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519A -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519A
KR20230087519A KR1020237015097A KR20237015097A KR20230087519A KR 20230087519 A KR20230087519 A KR 20230087519A KR 1020237015097 A KR1020237015097 A KR 1020237015097A KR 20237015097 A KR20237015097 A KR 20237015097A KR 20230087519 A KR20230087519 A KR 2023008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output
broadcast
audio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정병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8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본 개시(disclosure)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콘텐츠 제공 장치와 무선 통신 기술(예컨대, 와이파이TM, 블루투스TM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최대 하나의 콘텐츠 제공 장치와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된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무선 통신 기술이 장치 간에 연결을 수립한 이후에서야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후에는 무선 브로드캐스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장치 간의 연결을 수립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콘텐츠 제공 장치들이 오디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더라도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수신하는 오디오 브로드 캐스트 신호들의 수신 강도가 서로 다르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하나의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만을 출력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가 수신한 여러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들 중에서 어떠한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써 제공하는지는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개시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채널들 중에서 부적절한 채널을 필터링하여 안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방송 채널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오디오 출력부;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수신 방송 채널들(received broadcast channels)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output candidate channel)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명칭,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명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와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 상기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 또는 수신 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n)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상기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고, 상기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거나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은 방송 채널은 상기 방송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선호도 또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정렬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의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정렬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누적 출력 시간, 출력 빈도 또는 출력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상기 누적 출력 시간이 길수록, 상기 출력 빈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상기 출력 시점이 최근일수록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채널 선택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선택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채널을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과 그것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가 오디오 콘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하지 않고도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없더라도 사용자에게 브로드캐스트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수신 품질이 불량하거나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방송 채널을 제외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브로드캐스팅 시스템(1)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403)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403)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405)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405)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브로드캐스팅 시스템(1)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브로드캐스팅 시스템(1)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장치(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contents broadcasting signal)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특히,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며, 콘텐츠 제공 장치(200)와 연결을 수립할 것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TV, 라디오 수신기, 휴대전화, 스마트폰, 무선 스피커, 무선 이어폰, 무선 헤드폰 등의 다양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동일한 채널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채널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음향 기기(100)는 헤드폰이나 넥 밴드형 이어폰과 같이 두 개의 오디오 출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각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할 수 있고, 이러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그룹은 마치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처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각각 하나의 오디오 출력부만을 포함하더라도, 이러한 두 개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 중에서 하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좌 채널 오디오를 출력하고, 나머지 하나는 우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우 채널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하며, 하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가 마스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기능하고, 나머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가 슬레이브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마스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슬레이브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마스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마스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방송 채널을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포함하며, 나아가 비디오 콘텐츠 또는 텍스트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라디오 기지국, 지상파 기지국, 방송 위성, 콘텐츠 데이터 서버, TV 등의 다양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프로세서(190), 통신부(110), 메모리(120), 오디오 출력부(130), 마이크로폰(140), 센서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디스플레이(170) 및 전원 공급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200)와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콘텐츠 제공 장치(200)와 페어링을 통해 연결을 수립한 이후에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콘텐츠 제공 장치(200)와 연결을 수립하지 않고도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콘텐츠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모뎀(communication modem)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라 칭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9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마이크로폰(140)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 센서부(150)에서 획득한 센서 데이터,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획득한 입력 신호 등을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진동판, 음향 코일 및 음향 코일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영구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음향 코일이 움직이게 되고, 음향 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며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은 음파를 전기적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에는 외부의 음파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터치 형식을 이용하거나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 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 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에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6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9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7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9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6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프로세서(190) 및 각 부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8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 단자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실장되는 크래들에 형성된 전원 단자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170) 또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를 처리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통신부(11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통신부(11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9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90)는 러닝 프로세서(미도시) 또는 메모리(12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직접 또는 외부 장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인공 지능 서버(미도시)의 러닝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하거나, 인공 지능 서버(미도시)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9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써의 커널형 무선 이어폰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에서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하며, 헤드폰, 넥 밴드형 이어폰, 커널형 이어폰, 개방형 이어폰, 골전도 이어폰, 스피커, TV, 라디오,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복수 개의 케이스(301, 302, 303, 305)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01, 302, 303, 305)는 결합하여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01)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2 케이스(302)는 사용자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착용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고, 제1 케이스(301)의 타측에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30)가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음향 통로(3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01)에 부품(예컨대, 오디오 출력부(130), 통신부(110))의 실장이 용이하도록 음향 통로(304)가 위치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별도의 케이스(303)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커널형으로서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돌출된 음향 통로(304)를 구비하고 음향 통로(304)의 외측에 사용자의 귀와 밀착되도록 이어팁이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케이스(301, 302, 303, 305)에는 사용자 입력부(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audio broadcast signals)을 수신한다(S401).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장치들(2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는, 예컨대 라디오 기지국과 같이, 수신자를 특정하지 않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하나의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만을 송신할 수도 있고,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오디오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오디오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에는 채널 명칭,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 콘텐츠의 명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는 실제 지리적 위치(좌표 등)를 의미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관념적인 위치 정보일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의 예시로는 "중앙 로비 TV", "천장 스피커", "입구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한다(S403).
