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413A -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 전송/취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 전송/취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413A
KR20230087413A KR1020227041075A KR20227041075A KR20230087413A KR 20230087413 A KR20230087413 A KR 20230087413A KR 1020227041075 A KR1020227041075 A KR 1020227041075A KR 20227041075 A KR20227041075 A KR 20227041075A KR 20230087413 A KR20230087413 A KR 20230087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message
network
edrx
network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우빈 샤
보 다이
지엔순 아이
지장 마
인 가오
팅 루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8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개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적응적, 동적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SI) 취득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UE와 연관된 사용자 장비(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도출하는 단계;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미리 정의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인 동안에,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통해 UE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 전송/취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개괄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적응적 페이징 리소스 할당 및 시스템 정보(SI) 취득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페이징 메커니즘(paging mechanism)은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 필요성을 알리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페이징 프로세스 동안에 페이징 무선 리소스의 효율적인 할당은 이들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에 결정적이다. 무선 디바이스가 최소의 전력 소비로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신뢰성 높게 그리고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는 기능은, 특히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기계형 통신(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강화된 기계형 통신(eMTC,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와 같은 저전력 무선 단말의 경우에는 최적의 네트워크 성능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SI 취득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적응적으로 할당된 페이징 리소스를 사용하여 페이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UE와 연관된 사용자 장비(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도출하는 단계;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미리 정의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1 사전 결정된 시스템 정보(SI) 취득 기간 동안 네트워트 내의 UE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는 제1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처음부터 UE에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지시하는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포함함 ―; 및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 내에 업데이트된 SI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1 사전 결정된 시스템 정보(SI) 취득 기간 동안 네트워트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는 제1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처음부터 UE에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지시하는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포함함 ―; 및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 내에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송신된 업데이트된 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요소 및/또는 UE도 개시된다. 네트워크 요소 및/또는 UE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도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무선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에 무선 단말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및 이들 구현예의 다른 양태 및 대안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2는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기간을 보여준다.
도 3은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1AP) 또는 NG 애플리케이션 프로코톨(NGAP) 메시지를 사용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4는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 및 페이징 메시지를 사용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5는 XnAP 메시지를 사용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6은 F1AP 메시지를 사용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7은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8은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송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보여준다.
도 9는 RAN 페이징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에만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도 10은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에만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이들은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가 수행될 수 있는 몇 가지 예시적인 방식을 나타낸다. 그러나 설명하는 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다수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망라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NB-IoT/eMTC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예를 사용하여 특정 특징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개시하는 기술의 적용 가능성은 NB-IoT/eMTC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만 제한되지 않고 따라서 개시하는 구현예들은 임의의 무선 표준에 적용 가능하다. 부분별 표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만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며, 각 부분 내의 개시하는 실시형태 및 기술의 범위는 해당 부분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도 1은 코어 네트워크(110)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12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보여준다. 코어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2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114)을 더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1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기능은 도 1에 도시하지 않는다. RAN(120)은 다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BS)(122 및 124)을 더 포함한다. 기지국은 4G LTE의 적어도 하나의 eNB(evolved NodeB)(122), 또는 5G 뉴 라디오(NR)의 차세대 NodeB(gNB)(124), 또는 UMTS NodeB와 같은 기타 다른 유형의 신호 송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eNB(12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112)와 통신한다. eNB(122)와 gNB(124)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114)에 접속될 수 있다.
gNB(124)는 중앙 유닛(CU, central unit)(126) 및 적어도 하나의 분산 유닛(DU, distributed unit)(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U와 DU는 동일한 장소에 공존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장소들에 분리될 수도 있다. CU(126)와 DU(128)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 5G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eNB의 경우에는, 각각 ng-eNB-CU 및 ng-eNB-DU로 칭해지는, CU 및 적어도 하나의 DU로 유사하게 분할될 수도 있다. ng-eNB-CU와 ng-eNB-DU는 W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130)를 포함할 수 있다. UE(13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 통신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UE(130)는 모바일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NB-IoT 디바이스, MTC/eMTC 디바이스, 분산형 원격 센서 디바이스, 로드사이드 어시스턴트 장비, 및 데스트탑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UE(130)는 OTA(Over the Air)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리소스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TA 인터페이스는 다중 무선 캐리어(132 및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캐리어는 또한 앵커(anchor) 캐리어 또는 넌앵커(non-anchor) 캐리어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예컨대 2G, 3G, 4G/LTE, 또는 5G 셀룰터 통신 네트워크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응하여, 기지국(122 및 124)도 2G 기지국, 3G NodeB, LTE eNB, 또는 5G NR gNB로서 구현될 수 있다(도면에는 예시적으로 기지국(122)에 eNB가 라벨링되고 기지국(124)에는 gNB가 라벨링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기본 원리는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들 다른 무선 시스템은 Wi-Fi, 블루투스, ZigBee, 및 WiMa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UE는 코어 네트워크(110)에 의해,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활용하는 페이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위치 파악 및/또는 웨이크업될 수 있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 paging physical resource block),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 paging bandwidth part), 또는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 paging control-resource 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 각각은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이라고 칭해지는 자신의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페이징 캐리어마다 구성된 캐리어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협대역마다 구성된 협대역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마다 구성된 페이징 PRB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마다 구성된 BWP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마다 구성된 CORESET 고유의 페이징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이란 용어는 eMTC, NB-IoT, 및 NR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 임의의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UE, 특히 eMTC, NB-IoT 디바이스는 셀룰러 커버리지의 상이한 레벨 하에서 상이한 영역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UE는 사무실 건물, 창고, 식료품점, 또는 지하 주차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위치는 상이한 셀룰러 신호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커버리지 향상이 도입될 수 있고 상이한 커버리지 조건은 상이한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 coverage enhancement level)에 대응할 수 있다. 상이한 UE들은 상이한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에 있을 수 있고, 상이한 커버리지 향상 레벨의 UE들은 페이징을 위한 NPDCCH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최대 반복 수(예컨대, Rmax-페이징)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CEL 및 Rmax-페이징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UE에 대해 구성된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더 포함한다.
