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672A -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672A
KR20230089672A KR1020210178257A KR20210178257A KR20230089672A KR 20230089672 A KR20230089672 A KR 20230089672A KR 1020210178257 A KR1020210178257 A KR 1020210178257A KR 20210178257 A KR20210178257 A KR 20210178257A KR 20230089672 A KR20230089672 A KR 20230089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data
construction cost
analysis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인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택
Priority to KR102021017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672A/en
Publication of KR2023008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건축물 이미지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방법은, 건축비용 분석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 지정된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의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연산하는 건축비용 분석 단계; 및 상기 제1 건축 비용 및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건축비용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using a building image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ysis target building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nalysis target building as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target;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to be analyze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of calculating a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present time, based on the select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Description

건축물 이미지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using building images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건축물 이미지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using a building image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를 산정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감정평가를 전문적으로 하는 전문가가 토지 및 건축물, 부속 건축물의 가치를 직접 방문하여 산정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alculate the value of a building, an expert specializing in appraisal generally visits and calculates the value of land, buildings, and attached buildings.

이러한 감정 평가 방법에 의할 경우, 토지의 경제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가액으로 표기하고, 건축물의 경제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판정하고 해당 건축물의 소유권리권에 관한 정보를 반영한 결과를 가액으로 표기하며, 건축물의 용도, 구조, 노후도 등 건축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해당 건축물의 가치산정에 안분하여 반영한다.In the case of this appraisal method, the economic value of the land is determined first, and the result is expressed as the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of the building is determined first, and the result of reflecting information on the ownership right of the building is expressed as the value Building information such as use, structure, and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is checked with the naked eye and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value of the building in proportion.

다만, 이러한 감정평가 방법은 건축물의 가치산정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할 건축구조, 마감자재, 골조 등 건축에 사용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초기 건축비용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지 않으며, 주변 유사 실거래 사례를 참고하여 건축물 및 부속 건축물의 가치를 산정함에 따라 명확한 건축물 가치 산정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However, this appraisal method does not check various information used in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structure, finishing materials, and frame, which are essential to calculate the value of a building, does not consider information on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and does not consider similar actual transaction cases in the surrounding area. As reference is made to the value of buildings and attached buildings,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calculate the value of buildings.

또한, 건축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평가자가 건축물의 가치를 실거래와 노후도를 기준으로 산정함에 따라 건물의 가치가 명확하게 반영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hat the value of a building cannot be clearly reflected as an evaluator with relatively weak professional knowledge of architecture calculates the value of a building based on the actual transaction and deterioration.

한국특허등록 제10-1179216호(2012.08.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9216 (2012.08.28)

이에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으로 건축물의 건축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건축비용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provide a clearer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 building based on an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 방법은, 건축비용 분석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 지정된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의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연산하는 건축비용 분석 단계; 및 상기 제1 건축 비용 및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건축비용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ysis target building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nalysis target building as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target;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to be analyze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of calculating a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present time, based on the select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또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는, 사용자가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건축물 중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건축물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상기 건축물은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 내에 포함된 특정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되며,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상기 건축물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 방위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을 추출하여 획득된 추출 건축물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to be analyzed may include a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pre-stored image data in which a user designates the building to be analyzed from among at least one building included in pre-sto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designation step within the captured image data of designating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building captured by the user. I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pre-stored image data, the building is designated based on instruction information instructed by a user with respect to the image of the specific building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pre-stored image data, I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captured image data, the building is extracted by extrac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occupying the largest area in the captured image data, and extracted building indication information. can be specified based on

또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외형 이미지 데이터 존재 여부 판단 단계와,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기존 건축물 외형 이미지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신규로 생성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저장 단계와, 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로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has been updated. determining whether existing image data is updated, and if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or if the existing external image of the building is not updated, the external imag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newly generat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is stored. It may include a data storage step and a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loading step of loading the stored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또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촬영을 가이드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선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ion step further includes a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ion guide step of guiding photographing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to generate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and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ion In the guide step,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photographing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device.

또한, 상기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에서, (1)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시점이 상기 건축물에 대한 준공시점 또는 대수선시점보다 빠르거나, (2)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과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이 상이한 경우,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existing image data, (1) the time of cre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is earlier than the time of completion or major repair of the building, or (2) in the step of designating the building to be analyzed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photographed by the user,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n the previously stor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re differ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is not updated.

또한, 상기 건축비용 분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건축비를 계산하여 상기 제1 건축비용 및 상기 제2 건축비용을 생성하는 건축비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의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는, 상기 건축물에 대한 위치 정보, 주 구조 정보, 지형 정보, 지적 정보, 대지 면적 정보, 연면적 정보, 건폐율 정보, 층수 정보, 건축물 건축 허가일 정보, 건축물 착공일 정보, 건축물 준공일 정보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may include a building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of loading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a building appearance based o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ed i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ion step.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nalysis data,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fo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and the vicinity of the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generat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by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based on transaction data, wherein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basic data of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is ,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above buildings, main structure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cadastral information, site area information, total floor area information, building coverage ratio information, floor number information, building construction permit date information, building construction start date information, building completion date information, and transactions in the vicinity of the building There may b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data.

