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452A - 전력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452A
KR20230089452A KR1020210178085A KR20210178085A KR20230089452A KR 20230089452 A KR20230089452 A KR 20230089452A KR 1020210178085 A KR1020210178085 A KR 1020210178085A KR 20210178085 A KR20210178085 A KR 20210178085A KR 20230089452 A KR20230089452 A KR 20230089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179B1 (ko
Inventor
김현중
김태원
홍제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분배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 및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력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커버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를 통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부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면서, 무선통신 모듈을 전력분배장치의 케이스 내부로 수용하여 무선통신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분배장치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통신 장치를 수용하는 전력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분배장치란, 전원을 여러 개의 부하로 분배하여 공급하거나, 또는 어느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 체 다른 부하로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전력변환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따라 배터리 모듈에 전기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olve System) 및 태양광 발전 모듈(PV, PhotoVoltaics)이 대두됨에 따라,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지 태양광 발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계통의 후단에 설치되어 부하로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의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단순히 누전 여부 등을 감지하고 회로를 차단하던 종래 분전반의 기능을 넘어서, 다계통의 전력원으로부터의 전력 수급을 적절히 제어하고 부하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전력분배현황이나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분배 관련 설정 및 차단기 제어 등을 통해 개인의 사용 환경에 맞게 전력분배장치를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9269호 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5288호와 유사하게, 태양광 발전 모듈, 태양광으로 생성된 직류 전류를 가정용 교류로 변환하고 부하로 분배하는 인버터, 인버터와 연결되어 태양광 발전량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취합하여 모바일 통신 장치 등으로 송신하고 모바일 통신 장치 등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인버터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번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분배장치(또는 인버터)의 외함은 철재로 제작한다. 이에 철재 외함의 전자기 차폐로 인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외함 내측에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없어, 종래 기술은, 외함의 외측에 돌출된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외함 외측에 형성되는 USB포트에 USB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를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또는, 종래 기술은, 전력분배장치와 그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무선 통신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무선 통신 장치 또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무선 통신 관련 회로 부품의 손상 및 그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별도로 유선 랜을 구비하여 전력분배장치를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하거나, 돌출형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구조를 전력분배장치의 외함에 제작하여야 하는 등, 그 설치 및 제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돌출된 안테나 구조와 연결되어 전력분배장치의 외함 내측에 수용된 무선 통신 모듈의 본체 부분을 수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외함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여, 수리 및 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926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52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분배장치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하여,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력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전력분배장치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설치 및 수리 편의를 향상시킨 전력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전력분배장치에 견고히 체결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력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탈부착이 용이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설치 및 수리 편의를 향상시킨 전력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분배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 및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력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커버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를 통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부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고, 무선통신 장치를 전력분배장치의 케이스 내부로 수용하여 무선통신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가이드월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커버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가이드월은, 개구부의 외곽을 따라 둘레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월이 개구부에 삽입되면서 커버를 체결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를 형성한 가이드월이 커버 체결시 개구부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와 밀착됨으로써, 부품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유격으로 인한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가이드월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커버의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보다 좁게 형성된 가이드월의 말단이 먼저 개구부에 삽입된 다음, 개구부의 외곽이 가이드월 측면의 경사를 따라 더욱 깊게 삽입되면서 커버가 체결 위치로 안내되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제1후크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케이스에 후킹(Hookiing)됨으로써 커버를 케이스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커버가 탈착되지 않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강도 이상의 힘에는 커버가 탈착되도록하여,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관리 및 수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접착제는, 커버의 내측면 중 상술한 가이드월이 형성하는 둘레의 외측에 형성되어, 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될 수 있고, 접착제는, 반복적으로 탈착 및 접착이 가능한 성질의 접착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수리 및 관리시 커버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서포터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지지할 수 있고, 서포터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커버의 외곽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의 외곽측으로 형성된 서포터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체결 위치보다 넓게 형성된 서포터의 말단 내측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먼저 삽입한 다음, 무선통신 회로기판이 서포터의 경사를 타면서 커버 내측면의 체결 위치에 안착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제2후크가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경우, 서포터는, 적어도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제2후크에 대응되는 일측을 밀어넣어 제2후크에 먼저 체결시키고, 그 후 서포터에 대응되는 타측을 밀어넣어 서포터로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수 있게되어,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체결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탈착할 경우, 서포터로 지지되는 측단을 적은 힘으로 먼저 들어올린 다음, 제2후크에 체결된 측단을 강한 힘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탈착시킬 수 있게되어,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되어, 전력분배장치의 수리 및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는,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중 제2후크에 