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843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843A
KR20230086843A KR1020210174624A KR20210174624A KR20230086843A KR 20230086843 A KR20230086843 A KR 20230086843A KR 1020210174624 A KR1020210174624 A KR 1020210174624A KR 20210174624 A KR20210174624 A KR 20210174624A KR 20230086843 A KR20230086843 A KR 2023008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supply
water
tub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843A/ko
Priority to EP22904395.5A priority patent/EP4345205A1/en
Priority to PCT/KR2022/012844 priority patent/WO2023106559A1/ko
Priority to CN202280051216.3A priority patent/CN117693617A/zh
Priority to US17/955,831 priority patent/US20230175191A1/en
Publication of KR2023008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급수행정 중 급수장치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압 환경에서 급수장치에 대한 진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단계, 세탁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단계,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단계 및 헹굼 단계에서 터브 내에 물을 공급하고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하며, 세탁 및 헹굼에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행정을 진행한다.
급수행정은 세탁기의 급수장치가 동작하여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는 행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제로는 급수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급수가 진행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세탁 사이클이 중지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급수행정 중 급수장치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세탁기에 의해 진행 중인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잔여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고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3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수 시작 후에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기 전까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기에 의해 진행 중인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고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3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펄세이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브의 수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도 급수장치의 동작 여부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브의 수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도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브의 수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도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정확한 시간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에 따라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을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정확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사이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행정 중 터브의 수위가 리셋수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고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저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저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2는 무게값들의 차이값에 따른 급수장치의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이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 세탁조(120, 130), 구동모터(140), 급수장치(150), 세제공급장치(155), 배수장치(160), 구동부(200), 수위센서(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수용하는 캐비닛(101)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1)에는, 컨트롤 패널(110), 수위센서(170), 구동부(200), 구동모터(140), 급수장치(150), 배수장치(160), 세제공급장치(155) 및 세탁조(120, 130)가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1)의 일면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01a)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세탁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01a)가 캐비닛(101)의 상면에 배치되는 탑-로딩(top-loading) 세탁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투입구(101a)가 캐비닛(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런트-로딩(front-loading)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탑-로딩 세탁기에 한정되거나 또는 프런트-로딩 세탁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탑-로딩 세탁기와 프런트-로딩 세탁기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물론, 세탁기(100)는 탑-로딩 세탁기와 프런트-로딩 세탁기 이외에 다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1)의 일면에는 투입구(101a)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02)가 마련된다. 도어(102)는 투입구(101a)와 동일한 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힌지(hinge)에 의하여 캐비닛(10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캐비닛(101)의 일면에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0)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 버튼(111)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세탁 설정 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111)은 예를 들어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은,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11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출력 신호를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코스 선택 다이얼의 회전(또는 코스 선택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 및 세탁기(100)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설정 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112)(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제어부(190)로부터 표시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캐비닛(101)의 내부에는, 세탁조(120, 130)가 마련될 수 있다.
세탁조(120, 130)는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터브(120) 및 터브(1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0)는 예를 들어 일 밑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터브(120)는 대략 원형의 터브 밑면(122)과 터브 밑면(122)의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터브 측벽(121)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0)의 다른 일 밑면은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20)는 터브 밑면(122)이 세탁기(100)의 바닥을 향하고 터브 측벽(121)의 중심축(R)이 바닥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20)는 터브 밑면(122)이 세탁기(100)의 후방을 향하고 터브 측벽(121)의 중심축(R)이 바닥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터브 밑면(122)에는 구동모터(14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베어링(122a)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130)은 세탁물 즉 부하를 수용할 수 있다.
