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124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124A
KR20230090124A KR1020210179115A KR20210179115A KR20230090124A KR 20230090124 A KR20230090124 A KR 20230090124A KR 1020210179115 A KR1020210179115 A KR 1020210179115A KR 20210179115 A KR20210179115 A KR 20210179115A KR 20230090124 A KR20230090124 A KR 2023009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rc
output
varia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김한기
박해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124A/ko
Publication of KR2023009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하는 사운드 검출기,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밴드 분할기,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2 가변 DRC 및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하는 제1 믹서(mix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RC(dynamic range compression)를 통해 사운드의 출력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DRC(dynamic range compression)는 신호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사운드 재생 기기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DRC는 앰프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재생 기기의 허용 출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출력을 조정하여 사운드 재생 기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음악이나 영화를 재생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의 경우, 음원 특성 상 저음역의 크기가 중음역 또는 고음역 대비 큰 경우가 많아 저음역에서 하드웨어 출력 한계를 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DRC는 입력 신호가 정해진 한계(threshold)를 넘어서면 일정한 비율로 음량을 조정하여 DRC의 출력이 한계를 넘어서지 않도록 조정한다.
DRC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의 크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한계를 넘어서면 사용자가 설정한 비율(ratio)에 의해 계산된 gain을 적용하여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gain이 즉시 적용되면 음악과 같은 경우에는 왜곡이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기의 수식과 같이 attack time, release time의 개념을 적용해 gain을 산출하여 변화 속도를 제어한다.
Gain_instant = F(level of input signal, ratio)
Gain_apply = F(Gain_instant, attack time, release time)
Output signal = Input signal × Gain_apply
또한, 넓은 대역을 포함하는 사운드의 경우에는 DRC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는 가수의 목소리와 드럼 사운드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b의 수평선은 DRC의 한계를 나타내며, 저음 beat가 있는 부분에서 감쇄가 일어나게 된다. 즉, DRC는 저음 beat와 목소리를 구분하지 않고 신호 전체에 동일한 감쇄를 적용하게 된다. 이 경우, 목소리의 음량이 저음 beat가 나올 때에만 순간적으로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b 파형을 적절한 주파수를 기준으로 2Band 즉, 도 1c의 저주파수 음역과 도 1d의 중고주파수 음역으로 분리한 뒤 DRC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주파수 음역에만 DRC가 적용되고 중고주파수 음역에는 DRC가 적용되지 않아 목소리가 왜곡되지 않으면서도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2Band DRC라고 하며, 2Band DRC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을 2개의 주파수 밴드로 분리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DRC를 적용하며, 각 DRC의 출력을 믹싱(mixing)하여 출력하는 방식이다.
다만, 2Band DRC의 경우에도 2개의 밴드로 분할하는 동작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f 및 도 1g를 먼저 설명한다. 도 1f는 입력을 2개의 밴드로 분할하는 동작을 나타내며, 각각은 대응되는 DRC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g는 저주파수 음역이 입력되는 제1 DRC의 제1 한계 및 중고주파수 음역이 입력되는 제2 DRC의 제2 한계에 따른 3가지 cas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g의 case 1은 제1 한계 및 제2 한계가 입력 신호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로, DRC가 아무 동작을 하지 않는다. 도 1g의 case 2는 제2 한계가 제1 한계보다 크고, 입력 신호의 크기가 제2 한계보다 큰 경우이고, 도 1g의 case 3은 제1 한계가 제2 한계와 동일하고, 입력 신호의 크기가 제1 한계 및 제2 한계보다 큰 경우이다. 도 1g의 상단 도면들에서 점선은 DRC 입력을 나타내고, 실선은 DRC 출력을 나타내며, 좌측과 우측의 화살표는 각 DRC의 한계를 나타낸다. 도 1g의 하단 도면들은 각각 도 1g의 상단 도면들에서 2Band DRC의 예상 출력 및 실제 출력이 추가된 도면들로, 굵은 점선은 2Band DRC의 예상 출력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은 2Band DRC의 실제 출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예상 출력은 이상적인 출력을 의미한다.
먼저, 2Band DRC의 경우 2개의 밴드로 분할하는 동작으로 인해, 밴드를 분할하는 기준인 밴드 분할 주파수(cutoff 주파수, 크로스오버(crossover) 주파수) 근처에서 중첩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한계보다 큰 신호가 입력되어 compress되는 구간에서는 compress가 많이 될수록 밴드 분할 주파수 근처에서 출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더 넓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 1, 상단 도면의 저주파수 음역 및 case 2, 상단 도면의 저주파수 음역에서 최대 출력 대비 동일한 크기가 낮아지는 지점의 주파수는 case 2가 case 1보다 넓다.
