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22A -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22A
KR20230089222A KR1020210177676A KR20210177676A KR20230089222A KR 20230089222 A KR20230089222 A KR 20230089222A KR 1020210177676 A KR1020210177676 A KR 1020210177676A KR 20210177676 A KR20210177676 A KR 20210177676A KR 20230089222 A KR20230089222 A KR 20230089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frame
filter unit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대영공조휠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공조휠터(주) filed Critical 대영공조휠터(주)
Priority to KR102021017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222A/ko
Publication of KR2023008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필터부재와, 필터부재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필터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필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에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공기유동분산유닛; 공기유동분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유동분산유닛에 의해 필터유닛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유닛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분산유닛으로 인해 필터유닛의 마감재가 프레임의 내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한편 마감재의 하류측 단부가 프레임의 차단벽에 형성된 필터삽입홈에 삽입되므로 프레임과 필터유닛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된 공기유동분산유닛으로 인해 필터유닛을 통과하는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여과 효율이 향상되고 필터의 사용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Refill type complex filt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필터만 교체하고 필터 프레임은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유동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프레임과 필터 테두리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설비로서, 실외공기 및/또는 실내공기를 여과한 후 냉각, 제습, 가열 등의 과정을 거쳐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여과장치, 냉각장치, 가열장치 등을 포함하며, 냉난방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의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는 건물 전체로 공급할 대량의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므로 가정용 소형 공기청정기와는 달리 상당히 많은 양의 필터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는 다수의 장착공(20)을 구비하는 필터설치프레임(10)과, 필터설치프레임(10)의 각 장착공(20)에 삽입 장착되는 필터 조립체(30)를 포함하며, 각 필터 조립체(30)는 필터유닛(32)과 필터유닛(32)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프리필터유닛(34)을 포함한다.
프리필터유닛(34)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하는 부직포 재질의 필터부재와, 필터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필터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는 철망, 지지대 등을 포함한다.
필터유닛(32)은 프리필터유닛(34)을 통과한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용 필터유닛(32)에는 대략 3~30㎛ 정도의 입자를 여과하는 미디움(medium) 필터가 많이 사용되지만, 용도에 따라 헤파필터 이상의 성능을 갖는 필터부재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 조립체(30)는 장시간 사용할수록 포집된 먼지로 인해 여과 성능이 저하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필터유닛(32)을 제작할 때 필터의 테두리를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내벽에 접착하기 때문에 필터만 교체하고 프레임을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즉, 필터를 교체하려면 필터가 접착된 프레임까지 교체해야 하므로 폐기물이 증가하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필터만 교체하고 프레임은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리필터와 미디움필터가 통합된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를 개발하여 특허 제10-2147597호를 취득하는 한편 폐기물 절감과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는 제품으로 인정되어 녹색기술을 인증 받은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7597호(2020.08.24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고안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발명자가 특허 받은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성능을 한층 강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부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프레임과 필터부재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필터부재와, 필터부재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필터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필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에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공기유동분산유닛; 공기유동분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유닛을 포함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프레임은, 테두리부재; 테두리부재의 하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차단벽; 테두리부재의 상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차단벽을 포함하며, 제1 차단벽에는 상류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테두리부재의 내벽 사이에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하류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필터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제1 차단벽에는 필터유닛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류측으로 개방된 지지부재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프리필터유닛의 상류측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프리필터유닛의 가장자리와 지지대의 단부는 각각 제2 차단벽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공기유동분산유닛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유로와 가장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포함하며,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에서,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필터설치프레임에 구비된 장착공에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설치프레임의 장착공에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삽입하는 제1 단계; 필터부재와,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가 각각 필터부재보다 돌출되도록 필터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구비하는 필터유닛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2 단계;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에 둘러싸인 공간에 공기유동분산유닛을 삽입하되,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가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삽입하는 제3 단계; 공기유동분산유닛의 상류측에 프리필터유닛을 설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설치방법의 제2 단계에서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하류측 돌출부를 프레임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된 필터고정홈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유동분산유닛에 의해 필터유닛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유닛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분산유닛으로 인해 필터유닛의 마감재가 프레임의 내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한편 마감재의 하류측 단부가 프레임의 차단벽에 형성된 필터삽입홈에 삽입되므로 프레임과 필터유닛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된 공기유동분산유닛으로 인해 필터유닛을 통과하는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여과 효율이 향상되고 필터의 사용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의 설치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필터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필터유닛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필터유닛에 공기유동분산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필터유닛에 공기유동분산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설치 방법을 순서대로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하류측에 지지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필터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의 필터유닛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7의 공기유동분산유닛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표시된 부분이 있으나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미리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 등의 표현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해당 표현으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2의 분해 사시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100)는, 프레임(1110)과, 프레임(110)의 내부에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순서대로 삽입되는 필터유닛(120), 공기유동분산유닛(130), 프리필터유닛(140) 및 지지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류'와 '하류'는 필터 조립체(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 용어이다.