드럼(130)은 예를 들어 일 밑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드럼(130)은 대략 원형의 드럼 밑면(132)과 드럼 밑면(132)의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드럼 측벽(13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130)의 다른 일 밑면은 세탁물이 드럼(130)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30)은 드럼 밑면(132)이 세탁기(100)의 바닥을 향하고 드럼 측벽(131)의 중심축(R)이 바닥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30)은 드럼 밑면(132)이 세탁기(100)의 후방을 향하고 드럼 측벽(131)의 중심축(R)이 바닥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드럼 측벽(131)에는, 터브(120)에 공급된 물이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드럼(13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131a)이 마련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133)가 드럼 밑면(13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133)는 드럼(13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펄세이터(133)는 드럼(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133)는 또한 드럼(130)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거나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프런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측벽(131)에는 드럼(130)의 회전 중에 세탁물을 드럼(130)의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터(131b)가 마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런트-로딩 세탁기의 경우에도 펄세이터(133)가 드럼 밑면(13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133)는 드럼(13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펄세이터(133)는 드럼(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133)는 또한 드럼(130)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거나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 밑면(132)은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축(141)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구동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기초하여 세탁조(120, 130)에 포함되는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모터(140)는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터브(120)의 터브 밑면(122)의 외측에 마련되며, 회전축(141)을 통하여 드럼(130)의 드럼 밑면(132)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41)은 터브 밑면(122)을 관통하며, 터브 밑면(122)에 마련된 베어링(122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터브 밑면(122)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자(142)와, 터브(120) 및 고정자(1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143)는 회전축(141)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자(143)는 고정자(142)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자(143)의 회전은 회전축(141)을 통하여 드럼(13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무정류자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 또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ermament Synchronous Motor: PMSM)를 포함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0)의 토크를 펄세이터(133)와 드럼(130) 모두 또는 드럼(130) 또는 펄세이터(133)에 전달하는 클러치(145)가 마련될 수 있다. 클러치(145)는 회전축(141)과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145)는 회전축(141)의 회전을 내측 샤프트(145a)와 외측 샤프트(145b)로 분배할 수 있다. 내측 샤프트(145a)는 펄세이터(133)와 연결될 수 있다. 외측 샤프트(145a)는 드럼 밑면(132)과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145)는 회전축(141)의 회전을 내측 샤프트(145a)와 외측 샤프트(145b)를 통하여 펄세이터(133)와 드럼(130) 모두에 전달하거나, 또는 회전축(141)의 회전을 외측 샤프트(145b)를 통하여 드럼(130)에 전달하거나, 회전축(141)의 회전을 내측 샤프트(145a)를 통하여 펄세이터(133)에만 전달할 수 있다.
프런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0)는 펄세이터(133)와 드럼(130) 모두 또는 펄세이터(133) 또는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140)는 하나의 고정자의 직경 방향 외측 및 내측에 아우터 회전자 및 이너 회전자를 구비한, 듀얼 회전자 모터일 수 있다.
구동모터(140)의 이너 회전자 및 아우터 회전자는 각각 내측 샤프트(145a)와 외측 샤프트(145b)를 통하여 펄세이터(133) 및 드럼(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을 직접 구동할 수 있다.
다만, 드럼(130)과 펄세이터(133)의 구동 방식이 세탁기(100)의 종류(프런트-로딩 세탁기 또는 탑-로딩 세탁기)에 따라 한정되지 아니하며,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에도 구동모터(140)로서 듀얼 회전자 모터를 사용하여 펄세이터(133)와 드럼(130)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프론트-로딩 세탁기의 경우에도 하나의 고정자(142) 및 하나의 회전자(143)와 클러치(145)를 이용하여 펄세이터(133)와 드럼(130)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140)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모터 및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급수장치(150)는 터브(120) 및 드럼(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장치(15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터브(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도관(151)과, 급수도관(151) 상에 마련되는 급수밸브(152)를 포함한다. 급수도관(151)은 터브(120)의 상측에 마련되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함(156)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함(156)을 거쳐 터브(120)까지 안내된다. 급수밸브(152)는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12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152)는 예를 들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55)는 터브(120) 및 드럼(13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55)는 터브(120)의 상측에 마련되어 세제를 보관하는 세제함(156)과, 세제함(156)을 터브(120)와 연결하는 혼합도관(157)을 포함한다. 세제함(156)은 급수도관(151)과 연결되며, 급수도관(151)을 통하여 공급된 물은 세제함(156)의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물의 혼합물은 혼합도관(157)을 통하여 터브(120)에 공급될 수 있다.