대응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나머지 측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무선통신 회로기판은, 내측에 개구된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필러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가이드홀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필러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높아질수록 종단면의 지름이 작아지는 돔(Dome)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가이드홀에 쉽게 가이드필러가 삽입되도록하여,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분배장치의 외함의 일부를 비전도성 물질로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부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고, 무선통신 장치를 전력분배장치의 외함 내부로 수용하여 무선통신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않도록 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월이 개구부에 삽입되면서 커버를 체결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의 외곽을 따라 둘레를 형성한 가이드월이 커버 체결시 개구부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와 밀착됨으로써, 부품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커버를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고, 부품의 유격으로 인하여 커버의 내측면과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더라도 가이드월에 의하여 케이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월이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커버의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될 경우, 개구부보다 좁게 형성된 가이드월의 말단이 먼저 개구부에 삽입된 다음, 개구부의 외곽이 가이드월 측면의 경사를 따라 더욱 깊게 삽입되면서 커버가 체결 위치로 안내되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크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케이스에 후킹(Hookiing)됨으로써, 케이스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커버가 탈착되지 않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강도 이상의 힘에는 커버가 탈착되도록하여,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관리 및 수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내측면 중 상술한 가이드월이 형성하는 둘레의 외측에 형성되어 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될 수 있고, 반복적으로 탈착 및 접착이 가능한 성질의 접착제를 포함하여, 수리 및 관리시 커버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외곽측으로 형성된 서포터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체결 위치보다 넓게 형성된 서포터의 말단 내측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먼저 삽입한 다음, 무선통신 회로기판이 서포터의 경사를 타면서 커버 내측면의 체결 위치에 안착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제2후크에 대응되는 일측을 밀어넣어 제2후크에 먼저 체결시키고, 그 후 서포터에 대응되는 타측을 밀어넣어 서포터로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에 체결할 수 있게되어,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체결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탈착할 경우, 서포터로 지지되는 측단을 적은 힘으로 먼저 들어올린 다음, 제2후크에 체결된 측단을 강한 힘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탈착시킬 수 있게되어,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커버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되어, 전력분배장치의 수리 및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터가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중 제2후크에 대응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나머지 측단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회로기판에 개구된 가이드홀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돔(Dome) 형태의 가이드필러를 포함하여,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가이드홀에 쉽게 가이드필러가 삽입되도록하여, 전력분배장치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의 투과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와 무선통신 모듈의 결합관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의 결합관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회로기판이 분해된 무선통신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A부분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예를 들어 '11'이 '11a, 11b'를 포함하거나, '16'이 '16a, 16b'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 '무선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장치'는, 커버 및 커버에 체결된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1)를 설명한다.
전력분배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된 케이스(2);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분배기(5); 케이스(2)에 형성된 개구부(3)를 폐쇄하는 커버(10); 및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력분배기(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포함하고, 커버(10)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스(2)는, 부품이 수용될 내부 공간 및 전력분배장치(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는, 전면패널(2a), 전면패널(2a)과 대향되는 후면패널(2b), 전면패널(2a) 및 후면패널(2b)의 측단을 연결하는 측면패널(2c), 전면패널(2a) 및 후면패널(2b)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패널(2d), 및 전면패널(2a) 및 후면패널(2b)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패널(2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분배장치(1)는, 고전압 및 고전류의 전기가 흐르는 장치로서, 화재의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 철재의 외함을 갖는다. 즉, 케이스(2)는, 철재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는, 케이스(2)의 내부가 전자기적으로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개구부(3)는, 케이스(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는, 전력분배장치(1)의 케이스(2)를 구성하는 면 중 전력분배장치(1)가 설치 공간에 부착되는 면을 제외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분배장치(1) 설치시, 케이스(2)의 후면패널(2b)이 설치 공간의 벽면에 체결되는 점에서, 개구부(3)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케이스(2)의 후면패널(2b)을 제외한 어느 하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력분배기(5)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력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5)는,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분배기(5)와 연결되는 외부 전력원은, 에너지 저장장치(ESS), 태양관 발전 모듈(PV), 및 그리드(Gr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력분배기(5)는, 각각의 외부 전력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여, 운전 조건에 따라 적절한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분배기(5)와 연결되는 부하는, 일반적인 옥내 부하 및 비상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상 부하란,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전력 공급이 유지될 필요가 있는 부하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5)는, 회로 차단기, 릴레이 스위치 등의 부품을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이므로, 전력분배기(5)의 내부 구성, 외부 전력원과의 연결 방법, 및 부하와의 연결 방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10)는, 케이스(2)에 형성된 개구부(3)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10)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 장치가 송출하는 전파가 케이스(2) 외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커버(10)는, 개구부(3)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개구부(3)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의 넓이를 개구부(3)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고, 커버(10) 체결시 커버의 내측면(11) 중 개구부(3)를 폐쇄하는 부분 외의 잔여 면적에 후술할 폼테이프 등의 접착제(19)를 도포하여 부품 제작간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전력분배장치(1)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은, 전력분배기(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통신용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분배장치(1)의 외함의 일부를 비전도성 물질로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내부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고, 무선통신 장치를 전력분배장치(1)의 외함 내부로 수용하여 무선통신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1)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장치(1)의 체결 구조를 설명한다.
