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433A -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 Google Patents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433A
KR20230091433A KR1020210180542A KR20210180542A KR20230091433A KR 20230091433 A KR20230091433 A KR 20230091433A KR 1020210180542 A KR1020210180542 A KR 1020210180542A KR 20210180542 A KR20210180542 A KR 20210180542A KR 20230091433 A KR20230091433 A KR 2023009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fixing piece
split type
joint structure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석
Original Assignee
홍천장작마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천장작마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천장작마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433A/en
Publication of KR2023009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4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A crack-resistant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which has an empty cylindrical shape inside, and forms a cut area by cutting one area along a center line of the cylinder shape, wherein a cut surface of the cut area is formed in a finger joint structure; and a beehive fixing piece which is fitted to the cut surface in a shape that engages the finger joint structure of the cut surface.

Description

갈라짐 방지형 벌통{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anti-splitting hive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본 발명은 벌통(bee hiv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종 꿀벌 사육을 위해 원통형으로 제작되면서 원통형 구조물의 갈라짐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 구성이 용이한 갈라짐 방지형 벌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hiv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split type beehive that is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breeding native bees, minimizes cracking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and is easy to stack as many times as necessary.

한국에서 사육되는 꿀벌은 크게 양봉과 한봉(토종벌)으로 나뉜다. 양봉은 직사각형 틀로 만들어진 벌통에서 사육되고, 양봉의 벌통은 스티로폼 박스로 만들어지거나 판자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Bees raised in Korea are largely divided into beekeeping and hanbong (native bees). Beekeeping is raised in beehives made of rectangular frames, and beekeepers' beehives are made of Styrofoam boxes or using boards.

반면, 양봉에 비해 그 크기가 작고 예민한 토종벌은 속이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의 집을 선호하며, 토종벌은 양봉과는 달리 육아실과 저밀방의 구분이 없어 벌통의 어느 위치에 여왕벌이 있는지 분간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인위적인 분봉 방법 대신 자연 분봉법으로 증식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ative bees, which are smaller in size and more sensitive than beekeepers, prefer hollow, cylindrical-shaped houses, and unlike beekeepers, native bees do not distinguish between a nursery and a low-density room, so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where the queen is located in the hive. It can be propagated by natural division method instead of method.

또한, 토종벌은 벌통의 위쪽부터 벌집 구조물을 채워나가며, 비어있는 공간을 좋아하지 않으므로, 사육이 시작되는 지점은 크기가 작아야 하고,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개체수에 맞게 그 크기를 점차 늘려나가는 식으로 벌통이 조성되어야 한다. In addition, native bees fill the hive structure from the top of the hive and do not like empty space, so the breeding start point should be small in size, and when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size of the beehive is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ehives. this should be created.

그러나, 현재 양봉과 토종벌의 사육비는 9:1을 넘고, 대다수의 벌통은 양봉에 맞춰 제작되는 바, 대다수의 벌통은 스티로폼이나 저가의 합성목을 사각틀에 맞추어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However, currently, the breeding ratio between beekeeping and native bees exceeds 9:1, and most of the beehive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beekeeping, and most of the beehives are manufactured and sold using Styrofoam or low-cost synthetic wood in a square frame.

판매되는 벌통은 토종벌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로 제작 되고 있으며, 다단형 벌통을 규격화하여 대량생산 함으로써 가격을 낮추고 있다. The beehives sold are manufactured in a form unsuitable for the growth of native bees, and prices are lowered by standardizing multi-stage beehives and mass-producing them.

2019년 양봉산업법 제정과 시행으로 꿀벌이 가축으로 인정되어 국가에서 육종 관리가 시작되었고, 양봉용 사각 벌통은 대량 수입되고 있으나 토종벌이 선호하고 토종벌의 생육에 적당한 원통형 벌통을 생산하는 업체는 전무한 실정이다. With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Beekeeping Industry Act in 2019, bees were recognized as livestock, and breeding management began in the country. Square beehives for beekeeping are imported in large quantities, but there is no company that produces cylindrical beehives that are preferred by native bees and suitable for the growth of native bees. .

