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696A -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 Google Patents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696A
KR20230089696A KR1020210178308A KR20210178308A KR20230089696A KR 20230089696 A KR20230089696 A KR 20230089696A KR 1020210178308 A KR1020210178308 A KR 1020210178308A KR 20210178308 A KR20210178308 A KR 20210178308A KR 20230089696 A KR20230089696 A KR 2023008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brown
dormant
long
ter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상민
송정훈
김소윤
김원태
장규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17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696A/en
Publication of KR2023008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의 유충의 휴지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목적에 맞춰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을 제공할 수 있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방법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기로 개체의 손실없이 높은 생존율로 장기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한 순간에 적절히 휴지타파하여 목적하는 상품인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term storage method of brown mealworm larvae capable of maintaining the dormant state of brown mealworm larva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providing larvae, pupae or adults according to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long-term storage method for brown mealworm larvae of the present invention, brown mealworm larvae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a high survival rate without loss of objects in the dormant period, and can be appropriately broken at the necessary moment to provide the desired product in the form of larvae, pupae or adults. Therefore, it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arm households.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 방법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목적에 맞춰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을 제공할 수 있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term storage method of brown mealworm larvae capable of maintaining the dormant state of brown mealworm larva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providing larvae, pupae or adults according to the purpose.

최근 천연물 소재로 알려진 유용 곤충의 다양성과 활용성이 보고됨에 따라, 이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곤충 산업에 대한 지원과 정책을 통해 식품 제조 및 유통이 가능한 곤충들을 등록 및 관리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useful insects known as natural materials have been reported, consumer interest in them is also increasing. In Korea, insects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as food are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support and policies for the insect industry.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Coleoptera Tenebrion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중국, 캄보디아, 태국 및 멕시코에서는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대부분 애완동물의 사료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천연물 신약으로 개발 가능한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곤충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갈색거저리 유래 단백질, 화합물 등이 근감소증, 항혈전, 지방간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보고됨에 따라 이들을 식의약용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rown mealworm ( Tenebrio molitor ) is an insect belonging to the Coleoptera Tenebrionidae and is widely used for food in China, Cambodia, Thailand and Mexico, but is mostly used as pet food in Korea. However, interest in natural product-derived functional foods is currently growing, and demand for insects that are believed to contain various substances that can be developed as natural new drugs is gradually increasing.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ntithrombosis and fatty liver, studies to use them for food and medicin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갈색거저리의 유충은 밀웜이라고도 불리며 이미 시중에 스낵과 요리로 만들어져 팔리고 있고,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밀웜의 식용 판매를 위해 대량사육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2014년 갈색거저리의 식용 이용과 독성 존재 여부를 연구한 결과 인체에 무해하다는 사실을 밝혀내 식품의약품안전처도 갈색거저리의 유충을 식용으로 인정한 바 있다. 우리나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갈색거저리 유충(밀웜)의 식용을 추진시키기 위해 '고소한 애벌레'라는 뜻의 '고소애'로 부를 것을 제안하였으며, 소고기 100g에는 단백질 21g이 들어 있는데 반해 '고소애'에는 50g이 함유돼 있어 육류를 대체하는 미래식량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심혈관 질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larvae of the brown mealworm are also called mealworms and are already being made and sold as snacks and dishes on the market, and it is known that many countries in Europe are also mass-breeding mealworms for edible sales. In Korea,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edible use and toxicity of brown mealworms in 2014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y we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lso recognized brown mealworm larvae as foo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Korea suggested calling it 'Gosoae', which means 'savory caterpillar', to promote the eating of brown mealworm larvae (mealworms). It is in the limelight as a future food substitute for meat. In addition, it has a high protein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한편 갈색거저리는 특히 유충 상태에서 그 유용성이 극대화되고, 식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나, 농가에서 유충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하기도 어려워 노동력이나 비용이 낭비되고 있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농가에서 갈색거저리 유충의 생산 및 출고를 적절히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brown mealworms are particularly useful in the larvae state and can be used as food, but it is difficult for farms to adjust production according to the demand of larvae, and labor and costs are wasted,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intain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brown gourd larvae in farms, and research on appropriate methods to solve this is necessary.

