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18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180A
KR20230087180A KR1020210175903A KR20210175903A KR20230087180A KR 20230087180 A KR20230087180 A KR 20230087180A KR 1020210175903 A KR1020210175903 A KR 1020210175903A KR 20210175903 A KR20210175903 A KR 20210175903A KR 20230087180 A KR20230087180 A KR 20230087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line
pad
disposed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호
심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180A/ko
Priority to CN202211579720.9A priority patent/CN116437751A/zh
Priority to US18/062,931 priority patent/US20230189589A1/en
Publication of KR2023008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2Interconnection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수분의 투습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얇은 베젤 폭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표시부를 갖는 기판,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복수의 화소와 이격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패드부, 표시부를 둘러싸며 패드부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있는 더미부, 더미부와 교차되며 패드부 각각과 연결된 패드 연결라인, 및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미부는 연결부를 통해 패드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퀀텀닷발광 표시장치(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퀀텀닷발광 표시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2개의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의 발광을 통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발광 소자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광은 전극과 기판 등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현된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의 테두리(또는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베젤 영역을 가리기 위한 베젤(또는 기구물)을 필요로 하고, 베젤의 폭으로 인하여 베젤 폭(bezel width)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베젤 폭이 극한으로 감소할 경우, 수분의 투습에 따른 발광 소자의 열화로 인하여 발광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격자 형태로 배열하여 대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는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베젤 영역 또는 베젤로 인하여 인접한 표시장치들 사이에 심(seam)이라는 경계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의 전체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의 단절감(또는 불연속성)을 줌으로써 영상의 몰입도를 저하시킨다.
본 명세서는 수분의 투습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얇은 베젤 폭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를 갖는 기판,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복수의 화소와 이격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패드부, 표시부를 둘러싸며 패드부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있는 더미부, 더미부와 교차되며 패드부 각각과 연결된 패드 연결라인, 및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표시부를 갖는 기판,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복수의 화소와 이격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패드부, 표시부를 둘러싸며 패드부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있는 더미부, 더미부와 교차되며 패드부 각각과 연결된 패드 연결라인, 및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수분의 투습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신뢰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정전기에 의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베젤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영상을 단절감 없이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선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선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선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선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 Ⅶ-Ⅶ'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기판(110),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20), 연성필름(130), 회로보드(140), 및 타이밍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서로 합착된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110)은 게이트 구동부(G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110)은 합착 기판이 아닌 단일 기판에 필름이 덮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은 유리 기판,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박형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표시부(AA), 및 표시부(AA)를 둘러싸는 비표시부(I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AA)는 복수의 서브 화소(SP)를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P), 및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AA)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화소 어레이 영역, 활성 영역, 화소 어레이부, 표시부, 또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AA)는 기판(110)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부(IA)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으로서, 비표시 영역, 비활성 영역, 또는 비활성부로도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부(IA)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부(IA)는 패드부(PP), 더미부(DP), 패드 연결라인(PL), 및 연결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표시부(AA)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표시부(AA)에 배치된 화소 구동 라인들, 예를 들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기판(110) 상의 화소 영역마다 배치되고 인접한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와 인접한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화소(SP)는 실제 빛이 발광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적어도 3개의 서브화소는 컬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화소(P) 또는 단위 화소(P)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P)는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서브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제 2 서브화소는 녹색 서브화소, 제 3 서브화소는 청색 서브화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른 화소(P)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중 적어도 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내지 제 4 서브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서브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제 2 서브화소는 백색 서브화소, 제 3 서브화소는 청색 서브화소, 제 4 서브화소는 녹색 서브화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서브화소(SP) 각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은 각기 다른 컬러 광을 개별적으로 방출하거나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서브화소(SP) 각각이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하는 경우, 제 1, 제 3, 및 제 4 서브화소(SP) 각각은 백색 광을 각기 다른 컬러 광으로 변환하는 각기 컬러 필터(또는 다른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른 제 2 서브화소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 2 서브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 1,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12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120)는 소스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120)가 구동 칩으로 제작되는 경우,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연성필름(130)에 실장될 수 있다.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데이터 패드들과 같은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30)에는 패드들과 소스 드라이브 IC(120)를 연결하는 배선들, 패드들과 회로보드(140)의 배선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3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패드들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패드들과 연성필름(130)의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연성필름(130)들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구동 칩들로 구현된 다수의 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보드(140)에는 타이밍 제어부(150)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회로보드(140)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GD)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소스 드라이브 IC(120)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구동부(GD)에 공급하고, 소스 제어신호를 소스 드라이브 IC(120)들에 공급한다.
한편, 서브 화소(SP)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서브 화소(SP) 각각의 발광부는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4 서브 화소(SP) 각각은 버퍼층(BL)의 상면에 구비되며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패시베이션층(111c), 및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111), 회로 소자층(111) 상에 구비되는 평탄화층(113), 평탄화층(113) 상에 구비된 화소 전극(114), 뱅크(115), 유기발광층(116), 공통 전극(117), 및 봉지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14), 유기발광층(116), 및 공통 전극(117)은 발광 소자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버퍼층(BL)은 기판(110) 상에 구비되며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대한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110)과 회로 소자층(111)(또는 게이트 절연막(11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기판(110)의 일면(또는 앞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기판(110)에 함유된 물질이 트랜지스터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111)은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패시베이션층(111c), 및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및 패시베이션층(111c)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112)는 액티브층(112a), 게이트 전극(112b),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화소(P)의 회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된 채널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은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만 섬 형태로 형성되거나 액티브층(112a)을 포함하는 기판(110) 또는 버퍼층(BL)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b)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11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1b)은 게이트 전극(112b)과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1b)은 회로 영역 및 화소(P)에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111b)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112c)은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층(111b)에 마련된 소스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은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층(111b)에 마련된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게이트 전극과 동일하거나 다른 단일 금속층, 합금의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함께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화소(P)의 회로 영역 상에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패시터(미도시)는 층간 절연층(11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 전극(112b)과 소스 전극(112c) 사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광에 의해 문턱 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또는 제 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112), 제 1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층(112a)의 아래에 마련된 차광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은 기판(110)과 액티브층(112a)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110)을 통해서 액티브층(112a)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화소(P)가 배치되는 화소 영역을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및 층간 절연층(111b)을 덮는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시베이션층(111c)은 생략될 수도 있다.
