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42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9242A KR20230089242A KR1020210177719A KR20210177719A KR20230089242A KR 20230089242 A KR20230089242 A KR 20230089242A KR 1020210177719 A KR1020210177719 A KR 1020210177719A KR 20210177719 A KR20210177719 A KR 20210177719A KR 20230089242 A KR20230089242 A KR 20230089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plug
- present
- usb port
- connection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쉬운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홀의 배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마련된 접속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홀의 배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마련된 접속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쉬운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통상 콘센트 몸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 몸체에 내장된 전원 단자와 결합되도록 결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단자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국가별로 사용하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규격화의 문제를 떠나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결합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런데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킴에 있어서, 콘센트는 앞서 단자홀이 결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일정한 홈의 저면에 구성된 것이 많아 그 옆에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 시선으로 단자홀을 찾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키는 경우 일반 가정에서는 옷장, 책장 등의 가구 뒤에 콘센트가 위치해 있고 이 콘센트에서 멀티탭을 연결하여 이용하거나 바로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옆으로 콘센트에 끼우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경우에 단자홀을 찾기가 매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단자홀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수직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체결시키는 것이 다소 힘든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이, 콘센트가 일반 가정에서는 구석진 곳에 위치한 경우가 많고 불편한 자세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을 수밖에 없는데, 사용자가 콘센트의 단자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콘센트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9-011571호는 종래의 "콘센트"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었을 때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에 삽입되게 되는 것으로, 플러그를 용이하게 콘센트에 접속시키는 기술과는 차이가 있으며, 용이하게 플러그를 접속시키는 수단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단자홀을 파악하도록 유도하여 플러그의 접속을 쉽게 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홀의 배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마련된 접속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유도부는 색깔 물질 및 형광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도포하여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유도부는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유도부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일측부에 USB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USB 포트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상기 USB 포트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USB 포트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사용자가 콘센트의 단자홀 배열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사용자가 손의 촉감만으로 콘센트의 단자홀 배열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빛이 없는 어둠 속이나 시력이 나쁜 사람이나 시각 장애인도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제작이 쉽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건축물의 벽면 매립형이나 멀티탭형의 콘센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USB 포트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USB를 USB 포트부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오목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볼록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오목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볼록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오목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하여 접속 유도부가 볼록한 형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건축물 등의 벽면에 매입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일측부에 전기 장치 등의 플러그(plug)(미도시)를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110)을 형성할 수 있다.
소켓(110)은 몸체부(100)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단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110)은 바닥면에 플러그의 접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단자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홀(130)은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여 플러그의 접지 핀을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장치의 플러그의 접지 핀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단자홀(130)의 개수는 플러그의 접지 핀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홀(130)은 서로 이격되게 소켓(110)의 바닥면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의 접지 핀을 단자홀(130)에 끼움 결합할 시에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접지 핀을 단자홀(130)에 끼움 결합해야 한다.
몸체부(100)는 둘레부에 접속 유도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 유도부(150)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선(I)을 따라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눈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몸체부(100)가 복수 개의 소켓(110)을 형성할 시에 복수 개의 소켓(110)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접속 유도부(150)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일 실시예로 빨강, 파랑, 노랑, 초록, 주홍, 보라, 검정, 하양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 잉크, 페인트 등과 같은 색깔 물질 및 형광 색상을 갖는 형광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도부(150)가 형광 물질로 형성되면 빛이 없는 어둠속에서도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유도부(150)는 유성 잉크를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도포하여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를 유성 잉크로 도포하여 색상을 형성하면 제조가 쉽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관리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및 도 2 b를 참고하여, 접속 유도부(150)는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를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여 촉각으로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가 눈으로 식별이 어려운 가구 또는 가전 제품 등의 밑에 위치할 경우 및 사용자의 시력이 나쁘거나 시각 장애인일 경우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 접속 유도부(150)를 손으로 만져서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접속 유도부(150)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를 접착 테이프로 형성하면 접착 테이프를 몸체부(100)에 접착 및 탈착을 쉽게 할 수 있어 제조가 쉽고 용도에 따라 즉각적으로 형상 및 색상을 변형 및 변경할 수 있고 관리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의 몸체부(100)는 USB 포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부(17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전기 배선에 접속하기 위해 USB 전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부(100)는 둘레부에 USB 포트부(170)의 위치를 표시하는 USB 포트 표시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 포트부(170)의 위치 방향을 문자, 도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가 USB 포트부(170)에 끼움 결합되는 입구부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입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는 멀티탭(multi tap)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는 건축물 등의 벽면에 매입된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상태로 단부에 몸체부(100)를 형성한 멀티탭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00)는 일측부에 전기 장치 등의 플러그(plug)(미도시)를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110)을 형성할 수 있다.