프레임(110)은, 도 3의 단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의 관통부(111)를 둘러싸는 테두리부재(112)와, 테두리부재(112)의 하류측 단부에서 중심축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1 차단벽(115)과, 테두리부재(112)의 상류측 단부에서 중심축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2 차단벽(119)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함석,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구체적인 용도에 맞게 적절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부(111)는 제1 공간(113)과 제1 공간(11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제1 공간(113)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2 공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13)에는 필터유닛(120)과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이 설치되고, 제2 공간(114)에는 프리필터유닛(140)과 지지대(150)가 설치될 수 있다.
테두리부재(112)는, 제1 테두리부재(112a)와 제1 테두리부재(112a)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제1 테두리부재(112b)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제2 테두리부재(112b)를 포함하며, 제1 테두리부재(112a)와 제2 테두리부재(112b)의 사이에는 수직의 단차면(11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두리부재(112a)는 필터 조립체(100)를 설치할 때 필터설치프레임(10)의 장착공(2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장착공(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면(112c)은 프레임(110)을 필터설치프레임(10)의 장착공(20)에 삽입할 때 프레임(110)이 하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장착공(20)의 테두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제1 차단벽(115)은 제1 테두리부재(112a)의 하류측 단부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며,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된 필터유닛(120)이 하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차단벽(119)은 제2 테두리부재(112b)의 상류측 단부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며,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 배치된 프리필터유닛(140)과 지지대(150)가 상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차단벽(115)은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6)와 테두리부재(112)의 내벽 사이에는 필터고정홈(117)이 형성되며, 필터고정홈(117)에는 필터유닛(120)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124)의 하류측 단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필터유닛의 마감재(124)의 하류측 단부가 필터고정홈(117)에 삽입되면, 사용 중의 진동이나 공기 유동으로 인해 필터유닛(120)이 변형되거나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감재(124)가 프레임(110)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재(124)와 프레임(110) 내벽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필터고정홈(117)을 형성하는 돌출부(116)는 테두리부재(112)의 내벽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터유닛의 마감재(124)의 단부를 보다 쉽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류쪽으로 갈수록 테두리부재(112)의 내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차단벽(115)에는 철망, 철사 등과 같은 지지부재(도 14의 160 참조)의 단부를 삽입 장착할 수 있는 지지부재삽입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삽입홈(118)은 필터고정홈(117) 보다 중심축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부재삽입홈(118)은 필터고정홈(117)과 마찬가지로 하류측은 폐쇄되고 상류측으로 입구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20)은, 도 4와 도 4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인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22)와, 필터부재(122)의 테두리에 부착된 마감재(124)를 포함한다.
필터부재(122)는 프리필터유닛(140)을 통과한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성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략 3~30 ㎛ 정도의 입자를 여과하는 미디움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은 입자를 여과하는 세미헤파필터 또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성능의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유닛(120)의 네 변에 각각 마감재(124)가 부착되고 각 마감재(124)의 높이(he)는 필터부재(122)의 높이(hf)보다 크다.
또한 마감재(124)를 필터부재(122)의 측면 테두리에 부착할 때는, 마감재(124)의 상류측 단부는 필터부재(122)보다 상류측으로 돌출되고 하류측 단부는 필터부재(122)보다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필터부재(122)의 상류측 가장자리에는 마감재(124)의 상류측 돌출부(126)가 돌출되고, 하류측 가장자리에는 마감재(124)의 하류측 돌출부(128)가 돌출된다.
마감재(124)의 상류측 돌출부(12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이 삽입 장착되는 분산유닛 설치공간(127)으로 활용된다.
