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251A -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251A
KR20230088251A KR1020220160664A KR20220160664A KR20230088251A KR 20230088251 A KR20230088251 A KR 20230088251A KR 1020220160664 A KR1020220160664 A KR 1020220160664A KR 20220160664 A KR20220160664 A KR 20220160664A KR 20230088251 A KR20230088251 A KR 2023008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distance
slop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언더스트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언더스트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언더스트록
Priority to KR102022016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25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1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a marker advancing in function of the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기 등록 및 출원한 골프 보조장치를 개량하여, 홀컵까지의 거리 및 경사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에 있어서, 특히, 퍼팅방향을 직관적으로 표시해줘서 더 정확하고 용이한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컵까지의 직선 방향을 향하는 기준선을 조사하는 제1 레이저광원과, 상기 퍼팅정보 계산부에서 생성된 표시데이터 중 상기 퍼팅방향을 향하는 퍼팅선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A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utting direction}
본 발명은 골퍼의 위치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와 경사에 따라 결정된 퍼팅방향을 가이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골퍼를 위한 보조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 중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6363호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본체부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검출하는 각도센서부와, 각도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획득된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약 5m 이하의 근거리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는, 경사도를 알려줄 수는 있으나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을 표시하는 데 부족함이 있어서, 그린에서의 게임은 물론, 연습장에서 연습을 위해서도 그 실용성이 약하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보조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사용자(골퍼 등)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그린 또는 연습장에서 홀컵의 거리 및 경사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퍼팅방향과 퍼팅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골프 플레이를 보조하는 골프 보조장치를 등록 및 출원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41713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의 측정이 가능한 골프 보조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기 등록 및 출원한 골프 보조장치를 개량하여, 홀컵까지의 거리 및 경사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에 있어서, 특히, 퍼팅방향을 직관적으로 표시해줘서 더 정확하고 용이한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퍼팅방향 가이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데이터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 경로의 경사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사측정부; 상기 거리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경사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경사데이터를 이용하여 퍼팅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퍼팅거리 정보와 퍼팅방향 정보를 포함한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퍼팅정보 계산부; 및 상기 생성된 표시데어터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홀컵까지의 직선 방향을 향하는 기준선을 조사하는 제1 레이저광원과, 상기 퍼팅정보 계산부에서 생성된 표시데이터 중 상기 퍼팅방향을 향하는 퍼팅선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데이터를 측정하여 퍼팅거리 정보를 계산하고;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 경로의 경사데이터를 측정하여 퍼팅방향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퍼팅거리 정보와 퍼팅방향 정보를 포함한 표시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 단계는, 레이저광으로, 홀컵까지의 직선 방향을 향하는 기준선 및 상기 퍼팅방향 정보에 포함된 퍼팅방향을 향하는 퍼팅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방향 가이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골프를 칠 때 휴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는 거리값 입력기와, 거리값 입력기에 입력된 거리값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부터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그린의 경사도 또는 홀컵이 위치한 지점의 그린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그린위에 놓인 상태로 그린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요소와, 센서요소와 연동하며, 센서요소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경사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사감지측정기와,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경사감지측정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퍼팅정보를 계산하는 퍼팅정보계산부와, 퍼팅정보계산부가 계산한 퍼팅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정보계산부는, 입력값 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거리데이터와, 경사감지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리데이터와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팅해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계산기와, 사용자가 퍼팅해야할 홀컵기준 좌우방향 값을 계산하는 퍼팅방향 및 편향값계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퍼팅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퍼팅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거리와, 홀컵기준 좌측 또는 우측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퍼팅방향 가이드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퍼팅거리를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거리 수치표시기와,
퍼팅방향과 편향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방향 수치표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골프를 칠 때 휴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는 거리값 입력기와, 거리값 입력기에 입력된 거리값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부터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그린의 경사도 또는 홀컵이 위치한 지점의 그린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그린위에 놓인 상태로 그린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요소와, 센서요소와 연동하며, 센서요소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경사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사감지측정기와,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경사감지측정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퍼팅정보를 계산하는 퍼팅정보계산부와, 퍼팅정보계산부가 계산한 퍼팅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정보계산부는, 입력값 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거리데이터와, 경사감지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리데이터와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팅해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계산기와, 사용자가 퍼팅해야할 홀컵기준 좌우방향 값을 계산하는 퍼팅방향 및 편향값계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퍼팅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퍼팅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거리와, 홀컵기준 좌측 또는 우측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퍼팅방향을 가이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거리값입력기에,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거리값 처리기가 거리데이터를 생성하게 하는 단계와; 퍼팅방향 가이드장치를 그린위에 위치시켜, 상기 센서요소가 그린의 경사도를 감지하게 하여 경사감지측정기가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경사도데이터를 퍼팅정보계산부로 전달하게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퍼팅방향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또는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퍼팅방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정확하고 편리한 퍼팅을 가이드받을 수 있다. 특히, 퍼팅방향을 단순한 그래픽 표시가 아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표시함으로써 한층 효과적이고 직관적인 퍼팅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캐디의 도움없이도 정확한 플레이를 할 수 있어서 전문 캐디 도움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퍼팅 실력 향상 효과 및 골프 타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거리측정부(110)의 구성 및 주변 필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a~도 3c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이다.
