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94A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94A
KR20230088094A KR1020210176956A KR20210176956A KR20230088094A KR 20230088094 A KR20230088094 A KR 20230088094A KR 1020210176956 A KR1020210176956 A KR 1020210176956A KR 20210176956 A KR20210176956 A KR 20210176956A KR 20230088094 A KR20230088094 A KR 2023008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nnel
blocking device
flow
flow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설
조윤행
조희주
허지은
신동호
심준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094A/ko
Priority to PCT/KR2022/019965 priority patent/WO2023106867A1/ko
Publication of KR2023008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가스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단과 후단에 전기집진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단을 갖는 집진기 하우징과,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특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집진판과, 상기 집진판과 집진판 사이에 위치되는 방전극으로 구성되는 집진 유닛과,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집진 유닛으로 구성된 집진부 및 상기 집진 유닛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되, 상기 집진유닛을 통과하는 유동을 두 개 이상의 채널로 분리구획하고, 각 채널별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동차단장치와, 상기 유동차단장치는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상기 집진 유닛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형태로 보조집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관한 것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Dust Collection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기 설치되어 가동되고 있는 전기집진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가스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기술 분야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전기집진 기술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은 전기집진장치 내부 유로를 구획하여 유동을 분리하고, 각 구획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유동차단장치와 추가적인 보조집진장치를 구성하여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쿨롱력(Coulomb’s force)에 의해 처리 가스 내에 부유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1은 통상의 1단 형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평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는 집진판(20)-방전극(21)-집진판(20)의 구조로 되어 있다. 집진판(20)은 일반적으로 접지(ground)되어 있으며, 방전극(21)은 고전압 발생장치(T/R, transformer/rectifier)에 의해 수 십 kV 수준의 고전압이 인가 된다. 처리가스가 공기일 때, 방전극(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극(20)과 집진판(21) 사이에 공기분자가 전리되어 공기분자 이온과 전자가 고농도로 존재하는 플라즈마(plasma)가 발생된다. 이때, 방전극(21)에 음극 고전압이 인가되면 음이온이, 양극 고전압이 인가되면 양이온이 방전극(21)과 집진판(20)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음극 고전압이 인가되어 공기분자 음이온(27)이 고농도로 존재한 상태이며, 처리가스가 이 공간을 통과하면서 처리가스 중에 포함된 먼지(25)는 다량의 공기분자 음이온(27)들과 충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방전극(21)과 같은 극(polarity)으로 대전(charging)된다. 또한 대전된 먼지는 방전극(21)-집진판(2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lectric field)으로 인한 정전기력에 의해 전기장(26)을 따라 집진판으로 이동하여 포집된다. 이때 먼지(25)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입자상 물질의 형태를 갖는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에 먼지가 지속적으로 쌓이면, 집진판에 쌓인 먼지층이 절연층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저하되며 특히 백코로나(back-corona)로 알려진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전기집진장치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모든 건식 전기집진장치는 집진판에 쌓인 먼지를 주기적으로 제거, 탈진해주기 위한 추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추타장치는 일종의 망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먼지가 쌓여있는 집진판에 물리적인 충격을 주어 집진판 표면에 쌓여있는 먼지층(dust cake)을 집진판 표면에서 탈리시키고, 탈리된 먼지층은 중력에 의해 침강되어 집진판 하부에 위치한 호퍼(hopper)에 쌓이게 된다.
추타장치는 1)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작동되거나, 2) 방전극과 집진판 사이의 전위차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도달했을 시 작동되거나, 3) 방전극과 집진판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전류값에 도달했을 때 작동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통상의 전기집진장치 내의 집진판(20)과 방전극(21)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에서 “집진판-방전극-집진판...”으로 구성된 하나의 행(row, 이하 폭방향)을 “집진유닛 또는 필드(field)”라 칭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집진유닛(22)으로 표기하였다. 통상적인 건식 전기집진장치는 유동방향으로 두 개 이상의 집진유닛(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동방향으로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처리 가스가 지나가는 통로인 집진판-방전극-집진판 사이의 공간을 일반적으로 “덕트(duct)”라고 칭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전기집진장치는 4개의 집진유닛(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집진유닛에는 8개의 덕트(23)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99% 이상으로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집진장치 후단에서 측정되는 먼지의 농도는 수 십 mg/m3 수준으로 일반 대기환경기준에 비해 수백 배 내지는 수천 배에 해당될 정도로 높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추타에 의해 재비산되는 먼지 배출이 있다. 즉, 추타에 의해 집진판에서 먼지가 탈리되면, 탈리된 먼지 중 일부는 다시 유동을 따라 비산되는데 이를 재비산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1번째 집진유닛(유입단에서 가장 가까운 집진유닛) 추타 시 재비산된 먼지는 그 이후 후방의 집진유닛를 통과하며 다시 집진될 수 있지만, 마지막 집진유닛에서 추타에 의해 재비산된 먼지는 별도의 집진과정 없이 그대로 집진장치를 빠져나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먼지농도가 증가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아래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성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래의 카테고리 범위에서 진행되고 있다.