또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은 대지 경계선에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지붕 영역을 포함하며 하늘과 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지 경계선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위치되는 지역의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개별적인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각도에서 생성된 복수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includes a first area adjacent to the site boundary, a second area disposed above the first area,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rea. A third area including a roof are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in contact with the sky, wherein the site boundary is generated based on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an area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e generating analysis data includes generating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region for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nd generating the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region at different angles. Based on the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에서 취득되는 내부 건축 재료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와 동일 면적에 위치되는 다른 건축물의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enerating of the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when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the first internal analysis of the building generates the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build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internal image data. In the data generation step, when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the building is based on the ex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ransaction data of other buildings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land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A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internal analysis data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and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또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와 상기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적어도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거래가액이 다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평균 거래가액보다 크고,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가 기준 등급 또는 기준 등급보다 낮은 등급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보다 높은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ilding in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generation for generating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classified into at least two classes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further comprising the step; wherein, in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internal estimation data and the transaction data, and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includes at least two It is classified into grades, and th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in the area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is greater than the averag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located in other areas, and the estimated internal data of the building is the standard grade. Alternatively, when generated at a grade lower than the standard grade, the analysis data inside the building may be set at a grade higher than the estimated data inside the building.

또한, 상기 건축비 계산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주 구조 정보,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현재 시점의 건축재료비 및 노무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2 건축비용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건축 비용에 대하여 준공 시점의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를 적용하여, 제1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1 건축 비용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는, (1) 기저장된 준공 시점에 대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물가 변동률을 적용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includes the main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he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are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the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current time. A second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based on current mark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and applying the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A first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cost, wherein the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includes (1)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labor cost at the time of completion previously stored, or (2) price in the market data at the current time. It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the labor cost to which a variable rate is applied.

또한, 상기 건축비용 분석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허가 시점의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법규 정보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법규 유지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2 건축비용에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를 적용한 제3 건축비용을 계산하는 변경법규기반 건축비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intain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the law information at the current time, and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and the current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modified regulation-based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third construction cost obtained by applying the current regul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when the regul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또한, 상기 건축비용 분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기존 분석대상 건축물의 정보와 다른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는,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에서 로딩된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에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상기 신축 건축물에 대한 추정 기초 데이터와 차이가 발생되는 항목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when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different from the law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the information on the existing building to be analyzed and other changed law-based additional information is extracte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extracting basic additional information, wherein the rule-of-change bas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ed i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and a new building built on the land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is located at the present time. In this case, it may be an item that causes a difference from the estimated basic data for the new building.

또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다른 시점에 생성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lso, in the generating of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t least two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generated at different tim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은, 건축비용 분석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 지정된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의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연산하는 건축비용 분석 단계; 및 상기 제1 건축 비용 및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건축비용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비용 분석방법을 수행한다.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ysis target building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nalysis target building to be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target;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to be analyze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of calculating a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present time, based on the select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 기반으로 건축물의 건축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건축비용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more clear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 building based on an image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이미지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건축비용분석 시스템에서 토지가를 추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시계열적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건축물대장 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지적데이터 및 지형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에서 건축비용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using a building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estimating a land price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a building image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alysis of a building image by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ime-sequentially analyzing a building image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9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building ledger data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10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cadastral data and terrain data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11 and 12 are user interfaces showing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s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13 is a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만을 나타내기보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세부 사항을 모두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각각 따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실시예 또는 모든 실시예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xamples of which ar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only showing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ncludes details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such detai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do not have to be used separately. A plurality of embodiments or all embodiments may be used together, and specific embodim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에서 선택되지만,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며 그 의미는 필요에 따라 다음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어의 단순한 명칭이나 의미가 아닌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Most of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common ones widely used in the field, but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their meaning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s need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intended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r meaning of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이미지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using a building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상호 간에 네트워크(500)에 의하여 통신 가능한 관리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제2 사용자 단말기(400) 및 외부서버(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0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500, a first user terminal 200, a second It includes 2 user terminals 400 and an external server 300.

이때,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시적으로 관리서버(100)에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건축비용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 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기(400) 관리서버(100)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분석대상 건축물의 소유자 측 단말기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user terminal 200 may illustratively be a terminal requesting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00 may send the management server 100 the analysis It may be a terminal on the owner sid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hat uploads external image data and internal image data of the target building.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0)는, 예시적으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00 are illustratively described as mobile devices including a camera, a display, and a control modul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외부서버(300)는 지도/지형 데이터, 시장 데이터 및 행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도/지형 데이터 서버, 시장 데이터 서버 및 행정 데이터 서버일 수 있으며, 지도/지형 데이터 서버, 상기 시장 데이터 서버 및 상기 행정 데이터 서버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300 may be a map/topographic data server, a market data server, and an administrative data server providing map/topographic data, market data, and administrative data. Administrative data servers may be formed single or plural.

보다 상세히, 관리서버(100)는 외부서버(300)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정보 연동부(121, 122, 123, 124, 125, 126)와, 상기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건축 비용을 연산하기 위한 계산부(113, 131, 132)와, 사용자 단말기(200, 400)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부(112)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이미지 저장부(111)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external information interlocking unit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that receiv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and calculate construction costs based on the external information. Calculator (113, 131, 132) for the image analysis unit (112)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based on pre-stored or received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400) and the image storage unit ( 111).

외부 정보 연동부(121, 122, 123, 124, 125, 126)는 건축물 대장정보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건축물 대장 연동부(121)와, 건축물에 대한 대수선여부에 대한 대수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대수선 데이터 연동부(122)와, 지적데이터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지적 데이터연동부(123)와, 지형데이터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지형 데이터 연동부(124)와, 자재별 단가 및/또는 자재별 노무비와, 지역별 토지 가액 및 건물 거래 가격에 관한 시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시장 데이터 연동부(125)와, 건축법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연동하는 건축 법규데이터 연동부(126)를 포함한다.The external information interlocking unit 121, 122, 123, 124, 125, 126 receives and interlocks with the building ledger interlocking unit 121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building ledger information and repair data on whether or not the building is subject to major repairs. A large repair data interlocking unit 122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cadastral data, a cadastral data interlocking unit 123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cadastral data, a topography data interlocking unit 124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terrain data, and unit price and/or material by material It includes a market data interlocking unit 125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market data on labor costs by region, land value and building transaction price by region, and a building regulation data interlocking unit 126 that receives and interlocks building law data.