CEL 및 Rmax-페이징의 도입으로, 페이징 캐리어 및 페이징 협대역과 같은 페이징 리소스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1은 하위 CEL과 연관될 수 있고, 캐리어 2는 상위 CEL과 연관될 수 있다. 또는 캐리어 3은 하위 Rmax-페이징과 연관될 수 있고, 캐리어 4는 상위 Rmax-페이징과 연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리소스는 UE의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또 동적으로 배정 및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CEL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커버리지가 좋지 않는 UE의 경우, 전송 전력을 더 강하게 하여, 예컨대 더 강한 다운링크(DL) 전송 전력으로 구성된 무선 리소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더 큰 Rmax-페이징으로 구성된 무선 리소스는 더 큰 PDCCH 반복 수(Rmax-페이징)로 구성된 UE에 선택될 수 있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는 전술한 방식은 UE,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협상과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협상은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도 기초할 수 있다. 협상은 이들 네트워크 요소가 무선 리소스 선택에 관해 일관된 뷰(view)를 갖게 할 수 있다. 협상은 다양한 유형의 시그널링 또는 메시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 아이들(RRC_IDLE) 상태인 경우, UE 및/또는 BS는 신뢰할 수 있는 신호 전송을 훼손시키지 않고서 UE 전력 소비를 저감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페이징 캐리어 또는 페이징 협대역을 포함하는 최적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CEL, Rmax-페이징, 또는 DRX 사이클 기반의 캐리어 선택 기능(selection capability)을 협상/재협상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S1AP/NGAP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로, 협상된 CEL, Rmax-페이징, 또는 DRX 사이클 기반의 캐리어 선택 기능을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후속 절차에서, 기지국은 CEL 또는 Rmax-페이징, 및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캐리어 또는 페이징 협대역과 같은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UE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방송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리소스 제어 비활성(RRC_INACTIVE) 상태의 UE의 경우, 기지국은 CEL, Rmax-페이징, 및 DRX 사이클 기반의 캐리어 선택 기능과 같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취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AS(Access Stratus) 시그널링을 사용한 CEL 또는 Rmax-페이징 협상의 경우, 업데이트된 CEL 또는 Rmax-페이징은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해제 메시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그러나, UE가 RRC_INACTIVE 상태인 경우,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해제 메시지를 사용할 수 없고 그래서 CEL 또는 Rmax-페이징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기지국에서 업데이트되지 못할 수 있다.
페이징 프로세스 동안, 잠재적인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해 DRX Cycle(T)를 사용하여 UE가 웨이크업되어야 할 때를 결정한다. DRX Cycle(T)의 결정은 페이징을 위한 연장된 불연속 반복(eDRX,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UE 고유의 DRX, 및 RAN 페이징 사이클에 의존한다.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GWUS, Group Wake Up Signal) 리소스 선택을 위해 웨이크업 신호(WUS, Wake Up Signal) 지원 정보(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함)가 더 필요하다. UE가 RRC_INACTIVE 상태이고 예컨대 셀 재선택의 결과에 따라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타겟 기지국은 이들 파라미터를 알지 못한다. NB-CU과 NB-DU가 분리된 경우에도 NB-DU는 이들 파라미터를 알지 못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RRC_INACTIVE 상태의 UE에 대해 페이징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구현예 및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개시한다.
시스템 정보 취득
UE 전력 소비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E(130)와 기지국 사이에 활성 통신 세션이 없는 경우에, UE(130)는 RC_IDLE 또는 RRC_INACTIVE 상태와 같이 아이들 또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UE(130)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아이들 상태 동안 무선 리소스의 사용을 제한하면서 페이징 신호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UE(130)는 DRX 또는 eDRX를 포함하나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하여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에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비를 더욱 절감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장기 배터리 수명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페이징 기술에 대한 개선으로서 웨이크업 신호(WUS)가 도입될 수 있다. 페이징 모니터링에 있어서의 웨이크업 메커니즘은 NB-IoT(사물 인터넷) 및 eMTC(강화된 기계형 통신)과 같은 저전력 디바이스에 특히 유리하다.
DRX에서는, 리소스 모니터링 및 통신 활동이 DRX 사이클이라고 칭해지는 사이클에서 관리된다. 구체적으로, LTE 및 5G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신호가 무선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시스템 레벨에서, 무선 프레임은 순서대로 식별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예컨대 0부터 1023까지 재순환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로 넘버링된다. DRX 모드에서, UE는 배터리 소비를 줄이기 위해 슬리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UE는 주기적으로 페이징 기회(PO, Paging Occasion)를 모니터링한다. PO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 기회 세트를 포함하고, 페이징 DCI가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시간 슬롯(예컨대,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PO에 대해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하는 목적은 UE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과 함께 UE가 네트워크와 동기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취득하는 것이다. 특정 UE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가 없다면, UE는 슬립으로 복귀하고 다음 사이클에서 PO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이 사이클을 페이징 사이클, 또는 DRX 사이클이라고 한다. 페이징 사이클의 길이는 각 사이클 내의 무선 프레임의 수에 의해 주어지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페이징 사이클(102)을 보여준다.