평탄화층(113)은 패시베이션층(111c)을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1c)이 생략될 때, 평탄화층(113)은 회로 영역을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평탄화층(113)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13)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 영역(DA)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13)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및 불소 수지 등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13)은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회로 소자층(11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111)의 패시베이션층(111c)은 평탄화층(113)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은 평탄화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층은 화소 전극(114), 유기발광층(116), 및 공통 전극(117)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은 유기발광층(116)의 애노드 전극, 반사 전극, 하부전극, 또는 제 1 전극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14)은 각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는 평탄화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은 섬 형태로 패터닝되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배치되며, 해당하는 화소 회로의 박막 트랜지스터(또는 구동 TFT)(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의 일측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 상으로 연장되고, 평탄화층(113)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서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 전극(114)은 일함수가 낮고 반사 효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화소 전극(114)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과 투명한 금속물질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화소 전극(114)은 하부 전극(114a)과 상부 전극(114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114a)은 평탄부(113)와 상부 전극(114b)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전극(114b)보다 평탄부(113)와의 결합력이 더 클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전극(114a)은 평탄부(113)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MoTi와 ITO의 적층 구조(ITO/MoTi/ITO)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전극(114b)은 하부 전극(114a)의 상면(또는 상측). 즉, 하부 전극(114a)과 유기발광층(116) 사이에 배치되며 Ag와 ITO의 적층 구조(ITO/Ag/ITO)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전극(114b)은 하부 전극(114a)보다 유기발광층(116)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율이 더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화소 전극(114)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4)이 표시부(AA)에 구비되므로, 상기 평탄화층(113)은 표시부(AA)에서 화소 전극(114)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113)은 유기발광층(116)을 발광시키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덮도록 소정의 두께로 구비됨으로써, 상면이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평탄화층(113) 상에 구비되는 화소 전극(114) 역시 평탄화층(113) 상면의 프로파일을 따라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은 패드부(PP)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패드부재(PP1, PP2, PP3)를 구현하는 금속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패드부(PP)에 배치된 화소 구동 전압 패드들, 데이터 패드들, 레퍼런스 전압 패드들,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패드들, 및 게이트 패드들은 화소 전극(114)과 함께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뱅크(115)는 광이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뱅크(115)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 각각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는 화소 전극(114)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뱅크(115)는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화소 전극(114)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고 화소 전극(114)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뱅크(115)는 화소 전극(114)의 가장자리에서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소 전극(114)의 노출 부분이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일 수 있다.
뱅크(115)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전극(114) 및 뱅크(115) 상에는 유기발광층(116)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116)은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유기발광층(116)으로 이동하게 되며, 유기발광층(116)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서브 화소(SP), 및 뱅크(115) 상에 구비되는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발광층 예컨대, 황녹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이 적층되는 텐덤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해당하는 서브 화소의 색에 부합되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화소에는 적색 컬러필터가 구비되고, 녹색 서브 화소에는 녹색 컬러 필터가 구비되며, 청색 서브 화소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백색 서브 화소에는 유기발광층(116)이 백색 광을 발광하므로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공통 전극(117)은 유기발광층(116) 상에 형성된다. 공통 전극(117)은 제 2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117)은 서브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117)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통 전극(117)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통 전극(117)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g 합금, 및 Ag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g 합금/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g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 등의 합금일 수 있다.
공통 전극(117) 상에는 봉지층(118)이 형성된다. 봉지층(118)은 유기발광층(116)과 공통 전극(117)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118)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커버층(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CL)은 봉지층(118)을 덮으면서 평탄면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층(CL)은 표시부(AA)와 비표시부(I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층(CL)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층(CL)은 수분 및/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게터(getter) 재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필름(F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름(FF)은 커버층(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FF)은 투명 접착 부재를 매개로 커버층(CL)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필름(FF)은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야외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 방지층(또는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은 기판(110) 상에 배치된 TFT 및/또는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진행하는 반사 광을 차단하는 원편광층(또는 원평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필름(FF)은 수분 또는 산소 침투를 1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층(또는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리어층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필름(FF)은 각 화소(P)에서 외부 쪽으로 출광되는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광 경로 제어층(또는 광 경로 제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경로 제어층은 고굴절층과 저굴절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각 화소(P)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FF)은 상기와 같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능성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실링 부재(C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CM)는 기판(110)과 필름(FF) 사이에 형성되고, 회로 소자층(111)과 평탄화층(113) 및 커버층(CL) 각각의 측면들 모두를 덮을 수 있다. 즉, 실링 부재(CM)는 필름(FF)과 기판(110)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회로 소자층(111)과 평탄화층(113) 및 커버층(CL) 각각의 측면들 모두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CM)는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상에서 패드부(PP) 각각에 부착된 플렉서블 회로 필름(미도시)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CM)는 각 서브 화소(SP)의 유기발광층(116)에서 방출되는 광 중에서 커버층(CL) 내에서 외측면 쪽으로 진행하는 광에 의해 측면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기판(110)의 패드부(PP)와 중첩되는 실링 부재(CM)는 패드부(PP)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패드부재들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링 부재(CM)는 수분 및/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게터(getter) 재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봉지층(118)은 표시부(AA) 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이 비표시부(I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118)은 표시부(AA)의 공통 전극(117) 상에 구비된 제 1 무기막(118a), 제1 무기막(118a) 상에 구비된 유기막(118b), 및 유기막(118b) 상에 구비된 제2 무기막(118c)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118b)은 유기발광층(116)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형성 시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particle)과 같은 이물질(미도시)을 커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유기막(118b)이 없거나 유기막(118b)의 두께가 얇으면, 이물질보다 얇게 구비되는 제1 무기막(118a)이 이물질을 덮지 못하거나 제1 무기막(118a)이 이물질을 덮더라도 이물질을 덮는 제1 무기막(118a)이 이물질을 덮지 않는 곳에 위치된 제1 무기막(118a)보다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되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표시부(AA)으로 쉽게 침투될 수 있어서 발광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봉지층(118)의 유기막(118b)은 이물질을 충분히 덮으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무기막(118a)이나 제2 무기막(118c)에 비해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유기막(118b)은 표시부(AA) 뿐만 아니라, 비표시부(IA)에 구비된 댐(DAM)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유기막(118b)은 액상의 유기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댐(DAM)은 상기 액상의 유기물질이 기판(110)의 외부까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유기막(118b)은 표시부(AA), 및 표시부(AA)와 댐(DAM) 사이의 영역까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무기막(118a)과 제2 무기막(118c)은 표시부(AA)뿐만 아니라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막(118a)과 제2 무기막(118c)은 표시부(AA)에서부터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되어 구비된 공통 전극(117), 및 비표시부(IA)에 구비된 댐(DAM)을 덮도록 기판(110)의 끝단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기막(118a)은 표시부(AA)에 구비된 공통 전극(117)과 유기막(118b) 사이에 배치되어서 비표시부(IA)에 구비된 댐(DAM)을 덮으면서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기막(118a)은 유기막(118b)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면서 댐(DAM)의 상면과 측면들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통전극(117)은 표시부(AA)에서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되어서 댐(DAM)의 상면과 측면들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무기막(118a)과 공통 전극(117)은 2중으로 댐(DAM)의 상면과 측면들을 덮음으로써,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댐(DAM)을 통해 표시부(AA)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무기막(118c)은 표시부(AA)에서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되어 유기막(118b)을 덮으며 댐(DAM) 상에서 제1 무기막(118a)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무기막(118c)은 댐(DAM)의 상면에서 제1 무기막(118a)과 접촉되고, 제1 무기막(118a)과 함께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제2 무기막(118c)은 유기막(118b)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면서 댐(DAM)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덮으며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구비될 수 있다.
