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479A -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479A
KR20230091479A KR1020210180623A KR20210180623A KR20230091479A KR 20230091479 A KR20230091479 A KR 20230091479A KR 1020210180623 A KR1020210180623 A KR 1020210180623A KR 20210180623 A KR20210180623 A KR 20210180623A KR 20230091479 A KR20230091479 A KR 20230091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estination
floor
elev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블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블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블스퀘어
Priority to KR102021018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479A/ko
Publication of KR2023009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음성으로 가고자하는 층을 말하면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 층이 등록되어 운행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점자 표시 버튼이 구비되어 있지만은 원하는 버튼을 찾기가 쉽지 않고 오동작으로 인해 운행에 불편함이 있을 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홀 부름 위치에 센서와 음성출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설치하고, 제어실에 음성인식 수단, 홀 부름 안내수단, 운행안내수단 및 행선지 등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한 홀 부름 위치에 대기하면, 센서가 검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으로 행선지를 묻고, 승객이 음성으로 행선지를 말하게 되면, 음성 인식장치에 의해 음성을 인식하여 행선지에 맞는 홀 부름 및 행선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며, 운행 안내 방송을 하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두고, 승객이 목적지 정보만 말하면 자동 검색하여 행선지 층을 등록하여 운행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Elevator voice recognitio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인식에 의해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층 등록이 이루어져 시각장애인은 물론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사람들도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 정상인과 동등하게 사회시설에서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사회적인 배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그 중 일 예로서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를 시각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버튼의 표면에 점자를 각인 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버튼에 점자 표시를 한 경우에 정상 시각을 가진 일반 사용자들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점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원치 않는 층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 있고, 이를 취소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 최근 들어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름 식에서 손가락만 접촉시키면 작동되는 접촉씩 버튼이 주로 채용되고 있으므로 점자표시를 버튼에 직접 할 수 없어서, 접촉식 버튼의 일측 부분에 점자를 표시하거나, 별도의 장애인용 누름
식 점자 버튼을 구비하여 이중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자버튼을 이중으로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오류발생이 종종 있으며, 점자를 찾기 위해서 여기저기 손으로 만져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장기간 사용이나 누군가가 장난이나 고의 또는 기타 이유로 점자가 지워지는 경우 점자 자체의 식별력이 떨어지므로, 시각장애인이 혼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시각 장애인에 대해서는 점자 표시 버튼을 구비하여 이용되고 있지만, 양손이 없는 장애인인 경우 버튼을 누를 수가 없기 때문에 누군가가 버튼을 눌러주어야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키가 작은 어린이나 휠체어를 탄 장애인 또는 환자 등은 높은 곳에 있는 버튼은 누를 수가 없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가 불편하고, 또 양손에 물건을 든 사람도 버튼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물건을 내려놓고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건물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가고자 하는 정확한 층을 잘 모르고 방문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몇 층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안내 데스크의 안내를 받거나 안내 표시판을 보고서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안내 데스크에 안내자가 없거나 안내 표시판에 정확한 표시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런 경우 안내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오랫동안 기다리거나 여러 층을 배회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시각장애인인 경우 안내표시판을 볼 수 없어서 더욱이 주변의 도움 없이는 가고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에서의 버튼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음성으로 가고자하는 층을 말하면 음성인식에 의해 