1. 집진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안이다(즉, 전기집진장치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집진유닛 수가 많아질수록 처리 가스 내 먼지는 대전 및 전기장에 의한 집진판으로의 이동, 포집될 수 있는 체류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2. 전기집진장치의 단면적을 증대시킨다. 동일한 유동조건에서 전기집진장치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는 가스의 평균 유속이 감소하여 집진기 내부에서 먼지가 머무르는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3. 전기집진장치와 다른 집진장치를 조합하는 방식이다.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먼지를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와 관성, 여과 등 다른 집진원리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장치(fabric filter, cyclone 등)을 조합함으로써 집진효율을 향상시킨다.
4. 특별한 형태의 방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먼지의 대전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인다.
5. 고전압 발생장치(T/R)의 성능 개선하는 방안이다. 마이크로 펄스방식의 고전압 발생장치(T/R) 등을 통해 방전 성능과 먼지 대전효과, 그리고 집진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위에서 열거된 방법 중 1~3번 방법은 모두 집진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기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으며, 높은 설치비용 및 보다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4번 및 5번 방법은 먼지 대전효과와 전기집진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의 안정화를 통해 집진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이나 이를 포함하여 위에 열거된 1~5번 방법은 추타시에 재비산되는 먼지 배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다.
선행특허로서 [US 3994704]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선행특허 1)는 앞서 언급한 전기집진장치 성능 향상 방안 중 3번 방안의 일종으로서, 전기집진기 후단에‘ㄷ’모양의 형강(channel)을 교차로 설치하고, 마주보는 형강(channel) 사이에 고전압 인가를 통한 전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관성력과 전기력으로 전기집진장치 후단에서 먼지를 추가적으로 집진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 1은 집진판의 역할을 하는‘ㄷ’모양의 형강(channel)에 포집된 먼지를 탈진하기 위하여 추타할 때 재비산되는 먼지에 대해서는 해결 방안이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US 3985524] Electric dust collector apparatus(선행특허 2)는 선행특허 1과 유사한 구조이나, 전단에 기존의 전기집진장치가 없고,‘ㄷ’모양의 형강(channel)을 집진극으로 구성된 독립된 집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2 역시 추타시에 재비산되는 먼지에 대해서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 설치되어있는 전기집진장치에도 적용가능하며 공간 효율적이고, 추타시 재비산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기집진기술이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 US 3994704 미국등록특허 US 39855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 또는 방전극의 추타시 재비산하거나, 집진판에 쌓인 먼지로 인한 역전리현상에 의해 재비산하거나, 방전극과 집진판 사이에서 발행하는 스파크 현상에 의해 정상적으로 집진되지 못하고 집진장치를 통과하여 고농도의 먼지가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치되어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전기집진장치 내부에서의 유로를 분기하고 각 분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차단장치를 적용하여 분기된 유로별로 구획된 집진장치에 포집된 먼지의 탈진을 위한 추타시 해당 유로를 닫고 추타를 실시함으로써 탈리된 먼지의 재비산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차단장치와 유동차단장치에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된 보조집진장치를 기존 전기집진장의 최후단 집진유닛에 추가 적용함으로써 기존 전기집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추가적으로 포집 제거함으로써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 추타시 재비산되어 배출되는 먼지를 저감할 수 있으며, 공간효율적 장치로, 기 설치된 전기집진장치의 성능개선을 위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압력손실이 낮아 기 설치된 전기집진장치에 적용된 송풍장치의 교체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가스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단과 후단에 전기집진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단을 갖는 집진기 하우징과,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특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집진판과, 집진판과 집진판 사이에 위치되는 방전극으로 구성되는 집진 유닛, 그리고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집진 유닛으로 구성된 집진부 및 상기 집진 유닛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되 상기 집진유닛을 통과하는 유동을 두 개 이상의 채널로 분리구획하고 각 채널별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동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차단장치는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상기 집진 유닛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형태로 보조집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처리가스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타공된 집진부재가 처리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집진부재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각 집진부재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마주보는 타공된 집진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방전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타공된 집진부재가 처리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타공된 집진부재 사이에는 방전침이 구비된 방전극이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타공된 집진부재와 상기 방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부재와 상기 방전극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독립적으로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전기연결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집진장치에 연결된 고전압 발생장치를 통해 보조집진장치에 인가된 전압 또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값을 바탕으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서 유동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집진유닛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11); 상기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 및 방전극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과 방전극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21); 상기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 및 방전극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과 방전극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11, S12, S13 또는 상기 