육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이 근육밀집구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전극은 타겟 근육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근육보다 기타 근육들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인체의 상이한 부분들의 근육들로부터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근육섬유들의 길이들에 근거하여 상이한 길이들의 전극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체 근육들에 있어서, 4cm의 길이의 상기 전극들을 이용하여 상기 EMG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큰 범위를 가지는 근육, 예를 들면, 황배근의 부위에 관하여, 10cm의 길이의 전극들을 수집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극모듈에 참고전극(예를 들면, 도 2에서의 상기 제3 전극(204))이 있는 경우, 상기 참고전극의 길이는 상기 EMG신호(예를 들면, 도 2에서의 상기 제1 전극(201)과 상기 제2 전극(202))를 수집하는 데 이용하는 전극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황배근은 10cm의 길이의 전극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참고전극의 길이는 6cm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작은 범위를 가지는 근육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예를 들면, 2cm 또는 3cm의 전극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의 길이는 상기 근육섬유의 길이에 수직이 되는 방향(도 1에서의 y 방향)에서의 전극의 길이임을 이해할 수 있다.
[7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상기 전극모듈에 있어서, 2개의 인접되는 전극들 사이의 거리는 측정되는 EMG신호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에 표시하는 2개의 전극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101)과 상기 제2 전극(102))을 포함하는 상기 전극모듈, 예로 들면, 상기 EMG신호의 강도는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전위차로 반영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전극들은 상기 근육섬유의 방향(도 1에서의x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사용자가 움직일 때, 측정하려는 근육이 확장되고 수축되며, 상기 근육섬유의 방향에서 전위차가 있다. 상기 2개의 전극들은 상기 근육섬유의 길이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인체가 이동할 때 측정되는 근육의 전위차를 수집한다.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가 너무 작은 경우, 상기 EMG신호의 강도는 영향을 받으며, 상기 거리가 너무 크면, 상기 전극들은 쉽게 근육범위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MG신호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전극모듈에서 상기 2개의 전극들(상기 제1 전극(101)과 상기 제2 전극(102)) 사이의 거리는 1mm~10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극모듈에서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는 0.5cm~6cm, 0.8cm~4cm, 또는 1cm~3cm일 수 있다. 상이한 근육 구역에 있어서, 각 근육구역에 대응되는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는 기타 근육 구역들에 대응되는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80] 도 1과 비교하면, 상기 전극모듈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와 상기 근육섬유 방향(예를 들면, x 방향)에서 상기 전극들의 폭(예를 들면, 전극 폭)은 EMG신호 주파수 수집범위와 EMG신호 전도속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측정에서, 상이한 개체의 각 근육동작은 상이한 EMG신호 주파수 영역들에 대응되며, 상이한 EMG신호 주파수 영역들은 상이한 EMG신호 주파수 수집범위들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MG신호 주파수 수집범위는 10Hz-200Hz이다. 상기 전극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EMG신호 주파수 수집범위 및 상기 EMG신호 전도속도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신체 표면에서의 상기 EMG신호의 전도는 신호 주파수 영역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MG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가 1cm인 경우, 상기 2개의 전극들 중의 하나가 하나의 점 a을 가지고, 기타 전극은 점 b를 가지고, 점 a와 점 b 사이의 거리는 1cm이고, 상기 EMG신호의 전도속도가 4m/s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그러면 상기 점 a 로부터 전송되는 400Hz 신호는 점 b로 전파되고 점 a에서의 400Hz 신호와 위상이 같으며, 이 400Hz 신호는 상기 차동회로의 상기 2개의 입력단들에서 같을 위상을 나타내고, 상기 회로의 CM 거부에 의해 억제된다. 결국, 그 주파수의 신호 강도가 저하되고, 시간 영역 신호는 왜곡된다.
[81] 실제 EMG신호 주파수 수집범위와 결합하여 살펴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3cm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EMG신호수집 주파수 범위 내(예를 들면, 133Hz 내)에서 상기 EMG신호는 충분히 보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더 큰 중심 사이의 거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들의 중심 사이 거리가 6cm인 경우, 상기 EMG신호수집 주파수 범위 내(예를 들면, 66.5Hz 내)의 더 많은 EMG신호들이 보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전극들의 사이의 중심 사이 거리는 상기 2개의 전극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이며, 이는 하나의 전극의 폭의 절반, 상기 기타 전극의 폭의 절반, 상기 2개의 전극들의 x 방향에서의 인접된 가장자리들 사이의 거리의 합으로 표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 폭의 범위는 1mm~5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극 폭의 범위는0.5cm~3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극 폭의 범위는1cm, 1.5cm 또는 2cm일 수 있다.
[82] 전극이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극은 비교적 큰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는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이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극은 여러가지 동작 또는 주름이 질 때 피부로 부터 완전히 탈락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EMG신호에 의해, 백엔드 회로와 알고리즘, 등을 통해 유효한 EMG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큰 크기의 전극과 비교적 작은 크기의 전극이 동일한 주름을 가질 때, 비교적 큰 크기의 전극에 대한 주름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8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당한 재료 및 구조들의 전극들을 이용함으로써,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 및 상기 전극들의 총 임피던스는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은 단일 재료, 예를 들면, 금속직물전극, 전도성 실리콘전극, 하이드로겔 전극, 금속전극,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이 옷에 집적되어 피부에 핏팅되는 경우,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극들은 금속직물과 전도성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극은 금속직물전극일 수 있으며, 금속직물전극은 작은 저항률을 가지고, 그 임피던스와 피부와의 접촉 임피던스도 비교적 작다. 금속직물전극의 두께가 작을 수록, 그 임피던스와 피부와의 접촉 임피던스가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금속직물전극이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두께는 10μm~5mm., 100μm~3mm, 또는 500μm~2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은 상이한 재료들을 중첩시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간단히 "복합전극"이라고도 부른다)은 금속직물과 전도성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와 작은 접촉 임피던스를 가진다. 또한, 피부와 접촉하는 재료 중의 전도성 실리콘은 피부 친화적이고 세척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에 의한 불편감을 피한다.
[84] 실제 응용에서, 전극의 피부에 연결되는 일단부는 면으로 간주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도선에 연결되고 점으로만 간주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예를 들면, 상기 전극재료가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 도선에 연결되는 단부도 여전히 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은 일반적으로 도4에 표시하는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전극재료가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 도4 에서 R1=0, R2=0이다.
[85] 도 4에서, R1은 전극재료 종방향 임피던스이고, R2는 전극재료 횡방향 임피던스이고, R3은 피부 횡방향 임피던스이고, R4는 피부 종방향 임피던스(해석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서 상기 피부 종방향 임피던스는 접촉 임피던스를 포함한다)이고, R5는 진피층의 횡방향 임피던스이고, 상기 EMG신호는 상기 EMG신호원이고, 측정점은 상기 전극에서 전도선을 인출해내는 점이다. 상기 R1과 R2는 상기 전극의 재료(저항률), 구조 및 크기(피부표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은 두께이고, 피부표면에 평행되는 방향은 길이이다)와 관련된다. 사람 피부의 저항률이 생리학적 특징이기 때문에, R3과 R4는 고정치일 수 있으며, R5는 상기 전극의 길이의 영향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전극재료, 구조 및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예를 들면, R1과 R2를 변화시켜, 상기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에서 병렬경로를 변경시킬수 있으며, 따라서 총 전극 임피던스와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킨다), 상기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은 최적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극에 적당한 재료를 선택하고 적당한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8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피부표면은 사람 피부의 각질층이고, 상기 각질층은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률을 가진다. 따라서, R3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개회로로 간주될 수 있다. 이를 제외하고, 대칭성에 의해, 상기 신호원들의 조건들은 기본상 같으며, 하나만의 EMG신호원을 고려할 수 있다.