이에 본 출원인은 토종벌의 선호도가 높은 형상으로 벌통을 제작하되, 온도와 습도 변화에 따른 벌통의 갈라짐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pose a crack-preventing beehive that manufactures a beehive in a shape favored by native bees, but does not crack or crack the hive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38322호(발명의 명칭 : 벌통)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38322 (name of invention: beehive) 대한민국 실용신안 20-2009-0011244호(발명의 명칭 : 토종용 벌통)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09-0011244 (Title of Invention: Native beehive)

본 발명의 목적은 토종 꿀벌의 생육에 적당한 원통형 목재로 벌통을 만들되, 원통형 목재가 온도변화와 함수율 변화에 의한 크랙이나 뒤틀림 발생이 최소화하도록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split type beehive in which a beehive is made of cylindrical wood suitable for the growth of native bees,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or warping of the cylindrical wood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moisture content change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곤충(말벌, 나방)의 침입은 최소화하면서 꿀벌의 이동은 자유롭고, 벌통 내부의 환기가 가능한 갈라짐 방지형 벌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ck-resistant beehive that allows bees to freely move while minimizing the invasion of external insects (waps, moths) and allows ventilation inside the hiv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는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기둥 형상의 중심선을 따라 일 영역을 절개하여 절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영역의 절단면은 핑거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절단면의 핑거 조인트 구조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상기 절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벌통 고정편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cuts a regio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shape to form an incision region, and the cut surface of the incision region is a body formed in a finger joint structure, and This is achieved by a beehive fixing piece fitted to the cutting surface in a shape that engages the finger joint structure of the cutting surfac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측 벌통과 하측 벌통이 적층되어 벌통을 구축할 때, 상기 각 벌통은, 내부는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기둥 형상의 중심선을 따라 일 영역을 절개하여 절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영역의 절단면은 핑거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절단면의 핑거 조인트 구조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상기 절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벌통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벌통은, 꿀벌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는 상기 하측 벌통 측 벌통 고정편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향하는 경로가 상방향 사선인 갈라짐 방지형 벌통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ehive is built by stacking the upper and lower beehives, each beehiv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 region is cut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shape to cut the beehive. A body formed in a finger joint structure on the cut surface of the cut area and a beehive fixing piece fitted to the cut surface in a shape engaged with the finger joint structure on the cut surface; wherein the lower beehive includes bees At least one entrance is provided for entry and exit, the entrance is formed on the beehive fixing piece on the lower hive side, and the path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is achieved by an anti-split type beehive with an upward oblique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국산목재를 이용하여 토종 꿀벌의 생육특성에 맞는 벌통을 성장 단계별로 다단형으로 제조 및 보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ehives suitable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native bees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in a multi-staged manner by growth stage using domestic wood.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의 일 영역을 절개하고, 절개영역을 재차 목재로 채움으로서 원통형으로 제조되는 벌통이 계벌에 따른 기온과 습도 변화로 인해 갈라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ising one area of the hive and filling the incision area again with wood, the cylindrical beehive can be prevented from cracking or bursting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bree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라짐 방지형 벌통을 복수 개 적층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갈라짐 방지형 벌통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벌통 고정편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벌통 고정편을 몸체에 체결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벌통 고정편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벌통의 전체 결합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벌통 고정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nti-split beehives are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y one of the split-resistant beehives shown in FIG. 1 .
Figure 3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beehive fixture.
4 shows a reference drawing of a method of fastening the beehive fixing piece to the body.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eeh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detailed perspective views of the beehive anchoring piece shown in FIG. 5 .
Fig. 8 shows the overall combined view of the hive shown in Fig. 5;
FIG. 9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eehive fixing piece shown in FIG. 5 ;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핑거 조인트 구조는, 목재를 결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아래의 표 1에 언급된 것을 지칭한다.The finger joint structure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one mentioned in Table 1 below, as one of the methods of joining woo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핑거 조인트(finger joint) 구조는 원목이나 집성목(glued laminated wood)을 결합하는 방법의 하나로, 체결 전에는 톱니 구조물을 엇갈리게 가지는 두 개의 판이 체결 후에는 마치 손가락을 끼운 것 처럼 체결되는 형상에 따라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finger joint structure is one of the methods of combining solid wood or glued laminated wood. Before fastening, two plates having a sawtooth structure are crossed, and after fastening, it is fastened as if fingers were inserted Its name derives from its shape.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핑거 조인트 구조는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으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핑거 조인트 구조"는 표 1을 준용하도록 한다.The finger joint structure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is as shown in Table 1, and the "finger joint structure"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pplies Table 1 mutatis mutandis.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집성목(glued laminated wood)은 원목을 가공하거나 분쇄할 때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본드와 같은 접착물질에 혼합하여 굳히거나, 고열의 분위기에서 원목 부스러기를 가열 압착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Glued laminated woo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wood scraps generated when processing or crushing raw wood mixed with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 bond and hardened, or heat-compressed wood scraps in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라짐 방지형 벌통을 복수 개 적층한 일 예를 도시한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nti-split beehives are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갈라짐 방지형 벌통(이하, "벌통"이라 한다)은, 복수 개가 적층되어 하나의 벌통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에는 5개의 벌통(100 내지 140)이 수직으로 적층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최상층 벌통(140)의 외부 지름(R3)이 가장 작고, 아래로 적층될 수록 외부 지름(R4, R5, R6, R7)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plit-prevention type beehi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stacked in multiple pieces to construct a single beehive. 1, it can be seen that five beehives 100 to 140 are vertically stacked. The outer diameter R3 of the uppermost beehive 140 is the smallest, and the outer diameters R4, R5, R6, It can be seen that R7) gradually increases.

