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21A -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21A
KR20230091721A KR1020210181116A KR20210181116A KR20230091721A KR 20230091721 A KR20230091721 A KR 20230091721A KR 1020210181116 A KR1020210181116 A KR 1020210181116A KR 20210181116 A KR20210181116 A KR 20210181116A KR 20230091721 A KR20230091721 A KR 2023009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moking
filter
roo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김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중 filed Critical 김석중
Priority to KR102021018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721A/ko
Publication of KR2023009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tobacco smo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자간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어 비대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고, 정화 능력과 환기력이 우수하여 흡연실내의 쾌적성 유지가 가능하고 공유형 1인 흡연실을 사용하더라도 비말 전염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불쾌한 담배 냄새나 연기 및 오염물질이 모두 제거되어 흡연부스 밖에서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한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는, 칸막이로 분할되어 일열로 다수개 구비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에 환기를 위해 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의 하부측으로 환기루바가 설치된 외기유입구 및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의 각기 상부에 설치된 정화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와;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을 각기 흡연자가 출입하기 위해 흡연부스 본체에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마다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흡연실 출입문과; 독립형 1인용 흡연실에서 각각 발생된 오염물질을 흡입 정화처리하여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화배기구에 각기 설치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Smoking booth for untact and prevention of infection}
본 발명은 흡연구역에 설치되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연자간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어 비대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고, 정화 능력과 환기력이 우수하여 흡연실내의 쾌적성 유지가 가능하고 공유형 1인 흡연실을 사용하더라도 비말 전염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불쾌한 담배 냄새나 연기 및 오염물질이 모두 제거되어 흡연부스 밖에서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한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공기관 및 일부 건물, 휴게소 등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연부스는 여러명이 동시에 하나의 흡연실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명이 함께 흡연할 때 대량의 담배 연기 및 냄새를 처리하지 못하므로 일부 흡연자들은 흡연부스 내부시설 이용을 꺼리게 되고, 지정된 장소 외부에서 당연하듯이 흡연함으로 비흡연자에게 담배냄새를 주어 불쾌감과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간접흡연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밀폐형 흡연부스 안에서 여러명이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공간이 비좁아지고 흡연 접촉이 유발되어 세균 감염(코로나 19) 등이 이용자들 사이에 전파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흡연부스 시설이 폐쇄되거나 사용정지된 상태이며, 시설외부나 외지 야외에서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흡연하도록 권유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국내의 경우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흡연자가 내뿜는 숨을 통해 바이러스가 배출되며, 비흡연자의 감염우려가 발생됨으로 흡연자를 고위험군으로 규정지으며, 흡연장소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발표한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지정된 흡연장소, 흡연부스가 없는 지하철역 주변, 버스정류장 및 상가 주변에서 일부 흡연자들은 외진 골목이나 무분별한 장소에서 흡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 시민의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담배냄새와 연기로 인한 불쾌감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흡연권을 최소한 보장하면서 안심하고 흡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비흡연자에게 담배냄새와 연기로 인한 피해를 주지않는 흡연부스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흡연부스에 시설된 환기시스템은 흡입력이 약하여 여러명이 동시에 흡연시 많은 양의 담배연기 및 냄새를 정화하는데 긴 시간이 필요하고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다. 따라서 일정한 공간이 나누어지는 공간형으로 제공된 각자의 자리에서 여러명이 동시에 흡연하더라도 환기와 정화 처리 능력이 우수한 흡연부스가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흡연자의 상호간 밀접촉을 최대한 방지하여 팬더믹 상황에서도 비대면 감염예방이 가능한 흡연부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98000호(특허문헌 1)로서, '흡연부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필터와 촉매로 이루어진 공기정화모듈을 이용하여 흡연부스 내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와 촉매를 통과시켜 정화, 살균, 탈취 및 산화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1인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비말 전염을 고려한 그룹 다인용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97485호(특허문헌 2)로서, '자정기능을 갖는 흡연부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정화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고열 나노화시킴으로써 완전 정화시키고 동시에 필터류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한 공간에서 여러사람이 흡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연자간에 세균 감염(비말 전염)을 일으키는 단점을 가진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98000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97485호
