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868A -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868A
KR20230088868A KR1020220172352A KR20220172352A KR20230088868A KR 20230088868 A KR20230088868 A KR 20230088868A KR 1020220172352 A KR1020220172352 A KR 1020220172352A KR 20220172352 A KR20220172352 A KR 20220172352A KR 20230088868 A KR20230088868 A KR 2023008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iasing member
pluggable transceiver
por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니 라이언 바르델라
도미닉 스타이어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8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4Electrical aspects of optical modules with disconnectable electrical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02B6/4245Mounting of the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에 장착되어 그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과,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편향식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리셉터클은 커넥터가 내부에 위치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포트와 정렬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는 포트 안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포트 안에 삽입될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과, 커넥터의 단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카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는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플러그 모듈을 커넥터로부터 멀리 편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BIASED CONNECTOR SYSTEM}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개시내용은 2021년 12월 12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BIASED CONNECTOR SYSTEM"인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3/288,64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입력/출력(IO)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응용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IO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입력/출력(IO) 커넥터는 리셉터클에 맞물리는 플러그 모듈 커넥터를 갖도록 설계된다. 플러그 모듈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내의 단자들과 맞물리는 접촉부들을 갖는 패들 카드를 포함한다.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예를 들어, 56 Gbps 보다 높은 전송속도)에서, 기존 설계들은 플러그 모듈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신호 무결성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는 누적 공차(tolerance stack-up)를 갖는다. 특히, 이 문제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문제가 된다.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biased connector system) 및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제1 양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가 설명되는 바, 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내부에 커넥터가 위치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와 정렬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 슬롯에 위치된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함 -; 및 상기 포트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패들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멀리 편향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편향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말단 단부의 양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케이지의 프롱들이 상기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게끔 관통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C형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C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2 C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모듈 정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모듈 정지부는 상기 케이지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지 래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 래치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에 의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맞물리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설명되는 바,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와,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맞물릴 때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패드의 스터브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커넥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포트와 정렬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이며, 상기 제1 편향 부재는 상기 포트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포트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양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케이지의 프롱들이 상기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게끔 관통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S형 본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S형 본체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C형 부분 및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C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2 C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모듈 정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모듈 정지부는 상기 케이지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지 래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 래치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에 의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맞물리게 구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견고한 돌출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전방 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반대쪽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 요소는 상이한 수직 평면들 상에 있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단차 