이러한 중첩 구간이 존재하고, 각 DRC의 한계가 다르므로, 중첩 구간에서 2Band DRC의 실제 출력이 왜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ase 1에서는 DRC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예상 출력과 실제 출력이 동일할 수 있다. 반면, case 2에서는 중고주파수 음역의 DRC 출력이 밴드 분할 주파수보다 낮은 부분에서도 상당량이 남아있으며, 그에 따라 저주파수 음역은 예상 출력을 나타내는 굵은 점선과 같이 제1 한계를 넘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하나, 실제 출력은 굵은 실선과 같이 저주파수 음역에서 제1 한계를 넘는 출력이 생성된다. 그리고, case 3에서는 각 DRC 출력이 밴드 분할 주파수에서 동일한 양으로 출력됨에 따라, 굵은 실선의 실제 출력은 굵은 점선의 예상 출력보다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에서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즉, 2Band DRC를 적용할 때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에서 각 DRC의 한계보다 높은 출력을 보이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2Band DRC에서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하는 사운드 검출기,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상기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밴드 분할기,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2 가변 DRC 및 상기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상기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하는 제1 믹서(mix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변 DRC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고, 상기 제2 가변 DRC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사운드를 획득하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및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전대역 통과 필터(all pass 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허용 출력은 상기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변 DRC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가변 DRC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검출기는 상기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상기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가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고, 제2 가변 DRC가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상기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변 DRC가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고, 상기 제2 가변 DRC가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사운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허용 출력은 상기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변 DRC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가변 DRC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밴드 분할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함에 따라, 종래의 2Band DRC와 비교하여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별 허용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2Band DRC의 확장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의 크기에 따른 실제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출력과 종래 기술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 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는 장치로서, 스피커, 서버, 컴퓨터 본체, 데스크탑 PC, TV,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셋탑박스(STB)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검출기(110), 가변 밴드 분할기(120),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 130), 제2 가변 DRC(140) 및 제1 믹서(mixer, 150)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운드 검출기(110)는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운드 검출기(110)에서 식별되는 사운드의 크기는 가변 밴드 분할기(120), 제1 가변 DRC(130) 및 제2 가변 DRC(140)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운드 검출기(110)는 사운드의 전체 주파수 대역의 크기를 식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운드 검출기(110)는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주파수가 높을 수 있다.
또는, 사운드 검출기(110)가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는 경우,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를 범위로 정의되는 튜닝된 기준 크기와 비교하고, 사운드의 크기가 기준 크기를 벗어날 경우 사운드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내가 되도록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밴드 분할 주파수 또는 cutoff 주파수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에서의 출력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갑작스런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화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attack/release rate를 통해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값을 높이거나 낮출 때 그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하기와 같은 식을 통해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대해 attack/release rate를 적용할 수 있다.
if (Fc_previous < Fc_instant) { rate = rate_attack }
else { rate = rate_release }
Fc_new = rate * Fc_previous + (1-rate) × Fc_instant
여기서, Fc_previous는 업데이트 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이고, Fc_instant는 사운드 검출기(110)로부터 식별된 사운드의 크기로부터 획득된 크로스오버 주파수이고, Fc_new는 업데이트된 크로스오버 주파수이고, rate_attack/release는 Fc의 상승, 하강의 경우에 대한 변화 속도를 정하는 값일 수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변경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필터 계수를 변경해도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터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가변 DRC(130)는 제1 허용 출력(threshold)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변 DRC(130)는 제1 신호를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허용 출력은 후술할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가변 DRC(130)는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DRC(13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제1 허용 출력을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제1 허용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변 DRC(13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1 허용 출력을 높이는 경우, 제1 허용 출력을 후술할 제2 허용 출력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가변 DRC(130)는 사운드의 크기를 범위로 정의되는 튜닝된 기준 크기와 비교하고, 사운드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면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가변 DRC(130)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허용 출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변 DRC(130)는 사운드의 크기에 따라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경우, 제1 허용 출력을 점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DRC(130)는 가변 밴드 분할기(12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가변 DRC(140)는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변 DRC(140)는 제2 신호를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허용 출력은 제1 허용 출력보다 클 수 있다.
