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660A -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 Google Patents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660A
KR20230089660A KR1020210178225A KR20210178225A KR20230089660A KR 20230089660 A KR20230089660 A KR 20230089660A KR 1020210178225 A KR1020210178225 A KR 1020210178225A KR 20210178225 A KR20210178225 A KR 20210178225A KR 20230089660 A KR20230089660 A KR 2023008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
hull
maintain
ben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660A/en
Publication of KR2023008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횡동요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파랑이 세기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은,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고, 파랑의 세기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거나 다단으로 꺾인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that can respond to rollover, in particular, can respon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waves.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the trim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extending from the bow in the stern direction, and fin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the fin portion is divided into one or more, and the blu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r folded in multiple stages.

Figure P1020210178225
Figure P1020210178225

Description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본 발명은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선박은, 파도에 의해서 종동요(Pitching), 상하동요(Heaving), 횡동요(Rolling) 등 다양한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동요현상은 작업성능과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In general, at sea, ships perform various movements such as pitching, heaving, and rolling due to waves, and these agitation phenomena act as a factor impeding work performance and safety.

예를 들어 상부갑판 위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선과 같이 무게중심이 높게 형성된 선박의 경우 횡동요에 의해 전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LNG 운반선과 같이 액체화물을 적재하는 선박의 경우 횡동요에 의해 액체화물의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선박의 안정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hip having a high center of gravity, such as a container ship loading containers on top of an upper de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highly likely to capsize due to rollov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hip loaded with liquid cargo, such as an LNG carrier, a sloshing phenomenon of the liquid cargo occurs due to rollover, which harms the stability of the ship.

한편, 선박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횡동요에 대응할 수 있는 선박의 개발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tabilize the ship,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hip capable of responding to rolling mo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횡동요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파랑이 세기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that can respond to rollover, in particular, can respon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wav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고, 파랑의 세기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거나 다단으로 꺾인다.One aspect of the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the trim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ull extending from the bow in the stern direction, and fin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And, the fin part is divided into one or more, and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bent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wave.

상기 핀부는, 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파랑의 제1 세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세기에 대비하여 에너지가 크게 형성되는 제2 세기에서 꺾이고, 상기 제2 세기에서 상기 핀부를 다단으로 꺾도록 상기 핀부에 연결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n par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airfoil,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intensity of the wave, is bent in the second intensity in which energy is formed to be large compared to the first intensity, and the fin portion in the second intensity A driving unit including a multi-joint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pin unit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핀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수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미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수로부터 상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n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and a third member provid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first member is adjacent to the bow in comparison to the third member, A third member is adjacent to the stern in comparison to the first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is upward from the bow toward the stern, and the second member Is upward in the stern direction compar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third member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second member.

상기 핀부는,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선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다.The fin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and a third member provided in a line along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the first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hull,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t least one of the member and the third member may be upward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상기 핀부는, 횡동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는 제1 핀과, 종동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되는 제2 핀이 번갈아 구비될 수 있다.The fin unit may be alternately provided with a first fi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w to the stern to reduce roll and a second fin extending outward from the hull to reduce pitch.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은, 파랑의 세기에 따라 핀부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거나 꺾임이 가능하여,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has a fin portion that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can be ben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waves, thereby maximizing the ship's operation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가 꺾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가 수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의 내부가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bent state of a fin portion of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capable of being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state of a fin portion of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posed state of the inside of a fin part of a ship including a bendable fin par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in part of a ship including a fin part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가 꺾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가 수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의 내부가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hip that is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 portion of a ship including a possible fin portion is bent, and FIG. 3 is a horizontal state of a fin portion of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capable of being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posed state of the inside of a fin portion of a ship including a fin portion capable of being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100)은, 선체(110), 핀부(120) 및 구동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드릴쉽,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및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외에 다양한 선박일 수 있다.1 to 4, a ship 100 including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110, a fin portion 120, and a driving portion 125 can do. And the ship 100 of this embodiment may be a container ship, an LNG carrier, a drill ship, 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 and a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SRU),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various other ships. .