있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경사진 연장 부분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의 상부 표면에 대해 대체로 편평하고 평행하며,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케이지의 제1 내부 벽 상에 위치되는 제1 측벽 돌출부와, 상기 제1 내부 벽과 반대되는 상기 케이지의 제2 내부 벽 상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측벽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 돌출부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상기 포트 내에서의 추가적인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벽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 돌출부는 상기 케이지의 상기 제1 내부 벽 및 상기 제2 내부 벽 상에 형성된 반원형 펀치아웃일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가 설명되는 바, 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와,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함 -; 및 상기 포트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할 때 본 개시내용의 많은 양태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도면들의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며, 대신에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확대된 측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확대된 측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확대된 측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확대된 측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시되지 않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시되지 않은 리셉터클의 커넥터를 구비한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이다.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관련 방법들, 장치들 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컴퓨터, 컴퓨팅 시스템 및 컴퓨팅 환경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는 광 케이블과, 구리 케이블과, 이들 사이의 다양한 커넥터들, 케이블 어셈블리들, 및 단자들을 사용하여 상호접속된 수백 개의 컴퓨팅 및 네트워킹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접속되는 데이터 처리량은 많고, 또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데이터 센터는 10기가비트 이더넷(10 GbE), 25 GbE, 50 GbE 및 100 Gb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호접속의 조합을 포함한다. 200 GbE, 400 GbE 및 800 GbE 상호접속 기술 또한 개발되어 전개되고 있다. 다른 상호접속 솔루션은 56기가비트/초(Gb/s)와 112 Gb/s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호접속에 의존하며, 224 Gb/s 상호접속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범위의 케이블 어셈블리가 데이터 상호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들이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 환경의 요건들에 따라, 각각의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해 다양한 설계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플러그 모듈 장치(plug module arrangement)는 단자와 접촉 패드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신뢰성 있게 달성되도록 충분한 와이프(wipe)를 보장하면서 플러그 모듈과 리셉터클 사이의 완전한 맞물림을 보장하는 소정의 공차가 래칭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공차는 플러그 모듈이 위치될 수 있는 다양한 범위의 위치들이 있어야 할 것과, 패들 카드 상의 패드들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리셉터클의 단자들과 적절하게 맞물릴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누적 공차(tolerance stack up)의 결과로, 패들 카드의 접촉 패드들은 단자의 접촉부들과의 전기적 접촉이 보장되도록 일반적으로 길게 제조된다.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FP: small form-factor pluggable) 이중 밀도(SFP-DD), 콤팩트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cSFP), SFP+, 쿼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QSFP), 쿼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 이중 밀도(QSFP-DD) 등을 포함한 다양한 SFP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이 현재 이용 가능하다. SFP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대개의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패키지된 반도체 회로 장치 또는 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FP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갖는 능동 전기 케이블(AEC: active electrical cable) 어셈블리는 신호 재-타이밍을 위한 패키징된 반도체 칩을 포함할 수 있다. AEC 어셈블리 반도체 칩은 많은 기능들 중에서도 특히, 데이터 신호에 대한 손실 및 타이밍 평면을 리셋할 수 있고, 잡음을 제거할 수 있고, 신호 무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FP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갖는 능동 광학 케이블(AOC: active optical cable) 어셈블리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패키징된 반도체 칩을 포함할 수 있다. AOC의 반도체 칩은 송신기 광학 서브어셈블리(TOSA: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ies)에 의해 전송된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광학 서브어셈블리(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ies)를 포함할 수 있다. ROSA는 광 신호들을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패들 카드 상의 전기 접촉부의 추가적인 길이는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스터브(stub)" 또는 짧은 길이의 전도성 재료를 생성한다. 이 스터브는 신호들이 그 위에서 전파되어, 신호들이 실제 전송 채널로 다시 반사되게 한다. 스터브는 데이터 통신 중에 추가적인 잡음을 야기한다. 더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에서는, 신호 주파수가 충분히 낮아 스터브가 무시될 수 있기 때문에, 스터브의 요구되는 크기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예를 들어, 112 Gbps, 224 Gbps 등)에서는, 신호 주파수가 매우 높아지게 되어서 스터브 길이가 신호 무결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관리되어야 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누적(stack up)으로 인한 래칭 시스템의 공차를 개선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어서 스터브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패들 카드 상의 접촉 패드들과 맞물리는 단자들의 접촉부들이 접촉 패드의 가장자리 쪽으로 편향되고 래칭 시스템에 의해 허용되는 공차 범위의 한 가장자리 쪽으로 편향되도록 리셉터클에 대한 플러그 모듈의 위치를 편향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이는 스터브의 결과적인 길이를 신호 무결성에 더 이상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위에서 개설한 것과 관련하여, 스터브 길이가 데이터 통신(실질적인 신호 간섭 없는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거나 미리 결정된 길이이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판에 장착되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커넥터를 갖는다. 