S21, S22, S23과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해당되는 상기 집진유닛의 집진판 및 방전극을 순차적으로 추타하여 상기 집진유닛의 모든 집진판 및 방전극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1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2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S11, SS12, SS13 또는 상기 SS21, SS22, SS23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재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1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14);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15);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2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2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24);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25); 상기 ES11, ES12, ES13, ES14, ES14 또는 상기 ES21, ES22, ES23, ES24, ES24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를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E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따르면, 기 설치되어있는 전기집진기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전기집진기 내부에서의 유로를 분기하고, 각 분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며, 분기된 유로별로 구획된 전기집진기에 포집된 먼지의 탈진을 위한 추타시 해당 유로를 닫고 추타를 실시함으로써 탈리된 먼지의 재비산을 최소화하여 기 설치되어있는 전기집진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차단장치와 유동차단장치에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된 보조집진장치를 기존 전기집진장의 최후단 집진유닛에 추가 적용함으로써 기존 전기집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추가적으로 포집 제거함으로써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유동차단장치는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추타 등 운전 조건에 관계없이 오로지 유동차단장치와 직접 연통된 보조집진장치의 추타 조건과 연계하여 운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및 그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따르면, 전기집진장치 추타 시 재비산되어 배출되는 먼지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기집진장치가 처리가스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정한 집진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한 반면, 처리가스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집진판 및 집진장치 구조로 인해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만으로도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기 설치된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성능개선 기술로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낮은 압력손실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 설치된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송풍장치를 교체하지 않고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통상의 전기집진장치 내의 집진판과 방전극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이 닫힌 상태일 때 1번 채널 유로를 통한 우회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이 닫힌 상태일 때, 1번 채널 유로에서 우회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복수의 개폐수단이 댐퍼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의 평단면도,
도 7b는 도 7a에서 1번 채널 측 댐퍼가 닫힌 상태의 평단면도,
도 8a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1번 채널 측을 폐쇄한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의 평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2번 채널 측을 폐쇄한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의 평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1번 채널 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1번 채널 유로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의 평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2번 채널 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2번 채널 유로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을 닫은 상태일 때, 우회 유동이 발생한 경우의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와 유동차단장치의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보조집진장치를 구성하는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와 접지 집진부재의 타공 형상과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를 함유한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단(11)과 전기집진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단(12)을 갖는 집진하우징(10)과, 집진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집진유닛(22)과, 복수의 집진유닛(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부(24), 유동방향으로 집진부(24) 맨 앞에 위치한 집진유닛(22)의 전단과 연통되어 설치된 유동차단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집진부(24)는 처리가스 유동 방향으로 복수의 집진유닛(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집진유닛(22)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집진유닛의 개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유입단(11) 측에서 배출단(12) 측으로 1번 집진유닛, 2번 집진유닛, 3번 집진유닛, 4번 집진유닛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각 집진유닛(22)은 집진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판(20)을 갖고, 이러한 집진판(20) 사이에 방전극(21)이 설치되게 된다. 도 3의 전기집진장치는 각 집진판(20) 사이에 형성된 유로인 덕트(23)가 총 8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차단장치(30)는 이러한 전기집진장치 집진하우징(10) 내부의 유로를 다수 개의 채널로 분기하고, 각 채널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 채널마다 설치된 개폐수단(40)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유동차단장치(30)가 4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2개의 덕트(23)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차단장치(30)는 유동방향으로 집진부(24)의 맨 앞에 위치한 집진유닛(22)의 전단과 연통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차단장치(30)와 연통된 집진유닛(22)에 대한 추타시에는 다수 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유로를 닫아 유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20)과 방전극(21)에 대한 추타를 수행한 후, 다시 해당 채널의 유로를 개방하며, 나머지 채널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동일한 방법과 순서로 상기 집진유닛(22)에 대한 추타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집진유닛(22)의 탈진시 집진판(20)과 방전극(21)으로부터 재비산하여 배출되는 먼지의 농도를 줄일 수 있다.