[8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재료들의 전극들에 대응되는 전극병렬 임피던스모델들은 상이하며, 상응한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들에서 병렬경로들은 상기 전극들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총 전극 임피던스 및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킨다.
[88] 예를 들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도성 실리콘전극의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이다. 전도성 실리콘의 높은 저항률에 의해, 상기 R1과 상기 R2는 무시할 수 없으며, 상이한 구조와 크기의 전극들의 R1과 R2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저항률은 상기 R1과 상기 R2에 대해 동일한 영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두께는 상기 R1과 상기 R2에 대해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두께가 클 수록, R2가 더 작으며, 따라서 R2는 일련의 단위 두께의 재료들로 제조된 횡방향 임피던스 R2의 병렬연결로 간주될 수 있다. 도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R1은 두께의 영향을 더 받으며, 두께가 클 수록, R1이 더 크고, 따라서 R1은 일련의 유닛 두께의 재료로 제조된 횡방향 임피던스 R1들의 병렬연결로 간주될 수 있다.
[89] 도 6에서의 전도성 실리콘 전극과 그 두께의 임피던스 값 사이의 관계는 도 5에 표시하는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전극 임피던스 병렬모델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두께가 클 수록, 그 임피던스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비교적 큰 저항률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 상기 전극(예를 들면, 전도성 실리콘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두께를 증가시켜 상기 전극의 횡방향 저항 R2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비교적 큰 면적의 경로를 병렬모델에 가입시킬(예를 들면, 병렬경로의 임피던스값이 최저 저항경로의 10 이상이라고 가정하면, 이는 무시할 수 있고, 비교적 작은 전극 횡방향 저항R2은 비교적 큰 면적의 경로를 병렬연결에 가입시킬 수 있다) 수 있고, 상기 병렬연결은 총 임피던스와 상기 접촉 임피던스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도성 실리콘 전극은 0.01mm-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두께는 0.1mm-3mm일 수 있거나, 또는 0.5mm-1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들은 1mm~5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폭은 0.5cm-3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폭은 1cm, 1.5cm 또는 2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피부에 접촉하는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표면의 길이는 1cm~10cm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길이는 측정되는 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체의 근육에 있어서, 4cm 길이의 전도성 실리콘전극을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큰 범위를 가지는 근육의 부위들, 예를 들면, 황배근에 있어서, 10cm 길이의 전도성 실리콘전극을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9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재료들의 전극들을 조합하여 상기 전극들의 총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단지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a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에서의 R5가 R2보다 훨씬 클 때의 병렬모델이다. 도 7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은 위로부터 아래로 차례로 배치된 베이스구조(701), 금속직물전극(720) 및 전도성 실리콘전극(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710)의 하면이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금속직물전극(720)이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상면과 낮은 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 상기 베이스구조(701) 사이에 있다. 또한, 높은 전도성에 의해, 상기 금속직물전극은 대체로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710)을 단선시키는 재료의 횡방향 임피던스(예를 들면, 도4 및 도 7b 에서의 R2)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금속직물전극은 전극병렬회로의 임피던스값(도 4에서의 병렬회로는 2* R2+하나의 R1이고, 도 7b에서의 병렬회로는 하나의 R2+하나의 R1이다)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더 많은 경로와 더 많은 면적의 병렬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총 임피던스와 상기 접촉 임피던스를 크게 감소시키고, 상기 근육섬유 방향에서 상기 전극의 측정결과(즉, 상기 수집된 EMG신호)를 일치하게 한다. 단일 전도성 실리콘 전극을 금속직물전극(720)과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710)을 조합하여 형성한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과 비교하면, 상기 전극의 총 임피던스는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더 많은 경로들과 더 큰 면적들의 병렬연결의 구현에 의해,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는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변동하에서, 입력 임피던스에 상대적인 접촉 임피던스의 변동이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EMG신호 중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이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은 사람 피부와 직접 접촉된다. 상기 전도성 실리콘은 피부 친화성과 높은 내구성의 장점을 가지며, 상기 EMG신호수집 전극이 피부에 접촉할 때 사람 피부에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두께는 10μm~5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두께는 100μm~3mm 또는 500μm~2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두께는 1μm~4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두께는 10μm~2mm 또는 0.1mm~1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의 폭은 1mm ~5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의 폭은 0.5cm~ 3c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의 폭은 1cm, 1.5cm 또는 2c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피부와 접촉하는 데 이용하는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의 표면의 길이는 1cm~10cm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복합전극의 길이는 측정하는 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체 근육들에 있어서, 4cm 길이의 복합전극을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큰 범위의 근육, 예를 들면, 황배근을 가지는 부위에 있어서, 10cm 길이의 복합전극을 수집에 이용할 수 있다.
[9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크기(예를 들면, 길이와 폭)는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크기보다 크며,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폭은 1mm~5cm이고,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폭은 0.8cm~4cm이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폭은 0.5cm~3cm 또는 1cm~2cm이고,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폭은 0.4cm~2.8cm 또는 0.8cm~1.6c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길이는 1cm~10cm일 수 있다. 상기 금속직물 전도성 실리콘 복합전극에서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길이는 0.8cm~8cm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과 금속직물전극의 길이는 측정하려는 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체 근육들에 있어서, 4cm 길이의 복합전극을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길이는 4 cm일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길이는 3.2cm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큰 범위의 근육, 예를 들면, 황배근을 가지는 부위에 있어서, 10cm 길이의 복합전극을 수집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직물전극의 길이는 10cm일 수 있고,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의 길이는 8cm일 수 있다.
[92] 사지의 동작은 상기 전극이 피부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변위를 일으키거나 또는 쭈그러들게 하며, 또는 심지어 상기 전극이 피부에서 탈락되게 하며, 결국 접촉 임피던스에 큰 변동을 일으키고, 심지어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의 변위는 상기 EMG신호를 수집할 필요가 있는 위치의 변화도 있으킬 수 있고, 상기 EMG신호가 정확하지 못하게 수집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과 피부 사이의 긴밀정도를 증가함으로써 상기 전극이 피부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과 피부 사이의 긴밀한 접촉은 상기 전극과 피부 사이의 거리를 더 짧아지게 할 수 있다. 공식(1) 에 근거하면, 피부와 전극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접촉 임피던스의 변동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9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이 피부와 긴밀하고 확식하게 핏팅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과 베이스구조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개의 돌출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구조들은 상기 전극의 표면이 외부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들은 상기 전극의 표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외부 압력이 상기 전극모듈에 작용하여 상기 전극을 사람 피부에 접촉하게 할 때, 상기 돌출구조들은 상기 전극들이 사람 피부이 더 잘 핏팅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돌출구조들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극모듈이 위치하는 캐리어(예를 들면, 옷)의 신체에 대한 압력요구를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돌출구조들을 구비하는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부위만 큰 압력을 가지고, 상기 캐리어는 신체의 기타 부위에 큰 압력을 가하지 않게 확보한다. 상기 전극이 피부에 잘 핏팅되도록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는 더 편안한 감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은 돌출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의 중심구역은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구역보다 높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은 평면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모듈의 상기 베이스구조에 상대적으로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돌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 1mm~10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2mm~8mm 또는 2mm~4mm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돌출구조의 중심이 가장 높고, 상기 돌출구조의 둘레부분은 점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 상기 돌출구조의 중간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또한 인체에 접촉하는 상기 돌출구조의 단면이 대체로 평면인 구조일 수 있고,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0.5mm~ 5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1mm~4mm 또는 1mm~2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다른 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즉, 상기 돌출구조와 상기 전극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상이한 표면들에 분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탄성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돌출구조, 유연한 PVC, 수지, 실리콘 및 다른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돌출구조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심조각 구조일 수 있으며, 충전재가 돌출구조의 공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일정한 전도성을 가지는 탄성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전재는 흡수성 스폰지, 실리카겔, 등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충전재는 피부표면의 여유의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전극들 사이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94] 상기 2개의 전극들에서의 상기 돌출구조들에 대한 압력이 상이한 점을 고려하면, 상기 2개의 전극들에서 상기 돌출구조들의 변형은 상이하며, 이는 상기 2개의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를 다르게 하며, 그러므로 상기 2개의 전극들 사이가 불일치하게 한다. 결국, 상기 수집된 EMG신호는 소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접촉 임피던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EMG신호 중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범위를 더 제어하여 상기 EMG신호 중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은 1M ohm 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은 100K ohm 또는 10K ohm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촉 임피던스 변동범위의 제어는 상기 2개의 전극들과 상기 피부 사이의 상기 접촉 임피던스 범위는 특정된 범위(예를 들면, 상기 상술한 1M ohm 내, 100K ohm 내, 또는 10K ohm 내) 내에 있게 확보하고, 또는 상기 2개의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상기 접촉 임피던스들의 변동 값은 대체로 같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회로를 상기 전극들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소음은 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들에 연결되는 상기 회로는 차동구조, 노치필터, 역치필터, 오른쪽 다리 구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2개의 전극들과 상기 피부 사이의 불일치한 접촉 임피던스의 문제는 상기 돌출구조의 구조와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돌출구조는 고체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돌출구조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단면은 평면이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는 1mm이다.