본 발명자들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기에서 장기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적절한 저온 조건과 휴지타파 온도 조건의 조합이 갈색거저리 유충을 높은 생존율로 장기간 유지시키고, 휴지타파 조건의 조절을 통해 번데기화 또는 유충 유지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확인하였다. While studying a method for long-term storage of brown mealworm larvae in dormancy, the combination of appropriate low temperature conditions and dormancy breaking temperature conditions maintains brown mealworm larvae with a high survival r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pupation occurs through control of dormancy breaking conditions. Alternatively, it was confirmed that larvae maintenance could be controll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1) breeding brown gourd 6 to 8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It provides a long-term storage method of brown gourd larvae, including a.

또한 본 발명은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1) breeding brown goose 6 to 8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It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ting period of brown gourd larvae, including.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방법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기로 개체의 손실없이 높은 생존율로 장기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한 순간에 적절히 휴지타파하여 목적하는 상품인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ong-term storage method for brown mealworm larvae of the present invention, brown mealworm larvae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a high survival rate without loss of objects in the dormant period, and can be appropriately broken at the necessary moment to provide the desired product in the form of larvae, pupae or adults. Therefore, it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arm househol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 방법의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ng-term storage method for brown gourd larv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방법 및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long-term storage of brown mealworm larva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ting period of brown mealworm larvae.

본 발명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기 상태로 장기간 유지하여 원하는 시기에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개체 소실없이 높은 생존율로 갈색거저리를 장기 저장할 수 있고, 최종 목적 산물의 종류에 따라 저온 저장 온도 및 휴지 타파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갈색거저리를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larvae, pupae or adults at a desired time by maintaining the brown mealworm larvae in a dormant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rown geese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ith high survival rate without object loss, and the low-temperature storage temperature and dormant breaking temperatur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inal target product to transform brown geese into larvae, pupae or adults. can be adjust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1) breeding 6 to 8 instar larvae of brown goos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It relates to a long-term storage method of brown gourd larvae, including.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면서 유충의 먹이원으로 밀기울을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10℃ 미만의 조건에서 사육하는 경우, 먹이원 유무와 상관없이 매우 높은 폐사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25℃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사육하는 경우 유충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평균 63일 뒤에 모두 번데기화 되어 버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의 유충의 장기 저장에 있어서 저온 조건을 부가할 수 있으나, 너무 낮은 온도는 오히려 곤충의 폐사를 유발할 수 있고, 통상의 사육온도는 유충 상태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므로,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에서 매우 세부적인 온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at bran can be fed as a food source for the larvae while breeding the 6th to 8th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brown gourd larvae are reared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10 ° C, very high mortality occur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od source, and when reared at a temperature of 25 ° C or higher, the larvae state is not maintained, and the average After 63 days,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m were pupated. These results can add low-temperature conditions for long-term storage of larvae of 6 to 8 instars of brown goose, but too low a temperature can rather cause the death of insects, and normal breeding temperatures do not properly maintain the larvae, , indicating that very detailed temperature control is required for long-term storage of brown mealworm larvae.

따라서, 갈색거저리 유충 상태를 휴지기로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조건은 10 내지 16℃이며, 상기 온도에서 밀기울을 급여하면서 사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휴지기란, 갈색거저리 유충이 부적절한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과 대사율 감소를 나타내는 기간을 의미한다. 환경이 다시 개선되면 다시 발육이 시작될 수 있고, 이를 유도하는 것을 휴지타파라고 한다. Therefore, th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 for maintaining the brown gourd larvae in a dormant state is 10 to 16 ° C,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breed while feeding wheat bran at this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ing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brown gourd larvae show a direct response to an inappropriate environment and a decrease in metabolic rate. When the environment improves again, growth can begin again, and inducing this is called break-in.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 상태는 불리한 환경에서는 발육이 바로 진행되지 않다가,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되었을 때 바로 발육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되었을 때에도 발육이 바로 진행되지 않는 휴면상태와 구별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온도 조절을 통해 갈색거저리의 발육 정지 및 진행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The dormant state of brown gourd larvae means that growth does not proceed immediately in unfavorable environments, but development proceeds immediately when an environment suitable for growth is reached. is distinguished from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trol the growth stop and progress of brown gourds through optimal temperature control.