도 3에서의 유동차단장치(30)는 유입단(12)에 가장 가까운 측에 위치한 집진유닛(22)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4개의 채널로 유로를 분기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채널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쳐서는 아니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집진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최상단부터 하단으로 1번 채널, 2번 채널, 3번 채널, 4번 채널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40)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전기집진장치(10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의 1번 채널의 개폐수단(40)을 닫게 되면, 상기 유동차단장치가 연결된 집진유닛(22)의 1번 채널에 해당되는 덕트(23)에 흐르는 유동이 차단되기 때문에 1번 채널에 해당되는 집진판(20) 또는 방전극(21)의 추타시 재비산되어 배출되는 먼지의 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1번 채널의 개폐수단(40)을 닫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동 우회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1번 채널이 닫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1번 채널에 해당되는 덕트(23)로 유입된 가스는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덕트(23)로 우회하여 흐르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를 집진하우징(10) 내부 전단, 즉 유입단(11)의 후단에 설치하게 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집진판(20) 또는 방전극(21)의 탈진시 재비산되어 배출되는 먼지의 농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먼저 유동차단장치(30)가 유입단(11)으로 유입되는 고농도의 먼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되어 개폐수단(40)이 먼지에 의해 오염되거나 마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빈도 및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측의 유로를 폐쇄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판(20)의 이격 틈으로 우회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우회유동은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집진장치의 펜트하우스 및 호퍼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우회 유동의 발생에 의해 펜트하우스 오염 및 호퍼 내의 먼지 재비산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추타시 탈리된 먼지가 폐쇄된 유로를 우회한 유동에 의해 재비산되어 집진장치(100) 후단으로 배출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는, 유동차단장치(30)와 근접한 1번 집진유닛의 추타 시에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1번 집진유닛 외의 집진판(20) 추타 시에는 우회 유동에 의한 재비산으로 인해 집진성능 개선의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기집진장치의 작동특성 상, 1번 집진유닛의 집진판(20)이 먼지 포집량이 가장 많아, 추타 주기가 가장 짧다. 따라서 유동차단장치(30)를 집진하우징(10) 내부 전방측에 설치하게 되면 유동차단장치(30)의 개폐 주기를 1번 집진유닛 집진판(20)의 추타 주기에 맞춰야하므로 개폐 주기가 짧아져 유동 폐쇄 후 추타에 의해 집진판으로부터 탈리된 먼지가 침강하여 호퍼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유동차단장치(30) 도입에 의한 집진성능 개선효과가 미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40)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전기집진장치(10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 달리 유동차단장치(30)를 집진하우징(10) 내부 전방이 아닌 후방에 설치한 것이다. 즉, 유동차단장치(30)를 집진하우징(10) 배출단(12) 전단에 설치한 것이다.
제1실시예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는 유로를 구획하여 4개의 채널로 분기하게 되며, 각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개폐수단(40)이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를 집진하우징(10) 내부 후방에 설치하게 되면, 4개의 집진유닛을 거치면서 집진된 후, 유동차단장치(30)로 유입되므로, 유동차단장치(30)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전방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하며, 유동차단장치(30)의 개폐주기를 먼지포집량이 가장 적은 최후단 집진유닛의 추타주기와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주기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1번 채널 측 개폐수단(40)을 닫은 상태에서 1번 채널 유로에서 우회유동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도 유입 유로폐쇄로 인해 펜트하우스, 호퍼, 집진판(20) 이격 틈 등으로 우회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우회유동에 의해 펜트하우스 오염, 호퍼 내의 먼지 재비산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폐쇄된 유로를 우회한 유동이 추타에 의해 탈리된 먼지를 재비산시켜 집진장치(100) 후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차단장치(3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유동차단장치(30)는 다수의 실시예를 제시한 것일 뿐, 유로를 다수의 채널로 구획하면서 채널마다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체적인 구조 등은 다양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개폐수단(40)이 댐퍼(41)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b은 도 7a에서 1번 채널 측 댐퍼(41)가 닫힌 상태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를 구성하는 개폐수단(40)은 댐퍼(41)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수단는 각각의 댐퍼(41)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댐퍼(41)을 이용한 집진장치 추타 방법은 추타하고자 하는 채널에 해당되는 댐퍼(41)을 닫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채널에 해당되는 집진부(집진판(20) 및 방전극(21))에 대한 추타를 실시하고, 또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후 닫힌 댐퍼(41)을 여는 순서로 해당 채널의 추타를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채널에 해당되는 집진부를 순차적으로 추타한다.