본 발명은 흡연자간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어 비대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고, 정화 능력과 환기력이 우수하여 흡연실내의 쾌적성 유지가 가능하고 공유형 1인 흡연실을 사용하더라도 비말 전염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불쾌한 담배 냄새나 연기 및 오염물질이 모두 제거되어 흡연부스 밖에서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한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는, 칸막이로 분할되어 일열로 다수개 구비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에 환기를 위해 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의 하부측으로 환기루바가 설치된 외기유입구 및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의 각기 상부에 설치된 정화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와;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을 각기 흡연자가 출입하기 위해 흡연부스 본체에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마다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흡연실 출입문과; 독립형 1인용 흡연실에서 각각 발생된 오염물질을 흡입 정화처리하여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화배기구에 각기 설치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은 정화배기구에 장착된 필터박스와; 필터박스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와; 프리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와; 항균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와;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와; 상기 필터박스의 상부에 지지되어 강력한 흡출력을 발휘하는 파워 흡출팬 또는 시로코 팬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와;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와; 재실인식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나타내주는 알리미 표시등과; 재실인식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와 파워 흡출팬 또는 시로코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는, 일측으로 입구와 타측으로 출구를 갖고, 분할칸막이 조립체와의 사이에 흡연자의 이동통로를 형성시켜 주는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와; 상기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의 내부 영역을 종방향 및 횡방향 칸막이로 분할시켜 N개의 그룹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개별 그룹마다에 각기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을 형성 공유시키는 분할칸막이 조립체와;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이 공유하는 분할칸막이 조립체의 십자형 교차부분마다 설치되어 공유형 1인용 흡연실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에어흡입력으로 강력하게 흡입하는 공유 파워환풍유닛과; 상기 공유 파워환풍유닛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다중필터유닛과; 각각의 다중필터유닛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멀티 시로콘 팬 또는 파워흡출기 팬;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유 파워환풍유닛은 다수의 공기흡입구를 갖고 분할칸막이 조립체의 기둥측에 지지되어 있는 공기흡입판과; 공기흡입판에 장착된 축류팬 케이싱과; 축류팬 케이싱에 지지 배치되어 축류팬 케이싱의 축방향으로 송풍을 일으키는 축류팬과; 축류팬 케이싱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프리필터망과; 축류팬 케이싱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축류팬에서 생성된 숭풍 흐름에 강력한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고, 원통형 프리필터망내에서 진공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프리필터망내로 강하게 흡입시키도록 하는 회전유도바람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중필터유닛은 원통형 프리필터망에 연통되어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의 상부측 천정에 설치된 필터박스와; 필터박스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와; 프리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와; 항균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와;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와;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와;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재실인식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확인시켜 주는 알리미 표시등과; 재실인식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용 LED 램프와 축류팬 및 멀티 시로콘 팬 또는 파워흡출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를 사용하게 되면, 타흡연자와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는 밀폐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면 요건을 갖추게 되어 비말전파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연중에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을 통해 강력한 환기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질과 미세먼지가 여과처리되어 배출됨으로써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의 주변의 담배 냄새 및 연기가 없어진다. 또한, 흡연부스에서 퇴실 후에는 파워 흡출팬 또는 시로코 팬이 일정시간 동안 더 작동하여 밀폐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내를 항상 쾌적하고 바이러스 감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를 사용하게 되면, 그룹별로 여러 흡연자가 사용하지만 타흡연자와 밀접촉할 수 없는 공유형 1인용 흡연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면 요건을 갖추게 되어 비말전파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연중에 축류팬의 회오리 바람이 유도되어 강력한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질과 미세먼지 및 담배 냄새가 다중필터유닛을 통해 여과 처리되어 배출됨으로써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의 주변의 담배 냄새 및 연기가 없고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퇴실 후에는 축류팬 및 멀티 시로콘 팬이 일정시간 동안 더 작동하여 공유형 1인용 흡연실내를 항상 쾌적하고 바이러스 감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내의 독립형 1인용 흡연실의 구성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의 상부에 일 형태로 설치된 공기정화유닛의 설치상태도.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의 상부에 다른 설치된 공기정화유닛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의 제어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에 적용된 램프, 흡출팬 등의 제어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의 평면적인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의 입구측 정면도.
도 9b는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의 출구측 정면도.