최하단에 위치하는 벌통(100)의 외부 지름(R7)이 적층된 벌통(100 내지 140) 중 가장 큰데, 이는 토종꿀벌의 생육 특성에 따른다. 토종꿀벌은 가장 위에 위치하는 벌통(140)에서 생육을 시작하며, 개체수가 늘어날수록 벌통(140) 아랫단으로 더 큰 크기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벌통은 토종 꿀벌의 특성에 맞게 상단의 벌통(140)은 내부 지름(R1)과 외부 지름(R3)이 가장 작고, 이웃하는 벌통(130)부터 외부 지름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벌통(140)과 벌통(130)의 내부 지름(R1)은 동일하되, 다만 외부 지름(R3, R4)만 차이나며, 하부 벌통(100, 110 및 120) 또한, 외부 지름은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내부 지름(R2)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내부 지름이 R1, R2 두 가지로만 구성되는 이유는 벌통(100 내지 140)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지름 R2가 동일함에도 벌통(100, 110, 120)의 외부 지름은 차별되는데, 이는 기단부에 위치하는 벌통(100)의 지름(R7)이 가장 커야 땅 위에서 견고하게 버티면서 타 벌통(110, 120, 130, 140)을 지지할 수 있는데 따른다. The outer diameter (R7) of the beehive 100 located at the bottom is the largest among the stacked beehives 100 to 140, which depend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bees. Native bees start growing in the topmost beehive 140, and as the population increases, a larger space is required at the lower end of the hive 140, and the beehive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upper beehive 140 has the smallest inner diameter R1 and outer diameter R3, and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neighboring beehive 130. Here, the inner diameters (R1) of the beehive 140 and the beehive 130 are the same, but only the outer diameters R3 and R4 are different, and the lower beehives 100, 110 and 120 also have outer diameters going downward. increases, but the inner diameter R2 remains the same. The reason why the inner diameter is composed of only two R1 and R2 is to facilitate stacking of the beehives 100 to 140. Even though the inner diameter R2 is the same, the outer diameters of the hives (100, 110, and 120) are differentiated. , 130, 140) can be supported.