커넥터는 포트와 정렬되어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한다. 또한,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예를 들어, 카드 슬롯 내에 위치된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포트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패들 카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다양한 속도로, 예컨대 많은 것들 중에서도 특히 224 Gb/s로, 데이터 통신을 허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거나 미리 결정된 길이가 되게 하는 정도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커넥터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거나 가압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또는 "리셉터클(100)"이라 함), 플러그 커넥터(200), 및 회로 기판(300)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다양한 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관련하여,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은 도 12에서 확대되어 도시된 콜아웃 영역(12)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2는 설명을 위해 리셉터클(100)의 케이지와 절연체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측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반대쪽에서 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측면 사시도이며, 여기에는 설명을 위해 케이지(103)의 상부 및 측면들과 플러그 커넥터(200)의 상부가 도시되지 않았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에는 설명을 위해 케이지(103)의 상부 및 측면들이 도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100)과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00)은 플러그 커넥터(200)와 회로 기판(300) 사이뿐만 아니라 기타 상류 또는 하류의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로 기판(300) 또는 기타 기판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100)은, 많은 구성요소들 중에서도 특히, 플러그 커넥터(2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트(106)(도 3 참조)를 한정하는 케이지(103)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리셉터클(100)의 케이지(103)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을 위해 도 2, 도 3, 도 4, 도 6, 도 7, 및 도 9에서는 케이지(103)가 생략되었다. 케이지(103)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금속 및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지(103)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성 차폐 또는 이물질 차폐(도시되지 않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지(103)의 일부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케이지(103)는 회로 기판(300)과의 기계식 결합, 전기식 결합, 또는 기계식과 전기식 결합(접지를 포함함)을 위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도 10의 확대도에 도시된, 다수의 프롱(prong)(1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롱(108)은 회로 기판(300) 또는 그의 접지 트레이스에 케이지(103)를 접지시키기 위해 전도성을 가진다. 도 3은 설명을 위해 상부 커버(202) 없이 리셉터클(100)을 도시한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전방 부분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전방 부분의 다양한 측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206)("플러그 모듈(206)"이라고도 함)에 부착된 케이블(203)을 포함할 수 있고,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케이블(203)의 말단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 또는 플러그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의 포트(10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모듈(206)은 포트(106) 내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리셉터클(100) 내에 위치된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모듈(206)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래치 시스템을 리셉터클(100)과 맞물리게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래치 핸들(209)을 포함한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래치 핸들(209) 또는 래치 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케이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은, 패들 카드(215)와 같은 회로를 안에 가지며 그 회로를 보호하는 하우징(212)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우징(212)은 패들 카드(215)의 측면들을 차폐하는 제1 측벽(218a)과 제2 측벽(218b)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들 카드(215)는 리셉터클(100)과 각각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회로 기판(300) 내에서 커넥터(112)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패드(2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예를 들어, 리셉터클(100)이 장착되는 컴퓨팅, 네트워킹, 또는 관련 시스템의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들 카드(215)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100)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분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케이블(203)은 임의의 특정 유형의 케이블 또는 케이블 어셈블리로 제한되지 않으며, 케이블(203)은 광섬유, 구리, 또는 기타 유형의 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203)은 AEC, AOC, 또는 관련 유형의 케이블의 일 예이다. 플러그 모듈(206)도 대표적인 것이며, 본원에 설명된 개념은 SFP, SFP-DD, cSFP, SFP+, QSFP, QSFP-DD, 및 관련 유형의 플러그형 모듈을 포함한 다양한 플러그형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100)을 참조하면, 리셉터클(100)은 포트(106)와 정렬되어 있는 카드 슬롯(115)을 가진 커넥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106)는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109a, 109b)(총칭하여 "편향 부재(109)"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2)는, 카드 슬롯(1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접촉부를 갖는 다수의 단자들(12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2)의 단자(121)는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패들 카드(215)의 전도성 접촉 패드(227)에 맞물릴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을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109a, 109b)(총칭하여 "편향 부재(109)"라 함)가 케이지(103) 안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 부재(109)는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포트(106) 안에 위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향 부재(109)는 포트(106)를 한정하는 케이지(103)의 하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편향 부재(109)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케이지(103)의 하부 면 또는 측면과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103)가 단일 금속 또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단일 조각의 면상 금속이 스탬핑되어 편향 부재(109)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이 케이지(103)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편향 부재(109)는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에 맞물리거나 아니면 접촉할 수 있다. 