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774A -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774A
KR20230088774A KR1020237016419A KR20237016419A KR20230088774A KR 20230088774 A KR20230088774 A KR 20230088774A KR 1020237016419 A KR1020237016419 A KR 1020237016419A KR 20237016419 A KR20237016419 A KR 20237016419A KR 20230088774 A KR20230088774 A KR 2023008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pansion valve
microflotation
bottom wall
microflo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트 다만
Original Assignee
다만, 폴커
롤란트 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만, 폴커, 롤란트 다만 filed Critical 다만, 폴커
Publication of KR2023008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31Dissolved air flotation mac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3Mechanically induced gas or liquid streams in seas, lakes or water-courses for forming weirs or breakwaters; making or keeping water surfaces free from ice, aerating or circulating water, e.g. screens of air-bubbles against sludge formation or salt water entry, pump-assisted water cir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 가압수 생성 장치, - 미리 규정된 수심에 배치되는 팽창 밸브, - 가압수 생성 장치를 팽창 밸브에 연결하는 가압수 라인, - 미리 규정된 수심에서 팽창 밸브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수역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며, - 팽창 밸브의 하류에 배치되고 바닥벽과 그에 연결된 원주 측벽에 의해 주변 수역과 구분되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을 갖는다.

Description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본 발명은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주로 산업 폐수를 처리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처리할 폐수가 도입되는 부유 탱크를 갖는다. 부유 탱크 내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는 스스로 불순물에 부착되어, 불순물과 함께 천천히 표면으로 올라간다. 필요한 경우,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다. 표면에 형성되는 거품은 간단히 빨아내거나 걷어낼 수 있다. 미세기포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 처리된 폐수의 일부는 포화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상적으로 용해되는 가스에 의해 고압에서 농축된다. 상기 가압수는 라인을 통해 급격한 압력 해제가 발생하는 팽창 밸브로 이동한다. 상기 압력 해제의 결과로, 이상적으로는 약 30㎛ 내지 약 50㎛ 범위의 상대적으로 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기포가 생성된다.
수역을 처리하기 위해, 수역의 제방에 이러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세우고 수역에서부터 부유 탱크로 처리할 물을 안내하는 프로세스가 공지되어 있다. 인쇄된 문서 DE 44 33 634 C2에는 특히 수역의 인산염 함량을 줄이고 부유 탱크가 용기에 수용되는 한 가지 예가 기재되어 있다. 검증된 마이크로부유 기술은 간단히 이러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지만, 필요한 라인과 함께 제방에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세우는 것은 매우 유연하지 않은 복잡한 프로세스이다.
인쇄된 문서 DE 10 2010 026 168 A1에는 다수의 팽창 밸브가 수역의 수면 아래에 배치되며 선박에 위치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미세기포는 선박 뒤쪽으로 상승해야 하며, 수면에 생성된 부유물은 특수 이송 장치를 통해 선박으로 이송된다.
인쇄된 문서 EP 3 647 272 A1에는 부유체를 가지며 수역의 표면에 부유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일련의 팽창 밸브가 수면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에 부유물을 모을 수 있는 장벽이 수면 근처에 위치된다. 인쇄된 문서 DE 10 2010 026 168 A1에는 수역에 떠 있고 선박에 의해 견인되는 유사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인쇄된 문서 DE 37 33 583 A1에는 가압 가스에 노출된 액체로부터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방출체로서 중공의 원추형 노즐 및 그의 하류에 배치된 덮개판을 갖는다.
인쇄된 문서 DE 690 03 470 T2에는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진행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기포의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케 하는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제 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 가압수 생성 장치;
· 미리 규정된 수심에 배치되는 팽창 밸브;
· 가압수 생성 장치를 팽창 밸브에 연결하는 가압수 라인; 및
· 미리 규정된 수심에서 팽창 밸브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 팽창 밸브의 하류에 배치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바닥벽과 그에 연결된 원주 측벽에 의해 주변 수역과 구분된다.
가압수 생성 장치는 급수 라인 및 가스, 특히 공기 공급 라인을 갖는 압력 용기를 가질 수 있다. 급수 라인에는 펌프를 배치할 수 있다. 급수 라인의 자유단은 수역의 표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스 공급 라인에는 압축기를 배치할 수 있다. 물과 가스는 압력 용기 내에서 서로 혼합된다.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포화 상태에 도달하거나 거의 도달할 때까지 고압 하에서 물에 용해된다.
