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716A - 전선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716A
KR20230087716A KR1020210176196A KR20210176196A KR20230087716A KR 20230087716 A KR20230087716 A KR 20230087716A KR 1020210176196 A KR1020210176196 A KR 1020210176196A KR 20210176196 A KR20210176196 A KR 20210176196A KR 20230087716 A KR20230087716 A KR 2023008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arranging
coupled
outer case
ar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482B1 (ko
Inventor
김태훈
이은아
이채영
최윤희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통과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선을 감거나 푸는 전선 정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선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정리장치{Electric wire arrangement tool}
본 발명은 전선을 감아 깔끔하게 정리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전선 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많이 이용하는 선풍기, 드라이기, 노트북 충전기 등의 제품들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지나가던 사람이 전선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집의 경우 반려동물이 전선의 피복을 벗겨 합선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을 필요한 만큼만 빼서 사용 가능한 전선 전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6530호(명칭: 전선 정리구, 공고일: 2002.05.24) 특허문헌 2)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7-0106702호(명칭: TV 전선 정리장치, 공개일: 2017.09.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지 않는 전선을 감아 보관 가능한 전선 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길이만큼 전선을 빼내어 사용 가능한 전선 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는, 전선 통과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선을 감거나 푸는 전선 정리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정리부(200)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정리부(2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 하측에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이격 배치되는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상기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를 연결하는 전선정리 바(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정리부(200)는 전선을 압박 고정하는 전선 체결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체결부(240)는 상기 전선 정리부(20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전선 끼움공(242-1)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2); 중앙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42)와 체결되어 상기 전선 끼움공(242-1)의 크기를 조절하는 체결조절 바(243); 상기 체결조절 바(243)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체결부(240)는 상기 손잡이부(244)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조절 바(243)에 전선이 감기는 것을 제한하는 전선 유입방지 립(2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유입방지 립(245)은 상기 손잡이부(244)의 단부에 절곡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는, 선 정리부에 사용되지 않는 선을 감아 보관 가능하므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감겨있는 전선이 외부 케이스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며 발생하는 합선 및 감전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선 정리부를 회전시키면 전선의 일측과 타측이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므로, 선 정리를 보다 빠르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가 외부 케이스와 전선 정리부로 분해된 것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의 전선 정리부에 전선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의 전선 체결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정리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가 외부 케이스와 전선 정리부로 분해된 것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의 전선 정리부에 전선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의 전선 체결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1000)는 전선 통과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선이 감기거나 풀리는 전선 정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선이 길게 늘어져 있을 경우 전선에 발이 걸려 사람이 넘어지는 사고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반려동물이 전선의 피복을 벗겨 합선 및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선 정리부(200)에서 전선을 감아 전선이 길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서 전선 정리부(200)에 감긴 전선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전선 정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하측에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이격 배치되는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와,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상기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를 연결하는 전선정리 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선정리 바(230)에 전선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선정리 바(230)를 회전시키면, 전선이 전선정리 바(230)에 감기며 정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선정리 바(230)의 회전은 상기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립(221)을 사용자가 돌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상기 전선정리 바(230)와 결합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돌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전선 정리부(200)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외부 케이스(100)와 전선 정리부(200)가 결합되어, 전선 정리부(200)에 감겨있는 전선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하측 단부에는 전선 통과구(110)가 형성되어, 전선 정리부(200) 회전시 전선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전선 통과구(110)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선 정리부(200)로 전선을 감은 후 외부 케이스(100)와 전선 정리부(200)를 결합하더라도 전선 통과구에 전선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도면 상에는 전선 통과구(110)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선 통과구(110)는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전선이 2개의 전선 통과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선 통과구(110)를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면과 전선의 마찰이 커질 경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선 통과구(110)를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면에는 테프론 코팅층, 고무 코팅층, 실리콘 코팅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전선과 전선 통과구(110)를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0)의 마찰을 최소화 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선 정리장치(1000)는 전선의 중앙부가 전선정리 바(230)에 감기며 전선이 정리되는 형태이므로, 전선정리 바(230) 회전 시 전선이 전선정리 바(230)에 감기기 위해서 전선이 전선정리 바(230)에 결합되어야 한다.
이때,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선형의 연결부재(고무줄, 끈) 등으로 전선을 전선정리 바(230)에 묶어 전선을 전성정리 바(230)에 결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연결부재를 통한 결합은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정리 바(230)에 전선을 압박 고정하는 전선 체결부(240)를 형성하여, 전선정리 바(230)에 전선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선 체결부(2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정리부(20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1)와,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전선 끼움공(242-1)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2)와, 중앙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42)와 체결되어 상기 전선 끼움공(242-1)의 크기를 조절하는 체결조절 바(243)와, 상기 체결조절 바(243)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선 끼움공(242-1)에 전선을 끼운 후, 사용자가 상기 체결조절 바(243)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플레이트(242)가 베이스 플레이트(241)와 가까워지며 전선 끼움공(242-1)에 끼워진 전선을 압박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전선 끼움공(242-1)이 체결조절 바(243)에 의해 2개로 분리된 것으로 되시되어 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241) 상에는 복수개의 격리 립이 형성되어 전선 끼움공(242-1)을 보다 많은 개수로 분리 형성 가능하다.
즉, 보다 많은 개수의 전선을 잡아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 체결부(240)는 상기 손잡이부(244)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조절 바(243)에 전선이 감기는 것을 제한하는 전선 유입방지 립(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선이 상기 체결조절 바(243)에 감길 경우, 상기 체결조절 바(243)를 회전시켜 전선 끼움공(24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감김과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손잡이부(244)에 가장자리에 전선 유입방지 립(245)을 절곡 결합하여, 전선이 체결조절 바(243)에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44)의 단부에 상기 전선 유입방지 립(245)을 절곡 결합할 지라도, 전선 유입방지 립(245)과 전선정리 바(23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전선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선정리 바(230)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 유입방지 립(245)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재(231)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외부 케이스
200 : 전선 정리부 210 : 상부 전선정리 몸체
220 : 하부 전선정리 몸체 230 : 전선정리 바
240 : 전선 체결부 241 : 베이스 플레이트
242-1 : 전선 끼움공 242-2 : 슬라이드 플레이트
243 : 체결조절 바 244 : 손잡이부
245 : 전선 유입방지 립