배수장치(160)는 터브(120) 또는 드럼(13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장치(160)는 터브(120)의 하측에 마련되어 터브(120)로부터 캐비닛(101) 외부까지 연장된 배수도관(16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160)는 배수도관(161)에 마련된 배수밸브(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160)는 배수도관(161) 상에 마련된 배수펌프(163)와 배수펌프(163)를 동작시키기 위한 펌프모터(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모터(164)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배수펌프(163)의 양 측의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터브(120) 내에 수용된 물은 압력 차에 의해 배수도관(16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펌프모터(164)는 펌프모터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기초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모터(164)는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무정류자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 또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ermament Synchronous Motor: PMSM)를 포함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170)는 터브(120)의 하부와 연결된 연결호스(171)의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호스(171)의 수위는 터브(120)의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터브(120)의 수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연결호스(171)의 수위가 상승하고, 연결호스(171)의 수위가 상승함으로 인하여 연결호스(17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연결호스(17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압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에 의하여 측정된 연결호스(171)의 압력에 기초하여 연결호스(171)의 수위 즉 터브(120)의 수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위센서(170)는 드럼(130)이 회전하는 경우 수위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수위 주파수)를 분석하여 터브(120)의 수위를 식별할 수 있다.
프런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170)는 터브(120)의 하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0)의 수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수위센서(17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수위센서(170)는 드럼(130)이 회전하는 경우 수위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수위 주파수)를 분석하여 터브(120)의 수위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기(100)는 터브(12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예: 터브(120) 또는 캐비닛(101))에 설치되어 터브(12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3축(X축, Y축, Z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센서는 압전기형(piezoelectric type), 스트레인 게이지형(strain gauge type), 압저항형(piezoresistive type), 정전용량형(capacitive type), 서보형(servo type) 또는 광학형(optical type) 가속도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면, 자이로스코프)로 마련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진동에 관한 센싱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진동에 대응하는 상수값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터브(120)의 3축 가속도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동센서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MEMS는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발된 방식으로서, MEMS 센서는 증착 (Deposition),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패터닝(Patterning) 및 에칭(Etching) 과정을 거쳐 만들어질 수 있다. 진동센서는 실리콘, 폴리머, 금속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MEMS 방식으로 제조된 진동센서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진동센서로부터 수신한 진동신호에 기초하여 터브(120)의 진동량을 결정할 수 있고, 터브(120)의 진동량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컨트롤 패널(110), 수위센서(170), 구동부(200), 급수장치(150)(예: 급수밸브(152)) 및 배수밸브(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CPU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92),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9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92)와 프로세서(191)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92)와 프로세서(191)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1)는 컨트롤 패널(110), 수위센서(170) 및/또는 구동부(20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구동부(200), 급수밸브(152) 및 배수밸브(16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회로, 기억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각종 구성 요소(예: 구동모터(140), 급수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110)로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급수,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각 행정을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급수장치(150)의 급수밸브(152)를 제어하여 터브(1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정류 회로(210), 직류 링크 회로(220), 인버터회로(230), 전류센서(240) 및/또는 인버터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40)에는 회전자의 회전 변위(회전자의 전기각)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70)가 마련될 수 있다.
정류 회로(210)는 복수의 다이오드(D1, D2, D3, D4)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ES)의 교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직류 링크 회로(22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직류 링크 캐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류된 전력의 리플을 제거하고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회로(230)는 3개의 스위칭 소자 쌍(Q1과 Q2, Q3와 Q4, Q5와 Q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직류 링크 회로(220)의 직류 전력을 직류 또는 교류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인버터회로(230)는 또는 구동 전류를 구동모터(14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센서(240)는 인버터회로(230)로부터 출력되는 총 전류를 측정하거나 또는 인버터회로(230)로부터 출력되는 3상 구동 전류(a상 전류, b상 전류, c상 전류) 각각을 측정할 수 있다.