제1 무기막(118a)과 제2 무기막(1183)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비됨으로써, 제1 무기막과 제2 무기막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접착력(또는 커버리지)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무기막을 통한 수분 침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무기막(118a)의 아래(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116)은 표시부(AA)뿐만 아니라,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116)이 비표시부(IA)에도 배치됨으로써 표시부(AA)의 유기발광층(116)이 발광되지 않을 경우에 표시부(AA)와의 이질감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층(116)이 외부와 가깝게 위치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면 유기발광층(116)을 통해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쉽게 침투하여 발광소자가 손상되거나 발광소자의 사용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더미부(DP)가 비표시부(IA)(또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116)을 단절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표시부(IA)(또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유기발광층(116)을 통한 투습이 방지될 수 있다. 비표시부(IA)에서 유기발광층(116) 상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117)은 더미부(DP)에 의해 유기발광층(116)과 함께 단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더미부(DP)를 설명하면서 다시 한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은 기판(110) 상의 표시부(A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은 제 1 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되면서 제 1 방향(X)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은 제 1 방향(X)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게이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기판(110) 상의 표시부(A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데이터 라인 각각은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패드부(PP)는 복수의 패드부재. 예를 들어, 제1 패드부재(DP1), 제2 패드부재(DP2), 및 제3 패드부재(D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패드부재(PP1, PP2, PP3) 각각은 제 1 방향(X)을 따라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패드부재(PP1, PP2, PP3)는 복수의 화소 구동 전원 라인 각각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소 구동 전압 패드, 복수의 데이터 라인 각각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 복수의 레퍼런스 전압 라인 각각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레퍼런스 전압 패드, 및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라인 각각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패드부(PP)에는 패드 연결라인(PL)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패드부재(PP1, PP2, PP3) 각각에는 복수의 화소 구동 전원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복수의 레퍼런스 전압 라인, 및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라인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패드 연결라인(PL1, PL2, PL3)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 연결라인(PL1), 제2 패드 연결라인(PL2), 및 제3 패드 연결라인(PL3)은 패드 링크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더미부(DP)는 패드부(PP)와 복수의 화소(P) 사이에서 표시부(A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더미부(DP)는 패드 연결라인(PL)을 교차하도록(또는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연결부(CP)를 통해 패드 연결라인(P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더미부(DP)는 연결부(C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통해 패드부(PP)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라인과 동일한 전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미부(DP)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연결부(C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통해 패드부(PP) 및/또는 화소 공통 전압 라인으로 방전시킴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결부(CP)는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CP)는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CP)는 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측(또는 상면)이 더미부(DP)에 연결되고, 타측(또는 하면)이 패드 연결라인(PL)에 연결됨으로써,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라인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부(CP)와 더미부(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화소 공통 전압 라인으로부터 공통 전극에 공급되는 화소 공통 전압은 표시부(AA)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 각각에 보다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통 전극은 패드부(PP), 패드 연결라인(PL), 및 연결부(CP)를 통해 더미부(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교차 영역(C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교차 영역(CA)은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이 교차하는 영역. 즉, 패드 연결라인(PL)이 더미부(DP)를 가로지르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교차 영역(CA)은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이 기판(110)의 두께 방향(Z)으로 중첩되는 면적만큼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결부(CP)는 교차 영역(CA) 내에서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P)의 폭(CPW)은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의 폭(DPEW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CP)는 교차 영역(CA) 내에서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와 함께 패드 연결라인(PL)에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CP)와 더미부(DP)는 패드 연결라인(PL)으로 수분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투습에 의한 패드 연결라인(PL)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1 중간 절연층(MIL1)과 제2 중간 절연층(MIL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연결부(CP)와 패드 연결라인(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교차 영역(CA) 내에서 패드 연결라인(P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 및 상기 버퍼층(BL)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연결부(C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CP)는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패드 연결라인(P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CP)는 교차 영역(CA) 내에서 패드 연결라인(P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VH1) 및 제1 비아홀(VH1)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111b)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VH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CP)는 제1 비아홀(VH1)에서 노출된 패드 연결라인(PL)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패드 연결라인(P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더미부(DP)와 연결부(C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교차 영역(CA) 내에서 층간 절연층(111b)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더미부(DP)와 연결부(CP)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CNT2)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부(DP)는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연결부(C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는 교차 영역(CA) 내에서 제2 비아홀(VH2)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VH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부(DP)는 제3 비아홀(VH3)에서 노출된 연결부(CP)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연결부(C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CP)는 제1 비아홀(VH1)과 제2 비아홀(VH2)에 배치되는 제1 연결라인(CP1), 및 제1 연결라인(CP1)의 상면 및 층간 절연층(111b)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2 연결라인(CP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연결라인(CP1)은 Cu와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연결라인(CP2)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도 4와 같이, 교차 영역(CA)에서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이 기판(110)의 두께 방향(Z)으로 중첩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비아홀(VH1), 제2 비아홀(VH2), 및 제3 비아홀(VH3)은 교차 영역(CA) 내에서 모두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더미부(DP)와 연결부(CP)는 교차 영역(CA)에서 노출된 패드 연결라인(PL)의 상면을 중첩하여 덮을 수 있으므로, 패드 연결라인(PL)에 대한 투습 방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기판(110)은 표시부(AA)를 둘러싸도록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댐(DA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댐(DAM)은 표시부(AA)를 둘러싸는 폐루프 형태를 가지도록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댐(DAM)은 표시부(AA)를 덮도록 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118)의 