또한, 이러한 댐퍼(41)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개폐주기에 대응되도록 각 채널의 댐퍼(4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댐퍼(41) 구동제어와 연계된 집진장치의 추타 제어도 포함한다.
도 8a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1번 채널 측을 폐쇄한 슬라이딩 도어(42)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번 채널 측을 폐쇄한 슬라이딩 도어(42)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차단장치(30)는 슬라이딩 도어(42)와,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42)를 집진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채널에 해당되는 집진부의 탈진시 구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42)를 1번 채널 측으로 이동시켜 1번 채널을 폐쇄하고, 2번 채널의 탈진시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42)를 2번 채널 측으로 이동시켜 2번 채널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개폐주기에 대응되도록 각 채널로 슬라이딩 도어(42)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9a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1번 채널 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1번 채널 유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방식인 에어커튼으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번 채널 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2번 채널 유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으로 구성된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커튼으로 구성되는 유동차단장치(3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각각에 구비되어 채널 유로 각각에 기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기체분사노즐(4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구동수단은 기체가 분사되도록 각각의 기체분사노즐(43)을 구동하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채널의 탈진시 구동수단은 1번 채널 측의 기체분사노즐(43)을 작동시켜 1번 채널을 폐쇄하고, 2번 채널의 탈진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2번 채널 측 기체분사노즐(43)을 구동시켜 2번 채널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개폐주기에 대응되도록 각 채널의 기체분사노즐(43)이 작동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1번 채널 측의 개폐수단(40)을 닫은 상태에서 우회 유동이 발생된 경우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도 특정 채널 유로의 탈진시 해당 채널의 유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도 우회 유동에 의해 탈진된 먼지가 재비산되어 배출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제2실시예는 전기집진장치의 마지막 집진유닛(22)과 유동차단장치(30)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마지막 집진유닛(22)의 탈진과 유동차단장치(30) 개폐수단(40)의 작동을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탈진시 재비산되는 먼지 배출을 줄임으로써 집진효율을 개선하는 예를 보여준 것이다. 제2실시예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집진장치에 유동차단장치(30)만 추가된 구성으로, 적은 공간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 설치되어 가동중인 전기집진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적용하고 있는 탈진 제어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즉, 도 2와 같이 4개의 집진유닛(22)으로 구성된 전기집진장치는 첫 번째 집진유닛(22)부터 마지막 4번째 집진유닛(22)까지 특별한 제어방법과 순서에 의해 각 집진판(20)과 방전극(21)의 탈진이 수행되는데, 여기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처럼 유동차단장치(30)가 추가될 경우 4번째 집진유닛(22)의 탈진은 유동차단장치(30)의 개폐수단(40)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탈진 제어 방식에 있어 수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탈진 제어 방식의 변경은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기존 방식의 변경에 따른 운전특성 변화 및 집진기 성능 저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수요자로부터 채택되어 적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6실시예에서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와는 다르게 4번째 집진유닛(22) 후단에 보조집진장치(50)를 추가로 설치하고,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보조집진장치(50)는 유동차단장치(3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동차단장치(30)의 전단과 후단 양측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집진장치(50)는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마지막 집진유닛(22) 전체를 대체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마지막 집진유닛(22)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제6실시예에서 보조집진장치(50)는 추가적인 집진효율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적용가능한 수준의 압력손실 증가를 담보할 수 있는 여과집진, 싸이클론 집진, 전기집진 등 다양한 집진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기존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과 현 시점에서 집진기술별 장단점을 고려할 때, 보조집진장치(50)에는 전기집진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보조집진장치(50)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기집진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6실시예의 보조집진장치(50)에서는 전단에 위치한 전기집진장치 각 집진유닛(22)에서 제거되지 못하거나, 집진판에 포집된 먼지가 탈진과정 또는 전기적 스파크 발생 등에 의해 재비산된 먼지가 추가적인 집진수단인 보조집진장치(50)에 포집되기 때문에 전기집진장치(100)의 집진효율이 개선됨은 당연하다. 또한 보조집진장치(50)는 전기집진장치의 맨 후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먼지는 보조집진장치(50) 전단의 전기집진장치 각 집진유닛(22)에서 제거되고, 보조집진장치(50)로 유입되는 먼지농도는 전기집진장치 유입단(11)에서의 먼지농도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갖는다. 