마감재(124)의 하류측 돌출부(128)는 프레임(110)의 제1 차단벽(115)에 형성된 필터고정홈(117)에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20)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필터원단(122a)을 소정 크기로 재단하는 공정(a), 필터원단(122a)을 지그재그로 접어서 필터부재(122)를 제조하는 공정(b), 필터부재(122)보다 높이가 높은 마감재(124)를 준비하여 필터부재(122)의 네 변에 각각 마감재(124)를 부착하는 공정(c)(d) 등을 거쳐 필터유닛(120)을 제조할 수 있다.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은 필터부재(122)로 유입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필터부재(122)의 일부분에 공기 유동이 집중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되거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된 다수의 유로(132)와 네 변에 각각 결합된 마감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유로(132)는 각각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각형, 오각형 등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공기유동분산유닛(130)에는 시판되는 허니콤(honeycomb) 제품이 사용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한 제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어떤 제품을 사용하든 테두리 부분에는 마감재(134)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을 설치하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유닛의 마감재(124)의 상류측 돌출부(126)에 둘러싸여 형성된 분산유닛 설치공간(127)의 내부에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을 삽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을 설치하면,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중 진동이나 공기유동으로 인해 필터유닛의 마감재(124)에 내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의 마감재(134)가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서 마감재(124)의 내측을 지지하므로 필터유닛(120)의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가 프레임(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와 프레임(1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의 하류측 단부를 프레임(110)의 필터고정홈(117)에 삽입하면,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가 프레임(110)의 내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공기 누설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프리필터유닛(140)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사전에 걸러내는 필터이며, 부직포 필터가 주로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별도의 프레임과 프리필터용 부재를 이용하여 프리필터유닛(140)을 제작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100)에서는 하나의 프레임(110)에 필터유닛(120)과 프리필터유닛(140)이 모두 설치되므로 프리필터유닛(140)에는 프리필터용 부재만 사용된다.
프리필터유닛(140)은 프레임(110) 내부의 제2 공간(114)에 배치되며,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을 설치한 후에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의 상류측에 프리필터유닛(140)을 배치하고 가장자리를 제2 차단벽(119)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150)는 프리필터유닛(140)의 상류측을 압박하여 프리필터유닛(14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내부의 필터유닛(120)과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50)는 단부를 제2 차단벽(119)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지지대(150)는 철사로 제작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의 횡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1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필터설치프레임(10)의 장착공(20)에 프레임(110)을 삽입한다. 이때 프레임(110)의 제1 테두리부재(112a)를 장착공(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측면에 형성된 단차면(112c)이 장착공(20)의 테두리에 걸릴 때까지 프레임(110)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 참조)
이어서, 프레임(110)의 상류측에서 관통부(111)의 제1 공간(113)으로 필터유닛(120)을 삽입한다.
이때,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를 테두리부재(112)의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필터부재(122)가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재(124)의 하류측 돌출부(128)가 프레임(110)의 제1 차단벽(115)에 구비된 필터고정홈(115)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필터유닛(120)을 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유닛(120)을 삽입할 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부재(122)에 형성된 골과 산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필터부재(122)의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 참조)
이어서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 형성된 분산유닛 설치공간(127)에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을 삽입한다.
이때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의 마감재(134)를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의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필터유닛(120)의 마감재(124)가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참조)
이어서 공기유동분산유닛(130)의 상류측에서 프레임(110)의 관통부(111)의 제2 공간(114)으로 프리필터유닛(140)을 삽입하고, 지지대(150)를 프리필터유닛(140)의 상류측에 설치한다.
