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52A -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52A
KR20230089852A KR1020210178578A KR20210178578A KR20230089852A KR 20230089852 A KR20230089852 A KR 20230089852A KR 1020210178578 A KR1020210178578 A KR 1020210178578A KR 20210178578 A KR20210178578 A KR 20210178578A KR 20230089852 A KR20230089852 A KR 2023008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ody
fastening
hol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87B1 (ko
Inventor
서승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통전를 위해 제 1 접속제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제 1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한 제 1 단자본체 및 상기 가이드홀의 안내를 따라 상기 제 1 단자본체상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제 2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2 체결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제 2 접속제와 연결되는 수용구를 갖는 제 2 단자부 및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 1 접속제와 상기 제 2 접속제의 통전을 위한 제 3 단자부를 구비한 제 2 단자본체를 포함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GROUND TERMINAL FOR BURIED BRANCH LINE OF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철탑과 매설지선의 접지 연결이 지반 침하로 인해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 정보화 및 도시화를 통하여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특징을 갖고, 특히 전력 에너지가 사용이 편리하고 수송이 간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전력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이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전력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에너지가 일반 수용가까지 송전선로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이러한 송전선로를 낙뢰와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전력설비를 보호하며, 전력 사업 측면에서 기준 전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위해 접지(Ground)가 이용된다.
송전선로의 전력선 또는 가공지선은 직격뇌를 받게 되면 뇌전류가 송전철탑의 부재를 통해 대지로 흐르게 되고, 접지저항이 큰 경우 전위가 상승하여 송전철탑과 전선사이에 역섬락이 발생되기 때문에 설비파손(애자련 섬락 및 애자파손 등)이 우려되며, 이러한 역섬락을 방지하도록 접지저항의 저감을 위해 매설지선을 설치한다.
종래에는 송전철탑에 매설지선을 연결하기 위해 압축단자를 사용하였으나, 송전선로 건설 및 보수 공사 시 지반 굴착 후 성토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반 침하에 의한 매설지선이 압축단자와 분리되어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매설지선의 단선이 발생된 경우, 접지저항의 증가로 인해 역섬락 설비고장을 초래하여 낙뢰 등의 유사 시 설비피해로 이어지므로, 사회적 안전사고 발생 및 추가 보수작업에 따른 인적, 물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침하에 따른 매설지선의 단선이 방지되는 압축단자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180호(2005.02.19. 등록, 발명의 명칭: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전철탑과 매설지선의 접지 연결이 지반 침하로 인해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송전선로의 통전를 위해 제 1 접속제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제 1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한 제 1 단자본체 및 상기 가이드홀의 안내를 따라 상기 제 1 단자본체상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제 2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2 체결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제 2 접속제와 연결되는 수용구를 갖는 제 2 단자부 및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 1 접속제와 상기 제 2 접속제의 통전을 위한 제 3 단자부를 구비한 제 2 단자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본체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자본체의 일단이 상기 제 2 체결수단의 체결력을 기반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단자본체의 타단과 서로 대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접속제 및 상기 가이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직선 이동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3 단자부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2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자본체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속제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의 일단은 상기 제 1 절곡부와 동일 선상에서 직선 이동의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단자부를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상기 제 1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홀,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가이드홀이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2 체결홀을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상기 제 3 단자부가 구비되고, 타방의 위치에 상기 제 2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단자부, 상기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2 단자부가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볼트 체결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는 제 1 단자본체 및 제 2 단자본체로 구성됨으로써, 제 2 단자본체가 제 1 단자본체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므로, 송전철탑 주변의 지반 침하 시 제 1 접속제와 제 2 접속제의 통전이 유지되기 때문에 송전철탑과 매설지선 간의 단선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본체에는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제 2 단자본체에는 제 2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절곡부를 통해 제 1 단자부와 제 3 단자부가 이격되고, 제 2 절곡부를 통해 제 1 단자본체와 제 2 단자부가 이격되므로, 제 2 단자본체의 직선 이동 시 구성 요소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지반 침하에 대응하는 제 1 단자본체와 제 2 단자본체의 상호 작동 관계가 유연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측면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1 단자본체(110) 및 제 2 단자본체(130)를 포함한다.
제 1 단자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고, 송전선로(미도시)의 통전를 위해 제 1 접속제(105)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111)와, 제 1 단자부(111)에서 이격되어 제 1 체결수단(120)이 관통하는 제 1 체결홀(113) 및 제 1 단자부(111)에서 이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115)을 구비한다.
제 1 단자부(111)는 제 1 단자본체(110)를 기준으로 횡 방향을 향해 한 쌍의 단자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제 1 접속제(105)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홀(미도시)과 상호 통전을 위해 고정 접속된다.