eDRX에서, UE는 임의의 무선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웨이크업하기 전에 저전력 슬립 모드를 설정하고 이 모드를 유지할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eDRX 메커니즘은 UE, 특히 NB-IoT 또는 eMTC 디바이스가 배터리 소비를 더욱 절감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개선으로서, WUS 메커니즘은 물리층에서 동작하는 저전력 소비 하드웨어 회로부를 사용하여 배터리 수명 절약을 더욱 도울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정보(SI)가 시간마다 변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SI 변경에 대해 UE에 통보해야 한다. 시스템 정보는 eDRX 취득 기간 또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변경 기간과 같은 변경 기간 내에 동일한 콘텐츠로 수회 전송될 수 있다. 변경 기간 경계는 SFN mod m = 0이 되는 SFN 값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m은 변경 기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의 수이다. 예를 들어, m = modificationPeriodCoeff * defaultPagingCycle이다. 여기서 modificationPeriodCoeffdefaultPagingCycle는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통해 UE에 방송될 수 있다. 변경 기간 경계는 또한 하이퍼 시스템 프레임 번호(H-SFN)를 사용하여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SI 업데이트는 후술하는 2 단계 프로세스이다:
단계 1: 먼저 네트워크(예컨대, 기지국)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사용하여 제1 변경 기간에서의 SI 변경에 대해 UE에 통보한다. 이 기간은 변경 통지 기간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SI 변경 통지는 변경 통지 기간 내에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제1 변경 기간은 BCCH 변경 기간, 또는 eDRX 취득 기간일 수 있다.
단계 2: 다음 변경 기간에서, 네트워크가 업데이트된 Si를 UE에 전송한다. 이 기간은 업데이트 정보 기간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BCCH 변경 기간(210) 내에 SI 변경이 있다고 한다면, 기지국은 이 기간(210)에서 SI 변경이 있음을 지시하는 통보로서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UE에 송신한다. 다음 BCCH 변경 기간(212)에서,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UE에 송신하고, 이 기간(212)은 업데이트 정보 기간인 것으로 간주된다.
UE측에서, UE는 BCCH 변경 기간 또는 eDRX 취득 기간에 기초하여 SI 변경 지시를 모니터링한다(예컨대, 하이퍼 프레임의 수 = 페이징 eDRX 사이클의 최대 수로 표현됨). 예를 들어, 기지국은 SI 변경 지시자를 반송하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UE에 송신한다. 변경 기간의 각 유형마다 대응하는 SI 변경 지시자가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다음 BCCH 변경 기간에 SI 업데이트가 있음을 지시하는 BCCH SI 변경 지시자, 또는 다음 eDRX 취득 기간에 SI 업데이트가 있음을 지시하는 eDRX SI 변경 지시자가 있다. 이와 같이, SI 변경 지시자에 기초하여 UE는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할 대응하는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BCCH SI 변경 지시자 및 eDRX SI 변경 지시자는 페이징 메시지로 또는 DCI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UE는 다음 BCCH 변경 기간 및/또는 다음 eDRX 취득 기간에서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eDRX 취득 기간(230) 동안의 SI 변경이 예시로 포함되어 있고, 그래서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다음 eDRX 취득 기간(232)에 취득할 것을 UE에 지시하는 eDRX SI 변경 지시자를 반송하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송신한다.
UE가 RRC_INACTIVE 상태이면, 최대로 가능한 DRX 사이클은 BCCH 변경 기간보다 길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사이클(202)은 BCCH 변경 기간(210)보다 길다. 이에, SI 변경 통지가 송신되는 DRX 사이클에서 UE가 슬립핑 모드에 있게 된다면, 210에서 송신된 BCCH SI 변경 지시자를 UE가 놓칠 수 있기 때문에, 비동기화를 유발할 수 있다. 도 2에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eDRX SI 변경 지시자는 eDRX 취득 기간(230)에서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eDRX 취득 기간(230)이 최대 DRX 사이클보다 길기 때문에 또 SI 변경 통지가 eDRX 취득 기간(230)에 다수회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UE는 SI 통지를 검출할 수 있고, 다음 eDRX 취득 기간(232)에서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eDRX 취득 기간이 길기 때문에,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음 eDRX 취득 기간까지의 대기 시간이 너무 길고, 그래서 SI 업데이트가 오래 지연될 수 있다. 일례로 eMTC 디바이스의 경우, eMTC 취득 기간은 256 개의 하이퍼 프레임만큼 길 수 있다(약 43분),
본 개시내용에서, 새로운 SI 취득 기간 및 새로운 SI 취득 기간을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새로운 SI 취득 기간은 단기 eDRX 취득 기간이라고 칭해진다. 단기 eDRX 취득 기간은 BCCH 변경 기간보다는 길지만 eDRX 취득 기간보다는 짧게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더 상세한 것은 이하의 관련 실시형태에서 설명된다. 이런 식으로 UE가 SI 업데이트 통지를 놓치지 않으면서 eDRX 취득 기간을 사용하는 구현예보다 더욱 신속하게 SI 업데이트를 포착할 수 있도록 균형이 이루어진다.
실시형태의 간략한 설명
UE가 RRC_INACTIVE 상태일 때에 적응적, 동적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특정 예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배포하기 위한 메커니즘도 개시한다.
RRC_INACTIVE 상태의 UE에 대해 시스템 정보(SI) 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특정 예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실시형태 1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배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3을 참조한다. 이 절차에서, 코어 네트워크(MME/AMF)가 기지국에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UE 고유의 S1AP/NGAP 접속이 확립될 때에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단계 301: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통해 UE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다음:
·CEL;
·Rmax-페이징;
·페이징을 위한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 또는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예컨대, nB)마다 페이징 기회(PO)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캐리어(간결성을 위해 캐리어라고도 칭함)와 같은 특정 페이징 무선 리소스의 경우, 캐리어의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캐리어에 의해 지원되는 Rmax-페이징 또는 CEL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는 앵커(anchor) 캐리어 또는 넌앵커(non-anchor) 캐리어일 수 있다.