소수의 토종 꿀벌로 처음 양봉을 시작할 때는 하나의 벌통(140)만으로 시작하지만, 점차 토종 꿀벌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벌통(130)을 추가로 연결하고, 개체수가 더 증가할 경우, 벌통(120)을 추가로 연결하는 형태로 전체 벌통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예시된 5단 벌통은 실제로 상당한 개체수가 모인 토종 꿀벌 군락에 해당하며, 보통 이 정도 규모를 넘어서 개체수가 증가할 경우 새로운 여왕벌이 분봉을 하게된다. When beekeeping is first started with a small number of native bees, it starts with only one hive (140), but as the population of native bees gradually increases, additional hives (130) are connected, and when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hive (120) The entire beehive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dditional connection. The 5-stage beehive illustrated in FIG. 1 actually corresponds to a colony of native bees with a significant population, and usually, when the population increases beyond this size, a new queen bee swarms.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벌통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eehiv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갈라짐 방지형 벌통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벌통 고정편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벌통 고정편을 몸체에 체결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FIG.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y one of the anti-splitting beehives shown in FIG. 1, FIG. 3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hive fixing piece, and FIG. 4 is a reference view of a method of fastening the beehive fixing piece to the body. shows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벌통(110)은 몸체(111)와 벌통 고정편(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4 together, the beehiv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11 and a beehive fixing piece 112.

몸체(111)는 통나무 내부를 파내어 형성할 수 있다. 몸체(111)의 내부는 비어있는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되며, 통나무 외측의 목질이 원형의 테두리를 이루며 몸체(111)를 형성한다. 몸체(111)가 원기둥 형상일 때, 원기둥 형상의 중심선(PL)을 따라 몸체(111) 길이의 2% 내지 8%의 범위를 중심선(PL)을 따라 절개하여 절개영역(S)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111 may be formed by digging the inside of a log. The inside of the body 111 has an empty cylindrical or cylindrical shape, and the wood on the outside of the log forms the circular edge to form the body 111. When the body 111 has a cylindrical shape, the incision area S can be formed by incising a range of 2% to 8% of the length of the body 111 along the center line PL of the cylindrical shape. there is.

여기서, 절개영역(S)은 몸체(111)의 전체 외주연의 길이 대비 2% 내지 8% 범위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주연의 길이 대비 3%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2% 내지 8% 의 범위를 갖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θ"로 표기되며, 각도 "θ"에 해당하는 영역이 몸체(111)의 영역이 절개되어 절개영역(S)을 이루게 된다. Here, the incision area (S) means a range of 2% to 8% of the length of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11, and preferably can be formed by incising 3% of the length of the entire outer periphery. In FIG. 2, the angle formed by the area in the range of 2% to 8% is indicated as "θ",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ngle "θ" is incised from the body 111 to form the incision area S. do.

절개영역(S)은 몸체(111)의 갈라짐과 뒤틀림 방지를 위해 형성된다. 목재, 특히 원목은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그 부피가 증감한다. 목재 내부에 포함되는 수분인 함수율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는 한국에서 문제가 된다.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처럼 일년내내 일정한 온습도가 보장되는 지역에서는 가공된 목재의 뒤틀림이나 터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반면, 영하의 온도를 보이는 겨울과 35도를 웃도는 여름간의 기온격차가 최대 50도를 넘는 한국에서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면 목재의 함수율이 8% 에서 25% 사이를 오가며 목재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더욱이 꽃이 피는 야지에 위치하는 벌통은 온도 변화와 습도 변화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바, 몸체(111)의 갈라짐이나 터짐을 피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 절개영역(S)을 몸체(111)에 형성함으로서 몸체(111)의 온도와 습도 변화가 원형 테두리 내에 응축되지 않도록 한다.The incision area (S) is formed to prevent cracking and twisting of the body (111). Wood, especially raw wood, increases or decreases in volum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Moisture content, which is the moisture contained inside the wood, is a problem in Korea, where the four seasons are distinct and the dry and rainy seasons are repeated. In areas wher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guaranteed throughout the year, such as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warping or bursting of processed wood rarely occurs, whereas in Korea,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winter with sub-zero temperatures and summer with temperatures exceeding 35 degrees exceeds 50 degrees at most. When dry and rainy seasons are repeated, the moisture content of wood fluctuates between 8% and 25%, and wood can repeat expansion and contraction. Moreover, beehives located in fields where flowers bloom are directly exposed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making it difficult to avoid cracking or bursting of the body 111. By forming the incision area S on the body 111,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ody 111 are prevented from being condensed within the circular rim.