가이드홀(115)은 제 1 단자본체(110)의 중심 일부에 길게 연장되어 제 1 단자부(111)에 근접한 위치로 제 1 한계점이 형성되고, 제 1 단자본체(110)의 끝단에 근접한 위치로 제 2 한계점이 형성된다.
제 1 단자본체(110)는 제 1 단자부(111)를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제 1 체결홀(113)이 형성되고, 타방의 위치에 가이드홀(115)이 형성되며, 제 1 체결홀(113), 제 1 단자부(111) 및 가이드홀(115)이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된다.
제 1 단자본체(110)에는 제 1 단자본체(110)의 일단과 제 1 단자본체(110)의 타단이 서로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1 절곡부(117)가 형성된다.
제 1 절곡부(117)는 제 1 단자본체(11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제 1 단체본체의 타단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절곡부(117)를 통한 높이의 차로 인해 제 1 단자부(111)와 제 3 단자부(135)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된다.
제 1 단자본체(110)는 제 1 단자본체(110)의 일단, 제 1 절곡부(117) 및 제 2 단자본체(130)의 타단이 제 1 단자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동일한 두께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1 단자본체(110)와 상호 통전을 위해 면 접촉을 통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 2 단자본체(130)는 가이드홀(115)의 안내를 따라 제 1 단자본체(110)상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제 2 체결수단(140)이 관통하는 제 2 체결홀(131)과, 제 2 체결홀(131)에서 이격되어 제 2 접속제(30)와 연결되는 수용구(133a)를 갖는 제 2 단자부(133) 및 제 2 체결홀(131)에서 이격되어 제 1 접속제(105)와 제 2 접속제(30)의 통전을 위한 제 3 단자부(135)를 구비한다.
제 2 단자부(133)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구(133a)를 통해 제 2 접속제(30)의 선단을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제 1 단자본체(110)상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제 2 단자본체(130)와의 이격 및 이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 2 단자부(133)와 제 2 접속제(30)의 연결 구조에 관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제 3 단자부(135)는 제 2 단자본체(130)를 기준으로 횡 방향을 향해 한 쌍의 단자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제 1 접속제(105)의 타단에 형성된 단자홀(미도시)과 상호 통전을 위해 고정 접속된다.
제 2 단자본체(130)에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일단과 제 2 단자본체(130)의 타단이 서로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2 절곡부(137)가 형성된다.
제 2 절곡부(137)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제 2 단체본체의 타단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절곡부(137)를 통한 높이의 차로 인해 제 1 단자본체(110)의 타단과 제 2 단자부(133)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된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일단, 제 2 절곡부(137) 및 제 2 단자본체(130)의 타단이 모두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동일한 두께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일단이 제 2 체결수단(140)의 체결력을 기반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제 1 단자본체(110)의 타단과 서로 대면하고, 제 1 절곡부(117)와 동일 선상에서 직선 이동의 한계점을 갖는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1 접속제(105) 및 가이드홀(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직선 이동의 범위가 정해지고, 제 2 단자본체(130)의 직선 이동 범위를 제 1 접속제(105)의 신장(伸長)되는 길이 및 제 1 단자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115)의 길이로 제한할 수 있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2 체결홀(131)을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제 3 단자부(135)가 구비되고, 타방의 위치에 제 2 단자부(133)가 구비되며, 제 3 단자부(135), 제 1 체결홀(113) 및 제 2 단자부(133)가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의 구조에 있어서, 제 1 체결수단(120) 및 제 2 체결수단(140)은 볼트 체결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체결수단(120) 및 제 2 체결수단(140)은 제 1 접속제(105) 및 제 2 접속제(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120)은 볼트 체결식을 통해 제 1 단자본체(110)의 완전 체결(고정)이 유지되고, 제 2 체결수단(140)은 볼트 체결식을 통해 제 1 단자본체(110)의 가이드홀(115)을 따라 직선 이동의 위치 변화를 갖도록 불완전 체결(반고정)된다.
제 2 체결수단(140)은 제 1 단자본체(110)와 제 2 단자본체(130)가 서로 분리 방지되는 체결력의 허용 범위 내로 제 1 단자본체(110)의 가이드홀(115) 및 제 2 단자본체(130)의 제 2 체결홀(131)에 관통 결합된다.
제 1 접속제(105)는 통전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노이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의 전선부재를 둘러싸는 형태의 금속 메쉬로 구성된 실드선(shielding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단자본체(110)와 제 2 단자본체(130) 간의 상호 작동 관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결합을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제 1 단자본체(110) 및 제 2 단자본체(130)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통전되도록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이종금속 간의 이질성으로 인한 파단의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일종의 금속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1 단자본체(110) 및 제 2 단자본체(130)를 포함한다.