상기와 같은 최적의 온도 조건 부여에 의하여,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의 유충은 일반적인 유충 사육 시 유충 유지 기간인 평균 63일 보다 장기간인 100일 내지 160 일 동안 유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0일 내지 150 일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135일 내지 145 일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 상태가 최대 160까지, 바람직하게는 145 일까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농가에서 상기 기간 내 휴지 타파를 하여 번데기를 유도하고자 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larvae of 6 to 8 instars can maintain a larval state for 100 to 160 days, which is longer than the average larva maintenance period of 63 days during general larva breeding, and preferably 130 days to 150 days, most preferably 135 days to 145 day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te of brown gourd larvae can be maintained up to 160 days, preferably up to 145 days, farmhouses can select the time to induce pupation by breaking dormancy within the above period.

한편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상태가 장기간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휴지타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업적 가치가 훼손되므로, 휴지타파 후에도 개체의 사멸이 발생하지 않는지, 개체의 생장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또한 갈색거저리는 주로 유충으로 상업적 가치를 가지므로, 고객의 주문에 따라 농가에서 유충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을 제공할지 번데기 또는 성충 상태로 유도하여 상품을 제공할지에 따른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ormant state of brown mealworm larva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commercial value is damaged if dormancy is not properly broken, so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individual does not die and that the individual's growth can be properly maintained even after dormancy breaking. do. In addition, since brown mealworms have commercial value mainly as larvae, it is necessary to adjus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depending on whether the product is provided by maintaining the larva state in the farmhouse or by inducing it to a pupa or adult state.

이에 본 발명에서는 10 내지 16℃에서 장기간 저장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18 내지 30 ℃에서 휴지타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brown gourd larvae stored for a long time at 10 to 16 ° C are dormant at 18 to 30 ° C.

10 내지 12 ℃ 의 저온에서 장기 저장하는 경우, 이 후 18 내지 30℃ 의 온도 조건에서 휴지타파를 시도하여도 2 내지 3주 후 번데기가 유도되지 않거나 거의 유도되지 않았으며, 휴지타파 후에도 유충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었다. In the case of long-term storage at a low temperature of 10 to 12 ° C., even if dormant breaking was attempted at a temperature of 18 to 30 ° C., pupae were not or hardly induced after 2 to 3 weeks, and even after dormant breaking, the larvae stat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최종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가 유충인 경우,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0 내지 12℃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18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0 내지 12℃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25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te to be finally provided is larvae, the larvae of step 1) are reared at 10 to 12 ° C, and step 2) is performed at 18 to 30 ° C. More specifically, the larvae of step 1) may be reared at 10 to 12 ° C, and step 2) may be performed at 25 to 30 ° C.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농가에서는 예컨대 140 일 후 생산이 필요한 유충이 필요한 경우 10℃ 내지 12℃에서 저온 장기 저장 후에 25℃ 내지 30℃로 휴지 타파하면 각 저장 조건에 따라 휴지 타파 시작 3주 또는 2주 안에 생산에 적합한 무게를 갖는 유충을 생산할 수 있다.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arms, if larvae that need to be produced after 140 days, for example, are stored for a long time at a low temperature at 10 ° C to 12 ° C, and then dormant breaking at 25 ° C to 30 ° C, it takes 3 weeks to start dormant breaking according to each storage condition. Alternatively, it can produce larvae of suitable weight for production within two weeks.

반면 최종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가 번데기 또는 성충인 경우,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4℃ 내지 16℃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18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4℃ 내지 16℃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30℃ 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tate to be finally provided is a pupa or an adult, the larvae of step 1) may be reared at 14 ° C to 16 ° C, and step 2) may be performed at 18 to 30 ° C. As a result, the larvae of step 1) may be reared at 14 ° C to 16 ° C, and step 2) may be performed at 30 ° C.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농가에서는 예컨대 140 일 후 성충이 필요한 경우, 14℃ 내지 16℃에서 저온 장기 저장 후에 18℃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로 휴지 타파하면 휴지 타파 시작 3주만에 90% 이상을 번데기로 유도할 수 있고, 60% 정도가 성충이 되므로, 적절하게 번데기 또는 성충을 제공할 수 있다.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arms, if imagos are needed after 140 days, for example, long-term storage at low temperature at 14 ° C to 16 ° C, then dormancy breaking at 18 ° C to 30 ° C, most preferably 30 ° C, only 3 weeks from the start of dormant breaking Since more than 90% can be induced into pupae and about 60% become adults, pupae or adults can be provided appropriately.