도10a는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에 적용된 공유 파워환풍유닛의 설치상태도.
도 10b는 도 10a의 A-A선 단면도.
도 10c는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에 적용된 다른 형태의 공유 파워환풍유닛의 설치상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에 적용된 일형태의 배기시스템의 구성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에 적용된 램프, 축류팬 및 멀티 시로콘 팬 등의 제어흐름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는 칸막이(21)로 분할되어 일열로 다수개 구비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에 환기를 위해 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하부측으로 환기루바(23a)가 설치된 외기유입구(23) 및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각기 상부에 설치된 정화배기구(24)가 마련되어 있는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2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20)에는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이 5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환기루바(23a)는 회전식으로 설치되어 외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같이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는 흡연자가 밀폐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면 요건을 갖추게 되어 타흡연자와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어 비말전파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내부에는 도 3과 같이 분쇄형 재떨이(27)와 분쇄공초 수집통(28)이 구비된다.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을 각기 흡연자가 출입하기 위해 흡연부스 본체(20)에는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흡연실 출입문(3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에서 각각 발생된 오염물질(담배 연기 및 냄새)를 흡입 정화처리하여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2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화배기구(24)마다 각기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은 정화배기구(24)에 장착된 필터박스(41), 필터박스(41)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42), 프리필터(42)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42)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43), 항균필터(43)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44),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45), 필터박스(41)의 상부에 지지되어 강력한 흡출력을 발휘하는 파워 흡출팬(47)을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의 구성 중 파워 흡출팬(47)에 대체하여 시로코 팬(47a)이 설치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49'는 '환풍 캡'이다.
이같이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은 4가지 방식의 프리필터(42), 항균필터(43), 활성탄필터(44), 헤파필터(45)를 사용하여 담배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의 여과는 물론이고 악취냄새와 극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한 후 외부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환기루바(23a)가 설치된 외기유입구(23)를 통해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지속적인 환기가 이루어진다.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는 흡연자의 입실을 확인 한 후 강제적 환기 정화를 수행하고, 외부에서의 입실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51),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52), 재실인식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나타내주는 알리미 표시등(53)(도 2에 도시되어 있음), 재실인식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52)와 파워 흡출팬(47)(또는 시로코 팬(47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입실 확인에 판단(S11)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비어있는 어느 한 곳의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에 들어가게 되면, 재실인식센서(51)가 입실을 감지하여 입실 확인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조명용 LED 램프(52)가 점등되고 동시에 알리미 표시등(53)에 사용중임이 표시된다.(S12) 이어서 파워 흡출팬(47)이 작동(S13)하여 환기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흡연이 이루어지면 파워 흡출팬(47)의 흡인력에 의해 흡연에서 발생된 오염물질 및 냄새는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을 통해 여과 제거된다.(S14)
즉,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에 설치된 4가지 방식의 프리필터(42), 항균필터(43), 활성탄필터(44), 헤파필터(45)를 거치면서 담배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의 여과와 함께 악취냄새와 극초미세 먼지가 제거된 후 외부로 정화공기가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환기루바(23a)가 설치된 외기유입구(23)를 통해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지속적인 환기 및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 다음, 퇴실확인에 대판 판단(S15)이 이루어진다. 즉 흡연자가 흡연을 마치고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을 나가게 되면, 재실인식센서(51)가 퇴실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50)는 파워 흡출팬(47)을 일정 시간(예로 10초, 20초 등) 동안 더 지속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지한다. 따라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은 흡연자의 퇴실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정화/환기를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 쾌적함이 유지되고 다음 입실자에게 비말 전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같이 제1 실시 예의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를 사용하게 되면, 타흡연자와의 밀접촉을 피할 수 있는 밀폐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면 요건을 갖추게 되어 비말전파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연중에 강력한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과 미세먼지가 여과 정화처리되어 배출됨으로써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의 주변의 담배 냄새가 없고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퇴실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파워 흡출팬(47) 또는 시로코 팬(47a)이 구동하여 밀폐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내를 항상 쾌적하고 바이러스 감염이 없는 안전한 흡연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입실 확인 단계에서 입실 감지가 없으면, 조명용 LED 램프(52)가 소등되고, 알리미 표시등(53)에 '비웠음'으로 표시가 이루어진다.(S17) 이와 함께 파워흡출팬(47)(또는 시로코 팬(47a))은 정지(S18)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를 제공한다.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는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10)보다 더 많은 흡연자가 밀접촉 감염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비대면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여러사람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다수 그룹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때 하나의 그룹에 속한 여러사람은 공유된 정화환기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는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를 구비한다.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에는 일측으로 입구(121a)와 타측으로 출구(121b)를 갖는다. 입구(121a)에는 입구측 도어(101)가 출구(121b)에는 출구측 도어(102)가 각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에는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와의 사이에 흡연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이동통로(122)를 갖는다. 따라서 흡연자는 양쪽의 이동통로(122)를 통해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로 출입 할 수 있고 일방 통행함으로 이동중의 밀접 대면을 피할 수 있다.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내부 영역에는 분할칸막이 조립체(130)가 설치되어 있다. 분할칸막이 조립체(130)는 종방향 및 횡방향 칸막이(131,132)로 분할시켜 3개의 그룹(G1,G2,G3)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개별 그룹(G1,G2,G3)마다에 각기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을 형성시켜 공유한다.
