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221A -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221A
KR20230086221A KR1020210174653A KR20210174653A KR20230086221A KR 20230086221 A KR20230086221 A KR 20230086221A KR 1020210174653 A KR1020210174653 A KR 1020210174653A KR 20210174653 A KR20210174653 A KR 20210174653A KR 20230086221 A KR20230086221 A KR 20230086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glasses
mounting device
smart
uni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엽
황성택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21017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221A/ko
Publication of KR2023008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장치에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광학트랜지션모듈부를 통해 스마트글래스에서 생성된 화상정보가 바닥면 또는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스마트글래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상태일 때, 스마트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노인,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SMART GLASSES}
본 발명은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글래스(smart glasses)는 투시 기능과 컴퓨터를 탑재한 안경 형태의 디바이스를 일컫는 말로, 착용 가능한 컴퓨터의 일종이다.
스마트글래스는 2012년 구글(Google)사의 '구글 글래스(Google Glasses, Project Glasses)' 공개를 기점으로 등장하였다.
스마트글래스는 카메라,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사람의 눈으로 투시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장치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글래스는 안경 형태로 착용하기 때문에 무게와 렌즈의 화각 등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디바이스 구동을 위해 배터리 기술 개발도 필요하다.
스마트글래스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사용해 OLED 디스플레이에 증강 현실 정보를 보여주거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전화, 문자, 알람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는 사용자의 생활에 맞는 건강 생활정보나 운동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스마트글래스는 개인용으로는 주로 증강현실의 정보를 이용하며, 기업 및 산업용으로는 비디오, 제품 생산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는 화재 등의 경보나 기타 보안 서비스와 같은 공공 안전, 의료 및 군사 훈련용, 스포츠용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스마트글래스는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면서 충전시키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스마트폰 등을 거치하며 충전하는 장치는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며 충전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은 낮은 수준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92212호(2020.08.24. 등록)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면서 충전할 수 있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치장치에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광학트랜지션모듈부를 통해 스마트글래스에서 생성된 화상정보가 바닥면 또는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스마트글래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상태일 때, 스마트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노인,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마트글래스(SG)를 거치하며 충전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바디부(101);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부(101)의 상면에 각도변화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암부(103); 및 상기 서포트암부(103)의 상단에 돌출결합되고, 상기 스마트글래스(SG)의 글래스부(G)가 지지되는 거치암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장치에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광학트랜지션모듈부를 통해 스마트글래스에서 생성된 화상정보가 바닥면 또는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스마트글래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상태일 때, 스마트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노인,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화상정보가 바닥면에 투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화상정보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사운드신호가 베이스바디부의 스피커부로 인가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거치암부의 모션인식센서부가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서포트암부의 디스플레이부로 화상정보가 인가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화상정보가 투사된 바닥면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을 모션인식센서부로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화상정보가 투사된 스크린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을 모션인식센서부로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화상정보가 바닥면에 투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화상정보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스마트글래스의 사운드신호가 베이스바디부의 스피커부로 인가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거치암부의 모션인식센서부가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서포트암부의 디스플레이부로 화상정보가 인가되는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화상정보가 투사된 바닥면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을 모션인식센서부로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에서 화상정보가 투사된 스크린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을 모션인식센서부로 감지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마트글래스(SG)를 거치하며 충전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바디부(101);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부(101)의 상면에 각도변화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암부(103); 및 상기 서포트암부(103)의 상단에 돌출결합되고, 상기 스마트글래스(SG)의 글래스부(G)가 지지되는 거치암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바디부(101)는, 저면이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의 베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 베이스바디부(101)는, 저면과 상면이 평평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베이스바디부(101)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바디부(101)는, 스마트글래스(SG)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글래스(SG)로부터 인가된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107)가 스마트글래스(SG)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디부(101)는, 스마트글래스(SG)를 통해 노인 또는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서버(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관련 정보들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통신모듈(1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서포트암부(103)는, 하단이 베이스바디부(101)의 상면에 각도변화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예로, 서포트암부(103)는, 복수개의 암 각각이 회동링크를 매개로 순차 연결된 관절형 링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서포트암부(103)는, 스마트글래스(SG)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전송 및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커넥팅모듈(111);을 더 포함한다.
도 1에는 스마트글래스(SG)가 커넥팅모듈(111)과 유선으로 연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암부(103)는, 거치된 스마트글래스(SG)의 다리(L)가 지지되는 지지대(113)를 가질 수 있다.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지지대(113)에는 스마트글래스(SG)의 다리(L)가 내삽되어 지지되도록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안착홈(미도시)의 내주면에는, 스마트글래스(SG)의 다리(L) 외주면을 가압하는 쿠션 형태의 가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거치된 스마트글래스(SG)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거치암부(105)는, 서포트암부(103)의 상단에 돌출결합되고, 스마트글래스(SG)의 글래스부(G)가 지지되도록 한다.