제2 가변 DRC(140)는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DRC(14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제2 허용 출력을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제2 허용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변 DRC(140)는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여 제2 허용 출력을 낮추는 경우, 제2 허용 출력을 제1 허용 출력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가변 DRC(140)는 사운드의 크기를 범위로 정의되는 튜닝된 기준 크기와 비교하고, 사운드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면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가변 DRC(140)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2 허용 출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변 DRC(140)는 사운드의 크기에 따라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경우, 제2 허용 출력을 점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DRC(140)는 가변 밴드 분할기(12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믹서(mixer)는 제1 가변 DRC(130)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제2 가변 DRC(140)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신호 및 제4 신호의 믹싱 신호를 서브 우퍼 스피커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며, 제3 신호 및 제4 신호의 믹싱 신호를 서브 우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상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가변 2Band DRC로 지칭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제2 믹서 및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사운드를 획득하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믹싱된 신호의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대해 가변 2Band DR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믹싱된 신호 자체에 대해 가변 2Band DRC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전대역 통과 필터(all pass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프론트 R 채널을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역 통과 필터 및 복수의 전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프론트 L 채널을 제1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제1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프론트 R 채널을 제2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제2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리어 L 채널을 제3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제3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리어 R 채널을 제4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제4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센터 채널을 제5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제5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대역 통과 필터를 통한 위상의 보상은 가변 2Band DRC 동작에 따른 위상 변화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전자 장치(100)는 전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위성 스피커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위성 스피커를 포함하며, 전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위성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스피커의 개수는 전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밴드 분할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함에 따라, 종래의 2Band DRC와 비교하여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3 내지 도 9의 개별적인 실시 예는 얼마든지 조합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별 허용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피커의 허용 출력은 스피커 유닛의 변위가 한계 인자가 되고, 이 변위는 같은 크기의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주파수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낮은 주파수일수록 큰 변위를 갖는다.
즉, 주파수에 따라 동일한 변위를 가지는 한계 곡선을 스피커 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표현하면 낮은 주파수일수록 전압이 낮아지는 곡선이 된다.
도 3의 우측 그래프와 같이 스피커 유닛의 움직임(excursion)을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3의 가운데 그래프와 같이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전압이 낮아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디지털 신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도 3의 좌측 그래프와 같이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PCM FS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해 PCM 데이터에 2Band DRC를 동작시키는 경우, 저음역의 제1 허용 출력은 중고음역의 제2 허용 출력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2Band DRC를 적용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의 제2 허용 출력이 threshold값설정된 중고음역의 저음역 쪽 중첩 구간에서 저음역에 설정한 낮은 제1 허용 출력보다 큰 신호가 출력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종래의 2Band DRC와 본 개시에 따른 가변 2Band DRC에 대한 비교는 도 9를 통해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2Band DRC의 확장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가변 2Band DRC가 적용되는 사운드의 채널은 위상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가변 2Band DRC가 적용되지 않는 사운드의 채널과의 위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밴드 분할기(120)에 의해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변경되며, 그에 따라 가변 2Band DR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는 전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전대역 통과 필터는 가변 2Band DRC로부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수신하고,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신호의 위상을 보상할 수 있다. 즉, 전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가변 2Band DR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에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대역 통과 필터는 가변 밴드 분할기(120)에서 식별된 크로스오버 주파수와 분할 방법에 따른 위상을 보상할 수 있는 위상 보상을 위한 계수에 기초하여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 계수는 가변 밴드 분할기(120)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과 동기화된 시점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전대역 통과 필터는 계수를 변경해도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가변 2Band DR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여 다른 채널의 위상에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의 크기에 따른 실제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출력을 도시하였다. 이때, 제1 가변 DRC(130)의 제1 허용 출력 및 제2 가변 DRC(140)의 제2 허용 출력은 변경되지 않는 상태이고, 제1 허용 출력이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먼저,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제1 값인 경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제1 주파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좀더 낮출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예상 출력(expected output)과 실제 출력(real output)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에서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인 경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제1 주파수 값보다 큰 제2 주파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좀더 높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예상 출력과 실제 출력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에서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제3 값인 경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제2 주파수 값보다 큰 제3 주파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밴드 분할기(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좀더 높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예상 출력과 실제 출력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에서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가변 2Band DRC를 이용함에 따른 효과를 종래의 2Band DRC와 비교하기 위해, 도 1f, 1g의 case 2 및 도 7을 비교한다. 먼저, 종래의 2Band DRC(도 1f의 상단 도면)와 가변 2Band DRC의 사운드 크기(도 7의 상단 도면)는 거의 동일하며, 가변 2Band DRC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도 7의 중간 도면)가 종래의 2Band DRC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도 1g의 case 2의 상단 도면)보다 좀더 큰 상태이다.