단계 302: UE 고유의 S1AP/NGAP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정보 엘리먼트(IE)에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임베딩함으로써, 메시지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반송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메시지는:
·최초 콘텍스트 셋업 요청;
·UE 콘텍스트 변경 요청;
·핸드오버 요청; 또는
·경로 전환 요청 수신확인, 중 하나일 수 있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CEL;
·Rmax-페이징;
·DRX 사이클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 또는
·페이징 eDRX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시에, 기지국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저장하고 S1AP/NGAP 접속이 확립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에 대해 통신 세션이 확립된다.
단계 303: RRC 접속 해제 메시지 메시지를 UE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UE가 RRC_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트리거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은 단계 302에서 수신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UE가 RRC_INACTIVE 상태 동안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대해 동기화된 뷰를 갖는 것을 보장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CEL; 또는
·Rmax-페이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기지국은 RRC 접속 해제 메시지에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포함시키지 않을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UE는 RRC_INACTIVE 상태 동안 이전에 구성된 CEL 및 Rmax-페이징을 사용한다.
UE가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처리한 후에, UE는 RCC_INACTIVE 상태로 이행한다.
단계 304: 기지국은 특정 페이징 캐리어 또는 특정 페이징 협대역과 같은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계 301에서 SIB 내에 송신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선택을 한다. 특히,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단계 303에서 포함되었으면, 단계 303에서 반송된 CEL 또는 Rmax-페이징이 사용되고; 그렇지 않다면 이전에 구성된 CEL 또는 Rmax-페이징이 사용된다.
UE측에서, UE는 페이징 DRX 사이클(T)이라고도 칭해지는 자신의 DRX 사이클을 결정해야 한다. 단계 302의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페이징 eDRX 정보를 포함하지만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RRC_INACTIVE 상태의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페이징 eDRX 정보로부터 취득)과 RAN 페이징 사이클 중 가장 짧은 것에 의해 결정된다. RAN 페이징 사이클은 예컨대 단계 301에서 SIB를 통해 UE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메시지가 예컨대 S1AP 페이징 또는 NGAP 페이징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시작되고, 페이징 메시지가 페이징 eDRX 사이클 IE를 포함하지만 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 IE에서 반송되는 페이징 eDRX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 또는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페이징 캐리어마다 구성된 캐리어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협대역마다 구성된 협대역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마다 구성된 페이징 PRB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마다 구성된 BWP 고유의 페이징 구성; 또는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마다 구성된 CORESET 고유의 페이징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2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4를 참조한다. 이 절차에서, UE는 기지국에 UE 고유의 CEL 또는 Rmax-페이징을 추정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기지국에 페이징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추정 후에,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예컨대, CEL 또는 Rmax-페이징)을, S1AP/NGAP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MME/AMF)에 포워드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단계 401: 기지국이 SIB를 통해 UE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다음:
·CEL;
·Rmax-페이징;
·페이징을 위한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 또는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예컨대, nB)마다 페이징 기회(PO)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와 같은 특정 페이징 무선 리소스의 경우, 캐리어의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캐리어에 의해 지원되는 Rmax-페이징, 또는 CEL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2: 데이터 전송 상태 동안의 UE는 기지국에 페이징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페이징 정보 요청은 다음의 정보:
·선호되는 CEL;
·CEL 기반의 페이징 리소스 선택 기능;
·선호되는 Rmax-페이징;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리소스 선택 기능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페이징 정보 요청은 다음의 메시지:
·UL MAC C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RRCConnectionResumeComplete;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EarlyDataRequest;
·UEAssistanceInformation;
·UECapabilityInformation; 또는
·새로운 UL RRC 메시지(예컨대, UEPagingInformationRequest),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UE는 예컨대 UE의 무선 신호 조건이 임계치에 도달할 경우에, 페이징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페이징 정보 요청은 기지국이 페이징 리소스를 추정 또는 구성/재구성하도록 트리거한다. 페이징 리소스는:
·CEL;
·Rmax-페이징;
·CEL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403: UE로부터의 페이징 정보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데이터 전송 상태(예컨대, RRC_CONNECTED 상태, RRC_INACTIVE 상태, PUR(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전송 절차, EDT(Early Data Transmission) 절차, NR 스몰 데이터 전송 절차)의 UE에 대한 CEL 또는 Rmax-페이징을 추정한다.
단계 404: UE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지국이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메시지로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메시지는 다음의 메시지:
·RRX 비활성 이행 리포트(RRC INACTIVE TRANSITION REPORT); 또는
·새로운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메시지(예컨대, 페이징 정보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다음의 정보:
·CEL;
·Rmax-페이징;
·CEL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CEL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는 UE에 대한 CEL 기반의 페이징이 비활성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는 UE에 대한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이 비활성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CEL이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CEL 기반의 페이징이 UE에 대해 비활성되어야 하는 것을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Rmax-페이징이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이 UE에 대해 비활성되어야 하는 것을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단계 405: 기지국이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여 UE가 RRC_INACTIVE 상태로 진입하도록 트리거한다. RRC 접속 해제 매시지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다음의 정보:
·CEL; 또는
·Rmax-페이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406: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이 단계 401에서 SIB를 통해 송신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따른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또 단계 405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따른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통해 송신되는 페이징을 개시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단계 405에서 포함되어 있다면, 단계 405에서 포함된 CEL 또는 Rmax-페이징이 사용되고; 그렇지 않다면 이전에 구성된 CEL 또는 Rmax-페이징이 사용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을 개시한다. 이 경우에, 단계 406은 단계 406a 및 406b로 분할된다.