퍼짐 또는 넘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댐(DAM)은 표시부(AA)에 배치되는 평탄화층(113)과 뱅크층(115)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댐(DAM)은 더미부(DP)를 둘러싸거나 더미부(DP)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기판(11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부(DP)는 댐(DAM)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더미부(DP)는 댐(DAM)의 외측 영역에 구비된 제1 더미라인(DP1)과 제2 더미라인(DP2), 및 댐(DAM)의 내측 영역에 구비된 제3 더미라인(D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라인(DP1)은 패드부(PP)와 댐(DA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더미라인(DP1)은 제1 패드부재(PP1)에 연결된 제1 패드 연결라인(PL1), 제2 패드부재(PP2)에 연결된 제2 패드 연결라인(PL2), 및 제3 패드부재(PP3)에 연결된 제3 패드 연결라인(PL3) 각각과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더미라인(DP1)이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표시부(AA)를 둘러싸는 폐루프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더미라인(DP1)은 제1 패드 연결라인(D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전극(DP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더미라인(DP2)은 제1 더미라인(DP1)과 댐(DA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더미라인(DP2)은 제1 더미라인(DP1)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더미라인(DP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라인(DP2) 역시 폐루프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2 더미라인(DP)은 제1 패드 연결라인(PL1), 제2 패드 연결라인(PL2), 및 제3 패드 연결라인(PL3) 각각과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더미라인(DP2)은 제2 패드 연결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전극(DP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라인(DP3)은 댐(DAM)과 표시부(A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더미라인(DP3)은 폐루프 형태로 구비되며 제1 패드 연결라인(PL1), 제2 패드 연결라인(PL2), 및 제3 패드 연결라인(PL3) 각각과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더미라인(DP3)은 제3 패드 연결라인(DP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더미전극(DPE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더미전극(DPE1), 제2 더미전극(DPE2), 및 제3 더미전극(DPE3) 각각의 폭은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 영역(CA)에는 패드 연결라인(P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 버퍼층(BL)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111b), 및 층간 절연층(111b)과 제1 더미전극(DPE1) 사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을 포함하고, 패시베이션층(111c)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더미전극(DPE1)의 폭(DPEW1)은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PW1)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4와 같이, 패시베이션층(111c)보다 바깥쪽으로 제1 더미전극(DPE1)을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제1 더미전극(DPE1)의 돌출된 부분이 마스크 역할을 하여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6)을 단절시키기 위함이다. 비표시부(IA)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116)이 제1 더미전극(DPE1)에 의해 단절됨으로써, 기판(110)의 외부에서 표시부(AA)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2 더미전극(DPE2)은 제2 패드 연결라인(PL2)과의 교차 영역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더미전극(DPE3)은 제3 패드 연결라인(PL3)과의 교차 영역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의 교차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16)을 단절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AA)로의 투습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교차 영역에서 유기발광층(116)이 단절되는 것만 설명하였지만, 비표시부(IA) 또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유기발광층(116)은 폐루프 형태로 구비된 제1 내지 제3 더미라인(DP1, DP2, DP3) 각각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116) 상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117)은 더미부(DP)에 의해 유기발광층(116)과 함께 단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표시부(IA)에 구비되는 공통 전극(117)은 단절되지 않고 하나로 이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3 더미전극의 폭은 제1 더미전극의 폭(W1)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 더미전극(DPE3)의 폭은 제3 더미부(DP3)의 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3 더미전극(DPE3)의 폭은 제3 더미부(DP3)의 폭(W3)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더미전극은 유기발광층(116)을 단절시키기 위한 폭을 가져야 하므로, 제3 더미전극(DPE3)의 폭(W3)은 제1 더미전극의 폭(W1)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제3 더미전극(DPE3)의 폭(W3)이 제1 더미전극(DPE1)의 폭(W1)보다 더 넓게 구비될 경우, 표시부(AA)에서 비표시부(IA)로 연장되는 유기발광층(116)을 1차적으로(또는 3차적으로 또는 최종적으로) 확실하게 단절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더미전극(DPE2)을 통한 유기발광층(116)의 2차 단절, 및 제1 더미전극(DPE1)을 통한 유기발광층(116)의 3차 단절(또는 1차 단절)로 인해 기판(110)의 외부에서 표시부(AA)로의 투습 방지가 극대화될 수 있다. 제3 더미전극(DPE3)의 폭(W3)은 제2 더미전극의 폭(W2)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더미전극(DPE1, DPE2)의 폭으로 인해 제1 더미라인(DP1)과 제2 더미라인(DP2) 사이에는 언더컷부(UC)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언더컷부(UC)는 제1 더미라인(DP1) 또는 제2 더미라인(DP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부(UC)는 폐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언더컷부(UC)에서 유기발광층(116)은 단절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언더컷부(UC)에는 더미 전극에 의해 단절된 유기발광층(116)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언더컷부(UC)에는 단절된 공통 전극(117)의 일부도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더미부(DP)에 의해 유기발광층(116)이 단절됨으로써, 외부에서 표시부(AA)로의 투습이 방지되어 발광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의 교차 영역(CA)에서 연결부(CP)를 통해 더미부(DP)의 더미전극과 패드 연결라인(PL)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Ⅱ-Ⅱ'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선 Ⅲ-Ⅲ'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선 Ⅳ-Ⅳ'의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선 Ⅴ-Ⅴ'의 단면도이며,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선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드 연결라인(PL)이 비교차 영역(NCA)에서 패드 연결라인(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라인(PTL)을 더 포함하고, 연결부(CP)는 돌출라인(PTL) 상에서 더미부(DP)와 돌출라인(PT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더미부(DP)의 폭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연결부(CP)는 교차 영역(CA) 내에서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에는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이 교차 영역(CA) 내에서 기판(110)의 두께 방향(Z)으로 중첩된다.
그에 반하여,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교차 영역(CA)에 인접하며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이 교차하지 않는 비교차 영역(NCA)을 포함하고, 연결부(CP)는 비교차 영역(NCA)에 배치된 돌출라인(PTL) 상에서 더미부(DP)와 돌출라인(PT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차 영역(NCA)에서는 돌출라인(PTL)과 더미부(DP)가 교차하지 않고 나란하게 중첩되어 배치되므로, 도 2에서 패드 연결라인(PL)과 더미부(DP)가 십자 형태로 교차되는 교차 영역(CA)과 구별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연결부(CP)가 비교차 영역(NCA)에 배치되는 이유는, 더미부(DP)(또는 더미 전극(DPE)) 및/또는 화소 전극(114)을 패턴하는 패턴 공정에 사용되는 패턴물질(또는 식각물질)에 의해 연결부(CP) 보다 구체적으로, Cu와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라인(CP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114) 또는 더미전극(DPE)은 Ag에천트(Etchant)와 같은 식각물질에 의해 패턴될 수 있는데, 화소 전극(114) 또는 더미전극(DPE)의 바로 아래에 Cu와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라인(CP1)이 배치되면, 제1 연결라인(CP1)이 Ag에천트에 의해 식각되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Ag에천트는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은 손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Cu와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라인(CP1)을 화소 전극(114) 또는 더미전극(DPE)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되게 위치시키고, Ag에천트에 손상되지 않는 제2 연결라인(CP2)을 통해 제1 연결라인(CP1)과 더미 전극(DPE)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더미전극(DPE)의 패턴 시 사용되는 Ag에천트에 의해 제1 연결라인(CP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라인(CP1)에 접촉되는 돌출라인(PTL)이 Cu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돌출라인(PTL)이 화소 전극(114) 또는 더미전극(DPE)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될 수 있으므로, Ag에천트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부(CP)가 교차 영역(CA)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교차 영역(CA)에서는 도 6의 단면도와 같이, 패드 연결라인(PL)과 더미부(DP) 사이에 컨택홀이 구비되지 않는다. 