즉, 그래프 상에서, 가변 2Band DRC의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좀더 오른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그에 따라 실제 출력의 기울어진 부분도 좀더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예상 출력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내지 7의 실제 출력을 하나(total variable 2Band DRC output)로 표시한 도면이며, 종래의 2Band DRC와 달리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 즉 중첩 구간에서 출력이 높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출력과 종래 기술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타겟 커브(target curve)는 가장 이상적인 출력이다.
1Band DRC는 밴드를 분할하지 않는 경우로, 과도 감쇄 현상으로 타겟 커브와의 차이(910)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종래의 2Band DRC(typical 2Band DRC)는 높은 허용 출력이 설정된 중고음역의 저역쪽 중첩 구간에서 저역에서 설정된 낮은 허용 출력보다 큰 신호(920)가 출력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2Band DRC는 중첩 구간에서 종래의 2Band DRC와 비교해 과도 출력은 제한하면서 1Band DRC보다 더 많은 출력을 얻어 타겟 ㅋ커브에 더 근접하는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2Band DRC는 1Band DRC 대비 더 많은 출력을 내면서 2Band DRC 대비 스피커 유닛의 변위가 한계선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통해 하드웨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많은 음량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한다(S1010). 그리고,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한다(S1020). 그리고,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가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고, 제2 가변 DRC가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한다(S1030). 그리고,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한다(S1040).
여기서, 출력하는 단계(S10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출력하는 단계(S1020)는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조정하는 단계(S1030)는 제1 가변 DRC가 제1 신호를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고, 제2 가변 DRC가 제2 신호를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사운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단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허용 출력은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 DRC가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고, 제2 가변 DRC가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별하는 단계(S1010)는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고, 출력하는 단계(S102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밴드 분할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함에 따라, 종래의 2Band DRC와 비교하여 밴드 분할 주파수 부근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사운드 검출기
120 : 가변 밴드 분할기 130 : 제1 가변 DRC
140 : 제2 가변 DRC 150 : 제1 믹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하는 사운드 검출기;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상기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밴드 분할기;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2 가변 DRC; 및
    상기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상기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하는 제1 믹서(mix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추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DRC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고,
    상기 제2 가변 DRC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사운드를 획득하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및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전대역 통과 필터(all pass filter);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용 출력은,
    상기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은,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DRC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가변 DRC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검출기는,
    상기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가변 밴드 분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운드의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 및 상기 사운드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 가변 DRC(dynamic range compression)가 제1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고, 제2 가변 DRC가 제2 허용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3 신호 및 상기 제2 가변 DRC로부터 출력되는 제4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추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대응되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상기 사운드의 크기가 감소하면 상기 사운드의 크기의 감소 정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변 DRC가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고, 상기 제2 가변 DRC가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허용 출력 이내로 조정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믹싱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사운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 중 하나를 고역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역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는,
    프론트(front) L 채널, 프론트 R 채널, 리어(rear) L 채널, 리어 R 채널 또는 센터(center)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서브 우퍼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용 출력은,
    상기 제2 허용 출력보다 작은,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DRC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허용 출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가변 DRC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허용 출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
KR1020210179115A 2021-12-14 2021-12-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0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115A KR20230090124A (ko) 2021-12-14 2021-12-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115A KR20230090124A (ko) 2021-12-14 2021-12-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124A true KR20230090124A (ko) 2023-06-21

Family

ID=8699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115A KR20230090124A (ko) 2021-12-14 2021-12-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1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8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0694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U2014340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14254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9348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KR101687085B1 (ko) 2채널 오디오에서의 스테레오 음장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195433B2 (en) In-line signal processor
JP3046319B2 (ja) ステレオの改善及び方向性サーボ
AU2014340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757527B2 (en) Crosstalk cancellation b-chain
JP2004056527A (ja) 周波数特性調整装置および周波数特性調整方法
CA2988540A1 (en) Audio device
US2004000278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justing sonic balace in audio reproduction systems
US109989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ment of the sound quality of an audio file
JP4706666B2 (ja) 音量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09012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5002649A (zh) 声场均衡调整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71895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US12041429B2 (en) Volume dependent audio compensation
JP2013255050A (ja) チャンネルデバイダおよびこれを含む音声再生システム
US20220279273A1 (en) Volume dependent audio compensation
JP2005136635A (ja) オーディオ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US8509457B2 (en) Tone balance volume control
KR20120130893A (ko) 음향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