단계 406a: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페이징 메시지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반송하는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CEL;
·CEL 기반의 페이징 지시;
·Rmax-페이징;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406b: 기지국측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가 CEL 기반의 페이징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CEL 및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가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Rmax-페이징 및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개시된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페이징 캐리어마다 구성된 캐리어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협대역마다 구성된 협대역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마다 구성된 페이징 PRB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마다 구성된 BWP 고유의 페이징 구성; 또는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마다 구성된 CORESET 고유의 페이징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3
RAN 개시 페이징을 통해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배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5를 참조한다. 이 절차에서, 소스 기지국은 X2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RAN 개시 페이징 절차는 타겟 기지국에서 UE의 페이징을 요청하기 위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다. RAN 개시 페이징 메시지는 타겟 기지국이 UE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반송할 수 있다.
단계 501: 타겟 기지국(기지국 2)이 SIB를 통해 UE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다음:
·CEL;
·Rmax-페이징;
·페이징을 위한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 또는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예컨대, nB)마다 페이징 기회(PO)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UE는 RRC_INACTIVE 상태이다.
단계 502: UE 고유의 S1AP/NGAP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소스 기지국(기지국 1)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수신한다.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기지국 2)에 RAN 개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RAN 개시 페이징 메시지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포함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CEL;
·Rmax-페이징;
·DRX 사이클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
·WUS 지원 정보;
·페이징 확률 정보;
·페이징 eDRX 정보;
·RAN 페이징 사이클;
·UE 고유의 DRX; 또는
·RRC INACTIVE 상태의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03: 타겟 기지국은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 및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UE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결정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단계 502에서 타겟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
·페이징 기회(예컨대, 페이징 프레임, 페이징 서브프레임); 또는
·GWUS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측에서, UE는 페이징 DRX Cycle(T)를 결정해야 한다. 단계 502의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페이징 eDRX 정보를 포함하지만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RRC_INACTIVE 상태의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페이징 eDRX 정보로부터 취득)과 단계 501에서 SIB를 통해 UE에 방송된 RAN 페이징 사이클 중 가장 짧은 것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페이징 메시지가 예컨대 S1AP PAGING 또는 NGAP PAGING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되고, 페이징 메시지가 페이징 eDRX 사이클 IE를 포함하지만 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 IE에서 반송되는 페이징 eDRX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형태 4
gNB의 gNB-CU로부터 동일한 gNB의 gNB-CU에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배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6을 참조한다. 이 절차에서, gNB-CU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F1 페이징을 사용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gNB-DU에 송신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단계 601: gNB의 gNB-CU가 SIB를 통해 동일한 gNB의 gNB-DU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하고 gNB-DU가 SIB를 통해 UE에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포워드한다.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다음:
·CEL;
·Rmax-페이징;
·페이징을 위한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 또는
·무선 리소스 고유의 DRX 사이클(예컨대, nB)마다 페이징 기회(PO)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gNB-CU는 무선 리소스 고유의 구성을 지키고 유지하며, gNB-CU는 UE에의 추가 방송을 위해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gNB-DU에 배포한다. 이 단계에서, UE는 RRC_INACTIVE 상태이다.
단계 602: gNB-CU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수신할 경우, gNB-CU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gNB-DU에 송신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CEL;
·Rmax-페이징;
·DRX 사이클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
·WUS 지원 정보;
·페이징 확률 정보;
·페이징 eDRX 정보;
·RAN 페이징 사이클;
·UE 고유의 DRX; 또는
·RRC INACTIVE 상태의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603: gNB-DU이 단계 601에서와 같이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UE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결정한다. gNB-DU는 결정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UE에 RAN 기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단계 602에서 gNB-DU에 의해 수신된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
·페이징 기회(예컨대, 페이징 프레임, 페이징 서브프레임); 또는
·GWUS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측에서, UE는 페이징 DRX Cycle(T)를 결정해야 한다. 단계 602의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페이징 eDRX 정보를 포함하지만 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RRC_INACTIVE 상태의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페이징 eDRX 정보로부터 취득)과 RAN 페이징 사이클 중 가장 짧은 것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단계 602의 페이징 메시지가 eDRX 사이클 IE를 포함하지만 PTW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RRC_IDLE 상태의 UE의 DRX Cycle(T)는 페이징 eDRX 사이클 IE에서 반송되는 페이징 eDRX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형태 5
앞의 실시형태들에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페이징 리소스 선택은 UE가 UE의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 내에 있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이란 UE의 RRC 접속이 통상 마지막으로 해제된 셀이다(예컨대, UE와 eNB/CN 노드(MME/AMF)는 이 해제 절차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에 관해 일관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가장 최근에 RRC_IDLE 또는 RRC_INACTIVE 상태에 진입한 셀은 다음의 조건:
RRCEarlyDataComplete 메시지의 수신; 또는
noLastCellUpdate를 포함하지 않는 RRCConnectionRelease의 수신, 중 임의의 것에 의해 트리거되고,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한 페이징 리소스 선택은 UE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 내에 없다면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페이징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고려하는 않고서 페이징 리소스를 통해 송신될 것이다.
이 예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한다.
단계 901: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이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통해 UE에 자신의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한다.
단계 901a: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을 제외한 다른 셀이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통해 UE에 자신의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송신한다.
단계 902: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이 페이징 메시지를 다른 셀에 송신하고, 페이징 메시지는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반송하지 않는다.