선체(110)는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선체(110)는, 선수부(부호 도시하지 않음), 중앙부(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선미부(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미부에는 추진 장치(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스케그(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추진 장치는 프로펠러 및/또는 포드 추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추진 장치는 선미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전방향으로 추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케그는 선체(110)의 조종 성능 또는 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그런데 선박(100)은 추력에 의해 운항되는 과정에서 파랑에 의한 횡동요 등이 발생될 수 있다.The hull 110 may extend from the bow to the stern. Illustratively, the hull 110 may include a bow part (not shown), a central part (not shown) and a stern part (not shown). Those (not shown) may be installed, etc. The propulsion device may include a propeller and/or a pod thruster, etc. Illustratively, the propulsion device rotates around a central axis of rotation extending vertically in the stern portion. Possibly installed, it can provide thrust in all directions.The skeg can improve the maneuverability or motion performance of the hull 110,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However, the ship 100 In the process of navigating by thrust, rollover caused by waves may occur.

핀부(120)는 횡동요 등을 감소시키는 구성으로서, 선체(110)의 양측에서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빌지킬 및/또는 스태빌라이저를 이룰 수 있다. The fin unit 120 is configured to reduce rolling and the like, and may form a bilge keel and/or a stabiliz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0.

예시적으로 선박의 횡동요는 그 감쇠계수가 다른 운동 방향에 비하여 작아 파랑에 대한 응답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횡동요에 의해 선박(100)의 전복 및/또는 액체화물의 슬로싱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핀부(120)가 선체(110)에 마련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rolling motion of the ship may have a large response angle to waves because the damping coefficient is small compared to other motion directions. Problems such as overturning of the ship 100 and/or sloshing of liquid cargo may occur due to rollover, and to prevent this, the fin unit 120 is provided on the hull 110.

여기서 빌지 킬은 평판 형태의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롤링을 억제하고, 스태빌라이저는 핀에 작용하는 양력을 이용하여 횡동요에 대한 안정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일반적인 빌지킬 및/또는 스태빌라이저 기능을 이룰 수 있으나, 공지된 기술에 그 형상 및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동요의 감소가 극대화될 수 있고,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종동요가 방지될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Here, the bilge keel has a protruding structur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o suppress rolling, and the stabilizer can obtain a stabilizing moment against rolling motion by using the lifting force acting on the pin. However, the fin part 120 of this embodiment can achieve a general bilge kill and / or stabilizer function, but its shape and function are not limited to the known technology, and the reduction of rollover can be maximized, and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Depending on this, follow-up may be preven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핀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익형(air-foil)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익형 구조는 리딩 에지(leading edge)와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가 연결되어 압력면과 흡입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횡동요를 방지하는 양력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n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airfoil in which a hollow is formed. The airfoil structure may have a pressure surface and a suction surface by connecting a leading edge and a trailing edge, and a lifting force to prevent rolling may be formed by this structure.

게다가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파랑의 세기에 대응하도록 다단으로 꺾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핀부(120)는 파랑의 세기가 작은 파랑의 제1 세기(선박(100)의 제1 속도일 수도 있음)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핀부(120)는 제1 세기에 대비하여 에너지가 크게 형성되는 제2 세기((선박(100)의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일 수도 있음))에서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 unit 120 of this embodiment may be bent in multiple stages to correspond to the intensity of the blue. Illustratively, the fin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irst intensity of the blue wave (which may be the first speed of the ship 100) where the intensity of the wave is small. In addition, the fin part 120 may be upward from the bow to the stern at the second intensity (which may be a second speed slower than the first speed of the ship 100) in which energy is formed large compared to the first intensity. .

