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141A -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 Google Patents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141A
KR20230088141A KR1020210177035A KR20210177035A KR20230088141A KR 20230088141 A KR20230088141 A KR 20230088141A KR 1020210177035 A KR1020210177035 A KR 1020210177035A KR 20210177035 A KR20210177035 A KR 20210177035A KR 20230088141 A KR20230088141 A KR 2023008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sture
band
muscle contraction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원
채민규
김재윤
송도결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14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스스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핑 코어 밴드와,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 및 상기 키핑 코어 밴드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해주는 피드백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Posture correction band with trapezius muscle contraction decting sensor}
본 발명은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스스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핑 코어 밴드와,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 및 상기 키핑 코어 밴드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해주는 피드백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자신의 몸을 가꾸는 것과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다. 그에 따라 헬스장과 같은 운동 시설을 찾거나, 유튜브 등의 각종 인터넷 매체를 보면서 집에서 스스로 운동하는 홈트레이닝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 등과 같은 각종 인터넷 매체의 영상을 시청하며 운동하는 홈트레이닝은 제대로 된 운동 효과를 보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어깨 운동을 갓 시작한 초보자들은 영상을 시청하며 운동을 하더라도 어깨 어느 부위에 힘이 들어가야 하고 들어가지 말아야 하는지 잘 모르는 상태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운동을 오래한 사람들도 측면 삼각근(중간 어깨세모근)을 발달시키는 운동을 할 때, 상승모근에 힘이 들어갔는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 효과를 보기 어렵고, 부상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5903호(2020.03.1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람들이 스스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핑 코어 밴드와,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 및 상기 키핑 코어 밴드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해주는 피드백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는,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핑 코어 밴드;와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 및 상기 키핑 코어 밴드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알림해주는 피드백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승모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와, 상기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승모근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에 따르면, 혼자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어깨 운동을 할 때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원치 않은 근육의 발달 방지하고 부상의 위험을 예방하며, 밸런스 있는 몸을 만드는 데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다하여 그 구성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실제 형상을 도시한 것이 아니고, 이해를 돕기위하여 길이, 폭, 높이, 두께 등을 크게 또는 작게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는 키핑 코어 밴드(10), 복부압박 밴드(20), 피드백 장치(30)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핑 코어 밴드(10)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11)와, 상기 등받이부(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메는 한 쌍의 어깨걸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1)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깻죽지 사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승모근을 올바르게 압박 및 지지되도록 하여, 운동 시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1)는 중간을 비교적 좁게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등을 압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1)는 사용자가 운동 시 등에 땀이 차지 않도록 통기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1)의 양측으로 한 쌍의 어깨걸이부(12)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걸이부(12)가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걸리도록 착용한다.
이때, 상기 어깨걸이부(12)에는 길이조절끈(미도시)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길이조절을 통해 어깨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어깨걸이부(12)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키핑 코어 밴드(11)의 등받이부(11)를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더욱 밀착시켜 올바른 자세를 잡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이부(11)와 상기 어깨걸이부(12)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2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핑 코어 밴드(10)는 사용자의 등, 허리, 어깨를 압박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복부압박 밴드(20)는 사용자의 상복부에 둘러져 상복부를 압박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압박 밴드(20)의 양 끝단이 서로 분리되게 하고, 상기 복부압박 밴드(20)의 양 끝단에 벨크로(31)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복부압박 밴드(20)의 양끝단을 최대한으로 타이트하게 당겨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부압박 밴드(20)의 양 끝단에는 버클(미도시)을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복부압박 밴드(20)의 양 끝단에 구비된 버클(미도시)를 결속시켜 복부를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키핑 코어 밴드(10)에는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른지를 감지하여, 잘못된 자세가 되었을 경우 진동으로 알려주는 피드백 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승모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수축 감지 센서(31)와, 상기 근수축 감지 센서(31)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승모근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센서(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핑 코어 밴드(10)와 복부압박 밴드(20)에 의해 압박지지된 사용자의 자세에서 사용자가 혼자서 운동할 때, 승모근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승모근이 아닌 다른 부위에 힘이 들어갔을 경우, 즉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근수축 감지 센서(31)에서 이를 감지하여 진동 센서(32)로 정보를 넘겨주게 된다.
그리하여 진동 센서(32)에서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인지하고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게 유도하여, 사용자가 부상 위험 없이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몸의 밸런스 및 올바른 부위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세 교정 밴드
10. 키핑 코어 밴드
11. 등받이부 12. 어깨걸이부
20. 복부압박 밴드
30. 센서부 31. 근수축 감지 센서
32. 진동 센서 B. 벨크로

Claims (2)

  1. 자세 교정 밴드(1)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부(11)와, 상기 등받이부(11)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핑 코어 밴드(10);와
    사용자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복부압박 밴드(20); 및
    상기 키핑 코어 밴드(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알림해주는 피드백 장치(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장치(30)는
    사용자의 승모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수축 감지 센서(31)와, 상기 근수축 감지 센서(31)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승모근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센서(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KR1020210177035A 2021-12-10 2021-12-10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KR20230088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35A KR20230088141A (ko) 2021-12-10 2021-12-10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35A KR20230088141A (ko) 2021-12-10 2021-12-10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141A true KR20230088141A (ko) 2023-06-19

Family

ID=8698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035A KR20230088141A (ko) 2021-12-10 2021-12-10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1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03A (ko) 2018-08-31 2020-03-10 유영호 자세교정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03A (ko) 2018-08-31 2020-03-10 유영호 자세교정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778B1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US9821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ervical curvature and for maintaining proper curvature in persons predisposed to develop improper curvature
US8608629B2 (en) Therapeutic body strap
US4775148A (en) Abdominal exerciser
US10729932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exercise and training
US20130045842A1 (en) Tension exercise device
US5588941A (en) Spine theraphy and exercise device
US9931535B2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200903121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US111166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inforcing the lower body during the performance of a compound weightlifting exercise
US20090197747A1 (en) Elastic Ring And Method Of Use In Performing Yoga Asanas
KR20230088141A (ko) 승모근 근수축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자세 교정 밴드
US20220257991A1 (en)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591446B1 (ko)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US20190374366A1 (en) Belt with internal distraction
US102454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xercise device
WO2014157184A1 (ja) エクササイズクッション
US20170225031A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US10645980B2 (en) Vest assembly
JP3179944U (ja) 股関節サポータ
Siff The functional mechanics of abdominal exercise
KR200275189Y1 (ko)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JP6514728B2 (ja) 足腰系部位の整姿支援器材
KR20230169688A (ko) 복식호흡 운동 장치
JP2725814B2 (ja) 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