가이드월(12)은,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개구부(3)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커버(10)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월(12)은, 개구부(3)의 외곽을 따라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개구부(3)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월(12)은, 개구부(3)에 삽입되면서 커버(10)를 체결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1)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3)의 외곽을 따라 둘레를 형성한 가이드월(12)은, 커버(10) 체결시 개구부(3)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2)와 밀착됨으로써, 부품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커버(10)를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고, 부품의 유격으로 인하여 커버의 내측면(11)과 케이스(2)의 외측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더라도 가이드월(12)에 의하여 케이스(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가이드월(12)은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가이드월(12)은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커버(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월(12)이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커버(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될 경우, 개구부(3)보다 좁게 형성된 가이드월(12)의 말단이 먼저 개구부(3)에 삽입된 다음, 개구부(3)의 외곽이 가이드월(12) 측면의 경사를 따라 더욱 깊게 삽입되면서 커버(10)가 체결 위치로 안내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후크(13)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개구부(3)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케이스(2)에 후킹(Hooking)됨으로써 커버(10)를 케이스(2)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후크(13)는, 상술한 가이드월(12)이 형성한 둘레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10) 체결시 케이스(2)의 내측면 중 개구부(3)의 외곽에 인접한 부위에 후크가 걸려, 케이스(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도록 커버(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커버(10)가 탈착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케이스(2) 내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강도 이상의 힘에는 커버(10)가 탈착되도록 하여,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관리 및 수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후크(13)는, 커버(10)가 케이스(2)에 견고히 체결되도록 적절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후크(13)는, 개구부(3)의 외곽 중 개구부(3)의 내측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개구부(3)가 직사각형의 형상일 경우, 개구부(3)의 모서리부에 각각 대응되는 4개의 제1후크(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제(19)는, 커버의 내측면(11) 중 상술한 가이드월(12)이 형성하는 둘레의 외측(11a)에 형성되어, 케이스(2)의 외측면과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19)는, 반복적으로 탈착 및 접착이 가능한 성질의 접착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19)는 폼테이프일 수 있다. 따라서, 수리 및 관리시 커버(10)를 케이스(2)로부터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후크(15)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후킹(Hooking)함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커버(10)와 체결시킬 수 있다.
서포터(16)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16)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서포터(16)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커버(10)의 외곽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10)의 외곽측으로 형성된 서포터(16)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커버(10)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체결 위치보다 넓게 형성된 서포터(16)의 말단 내측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먼저 삽입한 다음,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이 서포터(16)의 경사를 타면서 커버의 내측면(11)의 체결 위치에 안착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후크(15)와 서포터(16)는,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이 커버(10)에 견고히 체결되도록 하면서도 수리 편의를 위하여 간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후크(15)가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외곽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경우, 서포터(16)는, 적어도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외곽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이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고,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기준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하측단에 대응되도록 제2후크(15)가 형성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상측단에 대응되도록 서포터(16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커버(10)에 체결할 경우,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제2후크(15)에 대응되는 일측을 밀어 넣어 제2후크(15)에 먼저 체결시키고, 그 후 서포터(16a)에 대응되는 타측을 밀어 넣어 서포터(16a)로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커버(10)에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전력분배장치(1)의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10)에 체결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탈착할 경우, 서포터(16a)로 지지되는 측단을 적은 힘으로 먼저 들어올린 다음, 제2후크(15)에 체결된 측단을 강한 힘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복수개의 측단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을 커버(10)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되어, 전력분배장치(1)의 수리 및 관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서포터(16)는,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대응되도록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좌측단의 서포터(16b) 및 우측단의 서포터(16b)는 커버(10)에 체결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좌우측단을 지지하여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16)는,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외곽 중 제2후크(15)에 대응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나머지 측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력분배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은, 내측에 개구된 가이드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필러(17)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가이드홀(21)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필러(17)는, 커버의 내측면(11)으로부터 높아질수록 종단면의 지름이 작아지는 돔(Dome)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기판(20)의 가이드홀(21)에 쉽게 가이드필러(17)가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분배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전력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월을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에 후킹되는 제1후크를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월은,
    상기 개구부의 외곽을 따라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둘레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전력분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 중 상기 둘레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반복적으로 탈착 및 접착이 가능한 전력분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는,
    상기 개구부의 외곽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력분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후킹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은,
    내측에 개구된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필러를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는,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는,
    적어도 상기 무선통신 회로기판의 외곽 타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력분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되는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측단을 연결하는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후면패널을 제외한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전력분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전력분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월은,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되는 전력분배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외곽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되는 전력분배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필러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높아질수록 종단면의 지름이 작아지는 돔(Dome) 형태로 돌출되는 전력분배장치.