교차 영역(CA)의 패드 연결라인(PL) 상에는 버퍼층(BL) 상의 층간 절연층(111b), 층간 절연층(111b) 상의 패시베이션층(111c), 및 패시베이션층(111c) 상에 패시베이션층(111c)보다 넓은 폭으로 구비된 더미전극(DPE)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표시부(IA)의 유기발광층(116)(또는 유기발광층(116)과 공통 전극(117))은 더미부 사이의 언더컷부(UC)에서 단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표시부(AA)에 대한 투습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연결부(CP)와 돌출라인(PT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비교차 영역(NCA)에서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 및 상기 버퍼층(BL)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중간 절연층(MIL1)은 연결부(CP)와 돌출라인(PTL)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CP)의 제1 연결라인(CP1)은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돌출라인(PT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라인(CP1)은 비교차 영역(NCA) 내에서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VH1) 및 제1 비아홀(VH1)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111b)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VH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라인(CP1)은 제1 비아홀(VH1)에서 노출된 돌출라인(PTL)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돌출라인(PT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더미부(DP)와 연결부(C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비교차 영역(NCA) 내에서 층간 절연층(111b)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간 절연층(MIL2)은 더미부(DP)와 연결부(CP)(또는 제2 연결라인(CP2))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CNT2)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부(DP)는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제2 연결라인(C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는 비교차 영역(NCA) 내에서 제2 비아홀(VH2)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VH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부(DP)는 제3 비아홀(VH3)에서 노출된 제2 연결라인(CP2)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제2 연결라인(C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연결라인(CP1) 및/또는 패드 연결라인(PL)이 갖는 돌출라인(PTL)이 Ag에천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컨택홀(CNT1)은 돌출라인(PTL) 상에서 제2 컨택홀(CNT2)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택홀(CNT1)이 갖는 제1 비아홀(VH1)과 제2 비아홀(VH2)은 기판(110)의 두께 방향(Z)으로 중첩될 수 있고, 제2 컨택홀(CNT2)이 갖는 제3 비아홀(VH3)은 기판(110)의 두께 방향(Z)으로 제2 비아홀(VH2)(또는 제1 비아홀(VH1))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라인(CP1)은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이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컨택홀(CNT1)에서 돌출라인(PTL)에 접촉되어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CP2)은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 사이에서 제1 연결라인(CP1)의 상면 및/또는 측면과 접촉되고 제2 컨택홀(CNT2)까지 연장되어 제2 컨택홀(CNT2)에서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교차 영역(NCA)에 배치된 돌출라인(PTL) 상에서 연결부(CP)를 통해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전극(DPE1))와 돌출라인(PTL)이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정전기가 방지될 수 있으면서 Ag에천트에 의한 제1 연결라인(CP1) 및/또는 돌출라인(PTL)의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제1 패드 연결라인(PL1)은 비교차 영역(NCA)으로 돌출된 제1 돌출라인(PTL1)을 포함하고, 제2 패드 연결라인(PL2)은 비교차 영역(NCA)으로 돌출된 제2 돌출라인(PTL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차 영역(NCA)은 더미부(DP)와 패드 연결라인(PL)이 십자 형태로 교차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하며, 도 5와 같이, 제1 돌출라인(PTL1)이 배치되는 비교차 영역(NCA)과 제2 돌출라인(PTL2)이 배치되는 비교차 영역(NCA)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돌출라인(PTL1)이 제1 패드 연결라인(PL1)과 제2 패드 연결라인(PL2) 사이에서 제1 패드 연결라인(PL1)과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2 돌출라인(PTL2)이 제2 패드 연결라인(PL2)과 제3 패드 연결라인(PL3) 사이에서 제2 패드 연결라인(PL2)과 연결되도록 배치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더미라인(DP1)은 제1 돌출라인(PTL1) 상에서 제1 돌출라인(PTL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전극(DPE1)을 포함하고, 제2 더미라인(DP2)은 제2 돌출라인(PTL2) 상에서 제2 돌출라인(PT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전극(DP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라인(DP3)은 제3 돌출라인(PTL3) 상에서 제3 돌출라인(PTL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더미전극(DPE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라인(PTL1), 제2 돌출라인(PTL2), 및 제3 돌출라인(PTL3)은 도 5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돌출라인(PTL1), 제2 돌출라인(PTL2), 및 제3 돌출라인(PTL3) 상에서(또는 내부에서) 제1 돌출라인(PTL1), 제2 돌출라인(PTL2), 및 제3 돌출라인(PTL3)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전극(DPE1), 제2 더미전극(DPE2), 및 제3 더미전극(DPE3)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돌출라인(PTL)이 포함되지 않은 패드 연결라인(PL)을 따른 단면이기 때문에, 제1 더미라인(DP1)의 제1 더미전극(DPE1), 제2 더미라인(DP2)의 제2 더미전극(DPE2), 및 제3 더미라인(DP3)의 제3 더미전극(DPE3) 각각은 도 6에서 패드 연결라인(PL)과 연결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교차 영역(NCA)에 중첩되는 더미전극의 폭이 교차 영역(CA)에 중첩되는 더미전극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돌출라인(PTL1)에 중첩되는 제1 더미전극의 폭(DEW1)은 교차 영역(CA)에서 제1 패드 연결라인(PL1)에 중첩되는 제1 더미전극의 폭(DEW2)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CP)를 통해 더미부(DP)를 돌출라인(PTL)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돌출라인(PTL)과 제1 연결라인(CP1), 제1 연결라인(CP1)과 제2 연결라인(CP2), 및 제2 연결라인(CP2)과 더미전극(DPE) 각각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비교차 영역(NCA)에서 제1 돌출라인(PTL1)의 폭(또는 면적)이 확보됨에 따라 공정 상의 미스 얼라인이 발생하더라도 더미부(DP)의 더미전극은 연결부(CP)를 통해 돌출라인(PT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전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교차 영역(NCA) 보다 구체적으로, 교차 영역(CA)에서 이격된 비교차 영역(NCA) 내에서 더미부(DP)와 돌출라인(PTL)이 연결부(CP)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패드 연결라인(PL) 쪽에 배치된 다른 신호 배선들과의 기생 캡이 방지될 수 있어, 신호 배선들의 영상 신호에 대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더미 라인(DP2)이 갖는 제2 더미 전극(DPE2)은 도 7과 같이, 제1 돌출라인(PTL1)에 제2 방향(Y)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서브 더미전극(SDE1) 및 제1 서브 더미전극(SDE1)과 연결되는 제2 서브 더미전극(SD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더미전극(SDE2)은 제2 방향(Y)으로 제1 돌출라인(PTL1)과 마주보지 않는 제2 더미전극(DPE2)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더미전극(SDE1)의 폭(SDEW1)은 제2 서브 더미전극(SDE2)의 폭(SDEW2)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차 영역(NCA)의 더미전극(DPE)(또는 제1 더미전극(DPE1) 또는 제1 돌출라인(PTL1))은 공정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교차 영역(CA)의 더미전극(DPE)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접한 더미전극(DPE)(또는 제2 더미전극(DPE2) 또는 제1 서브 더미전극(SDE1))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비표시부(IA)(또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베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스크린 형태로 배치될 경우 단절감 없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8b 내지 도 8d와 같이, 비교차 영역(NCA)에서 돌출라인(PTL)과 더미부(DP)의 더미전극(DPE)을 연결할 수 있고, 비교차 영역(NCA)에 배치된 더미전극(DPE)을 통해 언더컷부(UC)를 형성하여 유기발광층(116)을 단절시킬 수 있다.