특히, 본 발명의 저온저장 및 휴지타파 온도에서 갈색거저리 유충을 장기저장하는 경우, 높은 유충 무게를 달성하였고, 15℃ > 12℃ > 10℃ 순으로 높은 유충 무게를 나타내므로, 농가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ng-term storage of brown mealworm larvae at the low-temperature storage and dormancy breaking temper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larvae weight was achieved, and the larvae weight was high in the order of 15 ° C > 12 ° C > 10 ° C, effectively increasing farm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휴지타파 1주 후 유충의 무게는 0.06 내지 0.15g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휴지타파 2 내지 3주 후 생산에 적합한 0.1g 이상의 유충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갈색거저리 유충이 필요한 시점에 장기간 생존을 유지하며 휴지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던 유충을 빠르게 발육 유도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weight of the larvae after 1 week of dormant brea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6 to 0.15 g, an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0.1 g or more suitable for production after 2 to 3 weeks of do not break. Since larvae can be produced, it is possible to rapidly induce development of larvae that have been maintained in a dormant state while maintaining long-term survival at the time when brown gourd larvae are needed.

또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1) breeding brown gourd 6 to 8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It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ting period of brown gourd larvae, inclu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밀기울을 먹이원으로 급여하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일 수 있고, 상기 1) 단계는 휴지기를 100 내지 160일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160 일 동안 원하는 만큼 갈색거저리 유충 기간, 휴지기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휴지타파 온도 개시 시점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갈색거저리의 유충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갈색거저리 유충의 저온 저장 온도 조건 및 휴지 온도의 조합은 휴지 유도 후 유충 유지 또는 번데기, 성충 단계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의 조절을 통해 최종 목적으로 하는 갈색거저리의 생육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may be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while feeding wheat bran as a food source, and step 1)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rmant period is maintained for 100 to 160 day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mealworm larval period and dormant period can be maintained as desired for up to 160 days, and the larval period of the brown mealworm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tart time of the dormancy breaking temperatur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of the cold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resting temperature of the brown mealworm larvae affects the maintenance of the larva after induction of rest or the change to the pupal and adult stages, so through these adjustments, the final target brown meal Growth stages can be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유충 기간 조절은 갈색거저리 유충 휴지 기간 조절, 유충 상태 유지 또는 번데기화 조절을 포함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of the larval period includes control of the dormant period of the brown gourd larvae, maintenance of the larval state, or control of pupation.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조절 방법은, 앞서 갈색거저리 유충 장기 저장방법에 관한 설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를 생략하였다.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ting period of brown mealworm larva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long-term storage method for brown mealworm larvae. In this specification, in order to avoid complex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s is omitted.

본 발명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elow.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온도 및 먹이원 유무에 따른 갈색거저리 장기 저장 조건 확인 Example 1. Confirmation of long-term storage conditions for brown gees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presence of food source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사육중인 갈색거저리를 페트리접시(60x15mm)에 밀기울 0.1g를 공급하여 개별 사육하였고, 온도 조건을 제외한 습도(40%)는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갈색거저리의 생장을 멈추고 휴지기에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0.02 내지 0.04g 의 6 내지 8주령의 갈색거저리를 다양한 저온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 적정 사육온도로 알려져 있는 25℃ 를 대조군으로 하고, 5℃, 10℃, 12℃, 15℃ 저온 조건에서 사육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실험군은 30 마리씩 사육하였다. 또한 각 온도 조건에서 먹이원으로 밀기울 급여 여부를 달리하고 먹이원 급여여부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갈색거저리의 생존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brown geese being br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were individually bred by supplying 0.1 g of wheat bran to a Petri dish (60x15mm),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same humidity (40%) except for the temperature conditions. In order to stop the growth of brown geese and confirm the optimal conditions for long-term storage in the dormant period, 0.02 to 0.04 g of 6 to 8-week-old brown geese were bred under various low-temperature conditions. Specifically, 25 ℃, which is known as a normal breeding temperature, was used as a control group, and breeding was perform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5 ℃, 10 ℃, 12 ℃, and 15 ℃, and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bred by 30 animals. In addition, wheat bran was fed as a food source under each temperature condition, and the effect of feeding as a food source was confirmed. Table 1 shows the survival rate of brown geese in each condition.