[9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은 복수의 흡판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전극들은 상기 피부에 더 가깝게 핏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EMG신호를 수집할 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집된 EMG신호의 정확도를 확보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판구조(800)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기하학적 구조, 예를 들면, 원기둥체, 원뿔체, 장방체, 등과 같은 3차원(3D)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흡판구조(800)는 공심부(8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심부는 흡판구조의 일단부의 단부에 개구(811)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흡판구조(800)의 적어도 일부분은 탄성재료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폴리프로필렌(PPE),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s-PUA),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흡판구조(800)는 변형될 수 있다. 전극모듈이 피부에 핏팅되는 경우, 상기 흡판구조(800)에서 상기 공심부(810)의 상기 개구(811)가 상기 사람 피부와 접촉한다. 외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흡판구조(800)는 변형되며, 따라서 상기 공심부(810) 내부의 공기의 일부분이 외부로 밀려 나가며, 외부 기압은 상기 공심부(810)의 내부 기압보다 크며, 상기 피부표면과 부압공간을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전극모듈(또는 상기 전극)은 상기 피부에 흡착되고, 따라서 상기 전극이 상기 피부에 밀접하게 핏팅되는 효과를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공심부(810)의 형상은 구체, 아치형, 원기둥체, 정육면체, 불완전한 구체, 및 다른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들을 포함하지만 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8에 표시하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의 형상은 정육면체이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9에 표시하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의 형상은 불완전한 구체이다.
[96]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하나의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흡판구조(1000)는 상기 흡판구조(1000)의 공심부(1010)에 위치하는 중간구조(10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구조(1020)의 일부분은 상기 흡판구조(1000)의 상기 공심부(1010)가 위치하는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중간구조(1020)는 유연하고 변형가능한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구조(1020)는 유연한 PVC, 실리카겔, 스폰지 및 다른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중간구조(1020)의 형상은, 구체, 원기둥체, 정육면체, 및 다른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중간구조(1020)는 상기 흡판구조(1000)의 일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흡판구조(1000)를 제외하고 설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중간구조(1020)는 상기 공심부(1010)를 복수의 상호 연결된 공간구역들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된 환경(예를 들면, 피부표면에 많은 액체가 있는 환경) 중의 전극모듈의 응용가능성을 개선한다. 단지 설명만을 위해,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구조(1020)은 상기 흡판구조(100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점은 점 a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중간구조가 상기 흡판구조(1000)의 상기 공심부(101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간구조(1020)의 기타 부분들(예를 들면, 도 10에 표시하는 점b와 점c)은 핏팅되나 상기 흡판구조(1000)의 상기 공심부(1010)가 위치하는 측벽에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핏팅은 상기 탄성 중간구조(1020)와 상기 흡판구조(1000)의 측벽 사이의 압력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중간구조(1000)는 상기 공심부를 공간구역 1, 공간구역 2, 및 공간구역 3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구역 1과 상기 공간구역 3은 상기 중간구조(1020)과 상기 흡판구조(1000)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공간구역 3은 상기 중간구조(1020), 상기 흡판구조(1000)의 측벽과 상기 사람 피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공간구역 1, 상기 공간구역 2, 및 상기 공간구역 3은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판구조(1000)가 상기 피부표면에 액체가 많은 환경에 응용되는 경우(예를 들면, 인체의 땀이 쉽게 나는 부분(겨드랑이, 가슴, 등.)),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액체(땀)은 상기 공간구역 3에 존재한다. 외력(예를 들면, 근육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힘)이 상기 흡판구조(1000)에 작용하여 상기 흡판구조(1000)를 누르는 경우, 상기 흡판구조(1000)와 상기 중간구조(1020)는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구역 3 중의 상기 액체는 상기 점 b 와 상기 점 c를 통해 상기 공간구역 1 과 상기 공간구역 2에 도달한다. 누르기가 완료된 후, 상기 흡판구조(1000)와 상기 중간구조(1020)는 그들의 형상을 회복하고, 상기 공간구역 3에서 액체부분은 상기 공간구역 1과 상기 공간구역 2에 유지된다. 상기 공간구역 3에서 액체량은 누르기 전보다 많이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강한 부압흡입력이 상기 흡판구조(1000)와 상기 사람 피부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97]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하나의 흡판구조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판구조(1100)의 본체는 중간부(1110)를 가지며, 상기 중간부(1110)는 피부를 향하는 개구(1111)를 가진다. 중간구조(1120)가 상기 중간부(1110)의 내부에 있다. 상기 중간구조(1120)의 존재에 의해, 캐비티는 상부공간(1112)과 하부공간(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흡판구조(1100)는 탄성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s-PUA)), 따라서 상기 흡판구조(1100)와 그 중간구조(1120)는 상기 외력의 작용하에서 변형할 수 있다. EMG신호를 수집할 때, 상기 흡판구조(1100)를 구비하는 전극은 상기 EMG신호가 수집되는 신체부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흡판구조(110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흡판구조(1100)가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판구조(1100)가 작동한다. 상기 흡판구조(1100)가 작동할 때, 상기 흡판구조(1100)의 상기 중간부(1110)의 상기 상부공간(1112)이 변하며, 상기 하부공간(1113)은 상응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판구조(1100) 내부의 상기 중간구조(1120)가 외부로 확장되고, 상기 외측벽이 동시에 내부로 수축되며, 상기 상부공간(1112) 및 상기 하부공간(1113) 내의 공기의 일부분이 상기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기압은 상기 흡판구조(1100)의 내부 기압보다 크므로 부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흡판구조(1100)의 부압흡입력의 작용하에서 피부에 단단하고 확실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일정한 량의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를 상기 흡판구조(1100)의 상기 중간부(1110)에 담아서 그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9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구비하는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판구조(1210)(예를 들면, 상기 흡판구조(800), 상기 흡판구조(1100))은 전극모듈(1200)에 설치되며, 전극(예를 들면, 전극(1201)과 전극(1202)) 주위에 어레이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1210)은 상기 전극들 주위에 어레이로 분포되며, 상기 전극들과 함께 상기 전극모듈(1200)의 상기 피부를 향한 베이스구조(1203) 측에 위치한다. 상기 흡판구조들(1210)과 상기 전극들은 같거나 유사한 높이와 또는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전극모듈이 상기 흡판구조들을 통해 피부에 밀접하고 확실하게 흡착되는 경우, 상기 전극들은 상기 피부에 충분히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EMG신호를 정확하게 수집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1210)은 상기 전극의 주위에 무작위로 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판구조(1210)가 상기 전극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상기 흡판구조(1210)의 높이는 상기 전극의 높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흡판구조가 유연하고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흡판구조(1210)는 상기 전극보다 높은 동시에 상기 전극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극모듈을 구비하는 물품(예를 들면, 옷)을 착용한 후, 물품의 압력에 의해 상기 흡판구조(1210)가 변형된 후,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9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흡판구조는 상기 전극들에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판구조를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흡판구조들(1310)은 상기 전극(예를 들면, 전극(1301) 과전극(1302))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전극과 피부가 상기 흡판구조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전극이 EMG신호를 수집하도록 확보하고, 상기 흡판구조(131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도성 재료는 전도성실리콘, 전도성수지, 전도성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1310)을 상기 전극모듈(1300)의 베이스구조(1303)상에서 어레이로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을 상기 전극들에 균일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극들은 상기 피부에 더 균일하고 든든하게 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흡판구조들(1310)은 상기 전극모듈(1300)의 상기 베이스구조(1303) 또는 상기 전극들 위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다.
