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778A -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778A
KR20230087778A KR1020210176303A KR20210176303A KR20230087778A KR 20230087778 A KR20230087778 A KR 20230087778A KR 1020210176303 A KR1020210176303 A KR 1020210176303A KR 20210176303 A KR20210176303 A KR 20210176303A KR 20230087778 A KR20230087778 A KR 2023008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belt
damage
signal
portable
diagnosi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957B1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21017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단 대상인 와이어가 내입된 슬링벨트 상에 배치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하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링벨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일부를 자화하는 자기부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슬링벨트의 자화로 인해 생성된 누설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을 판정 및/또는 검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Portable Sling Belt Damage Diagnosis Apparatus}
본 발명은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링벨트의 손상을 현장에서 손쉽게 측정하고 교체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할 때는 화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감아서 들어올리기 위한 화물 운반용 슬링벨트(Sling Belt)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슬링벨트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와 폭방향으로 너비를 가진 벨트 형태로서, 일정길이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크레인 등의 후크에 걸림되는 원형의 매듭 고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링벨트는 몸체부가 일정한 패턴으로 직조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틸와이어(Steel wire)가 내입되어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슬링벨트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스틸와이어의 내구성 저하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하는 도중 슬링벨트가 완전히 끊어지면 화물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슬링벨트의 손상 여부를 현장에서 점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40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링벨트의 손상을 현장에서 손쉽게 측정하고 교체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누설자속을 이용하여 비파괴 방식으로 슬링벨트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단 대상인 와이어가 내입된 슬링벨트 상에 배치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하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링벨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일부를 자화하는 자기부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슬링벨트의 자화로 인해 생성된 누설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을 판정 및/또는 검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링벨트 검사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링벨트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를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면에 결합된 롤러 프레임; 및 상기 롤러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재는, 일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상기 원통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디스크; 상기 복수의 디스크 사이에서 상기 원통의 외면을 따라 권회된 여자 코일; 상기 원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된 코어; 상기 복수의 디스크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 각각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은, 중심축을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에 일치시켜 상기 와이어와 상하로 나열되도록 상기 슬링벨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자기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판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에 배치된 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되고, 감응 방향을 서로 상이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및 제2 홀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홀 소자는, 상기 와이어의 반경 방향의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정된 감응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정된 감응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재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원 자속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원 자속 신호로부터 효과적으로 손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 가공 방법으로 상기 원 자속 신호를 가공하여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손상판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와,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이용하여 손상 유형별 인덱스 패턴을 분석한 후 분석된 인덱스 패턴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링벨트의 손상을 현장에서 손쉽게 측정하고 교체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하고, 누설자속을 이용한 비파괴 방식으로 슬링벨트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슬링벨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에서 취득된 정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에서 취득된 손상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슬링벨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에서 취득된 정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에서 취득된 손상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는 하우징부(10), 자기부재(20), 센서부재(58) 및 신호처리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하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진단 대상인 와이어(1)가 내입된 슬링벨트(10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부재(20)는 상기 슬링벨트(100)의 일부를 자화하고, 상기 슬링벨트(100)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기부재(20)는 상기 슬링벨트(100)의 진단을 위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체(영구자석, 전자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부재(20)는 일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21), 상기 원통(21)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디스크(22), 상기 복수의 디스크(22) 사이에서 상기 원통(21)의 외면을 따라 권회된 여자 코일(24), 상기 원통(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21)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된 코어(26), 상기 복수의 디스크(22)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31F, 31R),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31F, 31R) 각각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구조체(32F, 