위치센서(270)는 구동모터(14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0)의 회전자의 회전 변위(예를 들어, 회전자의 전기각)를 측정하고, 회전자의 전기각을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센서(270)는 홀 센서, 엔코더, 리졸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버터제어부(250)는 제어부(19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제어부(19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인버터제어부(250)는 예를 들어 목표 속도 명령(ω*)과 구동 전류 값과 회전자(143)의 회전 변위(θ)에 기초하여 인버터회로(23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주문형 반도체 소자(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버터제어부(250)는 목표 속도 명령(ω*)과 구동 전류 값과 회전자의 회전 변위(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일렬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제어부(250)의 구조는 구동모터(140)의 종류에 의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구조의 인버터제어부(25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140)가 무정류자 직류 모터인 경우, 인버터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연산기(251)와, 속도 제어기(253)와, 전류 제어기(254)와, 펄스 폭 변조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제어부(250)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이용하여 무정류자 직류 모터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무정류자 직류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속도 연산기(251)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자 전기각(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값(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연산기(251)는 위치센서(270)에서 수신된 회전자의 전기각(θ)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값(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속도 연산기(251)는 전류센서(240)에 의하여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값(ω)을 산출할 수 있다.
속도 제어기(253)는 제어부(190)의 목표 속도 명령(ω*)과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값(ω)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전류 명령(I*)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제어기(253)는 비례 적분 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어기(254)는 속도 제어기(253)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명령(I*)과 전류센서(24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전류 값(I)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전압 명령(V*)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제어기(254)는, 비례 적분 제어(PI 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 폭 변조기(256)는 전압 명령(V*)에 기초하여 인버터회로(230)가 구동모터(140)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PWM 제어 신호(Vpwm)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인버터제어부(250)는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목표 속도 명령(ω*)에 기초하여 인버터회로(230)가 구동모터(140)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모터(140)가 영구자석 동기 모터인 경우, 인버터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연산기(251)와, 입력 좌표 변환기(252)와, 속도 제어기(253)와, 전류 제어기(254)와, 출력 좌표 변환기(255)와, 펄스 폭 변조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제어부(250)는 벡터 제어를 이용하여 영구자석 동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영구자석 동기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속도 연산기(251)는 도 4에 도시된 속도 연산기(251)와 동일할 수 있다.
입력 좌표 변환기(252)는 회전자 전기각(θ)에 기초하여 3상 구동 전류 값(Iabc)을 d축 전류 값(Id)과 q축 전류 값(Iq) (이하, d축 전류 및 q축 전류라고 한다)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d축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자가 생성하는 자기장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q축은 구동모터(140)의 회전자가 생성하는 자기장의 방향과 90도 앞서는 방향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속도 제어기(253)는 제어부(190)의 목표 속도 명령(ω*)과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값(ω)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에 공급될 q축 전류 명령(Iq*)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제어기(253)는 d축 전류 명령(Id*)을 판단할 수 있다.
전류 제어기(254)는 속도 제어기(253)로부터 출력되는 q축 전류 명령(Iq*)과 입력 좌표 변환기(252)로부터 출력되는 q축 전류 값(Iq)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q축 전압 명령(Vq*)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기(254)는 d축 전류 명령(Id*)과 d축 전류 값(Id)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d축 전압 명령(Vd*)을 판단할 수 있다.
출력 좌표 변환기(255)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자 전기각(θ)에 기초하여 dq축 전압 명령(Vdq*)을 3상 전압 명령(a상 전압 명령, b상 전압 명령, c상 전압 명령) (Vabc*)으로 변환할 수 있다.