편향 부재(109)는 도 7에 도시된 방향(D1)으로 플러그 모듈(206)을 편향(예를 들어, 누르거나, 압력 또는 힘을 가하는 것 등)시킬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모듈(206)은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또는 달리 말해서, 플러그 모듈(206)(더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모듈의 패들 카드(215))이 정합되는 커넥터(112)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109)는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플러그 모듈(206)이 정합되는 커넥터(112)로부터 멀어지게 플러그 모듈(206)에 대항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이 리셉터클(100) 내로 삽입되는 것을 편향 부재(109)가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삽입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어서 힘의 과다 작용으로 인해 플러그 모듈(206)이나 리셉터클(100)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편향 부재(109)를 예상되는 플러그 모듈의 이동 범위의 말단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삽입력에 미치는 영향이 실질적으로 완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러그 모듈(206)이 케이지(103)의 포트(106)로부터 우연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지금은 편향 부재(109)가 플러그 모듈(206)의 전방 부분에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향 부재(109)에 의해 야기되는 역방향 병진이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플러그 모듈 정지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데, 이 플러그 모듈 정지부는,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과 맞물려서 플러그 모듈(206)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지 래치(12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은 케이지 래치(124)를 잡거나 아니면 케이지 래치와 맞물리는 돌출부, 후크, 또는 기타 기구(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모듈(206)이 너무 멀리 병진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편향 부재(109)에 의해 야기되는 병진이동은 도 7, 도 8,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돌출 요소(2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돌출 요소(233)는 플러그 모듈(20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설명을 위해 도 18에는 표시되지 않은, 커넥터(112)의 하우징의 반대쪽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8은 또한, 설명을 위해 상부 커버(202) 없이 플러그 커넥터(200)를 도시한다. 돌출 요소(233)는 편향 부재(109)에 의해 다루어지는 것보다 더 큰 힘이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109)에 부과되지는 않도록 하는, 하우징(212)의 전방 면(230)으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견고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편향 부재(109)에 의해 야기되는 플러그 모듈(206)의 이동은 래칭 시스템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33)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300)에 대해 상이한 수직 평면 또는 높이에 있는 제1 표면(236) 및 제2 표면(239)을 갖는, 단차 있는 본체를 포함한다. 제1 표면(236) 및 제2 표면(239)은, 결합될 때 제2 표면(239)이 커넥터(112)와 패들 카드(215) 아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연장부 또는 경사진 연장부(24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1 표면(236) 및 제2 표면(239)은 회로 기판(300)의 상부 표면에 대해 대체로 편평하지만(그리고 이와 평행하지만), 경사진 연장부(241)는 예를 들어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크기 조정 및 위치 지정으로 인해, 패들 카드(215)와 커넥터(112)의 단자들(121)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돌출 요소(233)는 상부 커버(202)의 돌출부 또는 기타 적절한 구성요소와 정렬될 수 있는 개구(2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33)는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모듈(206)이 너무 멀리 병진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지 래치(124)와 돌출 요소(233)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편향 부재(109)에 의해 야기되는 병진이동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돌출부(139a, 139b)(총칭하여 "측벽 돌출부(139)"라 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19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전방 부분의 X-Y축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측벽 돌출부(139)는 예를 들어, 케이지(103)의 내부 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부 구현에서는 케이지(10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돌출부(139)는 단일 조각의 금속에 형성된 펀치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돌출부(139)는 반원형일 수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형상의 돌출부가 채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모듈(206)이 포트(106) 안으로 너무 멀리 병진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측벽 돌출부(139)는 하우징(212)의 전방 부분(또는 다른 적절한 부분)과 접촉한다. 돌출 요소(233)와 마찬가지로, 측벽 돌출부(139)는 편향 부재(109)에 의해 다루어지는 것보다 더 큰 힘이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109)에 대해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실질적으로 견고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내의 플러그 모듈(206)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단자의 접촉부가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보장하면서 접촉 패드의 단부 쪽으로 편향될 수 있고, 따라서 스터브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히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응용 분야(예를 들어, 112 Gbps, 224 Gbps 등)에 대해, 신호 무결성 성능이 개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편향 부재(109)는 제1 편향 부재(109a) 및 제2 편향 부재(109b)를 포함하지만,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편향 부재(109)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3개의 편향 부재(109), 4개의 편향 부재(109) 등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편향 부재(109)가 있는 실시예들에서, 제1 