도 4는 AR 기능에 의한 거리 측정을 위한 UI의 예시도이다.
도 5는 경사측정부(120)의 구성 및 주변 필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6a, 도 6b는 AR기능에 의한 경사도 측정을 위한 UI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단말기(100)를 이용한 경사도 측정의 방법 설명도이다.
도 8은 퍼팅정보 계산부(130)의 구성도이다.
도 9a는 출력부(140)의 표시 UI(141)의 예시도이다.
도 9b는 출력부(140)의 UI(141)의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0a는 레이저광원을 이용한 퍼팅방향 표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10b는 레이저광원을 이용한 퍼팅방향 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10c는 레이저광원(152b,152c)의 조사각을 제어하는 레이저광원 제어부(155)의 예시 구성도이다.
도 11a ~ 도 11c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과 단말기(100)를 결합하는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2은 거리보정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부(110)의 구성도이다.
도 13a ~ 도 13c는 거리를 보정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14은 경사보정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에 따른 경사측정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단말기(100) 이외에 보조단말기(300)가 추가로 포함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시 형태와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16a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과 보조단말기(300, 300')를 결합하는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6b는 손목 착용형 골프 보조기(400)와 보조단말기(300, 300')를 결합하는 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compris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발명의 기본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보조장치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기본 실시예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을 이하, '단말기'라 부르기로 한다. 그린 또는 연습장에서 사용자는 이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목표 홀컵 또는 특정 지점에 대한 퍼팅정보(거리 및 방향)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화면 또는 음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목표 지점(예를 들어, 홀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110), 단말기(100)로부터 목표 지점까지 경로의 그린 경사 또는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지점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측정부(120),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경사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정보(퍼팅거리 및 퍼팅방향)를 계산하는 퍼팅정보 계산부(130), 및 계산된 퍼팅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거리측정부(110)는 사용자(골퍼, 캐디, 트레이너 등)가 직접 입력한 거리값(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을 거리 데이터로서 처리하거나, 레이저 거리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또는 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UWB(ultra wide band) 위치추적/거리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경사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위치(또는 단말기(100)의 위치)에서부터 홀컵까지 경로의 경사도(좌우 및 상하 기울기)를 가속도센서(예를 들어, 3축 이상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가속도센서(예를 들어, 3축 이상의 가속도센서)와 AR API를 이용하여 AR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거리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듯이 경사값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퍼팅정보 계산부(130)는 상기 측정된(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 데이터와 경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정보를 계산한다. 여기서는 사용자에게 퍼팅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거리측정부(110)와 경사측정부(120)에서 출력된 원데이터(raw data)를 골프용어로 매핑하는 작업이 병행된다. 퍼팅정보의 예를 들면, 실제 퍼팅할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표시, 거리 데이터 및 상하 경사 데이터로부터 최종 산출된 퍼팅거리(예를 들어, xx 미터), 좌우 경사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최종 퍼팅방향(예를들어, '우측 3컵', '좌측 2컵' 등)이다.
출력부(140)는 상기 계산된 퍼팅정보를 문자와 그림 등으로 표시하며, 필요시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 UI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에 앱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이 출력부(140)가 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거리측정부(110)의 구성 및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거리측정부(110)에 연결되는 주변 구성요소에는, 사용자가 직접 거리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거리값입력기(111)와, 거리측정부(110)에서의 거리측정 태스크 실행 중에 사용자 명령이 필요시에 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명령입력기(112)가 포함된다. 그리고 AR 기능에 의한 거리측정을 위하여 AR 요소(113)와,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 거리측정을 위하여 레이저 요소(117)가 거리측정부(110)가 포함된다.
다음, 단말기(100)의 거리측정부(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거리측정부(110)는, 거리값입력기(111)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값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입력거리값 처리기(114); 카메라, AR API, 가속도센서(3축 이상) 등의 AR 요소(113)와 연동하여 AR 기능을 수행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AR 거리측정기(115); 레이저 발광기, 레이저 수광기 등의 레이저 요소(117)와 연동하여 레이저 기술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요소(117)에는 레이저 발광기와 수광기 이외에 사용자가 거리측정 대상을 뷰파인더로 확대하여 볼 수 있는 망원장치와 그 관련물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114)는 사용자가 종래의 경우처럼 그린에서 걸어서 보폭으로 센 거리값이나 별도로 소지한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을 이용하여 측정한 거리값, 또는 안내자료(책자, 인터넷 등)를 통해 알고 있는 거리값을 직접 거리값입력기(111)를 통해 입력한 것을 수신하고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여 거리 데이터를 생성해 도 1에 나타낸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송한다.