펄스 폭 변조기(256)는 3상 전압 명령(Vabc*)으로부터 인버터회로(230)가 구동모터(140)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PWM 제어 신호(Vpwm)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인버터제어부(250)는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목표 속도 명령(ω*)에 기초하여 인버터회로(230)가 구동모터(140)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00)는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전압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과 전류센서(2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값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파워를 연산하는 전력 연산부(미도시)와, 전력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파워 및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목표 파워 지령에 따라 목표 속도 명령(ω*)을 출력하는 파워 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제어기는 비례 적분 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인버터제어부(250)에 목표 파워 지령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인버터제어부(250)는 목표 파워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에 목표 파워가 공급되도록 인버터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에 대하여 파워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고, 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목표 속도 명령)를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92)는 세탁을 위한 드럼(130)의 회전 속도(각속도), 헹굼을 위한 드럼(130)의 회전 속도 및 탈수를 위한 드럼(130)의 회전 속도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세탁 동작의 진행(세탁, 헹굼, 또는 탈수)에 대응하는 목표 속도 명령을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드럼(130)에 수용된 세탁물의 무게(즉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목표 속도 명령을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드럼(130)에 수용된 세탁물의 무게(즉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90)는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40)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140)가 오프된 경우 발생하는 역기전력 값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90)는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제1 목표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목표 속도 명령을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가 제1 목표속도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사이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세탁기(100)의 세탁 사이클(laundry cycle; 1000)은 세탁 단계(1010), 헹굼 단계(1020) 및 탈수 단계(1030)로 구성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세탁 단계(1010), 헹굼 단계(1020) 및 탈수 단계(10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탁 단계(1010)에 의하여, 세탁물은 세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의 화학적 작용 및/또는 낙하 등의 기계적 작용에 의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세탁 단계(1010)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행정(1011)과, 터브(1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행정(1012)과, 드럼(130)을 저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척하는 세척 행정(1013)과, 터브(120)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수행정(1014)과,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탈수행정(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드럼(130) 내부에 수용된 부하가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류센서(240)를 통해 획득된 구동전류 값에 대한 정보 및/또는 위치센서(270)를 통해 획득된 구동모터(140)의 회전자의 회전 변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30) 내부에 수용된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모터(140)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0)가 오프된 경우 발생하는 역기전력 값에 기초하여 드럼(130) 내부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90)는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제1 목표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목표 속도 명령을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드럼(130) 및/또는 펄세이터(133)가 제1 목표속도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드럼(130) 내부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구동모터(140)를 이용하여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모터(140)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드럼(130) 내부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행정은 본 개시의 무게감지행정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급수(1012) 시작 전에 수행된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획득된 드럼(130) 내의 부하값(이하 '제1 무게값')에 기초하여 급수행정(1012)에서의 목표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92)에 저장할 수 있다.
급수 행정(1012)에서 제어부(190)는 급수밸브(152)가 열리도록 제어하여 터브(120) 내로 물을 급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제함(156)에 수용된 세제가 세제공급장치(155)에 의해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브(120)의 수위가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결정된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밸브(152)를 오픈시킬 수 있다.
후술하여 설명할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급수 행정(1012)의 진행 중에 무게감지행정이 수행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급수 행정(1012) 중에 드럼(130)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이 고르게 펴지면서 급수가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급수 행정(1012) 중에 펄세이터(133)가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이 고르게 펴지면서 급수가 진행될 수 있다.
터브(120)의 수위가 목표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 행정(1012)이 종료되고 세척 행정(1013)이 시작될 수 있다.
세척 행정(1013)을 위하여,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론트-로딩 세탁기의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은 드럼(1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며, 낙하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척될 수 있으며,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척될 수 있다.
배수행정(1014)을 위하여, 제어부(190)는 펌프모터(164)를 회전시키도록 펌프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펌프모터(164)의 회전에 의하여, 배수펌프(163)의 양 측에 압력차가 발생하고, 터브(1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탈수행정(1015)을 위하여,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1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드럼(130)에 담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탈수행정(1015) 중에 터브(120)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펌프모터(164)를 회전시키도록 펌프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탈수행정(1015) 중에 드럼(130)의 회전 속도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를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0)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구동모터(140)의 구동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가 제2 회전 속도로 증가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140)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의 구동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제3 회전 속도로 증가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하거나 또는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제1 회전 속도로 감소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헹굼 단계(1020)에 의하여, 세탁물은 헹궈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에 남겨진 세제 또는 이물질이 물에 의하여 씻겨질 수 있다.
헹굼 단계(1020)는 터브(1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행정(1021)과, 드럼(130)을 구동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행정(1022)과, 터브(120)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수행정(1023)과, 드럼(130)을 구동하여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탈수행정(1024)을 포함할 수 있다.
헹굼 단계(1020)의 급수 행정(1021), 배수행정(1023) 및 탈수행정(1024)은 각각 세탁 행정(1010)의 급수 행정(1012), 배수행정(1014) 및 탈수행정(1015)과 동일할 수 있다. 헹굼 단계(1020) 중에 급수 행정(1021), 헹굼 행정(1022), 배수행정(1023) 및 탈수행정(1024)은 한 차례 또는 여러 차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헹굼 단계(1020)의 급수 행정(1021)에서의 목표 수위는 세탁 단계(1010)의 급수 행정(1012)에서의 목표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헹굼 단계(1020)에서 급수 행정(1021)을 진행하기 이전에 무게감지행정을 또 다시 진행함으로써 급수 행정(1021)의 목표 수위를 새롭게 산출할 수도 있다.