이미지 저장부(111)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저장부(111)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0)에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 및 전송을 요청하거나, 외부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저장부(111)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소유자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400)에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상기 외부서버(300)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촬영된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external image data and internal image data of a building to be analyzed are stored, and the external image data and internal image data are accumulated and stored in a time-series manner over time. It can be. Meanwhile, when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the management server 100 stores the external image data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400.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may be requested, or the external image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erver 300 may be loaded. Meanwhile, when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the management server 100 requests the internal image data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400, which is the owner terminal, or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erver 300,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ake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may be loaded.

이미지 분석부(112)는, 이미지 저장부(111)에 저장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에 사용된 자재를 분석하여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분석부(11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적되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동일 또는 유사한 화각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들과, 하나의 시점에 대하여 다수의 각도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112)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사용된 자재에 대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analysis unit 112 analyzes materials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based on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to generat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At this time, the image analysis unit 112 includes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same or similar angle of view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ccumulated over time, and the exterior generated by photographing from multiple angles with respect to one viewpoint. Based on the image data,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The image analyzer 112 may divid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generate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for materials used for each area.

이미지 분석부(112)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일 수 있다.The image analyzer 112 may extract at least one feature point of the image data of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o form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exemplarily based on the learning model. It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at generates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한편,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저장부(111)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112)는 이미지 저장부(111)에 저장된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에서 획득되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장재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일반/중급/고급과 같이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the image analysis unit 112 analyzes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generate data In this case, the analysis data inside the building may be exemplarily divided into three levels, such as normal/intermediate/high, based on the image of the in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obtained from the interior image data.

그리고, 계산부(113, 131, 132)는, 상기 시장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재별 단가를 계산하는 자재별 단가 계산부(131)와, 자재별 노무비를 계산하는 자재별 노무비 계산부(132)와, 이미지 분석부(112)에서 생성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와, 상기 자재별 단가 및 상기 자재별 노무비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건축비용을 계산한다. In addition, the calculators 113, 131, and 132 include a unit price calculator 131 for calculating a unit price for each material based on the market data, and a labor cost calculator 132 for calculating a labor cost for each material. ,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and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112, the unit price for each material, and the labor cost for each material.

이때, 상기 건축비용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과, 계산을 요청한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cost includes a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a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at the current time point at which calculation is request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준공시점에서의 건축비용과 현재시점에 동일한 형태의 건물을 건축하는 데 소요되는 건축비용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입 및 수선 의사 결정에 보다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the construction cost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the construction cost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same type of building at the present time. By doing so, more effectiv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or decision-making on the purchase and repair of buildings.

한편, 이미지 저장부(111)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건축비 계산부(113)는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에 기초한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인근 지역에 대한 상기 건축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mage storage unit 111 does not have the in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unit 113 generates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based on the ex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estimated data and the building transaction data for a neighborhood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the analysis data inside the building may be generated.

보다 상세히, 이하 표 1과 같이 건축비 계산부(113)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획득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결정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unit 113 determines the estimated interior dat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ex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obtained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표 1을 참조하면, 건축비 계산부(113)에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unit 113 may determine the estimated interior dat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ex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자재별 단가Unit price by material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Estimated data inside the building 시멘트 사이딩, 비닐 사이딩cement siding, vinyl siding \82,500/평\82,500/pyeong 일반common 세라믹 사이딩, 고벽돌ceramic siding, brick \92,000/평\92,000/pyeong 중급Middle class 아키타일, 전벽돌archeile, brick \118,000/평\118,000/pyeong 고급Advanced

건축비 계산부(113)는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가 결정되면, 결정된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형성한다.When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unit 113 determines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is formed based on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and the building transaction data.

보다 상세히, 분석대상 건축물이 위치되는 토지의 유사한 평당 가치를 가지고, 비슷한 건축규모를 가진 토지가 다른 실거래를 기록하는 경우, 낮은 실거래가를 기록한 토지의 건축물 대비 높은 실거래가를 기록한 건축물의 내부 건축 자재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비 계산부(113)는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f the land on which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has a similar per pyeong value and a similar building size records different actual transactions, the internal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building with a higher actual transaction price compared to the building of the land with a lower actual transaction price A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is relatively high,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unit 1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based on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and the building transaction data.

예시적으로, 토지에 대한 추정가 학습 모델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상기 추정가 학습 모델 프로세스에 의하여 생성되는 추정가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가 모델을 적용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토지별 추정가를 산정한다.Exemplarily, an estimate price learning model process for land is performed, and a process of applying an estimate price model using the estimate price learning model generated by the estimate price learning model process is performed to calculate the estimated price for each land.

상기 추정가 학습 모델 프로세스는, 다수의 실거래가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실거래가 데이터를 토지 특성별로 분리하여 그루핑하고, 그룹핑된 토지 특성별 실거래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룹별 추정가 모델을 학습하게 된다.The estimator learning model process loads a plurality of actual transaction price data, separates and groups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data by land property, and learns an estimator model for each group based on the grouped actual transaction price data for each land property.

예시적으로, 상기 토지 특성은, 토지의 위치 또는 토지의 지목 등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land characteristics may be the location of the land or the designation of the land.