5℃5℃ 10℃10℃ 12℃12℃ 15℃15℃ 25℃25℃ 밀기울 유bran oil 60%60% 100%100% 97%97% 100%100% 96.696.6 밀기울 무bran radish 47%47% 66.666.6 76.676.6 100%100% 0%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적정사육 온도인 25℃ 에서는 생존이 잘 유지되나 평균 63일 뒤에 모두 번데기가 되어 목적하는 휴지기에서의 장기 저장을 달성할 수 없었으나, 10 내지 15℃ 로 사육 온도를 유지하고 밀기울을 공급한 실험군에서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면서 번데기가 되지 않고 유충의 상태를 유지하여 휴지기로 장기간 저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조건에서 갈색거저리 유충은 약 140 일 동안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반면 저온 조건 중 5℃ 조건에서 사육한 실험군에서는 밀기울 미공급 시에는 50% 이하의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밀기울을 공급하더라도 60% 의 생존율을 나타내 장기 저장에 부적절한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survival is well maintained at 25 ° C, which is a general optimum breeding temperature, but all become pupae after an average of 63 days, and long-term storage in the desired resting period could not be achie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maintained and supplied with wheat bran,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a dormant period by maintaining a larval state without becoming a pupa while showing a high survival rate. In particular, under the above conditions, brown gourd larvae could be stored for a long time for about 140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raised at 5 ° C among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survival rate was less than 50% when wheat bran was not supplied, and the survival rate was 60% even when wheat bran was supplied, confirming that it was an unsuitable condition for long-term storage.

상기 결과를 통해 6 내지 8령의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기 상태로 장기 저장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10 내지 15℃ 의 저온 조건 및 밀기울 급여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long-term storage of 6 to 8 instar brown mealworm larvae in a dormant state were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10 to 15 ° C and wheat bran feeding conditions.

실시예 2. 휴지타파 조건 확인 Example 2. Confirmation of break breaking conditions

실시예 1과 같이 장기 생존이 달성되었어도 휴지타파 시 개체가 사멸할 수 있어, 최적의 휴지타파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10℃ 내지 15℃ 조건에서 밀기울을 급여하면서 저장하여 140 일 동안 생존한 개체들을 대상으로 휴지 타파를 수행하였고, 각 실험군에서 10 마리 유충을 임의로 선발하여 실시하였다. 휴지 타파를 위한 온도는 18℃, 25℃, 30℃ 조건으로 달리하였고, 매주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의 밀기울 급여 사육 실험군에 휴지타파 온도 조건을 부여하고 각 조건에서 개체의 번데기가 최초로 나타난 시점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Even if long-term survival was achieved as in Example 1, the individual could die during dormancy breaking, so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optimal dormancy breaking conditions. In Example 1, dormancy breaking was performed on individuals who survived for 140 days by feeding and storing bran at 10 ° C to 15 ° C, and 10 larva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experimental group. The temperature for rest breakup was varied under conditions of 18 ° C, 25 ° C, and 30 ° C, and the weight was measured every week. The dormant breaking temperature conditions were given to the bran-fed breeding experimental group of Example 1, and the time points at which the pupae of the individuals first appeared in each condition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에서 저온 저장되고 밀기울을 급여한 모든 군은 18, 25, 30℃ 의 휴지타파 온도에서 각각 3주, 2주, 2주차만에 번데기가 확인되었다. 특히 30℃ 조건에서는 2주차에 약 60%의 개체가 번데기화되었고, 3주차에는 90%가 번데기화되어 가장 우수한 번데기 생산능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조건에서 60% 정도가 성충이 되었다. 반면 12℃ 조건에서 저온저장 및 밀기울을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25℃ 휴지타파 조건에서만 3주차에 번데기가 확인되고, 10℃ 조건에서 저온 저장 및 밀기울을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4주차까지도 번데기가 확인되지 않아 유충의 상태가 장기간 계속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저온저장 온도 10 내지 15℃ 와 무관하게 18℃ 에서 휴지타파를 시도하는 경우,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번데기가 확인되는 시기가 늦으므로, 유충 장기 저장에는 적절하나 다른 실험군 대비 다소 발육이 더딘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2, all groups fed bran and stored at a low temperature at 15 ° C. pupae were confirmed in 3 weeks, 2 weeks, and 2 weeks, respectively, at dormant temperatures of 18, 25, and 30 ° C. In particular, under the condition of 30 ° C., about 60% of the individuals pupated at 2 weeks, and 90% at 3 weeks showed the best pupal production ability, and about 60% of them became adults under the above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fed wheat bran and stored at a low temperature at 12℃, pupae were confirmed at 3 weeks only at 25℃ dormant break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ition of the larvae wa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when dormancy is attempted at 18 ° C regardless of the cold storage temperature of 10 to 15 ° C, the time to confirm pupae is late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 conditions, so it is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of larva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is somewhat slower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did