본 실시 예예서 분할칸막이 조립체(130)는 3개의 그룹(G1,G2,G3)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모두 12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이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3개의 그룹(G1,G2,G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룹 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에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분쇄형 재떨이(27)와 분쇄공초 수집통(28)이 설치된다.
이같이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는 여러사람이 그룹별로 공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후술할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은 상호간에 종방향 및 횡방향 칸막이(131,132)로 분할되어 있어 밀접 대면을 피할 수 있고, 바이러스의 비말 전염을 예방할 수 있다.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은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이 공유하는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의 십자형 교차부분마다 설치된다.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은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에서 발생된 담배 연기 및 냄새 등의 오염물질을 에어흡입력으로 강력하게 흡입한다. 또한 다중필터유닛(150)은 흡입된 오염물질을 다중필터유닛(150)으로 공급시킨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은 다수의 공기흡입구(141a)를 갖고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의 기둥(135)측에 지지되어 있는 공기흡입판(141), 공기흡입판(141)에 장착된 축류팬 케이싱(142), 축류팬 케이싱(142)에 지지 배치되어 축류팬 케이싱(142)의 축방향으로 송풍을 일으키는 축류팬(143), 축류팬 케이싱(142)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프리필터망(144), 축류팬 케이싱(14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축류팬(143)에서 생성된 숭풍 흐름에 강력한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고, 원통형 프리필터망(144)내에서 진공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프리필터망(144)내로 강하게 흡입시키도록 하는 회전유도바람판(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원통형 프리필터망(144)은 외주면으로 흡입공이 타공되어 있어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을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축류팬(143)이 구동되면 회전유도바람판(145)에 의해 원통형 프리필터망(144)의 내부에서 회오리 바람(토네이도)이 형성되고, 이 회오리 바람은 진공흡인력을 발생시켜 원통형 프리필터망(144)에 공유되어 있는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에서 흡연자에 의해 발생된 담배 연기나 냄새 등 오염물질을 강력하게 빨아들여 다중필터유닛(150)으로 공급시킨다.