이는 선박(100)의 전진 속도가 작아지거나 험한 파랑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핀부(120)의 횡동요 방지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선박(100)의 전진 속도가 작아지거나 험한 파랑에서도 핀부(120)의 횡동요 감소 기능이 줄어들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향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다단으로 꺾일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roll prevention of the fin 120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reduced in the forward speed of the ship 100 or in rough waves. That is, it may be bent in multiple stages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n unit 120 is raised upward so that the rolling motion reduction function of the fin unit 120 is not reduced even when the forward speed of the vessel 100 decreases or in rough waves.

구체적으로 핀부(12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121A)와, 제2 부재(121B) 및 제3 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n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member 121A, a second member 121B, and a third member 121C provid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0 .

제1 부재(121A)는 제3 부재(121C)에 대비하여 선수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부재(121B)는 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부재(121C)는 제1 부재(121A)에 대비하여 선미에 인접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121A may be adjacent to the player in contrast to the third member 121C. The second member 121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The third member 121C may be adjacent to the stern in contrast to the first member 121A.

아울러 제1 부재(121A)를 기준으로 제2 부재(121B)가 꺾이고, 제2 부재(121B)를 기준으로 제3 부재(121C)가 꺾일 수 있어, 제1 부재(121A)는 선체(110)에 고정되고, 제2 부재(121B)와 제3 부재(121C)가 후술되는 중공 내의 구동부(125)에 의해 꺾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mber 121B is bent based on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can be bent based on the second member 121B, so that the first member 121A is the hull 110 It is fixed to, and the second member 121B and the third member 121C can be bent by the drive unit 125 in the hollow to be described later.

게다가 파랑의 제2 세기(또는 선박(100)의 제2 속도)에서 제2 부재(121B)는 제1 부재(121A)에 대비하여 선미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다. 다만 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는, 제2 부재(121B)와 달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3 부재(121C)는 제2 부재(121B)의 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핀부(120)의 전체 형상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상향되지 않고 전 후방을 이루는 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핀부(120)의 중심을 이루는 제2 부재(121B)는 상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의 전진 속도가 작아지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험한 파랑(제2 세기의 파랑)에 대한 횡동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mber (121B) in the second strength of the wave (or the second speed of the ship 100) may be upward in the stern direction in contrast to the first member (121A). However, unlike the second member 121B,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so the third member 121C moves horizontally from the rear of the second member 121B. can be provided. Accordingly, in the fin uni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verall shape of the fin unit 120 is not up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are kept horizontal, while the pin unit ( The second member 121B forming the center of 120) may form an upward struc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rollover against rough waves (waves of the second intensity) while minimizing a decrease in the forward speed of the ship 10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핀부(120)가 하나 예시되었으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one pin unit 120 is illustrated, bu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이러한 핀부(120)는 동력 없이 파랑에 의해 다단으로 꺾일 수 있으나, 구동부(125)에 의해 꺾인 이후 꺾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is pin part 120 may be broken in multiple stages by waves without power, but after being bent by the drive unit 125, the bent state may be maintained.

구동부(125)는 핀부(120)를 다단으로 꺾도록 핀부(120)에 연결될 수 있고, 링크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유압잭(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5 may be connected to the pin unit 120 to bend the pin unit 120 in multiple stages, and may include a link member (not shown) and a hydraulic jack (not shown).

링크부재는, 복수 개의 바가 힌지로 연결되는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부재는 제2 부재(121B)와 제3 부재(121C)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유압잭은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링크부재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5)는 제2 부재(121B)와 제3 부재(121C)를 개별로 조작하거나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The link member may have a multi-join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are connected by hinges. The link member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second member 121B and the third member 121C. The hydraulic jack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can push or pull the link member. The driving unit 125 may operate the second member 121B and the third member 121C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다만 구동부(125)의 링크부재와 유압잭은 예시에 불과하며, 핀부(120)의 다단 꺾임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이외에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However, the link member and the hydraulic jack of the driving unit 125 are merely examples, and the multi-stage bending of the pin unit 120 is possible and various other configuration changes are possible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the present embodiment.