제 1 단자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고, 송전선로의 통전를 위해 제 1 접속제(105)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111)와, 제 1 단자부(111)에서 이격되어 제 1 체결수단(120)이 관통하는 제 1 체결홀(113) 및 제 1 단자부(111)에서 이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115)을 구비한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1 단자본체(110)의 가이드홀(115)을 따라 제 1 단자본체(110)상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제 2 체결수단(140)이 관통하는 제 2 체결홀(131)과, 제 2 체결홀(131)에서 이격되어 제 2 접속제(30)와 연결되는 수용구(133a)를 갖는 제 2 단자부(133) 및 제 2 체결홀(131)에서 이격되어 제 1 접속제(105)와 제 2 접속제(30)의 통전을 위한 제 3 단자부(135)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5에서와 같이,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1 단자본체(110)가 제 1 체결수단(120)을 통해 철탑부재(50)에 고정 설치되고, 제 1 단자본체(110)와 제 2 단자본체(130)가 제 2 체결수단(140)을 통해 체결된다.
제 2 접속제(30)는 지면(90) 내에 시공된 매설부재(70)를 이용하여 철탑부재(50)에 인접하도록 연장 구비되고, 철탑부재(50)에 진입된 제 2 접속제(30)와 제 2 단자본체(130)의 제 2 단자부(133)가 서로 연결되어 제 1 접속제(105)와 제 2 접속제(30)의 상호 통전을 기반으로 접지가 이루어진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직선 이동을 위한 제 1 한계점이 제 1 단자본체(110)의 제 1 절곡부(117)와 동일 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제 1 접속제(105)가 제 2 단자본체(130)의 제 1 한계점에서 최대 이완력을 갖는다.
도 4(b) 및 도 6에서와 같이, 철탑부재(50)의 주위에 지반 침하가 발생된 경우, 철탑부재(50)의 주변에는 지반 변화로 인해 생긴 침하 공간이 발생된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제 2 접속제(30)가 지반 침하의 영향으로 하방을 향해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인장력에 대응하여 제 2 단자본체(130)가 가이드홀(115)의 형상을 기반으로 하강 이동된다.
제 2 단자본체(130)는 하강 이동을 위한 제 2 한계점이 제 1 단자본체(110)의 끝단에서 이루어지고, 제 1 접속제(105)가 제 2 단자본체(130)의 제 2 한계점에서 최대 신장력을 갖는다.
제 1 접속제(105)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제 2 한계점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제 1 단자본체(110) 및 제 2 단자본체(130)가 제 1 접속제(105)와의 연결을 기반으로 통전되어 제 2 체결수단(140)의 체결을 통해 서로에 대한 위치 변화를 갖는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지반 침하의 복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제 2 체결수단(140)을 통해 제 1 한계점의 위치 또는 최초의 위치에 불완전 체결(반고정)로 배치될 수 있다.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2 단자본체(130)의 위치 변화를 위한 한계점을 제 1 한계점 및 제 2 한계점으로 구현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환경에 따라 제 2 단자본체(130)의 위치 변화에 대한 한계점이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한계 지점이 제 2 단자본체(130)의 위치 변화에 대한 가이드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2 접속제(30)의 길이 조절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지반 침하의 현상 시 제 2 접속제(30)에 전달된 신장력에 의해 제 2 접속제(30)가 단선되거나 또는 손상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제 2 접속제(30)의 길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2 체결수단(140)의 가압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제 2 단자본체(130)를 제 1 단자본체(110)의 가이드홀(115)상의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 체결수단(140)을 일정 범위의 가압력으로 조절한 후 철탑부재(50)와 매설된 제 2 접속제(30)의 접지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100)는 제 1 단자본체(110) 및 제 2 단자본체(130)로 구성됨으로써, 제 2 단자본체(130)가 제 1 단자본체(110)상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므로, 철탑부재(50) 주변의 지반 침하 시 제 1 접속제(105)와 제 2 접속제(30)의 통전이 유지되기 때문에 철탑부재(50)와 매설지선인 제 2 접속제(30) 간의 단선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제 1 단자본체(110)에는 제 1 절곡부(117)가 형성되고, 제 2 단자본체(130)에는 제 2 절곡부(137)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절곡부(117)를 통해 제 1 단자부(111)와 제 3 단자부(135)가 이격되고, 제 2 절곡부(137)를 통해 제 1 단자본체(110)와 제 2 단자부(133)가 이격된다.