먼저, 도 8b를 참조하면, 비교차 영역(NCA)에서 패드 연결라인(PL)과 연결되는 쪽에 형성된 돌출라인(PTL)의 일측 부분에서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돌출라인(PTL), 돌출라인(PTL)을 덮도록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 버퍼층(BL) 상의 층간 절연층(111b), 층간 절연층(111b) 상의 제2 연결라인(CP2), 제2 연결라인(CP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패시베이션층(111c)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3 비아홀(VH3)을 갖는 제2 컨택홀(CNT2), 및 제2 컨택홀(CNT2)에서 제2 연결라인(CP2)에 접촉되고 패시베이션층(111c)의 상면을 덮으며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게 구비된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라인(DP1) 또는 제1 더미전극(DPE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차 영역(NCA)에 배치된 더미부(DP)는 제2 연결라인(C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유기발광층(116)은 더미부(DP)의 양측에 형성된 언더컷부(UC)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116) 상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117)은 언더컷부(UC)에서 단절되거나 단절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8c를 참조하면, 비교차 영역(NCA)에서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 사이에서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돌출라인(PTL), 돌출라인(PTL)을 덮도록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 버퍼층(BL) 상의 층간 절연층(111b), 층간 절연층(111b) 상의 제1 연결라인(CP1), 제1 연결라인(CP1)의 상면에 접촉된 제2 연결라인(CP2), 제2 연결라인(CP2)의 상면과 측면, 및 제1 연결라인(CP1)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11c), 및 패시베이션층(111c)의 상면을 덮으며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게 구비된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라인(DP1) 또는 제1 더미전극(DPE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차 영역(NCA)의 제1 컨택홀(CNT1)과 제2 컨택홀(CNT2) 사이에서는 제1 연결라인(CP1)와 제2 연결라인(CP2)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더미부(DP)의 양측에 형성된 언더컷부(UC)에 의해 유기발광층(116)이 단절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116) 상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117)은 언더컷부(UC)에서 단절되거나 단절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8d를 참조하면, 비교차 영역(NCA)에서 돌출라인(PTL)의 타측 부분(또는 돌출라인(PTL)의 끝단)에서는 기판(110) 상에 배치된 돌출라인(PTL), 돌출라인(PTL)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된 버퍼층(BL)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비아홀(VH1), 제1 비아홀(VH1)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층(111b)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홀(VH2), 제1 비아홀(VH1)과 제2 비아홀(VH2)이 중첩하여 형성된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돌출라인(PTL)의 상면에 접촉되고 층간 절연층(111b)의 상면을 덮는 제1 연결라인(CP1), 제1 연결라인(CP1)의 상면을 덮으며 층간 절연층(111b)의 상면에 접촉되는 패시베이션층(111c), 및 패시베이션층(111c)의 상면을 덮으며 패시베이션층(111c)의 폭보다 넓게 구비된 더미부(DP)(또는 제1 더미라인(DP1) 또는 제1 더미전극(DPE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더미부(DP)는 제1 컨택부(CNT1)에서 오목하게 삽입된 패시베이션층(111c)의 프로파일을 따라 제1 컨택부(CNT1)에서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차 영역(NCA)에서 돌출라인(PTL)의 타측 부분에 배치된 제1 연결라인(CP1)은 돌출라인(P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유기발광층(116)은 더미부(DP)의 양측에 형성된 언더컷부(UC)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116) 상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117)은 언더컷부(UC)에서 단절되거나 단절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비교차 영역(NCA)의 내부 또는 돌출라인(PTL) 상에 배치되는 더미부(DP)에 의해 유기발광층(116)이 단절됨으로써, 표시부(AA)에 대한 투습이 방지되어 발광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비교차 영역(NCA)에서 연결부(CP)를 통해 더미부(DP)의 더미전극과 돌출라인(PTL)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셋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교차 영역(NCA)에서 제1 컨택부(CNT1)와 제2 컨택부(CNT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더미부(DP)(또는 화소전극(114)) 패턴 시 사용되는 Ag에천트와 같은 식각물질(또는 패턴물질)에 의해 제1 연결라인(CP1) 및/또는 돌출라인(PTL)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과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교차 영역(NCA)에서 돌출라인(PTL)과 중첩되는 더미부(DP)와 돌출라인(PTL)과 중첩되지 않는 더미부(DP)의 폭이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더미부(DP)와 돌출라인(PTL)과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면서도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스크린 형태로 배치될 경우 단절감 없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표시 패널은 표시부(AA)를 갖는 기판(110), 및 기판(110)의 표시부(AA)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AA)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써, 활성부, 활성 영역, 또는 표시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AA)의 크기는 기판(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AA)는 기판(110)의 전면 전체에 구현(또는 배치)됨으로써, 기판(110)은 표시부(AA) 전체를 둘러싸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마련되는 불투명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전체는 표시부(AA)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AA)의 끝단(또는 최외곽)은 기판(110)의 외측면에 정렬(align)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방향(Z 또는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부(AA)의 측면(lateral surface)은 기판(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선에 정렬될 수 있다. 표시부(AA)의 측면은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오직 공기(air)에 의해서만 둘러싸일 수 있다. 즉, 표시부(AA)의 모든 측면은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공기(air)와 직접 접촉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AA)의 끝단과 대응되는 기판(110)의 외측면이 공기에 의해서만 둘러싸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부(AA)의 끝단(또는 측면)이 불투명한 비표시 영역 아닌 공기(air)에 의해 둘러싸이는 에어-베젤(air-bezel) 구조 또는 베젤이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화소(P)는 기판(110)의 표시부(AA) 상에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제 1 간격(D1)을 가지도록 배열(또는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방향(X)은 가로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거나 기판(1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길이 방향(예를 들면, 가로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제 2 방향(Y)은 세로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이거나 기판(1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길이 방향(예를 들면, 세로 길이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화소(P)는 제1 간격(D1)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으므로, 더미부(DP)와 패드부(PP)와 연결부(CP), 및 댐(DAM)은 서브 화소들(SP1, SP2, SP3, SP4)에 중첩되지 않으면서 제1 간격(D1)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를 기준으로 더미부(DP)와 패드부(PP)와 연결부(CP), 및 댐(DAM)은 제1 간격(D1) 절반의 범위 내에서 제1 서브 화소(SP1)의 좌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패드부(PP)는 기판(110)의 배면(또는 후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GD)를 포함할 경우, 게이트 구동부(GD)는 기판(110)의 전면(또는 상면) 내에 구현(또는 내장)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기판(110)의 표시부(AA) 상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L1), 및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제 1 길이(L1)는 제 2 길이(L2)와 동일하거나 제 1 간격(D1)과 동일할 수 있다. 제 1 길이(L1)와 제 2 길이(L2) 각각은 제 1 간격(D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화소(P)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길이(L1)는 제 1 폭, 가로 길이, 또는 가로 폭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 2 길이(L2)는 제 2 폭, 세로 길이, 또는 세로 폭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축) 각각을 따라 인접한 2개의 화소(P)는 제조 공정 상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제 1 간격(D1)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간격(D1)은 인접한 2개의 화소(P) 사이의 피치(pitch)(또는 화소 피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격(D1)은 인접한 2개의 화소(P) 각각의 중심부 사이의 최단 거리(또는 최단 길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소 피치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화소(P)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에서 화소 피치는 제 2 방향(Y축)과 나란한 화소(P)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크기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기판(110) 상의 화소 영역에 구현된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층(또는 회로소자층), 및 회로층 상에 배치되어 화소 회로에 연결된 발광 소자층(또는 발광 소자)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화소 영역에 배치된 화소 구동 라인들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와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류를 출력한다. 발광 소자층은 화소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는 최외곽 화소들(Po) 및 내부 화소들(Pi)로 구분될 수 있다.
최외곽 화소들(Po)(또는 제 1 화소들)은 복수의 화소(P) 중에서 기판(110)의 외측면 또는 댐(DAM)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화소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외곽 화소들(Po)은 제 1 화소들로 표현될 수도 있다.
최외곽 화소들(Po)의 중심부와 기판(110)의 외측면 사이의 제 2 간격(D2)은 제 1 간격(D1)의 절반이거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간격(D2)은 최외곽 화소들(Po)의 중심부와 기판(110)의 외측면 사이의 최단 거리(또는 최단 길이)일 수 있다.