전기집진장치에서 집진판(20) 또는 방전극(21)의 탈진을 수행하는 이유는 집진판(20) 또는 방전극(21)에 먼지가 포집되어 쌓임에 따라 집진성능이 점점 저하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탈진을 통해 집진판(20) 또는 방전극(21)에 쌓인 먼지를 털어냄으로써 높은 집진효율과 안정적인 집진장치 운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전기집진기술이 적용된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 주기는 전단에 위치한 각 집진유닛(22)의 탈진 주기에 비해 매우 길어지게 되고,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먼지의 상당부분이 탈진 과정에서 배출된다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 주기가 길어진다는 것은 전기집진장치의 먼지배출을 그 만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는 격벽(51)에 의해 다수 개의 채널로 구획되어 각 채널별로 처리가스 유동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는 각 채널별로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과 유동차단장치(30)을 구성하는 개폐수단(40)이 연동되어 작동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 방법은 첫 번째 채널의 유동차단장치(30) 개폐수단(40)을 닫아 유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첫 번째 채널의 보조집진장치(50) 탈진을 수행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 후 첫 번째 채널의 유동차단장치(30) 개폐수단(40)을 원래대로 열어서 유동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첫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차단장치(30)를 구성하는 각 개폐수단(40)의 개폐작동을 기존 전기집진장치(100)의 탈진주기와 분리하여 운전할 수 있으며, 전단에 보조집진장치(50)가 구비된 유동차단장치(30)와 마지막(도 10 및 도 11에서의 4번째 집진유닛) 집진유닛(22) 사이에는 처리가스의 혼합과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여유 공간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에 의해 전기집진장치(100) 내부를 구획할 수 있어 우회 유동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펜트하우스 오염, 호퍼 내의 먼지 재비산 등의 문제점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탈진된 먼지가 우회 유동에 의해 재비산되더라도 유동차단장치(30) 전단의 보조집진장치(50)에 의해 제거되므로 배출단(12)을 통해 먼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구성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일 뿐, 개수, 형상,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해서는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보조집진장치(50)는 처리가스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타공된 집진부재(52, 53)가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를 갖고 있다. 도 12에서의 집진부재(52, 53)는 타공판의 형태를 갖고 있으나 처리가스의 유동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판재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집진부재(52, 53)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되도록 하나의 집진부재(52)에는 고전압 발생장치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집진부재(53)는 접지된다.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면 두 집진부재(52, 53) 사이에는 특정한 형태의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기장 내로 유입된 먼지는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부재(52, 53)에 포집된다. 이때 고전압이 인가되는 집진부재(52)는 접지된 다른 집진부재(53) 및 기타 집진장치의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도면에 이를 표시하지 않았다하더라도 고전압이 인가되는 타공 집진판(52)은 접지된 다른 타공 집진판(53) 및 다른 구조물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도 12에서는 절연부재(55)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측정부(미도시)는 이러한 전위차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는 측정된 전위차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해당 채널 유로를 차단하도록 유동차단장치(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전압이 인가된 집진부재(52)와, 상기 집진부재(52)에는 마주보는 접지된 집진부재(53)를 향해 돌출부(56)가 형성되며, 접진된 집진부재(53)와 특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집진장치(50)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다수의 돌출부(56)가 형성된 집진부재(52)와 접지된 집진부재(53)가 특정간격 이격되어 유동방향으로 수직으로 배치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격되어 있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다수의 돌출부(56)가 형성된 집진부재(52)와 접지된 집진부재(53)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전위차를 발생시켜 두 집진부재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먼지를 포집하게 된다. 이때 고전압이 인가된 집진부재(52)에 형성된 돌출부(56)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돌출부(56)와 접진된 집진부재(53)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의 세기가 어느 한계점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상기 돌출부(56)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개시되고, 이로 인해 먼지의 대전과 집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측정부(미도시)는 이러한 전위차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는 측정된 전위차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해당 채널 유로를 차단하도록 유동차단장치(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는 전위차 외에, 두 집진 부재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전위차와 전류를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보조집진장치(50)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4의 보조집진장치(50)는 가스흐름 방향으로 수직하게 2개의 접지된 집진부재(53)가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두 집진부재(53) 사이에는 다수 개의 방전극(5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극(54)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각 방전극(54)은 접지된 집진부재(53)에 형성된 타공의 중심에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두 접지된 집진부재(53) 사이의 공간에 방전극(54)이 배치되기 때문에 고전압이 방전극(54)에 인가되었을 경우, 먼지를 대전시키기에 충분한 코로나 방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집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의 구성과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15의 보조집진장치(50)는 도 14의 보조집진장치(50)에서 접지된 집진부재(53)가 1열 더 추가된 상태이며, 방전극(54)도 1열이 추가된 구성이다. 즉, 3개의 접지된 집진부재(53)가 가스흐름방향에 수직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었고, 마주보는 상기 접지된 집진부재(53)사이에 방전극(54) 1열이 배치되어 있다. 