탈수 단계(1030)에 의하여, 세탁물이 탈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물이 세탁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물은 세탁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탈수 단계(1030)는 드럼(130)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최종 탈수행정(1031)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 탈수행정(1031)으로 인하여 헹굼 단계(1020)의 마지막 탈수행정(1024)은 생략될 수 있다.
최종 탈수행정(1031)을 위하여,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4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1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드럼(130)에 담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최종 탈수행정(1031) 중에 터브(120)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펌프모터(164)를 회전시키도록 펌프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최종 탈수행정(1031) 중에 구동모터(140)의 회전 속도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최종 탈수행정(1031)에 의하여 세탁기(100)의 동작이 종료되므로, 최종 탈수(1031)의 수행 시간은 세탁 단계(1010) 및 헹굼 단계(1020)의 탈수행정(1015, 1024)의 수행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급수 행정(1012)이 시작되기 전, 즉, 급수 시작 전에 무게감지행정(1011)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105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수 시작 전에 수행된 무게감지행정(1011)을 제1 무게감지행정으로 명명한다.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획득된 무게값(이하 '제1 무게값)에 기초하여 목표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1100).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이 클수록 목표 수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제1 무게감지행정(1011) 이후에는 급수 행정(1012)이 시작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목표 수위가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시작하도록 급수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1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급수밸브(152)를 오픈시킴으로써 급수행정(1012)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에 대한 정보와 급수밸브(152)의 오픈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터브(120) 내의 수위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1300의 예)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135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클수록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의 수압레벨이 낮을수록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급수장치(150)가 급수 초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생긴 것으로 판단되면(1600의 예) 급수밸브(152)를 잠궈 급수를 중지시키고(1650), 배수펌프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생긴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생겼음을 알리기 위한 시각적 표시(이하 '에러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1660).
미리 설정된 수위는 리셋수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정상적인 수압 레벨을 갖는 급수장치(150)가 터브(120) 내로 급수하는 경우,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은 약 4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수위 및/또는 터브(120)의 면적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행정 중 터브의 수위가 리셋수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셋수위란 수위센서(170)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의 신뢰도가 낮은 임계 수위로서, 리셋수위에 대한 값은 메모리(192)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셋수위는 터브(120)를 기준으로 약 5mm~30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리셋수위는 터브(120)와 드럼(130)의 경계선 부근의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리셋수위는 제1 무게감지행정(1011)에서 획득된 목표 수위와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 수위보다 낮은 수위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고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무게감지행정(d1) 중에 구동모터(140)는 온오프를 반복하여 터브(120) 내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행정(1012; d2) 중에 구동모터(140)는 드럼(130)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터브(120) 내의 수위가 목표 수위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급수 행정(1012)이 종료되고, 세척 행정(1013)이 시작될 수 있다. 세척 행정(1013; d3) 중에 구동모터(140)는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세탁물을 세척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140)는 급수 행정(d2) 동안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경우, 급수장치(1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급수장치(1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위센서(17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판단하고, 수압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잔여 시간을 수정하여 사용자에게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정확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위센서(170)의 측정값에만 의존하여 터브(120) 내의 수위를 판단함으로써 실제로 급수가 진행중임에도 불구하고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세탁 사이클이 종료되거나 에러 표시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0) 내의 수위가 리셋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수위의 변화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급수원의 수압이 약한 환경(이하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100)를 설치하는 경우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예: 리셋수위)에 도달하기도 전에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급수가 종료되거나 에러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100)를 설치한 사용자들은 잦은 세탁 사이클의 종료 및 에러 표시의 출력에 의해 세탁기(100)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1300의 아니오) 무게감지행정(이하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1400).
제2 무게감지행정은 급수 중에 진행되는 것으로, 제1 무게감지행정과 구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급수밸브(15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급수밸브(152)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무게값(이하 '제2 무게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1500).