압력 용기 내로 개방되는 가스 공급 라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벤츄리 인젝터를 가압수 급수 라인에 배치하여 주변에서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물과 가스는 공급 라인에서 이미 혼합되어 있다.
생성된 가압수는 가압수 라인을 통해 압력 용기에서 제거되어 팽창 밸브로 안내될 수 있다. 팽창 밸브는 미리 규정된 수심에 위치하며 가압수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갖는다. 가압수가 팽창 밸브를 통해 흐르는 동안 압력은 팽창 밸브 상류의 가압수 라인에 존재하는 과압에서 배출구 근처에 존재하는 주변 압력(수심에 따라 다름)으로 감소한다. 상기 압력 해제 과정 동안 다수의 기포가 형성된다.
지지 구조물은 미리 규정된 수심에서 팽창 밸브를 유지한다. 이 구조물은 선택적으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의 부유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거기에서부터 원하는 수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 구조물은 수역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으며, 거기에서부터 원하는 수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리 규정된 수심은 각각의 요구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지지 구조물은 상이한 여러 수심에서 팽창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조절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팽창 밸브가 개방된 수역에 배치될 때, 개략적인 압력 해제 프로세스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발견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도입되는 가압수의 양과 관련하여 미세기포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낮은 효율의 원인은 높은 농도 기울기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역 주변의 물에 용해된 가스의 낮은 농도로 인해, 압력이 해제될 때 형성되는 미세하게 작은 가스 기포의 대부분이 물에 직접 용해된다. 이는 너무 빨리 발생하여 안정적인 미세기포가 형성되지 않거나 그중 일부만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압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유 탱크에 도입되는 종래의 마이크로부유 시스템과 달리, 수역 내의 수역은 다량의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물이 팽창 밸브 부근에서 물과 지속적으로 교환되기 때문에, 더 많은 혼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과도한 농도 구배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 의해 상쇄된다. 상기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팽창 밸브의 하류에 배치되어, 가스/물 혼합물이 팽창 밸브를 통과한 후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으로 흐르게 된다.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바닥벽과 그에 연결된 원주 측벽에 의해 주변 수역과 구분되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 위치한 물은, 특히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일반적으로 그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 수역과 지속적으로 교환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교환은 언급한 벽과, 실제로 확산 및 유동 프로세스 모두와 관련하여 엄격히 제한된다. 그 결과, 주변 수역보다 높은 용존 가스 농도가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서 빠르게 뒤따라 발생한다. 그러므로, 압력이 해제될 때 생성되는 미세하게 작은 기포는 주변 물에서 더 적은 정도로 용해된다. 그 결과, 안정된 미세기포의 형성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이상적으로 20㎛ 내지 60㎛ 범위, 특히 30㎛ 내지 50㎛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크기의 미세기포는 (원래 생성되는 미세하게 작은 기포와 관련하여) 그들의 높은 내부 압력과 그들의 표면에 비해 큰 체적으로 인해, 주변 액체의 용액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다. 상기 미세기포가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 밖으로 흘러나오면, 특히 천천히 위로 상승함으로써, 이들 기포는 원하는 대로 수역내 모든 종류의 불순물에 스스로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불순물을 천천히 수면까지 운반할 수 있다.
바닥벽과 측벽은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을 주변 물과 구분한다. 이를 위해, 이들 벽은 특히 상부가 개방된 냄비 모양의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 수역과의 특정 교환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분은 측면이나 바닥에 대해 완벽할 필요는 없다.
하나의 구성에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가압수 라인 내경의 10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의 직경은 약 10㎝ 내지 약 10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측벽의 높이 또는 바닥벽과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 간의 거리에 해당할 수 있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의 높이는, 마찬가지로 약 10㎝ 내지 약 10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실험은 언급한 크기의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을 사용할 경우, 미세기포가 특히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이 다수의 팽창 밸브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각 팽창 밸브에는 바닥벽과 측벽을 갖는 자체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통의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 내부에 다수의 팽창 밸브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더 큰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측벽은 팽창 밸브 위에서 미리 규정된 수심에 배치되는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 위에서 주변 수역과의 지속적인 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팽창 밸브는 바닥벽의 상측에 배치된 배출구를 갖는다. 특히, 배출구는 바닥벽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배출구는 팽창 밸브의 밸브 갭(valve gap)일 수 있다. 그러나, 설계 상의 이유로, 팽창 밸브의 밸브 갭은 종종 팽창 밸브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팽창 밸브 하우징 내부의 짧은 라인 섹션과 합류하여 배출구까지 이어진다. 이상적으로, 배출되는 가스/물 혼합물은 밸브 갭을 통과한 후 가능한 한 빨리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으로 흘러가야 한다. 바닥벽의 상측 또는 바닥벽 자체에 (직접) 배출구를 배치하면, 이를 위해 특히 유리하다.