상기 추정가 모델 적용 프로세스는,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는 토지에 대한 토지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토지의 상기 토지 특성에 기반하여, 속하는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토지 그룹의 상기 그룹별 추정가 모델을 적용하여, 토지별 추정가를 산정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estimate model, the land data for the land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is loaded, based on the l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 land group to which the land belongs is selected, and the estimated price model for each group of the selected land group is selected. is applied to calculate the estimated price for each land.

건축비 계산부(113)는 산정된 상기 토지별 추정가를 이용하여, 유사 추정가를 갖는 토지의 실제 실거래 데이터와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unit 113 may generate the analysis data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using the actual actual transaction data of the land having a similar estimated price and the estimation data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using the calculated estimated price for each la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건축물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도 상기 건축물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using the building transaction data when generating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but also when generating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A configuration using building transaction data may also b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의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a building image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And, FIG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building image analysis by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실제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610)과,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형태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620)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 a user interface screen 600 displaying a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screen 600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610 where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displayed and a second display area in the form of a map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620).

제1 디스플레이 영역(610)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방위와, 촬영 일자 등이 표시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620)에는 지도 이미지 상에 분석대상 건축물의 소재가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기 촬영된 복수의 건축물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건축물을 선택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건축비용을 분석할 수 있다. In the first display area 610, the direc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the date of shooting, etc. are displayed, and in the second display area 620, the material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map image. . That is, the first user can analyz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by selecting the building to be analyzed using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buildings previously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 .

한편, 제1 사용자가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 모듈(미도시)의 촬영을 통하여, 실제 분석대상 건축물(700)를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선택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an image acquired by a first user by photographing an actual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through a camera module (not show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n an area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s located. A configuration of selecting a building 700 to be analyzed using data may also b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지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에 복수의 건축물이 존재하는 경우,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1)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 방위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 건축물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 건축물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지정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by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buildings exist on the image data,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include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data. Extracted build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extract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a building occupying the largest area in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nd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extracted building instruction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지정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nalyzing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700 to be analyz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그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복수의 위치 또는 방위에서 촬영된 단일의 분석 대상 건축물(700)을 복수의 영역(710, 720, 730)으로 구분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5 to 7 ,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singl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or orientations into a plurality of areas 710, 720 and 730), the building external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예시적으로, 분석 대상 건축물(700)은 대지 경계선(611)에 인접하는 제1 영역(710)과, 제1 영역(7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720)과, 제2 영역(7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지붕 영역을 포함하며 하늘과 접하는 제3 영역(730)을 포함한다.Exemplarily,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ncludes a first area 710 adjacent to the site boundary 611, a second area 720 disposed above the first area 710, and a second area ( 720), includes a roof are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includes a third area 730 in contact with the sky.

대지 경계선(611)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위치되는 지역의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즉,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상기 지형 정보를 반영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제1 영역(710)의 시작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대지 경계선(611)과 제1 영역(710)의 하단 라인은 상호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710)의 상기 하단 라인은 대지 경계선(61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site boundary line 611 is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s located.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region 710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may be set by reflecting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located. In this case, the land boundary line 611 and the lower line of the first area 71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lower line of the first area 71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and boundary line 611 .

제1 영역(710)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에서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영역으로 예시적으로 담장 영역, 주차장 영역, 반지하 영역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irst area 710 is an area located adjacent to the ground in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may b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fence area, a parking lot area, and a semi-basement area.

제2 영역(720)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실제 거주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1층 또는 1층 내지 복수 층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rea 720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ctual residential are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may be formed as an area of one floor or one to multiple floors.

제3 영역(730)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지붕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기와 지붕, 슬래브 지붕, 콘크리트 형태의 지붕 등 일 수 있으며, 고층 건물일 경우, 상기 지붕에 접근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비 등이 설치되는 코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area 730 corresponds to the roof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may be a tile roof, a slab roof, a concrete roof, etc.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the roof can be accessed, and the elevator facility It may include a core area where the etc. ar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복수의 위치에서 촬영하여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며,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n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vides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proceeding with the analysis,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result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관리서버(100)에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건축비용 분석에 필요한 최소 조건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촬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상기 촬영 요청이 수락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한 촬영 지시선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image data of the minimum condition required for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is not satisfied,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s s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o be analyzed. A photographing request for the building 700 may be transmitted.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ccepts the photographing request,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display a photographing leader line for guiding photographing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

예시적으로 상기 촬영지시선은,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촬영 방향, 촬영 라인 등 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hooting direction line may be a shooting direction or a shooting line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도 8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건축물 이미지 분석을 시계열적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ime-sequentially analyzing a building image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도 8을 참조하면,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의 촬영된 복수의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이미지 데이터들(700A, 700B, 700C, 700D, 700E)을 시계열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외형 변동이 생기는 경우, 최근 시점의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외형과 동일 범위 내에 속하는 이미지 데이터(700A, 700B, 700C, 700D, 700E)만을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time-series image data 700A, 700B, 700C, 700D, 700E of a plurality of analyzed target buildings 700 captured over time.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shap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changed, only the image data (700A, 700B, 700C, 700D, 700E) belonging to the same range as the external shap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t the latest point of time is extracted and analyzed. can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시점에 생성되어 조도 및 색상 등에 차이가 존재하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이미지 데이터들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건축물 외형 이미지 분석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범위의 외형 변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nalysis object building 700, which is generated at multiple points in time and has differences in illumination and color, analyzes image data time-sequentially, so that the building exterior image analysi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the sam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the timing of external appearance change within an unrecognized range.