일 예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저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저수압 환경에 설치된 경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속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d1)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무게감지행정(d1) 중에 제1 무게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급수 중 구동모터(140)는 드럼(130)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11과 같이 급수 중 구동모터(140)는 펄세이터(133)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후 미리 설정된 시간(t1)이 경과한 경우,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제2 무게감지행정(a1)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 무게감지행정(a1) 동안 제2 무게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무게값들의 차이값에 따른 급수장치의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1 임계값(V1)보다 작으면 급수장치(150)가 고장 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급수 시작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터브(120) 내의 무게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급수장치(150)가 고장 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1 임계값(V1)보다 크고 제2 임계값(V2)보다 작으면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저수압에 해당하는 제1 레벨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2 임계값(V2)보다 크고 제3 임계값(V3)보다 작으면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저수압에 해당하는 제2 레벨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3 임계값(V3)보다 크고, 제4 임계값(V4)보다 작으면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저수압에 해당하는 제3 레벨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레벨은 제2 레벨보다 작고, 제2 레벨은 제3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n 범위에 해당하는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제n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100)를 설치하는 경우 실제로 터브(120) 내로 급수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급수가 종료되거나 에러 표시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가 고장 난 것으로 결정되면(1600의 예) 급수를 중지하도록 급수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1650). 또한,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가 고장 난 것으로 결정되면(1600의 예) 급수장치(150)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1660).
즉,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감지행정(d1)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감지행정(a1)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이 미리 설정된 값(V1)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지하도록 급수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감지행정(d1)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감지행정(a1)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이 미리 설정된 값(V1)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2)는 "급수장치에 결함이 있어 세탁 사이클을 종료하였다"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리"라는 텍스트를 출력하여 급수장치(150)의 수리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다만, 급수장치(150)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텍스트, 도형 및/또는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급수장치(150)가 고장 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1600의 아니오),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예: 제1 레벨)에 해당하는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장치(150)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는 에러 표시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급수장치(150)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통해 급수장치(150)의 수압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2)는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이 낮다"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점검"이라는 텍스트를 출력하여 급수장치(150)의 점검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다만, 급수장치(150)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텍스트, 도형 및/또는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이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가 고장 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1600의 아니오),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잔여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1700).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잔여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된 잔여 시간이 1시간 54분에서 2시간 24분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가 고장 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1600의 아니오), 터브(120) 내의 수위가 목표 수위에 도달하기 전 까지는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급수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가 고장 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1600의 아니오) 열린 상태의 급수밸브(152)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컨트롤 패널(1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수행하도록 세탁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세탁 사이클의 소요 시간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세탁 코스 각각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은 기설정되어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은 50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은 60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에 기초하여 잔여 시간을 얼마나 증가시킬 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1 임계값(V1)보다 크고 제2 임계값(V2)보다 작으면 잔여 시간을 제1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2 임계값(V2)보다 크고 제3 임계값(V3)보다 작으면 잔여 시간을 제2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값과 제2 무게값의 차이값(f)의 크기가 제3 임계값(V3)보다 크고 제4 임계값(V4)보다 작으면 잔여 시간을 제3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2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으며, 제2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3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약 50분이고, 제2 미리 설정된 시간은 약 40분일 수 있고, 제3 미리 설정된 시간은 약 30분일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기(100)는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세탁 코스가 선택된 경우 세탁 코스가 시작되기 이전에, 즉, 사용자가 코스 시작 버튼을 누르기 이전에,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세탁 코스의 소요 시간을 확인하고 가장 적합한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100)는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복수의 세탁 코스 각각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로운 세탁 사이클이 시작되는 경우 수압 레벨에 따라 수정된 디폴트 소요 시간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 코스의 디폴트 소요 시간이 50분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전 세탁 사이클에서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이 제1 레벨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제1 세탁 코스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100분의 디폴트 소요 시간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급수 중에 무게감지행정을 새롭게 진행함으로써 실제 터브(120) 내에 급수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수압 환경에서 세탁기(100)를 설치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예: 리셋수위)에 도달하기 이전에도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정확히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수압 레벨을 반영한 세탁 사이클의 소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반영하여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디폴트 소요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 사이클에 소요되는 정확한 시간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급수 시작 후에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기 전까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1300의 아니오).