원하는 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어린이나 휠체어 사용자 등 버튼 조작이 불편한 사람은 물론 일반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층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을 위해서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층 선택을 위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승객이 원하는 층을 말하면 이를 인식 후 인식된 층을 음성으로 안내하며, 지정된 층에 도달하면 그 도달된 층에 대한 음성 안내를 하도록 한 종합 음성 안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객이 가고자 하는 행선지 층을 잘 모르더라도 목적지 정보를 말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 층 등록을 수행하여 가고자 하는 층을 정확히 모르더라도 목적지가 있는 층으로 자동 운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홀 부름 위치에 센서와 음성출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설치하고, 제어실에 음성인식 수단, 홀 부름 안내수단, 운행안내수단 및 행선지 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한 홀 부름 위치에 승객이 소정시간 정지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승객이 홀 부름 위치에 왔음을 검출하고, 승객이 홀 부름 위치에 대기하는 경우 음성 안내방송으로 행선지를 묻고, 승객이 음성으로 행선지를 말하게 되면, 음성 인식장치에 의해 음성을 인식하여 행선지에 맞는 홀 부름을 등록하며, 홀 부름 등록 후 엘리베이터에 승객이 탑승하면 자동으로 행선지 층을 등록한 후 운행 안내 방송을 함과 아울러 자동 운행 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일지라도 탑승하기 위해서는 해당 층의 홀 부름 버튼을 눌러야만 해당 층에 엘리베이터가 정차하여 탑승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서도 가고자 하는 행선지 층 버튼을 눌러야만 했었는데,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앞에서 대기하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어서 오십시오, 몇 층에 가십니까라고 안내방송을 하고, 이에 응답하여 "O 층"이라고 대답하면 엘리베이터가 자동 홀 부름 되고, 해당 행선지 층이 자동 등록되며, 해당 층에 도착하면 도착지에 대해 "몇 층에 도착하였습니다"라는 안내 방송을 하므로 시각장애인이나, 휠체어에 타거나 버튼을 누르기가 어려운 장애인 또는 어린이나 노약자일지라도 다른 사람 도움 없이 혼자서 손쉽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하여 승객이 몇 층인지 잘 모르고 있는 목적지를 말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 등록을 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목적지에 대한 행선지 층에서의 방향이나 주변 안내를 함께 함으로써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 대해서도 쉽고 편리하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구성도
본 고안은, 운행 제어장치가 홀 부름 버튼 및 케이지 내의 층 버튼의 조작에 의해 홀 부름과 행선지를 등록하여 운행 제어를 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장치에 있어서, 홀 부름 버튼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탑승 위치에서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음성안내를 위한 음성 출력부와, 음성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를 설치하고, 상기 승객 감지 센서부가 승객을 소정시간 이상 감지하면 승객이 행선지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안내 방송을 하는 홀 부름 안내부를 구비하며, 승객이 홀 부름 안내부의 안내 방송에 따라 음성으로 행선지를 말하면, 그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수단과, 그 음성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행선지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올라감 또는 내려감을 자동 선택하여 홀 부름을 등록하고, 상기 음성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행선지 층을 등록하는 행선지 등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에 승객이 탑승하는지를 감지하는 케이지 내부의 승객 감지 센서부 및 안내방송을 위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홀 부름 위치에서 승객이 탑승하면 등록된 행선지 층, 도착 층 및 운행 안내를 음성으로 방송하기 위한 운행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지 내에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시켜 케이지 내부에서도 음성 입력에 의해 행선지 층을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행선지 층 선택을 위하여 건물내의 각층별 호수 정보와 입주기업정보 및 각 층의 안내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한 층 정보 DB와,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된 음성정보가 층 선택이 아닌 호수, 입주기업 또는 임의의 층 정보인 경우 상기 층 정보 DB에서 해당되는 행선지 층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홀 부름 버튼(41) 및 케이지 내의 층 선택버튼(42)의 조작에 의해 운행 제어부(35)가 엘리베이터의 행선지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제어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내리는 홀 부름위치(10)에는 승객 감지를 위한 제1센서부(11)와, 음성 안내를 위한 제1음성 출력부(12)와, 음성 입력을 위한 제1음성 입력부(13)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20)내에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21)와, 음성 안내를 위한 제2음성출력부(22)와, 음성 입력을 위한 제2음성 입력부(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실(30)에는 상기 홀 부름 위치(10)에서 승객이 음성으로 행선지 층을 등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음성 