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587A -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587A
KR20230088587A KR1020210176811A KR20210176811A KR20230088587A KR 20230088587 A KR20230088587 A KR 20230088587A KR 1020210176811 A KR1020210176811 A KR 1020210176811A KR 20210176811 A KR20210176811 A KR 20210176811A KR 20230088587 A KR20230088587 A KR 2023008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therapy
psychological counseling
treat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현
Original Assignee
월든디티 주식회사
김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든디티 주식회사, 김선현 filed Critical 월든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587A/ko
Priority to CN202210072677.0A priority patent/CN116259391A/zh
Publication of KR2023008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17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using directory or table look-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active exerc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담자의 증상이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다양한 치료나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수신부에 의해,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실행부에 의해,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저장부에 의해, 자가 진단의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확인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하여,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하는 단계; 수신부를 통하여, 선택된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실행부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저장부에 의해,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ONLINE PSYCHOLOGICAL CONSELING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정신과 치료나 상담은 상담자가 의사 또는 전문 심리 상담사를 직접 찾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정신과 방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다는 편견으로 인해, 정신과 또는 심리 상담소를 찾아가고자 하는 심리적 저항감이 존재한다.
따라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및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대부분의 심리 상담은 상담자의 증상이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차적으로 무조건 의사와의 상담을 진행하여 치료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다.
의사와의 상담으로 인해, 상담자가 자기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것을 염려하여 온라인 상담 조차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3729호 (2016.10.26 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9403호 (2018.09.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담자의 증상이나 상태에 최적화된 다양한 치료나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방법은 입력부, 인터페이스부, 수신부, 실행부, 저장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상기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제1 백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전문가 상담, 2순위 셀프 테라피,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1 백분율과 제2 백분율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전문가 상담,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2 백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치료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실행부;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화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상기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는 선택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는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은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제1 백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전문가 상담, 2순위 셀프 테라피,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1 백분율과 제2 백분율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전문가 상담,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2 백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치료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상담 저장부;
심리 상담 카테고리별 설문 자료를 저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요청시 해당 카테고리의 설문 자료를 제공하는 자료 제공부; 및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상담 저장부는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상담 저장부는 상기 선택된 일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수행하기 위한 예약 일정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의사 또는 전문 심리 상담사와의 상담을 진행하지 않고도, 적절한 치료나 셀프 테라피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의사 또는 전문 심리 상담사와의 상담의 여지를 최소한으로 하여 자신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담이나 셀프 테라피에 관한 원하지 않은 개인 정보를 제3자에 제공되지 아니하고 공개하기를 원하지 않는 모든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상담자의 개인 단말기에 저장하여 보안이 강화된 형태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심리 상담 수행의 전체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증상 및 질환별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생애 주기별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울 장애 자가 진단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 결과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상이한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른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보여 주는 화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치료 기간에 따른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보여 주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치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 상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 상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심시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입력부, 인터페이스부, 수신부, 실행부, 저장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S110)를 포함한다.
S120에서, 수신부에 의해,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S130에서, 실행부에 의해,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한다.
S140에서, 저장부에 의해, 자가 진단의 결과를 단말기에 저장한다.
S150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확인한다.
S160에서, 입력부를 통하여,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한다.
S170에서, 수신부를 통하여, 선택된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S180에서, 실행부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S190에서, 저장부에 의해,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셀프 테라피에 관련된 수행 결과의 원하지 않은 개인 정보를 제3 자에 제공되지 아니하고 공개하기를 원하지 않는 모든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상담자의 개인 단말기에 저장하여 보안이 강화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제공된 선택된 일부 결과를 이용하여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의 전문가 상담은 종래의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 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을 생략될 수도 있다.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추천 솔루션은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상이한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심리 상담 수행의 전체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수행되되 기존의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와는 상이하게,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세분하여 수행된다.
또한,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의 맞춤화된 추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도 특징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무조건 의사와의 전문가 상담을 진행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전문가 상담(210)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전문가 리스트 -> 전문가 선택 -> 상담권 선택 -> 결제하기 -> 접수 면접지 작성 -> 상담 일정 예약 -> 상담(메시지 또는 전화) -> 상담 종료 -> 후기 작성 -> 상담권 차감 -> 정산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셀프 테라피(230)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테라피 리스트에서 적절한 테라피를 선택하여 테라피를 진행한다. 상담자는 테라피 수행에 따라 테라피일지를 저장한다.