이 때 필요한 거리값입력기(111)는 단말기(100)의 키패드 또는 화면터치 UI로 구현할 수 있다. 이 UI의 예를 도 3a와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는 본 발명의 골프 보조장치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즉, UI(141)를 나타낸다. 도 3a의 UI에서 거리입력 버튼(142)을 누르면 도 3b와 같은 거리값 입력화면이 나타난다. 도 3b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숫자 키패드(143)를 이용하여 자신이 자체 측정한 또는 다른 루트를 통해 알게 된(레이저 거리측정 제품 또는 안내책자 등) 거리값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거리측정부(110)의 AR 거리측정기(115)는 AR 요소(113)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이 실제 영상에 AR 요소(113)의 AR API, 9축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AR 기능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뷰를 중첩 표시한다. 이렇게 구현된 증강현실 화면에서 사용자는 명령입력기(11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거리의 두 지점, 즉, 타격 위치(볼의 위치)와 목적 위치(홀컵의 위치)를 지정한다. AR 거리측정기(115)는 이렇게 지정된 두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실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계산하여 수치화한다. 수치화된 거리데이터는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송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입력기(112)도 단말기(100)의 UI로 구현할 수 있다. 이 UI의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격 위치(볼의 위치) B에 단말기(100)의 가운데 타겟포인트 C를 맞추어 선택 버튼(144)을 누른다. 그 다음 홀컵의 위치 H에 마찬가지로 타켓 포인트 C를 맞추어 선택 버튼(144)을 누른다. 이렇게 지정한 두 포인트의 증강현실 속의 X,Y,Z 축을 수치화 하여 추출하면, 이를 통하여 B와 H의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계산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레이저 거리측정기(116)는 레이저 요소(117)를 이용하여 홀컵이나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현재, 다양한 방식의 레이저 거리 측정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레이저 거리측정기(116)에 의해 측정된 거리 데이터는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송된다.
레이저 거리측정기(116)의 거리 측정 기능 수행시에도 명령입력기(112)가 관여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명령입력기(112)는 레이저 발광기 점등 명령, 레이저 거리측정 개시 명령, 기타 레이저 거리측정 모드의 선택 명령 등을 거리측정부(110)에 입력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114), AR 거리측정기(115), 레이저 거리측정기(116)가 거리측정부(110)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요소들의 일부만이 거리측정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거리값 처리기(114)만 거리측정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AR 거리측정기(115)만 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16)만 거리측정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거리값 처리기(114)와 AR 거리측정기(115)의 둘만 거리측정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2.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100)의 경사측정부(120)의 구성 및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경사측정부(120)에 연결되는 주변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주변 구성요소에는, 사용자가 직접 경사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경사값입력기(121)와, 경사측정부(120)에서의 경사측정 태스크 실행 중에 사용자의 명령이 필요시에 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명령입력기(122)와, AR 기능에 의한 경사측정을 위하여 카메라, AR API 등의 AR 요소(123)와, 지형의 경사를 감지하는 3축 이상의 센서 요소(124)가 포함된다.
다음, 경사측정부(120)의 구성을 설명한다. 경사측정부(120)에는 상기 경사값입력기(121)로부터 입력된 경사값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입력경사값 처리기(125); 상기 AR 요소(123)와 연동하여 AR 방식으로 경사를 측정하는 AR 경사측정기(126); 상기 센서 요소(124)와 연동하여 경사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경사감지측정기(127)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경사값 처리기(125)는 사용자가 종래의 경우처럼 그린에서 자체 측정한 경사값이나 안내자료(책자, 인터넷 등)를 통해 알고 있는 경사값을 직접 경사값입력기(121)를 통해 입력한 것을 수신하고 경사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여 도 1의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송한다. 이에 사용되는 경사값입력기(121)는 앞에서 참조한 도 3a, 3b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UI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거리값 입력을 위한 거리값입력기(111)와 경사값 입력을 위한 경사값입력기(121)를 통합하여 하나의 UI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AR 경사측정기(126)는 AR 기능을 이용하여 골프 그린의 경사도(좌우 및 상하)와 그린 등고도(그린 굴곡 및 비규칙 라인)를 측정한다. 즉, AR 요소(123)의 카메라를 통해 경사를 측정할 지역의 지형지물을 촬영하고 AR 요소(123)의 AR API와 3축 이상 센서 요소(124)를 이용한 AR 기능을 통하여 증강현실 View를 실사 영상에 표시한다. 주변환경의 지형지물을 스캔하면, AR API는 증강현실 속 실사 영상의 색감, 명암, 조도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로부터 홀까지의 경사도 및 등고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경사도 및 등고도 데이터의 관심영역의 X,Y,Z 좌표를 수집 및 분석하면 증강현실 속 지형지물의 경사도 값을 수치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치화된 거리데이터는 도 1의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송된다.