단계 903: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이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 및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UE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UE에 RAN 기반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903a: 다른 셀이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고려하지 않고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UE에 RAN 기반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다른 예에 대해서는 도 10를 참조한다.
단계 1001 및 1001a는 도 9에 도시한 단계 901 및 901a와 각각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생략된다.
단계 1002: 코어 네트워크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반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UE의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에 송신한다.
단계 1003 및 1003a는 도 9에 도시한 단계 903 및 903a와 각각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생략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다른 셀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고려하지 않고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UE에 코어 디바이스 개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실시형태 6
기지국이 RRC_INACTIVE 상태의 UE에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서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7을 참조한다.
단계 701: SI 변경시, 기지국이 제1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페이징 메시지는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SI 업데이트가 도래하는 것을 UE에 지시하는 지시자 systemInfoModification-short-eDRX를 반송하여, UE가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페이징 메시지는 또한 다음 BCCH 변경 기간에 SI 업데이트가 도래하는 것을 UE에 지시하는 systemInfoModification 지시자, 및/또는 다음 eDRX 취득 기간에 SI 업데이트가 도래하는 것을 UE에 지시하는 systemInfoModification-eDRX 지시자도 반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들 지시자 각각은 비트로 반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지국은 단계 701에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 대신에 DCI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702: 기지국이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업데이트된 SI를 송신한다.
단기 eDRX 취득 기간은 BCCH 변경 기간보다 길게(systemInfoModification 지시자에 대응하여) 또는 eDRX 취득 기간보다 짧게(systemInfoModification-eDRX 지시자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다. 또한, 단기 eDRX 취득 기간의 길이는 RAN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내의 최대 값과 동일하거나, UE가 RRC_INACTIVE 상태일 때에 DRX Cycle(T) 값 범위 내의 최대 값과 동일하다. BCCH 변경 기간의 길이 및 eDRX 취득 기간의 길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RAN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및 DRX Cycle(T) 값 범위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된다.
실시형태 7
기지국이 RRC_INACTIVE 상태의 UE에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서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절차에 대해 도 8을 참조한다.
단계 801: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NAS 메시지를 통해 eDRX 파라미터를 협상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기지국도 협상에 관여한다.
단계 802: 기지국이 RRC 페이징 DRX 파라미터를 반송하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UE에 송신하고 UE가 RRC_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트리거한다.
UE가 RRC_INACTIVE 상태에 진입한 후에, UE는 다음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systemInfoModification-short-eDRX 지시자를 반송하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모니터링한다:
케이스 1: RAN 페이징 사이클(ran-pagingCycle)이 BCCH 변경 기간보다 길다. RAN 페이징 사이클이 SIB를 통해 UE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케이스 2: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이 BCCH 변경 기간보다 길다.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이 단계 801에서 eDRX 파라미터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케이스 3: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정보가 UE에서 구성되고, ran-pagingCycle이 BCCH 변경 기간보다 길다.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정보가 단계 801에서 eDRX 파라미터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단계 803: SI 변경시, 기지국이 제1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페이지 메시지는 SI 업데이트가 도래하고 있음을 UE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 systemInfoModification-short-eDRX를 반송한다. 대안으로, 기지국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 대신에 DCI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어서, UE는 systemInfoModification-short-eDRX 지시자를 포착하고,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한다.
실시형태 8
RRC_INACTIVE 상태의 UE가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SI 업데이트를 취득하는 것에 대해 도 2을 참조한다.
단기 eDRX 취득 기간(220)에서, UE는 systemInfoModification-short-eDRX 지시자를 반송하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를 수신한다.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222)에서, UE는 단기 eDRX 취득 기간(222)이 시작되자마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취득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은 단기 eDRX 취득 기간(220) 직후일 수 있다.
eMTC 디바이스에 대한 예를 후술한다:
BCCH 변경 기간은 무선 프레임의 수 = modificationPeriodCoeff * defaultPagingCycle로 표현될 수 있다.
eDRX 취득 기간은 하이퍼 프레임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RX 취득 기간의 경계는 H-SFN mod 256 = 0이 되는 H-SFN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eMTC 디바이스의 경우, eDRX 취득 기간의 길이는 256 개의 하이퍼 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페이징 eDRX 사이클 값 범위에서 최대 값이다.
단기 eDRX 취득 기간은 무선 프레임 또는 하이퍼 프레임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eDRX 취득 기간의 경계는 SFN mod 1024 = 0이 되는 무선 프레임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단기 eDRX 취득 기간의 길이는 1024 개의 무선 프레임 또는 1 개의 하이퍼 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RAN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에서 최대 값이다.