게다가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선미로부터 선수 방향으로 상향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부(120)는 선체(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n part 120 of this embodiment has been illustrated as being upward from the stern to the bow direc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n unit 120 may be upward from the hull 110 in an outward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In addi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a fin part of a ship including a fin part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5를 참조하면, 선박(100)은, 선체(110), 핀부(120) 및 구동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선체(110)의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vessel 100 may include a hull 110, a fin unit 120, and a driving unit 125. On the other hand, the fin portion 120 of this embodiment may b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hull 110 in an outward direction.

핀부(120)는, 선체(110)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121A)와, 제2 부재(121B) 및 제3 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n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member 121A, a second member 121B, and a third member 121C that are provided in a line from the hull 110 in an outward direction.

제1 부재(121A)가 선체(110)에 가장 근접하게 마련될 수 있어, 제1 부재(121A)가 선체(110)에 연결되도, 제3 부재(121C)가 핀부(120)에서 가장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부재(121B)가 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21A may be provided closest to the hull 110, so even if the first member 121A is connected to the hull 110, the third member 121C is at the most end of the fin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nd the second member 121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이러한 핀부(120)는, 파랑의 제2 세기에서 제2 부재(121B)는 제1 부재(121A)에 대비하여 선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되고, 제3 부재(121C)는 제2 부재(121B)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fin part 120, in the second intensity of the wave, the second member 121B is up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ull 110 in contrast to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is the second member. (121B)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이러한 핀부(120)는 제1 실시예에서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는 것과 달리, 선체(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고, 특히 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는 수평하면서 제2 부재(121B)가 상향되어, 종동요(Pithcing)의 감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Unlike the fin part 120 up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bow to the stern in the first embodiment, it may be up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110, and in particular,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are horizontal While the second member (121B) is upwar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duction of pitch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핀부(120)를 예시하였으나, 핀부(12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one pin unit 120 is illustrated, but a plurality of pin units 120 may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In addi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나,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되는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a ship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6, but since this embodiment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t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ly described drawings.

도 6을 참조하면, 선박(100)은, 선체(110), 핀부(120) 및 구동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핀부(120)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제1 실시예의 핀부(120)와 제2 실시예의 핀부(120)가 서로 번갈아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예의 핀부(120)를 제1 핀(120A)으로 기술하고, 제2 실시예의 핀부(120)를 제2 핀(120B)으로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vessel 100 may include a hull 110, a fin unit 120, and a driving unit 125. Meanwhile, the pin uni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in unit 12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in unit 12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lternately provi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in unit 120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fin 120A, and the pin unit 120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fin 120B.

제1 핀(120A)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면서 중심부(제2 부재(121B)일 수 있음)가 상향되고, 양단(제1 부재(121A)와 제3 부재(121C)일 수 있음)은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As the first fin 120A is provid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0,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entral portion (which may be the second member 121B) is upward, and both ends ( The first member 121A and the third member 121C)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제2 핀(120B)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선체(110)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121A)와, 제2 부재(121B) 및 제3 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fin 120B includes a first member 121A, a second member 121B, and a third member 121C provided in a line along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110. can do. And since this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제1 핀(120A)과 제2 핀(120B)이 서로 번갈아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120)는 제1 핀(120A)과 같이 선체(110)의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는 구조에 의해 횡동요의 감소가 극대화될 수 있고, 제2 핀(120B)과 같이 선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종동요의 감소를 극대화하여, 선박(100)의 트림(trim)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uch, a plurality of first fins 120A and second fins 120B may be alternately provided. Such a fin unit 120 can maximize the reduction of rolling motion by a structure that is upwar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hull 110, like the first fin 120A, and like the second fin 120B, of the hull 1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im state of the vessel 100 by maximizing the reduction of pitching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up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핀부(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핀(120A)과 제2 핀(120B)이 서로 번갈아 일렬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달리 제1 핀(120A)과 제2 핀(120B)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거나, 또는 상하 및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fin units 120 are provided,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fins 120A and the second fins 12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line. Unlike this, a plurality of first fins 120A and second fins 120B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aggered direct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0. As such,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do.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100)은, 핀부(120)가 파랑의 세기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거나 꺾임이 가능하여,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ship 100 including a fi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the fin portion 120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can be ben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waves, thereby maximizing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ship. can do.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선박 110: 선체
120: 핀부 125: 구동부
100: ship 110: hull
120: pin part 125: driving part