이 때 사용가능한 UI의 예를 들면, 도 6a, 도 6b와 같다. 도 6a와 도 6b에 나타낸 UI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다. 실사 영상 위의 경사부나 홈, 굴곡부 등에 해당 지형의 등고도와 굴곡도 등의 경사 데이터가 증강현실(AR)로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사 데이터는 AR 경사측정기(126)로 입력된다. 또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타겟포인트 C를 맞추어 선택 버튼(144)을 누르면 해당 위치의 경사 데이터가 AR 경사측정기(126)로 입력되어 경사 데이터를 계산하는 데 반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경사감지측정기(127)는 최소 3축 이상의 센서 요소(124)를 이용하여 그린의 경사도(좌우 및 상하)를 측정한다. 가령, 도 7과 같이 상기 경사감지측정기(127)가 포함된 단말기(100)를 경사가 있는 지형에 내려놓으면, 내장된 3축 이상의 센서 요소(124)가 작동하여 해당 지형의 좌우 및 상하 기울기를 측정한다.
경사감지측정기(127)는 해당 측정값을 수치화하여 단말기(100)의 퍼팅정보 계산부(130)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좌우(―10 ~ +10), 상하(―10 ~ +10)의 값으로 수치화될 수 있고, 퍼팅정보 계산부(130)는 이 수치화된 데이터를 특정 정규화된 테이블 및 계산식을 통해 퍼팅 퍼팅거리 및 좌우 방향값 계산에 반영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경사값 처리기(125), AR 경사측정기(126), 경사감지측정기(127)가 경사측정부(120)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요소들의 일부만이 경사측정부(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리측정부(110)에 대해 언급한 것과 유사하게, 입력경사값 처리기(125)만 경사측정부(1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AR 경사측정기(126)만 또는 경사감지측정기(127)만 경사측정부(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경사값 처리기(125)와 AR 경사측정기(126)의 둘만 경사측정부(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3.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단말기(100)의 퍼팅정보 계산부(130)는 상기 거리측정부(110)와 경사측정부(120)로부터 전송받은 계산 결과, 즉, 수치화된 거리데이터와 경사데이터를 이용하여 퍼팅정보를 계산하고 이 정보를 골프 경기 또는 연습시에 사용자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골프용어로 매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8은 퍼팅정보 계산부(130)의 구성도이다. 퍼팅정보 계산부(130)는 거리측정부(110)에서 출력된 거리데이터와 경사측정부(120)에서 출력된 경사데이터 중의 상하 경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퍼팅해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 계산기(131); 경사데이터 중의 좌우 경사도를 이용하여 최종 퍼팅할 좌우 방향값 및 편향값을 계산하는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 상기 계산된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140)로 보내는 표시정보 생성기(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는 그린 스피드에 따라 퍼팅거리 및 방향값 및 편향값을 추가로 계산할 수 있다.
퍼팅거리 계산기(131)에서 계산되는 퍼팅거리의 예를 들면, 입력 또는 측정/계산된 거리데이터가 3m이고 상하 경사데이터가 내리막(즉, 음(―)의 수치)이라고 가정하면, 실제 퍼팅해야 할 거리는 내리막 경사값을 반영하여 2.8m가 될 수 있다. 이 실제 퍼팅거리는 참조표 또는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에서 계산되는 퍼팅방향은, 예를 들어, 좌우 경사데이터가 홀컵 기준으로 우측으로 양(+)의 수치라고 가정하면(즉, 우측 오르막),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은 이 우측 경사값을 반영하여 실제의 홀컵보다 우측 방향으로 얼마의 양만큼 편향되게 퍼팅해야 하는지를 계산한다. 이 실제 퍼팅방향 및 편향거리도 참조표 또는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홀컵보다 우측으로 약 2컵에 해당하는 거리로 편향되게 퍼팅하도록 '우측 2컵' 또는 '우측으로 22cm'라는 실제 퍼팅방향 및 편향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우측 2컵의 편향값은 홀컵의 끝에서 우측으로 홀컵이 2개 있다고 가정하는 거리이다(일반적으로 1컵 = 약 10.8cm임).