도 15의 보조집진장치(50)는 체류시간 증가로 인해 코로나 방전 효과가 증가하고 집진면적도 증가하기 때문에 도 14의 보조집진장치(50)에 비해 높은 집진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의 구성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는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도 16에서는 고전압 발생장치(61)와 각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 사이에 고전압 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을 통해 각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에 추타를 실시하는 방법은, 첫 번째 채널의 유동차단장치(50)는 닫힌 상태로, 고전압 스위치(62)는 고전압 인가가 차단된 상태에서 첫 번째 채널의 보조집진장치(50)에 추타를 실시한 후, 고전압 스위치(62)를 작동하여 다시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복구시키고, 유동차단장치(50)는 열린 상태로 복구하는 순서를 따른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각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의 추타를 모두 실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의 구성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서 보조집진장치(50)와 유동차단장치(30)는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도 17에서는 고전압 발생장치(61)와 각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 사이에 고전압 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즉,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와 보조집진장치(50) 구성만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 추타 방식과 순서도 상기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 추타 방식과 순서와 동일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에서 보조집진장치(50)의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52)와 접지된 집진부재(53)에 형성된 타공(57)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 12에 도시된 제7실시예의 각 채널별 보조집진장치(50)는 두 개의 집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처리가스 흐름 방향으로 전단에 위치한 집진부재(5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후단에 위치한 집진부재(53)는 접지되어 있다. 단일 채널에 위치한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52)는 3×3 형태의 타공(57)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접지된 집진부재(53)는 4×4 형태의 타공(57) 배열을 이룬다. 가스 흐름 방향인 정면에서 보았을 때, 두 집진부재(52, 53)에 형성된 타공의 배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접지된 집진부재(53)에 형성된 각 타공(57)의 중심점은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52)에 형성된 타공(57)의 중심점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데, 도 18에서는 접지된 집진부재(53)에 형성된 각 타공(57)의 중심점이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52)에 형성된 타공(57)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도록 배치되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집진부재(52, 53)에서의 타공(57)의 형상과 배치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될 뿐이며, 본 발명의 집진부재(52, 53)에 형성된 타공(57)은 다양한 형상과 각 집진부재(52, 53)에서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를 이용한 집진방법은, 상기 집진부(24)에서 유동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집진유닛(22)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11); 상기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20) 및 방전극(21)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20)과 방전극(21)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1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13);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21); 상기 집진유닛(22)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20) 및 방전극(21)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20)과 방전극(21)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2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11, S12, S13 또는 상기 S21, S22, S23과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해당되는 상기 집진유닛(22)의 집진판(20) 및 방전극(21)을 순차적으로 추타하여 상기 집진유닛(22)의 모든 집진판(20) 및 방전극(21)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100);의 순서와 내용을 따른다.
본 발명의 상기 제6실시예 내지 상기 제1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를 이용한 집진방법은,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11);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1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S13);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21);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2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S11, SS12, SS13 또는 상기 SS21, SS22, SS23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세 번재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에 대해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S100);의 순서와 내용을 따른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실시예 및 상기 제1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를 이용한 집진방법은,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11);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와 고전압 발생장치(6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1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13);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와 고전압 발생장치(61)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14);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15);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21);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와 고전압 발생장치(6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22);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23);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와 고전압 발생장치(61)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24);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25); 상기 ES11, ES12, ES13, ES14, ES14 또는 상기 ES21, ES22, ES23, ES24, ES24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30)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50)를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50)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ES100);의 순서와 내용을 따른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실시예 및 상기 제1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100)의 상기 보조집진장치(5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보조집진장치(50) 외에도 다양한 방식과 조합의 보조집진장치(5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에서 제시한 집진방법이 적용된다.
