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08A -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 Google Patents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08A
KR20230088008A KR1020210176781A KR20210176781A KR20230088008A KR 20230088008 A KR20230088008 A KR 20230088008A KR 1020210176781 A KR1020210176781 A KR 1020210176781A KR 20210176781 A KR20210176781 A KR 20210176781A KR 20230088008 A KR20230088008 A KR 2023008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air
nozzle
depth contro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이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성 filed Critical 이태성
Priority to KR102021017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008A/ko
Publication of KR2023008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이식수술에서 사용하는 식모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바늘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바늘과 일체화된 깊이조절 가이드가 적용된 형태를 개시한다.
깊이조절 가이드는 바늘과 함께 노즐을 통과하여 돌출되고, 노즐 홀은 깊이조절 가이드 통과를 위한 노즐 하단 확장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의 모발이식수술에서 모낭은 식모기 바늘의 베벨부보다 깊이 장착되어 바늘이 딱딱한 피부 표피를 통과할 때, 모낭이 손상되지 않도록 시술한다.
결국 모낭 길이보다 베벨부의 길이만큼 바늘을 피부에 더 깊이 찔러넣게 된다. 이는 환자의 고통과 출혈을 증가시킨다.
깊이조절 가이드는 바늘이 삽이되는 깊이를 줄이고, 이후 식모기 노즐과 슬라이드 되어 상대적으로 식모기 심축이 전진하는 효과를 내어 모낭을 피부속으로 밀어넣어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환자 피부 속으로 찔러넣는 바늘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도 모낭이 피부속에 시술자가 의도한 깊이만큼 안착되는 것을 지원하도록 고안된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Hair transplantation needle channel with depth adjustment guide}
본 발명은 모발이식 수술용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이식을 위해 바늘을 삽입할 때,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가 있고, 노즐과 슬라이드 되어 작동되는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모발이식용 식모기(Implanter)는 두피의 발모영역으로부터 모발을 채취하여 이를 탈모된 다른 불모영역의 두피에 심어서 이식(transplant)하는 모발이식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장비이다.
통상의 식모기는 앞쪽에 달린 중공형의 바늘에 모낭을 끼우고 피부에 삽입시킨 후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손잡이와 체결된 바늘이 피부에서 빠져나오며 이때, 바늘 속에 들어있는 심축은 상대적으로 모낭을 두피 속에 머물러 있도록 작동한다. 관련 종래 기술은 <등록번호10-0417829 모발이식용 식모기(소멸)>, 또는 <등록번호10-0958727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시침채널을 가진 멀티형 식모기도 있다.<등록번호 10-2048492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이식기>
제10-0417829호 (모발이식용 식모기) 제10-0958727호 (모발이식용 식모기) 제10-2048492호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이식기) 제10-1232394호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제10-1806970호 (식모기)
식모기로 모발이식을 시행할 때, 바늘에 끼워지는 모낭은 통상적으로 바늘 끝의 날카로운 형태인 베벨 구간보다 안쪽으로 삽입한다. 이는 바늘이 환자의 두피에 삽입될 때, 모낭이 바늘에 의해 완전히 보호받지 못하고 일부라도 노출되어 있으면,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로 인해 바늘이 환자 두피속으로 삽입되는 길이는 모낭이 삽입되는 깊이에 비해 바늘의 베벨 길이(약2~4mm)만큼 더 깊이 삽입된다. 이는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출혈량의 증가를 유발한다. 종래에 바늘을 환자두피 속으로 노즐밖으로 노출된 길이보다 덜 찔러 넣기 위해 노즐에 깊이조절부재를 일체형으로 만든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등록번호 10-1232394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그러나 이 구조는 깊이조절부재와 노즐이 일체형의 형태로서 바늘을 환자두피에 덜 찔러넣은 단계 이후에, 노즐을 두피에 닿도록 밀어넣어 모낭이 완전히 두피속으로 삽입되도록 작동하지는 못한다.