도 9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건축물대장 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building ledger data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도 9를 참조하면, 외부서버(300)로부터 로딩되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건축물 대장정보(80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주소에 대한 주소 정보(810)와, 분석대상 건축몰(700)의 건축물 속성 정보(820)와, 건축물 현황 정보(830)와, 건축물 소유자 정보(840)와, 건축물 건축 관계자 정보(860)와, 일자 정보(8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building ledger information 800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700 loaded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810 for the address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700 is located, It includes building attribute information 820, building status information 830, building owner information 840, building related person information 860, and date information 850 of the building mall 700 to be analyzed.

주소 정보(81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주소에 대한 정보이며,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인근의 실거래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1)은 상기 실거래 정보 취득 범위를 주소 정보(810)에 기초하여 취득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address information 810 is information on the address where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located, and when acquiring actual transaction information in the vicinity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quires the actual transaction information An acquisition range may be set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810 .

건축물 속성 정보(82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대지면적 대지면적 정보, 연면적 정보, 건축면적 정보, 건폐율 정보, 용적률 정보, 구조 정보, 지목 정보, 주용도 정보,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속성 정보 일 수 있다.The building attribute information 820 is an analysis target including the site area, site area information, total floor area information, building area information, building coverage ratio information, floor area ratio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designation information, main use information, and heigh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t may b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700 .

건축물 현황 정보(83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층수 정보, 층별 구조 정보, 층별 용도 정보 및 층별 면적 정보를 포함한다.The building status information 83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loors, structure information for each floor, usage information for each floor, and area information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700 subject to analysis.

건축물 소유자 정보(840)는, 현재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소유하고 있는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840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dividual or corporation that currently owns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건축물 건축 관계자 정보(86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건축주 정보, 설계자 정보, 감지라 정보, 시공자 정보를 포함한다.The building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86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design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sensor, an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or.

일자 정보(85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행정관청 허가일 정보, 착공일 정보 및 사용승인일 정보를 포함한다.The date information 850 includes administrative authority permission date information, construction start date information, and use approval dat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한편, 건축물 대장정보(800)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대수선 작업에 대한 정보, 예시적으로 대수선 범위, 대수선 허가일자, 대수선 착공일자, 대수선 준공일자, 대수선 작업자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ledger information 800 is information on the major repair work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exemplarily the scope of the major repair, the major repair permit date, the major repair start date, the major repair completion date, and the major repair workers. Information may also be included.

도 10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에서 지적데이터 및 지형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cadastral data and terrain data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00)는 외부서버(300)로부터 지적 데이터(도 10(A) 참조) 및 지형 데이터(도 10(B) 참조)를 로딩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management server 100 loads cadastral data (see FIG. 10(A)) and terrain data (see FIG. 10(B))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상기 지적 데이터는 토지의 소재(所在), 지번(地番), 지목(地目), 경계(境界)에 관한 데이터이며, 상기 지형 데이터는 지표의 형태 및 지표에 분포하는 사물에 대한 데이터이며 예시적으로 일반도로서 등고선으로 땅의 높낮이를 나타내며 수계, 교통로, 취락, 토지 이용, 지명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The cadastral data is data on the location, lot number, land category, and boundary of the land, and the topography data is data on the shape of the land surface and objects distributed on the land surface, and exemplarily As a general road,  contour lines represent  height of the land, and it can be data on  water systems,  transportation routes,  settlements,  land use, and  place nam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의 건축비용 분석 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s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에서 건축비용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11 and 12 are user interfaces showing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s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0)에는 관리서버(100)에서 산출한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건축비용 분석결과의 첫번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page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 for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calcul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00 is displayed on the first user device 200 .

상기 건축비용 분석 결과의 첫번째 페이지에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위치, 크기, 용적률, 건폐율, 건물의 종류, 설계자, 시공자 등과 같은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등재 정보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간략한 외형 사시도와 방위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first page of the results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such as the location, size, floor area ratio, building-to-land ratio, type of building, designer, and constructor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the building to be analyzed ( 700), a brief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orientation may be displayed.

그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비용 분석결과의 두번째 페이지에는, 준공연도와 현재시점과의 차이인 노후도,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용도, 상기 건축물 외부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에 기초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자재 수준 및 예상 공사기간과, 현재 시점의 건축 비용 및 준공 시점의 건축비용이 제1 영역에 표시된다. 상기 제1 영역의 하측에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건축시 소요되는 추정 자재들의 사용 비율이 표시된다.Next, referring to FIG. 12, on the second page of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 the degree of deterioration,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e of completion and the current time, the us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the ex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internal analysis of the building The material level and estimated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based on the data, the construction cost at the current time and the construction cost at the time of completion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rea, the use rate of estimated material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display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시스템(1)을 이용한 건축 비용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cost method using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도 1의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of FIG. 1 .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건축비용 분석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지정하는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S110)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3 , first, an analysis target building designation step (S110) of designating an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to be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target is performed.

보다 상세히,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S110)는 사용자가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건축물 중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지정하는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와, 사용자가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to be analyzed (S110) includes a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pre-stored image data in which the user designates a building to be analyzed (700) from among at least one building included in the pre-sto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to be analyzed by the user. Based on the image data captured (700), one of the steps of designating a building within the captured image data of designating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included.

즉, 관리서버(100) 또는 외부서버(300)에 저장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이미지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직접 촬영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을 지정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image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external server 300, or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using the first user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by taking a photograph.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분석대상 건축물(700)은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 내에 포함된 특정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지시 정보, 예시적으로 클릭 등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pre-stored image data,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s based on instruction information instructed by the user for the image of the specific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ncluded in the pre-stored image data, exemplarily a click, etc. can be specified.