절개영역(S)은 그 단면이 핑거 조인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cutout area S may be formed to have a finger joint structure.

절개영역(S)의 단면은 돌출과 후퇴가 반복되는 톱니 형태를 가지며, 단면(A1)과 단면(A2)은 벌통 고정편(112)과 마주하는 면이 서로 이웃할 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톱니파 형태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즉, 단면(A1)과 단면(A2)이 각각 벌통 고정편(112)과 이웃할 때, 단면(A1)에서 돌출된 톱니가 있다면, 이웃하는 벌통 고정편(112)에는 단면(A1)에는 돌출된 톱니와 끼움결합 하기 위한 함몰된 구조물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incision area (S) has a sawtooth shape in which protrusion and retraction are repeated, and the cross section (A1) and cross section (A2) have sawtooth waves so that they can be fitted when surfaces facing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hapes may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end surfaces A1 and A2 are adjacent to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f there is a protruding sawtooth at the end face A1, the adjacent beehive fixing piece 112 has a protrusion at the end face A1. It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recessed structure for fitting with the toothed teeth is arranged.

벌통 고정편(112)은 절개영역(S)에 끼움 결합되며, 단면(A1) 및 단면(A2)과 끼움결합 되도록 맞물리는 톱니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벌통 고정편(112)의 외주연과 내주연은 각각 몸체(111)의 외주연 및 내주연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벌통 고정편(112)을 절개영역(S)에 끼움 결합하였을 때, 몸체(111)와 벌통 고정편(112)이 단일한 외주연 및 내주연을 구현함으로써, 벌통 고정편(112)이 몸체(111)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한다.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s fitted to the incision area S and has a sawtooth shape that engages with the end faces A1 and A2 to be fitted. In addition, the outer and inner peripheries of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may be formed alo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outer and inner peripheries of the body 111,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when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s fitted into the incision area S, the body 111 and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realize a single outer periphery and inner periphery, so that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becomes the body Do not protrude or sink in (111).

벌통 고정편(112)은 몸체(111)와 동일 재질의 목재를 깍아 만들거나, 또는 몸체(111)에서 절개영역(S)이나 몸체(111) 내부를 파낼때 생긴 부산물, 즉 몸체(111)의 톱밥을 이용한 집성목일 수 있다. 이때, 벌통 고정편(112)은 집성목을 고온의 분위기에서 압력을 가하여 벌통 고정편을 만들거나, 또는 접착재를 추가로 섞어 형성할 수 있다.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s made by cutting woo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11, or by-products generated when the incision area S or the inside of the body 111 is dug out in the body 111, that is, of the body 111. It may be a laminated tree using sawdust. At this time,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can be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aggregated wood in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to make a beehive fixing piece, or by additionally mixing an adhesive.

벌통 고정편(112)을 몸체(111)와 동일한 재질의 목재를 이용하는 것은, 몸체(111)와 동일한 온도 및 습도에서 몸체(111)와 최대한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고 팽창과 수축하도록 하는데 따른다.The use of woo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11 for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s to expand and contract with the sam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s the body 111 at the same temperature and humidity as the body 111.

상기한 몸체(111)와 벌통 고정편(112)은 끼움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도록 한다.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body 111 and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are fastened by fitt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벌통 고정편(112)를 몸체(11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몸체(111)를 d1, d2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몸체(111)를 벌리고(도 4의 (a) 참조), 몸체(111)에서 벌어진 절개영역(S)에 벌통 고정편(112)를 d3 방향에서 끼워 넣어 벌통 고정편(112)를 절개영역(S)에 고정한다(도 4의 (b) 참조).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fix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to the body 111, apply force to the body 111 in the d1 and d2 directions to spread the body 111 apart (see FIG. 4 (a)) , Insert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into the incision area S widened from the body 111 in the d3 direction to fix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to the incision area S (see Fig. 4(b)).

한편, 벌통 고정편(112) 중 어느 일측에는 토종 꿀벌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도 1에 적층된 벌통(100 내지 140) 중 어느 하나에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ntrance for entry and exit of native bee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and an exhaust port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beehives 100 to 140 stacked in FIG. 1.