Claims (7)

  1. 전선 통과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선이 감기거나 풀리는 전선 정리부(200);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하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정리부(200)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정리부(2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
    하측에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이격 배치되는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
    상기 상부 전선정리 몸체(210)와 상기 하부 전선정리 몸체(220)를 연결하는 전선정리 바(230);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정리부(200)는 전선을 압박 고정하는 전선 체결부(240);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체결부(240)는 상기 전선 정리부(20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전선 끼움공(242-1)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2);
    중앙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1)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42)와 체결되어 상기 전선 끼움공(242-1)의 크기를 조절하는 체결조절 바(243);
    상기 체결조절 바(243)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44);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체결부(240)는 상기 손잡이부(244)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조절 바(243)에 전선이 감기는 것을 제한하는 전선 유입방지 립(245);을 포함하는, 전선 정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유입방지 립(245)은 상기 손잡이부(244)의 단부에 절곡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장치.
KR1020210176196A 2021-12-10 2021-12-10 전선 정리장치 KR10258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96A KR102585482B1 (ko) 2021-12-10 2021-12-10 전선 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96A KR102585482B1 (ko) 2021-12-10 2021-12-10 전선 정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16A true KR20230087716A (ko) 2023-06-19
KR102585482B1 KR102585482B1 (ko) 2023-10-05

Family

ID=8698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196A KR102585482B1 (ko) 2021-12-10 2021-12-10 전선 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75Y1 (ko) * 1982-12-14 1984-07-16 정문술 전선 권취함
KR100276530B1 (en) 1992-04-22 2000-12-15 Connector Systems Tech Nv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ody surrounding the connecting pins
KR200215924Y1 (ko) * 2000-09-27 2001-03-15 주식회사아이씨 테크 기기용 전선타래 보관 및 인출용 롤
KR20070099822A (ko) * 2006-04-05 2007-10-10 주식회사 서광 꼬임방지용 전선풀림장치
KR20110013859A (ko) * 2009-08-04 2011-02-10 이상현 휴대용 커넥터 케이블 인출입 수납장치
KR20170106702A (ko) 2016-03-14 2017-09-22 스프리오 주식회사 Tv 전선 정리장치
KR102148629B1 (ko) * 2020-03-20 2020-08-28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75Y1 (ko) * 1982-12-14 1984-07-16 정문술 전선 권취함
KR100276530B1 (en) 1992-04-22 2000-12-15 Connector Systems Tech Nv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ody surrounding the connecting pins
KR200215924Y1 (ko) * 2000-09-27 2001-03-15 주식회사아이씨 테크 기기용 전선타래 보관 및 인출용 롤
KR20070099822A (ko) * 2006-04-05 2007-10-10 주식회사 서광 꼬임방지용 전선풀림장치
KR20110013859A (ko) * 2009-08-04 2011-02-10 이상현 휴대용 커넥터 케이블 인출입 수납장치
KR20170106702A (ko) 2016-03-14 2017-09-22 스프리오 주식회사 Tv 전선 정리장치
KR102148629B1 (ko) * 2020-03-20 2020-08-28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82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049A1 (en) Wire fastening band
US7241163B1 (en) Cable restraint
US8201673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cord reel
US8544623B1 (en) Cord organizing system for hair shears
US8882016B1 (en) Cable and cord winding and storage system
US8091820B2 (en) Cable coiling apparatus
US6866218B2 (en) Wire winding box
US8402925B2 (en) Retractable animal leash
US8403247B2 (en) Slider case having cable retractor
WO2004062054A1 (en) Electric cable storage device
US9190824B2 (en) Cord reel
KR200394099Y1 (ko) 인출이 가능한 벽설치용 콘센트
US5560564A (en) Cord organizer
KR20230087716A (ko) 전선 정리장치
US20130221145A1 (en) Winding Spool for Stowage of Wires
US5931434A (en) Protector for remote control devices
KR101992568B1 (ko) 케이블 체적 적응형 자바라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KR101992567B1 (ko) 케이블 체적 적응형 바 타입 케이블 정리장치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US20040129523A1 (en) Electric cable storage device
KR20120005867U (ko) 전선의 정리 및 보호 고정구
KR200212260Y1 (ko) 전선 보관구
US11530111B2 (en) Cord management apparatus
JP3107467U (ja) 配線収納ボックス
KR101361835B1 (ko) 퍼머용 전기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