[ 100]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흡판구조(1210)와 상기 흡판구조(1310)는 도 8-11에 표시하는 상기 흡판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기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극들은 부착, 클램핑, 등 방식들을 통해 피부에 더 가깝고 믿음직하게 핏팅될 수 있다.
[ 10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의 상기 피부위에서의 상대적 변위를 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극모듈은 여러개의 융기구조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전극모듈 또는 상기 전극들과 상기 피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극모듈의 미끄럼방지 성능을 증가시킨다. 상기 융기구조는 상기 베이스구조 또는 상기 전극의 사람 피부에 접촉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융기구조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며, 어레이 또는 무작위로 상기 전극 또는 상기 전극모듈의 상기 베이스구조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융기구조의 형상은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구조들, 예를 들면, 원뿔체, 원기둥체, 직육면체, 및 반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의 미끄럼방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상기 융기구조의 높이는 5μm ~ 200μ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융기구조의 높이는 10μm~100μm, 20μm ~80μm, 또는 20μm~50μ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의 미끄럼방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융기구조와 상기 전극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 사이의 연결면의 크기(예를 들면, 길이, 폭 또는 반경, 등.)는 10μm~1000μ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기 융기구조와 상기 전극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 사이의 연결면의 크기는 50μm ~ 800μm 또는 100μm~ 600μ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모듈의 미끄럼방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융기구조들의 분포밀도는 1 개/2.25mm2~10개/2.25mm2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융기구조들의 분포밀도는 3개/2.25mm2 ~8개/2.25mm2 또는 5개/2.25mm2~6개/2.25mm2일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융기구조는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전극에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 융기구조의 형상은 20~50μm의 높이와 100~600μm의 밑면 반경을 가지는 원추형이고, 상기 융기구조의 분포밀도는 5개/2.25mm2이다. 이러한 전도성 실리콘전극은 우수한 미끄럼방지 성능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융기구조는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신체표면의 액체, 예를 들면, 상기 전극들 사이의 땀을 방지하고, 상기 전극들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 102] 상기 EMG신호의 수집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운동할 때 완성되며, 단련할 때, 열량의 소모와 더불어, 인체에서 나는 땀이 상기 전극들과 피부 사이에 축적된다. 땀과 인체의 피부의 점성 및 땀과 전근의 점성에 의해, 전극과 피부는 과도하게 든든히 핏팅될 수 있으며, 피부가 통기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 세균이 쉽게 생긴다. 그리고, 땀의 축적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합선 문제를 더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극모듈은 많은 통기공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통기공들은 상기 전극모듈의 상기 베이스구조 또는 상기 전극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모듈이 일정한 통기성을 가지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피부와 외부 환경 사이의 환기를 촉진시키고, 상기 전극과 사람 피부 사이의 땀 축적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통기공의 형상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상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여러개의 통기공들은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기공의 직경의 범위는 0.2mm~4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통기공의 직경의 범위는 0.5mm~3mm 또는 1mm~2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통기공의 직경은1mm, 1.5mm 또는 2m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기공들의 총 면적은 상기 전극 면적의 90%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상기 통기공들의 총 면적은 상기 전극 면적의50% 또는 20%를 초과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기공들은 기계적 천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 103]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옷 또는 기타 착용가능한 장치에 집적되어 운동시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부분들의 상기 EMG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복원공정에서 환자들의 상기 EMG신호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환자에 대해 상응한 진단 또는 치료를 한다. 또는 바이오닉스에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EMG신호를 수집하여 인공사지를 연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104]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한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개략도이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가능한 장치(1400)은 웃옷(1410)과 바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웃옷(1410)은 웃옷 밑단(14110),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14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14130)은 인체의 상응한 부위들을 상기 웃옷 밑단(14110)에 핏팅시키는 구역에 위치한다. 상기 웃옷 밑단(14110)은 인체의 상체에 착용하는 옷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웃옷 밑단(14110)은 짧은 팔 T-셔츠, 긴팔 T-셔츠, 셔츠, 코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은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왼쪽 어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오른쪽 어깨에 배치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중간선을 따라 대칭되게 분포되거나 또는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중간선을 따라 대칭되게 분포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14130)은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과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은 상기 같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 예를 들면, EMG신호센서("EMG신호모듈"라고도 부른다), 심전도(ECG) 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왼쪽 근육위치(예를 들면, 왼쪽 팔 이두박근, 왼쪽 팔 손목 연장기, 좌 대흉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은 상기 같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 예를 들면, EMG신호센서, ECG 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 중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오른쪽 근육위치(예를 들면, 오른쪽 팔 이두박근, 오른쪽 팔 손목 연장기, 오른쪽 대흉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은 전극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과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은 상기 전극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과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의 상기 EMG신호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인체 EMG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 전송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EMG신호센서에 관한 특정된 내용(상기 전극모듈)에 관하여, 본 개시의(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13)다른 부분의 설명을 참고 바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 10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상기 왼쪽 어깨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인체 왼쪽 센서의 상체 운동 데이터(예를 들면, EMG신호센서, 근전센서, 호흡센서,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오른쪽 어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인체 오른쪽 센서의 상체 운동 데이터(예를 들면, EMG신호센서, 근전센서, 호흡센서,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왼쪽 어깨에서의 상술한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오른쪽 어깨에서의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상기 웃옷 밑단(14110)의 중간선을 따라 대칭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 10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왼쪽 어깨에서의 상술한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오른쪽 어깨에서의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종소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마스터 데이터 처리모듈이고,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종속 데이터 처리모듈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유선과 무선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인체 왼쪽의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인체 오른쪽의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수신한 인체 오른쪽의 운동 데이터를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 사이의 착용방식은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1400)의 앞 또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1400) 뒤의 유선배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자체로 수신한 인체 왼쪽의 운동 데이터와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로부터 수신한 인체 오른쪽 운동 데이터를 주변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운동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 10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또한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병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이 병렬되는 경우,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각각 주변 단말기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인체 왼쪽으로부터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동 데이터를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운동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인체 오른쪽으로부터 상기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운동 데이터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운동 데이터를 처리한다.
[ 10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에 의해 수신된 인체의 운동 데이터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 이해 수신되는 인체의 왼쪽 운동 데이터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은 상기 처리된 운동 데이터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에 의해 수신되는 인체 운동 데이터는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더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직접 상기 수신한 인체 오른쪽의 운동 데이터를 상기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인체 오른쪽의 운동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에 의해 수신되는 인체 운동 데이터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에서 일부분이 더 처리되고, 상기 주변 단말기에서 일부분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 의해 수신되는 인체 왼쪽 운동 데이터는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에서 일부분 처리되고,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가 상기 일부분 처리된 운동 데이터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단말기는 그 후 데이터의 아직 처리되지 않은 기타 부분에 대해 처리를 수행한다.