제어부(190)는 제2 무게감지행정(a1)을 수행한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수압 레벨을 결정하고, 수압 레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잔여 시간을 수정한 후(1700)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터브(12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것에 기초하여 다시 한번 무게감지행정(이하 '제3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무게감지행정(a1)이 종료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한 시점에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90)는 제3 무게감지행정(a2)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제3 무게감지행정(a2)에서 획득된 제3 무게값과 제2 무게감지행정(a1)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무게감지행정(a2)이 종료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t3)이 경과한 시점에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90)는 제4 무게감지행정(a3)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제4 무게감지행정(a3)에서 획득된 제4 무게값과 제3 무게감지행정(a2)에서 획득된 제3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시간(t1), 제2 미리 설정된 시간(t2) 및 제3 미리 설정된 시간(t3)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미리 설정된 시간(t2)은 제2 무게감지행정(a1)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과 제1 무게감지행정(d1)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미리 설정된 시간(t2)은 제2 무게값과 제1 무게값의 차이값이 클수록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급수 후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예: 5회)를 초과하면, 급수장치(15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연속되는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무게값들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고, 급수 후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한 횟수에 기초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1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기 이전에 지속적으로 급수장치(150)의 정확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터브(120) 내의 수위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무게감지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연속하여 수행된 무게감지행정들에서 획득된 무게값들 및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급수장치(150)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의 변화량과 연속하여 수행된 무게감지행정들에서 획득된 무게값의 변화량이 서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 수위센서(17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급수 중 연속하여 수행된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무게값들의 차이값이 특정값보다 큰 데도 불구하고 수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의 변화량이 특정값보다 작은 경우, 수위센서(170)에 결함이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가장 마지막으로 수행된 n번 째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n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수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급수 중(또는 배수 중) 무게감지행정을 통해 터브(120) 내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위센서(170)의 결함에 일시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수위센서(170)의 결함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세탁기 110: 컨트롤패널
120: 터브 130: 드럼
133: 펄세이터 140: 구동모터
145: 클러치 150: 급수장치
152: 급수밸브 170: 수위센서
190: 제어부 200: 구동부

Claims (20)

  1.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세탁기에 의해 진행 중인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잔여 시간을 수정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고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3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 시작 후에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기 전까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세탁기.
  11.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결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세탁기에 의해 진행 중인 세탁 사이클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고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저수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1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에서 획득된 제2 무게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급수를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게감지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3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에 기초하여 급수장치의 수압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0.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펄세이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급수 시작 전 제1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급수 시작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무게감지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210174624A 2021-12-08 2021-12-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30086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624A KR20230086843A (ko) 2021-12-08 2021-12-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22904395.5A EP4345205A1 (en) 2021-12-08 2022-08-27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PCT/KR2022/012844 WO2023106559A1 (ko) 2021-12-08 2022-08-27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N202280051216.3A CN117693617A (zh) 2021-12-08 2022-08-27 洗衣机和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
US17/955,831 US20230175191A1 (en) 2021-12-08 2022-09-29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624A KR20230086843A (ko) 2021-12-08 2021-12-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43A true KR20230086843A (ko) 2023-06-16

Family

ID=8673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624A KR20230086843A (ko) 2021-12-08 2021-12-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6843A (ko)
WO (1) WO20231065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4340A (ja) * 2017-11-01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11339524B2 (en) * 2018-10-02 2022-05-24 Alliance Laundry Systems Llc Top loading washing machine including water level sensor control
JP2020175187A (ja) * 2019-04-15 2020-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20210088956A (ko) *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세탁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3564870B (zh) * 2021-07-30 2023-08-11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559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49B1 (ko) 드럼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US11268228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26297B2 (en) Washing machine with heater and multiple tub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01980B2 (ja) 洗濯機
KR20090053019A (ko) 모터, 세탁기 모터의 제어장치 및 세탁기 모터의 제어방법
US2023034908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86843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434520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3008617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435751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4831046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5004185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4457857B2 (ja) 洗濯乾燥機
EP4269678A1 (en)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19354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23710A (ko) 세탁기, 그 제어 방법 및 그의 컨트롤 패널
KR2023009148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3029585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15766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EP348332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35416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230295855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KR2024000755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613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3012613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