편향 부재(109a)는 포트(106)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편향 부재(109b)는 포트(106)의 반대쪽인 제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향 부재(109a)와 제2 편향 부재(109b)는 플러그 모듈(206)의 말단 단부의 양 측면과 접촉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 부재(109)는 플러그 모듈(206)의 전방 면(23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편향 부재(109)가 포트(106)에 다르게 위치될 수 있어서, 플러그 모듈(206)을 D1 방향으로 편향시키거나 가압하도록 플러그 모듈(206)의 다른 부분에 접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리셉터클(100)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베이스 판(130)은 케이지(103)와 구분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판(130)은 회로 기판(300) 또는 다른 기판에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이거나 또는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판(130)은 플러그 모듈(206)을 포트(106) 내에 맞물리게 하고, 안내하고, 유지시키는 다수의 핑거(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133)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33)는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의 각각의 측벽(218)을 편향시키거나 가압하도록 만곡되어서, 플러그 모듈(206)에 견고하고 꼭 맞는 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130)은 다수의 프롱 개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103)의 프롱(108)은 프롱(108)이 회로 기판(300)에 기계식 및/또는 전기식으로 연결되도록, 프롱 개구(136)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핑거(133)와 마찬가지로, 편향 부재(109)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판(130)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부재(109)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거리이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도록, 플러그 모듈(206)의 하우징(212)을 편향시키거나 하우징을 가압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편향 부재(109)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때, 지나치게 단단한 접점을 제공하지는 않으면서 플러그 모듈(206)을 편향시키거나 가압하는, S자 형상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편향 부재(109)는 S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 부재(109)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C형 부분뿐만 아니라,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C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2 C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편향 부재(109)의 다른 적합한 형상들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6 및 도 17을 따라가서 보면,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자 접점(403)의 위치를, 일반적으로 패들 카드(215)의 접촉 패드(227)의 한쪽 끝에 있는 비아(406)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접촉 패드의 선단 가장자리(415)가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편향 부재(109)(또는 복수의 편향 부재들)는 단자 접점(403)을 스터브 단부(409) 쪽으로, 또는 스터브 단부(409)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또는 거리 범위 내)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구들에서, 스터브의 결과적인 길이인 스터브 길이(412)의 변동은 30% 넘게 감소될 수 있으며, 스터브 길이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은 데이터 통신 중의 시스템 성능 향상 및 신호 간섭 저감이 이루어지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터브 길이(412)는 접촉 패드(227) 상의 단자(121)의 원하는 최소 와이프와 같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는 플러그 모듈 하우징의 전방 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편향 부재(109)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러한 구성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대안적인 구성들은 예를 들어, 플랜지가 삽입되도록 한 최대 깊이와 동일한 지점 근처에서, 케이지(103)의 지붕에 편향 부재(109)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편향 부재(109)가 이동되는 끝부분 근처에서만 만나도록, 편향 부재(109)는 플러그 모듈 하우징에 제공된 슬롯과 정렬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조합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가능한 경우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이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법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등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상세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위", "아래",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가 명세서에서 사용되지만, 이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으로만 사용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의 방향으로서 사용된다. 만일 장치가 뒤집히는 경우, 위에서 설명된 "상부" 구성요소는 "하부" 구성요소가 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어느 구조가 다른 구조 "위에" 있는 경우, 해당 구조는 다른 구조 위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해당 구조는 다른 구조 위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해당 구조는 또 다른 구조를 통해 다른 구조 위에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특정한", "해당", "상기"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요소들 및 성분들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용어 "포함하다", "가진다", 및 이들의 변형은 개방적인 어구로 사용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열거된 구성요소, 성분 등에 추가로, 추가적인 구성요소, 성분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제1", "제2" 등은 객체들의 수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 레이블로서만 사용된다.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도시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들은 적용가능한 범위에서,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등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제시된 구현의 가능한 예들이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원리를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내부에 커넥터가 위치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와 정렬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 슬롯에 위치된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함 -; 및