하나의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급수구가 바닥벽 및/또는 측벽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물이 수역에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으로 흐를 수 있다. 급수구를 통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으로 오염수가 적당히 유입될 경우 유용할 수 있는데, 미세기포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면 그들 스스로 조기에 불순물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급수구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으로 도입되는 가스/물 혼합물의 체적 흐름에 비례하여 주변 물이 약간만 흐르도록 치수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급수구는 대략 동일한 양의 주변 물이 팽창 밸브의 배출구를 통해 가스/물 혼합물로서 유입되도록 치수를 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의 구분에 따른 전술한 유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없거나 최적의 정도로 달성될 수 없다.
하나의 구성에서 다수의 급수구가 바닥벽에 형성된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이어지는 흐름의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급수구의 크기 및/또는 개구된 급수구의 수는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급수구를 통한 주변 물의 유입량을 도입되는 가압수의 양과 일치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바닥벽 위의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 배플판이 배치된다. 특히, 배플판은 바닥벽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배플은 바닥벽과 배플판 사이에 배치되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서 "내부 하위 영역"을 결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농도의 용존 가스는 이 내부 하위 영역에서 훨씬 더 빨리 뒤따라 발생하며, 그 결과 미세기포 형성 효율이 다시 한 번 증가할 수 있다. 동시에, 배플판은 미세기포가 너무 빨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배플판과 바닥벽 간의 거리는 측벽 높이의 50% 이하이다. 실험은 이것이 효율적인 미세기포 생성에 도움이 되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하나의 구성에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부유체를 가져,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부유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은 수역의 표면에서 표류할 수 있다. 즉,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위치에 유지하거나, 선택적으로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수소 저장 장치와 수소 작동식 연료 전지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의 에너지 요구조건 (가압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작동시키는 데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전력)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장치를 사용할 경우, 연료 누출로 인한 수역의 불순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성에서, 수소 저장 시스템은 부유체에 배치되거나 부유체를 형성한다. 수소 저장 시스템은 선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해양 등급 버전으로 제공된다. 그 안에 저장된 수소의 낮은 비밀도(specific density)로 인해, 이러한 수소 저장 시스템은, 이상적으로는 부유체로서 적합하다.
하나의 구성에서, 수역은 천연 수역, 특히 호수, 강 또는 바다이다. 대부분의 경우 민감한 생태계에 영구적인 개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부유식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의 활용은 자연 수역에 이상적이다. 특히, 제방과 수역 바닥은 가능한 한 손대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수역은 인공 수역, 특히 연못, 운하 또는 빗물이나 홍수로 불어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이다. 언급한 인공 수역의 수역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1000㎥ 이상의 매우 큰 체적을 가지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동 드라이브를 비롯해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가지며, 제어기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제 1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 제 1위치에 유지한 다음, 이를 제 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 그곳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GPS 등의 위성 항법 시스템일 수 있다. 이동 드라이브는, 특히 수중에 배치된 프로펠러를 갖는 전기 이동 드라이브일 수 있다. 흐르는 수역의 경우, 제 1위치와 제 2위치는 흐르는 물을 기준으로 나눈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이후에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제 1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 흐르는 물을 따라 표류한다. 정지 수역의 경우, 제 1및 제 2위치는 수역의 바닥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각각의 경우에 미리 규정된 시간 동안 수역의 특정 부분 체적이 청소된다. 다시 말해, 두 경우 (흐르는 물 또는 정체된 물) 모두, 수역의 특정 부분 체적이 미리 규정된 시간 동안 처리되는 준정지 작동(quasi-stationary operation)이 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부유 방식으로 자연 수역에 배치된다. 수역(body of water)은, 수역(water body) (10), 수층(12) 및 수면(14)을 갖는다.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2개의 부유체(16)와 상기 부유체들(16)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 구조물(18)을 구비하여, 전체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이 수면(14)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수를 생성하는 장치는 자유단이 수면(14) 아래에 배치된 급수 라인(22)을 통해 수역(10)으로부터 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압력 용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 라인(22)에는 펌프(도시 생략)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가스 라인(24)이 압력 용기(20) 내로 개방된다. 이 가스 라인(24)에는 압축기(도시 생략)를 배치할 수 있다. 공기는 가스 라인(24)을 통해 압력 용기(20)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바 내지 10바 범위의 고압이 압력 용기(20)에 존재하며, 이는 공기에 함유된 가스가 물에 용해되도록 한다. 생성된 가압수(26)는 포화 농도까지 공기에 함유된 가스로 이상적으로 농축된다.