[ 10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와 상기 주변 단말기 사이는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또는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은 상기 운동 데이터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성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명령은 상기 전극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에 근거하여 운동 품질 피드백을 실행하는 명령일 수 있다.
[ 110]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바지(1420)는 바지 밑단(14210),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0),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14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0)은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과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왼쪽 가랑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오른쪽 가랑이에 설치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과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중간선을 따라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중간선을 따라 대칭되게 분포될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14230)는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과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센서들, 예를 들면, EMG신호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예를 들면, 좌 대둔근, 좌 외측광근, 좌 내광근, 좌 대퇴이두근, 등.)의 왼쪽 다리 왼쪽 근육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왼쪽 다리의 앞의 근육위치와 왼쪽 다리의 뒤의 근육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은 상이한 유형들, 예를 들면, 상기 EMG신호센서, 상기 온도센서, 상기 습도센서, 등,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오른쪽 다리의 오른쪽 근육위치(예를 들면, 오른쪽 대둔근, 오른쪽 외측광근, 오른쪽 내광근, 오른쪽 대퇴이두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은 상기 바지 밑단(14210)의 오른쪽 다리의 앞의 근육위치와 오른쪽 다리의 뒤의 근육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과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은 상기 전극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과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은 상기 전극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0)(예를 들면,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과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14230)(예를 들면,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과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 )에 관한 내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14130)의 관련 설명을 참고 바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11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센서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14131),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14132),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14231),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14232))은 EMG신호센서, 관성센서, ECG 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염기센서, 음향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11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MG신호센서("전극모듈"라고도 부른다)는 인체의 근육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EMG신호센서와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은 서로 통신한다. 상기 웃옷인체에 대응되는 상기 근육위치는 이두박근, 삼두박근, 손목 연장기, 손목 굴곡기, 삼각근(예를 들면, 앞 삼각근, 중간 삼각근, 뒤 삼각근), 승모근, 황배근, 대흉근, 외사근, 복직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지에 대응되는 근육위치는 대둔근, 외측광근, 내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비복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MG신호센서는 운동시 상기 사용자의 근육정보, 예를 들면, 이동범위, 이동속도, 이동강도, 등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바벨수평 밀기를 할 때, 이두박근(또는 삼두박근, 삼각근, 대흉근, 등.)에 설치한 상기 EMG신호센서는 근육정보(예를 들면, 상기 이동범위, 상기 이동속도, 상기 이동강도, 등.)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근육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근육정보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를 하며(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근육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근육정보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바벨수평 밀기 처리에서 사용자의 근육 데이터가 상기 판정표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데이터가 상기 판정표준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피드백 모듈을 총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표준은 사전에 바벨수평 밀기 처리에서 전문가(예를 들면, 운동선수, 코치, 등)와 대량 일반인의 근육 데이터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 기록한다. 동시에, 상기 판정표준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조절되어 더 좋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모듈의 경고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그들의 바벨수평 밀기 근육상태(예를 들면, 상기 이동범위, 상기 이동속도, 상기 이동강도, 등.)가 표준적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요해하고, 제때에 운동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 1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센서모듈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독립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실제 문제들, 예를 들면, 세척문제, 복잡성 문제(예를 들면, 단독제작, 해체, 등.), 전원공급문제, 충전문제, 등을 일으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웃옷의 왼쪽 데이터 처리모듈과 오른쪽 데이터 처리모듈에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보폭 수, 보폭 길이, 보폭 주파수, 등.)을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웃옷의 왼쪽 데이터 처리모듈과 오른쪽 데이터 처리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파라미터들, 예를 들면, 보폭 수, 보폭 길이, 보폭 주파수, 등을 감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관성센서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분리하는 문제(예를 들면, 세척문제, 전원공급문제, 등.)는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에 설치되는 상기 관성센서들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왼쪽과 오른쪽의 운동 조화성과 균형을 더 감시할 수 있다.
[ 1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은 관성센서들은 데이터 처리모듈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계되어 더 복잡한 기능들 예를 들면, 동작식별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센서는 인체가 움직일 때의 가속도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측정은 주로 사용자의 운동과정에서 걸음수 계수와 칼로리 계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과정에서 X, Y, 및 Z의 삼축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가속도를 감시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 11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ECG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시 상기 ECG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CG 센서와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와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는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간 단련할 때, 그 심박률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유산소 단련 또는 강도훈련을 할 때, 상기 사용자의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단련의 강도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ECG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시 ECG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ECG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ECG신호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ECG신호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ECG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률이 상기 판정표준 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심박률이 상기 판정표준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피드백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표준은 사전에 단련과정의 상기 전문가(예를 들면, 운동선수, 코치, 등.)와 대량 일반인의ECG 데이터를 훈련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 기록한다. 동시에, 상기 판정표준은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조절되어 더 좋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모듈의 경고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요해하고, 상기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단련강도를 제때에 조절할 수 있다.
[ 11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호흡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호흡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흡센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과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 141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련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와 호흡주파수는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경우, 상기 호흡수는 상기 사용자의 달리기 지속시간이 길어짐 및/또는 달리기 속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호흡주파수는 상기 사용자의 달리기 지속시간이 길어짐 및/또는 상기 달리기 속도가 커짐에 따라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호흡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상기 호흡신호(예를 들면, 호흡속도, 호흡주파수, 등.)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호흡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호흡신호에 대해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호흡신호를 상기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호흡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를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의 호흡 데이터가 상기 달리기 과정에서 상기 판정표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호흡 데이터가 상기 판정표준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피드백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표준은 사전에 상기 전문가(예를 들면, 운동선수, 코치, 등.)와 대량 일반인의 달리기 과정의 호흡 데이터의 훈련을 통해 훈련될 수 있고, 이를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 기록한다.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판정표준을 조절하여 더 좋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모듈의 경고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그들의 달리기 상태(예를 들면, 달리기 속도, 달리기 지속시간, 등.)이 표준적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요해하고, 상기 달리기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달리기 속도를 제때에 조절할 수 있다.
[ 11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온도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 및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단련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산소 단련 또는 상기 강도훈련을 할 때, 상기 사용자의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단련 강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온도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온도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온도신호(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온도신호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온도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한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를 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온도가 상기 판정표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체온이 상기 판정표준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피드백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표준은 사전에 상기 온도 데이터 단련과정에서 상기 전문가(예를 들면, 운동선수, 코치, 등.)과 대량 일반인의 온도 데이터의 훈련을 통해 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 저장한다.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판정표준를 조절하여 더 좋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모듈의 경고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그들의 온도가 정상인지 여부를 요해하고, 상기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단련속도를 제때에 조절할 수 있다.
[ 11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습도센서는은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습도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1), 상기 제2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14122), 상기 제1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1), 및 상기 제2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14222))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에서, 그의 신체의 습도는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산소 단련 또는 상기 강도훈련을 할 때, 상기 사용자의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단련 강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습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은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의 습도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습도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습도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를 하고(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수신한 습도신호를 상기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습도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습도가 상기 판정표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신체 습도가 상기 판정표준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상기 피드백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표준은 상기 전문가(예를 들면, 운동선수, 코치, 등.)와 대량 일반인의 단련과정의 습도 데이터의 훈련을 통해 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 기록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판정표준을 조절하여 더 좋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모듈의 경고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는 그들의 습도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요해하고, 상기 단련 지속시간 및/또는 상기 단련강도를 제때에 조절할 수 있다.