상기와 같이 계산된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은 표시정보 생성기(133)에서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 또는/및 청각의 표시정보로 변환되어 출력부(140)로 전송된다.
4. 출력부(140)는 표시정보 생성기(133)로부터 표시정보를 받아서 UI(141)에 표시한다.
도 9a는 출력부(140)의 UI(141)의 예시도이다(이 UI는 이미 도 3a에서 설명한 바 있음). 출력부(140)의 UI(141)는, 상기 퍼팅거리 계산기(131)에서 상하 경사데이터를 반영하여 계산한 퍼팅거리를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거리 수치 표시기(144); 상기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에서 좌우 경사데이터를 반영하여 계산한 퍼팅방향과 편향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방향 수치 표시기(145); 퍼팅방향 수치 표시기(145)에서 표시되는 퍼팅방향 수치를 반영하여 퍼팅방향을 그린에서의 볼궤적으로 보여주는 볼궤적 표시기(146); 및 상기 퍼팅거리와 퍼팅방향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위치에서부터 목적 홀까지의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화살표 등으로 보여주는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를 포함한다.
도 9b는 출력부(140)의 UI(141)의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의 다른 예시도이다. 단말기(100)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골프공 그래픽(150)에 퍼팅방향을 표시한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로 UI를 구성한다. 골프공 그래픽(150)에 퍼팅방향 가이드라인(151)이 표시되어 시각화하고 있다. 상기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에서 좌우 경사데이터를 반영하여 퍼팅방향과 편향값이 계산되면 실시간으로 상기 골프공 그래픽(150)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퍼팅방향 가이드라인(151)이 변화되도록 UI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세 줄의 퍼팅방향 가이드라인(151)이 골프공 그래픽(150)에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볼궤적 표시기(146)와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147')는 사용자에게 퍼팅방향을 표시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UI이다. 사용자는 볼궤적 표시기(146)에서 표시되는 볼궤적을 참고하여 퍼팅해야 할 방향과 위치를 가늠하고,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147')에 표시되는 실제 쳐야 할 방향으로 퍼팅을 하면, 실제로 공이 그린의 상하좌우 기울기에 의해 홀컵 위치를 향해 굴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의 UI에 상기 볼궤적 표시기(146)와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147')를 제공하여 종래에 비해 직접적인 퍼팅방향을 가이드받게 되었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사용자가 이러한 방향 표시만을 보고 퍼팅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퍼팅방향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이 실시예의 요지는 단말기(100)에 레이저광원을 설치해서 퍼팅방향을 나타내는 광선을 조사해서 퍼팅방향을 한층 더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본 발명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도 10a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단말기(100)에 레이저광원을 설치하고 이 레이저광원을 구동 및 제어하는 하드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시킨다. 여기서 레이저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0a의 실시예에서 레이저광원은 두 개인데, 제1 레이저광원(152a)은 레이저광을 전방을 향하여 홀컵까지의 직선방향으로 기준선(153)을 조사하고, 다른 제2 레이저광원(152b)은 상기 도 9a,9b의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147')에 표시되는 퍼팅방향을 향하는 퍼팅선(154)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레이저광원(152a,152b)이 설치된 단말기(100)를 퍼팅 위치에 놓고 제1 레이저광원 152a에서 조사되는 기준선(153)을 기준으로 제2 레이저광원 152b에서 조사되는 퍼팅선(154)이 향하는 방향으로 퍼팅을 하면 된다.
도 10b는 도 10a와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100)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이저광원이 세 개이다. 즉, 상기 제1 레이저광원(152a)은 동일하고 제2 레이저광원은 두 개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가운데의 제1 레이저광원(152a)은 동일하게 기준선(153)을 조사하고, 제1측(도 10b에서는 우측)에 위치한 레이저광원(152b)은 기준선(153)의 제1측(우측)으로 편향된 퍼팅방향으로만 제1 퍼팅선(154)을 조사하고, 제2측(도 10b에서는 좌측)에 있는 레이저광원(152c)은 기준선(153)의 제2측(좌측)으로 편향된 퍼팅방향으로만 제2 퍼팅선(154')을 조사한다. 도 10b의 실시 형태는, 도 10a의 실시형태에서 레이저광원 152b에서 조사되는 퍼팅선(154)이 레이저광원 152a에서 조사되는 기준선(153)과 교차되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을 더 높히기 위한 것이다.
도 10a,b에서 퍼팅선 조사 레이저광원(152b,152c)에서 조사되는 퍼팅선(154,154')의 조사각 제어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레이저광원 제어부(155)에 의해 수행된다. 즉, 레이저광원 제어부(155)는 도 8에 나타낸 퍼팅정보 계산부(130)의 퍼팅방향 및 편향값 계산기(132)와 표시정보 생성기(133)에서 생성된 퍼팅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레이저광원(152b,152c)의 조사각을 제어한다.