KR1020210178085A 2021-12-13 2021-12-13 전력분배장치 KR10263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85A KR102638179B1 (ko) 2021-12-13 2021-12-13 전력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85A KR102638179B1 (ko) 2021-12-13 2021-12-13 전력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452A true KR20230089452A (ko) 2023-06-20
KR102638179B1 KR102638179B1 (ko) 2024-02-16

Family

ID=8699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085A KR102638179B1 (ko) 2021-12-13 2021-12-13 전력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1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74A (ja) * 1997-10-15 1999-04-27 Uni Charm Corp 蓋装置
US20030191589A1 (en) * 2002-04-04 2003-10-09 David Fletcher Method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est and control devices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s
KR20090125288A (ko) 2007-05-14 2009-12-04 에스엠에이 솔라 테크놀로지 아게 교류 네트워크 내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JP2015198356A (ja) * 2014-04-01 2015-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電盤用内器及びそれを用いた分電盤
KR102119269B1 (ko) 2019-10-30 2020-06-26 박명길 IoT단말용 태양광 인버터 자동탐색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IoT통신모듈, 이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KR20210047663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에너솔라 외함용 조립식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74A (ja) * 1997-10-15 1999-04-27 Uni Charm Corp 蓋装置
US20030191589A1 (en) * 2002-04-04 2003-10-09 David Fletcher Method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est and control devices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s
KR20090125288A (ko) 2007-05-14 2009-12-04 에스엠에이 솔라 테크놀로지 아게 교류 네트워크 내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JP2015198356A (ja) * 2014-04-01 2015-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電盤用内器及びそれを用いた分電盤
KR20210047663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에너솔라 외함용 조립식 도어
KR102119269B1 (ko) 2019-10-30 2020-06-26 박명길 IoT단말용 태양광 인버터 자동탐색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IoT통신모듈, 이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179B1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3394B2 (ja) サーバーの無停電電源装置
CN107028574B (zh) 底座及洗碗机
KR20230089452A (ko) 전력분배장치
JP2016157743A (ja) 屋外設置用電気機器
CN211266088U (zh) 一种控制柜柜体和协作机器人控制柜
US10804661B1 (en) High capacity battery charger with robust adapter support
US20110310626A1 (en) Lighting device
CN104852287A (zh) 集成板式强电控制柜
CN211345732U (zh) 电气箱体互感模块安装结构及空调
CN210201427U (zh) 一种空气母线槽的连接器
CN113571806A (zh) 储能系统
CN217848675U (zh) 底座组件及配电设备
CN208848779U (zh) 一种家电开关保护机构
CN215398262U (zh) 有序控制交流充电装置
CN216819088U (zh) 一种ups应急电源组装结构
CN209994725U (zh) 一种通信用集线器布线装置
CN215897099U (zh) 机柜散热结构、配电柜及数据中心机房
CN212210139U (zh) 一种用于中小型泵站的智能控制设备
CN210468510U (zh) 一种组装式智能箱
CN214708508U (zh) 一种高效散热的bms外壳
CN211781491U (zh) 天花机
CN217822961U (zh) 储能系统
CN217215629U (zh) 一种智能型双电源开关柜
CN210926827U (zh) 一种用于消防设备的封闭式高低压配电柜
CN220544712U (zh) 带无线充电的储能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