한편 밀기울을 미급여하고 저온 저장한 실험군에서는 살아남은 개체들도 본 휴지타파 실험에서 밀기울을 다시 급여하고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사육하였음에도 모두 폐사하거나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않아, 저온 조건에서 장기 저장하는 경우 밀기울 공급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not fed wheat bran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all surviving individuals either died or did not grow normally even though they were fed wheat bran again and rear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is breakout experiment, so when stored for a long time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supply of bran was reduced. confirmed to be essential.

휴지기 타파 조건에서 1주 차에 각 유충의 무게를 각각의 조건별로 비교하고, 그 결과를 비모수 검정 (Mann-Whitney test) 를 통해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서 유충의 무게 변화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weight of each larva was compared for each condition at 1 week in the dormant breaking condi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rough a non-parametric test (Mann-Whitney test). The weight change of the larvae in each condition i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휴지기 타파 조건에서 1주차의 유충의 무게는 15℃ > 12℃ > 10℃ 순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10 내지 12℃ 저온 저장 조건 후 25 또는 30℃로 휴지 타파하면 모든 실험군에서 0.1g 이상의 무게로 발육이 진행되므로, 각 저장 조건에 따라 3주 또는 2주 안에 생산에 적합한 유충의 무게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can be see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the larvae of the first week in the dormant breaking condi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15 ° C > 12 ° C > 10 ° C. When resting at 25 or 30 ° C after 10 to 12 ° C low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development proceeds with a weight of 0.1 g or more in all experimental groups, so larvae suitable for production can be obtained within 3 weeks or 2 weeks depending on each storage condition confirmed.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주로 식용이나 사육용으로 유충이 활용되는 갈색거저리를 적절한 저온 조건을 부가하여 휴지기 유충 상태를 140 일 동안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휴지 타파 온도 조건의 부가를 통해 번데기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컨대 농가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본 발명의 저온 저장 온도인 10 내지 15℃에서 140일 이상 휴지기 상태로 장기 저장 할 수 있으며, 수요자가 유충을 요청하면 10 내지 15℃에서 저온저장 후 25 내지 30℃에서 사육하여 유충을 제공하고, 성충을 요청하면 15℃에서 저온저장 후 30℃에서 사육하여 성충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ormant larvae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140 days by adding appropriate low-temperature conditions to brown goose, whose larvae are mainly used for food or breeding, and through the addition of appropriate dormant breaking temperature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palization time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n farms, brown gourd larvae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dormant state for more than 140 days at 10 to 15 ° C, which is the low temperature storage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arvae are provided by breeding, and if adults are requested, adults can be provided by breeding at 30 ° C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at 15 ° C.