32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부재(20)는 상기 여자 코일(24)의 중심축을 상기 와이어(1)의 길이 방향에 일치시켜 상기 여자 코일(24)이 상기 와이어(1)와 상하로 나열되도록 상기 슬링벨트(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크(22) 각각의 중심에는 상기 원통(21)의 중심 구멍(23)과 연통하는 통과 구멍(22a)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코어(26)는 상기 원통(21)의 중심 구멍(23) 및 양측의 디스크(22)의 통과 구멍(22a)을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크(22) 각각의 외부로 밀려나오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여자 코일(24)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코어(26)가 자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구조체(31F, 31R)는 일 실시예로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측면이 상기 디스크(22)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22)에 고정되는 상기 제1 지지구조체(31F, 31R)의 측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31a)에 상기 코어(26)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구조체(31F, 31R)는 상기 원통(21)의 양측으로부터 하향(슬링벨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그 선단(하면)에 상기 제2 지지구조체(32F, 32R)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지지구조체(32F, 32R)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방향, 즉 슬링벨트(100)의 일면을 따르는 확장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재(58)는 상기 자기부재(20)의 하부, 즉 상기 제2 지지구조체(32F, 32R)의 대향면에 결합된 판상의 지지부재(60), 및 상기 지지부재(60) 내에 배치된 홀 센서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부(61)는 상기 와이어(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홀 소자(63, 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홀 소자(63, 62)는 자속 밀도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 소자(63, 62) 각각은 동일한 소자이지만 감응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소자(62)는 상기 와이어(1)의 반경(수직) 방향의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정된 감응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홀 소자(63)는 상기 와이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감응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제1 및 제2 홀 소자(63, 62)가 교대로 나열된 상기 홀 센서부(61)는 상기 와이어(1)에 손상이 존재하면, 상기 와이어(1)를 지나는 자속에 혼란이 발생하고, 일부의 자속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이러한, 누설 자속은 상기 와이어(1)의 반경 방향을 향하는 성분을 많이 포함하므로, 상기 와이어(1)의 반경 방향으로 감응 방향을 향하게 된 상기 제1홀 소자(62)는 상기 신호처리부(80)로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는 상기 홀 센서부(61)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슬링벨트(100)의 손상의 유무 및 그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슬링벨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감응 방향을 향하게 된 상기 제2 홀 소자(63)는 상기 슬링벨트(100)의 주위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자속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홀 소자(63)는 상기 슬링벨트(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의 이동 방향이 상기 슬링벨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와 상기 제2 홀 소자(63) 사이의 거리는, 복수개의 상기 제2 홀 소자(63) 각각이 서로 상이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1)에 가까운 상기 제2 홀 소자(63)는 상대적으로 큰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와이어(1)에 먼 상기 제2 홀 소자(63)는 상대적으로 작은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제2 홀 소자(63)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슬링벨트(100)의 상부에서 상기 와이어(1)를 따르는 이동 경로를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제2 홀 소자(63) 중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홀 소자(63)로부터 감지 신호가 가장 크게 출력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보다 안정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홀 소자(62, 63) 각각은 실시 형태에 따라 평판형 센서 구조체 또는 빔형 구조체를 포함하여10채널 또는 3채널로 구성될 수 있고, 광학 센서를 활용하여 인코더(encoder)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센서부재(58)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원 자속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처리부(80)는 로우패스(Low-Pass) 필터링 및/또는 오프셋(Offset) 보정을 통한 신호 처리로 상기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원 자속 신호로부터 효과적으로 손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 가공 방법으로 상기 원 자속 신호를 가공하여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처리부(80)는 HT(Hilbert Transform) 기반 엔벨로프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원 자속 신호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변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손상판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링벨트(100)의 손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변환 신호의 파형의 피크(peak)값을 상기 손상판정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피크값이 상기 손상판정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손상으로 판정하고, 상기 피크값이 상기 손상판정 기준값 이하일 경우 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슬링벨트(100)의 정상 부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신호를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슬링벨트(100)의 손상 부분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여 상기 슬링벨트(100)의 손상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와,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이용하여 손상 유형별 인덱스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인덱스 패턴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처리부(80)는 다채널 신호처리보드와 데이터수집장치(DAQ)를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정전압을 상기 홀 센서부(61)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다중 케이블 사용 및 케이블 길이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고, 미세한 균열의 오진단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홀 센서부(61)에 상기 데이터수집장치(DAQ)를 결합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80)는 신호의 노이즈를 줄이고자 상기 데이터수집장치(DAQ)에서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상기 홀 센서부(61)에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데이터수집장치(DAQ)로 보내도록 설정된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링벨트(100)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10)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롤러부(51, 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51, 52)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하부면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구조체(32F, 32R) 각각의 단부면에 결합된 롤러 프레임(51), 및 상기 롤러 프레임(5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링벨트의 손상을 현장에서 손쉽게 측정하고 교체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하고, 누설자속을 이용한 비파괴 방식으로 슬링벨트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부