소켓(110)은 몸체부(100)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단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110)은 바닥면에 플러그의 접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단자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홀(130)은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여 플러그의 접지 핀을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몸체부(100)는 둘레부에 접속 유도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일측에서 몸체부(10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어 단자홀(130)의 타측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 유도부(150)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선(I)을 따라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눈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몸체부(100)가 복수 개의 소켓(110)을 형성할 시에 복수 개의 소켓(110)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접속 유도부(150)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일 실시예로 빨강, 파랑, 노랑, 초록, 주홍, 보라, 검정, 하양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 잉크, 페인트 등과 같은 색깔 물질 및 형광 색상을 갖는 형광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도부(150)가 형광 물질로 형성되면 빛이 없는 어둠속에서도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는 몸체부(100)의 둘레부에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를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여 촉각으로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가 눈으로 식별이 어려운 가구 또는 가전 제품 등의 밑에 위치할 경우 및 사용자가 시력이 나쁘거나 시각 장애인일 경우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 접속 유도부(150)를 손으로 만져서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접속 유도부(150)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유도부(150)를 접착 테이프로 형성하면 접착 테이프를 몸체부(100)에 접착 및 탈착을 쉽게 할 수 있어 제조가 쉽고 용도에 따라 즉각적으로 형상 및 색상을 변형 및 변경할 수 있고 관리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의 멀티탭 형상의 몸체부(100)는 USB 포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부(17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전기 배선에 접속하기 위해 USB 전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부(100)는 둘레부에 USB 포트부(170)의 위치를 표시하는 USB 포트 표시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 포트부(170)의 위치 방향을 문자, 도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가 USB 포트부(170)에 끼움 결합되는 입구부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입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멀티탭 형상의 몸체부(100)는 6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 포트부(170)가 형성된 일측부의 양측부와 반대측인 타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USB 포트 표시부(171)는 USB 포트부(170)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어느 측부에서 바라보더라도 USB 포트부(170)의 형성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사용자가 콘센트의 단자홀 배열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사용자가 손의 촉감만으로 콘센트의 단자홀 배열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빛이 없는 어둠 속이나 시력이 나쁜 사람이나 시각 장애인도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제작이 쉽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건축물의 벽면 매립형이나 멀티탭형의 콘센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USB 포트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USB를 USB 포트부에 접속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콘센트
100: 몸체부
110: 소켓
130: 단자홀
150: 접속 유도부
170: USB 포트부
171: USB 포트 표시부
I: 가상의 선
100: 몸체부
110: 소켓
130: 단자홀
150: 접속 유도부
170: USB 포트부
171: USB 포트 표시부
I: 가상의 선
Claims (5)
-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홀의 배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마련된 접속 유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도부는 색깔 물질 및 형광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도포하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도부는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도부는 접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부에 USB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USB 포트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 상기 USB 포트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USB 포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7719A KR20230089242A (ko) | 2021-12-13 | 2021-12-13 |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7719A KR20230089242A (ko) | 2021-12-13 | 2021-12-13 |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9242A true KR20230089242A (ko) | 2023-06-20 |
Family
ID=8699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7719A KR20230089242A (ko) | 2021-12-13 | 2021-12-13 |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9242A (ko) |
-
2021
- 2021-12-13 KR KR1020210177719A patent/KR202300892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27876B2 (en) | Pluggable electrical outlet system | |
US9748715B2 (en) | Modular socket panel and layer module for modular socket panel | |
TWM549981U (zh) | 模組化可替換式插座結構 | |
WO2022007241A1 (zh) | 模块化可替换式插座结构 | |
US8702447B2 (en) |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 |
TWI485552B (zh) | 可改變插頭插接方向之電源供應器 | |
KR20000036907A (ko) | 절전용 콘센트장치 | |
KR20230089242A (ko) | 콘센트 | |
US20230163543A1 (en) | Replaceable Socket Device and Adapter | |
CN205264988U (zh) | 电源插头 | |
TWM605405U (zh) | 模組化可替換式插座結構 | |
US10439344B1 (en) | Universal DC power supply extension cable system | |
TWM525007U (zh) | 可拆組式電源線 | |
TWI850653B (zh) | 可替換式插座裝置 | |
TW201323734A (zh) | 架體接桿結構 | |
CN205212024U (zh) | 电源接线板 | |
KR20220052478A (ko) | 플러그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콘센트 | |
CN205178193U (zh) | 电源插座 | |
CN205231395U (zh) | 插座电路结构 | |
CN205264978U (zh) | 转换插座 | |
KR20200138983A (ko) |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콘센트 접지 방향 표시를 구비하는 콘센트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 |
KR200212543Y1 (ko) | 다용도 멀티탭 | |
CN210245882U (zh) | 电源适配器组件 | |
CN107887749A (zh) | 一种连接器 | |
CN207925813U (zh) | 一种多插座块组合扩展插接的电源插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