제 2 간격(D2)이 제 1 간격(D1)의 절반을 초과할 때, 기판(110)은 제 1 간격(D1)의 절반과 제 2 간격(D2)의 차이만큼 표시부(AA)보다 더 큰 크기를 가져야만 하고, 이로 인해, 최외곽 화소(Po)의 끝단과 기판(11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은 표시부(AA) 전체를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간격(D2)이 제 1 간격(D1)의 절반을 초과할 때, 기판(110)은 표시부(AA) 전체를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에 따른 베젤 영역을 필연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2개의 기판(110) 각각이 갖는 제 2 간격(D2)의 합이 제 1 간격(D1)보다 커져서 각 기판(110)의 베젤 영역의 합(또는 심(seam))이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간격(D2)이 제 1 간격(D1)의 절반이거나 절반 이하일 때, 최외곽 화소(Po)의 끝단이 기판(110)의 외측면에 정렬되거나 표시부(AA)의 끝단이 기판(110)의 외측면(OS)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표시부(AA)는 기판(110)의 전면 전체에 구현(또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접하게 배치되더라도 심(seam)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화소들(Pi)은 복수의 화소(P) 중에서 최외곽 화소들(Po)을 제외한 나머지 화소들 또는 복수의 화소(P) 중에서 최외곽 화소들(Po)에 의해 둘러싸이는 화소들일 수 있다. 내부 화소들(Pi)은 제 2 화소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소들(Pi)은 최외곽 화소(Po)와 다른 구성 또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P)는 화소 영역(PA)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는 화소 영역(PA)의 제 1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서브 화소(SP2)는 화소 영역(PA)의 제 2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고, 제3 서브 화소(SP3)는 화소 영역(PA)의 제 3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되고, 제4 서브 화소(SP4)는 화소 영역(PA)의 제 4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서브 화소(SP1)는 제 1 색의 광, 제2 서브 화소(SP2)는 제 2 색의 광, 제3 서브 화소(SP3)는 제 3 색의 광, 및 제4 서브 화소(SP4)는 제 4 색의 광을 각각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색 각각은 각기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색은 적색, 제 2 색은 청색, 제 3 색은 백색, 및 제 4 색은 녹색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 1 내지 제 4 색 중 일부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색은 적색, 제 2 색은 제 1 녹색, 제 3 색은 제 2 녹색, 및 제 4 색은 청색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은 발광 영역(EA1, EA2, EA3, EA4) 및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서브 화소 영역 내에서 화소(P)의 중심부(CP) 쪽으로 치우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개구 영역, 개구부, 또는 발광부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균등 쿼드 구조 또는 균등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균등 쿼드 구조 또는 균등 스트라이프 구조 갖는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화소(P)의 4등분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서브 화소 영역 내에서 화소(P)의 중심부(CP) 쪽으로 치우져 배치되거나 화소(P)의 중심부(CPO)에 집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비균등 쿼드 구조 또는 비균등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균등 쿼드 구조(또는 비균등 스트라이프 구조)를 갖는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크기는 해상도, 발광 효율, 또는 화질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이 비균등 쿼드 구조(또는 비균등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질 때,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 중 제4 서브 화소(SP4)의 발광 영역(EA4)이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제3 서브 화소(SP3)의 발광 영역(EA3)이 가장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균등 쿼드 구조(또는 비균등 스트라이프 구조)를 갖는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화소(P)의 중심부(CPO) 주변에 집중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화소(P)(또는 화소 영역(PA)) 내에서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의 중심부는 화소(P)의 중심부(CPO)에 정렬되거나 화소(P)의 중심부(CPO)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은 해당하는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은 해당하는 서브 화소를 발광시키기 위한 회로와 화소 구동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은 비발광 영역, 비개구 영역, 비발광부, 비개구부, 또는 주변부로 표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의 크기에 대응되는 서브 화소(SP1, SP2, SP3, SP4)의 개구율을 증가시키거나 화소(P)의 고해상도화에 따라 화소 피치(D1)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의 일부 또는 전체와 중첩되도록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 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SP1, SP2, SP3, SP4)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해당하는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과 중첩되도록 기판(11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은 회로 영역(CIA1, CIA2, CIA3, CIA4)과 같거나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예에 따른 복수의 화소(P) 각각은 제 1 내지 제 3 서브 화소(SP1, SP2, 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의 발광 영역(EA1, EA2, EA3)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단변과 제 2 방향(Y)과 나란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1Х3 형태 또는 1Х3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는 적색 서브화소, 제2 서브 화소(SP2)는 청색 서브화소, 및 제3 서브 화소(SP3)는 녹색 서브화소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 Ⅶ-Ⅶ'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일링하여 구현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개별 영상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측면끼리 서로 접촉되도록 별도의 타일링 프레임에 타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ХM(M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형태를 가지도록 타일링됨으로써 대화면의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AA) 전체를 둘러싸는 베젤 영역(또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표시 영역(AA)이 공기에 의해 둘러싸이는 에어-베젤 구조를 갖는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은 기판(110)의 전면(또는 상면) 전체가 표시 영역(AA)으로 구현된다.
본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에서, 최외곽 화소(PAo)의 중앙부(CPO)와 기판(110)의 최외곽 외측면(VL) 사이의 제 2 간격(D2)은 인접한 화소 사이의 제 1 간격(D1)의 절반 이하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측면 결합 방식에 따라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측면끼리 연결(또는 접촉)된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에서, 인접한 최외곽 화소(PAo) 간의 간격(D2+D2)은 인접한 2개의 화소 사이의 제 1 간격(D1)과 동일하거나 작게 된다.
도 12를 예로 들면, 제 2 방향(Y)을 따라 측면끼리 연결(또는 접촉)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DM1)과 제 3 디스플레이 모듈(DM3)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DM1)의 최외곽 화소(PAo)의 중앙부(CPO)와 제 3 디스플레이 모듈(DM3)의 최외곽 화소(PAo)의 중앙부(CPO) 사이의 간격(D2+D2)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DM1)과 제 3 디스플레이 모듈(DM3) 각각에 배치된 인접한 2개의 화소 사이의 제 1 간격(D1)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측면끼리 연결(또는 접촉)된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의 최외곽 화소(PAo)의 중앙부(CPO) 사이의 간격(D2+D2)이 각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에 배치된 인접한 2개의 화소 사이의 제 1 간격(D1)과 동일하거나 작기 때문에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심(seam)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사이에 마련되는 경계 부분에 의한 암부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이 2Х2 형태로 타일링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단절감(또는 불연속성) 없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이 2Х2 형태를 가지도록 타일링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이 xХ1 형태, 1Хy 형태, 또는 xХy 형태를 가지도록 타일링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y와 같거나 2 이상의 자연수이고, y는 x보다 크거나 작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각각의 표시 영역(AA)을 하나의 화면으로 한 장의 영상을 표시할 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M1, DM2, DM3, DM4)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영상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를 갖는 기판,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복수의 화소와 이격되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패드부, 표시부를 둘러싸며 패드부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있는 더미부, 더미부와 교차되며 패드부 각각과 연결된 패드 연결라인, 및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연결부는 교차 영역 내에서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부와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 절연층, 및 더미부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 중간 절연층은 연결부와 패드 연결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을 포함하고, 제2 중간 절연층은 더미부와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포함하며, 제1 컨택홀은 교차 영역에서 제2 컨택홀에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제1 컨택홀을 통해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더미부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1 중간 절연층은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2 중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제1 컨택홀은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 및 제1 비아홀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제2 컨택홀은 제2 비아홀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을 포함하며, 연결부는 제1 비아홀과 제2 비아홀을 통해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더미부는 제3 비아홀을 통해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를 둘러싸도록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댐을 포함하고, 표시부와 댐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층을 포함하고, 유기발광층과 공통 전극 각각은 더미부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더미부는 패드부와 댐 사이에 배치된 제1 더미라인, 및 제1 더미라인과 댐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패드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패드부재와 제2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패드 연결라인은 제1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1 패드 연결라인 및 제2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2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제1 더미라인은 제1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제1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 전극을 포함하며, 제2 더미라인은 제2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제2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 및 층간 절연층과 제1 더미 전극 사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제1 더미전극의 폭은 패시베이션층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더미라인과 제2 더미라인 사이에 배치된 언더컷부를 포함하고, 언더컷부는 제1 더미라인 또는 제2 더미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더미부는 댐과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3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패드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제2 패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패드 연결라인은 제3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3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제3 더미라인은 제3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제3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더미전극을 포함하며, 제3 더미전극의 폭은 제1 더미전극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교차 영역에 인접하며 더미부와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지 않는 비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패드 연결라인은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라인을 포함하며, 연결부는 돌출라인 상에서 더미부와 돌출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부와 돌출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 절연층, 및 더미부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 중간 절연층은 연결부와 돌출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을 포함하고, 제2 중간 절연층은 더미부와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포함하며, 제1 컨택홀은 돌출라인 상에서 제2 컨택홀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돌출라인에 접촉되며 제1 컨택홀에서부터 제1 컨택홀과 제2 컨택홀 사이까지 연장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제1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제2 컨택홀까지 연장되어 더미부에 접촉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제1 연결라인은 제1 컨택홀과 제2 컨택홀 사이에서 제2 연결라인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1 중간 절연층은 돌출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2 중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제1 