Claims (12)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장기 저장 방법.
1) Breeding 6 to 8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A long-term storage method of brown gourd larva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밀기울을 먹이원으로 급여하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1) is performed while feeding wheat bran as a food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휴지기를 100 내지 160일 동안 유지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1) maintains the resting period for 100 to 160 days.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가 유충인 경우,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0 내지 12℃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18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final state to be provided is a larva,
Raising the larvae in step 1) at 10 to 12 ° C,
The method of performing step 2) at 18 to 30 ° C.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0 내지 12℃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25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4,
Raising the larvae in step 1) at 10 to 12 ° C,
The method of performing step 2) at 25 to 30 ° C.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가 번데기 또는 성충인 경우,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4℃ 내지 16℃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18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final state to be provided is a pupa or an adult,
Raising the larvae in step 1) at 14 ° C to 16 ° C,
The method of performing step 2) at 18 to 30 ° C.
제6항에 있어서,
최종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가 번데기 또는 성충인 경우,
상기 1) 단계의 유충을 14℃ 내지 16℃ 에서 사육하고,
상기 2) 단계를 30℃ 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f the final state to be provided is a pupa or an adult,
Raising the larvae in step 1) at 14 ° C to 16 ° C,
Where step 2) is performed at 30° C.
제1항에 있어서, 2) 단계의 휴지타파 1주 후 유충의 무게는 0.06 내지 0.1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of the larvae after 1 week of dormancy in step 2) is 0.06 to 0.15 g.
1) 갈색거저리 6 내지 8령 유충을 10 내지 16℃에서 사육하는 단계; 및
2) 18 내지 30 ℃ 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휴지타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휴지기 조절 방법.
1) Breeding 6 to 8 instar larvae at 10 to 16 ° C; and
2) dormant breaking of the brown gourd larvae raised in step 1) at 18 to 30 ° C;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ting period of brown gourd larva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밀기울을 먹이원으로 급여하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tep 1) is performed while feeding wheat bran as a food sour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휴지기를 100 내지 160일 동안 유지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tep 1) maintains the resting period for 100 to 160 day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기 조절은 갈색거저리 유충 휴지 기간 조절, 유충 상태 유지 또는 번데기화 조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of the rest period includes control of the dormancy period of brown gourd larvae, maintenance of the larval state, or control of pupation.
KR1020210178308A 2021-12-14 2021-12-14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KR202300896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308A KR20230089696A (en) 2021-12-14 2021-12-14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308A KR20230089696A (en) 2021-12-14 2021-12-14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96A true KR20230089696A (en) 2023-06-21

Family

ID=8698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308A KR20230089696A (en) 2021-12-14 2021-12-14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6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de Biology, ecology, and control of Lasioderma serricorne (F.)(Coleoptera: Anobiidae): A review
KR101549254B1 (en) Mite composition comprising glycyphagidae and phytoseiid mites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Finch et al. A method for the continuous rearing of the cabbage root fly Erioischia brassicae (Bch.) and some observations on its biology
ES2546653T3 (en) Production of live "mini-larvae" of insects and their use for the feeding of aquarium fish, fry of farmed fish and companion animals
KR101660379B1 (en) Method for Stimulating Rapid Growth of Tenebrio molitor Larvae
Zou et al. A meridic diet for continuous rearing of Arma chinensis (Hemiptera: Pentatomidae: Asopinae)
Vangansbeke et al. Diet-dependent cannibalism in the omnivorous phytoseiid mite Amblydromalus limonicus
EP2764775B1 (en) Mite rearing methods
CN101380064A (en) New feedstuff for breeding yellow meal worm larva
CN102450250A (en) Bacteriostatic mildew-resistant insecticidal sustained release agent prepared from sol/gel also used as insect attractant
Ssepuuya et al. Suitability of egg hatching conditions and commonly available food plants for rearing the long-horned grasshopper Ruspolia differens Serville (Orthoptera: Tettigoniidae)
Jumaev et al. In vitro mass reproduction of parasitic entomophages (Braconidae, Trichogrammatidae)
Ashworth The biology of Ephestia elutella
Marris et al. The biology of the ectoparasitoid wasp Eulophus pennicornis (Hymenoptera: Eulophidae) on host larvae of the tomato moth, Lacanobia oleracea (Lepidoptera: Noctuidae)
KR20230089696A (en) A long term storage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Walzer et al. Spatiotemporal within-plant distribution of the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associated specialist and generalist predators
CN106719456B (en) A method of extending Yellow meal worm larva culturing time
KR20170052128A (en) Diet composition for Tenebrionidae larvae
CN103814865B (en) The artificial breeding method of beak tail Chinese lute first
US20220272984A1 (en) Feed Stuff for Beneficial Organisms that can be used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EP2982242B1 (en) Mite composition, the rearing thereof and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control systems.
Strickland The Biology of Ceratophyllus fasciatus Bosc., the Common Rat-Flea of Great Britain1
KR20160041317A (en) Long-Term conservation method of Tenebrio molitor larvae
CN112471082A (en) Broad-band optimized aphid fly breeding method
Majerus Ladyb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