레이저광원 제어부(155)가 레이저광원(152b,152c)의 조사각을 제어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이저광원 제어부(155)는, 퍼팅선 조사 레이저광원(152b,152c)이 탑재된 기판(156); 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예를 들어, 스텝모터)(157); 수신한 퍼팅방향 정보에 포함된 방향각을 모터 회전각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157)를 구동하여 상기 기판(156)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기(158)로 구성된다.
도 10c에 나타낸 예 이외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스텝모터가 아닌 일반 모터와 기어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레이저광원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서 조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기판을 기어로 연결하되,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일정 각도가 기판이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또는 클릭 메커니즘을 설계할 수 있다.
2) 레이저광원은 고정하고 그 앞에 조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필터(예컨대, 회절격자필터)를 설치하여 이 필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광원의 조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3) 현재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직진 조사만 가능하지만, 향후에, 제어신호를 받아서 자체적으로 조사각을 달리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가 개발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조사각 제어가 가능해질 것이다.
<단말기(100)의 다양한 구현예>
앞에서 단말기(100)는 일반 스마트폰 및 앱으로, 또는 전용 단말기로 구현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스마트폰에는 이미 터치패드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는 액정화면과, 가속도센서 및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활용하는 앱을 제작하면 용이하게 단말기(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용단말기는 스마트폰에서 전화 기능이나 인터넷 기능 등 불필요한 기능을 제외하고 상술한 단말기(100)의 기능만 활용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문제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16)를 활용할 경우인데, 스마트폰, 또는 이 스마트폰과 유사한 구조의 전용단말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거리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설령 가능하더라도 매우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공지된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공지된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과 본 발명의 단말기를 결합한 구현예를 도 11a~10c에 나타낸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를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전용 단말기이고,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은 대물렌즈(210)와 뷰파인더(접안렌즈)(220)로 구성된 망원장치 및 레이저 발광부(230)와 레이저 수광부(240)가 구비되어 있는 제품이다.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의 본체에 단말기 장착홈(250)을 형성하여, 여기에 단말기(10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단말기 장착홈(250)에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과 단말기(100) 사이의 신호 연결 용도 및/또는 단말기(100)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260)가 있다. 상기 커넥터(260)를 통해,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에서 레이저 방식으로 측정된 거리값이 단말기(100)의 거리측정부(110)에 입력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과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1b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의 내부에 단말기(100)를 통합 구성하고 외부에 출력부 화면(270)만 노출되도록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에 노출된 출력부 화면(270)은 터치패드의 역할과 정보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의 본체에 노출된 출력부 화면(270) 대신에(또는 이와 병용하여)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의 뷰파인더(220)에 골프 정보가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11c는 이렇게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의 뷰파인더(220)에 출력부 화면(270')을 구성한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뷰파인더(220)의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면, 화면(270')에 전체적으로 목표 지점의 뷰가 망원장치에 의해 확대되어 보이며 이와 함께 도 11c와 같은 표시항목들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측정거리 표시부(272)에는 레이저 거리측정 제품(200) 및/또는 단말기(100)에서 측정한 거리데이터가 표시된다(예를 들어, '15.8m'). 스트로크 거리표시부(271)에는 상기 거리데이터에 경사데이터를 반영한 실제 퍼팅거리(스트로크거리)가 수치와 화살표로 표시된다(예를 들어, '17.8m'(=15.8m+2m)). 화면(270')의 우측과 좌측에는 각각 퍼팅방향 표시부(273, 275)가 있다. 예를 들어, 우측의 퍼팅방향 표시부(273)에 '우측 반컵, 5.4cm'라는 문구와 우측화살표가 표시된다. 다른 경우에는, 좌측의 퍼팅방향 표시부(275)에 '좌측 반컵, 5.4cm'라는 문구와 좌측화살표가 표시된다. 화면(270')의 하부에는 경사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슬로프(slope)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슬로프 표시부(274)가 있다(예를 들어, 'SLOPE +5m'로 고저차를 표시할 수 있음). 화면(270')에 나타낸 그 외의 표시부 '276'은 페어웨이(fareway) 측정 모드(F/W)와 퍼팅거리 측정 모드(PUTT) 중 어느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고, '277'은 배터리 잔량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 - 거리 및 경사데이터 보정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
앞에서 설명한 발명의 기본 구성에 추가하여 거리 및 경사 보정 기능이 포함된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12는 이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부(110)의 구성도이다. 도 2의 구성과 비교할 때 거리보정기(118)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일 스트로크 라인이 규칙적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기울기 및 높낮이가 심하게 변하는 구간이 존재한다면 전체적인 퍼팅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 거리보정기(118)를 통해 보정을 하여 보다 정확한 퍼팅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1차로 측정한 스트로크 라인의 거리가 실제 거리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명령입력기(112)를 통해 거리보정기(118)의 작동을 촉발할 수 있다. 명령입력기(112)에 보정 선택수단(도 13a의 148 참조)을 추가하여서 사용자가 이 보정 선택수단(148)을 통해 보정 기능을 선택하고, 1) 수동으로 새로운 거리값(예를 들어, 기울기와 높낮이가 변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을 입력하거나 2) 단말기(100)의 거리측정부(110)가 1차로 측정한 거리를 보정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
보정기능에 대해서 UI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낸 UI화면(141)을 다시 나타낸 도 13a에서, 퍼팅거리 수치 표시기(144)에 1차 계산된 퍼팅거리가 '내리막 1.0m'로 표시되어 있고 퍼팅방향 수치 표시기(145)에 1차 계산된 퍼팅방향이 '좌측 3컵 32cm'로 표시되어 있다.