제 2 단자본체(130)는 직선 이동 시 구성 요소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 1 단자본체(110)와 제 2 단자본체(130)의 상호 작동 관계가 지반 침하에 대응하도록 유연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제 1 접속제 50: 철탑부재
70: 매설부재 90: 지면
100: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105: 제 1 접속제 110: 제 1 단자본체
111: 제 1 단자부 113: 제 1 체결홀
115: 가이드홀 117: 제 1 절곡부
120: 제 1 체결수단 130: 제 2 단자본체
131: 제 2 체결홀 133: 제 2 단자부
133a: 수용구 135: 제 3 단자부
137: 제 2 절곡부 140: 제 2 체결수단

Claims (8)

  1. 송전선로의 통전를 위해 제 1 접속제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제 1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한 제 1 단자본체; 및
    상기 가이드홀의 안내를 따라 상기 제 1 단자본체상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제 2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 2 체결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제 2 접속제와 연결되는 수용구를 갖는 제 2 단자부 및 상기 제 2 체결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 1 접속제와 상기 제 2 접속제의 통전을 위한 제 3 단자부를 구비한 제 2 단자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본체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 차이를 갖기 위한 제 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자본체의 일단이 상기 제 2 체결수단의 체결력을 기반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단자본체의 타단과 서로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접속제 및 상기 가이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직선 이동의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3 단자부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2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자본체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속제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의 일단은 상기 제 1 절곡부와 동일 선상에서 직선 이동의 한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본체는 상기 제 1 단자부를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상기 제 1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홀,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가이드홀이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본체는 상기 제 2 체결홀을 기준으로 일방의 위치에 상기 제 3 단자부가 구비되고, 타방의 위치에 상기 제 2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단자부, 상기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2 단자부가 동일 선상에서 순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볼트 체결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KR1020210178578A 2021-12-14 2021-12-14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KR10262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78A KR102621387B1 (ko) 2021-12-14 2021-12-14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78A KR102621387B1 (ko) 2021-12-14 2021-12-14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52A true KR20230089852A (ko) 2023-06-21
KR102621387B1 KR102621387B1 (ko) 2024-01-08

Family

ID=8698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78A KR102621387B1 (ko) 2021-12-14 2021-12-14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14U (ko) * 1997-05-16 1998-12-05 김홍규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KR200454035Y1 (ko) * 2009-09-28 2011-06-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접지선 길이 조절장치
KR101479229B1 (ko) * 2013-08-21 2015-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KR20190036302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속개소 과열방지 클램프
KR20210145991A (ko) * 2020-05-26 2021-12-03 한국전력공사 인입소주의 접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14U (ko) * 1997-05-16 1998-12-05 김홍규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KR200454035Y1 (ko) * 2009-09-28 2011-06-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접지선 길이 조절장치
KR101479229B1 (ko) * 2013-08-21 2015-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KR20190036302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속개소 과열방지 클램프
KR20210145991A (ko) * 2020-05-26 2021-12-03 한국전력공사 인입소주의 접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87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78174U (zh) 输电线路防风偏闪络装置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ATE450873T1 (de)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abschirmungsanordnung
CN204304012U (zh) 一种软体石墨防雷接地装置
KR20230089852A (ko)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CN205706239U (zh) 一种导电轨膨胀接头分流器限位装置
CN103762529A (zh) 一种电缆护套
CN211404767U (zh) 一种插拔型接地线接地桩
KR102063823B1 (ko) 철도 전기설비용 접지장치
CN218351727U (zh) 一种接线线夹及使用该接线线夹的输电线路
CN206098764U (zh) 接地网及接地网的安装结构
CN100394204C (zh) 输配电系统接地线检测方法
CN105206951A (zh) 一种电极连接板
CN101820155B (zh) 一种输电线路杆塔接地网联接专用联板
CN218182482U (zh) 一种临时建筑物的等电位连接结构
RU210632U1 (ru)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ной защиты 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связи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и элементами от грозовых разрядов на опушке леса
CN201577158U (zh) 一种具有增强防雷能力的铁路综合视频监控系统
KR102305530B1 (ko) 전후 조립형 전주용 상부 지지대
CN209056636U (zh) 一种等电位连接装置
CN211404766U (zh) 一种插拔型接地线接地装置
CN112038794B (zh) 接地配件、接地装置和变压器
CN215817372U (zh) 10kV电缆应急快速分接箱
CN214626240U (zh) 一种电动挖掘机接线盒总成
RU2784742C1 (ru) Тро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линейными и вертикальными заземлителями для усиленной защиты от грозовых разрядов на опушке леса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и элементами двухкабель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CN212626114U (zh) 一种用于广电工程的地线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