다중필터유닛(150)은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한다. 다중필터유닛(150)은 도 10a와 같이 원통형 프리필터망(144)에 연통되어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상부측 천정에 설치된 필터박스(151), 필터박스(151)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152), 프리필터(152)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152)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153), 항균필터(153)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154),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이 다중필터유닛(150)은 4가지 방식의 프리필터(152), 항균필터(153), 활성탄필터(154), 헤파필터(155)를 사용하여 담배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의 여과는 물론이고 악취냄새와 극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둘레에 다수 설치된 외기유입구(123)를 통해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로 외기가 유입되어 지속적인 환기가 이루어진다. 물론 외기유입구(123)에는 외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루바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다중필터유닛(15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모아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멀티 시로콘 팬(160)이 설치된다.(도 11 참조)
이같이 제2 실시 예의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에서는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에 설치된 축류팬(143)과 다중필터유닛(15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설치된 멀티 시로콘 팬(160)에 의해 강력한 흡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는 여과력이 우수하고 정화량이 증대되는 운용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시로콘 팬(160)을 사용하지 않고 도 10c와 같이 다중필터유닛(150)의 출구측에 파워 흡출기팬(170)을 설치하여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에서는 흡연자의 입실을 확인 한 후 강제적 환기 정화를 수행하고, 외부에서의 입실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161),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162),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재실인식센서(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확인시켜 주는 알리미 표시등(163)(도 9a에 도시됨), 재실인식센서(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용 LED 램프(162)와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도 12의 제어흐름도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알리미 표시등(163)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가 비어있는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에 들거가게 되면, 재실인식센서(161)가 입실을 감지하여 입실 확인(S101)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명용 LED 램프(162)가 점등하고 동시에 알리미 표시등(163)에 사용중임을 표시한다.(S102) 이어서 파워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이 작동(S104)하여 환기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흡연이 이루어지면 파워 축류팬(143)의 구동으로 인한 원통형 프리필터망(144)내 회오리 바람으로 인한 진공 흡인력에 의해 흡연에서 발생된 오염물질 및 냄새는 흡입되어 다중필터유닛(150)에 설치된 4가지 방식의 프리필터(152), 항균필터(153), 활성탄필터(154), 헤파필터(155)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담배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의 여과와 함께 악취냄새와 극초미세 먼지가 제거된 후 정화공기가 멀티 시로콘 팬(160)에 흡입되어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 및 정화가 이루어진다.(S105)
그 다음, 흡연자가 흡연을 마치고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을 나가게 되면, 퇴실 확인(S105)이 이루어진다. 이는 재실인식센서(161)가 퇴실을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의 조명용 LED 램프(162)가 소등되고 알리미 표시등(163)을 통해 '비웠음'으로 표시된다.(S106)
이후, 동일 그룹내 모두가 퇴실 하였는지를 확인(S107)하고, 모두가 퇴실 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을 일정 시간(예로 10초, 20초 등) 동안 더 지속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지(S108)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그룹내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은 모든 흡연자의 퇴실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정화/환기를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 쾌적함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다음 입실자에게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입실 확인 단계에서 입실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파워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같이 제2 실시 예의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를 사용하게 되면, 타흡연자와 밀접촉할 수 없는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면 요건을 갖추게 되어 비말전파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연중에 강력한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다중필터유닛(150)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과 미세먼지가 여과 정화처리되어 배출됨으로써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100)의 주변에 담배 연기 및 냄새가 없고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퇴실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이 구동하여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내를 항상 쾌적하고 바이러스 감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
20: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
22: 독립형 1인용 흡연실
30: 흡연실 출입문
40: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
100: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120: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
130: 분할칸막이 조립체
133: 공유형 1인용 흡연실
140: 공유 파워환풍유닛

Claims (7)

  1. 칸막이(21)로 분할되어 일열로 다수개 구비된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에 환기를 위해 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하부측으로 환기루바(23a)가 설치된 외기유입구(23) 및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의 각기 상부에 설치된 정화배기구(24)가 마련되어 있는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20)와;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을 각기 흡연자가 출입하기 위해 흡연부스 본체(20)에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흡연실 출입문(30)과;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에서 각각 발생된 오염물질을 흡입 정화처리하여 1인 전용 흡연부스 본체(2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화배기구(24)에 각기 설치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
  2. 제 1항에 있어서,
    파워흡입 공기정화유닛(40)은
    정화배기구(24)에 장착된 필터박스(41)와;
    필터박스(41)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42)와;
    프리필터(42)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42)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43)와;
    항균필터(43)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44)와;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45)와;
    상기 필터박스(41)의 상부에 지지되어 강력한 흡출력을 발휘하는 파워 흡출팬(47) 또는 시로코 팬(47a)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
  3. 제 1항에 있어서,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51)와;
    각 독립형 1인용 흡연실(22)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52)와;
    재실인식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나타내주는 알리미 표시등(53)과;
    재실인식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램프(52)와 파워 흡출팬(47) 또는 시로코 팬(47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파워 흡연부스.