일 구현예로서, 위의 1)의 경우(사용자에 의한 보정 거리 입력)에는 도 13a의 UI화면(141)의 하부에 있는 보정 버튼(148)을 누르면 도 13b와 같은 거리입력 화면이 뜬다. 이 화면은 도 3b에 나타낸 수동 거리입력 화면과 유사한 화면이다. 이 화면의 키패드(143)를 입력하여 보정하고자 하는 새로운 거리값을 입력하면 거리측정부(110)의 거리보정기(118)는 해당 구간의 기울기 및 높낮이를 측정하여 1차 계산된 거리를 보정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위의 2)의 경우(단말기(100)의 거리측정부(110))가 거리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거리측정부(110)가 AR 방식에 의해 (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16)에 의해) 거리를 재차 측정하고 계산하여 보정한다. 보정시에는 퍼팅거리의 경로에 존재하는 경사도를 추가 측정하고 이 경사데이터를 추가 반영할 수 있다(도 14 참조). 이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경사측정부(120)도 함께 작용한다.
보정 태스크의 실행이 완료되면 도 13c와 같이, 1차 측정값과 보정한 값을 반영하여 계산된 최종 퍼팅 정보를 표시해준다. 도 13c를 보면 퍼팅거리 수치 표시기(144), 퍼팅방향 수치 표시기(145), 볼궤적 표시기(146), 및 퍼팅방향 그래픽 표시기(147)에 표시되는 정보가 보정되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즉, '오르막 2.8m' 및 '우측 2컵 22cm').
보정횟수는 제한없이 필요한만큼 수행 가능토록 설계할 수 있다(예를 들어 20미터의 거리 측정 후, 보정이 필요한 구간이 10곳으로 확인될 때 10회의 보정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보정횟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 UI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의 상부에 보정횟수 표시기(149)가 디스플레이되도록 UI를 구성하였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14는 경사보정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에 따른 경사측정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5의 구성과 비교할 때 경사보정기(128)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사보정기(128)의 작동도 도 12의 거리보정기(118)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명령입력기(122)를 통해 촉발할 수 있다. 또한 명령입력기(122)를 통해 경사보정기(128)의 작동을 촉발시킨 후에 경사값입력기(121)를 통해 새로운 경사값을 입력하거나, AR 경사측정기(126) 및/또는 경사감지측정기(127)가 자체적으로 새로운 경사값을 측정하고 경사보정기(128)가 새로운 경사값으로 경사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경사값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명령입력기(122) 및 경사값입력기(121)의 UI는 도 13a~c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경사보정기(128)에 의한 자체 경사데이터 보정은 도 5의 AR 경사측정기(126) 및/또는 경사감지측정기(127)와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1차 경사 측정 후에 AR 요소(123) 및/또는 센서 요소(124)를 활용하여 그린의 등고도(그린 굴곡 및 비규칙 라인)를 재확인하거나 경사값을 다시 측정한다. 예를 들어, AR 경사측정기(126)는, 1차 측정된 값에 증강현실 속에서 볼이 움직이는 라인을 예측하여 그려준다. 그려진 라인에서 앞에서 설명한 AR을 통한 지형 기울기 및 등고도 분석 기능(도 6a, 6b 참조)을 통해 기울기 및 높낮이가 변하는 구간을 분석 및 표시해 준다. 표시된 구간에서 단말기(100)의 AR 경사측정기(126)를 통해 기울기 및 높낮이를 측정한 후 이전 측정된 값에 대한 보정값을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도 13c의 UI를 통해 퍼팅해야 할 정보를 표시해준다.