컨택홀은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 및 제1 비아홀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제2 컨택홀은 제2 비아홀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을 포함하고, 제1 비아홀은 제2 비아홀과 중첩되고, 제3 비아홀은 제2 비아홀과 비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를 둘러싸도록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댐을 포함하고, 더미부는 패드부와 댐 사이에 배치된 제1 더미라인, 및 제1 더미라인과 댐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패드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패드부재와 제2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패드 연결라인은 제1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1 패드 연결라인 및 제2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2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제1 패드 연결라인은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제1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제2 패드 연결라인은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제2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제1 더미라인은 제1 돌출라인 상에서 제1 돌출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 전극을 포함하며, 제2 더미라인은 제2 돌출라인 상에서 제2 돌출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패드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제2 패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패드 연결라인은 제3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3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제1 돌출라인은 제1 패드 연결라인과 제2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돌출라인은 제2 패드 연결라인과 제3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1 돌출라인에 중첩되는 제1 더미전극의 폭은 교차영역에 중첩되는 제1 더미전극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2 더미전극은 제1 돌출라인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서브 더미전극 및 제1 서브 더미전극과 연결되는 제2 서브 더미전극을 포함하고, 제1 서브 더미전극의 폭은 제2 서브 더미전극의 폭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표시부의 측면은 기판의 외측면에 정렬되거나 상기 표시부의 크기는 상기 기판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 중 최외곽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와 패드부와 연결부를 포함하고, 또는 복수의 화소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화소 피치를 가지도록 기판 상에 배열되고 최외곽 화소의 중심부와 기판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화소 피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 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표시장치,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범위 또는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기판 111: 회로 소자층
111a: 게이트 절연막 111b: 층간 절연막
111c: 패시베이션층 112: 박막 트랜지스터
113: 평탄화층 114: 화소 전극
115: 뱅크 116: 유기발광층
117: 공통 전극 118: 봉지층
PP: 패드부 DP: 더미부
PL: 패드 연결라인 CP: 연결부
DAM: 댐 CA: 교차 영역
NCA: 비교차 영역 CNT1: 제1 컨택홀
CNT2: 제2 컨택홀 MIL1: 제1 중간 절연층
MIL2: 제2 중간 절연층 PTL: 돌출라인
UC: 언더컷부 CL: 커버층
FF: 필름 CM: 씰링 부재
120: 소스 드라이브IC 130: 연성 필름
140: 회로보드 150: 타이밍 제어부

Claims (23)

  1. 표시부를 갖는 기판;
    상기 표시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와 이격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패드부;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며 상기 패드부와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있는 더미부;
    상기 더미부와 교차되며 상기 패드부 각각과 연결된 패드 연결라인; 및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차 영역 내에서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 절연층; 및
    상기 더미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절연층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 절연층은 상기 더미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교차 영역에서 상기 제2 컨택홀에 중첩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더미부는 상기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절연층은 상기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 절연층은 상기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1 비아홀 상에 배치된 상기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제2 비아홀 상에 배치된 상기 패시베이션층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비아홀과 상기 제2 비아홀을 통해 상기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더미부는 상기 제3 비아홀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댐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과 상기 공통 전극 각각은 상기 더미부에 의해 단절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된 제1 더미라인, 및 상기 제1 더미라인과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패드부재와 제2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제1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1 패드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2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라인은 상기 제1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상기 제1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더미라인은 상기 제2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상기 제2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연결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 및
    상기 층간 절연층과 상기 제1 더미 전극 사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전극의 폭은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폭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라인과 상기 제2 더미라인 사이에 배치된 언더컷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제1 더미라인 또는 상기 제2 더미라인을 따라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는 상기 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3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2 패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제3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3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더미라인은 상기 제3 패드 연결라인과 교차하며 상기 제3 패드 연결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더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더미전극의 폭은 상기 제1 더미전극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 연결라인이 교차하지 않는 비교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라인 상에서 상기 더미부와 상기 돌출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 절연층; 및
    상기 더미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절연층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컨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 절연층은 상기 더미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돌출라인 상에서 상기 제2 컨택홀과 이격되어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라인에 접촉되며 상기 제1 컨택홀에서부터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2 컨택홀 사이까지 연장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컨택홀까지 연장되어 상기 더미부에 접촉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2 컨택홀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절연층은 상기 돌출라인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 절연층은 상기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1 비아홀 상에 배치된 상기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제2 비아홀 상에 배치된 상기 패시베이션층을 관통하는 제3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아홀은 상기 제2 비아홀과 중첩되고,
    상기 제3 비아홀은 상기 제2 비아홀과 비중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댐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부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된 제1 더미라인, 및 상기 제1 더미라인과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패드부재와 제2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제1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1 패드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2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제1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비교차 영역으로 돌출된 제2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라인은 상기 제1 돌출라인 상에서 상기 제1 돌출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더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더미라인은 상기 제2 돌출라인 상에서 상기 제2 돌출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2 패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연결라인은 상기 제3 패드부재에 연결된 제3 패드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라인은 상기 제1 패드 연결라인과 상기 제2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라인은 상기 제2 패드 연결라인과 상기 제3 패드 연결라인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라인에 중첩되는 상기 제1 더미전극의 폭은 상기 교차영역에 중첩되는 상기 제1 더미전극의 폭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전극은 상기 제1 돌출라인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서브 더미전극 및 상기 제1 서브 더미전극과 연결되는 제2 서브 더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더미전극의 폭은 상기 제2 서브 더미전극의 폭보다 좁은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외측면에 정렬되거나 상기 표시부의 크기는 상기 기판의 크기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최외곽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복수의 화소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화소 피치를 가지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되고 상기 최외곽 화소의 중심부와 상기 기판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피치의 절반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외측면에 정렬되거나 상기 표시부의 크기는 상기 기판의 크기와 동일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최외곽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더미부와 상기 패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복수의 화소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회소 피치를 가지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되고 상기 최외곽 화소의 중심부와 상기 기판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피치의 절반 이하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75903A 2021-12-09 2021-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7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03A KR20230087180A (ko) 2021-12-09 2021-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202211579720.9A CN116437751A (zh) 2021-12-09 2022-12-06 显示设备以及包括显示设备的多屏显示设备
US18/062,931 US20230189589A1 (en) 2021-12-09 2022-12-07 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03A KR20230087180A (ko) 2021-12-09 2021-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80A true KR20230087180A (ko) 2023-06-16

Family

ID=8669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03A KR20230087180A (ko) 2021-12-09 2021-12-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9589A1 (ko)
KR (1) KR20230087180A (ko)
CN (1) CN11643775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9589A1 (en) 2023-06-15
CN116437751A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7837B (zh) 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8006470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36428A (ko) 표시장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JP7308253B2 (ja) 表示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KR2018012909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8098188A (ja)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3358B1 (ko) 표시 장치
KR202300871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0446A (ko) 표시 장치
KR20230092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11864419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20230111042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20230200194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20230200143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KR20200025582A (ko) 표시장치
US20230209882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EP4287255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184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00412A (ko) 투명 표시 장치
KR202300188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0153A (ko) 투명 표시 장치
KR20230102376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