한편,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분석대상 건축물(700)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 방위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을 추출하여 획득된 추출 건축물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ep of specifying a building in the captured image data,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extracts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occupying the largest area in the captured image data. It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obtained extracted building designation information.

그 다음, 지정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S120)가 수행된다.Next, a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ion step (S120) of selecting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performed.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S120)에서, 먼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외형 이미지 데이터 존재 여부 판단 단계(S121)가 수행된다.I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ion step (S120), first, an external image data existence determination step (S121)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exists is performed.

분석 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관리서버(100) 또는 외부서버(300)에 존재하는 경우,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S122)가 수행된다.If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exists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external server 300,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has been updated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existing image data is updated (S122) is performed.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S122)에서, (1)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시점이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준공시점 또는 대수선시점보다 빠르거나, (2)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된 건축물의 외형과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건축물의 외형이 상이한 경우,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existing image data (S122), (1) the time of cre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is earlier than the time of completion or major repair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or (2) the target of analysis In the building designation step, if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photographed by the user and the exterior of the previously stored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are diffe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has not been updated.

한편,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기존 건축물 외형 이미지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촬영을 가이드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S124)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or the external image of the existing building is not updated,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700 is generated. A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ion guide step (S124) for guiding shooting is performed.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S124)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 400)의 디스플레이부에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선이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step of guiding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ion ( S124 ), a guideline for guiding photographing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device 200 or 400 .

그 다음, 신규로 생성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저장 단계(S125)가 수행된다.Next,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torage step (S125) of storing the newly generated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is performed.

그 다음, 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로딩 단계(S123)가 수행된다.Next, a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loading step (S123) of loading the stored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is performed.

그 다음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연산하는 건축비용 분석 단계(S130)가 수행된다.Then, based on the selected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cost analysis for calculat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mpletion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at the current tim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Step S130 is performed.

보다 상세히, 건축비용 분석 단계(S130)에서, 먼저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S131)가 수행된다.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는, 지도/지형 데이터, 시장 데이터 및 행정 데이터(건축물 대장 데이터 등)이며, 예시적으로, 상기 건축물에 대한 위치 정보, 주 구조 정보, 지형 정보, 지적 정보, 대지 면적 정보, 연면적 정보, 건폐율 정보, 층수 정보, 건축물 건축 허가일 정보, 건축물 착공일 정보, 건축물 준공일 정보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둘 이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S130), first,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S131) of loading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for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performed. The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is map/topographic data, market data, and administrative data (building ledger data, etc.), and exemplarily,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main structure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cadastral information, site area information, It may be at least two or more of total floor area information, building coverage ratio information, floor number information, building construction permit date information, building construction start date information, building completion date information, and building neighborhood transaction data.

그 다음,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S132)에서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4)가 수행된다.Next, a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4) of generating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based o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ed in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selection step (S132) is performed.

이때, 분석대상 건축물(700)은, 대지 경계선(611)에 인접하는 제1 영역(710)과, 제1 영역(6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620)과, 제2 영역(6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지붕 영역을 포함하며 하늘과 접하는 제3 영역(7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4)는, 제1 영역(710), 제2 영역(720), 및 제3 영역(730)에 대한 개별적인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ncludes a first area 710 adjacent to the site boundary 611, a second area 620 disposed above the first area 610, and a second area 620 ), includes a roof are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nd includes a third area 730 in contact with the sky. In the building ex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S134),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area for the first area 710, the second area 720, and the third area 730 are generated. It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analysis data.

이때, 대지 경계선(611)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위치되는 지역의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각도에서 생성된 복수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te boundary 611 is generated based on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located. In addition,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ed from different angles.

그 다음,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내부에 대한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 S134, S1371, S1372)가 수행된다.Nex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s (S133, S134, S1371, S1372) of generating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re performed.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 S134, S1371, S1372)에서,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1323),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에서 취득되는 내부 건축 재료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가 수행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3, S134, S1371, S1372), if the in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S1323), the in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ior build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interior image data A firs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S133) of generating is performed.

한편,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 S134, S1371, S1372)에서,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 생성 단계(S1371)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3, S134, S1371, S1372), if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based on the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generating step (S1371) of generating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classified into at least two classes is performed.

그 다음,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와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와 동일 면적에 위치되는 다른 건축물의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72)가 수행된다.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72)에서,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와 상기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가 생성된다.Next, a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and transaction data of other buildings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land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s located. (S1372) is performed. In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 S1372 ),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internal estimation data and the transaction data.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 및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72)에서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적어도 2개의 등급, 예시적으로 일반-중급-상급 총 3단계,으로 구분되며,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3) 및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72)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In the firs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3) and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72),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grades, eg, general-intermediate-advanced total three levels. The firs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3) and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72) ar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이때,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72)에서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거래가액이 다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평균 거래가액보다 크고,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가 기준 등급 또는 기준 등급보다 낮은 등급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보다 높은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석대상 건축물이 위치되는 토지의 유사한 평당 가치를 가지고, 비슷한 건축규모를 가진 토지가 다른 실거래를 기록하는 경우, 낮은 실거래가를 기록한 토지의 건축물 대비 높은 실거래가를 기록한 건축물의 내부 건축 자재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1372), th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in the area where the building 700 is located is the averag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located in other areas. and when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is generated at a standard level or a level lower than the standard level,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may be set to a higher level than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In other words, if the land on which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has a similar per pyeong value and a similar building size, and different actual transactions are recorded, the internal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building with a high actual transaction price compared to the building of the land with a low actual transaction price It can be judged that the level is relatively high.