정리하면, 이상의 본 개시내용은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리소스를 적응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기술한다. CEL, Rmax-페이징, 또는 DRX 사이클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과 같은, 특정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가진 UE에 대해, 기지국은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도 참조하여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따라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시스템 정보 취득을 위한 새로운 취득 시간, 즉 단기 eDRX 취득 기간을 기술한다. 단기 eDRX 취득 기간의 길이는 BCCH 변경 기간보다는 길게 그리고 eDRX 취득 기간보다는 짧게 설정된다. 다음 단기 eDRX 취득 기간에 업데이트된 SI 정보를 취득할 것을 UE에 지시하기 위한, 새로운 취득 기간에 대응하는 새로운 지시자도 도입되며, 이것은 페이징 메시지 또는 DCI에 반송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 및 첨부 도면들은 특정예의 실시형태 및 구현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술한 요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래서 포함 또는 청구되는 요지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들 중 어느 것에도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됨을 알아야 한다. 청구되거나 포함되는 요지에 대한 합리적으로 광범위한 범위가 의도된다. 무엇보다도, 예를 들어 요지는 방법, 디바이스, 컴포넌트, 시스템, 또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는 예컨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는 명시적으로 언급된 의미를 넘어 문맥에서 시사 또는 암시되는 미묘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사용하는 "일 실시형태/구현예에서"와 같은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다른 실시형태/구현예에서"와 같은 문구는 반드시 상이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구하는 요지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전문 용어는 문맥 내의 사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하는 "및", "또는", 또는 "및/또는"과 같은 용어는 그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 B 또는 C와 같은 목록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의 "또는"은 여기에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면 A, B 및 C를 의미할뿐만 아니라 배타적인 의미로 사용되면 A, B 또는 C를 의미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하나 이상"은 문맥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수 의미로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도 또는 복수의 의미에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의 조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a", "an" 또는 "the"와 같은 용어도 문맥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수 용법을 내포하거나 복수 용법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에 기초한"이라는 용어도 문맥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타적인 요소의 세트를 내포하는 것으로 반드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될 수 있으며, 그보다는 반드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추가 요소의 존재를 허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특징, 이점 또는 유사한 표현에 대한 참조는 본 솔루션으로 실현될 수 있는 모든 특징 및 이점이 그 임의의 단일 구현예에 포함되어야 하거나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특징 및 이점을 언급하는 표현은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이점 또는 특성이 본 솔루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특징 및 이점, 그리고 유사한 표현에 대한 논의는 동일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솔루션의 설명된 특징, 이점 및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에 비추어 본 솔루션이 특정 실시형태의 특정 특징 또는 이점 중 하나 이상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본 솔루션의 모든 실시형태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추가 특징 및 이점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인식될 수도 있다.

Claims (52)

  1.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적응적으로 할당된 페이징 리소스를 사용하여 페이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연관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미리 정의된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에 기초하여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은 상기 UE와 연관된 다음의 파라미터: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 coverage enhancement level);
    CEL 기반의 페이징 지시;
    CEL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또는
    페이징을 위한 NPDCCH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최대 반복 수(Rmax-페이징);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지시;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DRX 사이클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capability);
    WUS 지원 정보;
    페이징 확률 정보;
    페이징 연장 불연속 수신(eDRX,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페이징 사이클;
    UE 고유의 불연속 수신(DRX); 또는
    RRC 비활성 상태의 상기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무선 리소스는:
    페이징 캐리어;
    페이징 협대역: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resource set);
    페이징 기회(PO, paging occasion); 또는
    GWUS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고유의 페이징 구성은:
    페이징 캐리어마다 구성된 캐리어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협대역마다 구성된 협대역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물리 리소스 블록(PRB)마다 구성된 페이징 PRB 고유의 페이징 구성;
    페이징 대역폭 파트(BWP)마다 구성된 BWP 고유의 페이징 구성; 또는
    페이징 제어-리소스 세트(CORESET)마다 구성된 CORESET 고유의 페이징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UE 고유의 S1AP 또는 NGAP 접속 확립 절차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되도록 트리거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이 페이징 eDRX 정보를 포함하고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 Paging Time Window)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eDRX 정보에 따라 페이징 eDRX 사이클을 취득하고;
    상기 UE와 연관된 DRX Cycle(T)를 상기 페이징 eDRX 사이클과 RAN 페이징 사이클 중 가장 짧은 것으로 결정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AN 페이징 사이클은 상기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S1AP 페이징 메시지;
    NGAP 페이징 메시지;
    XnAP 페이징 메시지;
    F1AP 페이징 메시지; 또는
    RAN 페이징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 아이들 상태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페이징 eDRX 사이클 정보 엘리먼트(IE)를 포함하고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eDRX 사이클 IE에 따라 페이징 eDRX 사이클을 취득하고;
    상기 UE와 연관된 DRX Cycle(T)를 상기 페이징 eDRX 사이클로 결정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무선 리소스를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UE가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UE와 연관된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내에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UE에 대한 S1AP 또는 NGAP 접속의 확립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다음의 메시지:
    최초 콘텍스트 셋업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UE 콘텍스트 변경 요청(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또는
    경로 전환 요청 수신확인(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UE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서빙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5G NR gNB;
    4G LTE eNB; 또는
    강화된 기계형 통신(eMTC,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Node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내에 기지국의 분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기지국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gNB-DU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gNB-CU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MME 또는 AM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UE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 파라미터는:
    선호되는 CEL;
    CEL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
    선호되는 Rmax-페이징;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무선 리소스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정보 요청은:
    UL MAC C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RRCConnectionResumeComplete;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EarlyDataRequest;
    UEAssistanceInformation;
    UECapabilityInformation; 또는
    UEPagingInformationReque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E 고유의 페이징 리소스 구성을 도출한 후에, 상기 방법은: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내의 제3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여 상기 제3 네트워크 요소가 자신의 UE 고유의 페이징 구성을 업데이트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CEL;
    Rmax-페이징;
    CEL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또는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 비활성 지시,
    를 포함하는 UE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상기 CEL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상기 CEL 기반의 페이징을 비활성화하는 지시를 나타내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상기 Rmax-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상기 Rmax-페이징 기반의 페이징을 비활성화하는 지시를 나타내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정보 업데이트 요청은:
    RRC 비활성 이행 리포트(RRC INACTIVE TRANSITION REPORT); 또는