프로세서(190)는 복수의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더라도 어떤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수신 강도가 미약할 수도 있고, 어떤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방송 채널일 수도 있으며, 어떤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채널일 수도 있다. 이에, 프로세서(190)는 수신한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출력 후보 채널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방송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채널들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와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가 저장되며,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 또는 수신 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었거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낮은 방송 채널은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와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방송 채널은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었으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낮은 방송 채널은 실시 예에 따라 그 취급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특정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라면 해당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특정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경우라면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낮더라도 해당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에 대하여는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이라면 해당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에 대하여는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S405).
프로세서(190)는 선택한 출력 후보 채널로 구성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채널 리스트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방송 채널들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선호도 또는 수신 신호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들을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한다(S407).
프로세서(190)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방송 채널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채널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경우 여러 출력 후보 채널들의 채널 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190)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출력 후보 채널이 정렬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와 연결된 경우라면, 프로세서(190)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한다(S409).
프로세서(190)는 마이크로폰(140)을 통하여 채널 선택 음성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채널을 선택하는 버튼 입력을 수신하거나,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입력을 획득함으로써,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채널 선택 음성은 방송 채널 리스트 안에서의 채널 번호(예컨대, 첫 번째 채널 또는 1번 채널 등), 출력 후보 채널의 채널 명칭(예컨대, AA 뉴스 채널 또는 안내 방송 채널 등),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예컨대, 중앙 로비 TV 또는 안내 방송 스피커 등), 출력 후보 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명칭(예컨대, AA 뉴스 또는 안내 방송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입력은 첫 번째 채널 선택 입력, 다음 채널 이동 입력 또는 이전 채널 이동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첫 번째 채널 선택 입력은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들 중에서 첫 번째 채널을 출력 채널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 채널 입력은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들 중에서 현재 선택된 출력 후보 채널의 다음 정렬 순서(또는 후순위)의 출력 후보 채널을 출력 채널로 설정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출력 채널이 마지막 채널인 상태에서의 다음 채널 입력은 첫 번째 채널을 출력 채널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전 채널 입력은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출력 후보 채널들 중에서 현재 선택된 출력 후보 채널의 이전 정렬 순서(또는 선순위)의 출력 후보 채널을 출력 채널로 설정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출력 채널이 첫 번째 채널인 상태에서의 이전 채널 입력은 마지막 채널을 출력 채널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태그 입력은 통신부(1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이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근거리 통신 태그에 저장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비록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로세서(19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 또는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첫 번째 채널(첫 번째로 채널 정보가 출력된 채널)을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하는 입력을 인가한 경우, 프로세서(190)는 첫 번째 채널을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마지막 채널(마지막으로 채널 정보가 출력된 채널)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입력을 인가한 경우, 프로세서(190)는 마지막 채널을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한다(S411).
프로세서(190)는 수신한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 중에서 선택된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오디오 출력부(13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와 연결된 경우라면, 프로세서(190)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들(steps)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한 사이클(cycle)만을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채널 스캔 모드로 동작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403)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501).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들에 대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고, 선호 채널 리스트라고 칭할 수도 있다.
단계(S501)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한다(S507).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채널이라는 점에서, 이를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면서, 해당 수신 방송 채널에 대하여 화이트리스트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S501)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503).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는 수신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S503)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다(S509).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수신 방송 채널은 수신 감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를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503)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505).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채널들에 대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고, 비선호 채널 리스트라고 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수신 방송 채널은 수신 품질이 충분하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비선호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05)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한다(S507).