콘텐츠 치료(250)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의 각 단계의 절차의 수행는 필요에 따라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으며, 절차 수행의 순서 또한 상담자 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도시된 절차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증상 및 질환별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별로 자가 진단을 위한 툴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우울 자가 진단은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스트레스 자가 진단은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 한국형 감정노동 평가도구(K-ELS) 및/또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불안 자가 진단은 한국판 벡 불안척도(BAI) 및 범불안장애 7문항척도(GAD-7)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공황 장애 자가 진단은 DSM-5진단기준에 다른 공황증상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트라우마 자가 진단은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ES-R-K)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일반인용(PCL-C)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분노 자가 진단은 상태분노척도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중독 자가 진단은 담배 중독의 경우 파거스트롬 니코틴 의존도 평가(FTND-K), 알코올의 경우 알코올 사용 장애 평가(AUDIT-K), 인터넷 사용의 경우 K-척도(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 자기보고 척도(청소년 및 성인용)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자살 자가 진단은 자살사고척도(SSI)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ADHD 자가 진단은 아동 청소년의 경우 ADHD평정척도 및 성인의 경우 한국판 성인 ADHD 자기보고 척도(K-ASRS)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경도 인지 장애 자가 진단은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DS) 및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SMCQ)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별 자가 진단을 위한 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생애 주기별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연령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어르신은 65세 이상, 청장년은 20세 내지 64세, 아동/청소년은 8세 내지 19세 및 영유아는 0세 내지 7세로 정해진다.
어르신(65세 이상)의 자가 진단 프로그램은 우울, 스트레스, 불안, 공황장애, 트라우마, 분노, 중독(담배/알코올/인터넷/스마트폰), 자살 예방 및 경도 인지 장애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청장년(20세 내지 64세)의 자가 진단 프로그램은 우울, 스트레스, 불안, 공황장애, 트라우마, 분노, 중독(담배/알코올/인터넷/스마트폰), 자살 예방, 성인 ADHD 및 경도 인지 장애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아동 청소년(8세 내지 19세)의 자가 진단 프로그램은 우울, 스트레스, 소아 특성 불안, 공황장애, 트라우마, 분노, 중독(담배/알코올/인터넷/스마트폰), 자살 예방 및 아동 청소년 ADHD로 구분될 수 있다.
영유아(0세 내지 7세)의 자가 진단 프로그램은 소아 특성 불안, 아동 청소년 ADHD 및 유아 자폐증 수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아 특성 불안의 자가 진단은 소아특성불안척도(TAIC)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아동 청소면 ADHD의 자가 진단은 ADHD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유아 자폐증 수정은 유아 자폐증 수정 체크리스트(M-CHAT-R/F)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울 장애 자가 진단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울 장애 자가 진단의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울 자가 진단은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를 이용하여 수행됨을 보여준다.
어떤 카테고리의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지 및 어떠한 툴을 이용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지에 따라 질문이 달라질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 결과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자가 진단을 수행한 날짜별로, 카테고리 별로 결과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상이한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6은 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추천 솔루션이 순위별로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자가 진단의 결과가 제1 백분율(예를 들어, 60%)을 초과하는 경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전문가 상담, 2순위 셀프 테라피,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된다.
자가 진단 결과가 제1 백분율(예를 들어, 60%)과 제2 백분율(예를 들어, 40%)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전문가 상담,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된다.
자가 진단 결과가 제2 백분율(예를 들어, 40%) 미만인 경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는 항상 의사 또는 전문 심리 상담사와의 상담을 진행하지 않고, 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추천 솔루션을 제공하여 전문 상담사와의 직접 상담을 최소한으로 하여 자신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른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보여 주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의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최적화된 셀프 테라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7a는 셀프 테라피 프로그램의 예를 보여준다.
도 7b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치료 기간에 따른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보여 주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는 치료 기간에 따른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7b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프로그램의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치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치료의 일 예를 보여준다.
콘텐츠 치료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명령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명령을 실행하여 프로세서이 진단을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하게 하고, 자가 진단의 결과에 따라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솔루션을 제공받게 하고, 및 제공된 추천 솔루션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는 상담 결과의 수집을 최소한으로 한다.
도 9에 참조하면, 대부분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에 저장된다.
트라우마 테라피에서 '나에게 보내는 편지'만을 서버로 전송하여 예약한 일시에 사용자에게 이메일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10 및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10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디바이스(1010)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입력부(1011), 인터페이스부(1012), 수신부(1013), 실행부(1014), 저장부(1015),및 디스플레이부(1016)을 포함한다.
입력부(1011)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인터페이스(101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한다.
인터페이스(1012)는 네트워크(1020)과 연결되며, 퍼스널 컴퓨터의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수신부(1013)은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실행부(1014)는 퍼스널 컴퓨터의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한다.
저장부(1015)는 자가 진단의 결과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016)는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화면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011)를 통하여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한다.