[ 119]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의 예시적인 배선연결방식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은 옷 밑단(1510),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 제1 EMG신호센서(1531), 제2 EMG신호센서(1532), 온도센서(1541), 습도센서(1542), 제1 ECG 센서(1551), 제2 ECG 센서(1552), 연결선(1561)(또는 연결선(1562), 연결선(1571), 연결선(1572), 연결선(1581), 연결선(1582),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EMG신호센서(1531)는 상기 연결선(1561)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EMG신호센서(1532)는 상기 연결선(1562)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온도센서(1541)는 상기 연결선(1571)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습도센서(1542)는 상기 연결선(1572)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ECG 센서(1551)는 상기 연결선(1581)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ECG 센서(1552)는 상기 연결선(1582)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 12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는 상기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의 왼쪽 어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는 상기 오른쪽 어깨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과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은 각각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왼쪽과 오른쪽의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설계는 배선경로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단일 데이터 처리모듈(예를 들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모듈(1521)와 제2 데이터 처리모듈(1522))의 체적을 합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의 왼쪽과 오른쪽에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들을 대칭되게 설치하는 설계는, 비대칭되는 설계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안전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예를 들면, 스쿼트와 같은 운동의 균형제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들을 상기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의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하는 설계는, 회로(예를 들면, 배터리, 블루투스, 증폭기, 등.)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존재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착용 편안감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들을 상기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의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하는 설계는, 각 데이터 처리모듈의 설계 난이도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슴 부근의 생리신호(예를 들면, ECG신호, 의 대흉근EMG신호, 등.)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 12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많은 센서모듈들이 상기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1500)에 있는 경우, 상기 착용모드는 배선모드는 한편으로는 배선배치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선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설계공간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큰각도 배선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배선길이는 그의 SNR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길이가 클 수록, 더 큰 소음간섭이 유입된다. 도 15에서의 상기 배선방식은 상기 배선길이를 효과적으로 짧아지게 하고,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수집되는 소음신호를 감소시키고, 상기 소음간섭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센서모듈들은 전부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 중의 배선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으며, 여러개의 채널들 사이에 상호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5에서의 상기 배선방식은 배선들 사이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채널들 사이의 상호간섭을 감소시킨다.
[ 12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에서, 대부분의 단련들(예를 들면, 바벨수평 밀기, 아령 프레스, 달리기, 흉부확장, 등.)은 인체 사지의 참여를 요구하며, 팔의 동작은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이 변위되게 하며, 따라서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 중의 상기 센서모듈은 변위되고, 신호수집의 품질(예를 들면, 상기 대흉근에서의 상기 EMG신호, 상기 ECG신호, 등.)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옷 착용가능한 장치("착용가능한 장치의 웃옷"라고도 부른다)의 겨드랑이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16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탄성설계(1611)는 옷 밑단(1610)의 왼쪽 겨드랑이에 설치되고, 제2 탄성설계(1612)는 상기 옷 밑단(1610)의 오른쪽 겨드랑이에 설치된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웃옷 착용가능한 장치의 겨드랑이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6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탄성설계(1621)는 옷 밑단(1620)의 왼쪽 팔에 설치되고, 제4 탄성설계(1622)는 상기 옷 밑단(1620)의 오른쪽 팔에 설치된다. 상기 제3 탄성설계(1621)와 상기 제4 탄성설계(1622)는 팔 고리모양의 탄성설계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탄성설계 위치들의 설치는 상기 겨드랑이 위치와 상기 상박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단지 상기 겨드랑이 위치와 상기 상박 위치만을 설명한다. 기타 인체 위치들(예를 들면, 팔꿈치 위치, 어깨 위치 등.)은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 12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설계는 고탄성 및 신축성 재료들의 사용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고탄성 신축성 재료는 탄성섬유직물재료, 유연성 고분자 재료, 탄성 고무 고리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탄성설계에 사용되는 재료는 단일 탄성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탄성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상박 위치에서의 옷 밑단(예를 들면, 도 16b에서의 상기 제3 탄성설계(1621) 또는 도16b에서의 상기 제4 탄성설계(1622))은 탄성 고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박 위치가 당기여질 때, 상기 고탄성 고무 재료는 늘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피한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겨드랑이 구역의 옷 밑단(예를 들면, 도16a에서의 상기 제1 탄성설계(1611) 또는 도16a에서의 상기 제2 탄성설계(1612))은 탄성섬유직물 삽입편과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 신축성재료)의 복합재료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팔을 펼 때,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상기 겨드랑이 구역이 당겨지고, 상기 탄성섬유직물 삽입편과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 신축성재료)의 복합재료는 비교적 좋은 신축률과 회복률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피한다.
[ 12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설계는 구조적 설계를 가리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과 높낮이 구조를 인체의 어깨에 가까운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상박의 위치(도 16b에서의 상기 제3 탄성설계(1621)와 상기 제4 탄성설계(1622)를 참고 바란다)에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 자체에 관련되는 원형 3D모드에서 상기 주름과 높낮이 구조를 돌출시키고, 돌출부 변위의 규모는 운동과정의 당기는 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주름과 높낮이 구조는 상기 상박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예를 들면, 바벨수평 밀기)에 의해 당겨질 때 당겨지는 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당김에 의한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변위와 상기 신호수집의 품질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킨다.
[ 12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설계는 상기 전극 부근의 당기는 힘에 대한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주변에 대해 진행될 수 있다. 도 17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전극모듈의 예시적인 고리형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7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 탄성설계(1720)(예를 들면, 고탄성 신축성 재료, 주름설계, 등을 사용.)는 전극모듈(1710)의 주변에 대해 진행되고, 단련과정에서 전부 방향들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극모듈에 대한 당기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그의 발 주위에 운동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그의 흉부 및 그 부근의 상기 전극모듈(1710)은 상이한 각도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고리형 탄성설계(1720)(예를 들면, 고탄성 신축성 재료, 주름설계, 등을 사용.)를 상기 전극모듈(1710)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당김에 의한 상기 전극모듈(171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상기 신호수집 모듈에 대한 영향을 진일보 약화시킨다. 도 1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전극모듈의 예시적인 특정방향 탄성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17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설계(1740)(예를 들면, 상기 고탄성 신축성 재료, 상기 주름설계, 등을 사용.)를 상기 전극모듈(1730)의 하나 이상의 특정된 방향들에 이용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된 방향들에서의 당김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를 착용하고 흉부확장 단련을 하는 경우, 가슴 위의 상기 전극모듈(1730)은 동일한 측의 팔에 접근하는 측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탄성설계(1740)(예를 들면, 상기 고탄성 신축성 재료, 상기 주름설계, 등을 사용.)를 가슴전극모듈(1730)의 동일한 측의 팔에 접근하는 방향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극모듈(173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수집 모듈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의 효과를 더 약화시킨다.