수신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고,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방송 채널은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되기에 충분하다.
단계(S505)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다(S509).
수신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더라도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방송 채널이므로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되기에는 부적절하다.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 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403)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601).
본 단계(S601)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01)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601)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2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603).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수신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에 대하여는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완화할 수 있다.
단계(S603)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다(S611).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이라하더라도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보다 작다면, 이러한 채널은 수신 품질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90)는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 선호 채널임에도 불구하고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603)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한다(S609).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채널이며 수신 품질도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를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면서, 해당 수신 방송 채널에 대하여 화이트리스트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S601)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RSSI)가 제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605).
본 단계(S605)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03)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605)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다(S611).
프로세서(190)는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수신 방송 채널은 수신 감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를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605)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607).
본 단계(S607)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05)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607)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한다(S609).
수신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고,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방송 채널은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되기에 충분하다.
단계(S607)의 판단 결과, 수신 방송 채널이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 방송 채널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다(S611).
수신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더라도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방송 채널이므로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되기에는 부적절하다.
도 6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405)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들을 수신 신호 강도가 높은 순서대로(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S701).
출력 후보 채널들 사이의 정렬 순서는 채널 안내 순서, (임시적으로 부여되는) 채널 번호 또는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90)는 수신 신호 강도가 높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화이트리스트 태그가 추가된 출력 후보 채널들을 화이트리스트 태그가 추가되지 않은 출력 후보 채널들보다 선순위로 정렬한다(S703).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채널의 의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화이트리스트 태그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화이트리스트 태그가 추가된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하여 화이트리스트 태그가 추가되지 않은 출력 후보 채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수신 신호 감도보다 사용자 선호도를 우선하여 고려하는 실시 예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들을 정렬된 순서대로 방송 채널 리스트에 추가한다(S705).
일 실시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405)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별로 누적 출력 시간, 출력 빈도 또는 출력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한다(S801).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 각각에 대하여 누적 출력 시간, 출력 빈도 또는 출력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90)는 누적 출력 시간이 길수록, 출력 빈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출력 시점이 최근일수록 사용자 선호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들을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한다(S803).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출력 후보 채널들을 정렬된 순서대로 방송 채널 리스트에 추가한다(S805).
일 실시 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900)는 채널 명칭(911),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912),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913), 콘텐츠 종류(914) 등의 다양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1 화이트리스트 항목(921)은 채널 명칭(911)이 "시설 안내"이고, 제2 화이트리스트 항목(922)은 콘텐츠 종류(914)가 "뉴스"이고, 제3 화이트리스트 항목(923)은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912)이 "USER A's LG TV"이고, 제4 화이트리스트 항목(924)은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913)가 "인천 공항 제1 터미널 9번 게이트 앞"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각 시설의 안내 방송 채널은 제1 화이트리스트 항목(921)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고, 콘텐츠의 종류가 뉴스인 채널은 제2 화이트리스트 항목(922)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고, 명칭이 "USER A's LG TV"인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채널은 제3 화이트리스트 항목(923)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인천 공항 제1 터미널 9번 게이트 앞에 배치된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채널은 제4 화이트리스트 항목(924)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910)와 마찬가지로,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1000)는 채널 명칭(1011),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1012),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1013), 콘텐츠 종류(1014) 등의 다양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1 블랙리스트 항목(1021)은 채널 명칭(1011)이 "YY 홈쇼핑"이고, 제2 블랙리스트 항목(1022)은 콘텐츠 종류(1014)가 "광고"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YY 홈쇼핑" 채널은 제1 블랙리스트 항목(1021)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에서 제외할 수 있고, 콘텐츠의 종류가 광고인 채널은 제2 블랙리스트 항목(1022)에 기초하여 출력 후보 채널에서 제외할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1100)에는 4개의 게이트(1111, 1112, 1113, 1114)가 있다. 그리고, 실내 공간(1100)의 네 꼭짓점에 안내 스피커들(1121_1, 1121_2, 1121_3, 1121_4)이 배치되고, 실내 공간(1100)의 중앙에 중앙 TV(1122)가 배치되고, 남쪽 게이트(1113)에 디지털 사이니지(112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로봇(1124)은 실내 공간(1100) 내부에서 이동한다.