    페이징 정보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네트워크 요소는 MME 또는 AM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 4G 통신 네트워크, 또는 3G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9.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전 결정된 시스템 정보(SI, System Information) 취득 기간 동안 상기 네트워트 내의 UE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처음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 내에 상기 업데이트된 SI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지속시간은 BCCH 변경 기간보다 길고, eDRX 취득 기간보다 짧고, RRC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내의 최대 값 또는 상기 UE가 RRC 비활성 상태일 때의 상기 UE의 DRX Cycle(T) 값 범위 내의 최대 값과 동일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CCH 변경 기간, 상기 eDRX 취득 기간, 상기 RAN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및 상기 DRX Cycle(T) 값 범위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BCCH SI 변경 지시자 또는 eDRX SI 변경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BCCH SI 변경 지시자는 다음 BCCH 변경 기간의 시작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eDRX SI 변경 지시자는 다음 eDRX 취득 기간의 시작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NAS 메시지를 통해 상기 UE와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요소와 eDRX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단계; 및
    RAN 페이징 DRX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여, 상기 UE에 대해 RAN 페이징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UE가 상기 제1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다음의 케이스:
    RAN 페이징 사이클(ran-pagingCycle)이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이 상기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또는
    상기 UE가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정보에 의해 구성되고 RAN 페이징 사이클이 상기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제1 메시지에서 반송되는 상기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eDRX 파라미터는 상기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을 포함하고, 상기 eDRX 페이징 DRX 파라미터는 RAN 페이징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BCCH 변경 기간은 상기 네트워트에서 미리 정의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내에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MME 또는 AM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eNB;
    gNB; 또는
    eMTC Node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 4G 통신 네트워크, 또는 3G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9. 네트워크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전 결정된 시스템 정보(SI) 취득 기간 동안 상기 네트워트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처음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 내에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데이트된 SI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SI 취득 기간의 지속시간은 BCCH 변경 기간보다 길고, eDRX 취득 기간보다 짧고, RRC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내의 최대 값 또는 상기 UE가 RRC 비활성 상태일 때의 상기 UE의 DRX Cycle(T) 값 범위 내의 최대 값과 동일한,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BCCH 변경 기간, 상기 eDRX 취득 기간, 상기 RAN 페이징 사이클 값 범위, 및 상기 DRX Cycle(T) 값 범위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되는,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BCCH SI 변경 지시자 또는 eDRX SI 변경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BCCH SI 변경 지시자는 다음 BCCH 변경 기간의 시작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eDRX SI 변경 지시자는 다음 eDRX 취득 기간의 시작부터 SI 업데이트를 취득할 것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NAS 메시지를 통해 제2 네트워크 요소와 eDRX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송신된 RAN 페이징 DRX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에 대해 상기 RAN 페이징 DRX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다음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제1 메시지에서 반송되는 상기 SI 업데이트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1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RAN 페이징 사이클(ran-pagingCycle)이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이 상기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또는
    상기 UE가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정보에 의해 구성되고 RAN 페이징 사이클이 상기 BCCH 변경 기간보다 긴 경우
    를 포함하고,
    상기 eDRX 파라미터는 상기 아이들 모드 페이징 eDRX 사이클을 포함하고, 상기 eDRX 페이징 DRX 파라미터는 RAN 페이징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BCCH 변경 기간은 상기 네트워트에서 미리 정의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내에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MME 또는 AM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eNB;
    gNB; 또는
    eMTC Node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8.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 4G 통신 네트워크, 또는 3G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요소.
  50.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요소.
  51. 제39항 내지 제4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UE에 있어서, 제39항 내지 제48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UE.
  5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41075A 2020-10-15 2020-10-15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 전송/취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30087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21065 WO2022077315A1 (en) 2020-10-15 2020-10-15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resource selection an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acquisition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413A true KR20230087413A (ko) 2023-06-16

Family

ID=8120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075A KR20230087413A (ko) 2020-10-15 2020-10-15 무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리소스 선택 및 시스템 정보 전송/취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7656A1 (ko)
EP (1) EP4140198A4 (ko)
JP (1) JP2023544937A (ko)
KR (1) KR20230087413A (ko)
CN (2) CN115669086A (ko)
WO (1) WO2022077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3524A4 (en) * 2020-12-25 2024-01-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DETERMINING A RADIO CALL CYCLE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124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원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MX2016005438A (es) 2013-11-01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mensajes de busqueda e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8632949B (zh) * 2017-03-24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和网络设备
CN108668359B (zh) * 2017-03-28 2022-07-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寻呼监听方法及装置和设备
US10660065B2 (en) * 2017-04-13 2020-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9451847B (zh) * 2017-09-08 2021-1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消息接收方法及装置和寻呼配置方法及装置
CN110035498B (zh) * 2018-01-12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及其系统
US11510268B2 (en) * 2018-04-0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arding buffered data while keeping connection in CP-UP separation
CN110351815B (zh) * 2018-04-04 2022-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11148222B (zh) * 2018-11-02 2021-06-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装置、系统、cu、amf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7656A1 (en) 2023-08-03
EP4140198A4 (en) 2023-07-12
JP2023544937A (ja) 2023-10-26
EP4140198A1 (en) 2023-03-01
CN115669086A (zh) 2023-01-31
WO2022077315A1 (en) 2022-04-21
CN117156527A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8670B2 (ja) 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10694492B2 (en) Radio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
US11963132B2 (en) Pag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6457085B2 (ja) ユーザ機器中心の媒体アクセス制御層を有するワイヤレス通信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5530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과 관련된 방법 및 장치
US11134535B2 (en) Radio terminal and base station
EP4108044A1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US2023024765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resource selection an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acquisi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230046262A1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WO202202762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in wireless networks
JP2022108894A (ja) 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7441808B2 (ja) 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202762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and transmitting ue identities in wireless networks
JP2022108895A (ja) 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TW202341772A (zh) 用於行動通訊的方法及裝置
JP2023145566A (ja) 通信制御方法、ユーザ装置及びプロセッ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