10:집진하우징
11:유입단
12:배출단
20:집진판
21:방전극
22:집진유닛
23:덕트
24:집진부
25:먼지
26:전기장
27:공기분자 이온
30:유동차단장치
40:개폐수단
41:댐퍼
42:슬라이딩 도어
43:기체분사노즐
50:보조집진장치
51:격벽
52:보조집진장치 고전압 인가 집진부재
53:보조집진장치 접지 집진부재
54:보조집진장치 방전극
55:절연부재
56:돌출부
57:타공
61:고전압 발생장치
62:고전압 스위치
100:전기집진장치

Claims (10)

  1. 처리가스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처리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단과 후단에 전기집진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단을 갖는 집진기 하우징;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특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접지된 다수의 집진판과, 집진판과 집진판 사이에 위치하며 고전압이 인가된 방전극으로 구성되는 집진유닛;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집진 유닛으로 구성된 집진부; 및
    상기 집진 유닛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되, 상기 집진유닛을 통과하는 유동을 두 개 이상의 채널로 분리구획하고, 각 채널별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동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장치는 처리가스 흐름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상기 집진 유닛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형태로 보조집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처리가스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타공된 집진부재가 처리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집진부재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각 집진부재 선택적으로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마주보는 타공된 집진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방전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집진장치는,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상기 집진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타공된 집진부재가 처리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타공된 집진부재 사이에는 방전침이 구비된 방전극이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타공된 집진부재와 상기 방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부재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방전극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 3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는 독립적으로 고전압 발생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고전압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7. 제 3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집진장치에 연결된 고전압 발생장치를 통해 보조집진장치에 인가된전압 또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값을 바탕으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8. 제 1항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서 유동방향으로 맨 끝에 위치한 집진유닛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11);
    상기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 및 방전극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과 방전극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21);
    상기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집진판 및 방전극 중에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는 집진판과 방전극을 선택적으로 추타하여 먼지를 탈진하는 단계(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11, S12, S13 또는 상기 S21, S22, S23과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해당되는 상기 집진유닛의 집진판 및 방전극을 순차적으로 추타하여 상기 집진유닛의 모든 집진판 및 방전극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집진방법.
  9. 제 3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1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SS2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S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S23);
    상기 SS11, SS12, SS13 또는 상기 SS21, SS22, SS23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재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SS100);를 포함하는 집진방법.
  10. 제 3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1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1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1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14);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첫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15);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ES21);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ES22);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진하는 단계(ES23);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와 고전압 발생장치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ES24);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두 번째 채널의 유동 차단을 해지하여 정상화하는 단계(ES25);
    상기 ES11, ES12, ES13, ES14, ES14 또는 상기 ES21, ES22, ES23, ES24, ES24와 동일한 방법 및 순서로 상기 유동차단장치의 세 번째 채널부터 마지막 채널까지 각 채널에 대응되도록 구획된 보조집진장치를 순차적으로 탈진하여 구획된 모든 보조집진장치의 탈진을 완료하는 단계(ES100);를 포함하는 집진방법.


KR1020210176956A 2021-12-09 2021-12-10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KR20230088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56A KR20230088094A (ko) 2021-12-10 2021-12-10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PCT/KR2022/019965 WO2023106867A1 (ko) 2021-12-09 2022-12-08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56A KR20230088094A (ko) 2021-12-10 2021-12-10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94A true KR20230088094A (ko) 2023-06-19

Family

ID=8698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56A KR20230088094A (ko) 2021-12-09 2021-12-10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09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524A (en) 1974-01-04 1976-10-12 Senichi Masuda Electric dust collector apparatus
US3994704A (en) 1974-04-25 1976-11-30 Akira Shibuya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524A (en) 1974-01-04 1976-10-12 Senichi Masuda Electric dust collector apparatus
US3994704A (en) 1974-04-25 1976-11-30 Akira Shibuya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489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high efficiency
US4349359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EP1264091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the intake air of a gas turbine
US20080060522A1 (en) Electrostatic particulate separation system and device
US9550189B2 (en) Electronic fine dust separator
KR20130029221A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US8409327B2 (en) Control of grounded surface geometry in electrostatically enhanced fabric filters
KR20230088094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KR101287913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US423690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JP2872554B2 (ja) 電気集塵機
KR102661840B1 (ko) 호퍼 내 우회유로 차단이 가능한 전기집진기, 및 그 작동방법
CN108855616A (zh) 一种工业级电除尘式空气净化单元、装置和系统
WO2023106867A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법
US7377957B2 (en) Method and construction of filters and pre-filters for extending the life cycle of the filter bodies therein
KR20230088095A (ko) 유동차단장치를 갖는 전기집진기 및 그 작동방법
KR102282045B1 (ko) 함진농도에 따라 공급전압을 조절하는 에너지절감형 양방향전기집진장치
CN111905929B (zh) 宽比电阻及微细粉尘静电除尘器及其除尘电极的分布方法
EP0050172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CN117619576A (zh) 一种机车过滤装置及机车
RU2216478C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SU986458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электрофильтр
KR102015122B1 (ko) 오일미스트용 전기집진장치
JP2514411B2 (ja) 電気集麈装置の清掃方法
JPH07108189A (ja) 複合電気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