4 개의 안내 스피커(1121_1, 1121_2, 1121_3, 1121_4)는 동일한 방송을 출력하도록 하나의 안내 스피커 그룹(1121)으로 설정될 수 있고, 안내 스피커 그룹(1121)은 실내 공간(1100)의 시설 안내 방송을 음파로 출력하면서 시설 안내 방송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중앙 TV(1122)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뉴스 방송을 출력할 수 있고, 뉴스 방송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티(1123)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광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안내 로봇(1124)은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맞춤형 정보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사용자(114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를 착용한 상태로 실내 공간(1100) 내부에서 머무를 수 있고, 사용자(1140)는 광고 방송을 싫어하여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광고 방송을 추가하였다고 가정한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는 안내 스피커 그룹(1121), 중앙 TV(1122), 디시털 사이니지(1123) 및 안내 로봇(1124)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디지털 사이니지(1123)의 광고를 제외한 3개의 방송 채널만을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는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3개의 채널이 있습니다. 1번 채널은 시설 안내 방송입니다. 2번 채널은 중앙 TV의 뉴스입니다. 3번 채널은 안내 로봇 채널입니다."(1131)와 같이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14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에서 출력된 방송 채널 리스트에 기초하여 "중앙 TV 틀어줘."(1141)와 같은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는 사용자(1140)의 채널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중앙 TV(1122)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1140)는 "2번 채널 틀어줘." 또는 "뉴스 틀어줘."와 같은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중앙 TV(1122)의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1140)가 음성으로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114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130)에 구비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1140)는 무선 출력 장치(1130)를 통해 안내 스피커 그룹(1121), 중앙 TV(1122), 디시털 사이니지(1123) 또는 안내 로봇(1124)의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인식한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한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Claims (14)

  1.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수신 방송 채널들(received broadcast channels)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output candidate channel)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명칭,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명칭,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명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와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 상기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 또는 수신 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n)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 방송 채널들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선택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채널은 상기 출력 후보 채널로 선택하고, 상기 방송 채널 블랙리스트에 포함되거나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은 방송 채널은 상기 방송 후보 채널로 선택하지 않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선호도 또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정렬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의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정렬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누적 출력 시간, 출력 빈도 또는 출력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후보 채널에 대한 상기 누적 출력 시간이 길수록, 상기 출력 빈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상기 출력 시점이 최근일수록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높게 산출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채널 선택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선택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상기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채널을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방송 채널로 변경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13.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후보 채널 중에서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37015097A 2020-10-06 2020-10-06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87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559 WO2022075494A1 (ko) 2020-10-06 2020-10-06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519A true KR20230087519A (ko) 2023-06-16

Family

ID=8112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097A KR20230087519A (ko) 2020-10-06 2020-10-06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6262A1 (ko)
KR (1) KR20230087519A (ko)
WO (1) WO20220754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44B2 (en) * 2013-11-15 2017-01-10 Richard Postrel Method and system for pre and post processing of beacon ID signals
KR20170016693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76335B1 (ko) * 2015-09-18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정보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장치
KR101948863B1 (ko) * 2018-06-28 2019-02-15 이니그마(주) 메시지 전송채널 자동선택 및 메시지 전송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6262A1 (en) 2023-10-19
WO2022075494A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CN10648830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172168B2 (en)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US20170156038A1 (en) Device group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47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ighboring device
CN113169760B (zh) 无线短距离音频共享方法及电子设备
KR101917844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9830128B2 (en) Voice control device, vo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982041A (zh) 用于控制助听器的便携式终端及其方法
CN104811865B (zh) 音频输出方法、装置和系统
CN105681582A (zh) 一种控件颜色调整方法及终端
KR201600003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27104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dio feature of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100697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preference program notif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8028959A (zh) 用于控制通知事件的系统及其方法
EP3223537A1 (en) 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and content playback program
CN111615090A (zh) 蓝牙设备间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902686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20230024547A1 (en) Terminal for controlling wireless sound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10891227B (zh) 基于环境参数控制听力装置的方法、相关的附件装置和相关的听力系统
US20230336262A1 (en)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udio content, and method therefor
JP2010026215A (ja) 再生装置
US20160182701A1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69002B1 (ko) 개인방송에서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실감 오디오 제공 방법
EP4130973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