또 다른 형태의 종래 기술로서, 노즐에 절결부를 형성시키고, 통상 노즐 끝과 일치하게 대기시키는 바늘 속 심축을 노즐보다 깊이 배치시켜 모낭이 노즐 끝보다 깊이 장착되도록하여 노즐 끝으로 돌출되는 바늘의 길이를 줄이고 환자 두피에 바늘이 삽입되는 깊이를 줄여주고, 이후에 후방 커버를 눌러 심축을 전진시킴으로써 모낭이 두피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작동시키는 형태가 개시된 바 있다. <등록번호 10-1806970 식모기> 그러나 이 구조는 심축을 노즐위치 대비 실제로 전진시키는 형태로서, 멀티형 식모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한편, 바늘 베벨의 형태는 바늘의 상단을 비스듬하게 연마하여 하단에 날카로운 끝이 형성되는데 이에 작은 노즐 구멍을 바늘이 통과할 때 , 노즐 하단과 바늘 베벨 끝이 충돌하여 작동불능 고장이 발생하거나 바늘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장은 복수개의 시침채널이 돌아가면서 하나의 노즐 구멍을 통과해야하는 멀티형 식모기에서는 훨씬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식모기의 바늘은 통상적으로 수지류, 혹은 금속류의 바늘 허브와 접합된 상태로 제작된다.
시술자는 식모기의 뒷캡를 검지로 누르면서 엄지와 중지로 손잡이를 잡고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노즐밖으로 돌출된 바늘을 노즐 속으로 후퇴시키게 되는데, 바늘 허브는 손잡이와 연동될 수 있도록 직접 체결되거나 혹은 다른 부품을 거쳐 연동되는 등의 방법으로 움직임이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 바늘 허브에 긴 바 형태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바늘 하단에 밀착 혹은 접합시켜 바늘과 함께 노즐 밖으로 일부 돌출 되도록 구성하여, 이 바늘 허브 돌기가 바늘이 환자두피 속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줄여주는 깊이조절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바늘이 두피에 삽입될 때, 노즐 끝이 두피에 닿기 전에 깊이조절 가이드가 먼저 두피에 닿아 삽입을 멈추게 작동하는 것이다.
이후, 시술자는 식모기 뒷캡을 검지로 누르면서 엄지와 중지로 손잡이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바늘 일체로 움직이는 깊이조절 가이드는 일시 두피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어 노즐이 두피로 하강하는데 바늘 속에 있는 심축도 노즐과 움직임이 연동상태로 하강하여 모낭을 두피속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주게 된다.
노즐이 두피와 맞닿은 이후에는 손잡이와 연동된 바늘이 상승하여 두피밖으로 완전히 빠져나오고, 식모기를 들어올려 두피에서 떼면 식모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노즐 홀의 하단은 깊이조절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더 확장된 상태로 개방되어 구성된다.
식모기 바늘을 환자 두피에 찔러 넣을 때, 바늘의 날카로운 베벨 형상의 길이만큼 더 깊이 찔러 넣음에 따라 환자의 가중되는 통증과 출혈로 인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는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바늘이 두피의 가장 단단한 표피를 천공한 이후에는 모낭을 두피속으로 밀어 넣더라도 모낭의 손상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본 발명으로 인해 환자의 통증과 출혈을 감소시키면서도 의도된 깊이로 모낭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 노즐 홀의 하단은 더 확장된 상태로 개방되어 바늘의 날카로운 끝과 직접 만나지 않고, 쉽게 슬라이드가 일어날 수 있는 깊이조절 가이드와 만나게 되므로 충돌로 인한 작동불능이나 바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2는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에서, 심축의 위치와 장착된 모낭의 위치 및 노즐 상단 절개부를 표시한 상세도이다.