팽창 밸브(28)는 수면(14) 아래에 배치된다. 팽창 밸브(32)는 측벽(38)에 연결되고 후자를 통해 바닥벽(36)에 연결되는 지지 구조물의 하방 지향 섹션(downwardly pointing section) (44)을 통해 미리 규정된 수심에서 유지된다. 팽창 밸브(28)는 가압수 라인(30)을 통해 압력 용기(20)에 연결된다. 팽창 밸브(28)의 내부에는 전술한 압력 해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밸브 갭(32)이 위치한다. 설계 상의 이유로, 예로서 도시한 팽창 밸브(28)의 경우에, 밸브 갭(32)은 대략 밸브 하우징의 중간에 위치한다. 상부단에서, 팽창 밸브(28)의 밸브 하우징은 다수의 배출구(34)를 가지며, 이를 통해 가스/물 혼합물은 팽창 직후에 팽창 밸브(28)의 하우징 밖으로 배출된다.
팽창 밸브(28)의 배출구(34)는 수평으로 배치된 바닥판(36) 바로 위에 위치하며, 팽창 밸브(28)는 그 중간에 배치된다. 바닥판(36)의 가장자리는 수직으로 정렬된 원주 측벽(38)에 연결된다. 측벽(38)과 함께 바닥판(36)은 그 내부에 배치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을 주변 수역(10)과 구분한다. 바닥벽(36)으로부터 비교적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플판(40)은 바닥판(36) 위에서 그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배플판(40)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넓은 원형의 디스크 형상 통로가 형성되도록, 배플판의 직경은 바닥벽(36) 직경의 대략 절반이다.
미세하게 작은 기포는 밸브 갭(32)을 통과한 직후 가압수(26)에 형성된다. 가스/물 혼합물은 배출구(34)를 통해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으로 빠르게 흐르며, 여기서 바닥벽(36)과 배플판(40) 사이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안정된 미세기포가 형성된다. 이 프로세스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을 통한 느린 상승 동안 계속되어, 측벽(38)의 상부 가장자리의 높이에서 다수의 안정된 미세기포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수면(14)을 향해 계속 상승함으로써, 기포 스스로 수역(10)에 존재하는 불순물에 부착되어 이들을 수면(14)까지 운반한다. 그곳에서 형성된 부유물은, 예를 들어 운반 장치의 도움으로 및/또는 수면(14)에서 빨아냄으로써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아마도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은 팽창 밸브 근처에서 용존 가스의 농도 구배를 줄임으로써, 안정적인 미세기포 형성에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역의 용존 산소 농도는 약 7㎎/ℓ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ℓ의 더 높은 농도가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에서 빠르게 뒤따라 발생한다.