출력부(12)를 통하여 음성안내를 하기 위한 홀 부름 안내부(31)와, 상기 제1음성 입력부(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32)와, 상기 케이지(20)내의 승객에게 운행 상태 정보를 제2음성 출력부(22)를 통하여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운행안내부(33)와, 상기 음성 인식부(32)에 의해 인식된 행선지 층을 상기 운행 제어부(35)에 행선지 층으로 등록시키기 위한 행선지 등록부(34)와, 승객이 목적지를 말하면 행선지 층이 어디인지를 인식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건물의 각층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하여 두는 층 정보 DB(37)와, 상기 음성 인식부(32)에서 인식된 승객의 목적지 정보에 의해 상기 층 정보 DB(37)를 검색하여 행선지 층을 판단하기 위한 검색엔진(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승객이 엘리베이터의 문 앞에 서있으면 자동으로 음성안내하고 이에 대해 승객이 행선지를 말하면 이를 음성 인식하여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 등록이 이루어져 운행되도록 한다. 승객이 홀 부름 위치(10)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기다리는지를 감지하기 위해서 제1센서부(11)를 설치한다. 제1센서부(11)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 또는 바닥 판에 누름 감지센서중 어느 하나를 홀 부름 버튼의 앞쪽 소정 공간에 승객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승객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미리 정해둔 소정시간 이상 대기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지나가는 사람이나 잠시 머뭇거리는 사람인 인 경우 불필요한 홀 부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승객이 홀 부름 위치에서 소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홀 부름 안내부(31)에 승객 감지 신호를 보내고, 홀 부름 안내부(31)는 미리 정해둔 소정의 안내 방송을 하게된다. 예를 들러, "어서 오십시오, 몇 층에 가십니까 라고 안내 멘트를 출력한다. 그 안내 멘트는 홀 부름 위치(10)에 설치된 제1음성출력부(12)를 통하여 홀 부름 위치에 있는 승객에게 출력된다. 이에 따라 승객이 "O 층" 이라고 말하면, 제1음성입력부(13)를 통해 승객의 음성이 입력되고 그 음성신호는 음성인식부(32)에서 판독된다. 음성인식부(32)는 상기 홀 부름 안내부(31)가 홀 부름 안내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시간 이내에 승객의 음성이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된 음성의 판독 실패인 경우, 이를 홀 부름 안내부(31) 알려주고, 홀 부름 안내부(31)는 "몇 층에 가시는지 다시 한번 말씀해주십시오"라는 음성멘트를 하여 음성 재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인식부(31)가 승객의 음성을 판독하면, 그 판독 정보를 행선지 등록부(34)로 출력하고, 그 행선지 등록부(34)가 해당 층의 홀 부름 및 행선지 등록정보를 운행 제어부(35)에 출력하여 홀 부름 제어 및 행선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여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승객이 홀 부름을 한 층의 판단은 제1음성입력부(13)에 제1센서부(11)에서 승객을 감지한 정보를 홀 부름 안내부(31)가 인지하여 현재의 홀 부름층을 인지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홀 부름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홀 부름 위치에 승객이 접근하여 소정시간 이상 대기하게 되면, 승객을 감지하여 음성 안내를 하고, 그 음성안내에 따라 음성으로 가고자 하는 행선지 층을 말하면 자동으로 홀 부름 및 행선지 층 등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게 되면 이에 대한 운행 안내를 음성으로 하게된다.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지의 여부는 홀 부름 등록후 문의 개폐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케이지(20)내에 제2센서부(21)를 설치한 것을 예로 한다. 제2센서부(21)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등 승객 감지를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홀 부름 후 엘리베이터의 문이 열린 후 닫히면, 승객이 탑승하였는지를 센서가 감지한다. 탑승하는 승객이 감지되면 이를 운행 안내부(33)에 출력한다. 운행 안내부(33)는 현재 행선지로 등록된 층에 대해서 음성 출력을 하고, 도착 층 안내를 한다. 그리고, 행선지로 등록된 층에 도착후 문이 일리고 닫혔는데도 승객이 감지되면, 즉, 행선지 등록이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객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에 있음이 감지되면, 운행안내부(33)에서는 "몇 층에 가십니까?" 라고 음성 문의를 하고, 이에 따라 승객이 "O 층"이라고 말하면, 케이지 내의 제2 음성입력부(23)가 이를 입력받아 필터링한 후 음성인식부(32)에 출력하고 음성인식부(32)가 이를 판독한다. 그 판독에 따라 홀 부름 없이 행선지 등록부(34)가 행선지 등록을 하여 원하는 행선지 층으로 운행을 하도록한다. 이와 같이 케이지(20)내에 제2음성입력부(23)를 두어 케이지 내에서도 음성으로 행선지 층 등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대형 오피스텔이나 업무용 빌딩 등등에서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0027] 목적지가 몇 층에 있는지를 잘 모르고 방문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안내 데스크에 문의하거나 안내 표지판을 보고서 가고자 하는 층은 판단한 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안내 데스크에 안내자가 자리를 비워 없거나 안내표지판에 정확히 표시되지 않은 경우 몇 층에 방문해야 하는지를 잘 몰라 당황스럽고 여러 층을 배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나 시각장애인인 경우 안내표지판을 읽을 수 없기 때문에 가고자 하는 목적지가 몇 층인지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알고 있거나 다른 사람에게 물러서 안내를 받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지명만을 얘기하면 해당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의 행선지를 자동 등록하고, 목적지에 대한 방향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각 층별 입주자 정보, 예를 들어 각 회사별 상호에 따른 층별 정보 및 입주자 인물들에 대한 층별 정보 또는 업종이나 품목정보등 각 층을 안내할 수 있는 정보를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층 정보 DB(37)에 저장하여 두고, 검색엔진을 구비하여 음성 인식부(32)에서 인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층 정보를 검색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승객이 홀 부름 위치(10)에 대기하면 "몇 층에 가십니까" 라고 자동 안내방송이 나오고, 이때 승객이 몇 층인 줄을 잘 모르고 있는 "OOO 회사" 라고 말하면, 음성인식부(32)가 이를 음성인식하고, 그 음성인식정보에 의해 검색엔진(36)이 층 정보 DB(37)를 검색하여 'OOO 회사'가 몇 층 몇 호에 있는지를 검색한다. 