출입구는 토종 꿀벌이 출입이 가능한 치수로 홀(hole)을 형성한 것일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종단에 출입구(112a)를 천공하여 몸체(111)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entrance may be formed by forming a hole with dimensions that allow native bees to enter and exit, and as shown in FIG. 3, an entrance 112a is drilled at one end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111 are connected. may be in the form of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출입구를 위아래 뒤집어서 벌통(100)에 체결하면, 벌통(100 내지 140)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Similarly, if the entrance of the form shown in FIG. 3 is turned upside down and fastened to the beehive 100, it can be used as an exhaust outlet for discharging moisture inside the beehives 100 to 14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벌통 고정편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벌통의 전체 결합도를 도시한다.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eeh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show detailed perspective views of the beehive fixture shown in FIG. 5, and FIG. 8 shows the beehive shown in FIG. Shows the total coupling.

도 5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벌통(200)은 동일한 지름의 단위 원통(210, 220 및 230)을 적층하여 구성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중층 벌통(220)의 구조는 전술한 도 2를 통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중층 벌통(220)에 대한 구조와 설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도록 한다.5 to 8 together, the beehiv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stacking unit cylinders 210, 220 and 230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the structure of the middle layer beehive 220 located in the middl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middle layer beehive 220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description of FIGS. 2 to 4 .

중층 벌통(220)을 기준으로, 그 위에 위치하는 상측 벌통(210)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하측 벌통(230)에 끼움 결합되는 벌통 고정편(212, 232)은 그 구조와 형상이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되, 다만, 벌통 고정편(212)에는 출입구(232a)가 형성되고, 벌통 고정편(212)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벌통 고정편(112)과 차이점을 갖는다. 벌통 고정편(212, 232)에 마련되는 출입구(232a)와 배기구(212a)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즉 도 2 내지 도 4에서 언급되는 벌통 고정편(112)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도록 한다.Based on the middle layer beehive 220,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beehive fixing pieces 212 and 232 fitted to the upper beehive 210 located above it and the lower beehive 230 located below it are shown in Figs. 4, except that the beehive fixing piece 212 has an entrance 232a and an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beehive fixing piece 212, so that the hive described through FIGS. 2 to 4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fixing piece 112.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entrance 232a and the exhaust port 212a provided in the beehive fixing pieces 212 and 232,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beehive fixing piece 112 mentioned in FIGS. 2 to 4 applies mutatis mutandi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should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should be noted.

벌통 고정편(232)에 마련되는 출입구(232a)는 토종 꿀벌이 벌통(200)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5에서, 출입구(232a)는 하측 벌통(220)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향하는 경로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 사선(d4)을 이룰 수 있다. The entrance 232a provided on the beehive fixing piece 232 is provided for native bees to enter and exit the beehive 200. In FIG. 5 , a path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beehive 220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trance 232a may form an upward oblique line d4 as shown in FIG. 6 .

출입구(232a)의 크기는 가로 폭(L1)이 좁고 세로폭(L2)이 길게 형성되며, 가로폭(L1)에 의해 출입 가능한 곤충의 크기가 제한된다. L1의 길이를 토종 꿀벌의 크기와 유사하게 형성하면, 토종 꿀벌보다 체형이 큰 말벌이나 나방은 출입구(232a)로 출입하는게 용이하지 않다.The entrance 232a has a narrow horizontal width L1 and a long vertical width L2, and the size of an insect that can enter and exit is limited by the horizontal width L1. If the length of L1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size of the native bee, it is not easy for wasps or moths having a larger body size than the native bee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entrance 232a.

배기구(212a)는 벌통(200)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해 마련된다. The exhaust port 212a is provided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beehive 200.

배기구(212a)는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해 상측 벌통(210)에 마련되며, 상측 벌통(210)의 외주연에서 내주연을 향해 하방향 사선을 이룰 수 있다. 배기구(212a)는 출입구(232a)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벌통(200) 내부의 덥고 습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여 벌통(200) 내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토종 꿀벌이 출입하는 출입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The exhaust port 212a is provided in the upper beehive 210 for smooth air discharge, and may form a downward oblique lin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beehive 210 toward the inner periphery. The exhaust port 212a may be formed with the same dimensions as the entrance 232a. In this case, the hot and humid air inside the beehive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achieve air circulation inside the beehive 200, as well as It can also be used as an entrance for native bees.