20: 자기부재
58: 센서부재
80: 신호처리부
100: 슬링벨트

Claims (8)

  1. 진단 대상인 와이어가 내입된 슬링벨트 상에 배치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하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링벨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일부를 자화하는 자기부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슬링벨트의 자화로 인해 생성된 누설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을 판정 및/또는 검출하는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벨트 검사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링벨트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를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면에 결합된 롤러 프레임; 및
    상기 롤러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재는,
    일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상기 원통의 양단에 결합된 복수의 디스크;
    상기 복수의 디스크 사이에서 상기 원통의 외면을 따라 권회된 여자 코일;
    상기 원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된 코어;
    상기 복수의 디스크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구조체 각각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구조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은,
    중심축을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에 일치시켜 상기 와이어와 상하로 나열되도록 상기 슬링벨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자기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판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에 배치된 홀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되고, 감응 방향을 서로 상이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및 제2 홀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홀 소자는,
    상기 와이어의 반경 방향의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정된 감응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자속에 감응하도록 설정된 감응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재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원 자속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원 자속 신호로부터 효과적으로 손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 가공 방법으로 상기 원 자속 신호를 가공하여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손상판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여 상기 슬링벨트의 손상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추출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손상 인덱스와, 상기 변환 신호의 손상 인덱스를 이용하여 손상 유형별 인덱스 패턴을 분석한 후 분석된 인덱스 패턴을 시각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KR1020210176303A 2021-12-10 2021-12-10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KR10262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03A KR102621957B1 (ko) 2021-12-10 2021-12-10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03A KR102621957B1 (ko) 2021-12-10 2021-12-10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78A true KR20230087778A (ko) 2023-06-19
KR102621957B1 KR102621957B1 (ko) 2024-01-08

Family

ID=8698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03A KR102621957B1 (ko) 2021-12-10 2021-12-10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806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내부의 스틸코드 파선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JP2004077426A (ja) * 2002-08-22 2004-03-11 Nippon Steel Corp 駆動用ベルトの欠陥検査方法
KR101782401B1 (ko) 2016-12-30 2017-10-23 주식회사 주영산업 고하중 화물운반용 벨트슬링
KR20190089027A (ko) * 2016-12-01 2019-07-29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선상체의 손상 평가 방법 및 손상 평가 장치
KR101973067B1 (ko) * 2014-04-02 2019-08-16 허 마제스티 더 퀸 인 라이트 오브 캐나다 에즈 리프레젠티드 바이 더 미니스터 오브 내츄럴 리소시스 캐나다 합성 로프 또는 케이블의 분석 장치 및 그 용도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806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내부의 스틸코드 파선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JP2004077426A (ja) * 2002-08-22 2004-03-11 Nippon Steel Corp 駆動用ベルトの欠陥検査方法
KR101973067B1 (ko) * 2014-04-02 2019-08-16 허 마제스티 더 퀸 인 라이트 오브 캐나다 에즈 리프레젠티드 바이 더 미니스터 오브 내츄럴 리소시스 캐나다 합성 로프 또는 케이블의 분석 장치 및 그 용도의 방법
KR20190089027A (ko) * 2016-12-01 2019-07-29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선상체의 손상 평가 방법 및 손상 평가 장치
KR101782401B1 (ko) 2016-12-30 2017-10-23 주식회사 주영산업 고하중 화물운반용 벨트슬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957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069B1 (ko) 결함 측정 방법, 결함 측정 장치 및 검사 프로브
JP4741734B2 (ja) 磁気エネルギを用いてエレベータロープの劣化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847207B1 (en) ID-OD discrimination sensor concept for a magnetic flux leakage inspection tool
US9170234B2 (en) Magnetic sensor array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using the magnetic sensor array
CN106814131B (zh) 一种铁磁平面构件浅层损伤磁发射检测方法及磁发射检测系统
JP4894620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探傷装置
KR101192286B1 (ko) 와이어로프 결함 탐지장치
CN106290553A (zh) 一种新型检测钢丝绳缺陷的电磁传感器系统
JP2005154042A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US11016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damage to magnetic linear body
US11428668B2 (en) Probe for eddy current non-destructive testing
JP2008032575A (ja) 渦電流測定用プロ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探傷装置
JP2006189347A (ja) 探傷プローブ及び探傷装置
CN112997074A (zh) 磁性体检查装置和磁性体检查系统
JP2019168253A (ja) 磁性体検査システム、磁性体検査装置および磁性体検査方法
JP7081446B2 (ja) 磁性体検査装置および磁性体検査システム
CN107290424A (zh) 并排钢丝绳无损检测装置及方法
CN113784907B (zh) 钢丝绳检查系统和钢丝绳检查方法
CN107576720B (zh) 铁磁细长构件浅层损伤磁发射检测方法及磁发射检测系统
JP2019138703A (ja) 磁性体検査装置
KR20230087778A (ko) 포터블 슬링벨트 손상진단장치
KR101686329B1 (ko) 케이블 검사 장치 및 다채널 케이블 검사 장치
CN205861609U (zh) 一种新型检测钢丝绳缺陷的电磁传感器系统
JP4179149B2 (ja) ワイヤロープの磁気探傷装置および磁気探傷装置付滑車
US11480546B2 (en)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system,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device, and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