수신부(1013)는 선택된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실행부(1014)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저장부(1015)는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1030)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상담 저장부(1040), 심리 상담 카테고리별 설문 자료를 저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요청시 해당 카테고리의 설문 자료를 제공하는 자료 제공부(1050); 및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1060);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부(1012)는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의 개인 상담 저장부(1040)는 암호화된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의 개인 상담 저장부(1040)는 선택된 일부 결과를 이용하여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수행하기 위한 예약 일정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자료 제공부(1050)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별 설문 자료를 저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요청시 해당 카테고리의 설문 자료를 제공한다.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1060)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포함하는"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9)

  1.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입력부, 인터페이스부, 수신부, 실행부, 저장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상기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는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제1 백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전문가 상담, 2순위 셀프 테라피,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1 백분율과 제2 백분율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전문가 상담,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2 백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치료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0.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진단을 원하는 심리 상담 카테고리에 관한 설문 자료를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설문 자료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실행부;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자가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상담, 셀프 테라피 및 콘텐츠 치료를 포함하는 순위별 추천 솔루션을 화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의 순위가 상기 전문가 상담 보다 상위 순위인 경우,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는 선택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는 상기 셀프 테라피 또는 상기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청구항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은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와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청구항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는 우울, 스트레스, 공황 장애, 트라우마, 분노, 불안, 중독, 자살, 경도 인지 장애, 및 ADHD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청구항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애 주기별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어르신, 청장년, 아동 청소년, 및 영유아 카테고리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청구항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제1 백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전문가 상담, 2순위 셀프 테라피,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1 백분율과 제2 백분율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전문가 상담, 및 3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고,
    상기 자가 진단 결과가 상기 제2 백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추천 솔루션은 1순위 셀프 테라피, 2순위 콘텐츠 치료로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청구항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치료는 영화, 식이요법, 운동 및 라이프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상담 저장부;
    심리 상담 카테고리별 설문 자료를 저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요청시 해당 카테고리의 설문 자료를 제공하는 자료 제공부; 및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청구항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담 저장부는 셀프 테라피 또는 콘텐츠 치료를 수행 결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결과만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청구항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담 저장부는 상기 선택된 일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전문가 상담을 추가로 수행하기 위한 예약 일정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청구항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증상 및 질환별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치료 기간에 따라 상이한 셀프 테라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76811A 2021-12-10 2021-12-10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88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11A KR20230088587A (ko) 2021-12-10 2021-12-10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202210072677.0A CN116259391A (zh) 2021-12-10 2022-01-21 个人定制型线上心理咨询服务提供方法及服务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11A KR20230088587A (ko) 2021-12-10 2021-12-10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87A true KR20230088587A (ko) 2023-06-20

Family

ID=8667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811A KR20230088587A (ko) 2021-12-10 2021-12-10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8587A (ko)
CN (1) CN1162593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29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29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59391A (zh)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737B2 (en) Access control for encrypted data in machine-readable identifiers
US10387577B2 (en) Secure data translation using machine-readable identifiers
Hagger et al. Diabetes distress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HbA1c tha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Results from Diabetes MILES Youth—Australia
DesChamps et al. Parenting stress in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with ASD concerns prior to a formal diagnosis
Daack‐Hirsch et 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a public perspective on incidental findings in clinical and research genome‐based testing
Wiersma et al. The importance of childhood trauma and childhood life events for chronicity of depression in adults
Beukes et al. Internet-based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hearing loss, tinnitus, and vestibu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hevan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care seeking from physicians, physical therapists, or chiropractors by persons with spinal pain: a population-based study
Schlesinger et al. Treating, fast and slow: Americans’ understanding of and responses to low‐value care
Wells et al. Personal health record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S10943677B2 (en) Report links
Yu et al. Triage accuracy of online symptom checkers for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US11710546B2 (en) Evaluation of prescribed devices or services
Dourado et al. Young‐onset Alzheimer dementia: a comparison of Brazilian and Norwegian carers' experiences and needs for assistance
US20080052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 Health Summary
US10380379B2 (en) Selectively encrypting and displaying machine-readable identifiers in a device lock screen
Robblee et al. E‐consultation in headache medicine: a quality improvement pilot study
Mohammed et al. Cyberchondria: Implications of online behavior and health anxiety as determinants
KR20230088587A (ko)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460392B1 (en) Insurance application process providing bound online coverage for life insurance products
US202300320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online insurance application process
Jenssen et al.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otivational messaging and tobacco cessation treatment for parents: pilot evaluation of use and acceptance
Grant et al. Asking questions of a palliative care nurse practitioner on a pancreatic cancer website
Prakash et al. Quality improvement of clinic flow for complex genetic conditions: Using Ehlers–Danlos syndrome as a model
Moss et al. Chronic car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ical management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