그 다음,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건축비를 계산하여 상기 제1 건축비용 및 상기 제2 건축비용을 생성하는 건축비 계산 단계(S135)가 수행된다.Then, based on the ex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the in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transaction data near the build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calculated to generate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Step S135 is performed.

건축비 계산 단계(S135)는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주 구조 정보,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상기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와, 분석대상 건축물(700)의 현재 시점의 건축재료비 및 노무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2 건축비용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건축 비용에 대하여 준공 시점의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를 적용하여, 제1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1 건축 비용 계산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는, (1) 기저장된 준공 시점에 대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물가 변동률을 적용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S135), the mai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the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area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the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current point of time of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A second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based on current mark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building material costs and labor costs; and applying the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and a first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t this time, the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is (1)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labor cost at the time of completion previously stored, or (2)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labor cost obtained by applying the inflation rate to the current market data. can

그 다음,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허가 시점의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법규 정보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법규 유지 여부 판단 단계(S136)가 수행된다.Next, a rule maintenance determination step (S136) of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the law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is performed.

그 다음, 상기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2 건축비용에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를 적용한 제3 건축비용을 계산하는 변경법규기반 건축비 계산 단계(S138)가 수행된다.Then, when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and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current time are different, a third construction cost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current time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S138) is performed.

그 다음, 분석대상 건축물(700)에 대한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기존 분석대상 건축물의 정보와 다른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 추출 단계(S139)가 수행된다.Next, when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700 to be analyzed is different from the law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modified laws is extracted to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changed laws different from information on the existing building to be analyzed. Step S139 is performed.

상기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는,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에서 로딩된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분석대상 건축물(700)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에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상기 신축 건축물에 대한 추정 기초 데이터와 차이가 발생되는 항목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이가 발생되는 항목은, 주차장의 유무, 내진 설계 유무, 토지의 지목, 용적률, 건물 높이 등일 수 있다.The modified law-bas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loaded i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and an estimation of the new building when a building is newly built on the land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700 is located at the present time. It may be an item that causes a difference from the basic data. Illustratively, items for which a difference occurs may include presence or absence of a parking lot, presence or absence of an earthquake-resistant design, land designation, floor area ratio, building height, and the like.

한편,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S132)에서, 다른 시점에 생성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 S132 ),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t least two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generated at different times.