    상기 포트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패들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편향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말단 단부의 양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케이지의 프롱들이 상기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게끔 관통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C형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C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2 C형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모듈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모듈 정지부는 상기 케이지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지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 래치는, 플러그형 송수신기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에 의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맞물리게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8.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와,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맞물릴 때의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패드의 스터브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포트와 정렬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인,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향 부재는 상기 포트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포트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양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케이지의 프롱들이 상기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게끔 관통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S형 본체를 가지며, 상기 S형 본체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C형 부분 및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C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2 C형 부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모듈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플러그 모듈 정지부는 상기 케이지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지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 래치는, 플러그형 송수신기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에 의한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역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맞물리게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견고한 돌출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전방 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반대쪽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는 상이한 수직 평면들 상에 있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단차 있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경사진 연장 부분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의 상부 표면에 대해 대체로 편평하고 평행하며,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제1 내부 벽 상에 위치되는 제1 측벽 돌출부와, 상기 제1 내부 벽과 반대되는 상기 케이지의 제2 내부 벽 상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 돌출부는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의 상기 포트 내에서의 추가적인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 돌출부는 상기 케이지의 상기 제1 내부 벽 및 상기 제2 내부 벽 상에 형성된 반원형 펀치아웃인, 리셉터클 커넥터.
  20.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기판에 장착되어 그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포트를 한정하는 케이지와,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상기 포트는 그 안에 위치된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함 -; 및
    상기 포트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를 갖는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패드의 스터브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172352A 2021-12-12 2022-12-12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 KR20230088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88647P 2021-12-12 2021-12-12
US63/288,647 2021-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868A true KR20230088868A (ko) 2023-06-20

Family

ID=8668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352A KR20230088868A (ko) 2021-12-12 2022-12-12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85039A1 (ko)
JP (1) JP7460736B2 (ko)
KR (1) KR20230088868A (ko)
CN (1) CN116260001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293B2 (en) 2002-08-02 2005-05-17 Finisar Corporation Angled EMI shield for transceiver-PCB interface
CN205565122U (zh) 2016-02-26 2016-09-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N208240993U (zh) 2017-07-19 2018-12-14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插头组件
US10910770B2 (en) 2018-07-20 2021-02-02 Fci Usa Llc High frequency connector with kick-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5039A1 (en) 2023-06-15
TW202343895A (zh) 2023-11-01
JP7460736B2 (ja) 2024-04-02
CN116260001A (zh) 2023-06-13
JP2023086724A (ja)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922B2 (en)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d connection to the midboard
US20230251441A1 (en) Transceiver and interface for ic package
US7833068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a transceiver assembly
US6335869B1 (en) Removable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
US7794241B2 (en) Straddle mount connector for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US11125958B2 (en) Optical pluggable module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7175475B2 (en) Receptacle for copper wire transceivers
US6609838B1 (en) Removable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chassis
CN112864657A (zh) 用于通信系统的插座连接器和电缆组件
TW202131770A (zh) 可拆卸之連纜用前面板連接器
KR20230088868A (ko) 편향식 커넥터 시스템
TWI836782B (zh) 連接器組件及插座連接器
CN113835166A (zh) 用于通信系统的光学可插拔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