[ 126]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가능한 장치의 예시적인 공심조각설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옷 밑단(1800)의 부분은 제1 측단(1811), 제2 측단(1812), 제3 측단(1813), 제4 측단(1814), 공심조각설계 옷 밑단(1820)(도18 에서의 음영부), 전통적인 옷 밑단(1830)(도18에서의 공백 스트랩 형상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옷 밑단(1800)의 부분은 옷의 일부분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단(1811), 상기 제2 측단(1812), 상기 제3 측단(1813) 및 상기 제4 측단(1814)은 각각 상기 옷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단(1811)은 상기 제2 측단(1812)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측단(1811)으로부터 상기 제2 측단(1812)로의 방향을 따라 당기는 힘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공심조각설계를 가지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전통적인 착용가능한 장치보다 더 나은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8를 살펴보면, 상기 제3 측단(1813)를 상기 제4 측단(1814)의 반대측에 설치한다. 상기 제3 측단(1813)으로부터 상기 제4 측단(1814)로의 방향에 따라 상기 당기는 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심조각구조는 상기 당기는 힘하에서 더 커지며, 상기 공심조각설계를 구비하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가 상기 전통적인 착용가능한 장치보다 더 나은 신장력을 가지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운동장치를 착용하고 흉부확장 단련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서의 상기 옷은 상기 동작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공심조각 구조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가슴 주위에 설치된다. 상기 공심조각 구조는 사용자의 동작의 당김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에 상대적인 전극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서의 신호수집의 품질을 효과적을 개선한다. 도 18에 표시하는 상기 공심조각설계 모드를 참고하면, 한편으로는, 동일한 재료의 옷이 더 나은 신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옷의 신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모드는 옷이 더 나은 통기성과 미관적 장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공심조각설계는 상이한 재료들의 이음을 피하고, 설계비용을 쉽게 절약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공심조각 구조는 상기 옷 밑단의 복수의 위치들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옷 밑단(1800)과 상기 공심조각 옷 밑단(1820) 부분의 형상은 도18에 표시하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옷 밑단(1800)과 상기 공심조각 옷 밑단(1820) 부분은 또한 삼각형, 원형, 평행사변형, 다이아몬드 및 다른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단들이 옷에 연결되는 데 이용하는 것은 상기 제1 측단(1811), 제2 측단(1812), 제3 측단(1813) 및 제4 측단(1814)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옷 밑단(1800) 부분의 형상에 근거하여 조절되어 더 나은 적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 12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상기 옷 밑단은 여분의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여분의 탄성설계는 3D 프린팅 및 다른 공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여분의 탄성설계는 상기 옷 밑단에 부착되는 여분의 재료의 스트립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옷 밑단 자체의 재료 이음 및/또는 구조설계일 수 있다. 상기 옷 재료들의 상기 구조설계에 관한 관련설명은, 도 16a를 참고 바라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서 전극들 부근에 국부적 압력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전극들 부근에서 인체에 대한 부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설계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기타 부분의 인체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의 착용 편안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팔 관절에 가압설계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할 때, 그의 팔은 당겨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팔 관절에 대한 상기 가압설계는 상기 옷 밑단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 위에서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서 전극들 부근에 국부적 가압을 설계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전극들의 상기 전극모듈에서의 일치성을 효과적으로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체의 표면이 불규칙적인 곡선면이고, 상기 동일한 전극모듈이 상기 옷 밑단에 배치되고 상기 인체의 표면에 핏팅되는 것은 진일보 상이한 핏팅압력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서의 전극들 부근의 국부적 가압설계는 상기 전극모듈의 상기 2개의 전극들의 핏팅압력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 12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외부 요소, 예를 들면, 인체 표면과 인체 동작은 상기 옷 밑단에서 상기 전극모듈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선변환, 유연으로부터 단단함으로의 스위칭 등 동작들의 상기 전극들의 일치성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피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는 칼모양 전극을 제공한다. 도 19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칼모양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19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칼모양 전극은 제1 전극부(1910)(도19a에서의 음영부에 대응되는)와 제2 전극부(1920)(도19a에서의 공백부에 대응되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1910)와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부(1910)는 사람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데이터 선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상기 제1 전극부(1910)에 의해 수집된 EMG신호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상면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부(1910)와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일정한 높이차를 가진다. 상기 제1 전극부(1910)가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극부(1920)와 상기 사람 피부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 상기 제2 전극부(1920)에서의 상기 데이터선을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상기 EMG신호수집에 대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상면의 일부분은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하면과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이 때,상기 제1 전극부(1910)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두께보다 크고, 따라서 상기 제1 전극부(1910)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전극부(1920)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하면과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하면은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하면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하면은 상기 제1 전극부의 위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상면은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상면의 하부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전극(191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전극부(1920)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 도 1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칼모양 전극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설명과 기재의 편의를 위해, 또한 단지 예시적인 해석으로써,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를 옷에 응용한다. 상기 제1 전극부(1910)의 하면은 상기 옷의 내층의 제1 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부(1920)의 상면은 상기 제1 평면에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옷의 내외측 또는 옷에 연결되는 기타 구조들의 내외측일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의 양자는 절연재료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재료는 폴리에스테르, 면천, 고무, 아라미드 섬유, 등을 가리킬 수 있으며, 이는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 12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의 크기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동작시 전극이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하는 동시에, 센서가 신호를 될수록 수집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상기 칼모양 전극의 재료와 크기에 관하여,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의 설명(예를 들면, 도 3)을 참고 바란다.
[13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19a에서의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전도신호가 상기 제1 전극부(1910)로부터 멀리 전송되는 구역이다.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서 대부분의 상기 전극들은 평탄하고, 상기 평탄한 전극들은 짜른 후 직접 상기 신호 전달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신호 전도경로의 임피던스는 크며, 장거리 신호전달에 유리하지 않다. 이런 경우, 상기 칼모양 구조의 설계와 특별한 재료(예를 들면, 유연한 재료, 탄성재료, 등.)로 제조된 전도선, 특별한 공정기술, 및 공간구조를 통해,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전달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전도선은 상기 제2 전극(1920)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은 장거리 신호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 13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극들은 미끌지 않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련과정에서, 동작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전극은 이동 및/또는 탈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극은 고정되고 미끄럼방지 설계가 필요하다.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상기 제1 평면 부근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처음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1920)가 신호 전달을 하기 전에, 상기 제2 전극부(1920)는 상기 두번째로 고정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여기서 상기 고정방법은 물리적 연결 예를 들면, 점착과 용접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위치와 고정순서도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부근에 국부적 가압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에서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부근의 국부적 압력의 설계는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부근의 인체에 대한 부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의 팔 관절에 압력을 가한다. 사용자가 운동할 때, 상기 팔이 당겨진다. 이런 경우, 상기 가압 팔 관절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기반하는 옷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사람 팔의 모 위치에 배치한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의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실리카겔을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주위에 응용하여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와 상기 피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당김에 의한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피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설계를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부근에 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설계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a 및 도 17b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의 부근에 공심설계를 할 수도 있다. 상기 공심설계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8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흡착설계를 상기 칼모양 전극구조 부근에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흡착설계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12 a및 도 13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중복하지 않는다.
[ 132]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극모듈들(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 중의 상기 전극모듈(100), 상기 전극모듈(200), 상기 전극모듈(300) 및 상기 EMG신호모듈)은 EMG신호들을 수집하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인체의 특정된 부분에 대해 전류를 방출하여 자극하여 상기 상응한 리마인더 효과 또는 마사지 완화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련할 때, 상기 착용가능한 장치는 운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동작이 표준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전극모듈을 이용해 전류를 방출하여 상기 단련 상태의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준다.
[ 133] 유의해야 할 것은 상이한 실시예은 상이한 유익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가능한 유익효과는 상술한 유익효과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이거나, 또는 임의의 기타 가능한 유익효과들일 수 있다.
[ 134] 이상에서 기본 원리를 설명하였다. 물론,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상술한 상세 설명은 단지 하나의 예로써,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을 형성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명백하게 해석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해 다양한 변형, 개량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개량, 및 수정은 본 개시의 교시를 받았으며, 이러한 변화, 개량, 및 수정은 여전히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 135]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특정된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여기에서 강조하고 주의를 주는 것은 본 개시의 상이한 부분에서 2번 이상 언급한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 또는 "대안실시예"는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특정된 특징,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 136]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주장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기재한 처리소자들과 서열들의 순서, 숫자들 및 문자들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들의 사용은 본 개시의 처리와 방법들의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개시는 현재 유용하다고 인정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의 방식으로 논의되었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세내용은 단지 설명만을 위한 것으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 내에 떨어지는 모든 수정들 및 등가조합들에 대한 커버를 의도로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상기 시스템 부재들은 하드웨어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그들은 소프트웨어만의 해결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존의 서버 또는 이동장치상의 상술한 시스템에 장착할 수 있다.