한편, 상측 벌통(210)과 하측 벌통(230) 사이에 위치하는 중층 벌통(220)에는 출입구(232a)나 배기구(212a)가 형성되지 않는다. 중층 벌통(220)은 토종 꿀벌의 서식지 확장과 꿀을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trance 232a or the exhaust port 212a is not formed in the middle layer beehive 220 located between the upper beehive 210 and the lower beehive 230. The middle layer beehive 220 is used for expanding the habitat of native bees and storing honey.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벌통 고정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9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eehive fixing piece shown in FIG. 5 ;

도 9의 (a)는 출입구(311 내지 313)를 구비하는 벌통 고정편(310)을 도시하고, 도 9의 (b)는 배기구(321 내지 323)를 구비하는 벌통 고정편(320)을 도시한다. Figure 9 (a) shows the beehive fixture 310 with entrances 311 to 313, and Figure 9 (b) shows the beehive holder 320 with outlets 321 to 323 do.

먼저, 도 9의 (a)를 살펴보면, 벌통 고정편(310)에는 3개의 출입구(311, 312 및 313)이 형성되어 있다. 벌통 고정편(310)에 형성되는 3개의 출입구(311 내지 313)는 한 번에 3마리의 토종 꿀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출입구의 개수는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일 수 있으며, 벌통 고정편(310)에 셋 이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벌통 고정편(310)의 위, 아래 또는 중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출입구(311 내지 313))는 벌통 고정편(310)의 외주연에서 내주연 방향으로 상방향 사선(d5)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referring to (a) of FIG. 9 , three entrances 311, 312, and 313 are formed in the beehive fixing piece 310. The three entrances 311 to 313 formed on the beehive fixture 310 allow three native bees to enter and exit at once. Of course, the number of entrances is one or two. It may be three or more, and if you want to form three or more on the beehive fixing piece 310, it may be formed above, below, or in the middle of the beehive fixing piece 310. but not limit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 the entrances 311 to 313 are preferably formed along an upward oblique line d5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eehive fixing piece 310 .

다음으로 도 9의 (b)를 살펴보면, 3개의 배기구(321, 322 및 323)가 형성되며, 토종 꿀벌은 입출이 가능하더라도 토종 꿀벌보다 부피가 큰 말벌이나 나방이 입출하기 곤란한 치수로 형성되고, 전술한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벌통 고정편(320)의 외주연에서 내주연 방향으로 볼 때, 배기구(321, 322 및 323) 하방향 사전(d6)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looking at (b) of FIG. 9, three exhaust ports 321, 322, and 323 are formed, and even if native bees can enter and exit, they are formed in dimensions that make it difficult for wasps or moths to enter and exit, which are bulkier than native bees. 2 to 8, when viewed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eehive fixing piece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ports 321, 322 and 323 are formed along the downward advance d6. .

110 : 벌통 111 : 몸체
112 : 벌통 고정편
110: hive 111: body
112: beehive fixing piece

Claims (9)