그 다음, 상기 제1 건축 비용 및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 하는 건축비용 디스플레이 단계(S140)가 수행된다.Next, a construction cost display step ( S140 ) of display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o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s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비용 분석방법은 기계학습, 딥러닝에 의하여 생성된 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learning model generated by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 기반으로 건축물의 건축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건축비용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비용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more clear construction cost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 building based on an image an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compon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mponent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mponent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can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memory and run by a processor.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건축비용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비용 분석방법에 있어서,
건축비용 분석대상이 되는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
지정된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의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에 대한 건축 준공 시점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1 건축비용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제2 건축비용을 연산하는 건축비용 분석 단계; 및
상기 제1 건축 비용 및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건축비용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using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An analysis target building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nalysis target building as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target;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to be analyzed;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of calculating a first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present time, based on the selected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and
and a construction co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는,
사용자가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건축물 중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건축물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을 지정하는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상기 건축물은 상기 기저장 영상데이터 내에 포함된 특정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되며,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내 건축물 지정단계에서, 상기 건축물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 방위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와, 상기 촬영 영상데이터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을 추출하여 획득된 추출 건축물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designating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 building designation step in pre-stored image data in which a user designates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among at least one building included in pre-sto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designation step within captured image data in which the user designates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based on image data of the building captured by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I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pre-stored image data, the building is designated based on instruction information instructed by a user for the image of the specific building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pre-stored image data,
In the step of designating a building in the captured image data, the building is extracted by extrac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data and a building occupying the largest area in the captured image data, and extracted building indica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pecified based 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외형 이미지 데이터 존재 여부 판단 단계와,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기존 건축물 외형 이미지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신규로 생성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저장 단계와,
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ex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or not;
Determining whether existing image data is upd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tored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has been updated;
A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newly generated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when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or the existing building exterior image is not updated;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loading step of loading the stored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omprisin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촬영을 가이드하는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생성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선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a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generation guide step of guiding the shooting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to generate external image data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The building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generation guide step,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photographing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user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 판단 단계에서,
(1)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시점이 상기 건축물에 대한 준공시점 또는 대수선시점보다 빠르거나, (2) 상기 분석 대상 건축물 지정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과 기저장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외형이 상이한 경우,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existing image data,
(1) the time of cre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ex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is earlier than the time of completion or major repair of the building, or (2)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and determining that the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is not updated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ored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비용 분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를 로딩하는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건축비를 계산하여 상기 제1 건축비용 및 상기 제2 건축비용을 생성하는 건축비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의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는, 상기 건축물에 대한 위치 정보, 주 구조 정보, 지형 정보, 지적 정보, 대지 면적 정보, 연면적 정보, 건폐율 정보, 층수 정보, 건축물 건축 허가일 정보, 건축물 착공일 정보, 건축물 준공일 정보 및 건축물 인근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of loading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based on the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selected in the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selection step;
A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fo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generating the first construction co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by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analysis data,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and transaction data near the building;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basic data of the building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main structure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cadastral information, land area information, total floor area information, building coverage ratio information, floor number information, and building construction permit date information. ,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building construction start date information, building completion date information, and transaction data near the building.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은 대지 경계선에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지붕 영역을 포함하며 하늘과 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지 경계선은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위치되는 지역의 상기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개별적인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각도에서 생성된 복수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ncludes a first area adjacent to the site boundary, a second area disposed above the first area, and a roof are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disposed above the second area, Including a third area in contact,
The site boundary is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is located,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includes a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area for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building external analysis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building external image data generated from different angl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에서 취득되는 내부 건축 재료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와 동일 면적에 위치되는 다른 건축물의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A first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based on the interior build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interior image data when interior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exists;
When the internal image dat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the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is generated based on the exterior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transaction data of other buildings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land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Including a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and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are selectively perform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와 상기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적어도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거래가액이 다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동일 면적의 다른 건축물의 평균 거래가액보다 크고,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가 기준 등급 또는 기준 등급보다 낮은 등급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는 상기 건축물 내부 추정 데이터보다 높은 등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uilding interior estimation data classified into at least two classes based on the building exterior image data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when the building interior image data of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does not exist; Including more,
In the second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generating step, the building internal analysis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internal estimation data and the transaction data;
The analysis data inside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grades,
Th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in the area where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located is greater than the average transaction value of other buildings of the same area located in other areas, and the estimated internal data of the building is lower than the standard grade or standard grade. When generated as a grade,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ding interior analysis data is set to a higher grade than the building interior estimated dat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비 계산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주 구조 정보,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상기 영역별 건축재료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건축물 내부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의 현재 시점의 건축재료비 및 노무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2 건축비용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건축 비용에 대하여 준공 시점의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를 적용하여, 제1 건축 비용을 계산하는 제1 건축 비용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공 시점 시장 데이터는, (1) 기저장된 준공 시점에 대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현재 시점 시장데이터에 물가 변동률을 적용한 상기 건축재료비 또는 상기 노무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Current point in tim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main structure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building material analysis data for each area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internal analysis data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building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of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a second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based on market data;
A first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rst construction cost by applying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The market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is (1)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labor cost for the previously stored time of completion, or (2)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cost or labor cost obtained by applying the inflation rate to the current market data. Characterized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비용 분석 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허가 시점의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법규 정보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법규 유지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2 건축비용에 상기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를 적용한 제3 건축비용을 계산하는 변경법규기반 건축비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the law to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and the law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Further comprising a modified regulation-based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third construction cost obtained by applying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current time to the second construction cost when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is different from the legal information at the current tim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비용 분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에 대한 허가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와 현재 시점의 상기 법규 정보가 다른 경우, 기존 분석대상 건축물의 정보와 다른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법규 기반 부가 정보는,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 로딩 단계에서 로딩된 상기 건축비 계산 기초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상기 분석대상 건축물이 소재하고 있는 토지에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상기 신축 건축물에 대한 추정 기초 데이터와 차이가 발생되는 항목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step,
If the law information at the time of permission for the building to be analyzed is different from the law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further comprising a rul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changed laws different from information on the existing building to be analyzed ,
The modified law-bas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basic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data loaded i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basic data loading step and estimated basic data for the new building when a building is newly built on the land where the analysis target building is located at the present tim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items that cause a difference with.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다른 시점에 생성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건축물 외형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물 외형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용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im 6,
and generating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based on the at least two building appearance image data generated at different time points in the building appearance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제1 항의 건축비용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건축비용 분석 시스템.
A construction cost analysis system that performs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of claim 1.
제1 항의 건축비용 분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struction cost analysis method of claim 1 on a computer.
KR1020210178257A 2021-12-14 2021-12-14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896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57A KR20230089672A (en) 2021-12-14 2021-12-14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57A KR20230089672A (en) 2021-12-14 2021-12-14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72A true KR20230089672A (en) 2023-06-21

Family

ID=8699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257A KR20230089672A (en) 2021-12-14 2021-12-14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67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216B1 (en) 2012-06-01 2012-09-04 (주)한국부동산데이타 Online real estate appraisal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216B1 (en) 2012-06-01 2012-09-04 (주)한국부동산데이타 Online real estate appraisal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70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frames of a structure or element of interest and wireframes generated therefrom
Chen et al. UAV bridge inspection through evaluated 3D reconstructions
US116207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of building floor area
US20230082808A1 (en)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property features through imagery analysis
Bosche et al. Automated retrieval of 3D CAD model objects in construction range images
US110941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structures using point clouds derived from stereoscopic image pairs
US10115165B2 (en) Management of tax information based on topographical information
KR101260132B1 (en) Stereo matching process device, stereo matching proces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A307151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of building floor area
CN112652065A (en) Three-dimensional community model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20027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ructural information on-demand
AU2015101646A4 (en) Building design system
Jiang et al. Low–high orthoimage pairs-based 3D reconstruction for elevation determination using drone
US8314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view impact
JP6146731B2 (en) Coordinate correction apparatus, coordinate correction program, and coordinate correction method
Alshawabkeh et al. A new true ortho‐photo methodology for complex archaeological application
KR102296173B1 (en)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vacancy room information
CN116051777B (en) Super high-rise building extraction metho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149237A (en) System for 3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ased on web and GIS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230089672A (en) Analysys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using image of construction and analsys method using the same
KR101640444B1 (en) GIS based Surpportive Toolkits for Merging the Lots
JP2021060888A (en) Inspection method of utility work and inspection system of utility work
Tarkhan et al. Capturing façade diversity in urban settings using an automated window to wall ratio extraction and detection workflow
Ojeda et al. Estimation of the Physical Progress of Work Using UAV and BIM in Construction Projects
Ingensand et al. Automated reconstruction of 3D buildings in historic city centers from LIDAR data and 2D building footpr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