도4는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에서, 식모기에 교체형 부품으로 장착되는 바늘과 바늘허브 및 깊이조절 가이드의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적용된 식모기로 환자 피부에 식모할 때, 깊이조절 가이드의 역할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단발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7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단발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단발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에서, 식모기에 교체형 부품으로 장착되는 바늘과 바늘허브 및 깊이조절 가이드의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단발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실시예에서, 바늘이 노즐 홀을 통과하는 순간 바늘 베벨 끝단과 노즐 하단 확장홀간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단발형 식모기에서 적용된 실시예에서, 바늘이 노즐 홀을 통과하는 순간 바늘 베벨 끝단과 노즐 하단 확장홀간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 도2, 도4, 도6, 도7, 도8은 본 발명의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가 멀티형 식모기와 단발형 식모기 등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11, 111)는 바늘이 식모기의 손잡이(50, 150)와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바늘(30)과 접합되는 바늘허브(10, 11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하되 접합 혹은 조립으로 일체화된 긴 바 형태 구성된다.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11, 111)은 바늘(30, 130)의 하단과 밀착된 상태로 노즐 하단 확장홀(21, 1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11, 111)와 바늘(30, 130)은 별도로 접합될 수 있다.
도3, 도9를 참조하면, 심축(40, 140)은 노즐(20, 120) 끝단을 기준으로 전후3mm이내에 위치하고 있고, 깊이조절 가이드(11, 111)은 대기 상태에서 심축보다 더 전진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대기 상태라는 것은 통상의 식모기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스프링에 의해 바늘이 노즐 밖으로 돌출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 5은 환자의 피부에 식모할 때, 깊이조절 가이드(11, 111)의 역할을 도시하였다.
통상의 식모기는 바늘(30, 130)을 피부에 찔러넣을 때, 노즐(20, 120) 끝이 환자피부와 맞닿을 때까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나, 깊이조절 가이드(11, 111)가 구성될 때, 상기 깊이 조절가이드에 의해 바늘 삽입 깊이가 감소된다.
이후 시술자의 식모동작은 검지로 뒷캡(60, 160)을 누르면서 엄지와 중지로 손잡이(50, 150)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먼저 노즐(20, 120)이 피부에 맞닿을 때까지 전진하게 된다. 심축(40, 140)은 통상의 식모기 구조상 식모동작시 노즐과 연동하여 움직이므로, 노즐(20, 120) 전진 시 심축(40, 140)도 전진하여 바늘(30, 130) 속에 장착된 모낭(b, c)을 피부속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후 바늘(30, 130)은 피부속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고, 식모기를 들어올리면 모낭(b, c)은 피부속에 남고 심축(40, 140)과 모낭(b, c)도 떨어져 식모가 완료된다.
도10, 도11을 참조하면, 노즐에 바늘이 돌출되는 홀은 통상 식모기는 원의 형태로 구성되나 본 깊이조절 가이드(11, 111)가 적용될 때는,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 돌출을 위해 노즐(20) 하단에 노즐 하단 확장홀(21, 121)이 구성된다.
통상 식모기는 바늘(30, 130)의 바늘 베벨 끝단(31, 131)은 노즐 홀 하단을 향하도록 구성되는데, 바늘이 좁은 노즐 홀을 통과할 때, 노즐 하단과 충돌하여 작동불량이나 바늘 손상 등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구조는 노즐 하단 확장홀(21, 121)이 구성됨에 따라 바늘 베벨 끝단(31, 131)과 노즐 홀간 거리가 연장되어 고장 발생 가능성을 낮추도록 구성된다.