내부는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기둥 형상의 중심선을 따라 일 영역을 절개하여 절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영역의 절단면은 핑거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절단면의 핑거 조인트 구조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상기 절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벌통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 body having an empty cylindrical shape, forming an incision area by cutting an area along a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cut surface of the incision area having a finger joint structure; and
An anti-splitting beehive comprising a beehive fixing piece fitted to the cutting surface in a shape that engages the finger joint structure of the cutt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통 고정편은,
외주연과 내주연이 각각 상기 몸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의 곡률 반경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1,
The trigger fixing piece,
An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are form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radii of the outer and inner peripheries of the body,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 고정편은,
상기 몸체와 동일한 목재의 집성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1,
The beehive fixing piece,
An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aminated wood of the same wood as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은,
상기 몸체의 테두리 길이 대비 1% 내지 8%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sion area is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 to 8% compared to the rim length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 고정편은,
꿀벌의 출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1,
The beehive fixing piece,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ntrance is formed for the entry and exit of bees.
상측 벌통과 하측 벌통이 적층되어 벌통을 구축할 때, 상기 각 벌통은,
내부는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기둥 형상의 중심선을 따라 일 영역을 절개하여 절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영역의 절단면은 핑거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절단면의 핑거 조인트 구조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상기 절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벌통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벌통은,
꿀벌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는 상기 하측 벌통 측 벌통 고정편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향하는 경로가 상방향 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When the upper and lower beehives are stacked to build a beehive, each of the beehives,
a body having an empty cylindrical shape, forming an incision area by cutting an area along a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cut surface of the incision area having a finger joint structure; and
A beehive fixing piece fitted and coupled to the cut surface in a shape that engages the finger joint structure of the cut surface, wherein the lower beehive,
At least one entrance for entry and exit of bees is provided, the entrance is formed on the beehive fixing piece on the lower hive side, and the path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is an upward oblique lin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벌통은,
상기 꿀벌의 출입과 내부 습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상측 벌통 측 벌통 고정편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향하는 경로가 하방향 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hive,
At least one exhaust port is provided for the entry and exit of the bees and the discharge of internal moisture, and is formed on the beehive fixing piece on the upper beehive side,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h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is a downward oblique l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벌통과 상기 하측 벌통 사이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는 중층 벌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6,
The anti-split type beehive further comprising: a middle layer beehive provided between the upper beehive and the lower beehi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벌통, 상기 중층 벌통 및 상기 하측 벌통의 순으로 외주연의 지름은 증가하고, 내주연의 지름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라짐 방지형 벌통.
According to claim 8,
Anti-split typ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y increases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y is the same in the order of the upper beehive, the middle layer beehive, and the lower beehive.
KR1020210180542A 2021-12-16 2021-12-16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KR202300914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542A KR20230091433A (en) 2021-12-16 2021-12-16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542A KR20230091433A (en) 2021-12-16 2021-12-16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33A true KR20230091433A (en) 2023-06-23

Family

ID=8699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542A KR20230091433A (en) 2021-12-16 2021-12-16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43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44U (en) 2008-04-30 2009-11-04 고상인 Native beehive
KR102338322B1 (en) 2019-12-16 2021-12-10 정진우 bee hive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44U (en) 2008-04-30 2009-11-04 고상인 Native beehive
KR102338322B1 (en) 2019-12-16 2021-12-10 정진우 bee hiv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738B1 (en) Solitary bee nesting block
KR101464461B1 (en) Beehive honey picking for Bong Sik beehives Assembly and Western honey bees beekeeping method
EP1581048A2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mb honey
US4372000A (en) Beehive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8925466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beehive and one kind take sweet method
Bohart How to manage the alfalfa leaf-cutting bee (Megachile rotundata Fabr.) for alfalfa pollination
CN101703009B (en) Multifunctional plastic posting queen bee cage
US20070232189A1 (en) Honeybee hive, components, and extraction method
JP4260569B2 (en) Paper beehive for bees for pollination
WO2009135990A1 (en) Box for bumble bees used as pollinating insects and method for using bumble bees as pollinating insects in fruit or berry plantation
KR20230091433A (en) bee hive preventing crak and warp
RU2673719C2 (en) Beehive in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WO2016177982A1 (en) Lower hive body, upper hive body, intermediate hive body, supports, disk tray and beehive comprising same
US4765007A (en) Leaf cutter bee nest block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KR20090036271A (en) A hive for queen bee
CN105165663A (en) Environment-friendly multifunctional beehive
Kasangaki et al. Beehives in the world
KR20110004795U (en) Beekeeping hive
CN105519455B (en) It is a kind of to be applied to the beehive that fruits and vegetables are pollinated in greenhouse
JP3245436U (en) beehive
US20220369601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ry bees
CN201563484U (en) Multifunctional plastic cage for mailing queen bee
KR100516323B1 (en) Propolis collecting mesh
JP3217409U (en) Polygonal multi-type Japanese honey bee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