[ 137] 마찬가지로, 유의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설명을 간단화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들의 상술한 설명에서, 어떤 경우 복수의 특징들을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 조합한다. 설명의 방법은 본 개시의 주제는 청구범위 중에 기재한 바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보호를 청구하는 주제는 개시한 상기 단일 실시예의 전부의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들을 포함함을 강조한다.
[ 13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부재들 및 특성들의 수량을 설명하는 데 숫자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숫자들은 일부 예들에서 "약", "대체로", 또는 "기본상"의 수식어들을 이용함을 이해해야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대체로" 또는 "실질적으로"는 주장하는 수치가 ±20%의 변화를 허용함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상기 수치 파라미터들은 근사치이며, 이 근사치는 개별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수치 파라미터들은 지정된 유효 숫자를 고려하며 일반적인 숫자 보유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들의 범위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숫자 범위와 파라미터들은 근사치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의 이러한 수치들의 설정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록 정확하다.
[ 139] 본 출원에서 인용한 각 특허, 특허출원, 특허출원공보, 및 논문, 서적, 명세서, 공보, 서류 등과 같은 기타 자료는 그 전체가 참조되어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내용들과 불일치하거나 충돌되는 출원의 이력서류들은 제외하며, 현재 또는 금 후 본 개시에 첨부되는 서류 중 본 개시의 최대 주장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제외한다. 유의해햐 할 것은 본 개시의 첨부 재료들과 본 개시의 내용에서 사용된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들 사이에서 임의의 불일치 또는 충돌되는 것이 있는 경우,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들을 기준으로 한다.
[ 140] 최종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단지 그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는 것이다. 기타 수정들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예로써 및 비한정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대안적 구성들은 본 개시의 교시들과 일치하다고 인정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소개하고 기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30)

  1.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로서,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은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모듈은 베이스구조와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참고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상기 참고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차례로 배치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전극과 제4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3 전극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4 전극과 나란히 배치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구조들을 포함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어레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는 내부공심이고, 각 상기 돌출구조들의 공심부에는 충전재가 있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돌출구조들의 높이는 0.5mm~10mm의 범위 내에 있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흡판구조들을 구비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 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어레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분포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판구조들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주위에 분포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각 상기 흡판구조들은 3차원 구조이고, 공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심부는 상기 흡판구조의 단부에서 사람 피부에 접촉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판구조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에 위치하는 중간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구조의 일부분은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가 위치하는 측벽에 연결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구조는 상기 흡판구조의 상기 공심부를 복수의 상호 연결된 공간구역들로 나누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베이스구조의 표면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융기구조들을 더 포함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융기구조들의 높이는 10μm~80μm의 범위 내에 있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융기구조들의 분포 밀도는 2개/2.25mm2~10개/2.25mm2의 범위 내에 있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들 및/또는 상기 베이스구조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통기공들을 더 포함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19. 착용가능한 장치로서,
    웃옷과 바지를 포함하고, 상기 웃옷과 상기 바지는 적어도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근전신호모듈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웃옷은 적어도
    상체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
    상기 상체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되는 웃옷 밑단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센서모듈은 적어도 제1 웃옷 센서모듈과 제2 웃옷 센서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우측에 위치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과 상기 제2 웃옷 센서는 적어도 근전신호모듈, 심전도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관성센서, 산염기센서, 및 음파변환기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에 위치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웃옷 데이터 처리모듈은 적어도 제1 웃옷 처리모듈과 제2 웃옷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웃옷 처리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왼쪽 어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웃옷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웃옷 처리모듈은 상기 웃옷 밑단의 오른쪽 어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웃옷 센서모듈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웃옷 처리모듈과 상기 제2 웃옷 처리모듈은 종속관계 또는 병행관계인
    인체의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는 적어도
    하체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
    상기 하체의 운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된 바지 밑단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센서모듈은 적어도 제1 바지 센서모듈과 제2 바지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은 바지 밑단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은 상기 바지 밑단의 우측에 위치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과 상기 제2 바지 센서는 적어도 근전신호모듈, 심전도센서, 호흡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관성센서, 산염기센서, 및 음파변환기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지 데이터 처리모듈은 적어도 제1 바지 처리모듈과 제2 바지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지 처리모듈은 바지 밑단의 왼쪽 다리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지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바지 처리모듈은 바지 밑단의 오른쪽 다리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바지 센서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착용가능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지 처리모듈과 상기 제2 바지 처리모듈은 종속관계 또는 병행관계인
    착용가능한 장치.
KR1020237017155A 2020-12-25 2020-12-25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91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39651 WO2022134081A1 (zh) 2020-12-25 2020-12-25 用于肌电信号采集和处理的设备和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980A true KR20230091980A (ko) 2023-06-23

Family

ID=8215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155A KR20230091980A (ko) 2020-12-25 2020-12-25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0586A1 (ko)
EP (1) EP4209175A4 (ko)
JP (1) JP2023550133A (ko)
KR (1) KR20230091980A (ko)
CN (1) CN115701278A (ko)
WO (1) WO20221340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5270A1 (zh) * 2011-11-25 2013-05-30 Yang Chang-Ming 一种侦测心跳或电极接触良好与否的物品、方法及系统
US20140070949A1 (en) * 2012-09-11 2014-03-13 Paul Chen Muscle activity training facility for lower body of user
CN104720787A (zh) * 2015-04-01 2015-06-24 深圳柔微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疲劳实时监测的方法和智能服装
CN105232036B (zh) * 2015-11-04 2018-06-26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医用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5748071A (zh) * 2016-04-15 2016-07-13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肌电采集服装及其制作方法、和用该服装进行采集的肌电采集系统
CN106821365A (zh) * 2017-01-25 2017-06-13 杭州三目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精确采集能力的薄型柔性生物电信号传感器
CN108553102B (zh) * 2018-03-14 2023-11-28 浙江大学 一种柔性可拉伸多通道凸形表面肌电极及其制备方法
CN108670244A (zh) * 2018-05-29 2018-10-19 浙江大学 一种柔性组合式可穿戴生理及心理状态监测装置
CN109998542A (zh) * 2019-04-29 2019-07-12 东北大学 基于织物电极的多通道手部肌电采集腕带
GB201908818D0 (en) * 2019-06-20 2019-08-07 Kymira Ltd Electrode and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9175A4 (en) 2023-12-13
WO2022134081A1 (zh) 2022-06-30
JP2023550133A (ja) 2023-11-30
EP4209175A1 (en) 2023-07-12
US20230240586A1 (en) 2023-08-03
CN115701278A (zh)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471B2 (en) Modular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kits, and methods
JP6169592B2 (ja) 心拍を検出する物品
US861182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lf-powered, contactless, self-communicating sensor devices
CN106798556A (zh) 一种基于电子表皮的便携式心电检测装置
EP2068704A2 (en) Bio-mechanical sensor system
CN209611126U (zh) 儿童专用多功能健康监护贴
CN111466945A (zh) 一种能自动调节接触压力的肌音信号检测传感装置
Suh Wearable sensors for athletes
CN109363672B (zh) 一种核心肌群的智能监测装置及训练监测方法
KR20230091980A (ko) 근전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205994970U (zh) 一种肌电反馈呼吸训练服
CN206482557U (zh) 一种用于监测男性性功能健康的智能内裤
WO2024103547A1 (zh) 一种可穿戴设备
KR20160076630A (ko) 유연성 생체신호 측정센서
CN220778334U (zh) 一种可穿戴设备
US20240180477A1 (en) Modular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kits, and methods
Culjak et al. Textile-Based Solution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Electro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s
Wei et al. A stretchable and flexible system for skin-mounted measurement of motion tracking and physiological signals
CN118078295A (zh) 一种可穿戴设备及心脏监控系统
CN111053545A (zh) 监测设备
CA269749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lf-powered, contactless, self-communicating senso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