10: 수역
12: 수층
14: 수면
16: 부유체
18: 지지 구조물
20: 압력 용기
22: 급수 라인
24: 가스 라인
26: 가압수
28: 팽창 밸브
30: 가압수 라인
32: 밸브 갭
34: 배출구
36: 바닥벽
38: 측벽
40: 배플판
42: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
44: 지지 구조물의 섹션
46: 급수구

Claims (13)

  1. · 가압수 생성 장치(26);
    · 미리 규정된 수심에 배치되는 팽창 밸브(28);
    · 가압수 생성장치(26)를 팽창 밸브(28)에 연결하는 가압수 라인(30);
    · 미리 규정된 수심에서 팽창 밸브(28)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18)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에 있어서,
    ·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수역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며,
    · 팽창 밸브(28)의 하류에 배치되고 바닥벽(36)과 그에 연결된 원주 측벽(38)에 의해 주변 수역과 구분되는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은 가압수 라인(30) 내경의 10배 이상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측벽(38)은 팽창 밸브(28) 위의 미리 규정된 수심에 배치되는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밸브(28)는 바닥벽(36)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출구(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급수구(46)가 바닥벽(36) 및/또는 측벽(38)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다수의 급수구(46)가 바닥벽(3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급수구(46)의 크기 및/또는 개구된 급수구(46)의 수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플판(40)이 바닥벽(36) 위의 미세기포 안정화 영역(4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배플판(40)과 바닥벽(36) 간의 거리는 측벽(38) 높이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지지 구조물(18)에 연결되는 부유체(16)를 구비하여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부유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역은 자연 수역, 특히 호수, 강 또는 바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역은 인공 수역, 특히 연못, 운하 또는 빗물이나 홍수로 불어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은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동 드라이브를 비롯해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가지며, 제어기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을 제 1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 제 1위치에 유지한 다음, 이를 제 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미리 규정된 기간 동안 그곳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KR1020237016419A 2020-11-02 2021-10-27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KR20230088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5159.5A EP3991851A1 (de) 2020-11-02 2020-11-02 Mikroflotationsanlage zur behandlung eines gewässers
EP20205159.5 2020-11-02
PCT/EP2021/079870 WO2022090336A1 (de) 2020-11-02 2021-10-27 Mikroflotationsanlage zur behandlung eines gewäss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774A true KR20230088774A (ko) 2023-06-20

Family

ID=7304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419A KR20230088774A (ko) 2020-11-02 2021-10-27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98554A1 (ko)
EP (2) EP3991851A1 (ko)
KR (1) KR20230088774A (ko)
CN (1) CN116528982A (ko)
CA (1) CA3197013A1 (ko)
ES (1) ES2973464T3 (ko)
WO (1) WO20220903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3583C2 (de) * 1987-10-03 1996-04-18 Fan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kroblasen aus begasten Flüssigkeiten für die Flotation von Schlämmen
FR2648729B1 (fr) * 1989-06-26 1992-03-13 Degremont Procede et dispositif d'injection de fluides dans un bassin de flottation
DE4433634C2 (de) 1994-09-21 1996-11-21 Marinetechnik Gmbh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s Phosphatgehaltes von Gewässern
DE102010026168B4 (de) 2010-06-28 2022-09-08 Roland Daman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eststoffen und/oder Tröpfchen aus einem Gewässer
KR101715168B1 (ko) * 2016-02-26 2017-03-22 정재억 아토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EP3647272B1 (de) 2018-11-05 2022-01-05 Roland Damann Flotationsanlage zur reinigung eines gewäs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7156C0 (de) 2023-12-06
CN116528982A (zh) 2023-08-01
EP3991851A1 (de) 2022-05-04
CA3197013A1 (en) 2022-05-05
EP4237156B1 (de) 2023-12-06
US20230398554A1 (en) 2023-12-14
EP4237156A1 (de) 2023-09-06
WO2022090336A1 (de) 2022-05-05
ES2973464T3 (es) 202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514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a natural body of water
US20080185344A1 (en) Aeration Method, Aeration Apparatus and Aeration System
KR100306790B1 (ko) 가압식 산소 용해방법
JP2011011098A (ja) 水質浄化装置
KR100927673B1 (ko)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JP2004188263A (ja) 水中への酸素供給装置
AU20012442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by foaming
EP1670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of two fluids
KR101334446B1 (ko) 호수 및 댐의 용존산소공급 및 조류성장 제어장치
KR20230088774A (ko) 수역을 처리하는 마이크로부유 시스템
JP3208394B2 (ja) 水圧を利用した酸素溶解方法
KR100418252B1 (ko)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US9493371B1 (en) Barge with aeration system
KR101762181B1 (ko)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KR101163971B1 (ko) 수질 개선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JP4133045B2 (ja) 気体溶解器及びそれらを備えた水処理装置
KR101731265B1 (ko) 산소용해장치를 이용한 정체성수역 조류억제장치
JP5774848B2 (ja) 水質改良装置及び水質改良方法
JP2004097982A (ja) 移動式水質浄化装置
CN206298409U (zh) 一种臭氧潜水曝气装置
US7121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ifying a liquid
KR20200142964A (ko) 미세기포 발생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ES2932676B2 (es) Procedimiento de generacion de microburbujas
JP4067385B2 (ja) 貯水浄化装置
KR100578892B1 (ko) 부상분리생물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