Claims (5)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고, 파랑의 세기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거나 다단으로 꺾이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
A hull extending from the bow to the stern; and
Including fi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The fin portion is divided into one or more, and the ship includes a fin portion that can be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fold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파랑의 제1 세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세기에 대비하여 에너지가 크게 형성되는 제2 세기에서 꺾이고,
상기 제2 세기에서 상기 핀부를 다단으로 꺾도록 상기 핀부에 연결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fin par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airfoil,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intensity of the wave, and is bent in a second intensity in which energy is formed to be large compared to the first intensity,
A ship including a pin part that is bendable to maintain a trim state, further comprising a drive unit including an articulated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pin part so as to bend the pin part in multiple stages at the second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수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미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수로부터 상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비하여 상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fin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and a third member provid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first member is adjacent to the bow relative to the thir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is adjacent to the stern relative to the first member;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is upward from the bow in the stern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member is upward in the stern direction compar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third member is upward in the stern direction compared to the first member. The member includes a pin portion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second member and capable of being bent to maintain a trim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선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되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fin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and a third member provided in a line along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The first member is connected to the hull,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includes a fin portion that is bent upward to maintain a trim state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횡동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상향되는 제1 핀과, 종동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선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되는 제2 핀이 번갈아 구비되는, 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꺾임이 가능한 핀부를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fin unit is alternately provided with a first fi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w to the stern to reduce rolling motion and a second fin extending outward from the hull to reduce pitching, to maintain a trim state Ships with bendable fins.
KR1020210178225A 2021-12-14 2021-12-14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KR202300896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25A KR20230089660A (en) 2021-12-14 2021-12-14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25A KR20230089660A (en) 2021-12-14 2021-12-14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60A true KR20230089660A (en) 2023-06-21

Family

ID=8698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225A KR20230089660A (en) 2021-12-14 2021-12-14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6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0308B1 (en) Foil stabilized monohull vessel
US3800724A (en) Winged sailing craft
US6789490B2 (en) Ship constructions for achieving stability at high speed through the use of multiple, low wave-making resistance, submerged hullform pods and control fins
US6044784A (en) Marine vessels
US4674427A (en) Propulsion system for sailing crafts and ships
KR101907088B1 (en) variable width and draft trimaran hull platform
US5794558A (en) Mid foil SWAS
US3094961A (en) Hydrofoil sailboat
KR101185515B1 (en) Vessel
WO2019235281A1 (en) Ship with little wind-pressure resistance
US11286020B2 (en) Ballast water-free vessel using difference in depth of bottom shell plate between bow/stern and midship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3561388A (en) Hydrofoil saling craft
NO309896B1 (en) Surface-cutting sea-going vessels with ground effect
KR20230089660A (en) Ship with a bendable fin to maintain a trim state
US3631828A (en) Sailboat hydrofoils
EP0816218A2 (en) Ship docking vessel
US6990915B2 (en) Stabilized watercraft such as a trimaran
USRE28615E (en) Hydrofoil sailing craft
JPS60163783A (en) Hull structure
US20230294797A1 (en) A hydrofoil vessel
JPS6121890A (en) Sailing ship
US20230070348A1 (en) A vessel
JP2023152466A (en) Vessel
JP2023502696A (en) water craft
KR20230081340A (en)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