이때, 프리필터유닛(140)의 가장자리를 제2 차단벽(119)의 안쪽으로 삽입하는 한편 지지대(150)의 단부도 제2 차단벽(119)의 안쪽으로 삽입함으로써 프리필터유닛(1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13 참조)
한편 이상에서는 프레임(110)의 하류측에 필터유닛(120)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장착하지 않았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유닛(120)의 하류측에 필터유닛(120)을 지지하는 철망, 철사 등의 지지부재(160)를 설치하고, 지지부재(160)의 가장자리를 프레임(110)의 제1 차단벽(115)에 구비된 지지부재삽입홈(118)에 삽입 장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낸 프레임(110)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유닛(120a)의 마감재(124)의 상류측 단부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129)를 형성할 수도 있다. 누설차단부재(129)는 마감재(124)를 바깥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한 후 마감재(124)의 상류측 단부에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유닛(120a)을 프레임(110)의 내부에 장착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설차단부재(129)에 의해 프레임(110)의 내벽과 필터유닛(120a)의 마감재(124)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유동분산유닛(130a)의 마감재(134)의 상류측 단부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139)를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유동분산유닛(130a)에 형성된 누설차단부재(139)는 마감재(134)를 바깥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한 후 마감재(134)의 상류측 단부에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분산유닛(130a)을 필터유닛(120)의 상류측에 장착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설차단부재(139)에 의해 프레임(110)의 내벽과 필터유닛(120a)의 마감재(124)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100)는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지만 구체적인 용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소형 공기여과장치에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 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필터설치프레임 20: 장착공 100: 필터 조립체
110: 프레임 111: 관통부 112: 테두리부재
112a: 제1 테두리부재 112b: 제2 테두리부재 112c: 단차면
113: 제1 공간 114: 제2 공간 115: 제1 차단벽
116: 돌출부 117: 필터고정홈 118: 지지부재삽입홈
119: 제2 차단벽 120: 필터유닛 122: 필터부재
124: 마감재 126: 상류측 돌출부 127: 분산유닛 설치공간
128: 하류측 돌출부 129: 누설차단부재 130: 공기유동분산유닛
132: 유로 134: 마감재 139: 누설차단부재
140: 프리필터유닛 150: 지지대 160: 지지부재

Claims (9)

  1.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필터부재와, 필터부재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필터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필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에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공기유동분산유닛;
    공기유동분산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유닛
    을 포함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테두리부재;
    테두리부재의 하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차단벽;
    테두리부재의 상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차단벽
    을 포함하며, 제1 차단벽에는 상류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테두리부재의 내벽 사이에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하류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필터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차단벽에는 필터유닛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류측으로 개방된 지지부재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프리필터유닛의 상류측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프리필터유닛의 가장자리와 지지대의 단부는 각각 제2 차단벽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유동분산유닛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유로와 가장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포함하며,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설차단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8. 필터설치프레임에 구비된 장착공에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설치프레임의 장착공에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삽입하는 제1 단계;
    필터부재와,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가 각각 필터부재보다 돌출되도록 필터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된 마감재를 구비하는 필터유닛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2 단계;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상류측 돌출부에 둘러싸인 공간에 공기유동분산유닛을 삽입하되, 공기유동분산유닛의 마감재가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삽입하는 제3 단계;
    공기유동분산유닛의 상류측에 프리필터유닛을 설치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설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는, 필터유닛의 마감재의 하류측 돌출부를 프레임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된 필터고정홈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20210177676A 2021-12-13 2021-12-13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KR20230089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76A KR20230089222A (ko) 2021-12-13 2021-12-13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76A KR20230089222A (ko) 2021-12-13 2021-12-13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22A true KR20230089222A (ko) 2023-06-20

Family

ID=8699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76A KR20230089222A (ko) 2021-12-13 2021-12-13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2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97B1 (ko) 2019-03-15 2020-08-24 김진영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97B1 (ko) 2019-03-15 2020-08-24 김진영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302B2 (en) Filter elements; air filter arrangements; and, methods
US6599344B2 (en)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s
US7048501B2 (en) Dust collecting filter,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intake device for gas turbine
KR20140047997A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WO2001008781A2 (en) Cellulose based filter media and cartridge apparatus
KR20230089222A (ko) 공기조화기용 리필형 복합 필터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KR102552027B1 (ko) 공조기용 자원재생순환 폴리프로필렌(pp) 미디움 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CN11236806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CN217287618U (zh) 一种涂覆气流过滤装置
US20090301042A1 (en) Gradient density engine intake filter media
KR20230111129A (ko) 원통형 필터
KR20190139173A (ko) 세척형 에어필터
JP2006326544A (ja) フィルタ枠体およびフィルタユニット
JP2010253455A (ja) 空調用フィルタ
RU2772389C1 (ru) Воздушный фильт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210036497A (ko) 초박형 필터 및 그 제작방법
AU2019278576B2 (en) An air filter and its method for manufacturing
CN218188255U (zh) 便于更换的大流量滤芯
US20050160915A1 (en) Cassette filter
JPH10264649A (ja) フィルタ装置
CN114845793B (zh) 用于空气过滤器的褶式过滤器元件
KR20070118472A (ko) 카트리지 필터 절곡 골 간격 유지 밴드구조
KR20220106296A (ko) 집진 필터
CN114845793A (zh) 用于空气过滤器的褶式过滤器元件
JP2006088048A (ja) 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