  4. 일측으로 입구(121a)와 타측으로 출구(121b)를 갖고,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와의 사이에 흡연자의 이동통로(122)를 형성시켜 주는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와;
    상기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내부 영역을 종방향 및 횡방향 칸막이(131,132)로 분할시켜 N개의 그룹(G1,..,Gn)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개별 그룹(G1,..,Gn)마다에 각기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을 형성 공유시키는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와;
    4개의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이 공유하는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의 십자형 교차부분마다 설치되어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에어흡입력으로 강력하게 흡입하는 공유 파워환풍유닛(140)과;
    상기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다중필터유닛(150)과;
    각각의 다중필터유닛(15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멀티 시로콘 팬(160) 또는 파워흡출기 팬(17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5. 제 4항에 있어서,
    공유 파워환풍유닛(140)은
    다수의 공기흡입구(141a)를 갖고 분할칸막이 조립체(130)의 기둥(135)측에 지지되어 있는 공기흡입판(141)과;
    공기흡입판(141)에 장착된 축류팬 케이싱(142)과;
    축류팬 케이싱(142)에 지지 배치되어 축류팬 케이싱(142)의 축방향으로 송풍을 일으키는 축류팬(143)과;
    축류팬 케이싱(142)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프리필터망(144)과;
    축류팬 케이싱(14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축류팬(143)에서 생성된 숭풍 흐름에 강력한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고, 원통형 프리필터망(144)내에서 진공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프리필터망(144)내로 강하게 흡입시키도록 하는 회전유도바람판(14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6. 제 4항에 있어서,
    다중필터유닛(150)은,
    원통형 프리필터망(144)에 연통되어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상부측 천정에 설치된 필터박스(151)와;
    필터박스(151)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자크기가 50㎛ 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152)와;
    프리필터(152)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리필터(152)를 통과한 인체에 해로운 0.01~50㎛의 오염입자를 걸러주는 항균필터(153)와;
    항균필터(153)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와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154)와;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헤파필터(15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7. 제 5항에 있어서,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을 인식하는 재실인식센서(161)와;
    각 공유형 1인용 흡연실(133)마다 설치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조명용 LED 램프(162)와;
    그룹다인용 흡연부스 본체(120)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재실인식센서(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연자의 입실 여부를 '사용중' 또는 '비었음'이라는 발광 문자로 확인시켜 주는 알리미 표시등(163)과;
    재실인식센서(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용 LED 램프(162)와 축류팬(143) 및 멀티 시로콘 팬(160) 또는 파워흡출기 팬(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KR1020210181116A 2021-12-16 2021-12-16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KR20230091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16A KR20230091721A (ko) 2021-12-16 2021-12-16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16A KR20230091721A (ko) 2021-12-16 2021-12-16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21A true KR20230091721A (ko) 2023-06-23

Family

ID=8699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16A KR20230091721A (ko) 2021-12-16 2021-12-16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7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00B1 (ko) 2014-03-28 2016-02-29 주식회사 포시 흡연부스
KR101697485B1 (ko) 2016-03-17 2017-01-18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자정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00B1 (ko) 2014-03-28 2016-02-29 주식회사 포시 흡연부스
KR101697485B1 (ko) 2016-03-17 2017-01-18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자정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6172A (en) Air treatment system
KR101326781B1 (ko) 자체 정화 흡연 부스
KR200471784Y1 (ko) 자체공기정화시스템이 구비된 흡연부스
JP2007202826A (ja) ポータブル型清浄空気供給装置
US20060182670A1 (en) Light-mediated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126977A (ko)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CN107975885A (zh) 一种医用病房空气消毒净化装置
KR20180065226A (ko) 공기청정 지능형 흡연부스
TW200408789A (en) Air clean apparatus
DE102005011307B4 (de) Raucherfass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abakrauch
KR20150103483A (ko) 지능형 흡연실
KR102393929B1 (ko) 언택트 부스
KR20230091721A (ko) 비대면 감염 예방을 위한 1인 전용 및 그룹 다인용 파워 흡연부스
CN205245441U (zh) 具有照明、通风、空气净化功能的吊顶系统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US20220047767A1 (en) Device containing air detection, filtering, disinfecting and conditioning elements with display
CN209295222U (zh) 一种厨房室内空气净化系统
KR200351151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기둥을 이용한 광고판
KR200367963Y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US11484619B2 (en) Multi stage disinfecting air cleaner
KR20035876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JP3233583U (ja) 室内空気清浄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