경사측정부(120)는 또한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거리측정기(110)가 거리 보정을 수행시에 자동으로 경사값을 재차 측정하여 거리측정기(11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function) 또는 과정(process)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specific IC), 프로그래머블 로직소자(FPGA 등), 기타 전자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는 하드웨어 요소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하드웨어 요소와 결합되어 또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로써도 구현 가능한데, 이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사용자가 골프를 칠 때 휴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는 거리값 입력기와,
    거리값 입력기에 입력된 거리값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부터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그린의 경사도 또는 홀컵이 위치한 지점의 그린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그린위에 놓인 상태로 그린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요소와,
    센서요소와 연동하며, 센서요소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경사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사감지측정기와,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경사감지측정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퍼팅정보를 계산하는 퍼팅정보계산부와,
    퍼팅정보계산부가 계산한 퍼팅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정보계산부는,
    입력값 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거리데이터와, 경사감지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리데이터와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팅해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계산기와,
    사용자가 퍼팅해야할 홀컵기준 좌우방향 값을 계산하는 퍼팅방향 및 편향값계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퍼팅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퍼팅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거리와, 홀컵기준 좌측 또는 우측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퍼팅거리를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거리 수치표시기와,
    퍼팅방향과 편향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퍼팅방향 수치표시기를 포함하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3. 사용자가 골프를 칠 때 휴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는 거리값 입력기와, 거리값 입력기에 입력된 거리값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부터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그린의 경사도 또는 홀컵이 위치한 지점의 그린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그린위에 놓인 상태로 그린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요소와, 센서요소와 연동하며, 센서요소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경사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사감지측정기와, 상기 입력거리값 처리기와 경사감지측정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퍼팅정보를 계산하는 퍼팅정보계산부와, 퍼팅정보계산부가 계산한 퍼팅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정보계산부는, 입력값 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거리데이터와, 경사감지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리데이터와 경사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팅해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계산기와, 사용자가 퍼팅해야할 홀컵기준 좌우방향 값을 계산하는 퍼팅방향 및 편향값계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퍼팅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퍼팅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퍼팅거리와, 홀컵기준 좌측 또는 우측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퍼팅방향을 가이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거리값입력기에, 사용자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값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거리값 처리기가 거리데이터를 생성하게 하는 단계와;
    퍼팅방향 가이드장치를 그린위에 위치시켜, 상기 센서요소가 그린의 경사도를 감지하게 하여 경사감지측정기가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경사도데이터를 퍼팅정보계산부로 전달하게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퍼팅방향 가이드 방법.
KR1020220160664A 2021-12-10 2022-11-25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20230088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664A KR20230088251A (ko) 2021-12-10 2022-11-25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89 2021-12-10
KR1020220160664A KR20230088251A (ko) 2021-12-10 2022-11-25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89 Division 2021-12-10 2021-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251A true KR20230088251A (ko) 2023-06-19

Family

ID=869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664A KR20230088251A (ko) 2021-12-10 2022-11-25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2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262B1 (ko) 2023-09-05 2024-01-10 이엘스포츠주식회사 연습 퍼팅의 스윙 궤적과 이에 따른 타격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13B1 (ko) 2019-12-12 2020-08-06 주식회사 모피어스시큐리티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의 측정이 가능한 골프 보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13B1 (ko) 2019-12-12 2020-08-06 주식회사 모피어스시큐리티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의 측정이 가능한 골프 보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262B1 (ko) 2023-09-05 2024-01-10 이엘스포츠주식회사 연습 퍼팅의 스윙 궤적과 이에 따른 타격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713B1 (ko)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의 측정이 가능한 골프 보조장치 및 방법
US102574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oper positioning of an object
US20180307396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JP5443134B2 (ja) シースルー・ディスプレイに現実世界の対象物の位置をマーク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2039467A1 (ja) 運動支援システム
EP2189835A1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EP3080550B1 (en) Laser receiver using a smart device
KR20150141213A (ko)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TW201501753A (zh) 運動解析裝置
WO2012043540A1 (ja) 重心移動訓練システム
JP5624625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
EP3933669A1 (en) Posture comparison and correction method using application configured to check two golf images and result data in overlapping state
KR20230088251A (ko) 퍼팅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JP2017217423A (ja) Gui表示装置
JP2021508033A (ja) 距離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340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501552B2 (en)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6391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 option
US10096260B2 (en) Golf play assisting system
KR20130101728A (ko) 모션 인식을 통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17063B1 (ko)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JP6438899B2 (ja) ゴルフ練習具
JPH0360680A (ja) ゴルフ練習機
KR20130042844A (ko) 자세 보정 시스템
KR102623262B1 (ko) 연습 퍼팅의 스윙 궤적과 이에 따른 타격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