한편, 단발형 식모기의 경우 바늘(130)에 모낭(c)을 장착할 때, 노즐 밖으로 돌출된 상태인 하나의 바늘에 모낭을 장착시키고 피부에 삽입하므로, 모낭이 노즐 홀을 통과하지 않으나, 멀티형 식모기의 경우 노즐 밖으로 돌출된 하나의 바늘 이외 바늘은 노즐 밖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모낭을 장착하고, 이후 회전하면서 바늘이 하나씩 노즐 홀을 통해 돌출되므로, 장착된 모낭도 노즐 홀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바늘의 슬릿을 통해 바늘 밖으로 나와있는 머릿카락이나 모낭에 달린 피부등이 노즐 홀 상단과 간섭될 가능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즐 상단에 노즐 상단 절개부(22)를 더 구성하여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조인 깊이조절 가이드(11, 111)는 바늘(30, 130)과 일체로 연동되어 작동하며, 노즐 하단 확장홀(21, 121)을 수반하는 구조로서 도시된 두 실시예 이외에도 통상의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10: 바늘허브 11, 111 : 깊이조절 가이드
20, 120: 노즐부
21, 121: 노즐 하단 확장홀 22 : 노즐 상단 절개부
30, 130: 바늘 31, 131: 바늘 베벨 끝단
40, 140: 심축 50, 150: 손잡이
60, 160: 뒷캡
b, c : 모낭

Claims (4)

  1. 모발이식 수술에 사용하는 식모기에 조립되고 교체가능한 시침채널로서,
    모낭을 끼워 사용하는 중공 형의 바늘(30, 130)과;
    상기 주사바늘에 결합된 바늘 허브(10, 110);
    상기 바늘 허브에 일체화되어 제작되거나 따로 제작되어 조립, 접합 등으로 일체화된 깊이조절 가이드(11, 111);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가 식모기에 조립될때, 바늘(30, 130)이 돌출되는 노즐(20, 120) 홀이 하단에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가 바늘과 함께 통과하기 위해 구성된 노즐 하단 확장 홀(21, 12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모발이식수술용 시침채널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바늘이 장착된 형태의 식모기에 사용되기 위해,
    바늘 허브가 부채꼴의 형태를 띄는 모발이식수술용 시침채널
  3.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 바늘이 장착된 형태의 식모기에 사용되기 위해,
    바늘 허브에 심축 및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심축 및 스프링이 장착된 형태의 모발이식수술용 시침채널
  4. 상기 깊이조절 가이드가 노즐을 통과하여 밖으로 돌출 될 수 있도록, 노즐 홀하단에 노즐 하단 확장 홀(21, 121)이 구성된 형태의 식모기 노즐
KR1020210176781A 2021-12-10 2021-12-10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KR20230088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81A KR20230088008A (ko) 2021-12-10 2021-12-10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81A KR20230088008A (ko) 2021-12-10 2021-12-10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08A true KR20230088008A (ko) 2023-06-19

Family

ID=8698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781A KR20230088008A (ko) 2021-12-10 2021-12-10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00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29B1 (ko) 1999-08-05 2004-02-05 김정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958727B1 (ko)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1232394B1 (ko) 2011-01-17 2013-02-12 황성주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1806970B1 (ko) 2016-03-25 2018-01-18 박재현 식모기
KR102048492B1 (ko) 2018-01-24 2019-11-26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29B1 (ko) 1999-08-05 2004-02-05 김정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958727B1 (ko)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1232394B1 (ko) 2011-01-17 2013-02-12 황성주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1806970B1 (ko) 2016-03-25 2018-01-18 박재현 식모기
KR102048492B1 (ko) 2018-01-24 2019-11-26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489B1 (ko) 카테터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1179992B (zh) 手指激活的刺血针装置
CN100482180C (zh) 手术刀保险手柄
EP1865849B1 (en) Push activation lancet device
EP4010057A1 (en) Midline catheter placement device
BR112018008217B1 (pt) Insersor de lente intraocular
US20130226214A1 (en) Hair implanter with improved structure of needle
KR20150102952A (ko)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JPWO2006038340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CN101151062A (zh) 用于插入植入物的操作器
RU2533735C2 (ru) Безопасный узел иглы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CN101141994A (zh) 用于插入植入物的操作器
JPH0838489A (ja) ロツクアウト機構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ラーカートリツジ
US10383655B2 (en) Wire-guided surgical instrument
KR20030001073A (ko) 카테터용 가이드 와이어 삽입장치
US10517640B2 (en) Micro-implanter for hair follicle
KR101806970B1 (ko) 식모기
KR20170110357A (ko) 식모기
EP3886962A1 (en) Extended dwell and midline catheters and related methods
JPWO2007145204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WO2017214110A1 (en) Needle safety clip, systems and methods
JP2000139929A (ja) 植毛方法及びその植毛装置
KR102266438B1 (ko) 자동으로 바늘이 후진하는 식모기
KR20230088008A (ko)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진 모발이식 시침채널
KR20230087992A (ko) 깊이조절을 위한 가이드가 노즐과 슬라이드 작동되는 모발이식수술용 식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