그 검색된 정보에 의해 행선지 등록부(35)가 홀 부름 및 해당 층의 행선지 등록을 제어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에 의한 행선지 층 안내는 회사명, 업무 종류 명, 인명, 전화번호 등등 공개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이 이중 한가지만 알고 있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층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층을 모르고 방문한 경우에도 다른 사람의 안내 없이 목적지명만 말하면,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해당되는 층을 검색하여 홀 부름 및 행선지 등록을 하게 되므로 원하는 층으로 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착 층에 도달한 경우 층 정보 DB(37)에서 검색된 층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방향정보 및 해당 층의 기타 안내정보를 음성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나 처음 방문한 사람들에게 편리하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할 수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부가 홀 부름 버튼 및 케이지 내의 층 버튼의 조작 정보에 의해 홀 부름과 행선지를 등록하여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장치에 있어서, 홀 부름 버튼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탑승 위치에서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안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승객이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와 상기 승객 감지 센서부가 승객을 소정시간 이상 감지하면 승객이 행선지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안내 방송을 하는 홀 부름 안내부 및 승객이 홀 부름 안내부의 안내방송에 따라 음성으로 행선지를 말하면, 그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수단, 그 음성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행선지 층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올라감 또는 내려감을 자동 선택하여 홀 부름 및 행선지 층을 운행 제어부에 등록하는 행선지 등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KR1020210180623A 2021-12-16 2021-12-16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KR20230091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23A KR20230091479A (ko) 2021-12-16 2021-12-16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23A KR20230091479A (ko) 2021-12-16 2021-12-16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79A true KR20230091479A (ko) 2023-06-23

Family

ID=8699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623A KR20230091479A (ko) 2021-12-16 2021-12-16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569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EP1884491A1 (en) Elevator landing call register
JP5115554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JP5996725B1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JP5074088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730497A (zh) 电梯的语音识别运行控制装置
CN104692198A (zh) 电梯语音呼梯登记装置
CN110342359A (zh) 电梯目的楼层登记装置
JP2002128404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KR100448869B1 (ko)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EP2573034A1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JP2018002428A (ja) かご操作盤
KR20230091479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JPH101946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登録装置
JP2006056700A (ja) エレベータ用案内装置
KR200271438Y1 (ko)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JP2014005126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4237876B2 (ja) エレベータ
KR101114145B1 (ko) 엘리베이터 텐키 조작 안내 장치
JP438588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97126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2001106444A (ja) エレベーター誘導システム
CN109835784B (zh) 电梯系统
JP2003292259A (ja) エレベータのテナント指定情報活用システム
JP2000034066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