일예로, 거치암부(105)는,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어서, 글래스부(G)의 코안착홈이 거치암부(105)에 끼워짐에 의해 스마트글래스(SG)의 글래스부(G)가 거치암부(105)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거치암부(105)는, 커넥팅모듈(111)로부터 인가된, 스마트글래스(SG)에서 생성된 화상정보(PI)를 바닥면 또는 서포트암부(103)에 결합된 스크린(115)으로 투사하는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글래스(SG)를 착용하지 않고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거치해 놓은 상태에서도, 스마트글래스(SG)의 화면(화상정보(PI))이 외부(바닥면, 스크린 등)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에 의해 화상정보(PI)가 바닥면에 투사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에 의해 화상정보(PI)가 스크린(115)에 투사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와 도 3에 도시된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는, 거치암부(105)에 각각 독립적으로 별개로 장착될 수도 있고, 한꺼번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는 일예로 소형피코빔프로젝터(레이저LD 또는 LED)로 제공될 수 있으며, 투사방식은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정이 필요없는 Focus Free 형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암부(103)에 결합된 스크린(115)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린(115)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눕혀지고 사용시 세워지게 된다.
아울러, 서포트암부(103)는, 커넥팅모듈(111)로부터 인가된, 스마트글래스(SG)에서 생성된 화상정보(P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1)는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서포트암부(103)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21) 역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21)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눕혀지고 사용시 세워지게 된다.
한편, 거치암부(105)는, 화상정보(PI)가 투사된 바닥면 또는 스크린(115) 상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SI)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센서부(11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일예로, 사용자의 손가락, 전자펜 등일 수 있다.
일예로, 입력수단이 사용자의 손가락인 경우, 모션인식센서부(119)는 바닥면 또는 스크린(115) 상에 투사된 화상정보(PI)에 오버랩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와 움직임, 제스처 등을 감지한다.
물론, 모션인식센서부(119)는, 머신러닝 기반의 제스처 인식 기술에 의해 입력수단의 위치 및 움직임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모션인식센서부(119)는,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모션인식센서부(119)에서 감지된 감지정보(SI)는, 스마트글라스(SG)로 전송되고, 스마트글라스(SG)는 감지정보(SI)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로 인가하여,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의 동작(스피커부(107)의 볼륨 조절, 서포트암부(103)의 각도 변화, 서포트암부(103)의 회전, 베이스바디부(101)의 회전 등)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는, 노인 또는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가 제공되는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스마트글래스(SG)가 거치되면, 스마트글래스(SG)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노인 또는 아동 등의 행동이나 안면이 인식되거나, 스마트글래스(SG)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노인 또는 아동 등의 음성이 인식되고, 베이스바디부(101)가 외부서버로부터 돌봄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하면서 스마트글래스(SG)를 통해 노인 또는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케어서비스, 돌봄프로그램)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 때,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거치된 스마트글래스(SG)는, 영상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노인, 아동 등의 응급상황 모니터링 및 외부서버로 상태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로 기능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스마트글래스(SG)가 거치됨으로써 돌봄서비스가 실행되면, 스마트글래스(SG)와 연동된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는, 노인 또는 아동의 움직임, 안면 등을 인식하여 노인 또는 아동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트래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하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장치에 스마트글래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광학트랜지션모듈부를 통해 스마트글래스에서 생성된 화상정보가 바닥면 또는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스마트글래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글래스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상태일 때, 스마트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노인, 아동 등의 돌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101 : 베이스바디부
103 : 서포트암부
105 : 거치암부
107 : 스피커부
109 : 통신모듈
111 : 커넥팅모듈
113 : 지지대
115 : 스크린
117 : 광학트랜지션모듈부
119 : 모션인식센서부
121 : 디스플레이부
SG : 스마트글래스
G : 글래스부
L : 스마트글래스의 다리
PI : 화상정보
SI : 감지정보

Claims (6)

  1. 스마트글래스(SG)를 거치하며 충전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바디부(101);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부(101)의 상면에 각도변화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암부(103); 및
    상기 서포트암부(103)의 상단에 돌출결합되고, 상기 스마트글래스(SG)의 글래스부(G)가 지지되는 거치암부(1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암부(103)는,
    상기 스마트글래스(SG)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전송 및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커넥팅모듈(11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암부(103)는,
    상기 커넥팅모듈(111)로부터 인가된, 상기 스마트글래스(SG)에서 생성된 화상정보(P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암부(105)는,
    상기 커넥팅모듈(111)로부터 인가된, 상기 스마트글래스(SG)에서 생성된 화상정보(PI)를 바닥면 또는 상기 서포트암부(103)에 결합된 스크린(115)으로 투사하는 광학트랜지션모듈부(11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암부(105)는,
    상기 화상정보(PI)가 투사된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스크린(115) 상에 오버랩되는 입력수단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SI)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센서부(11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부(101)는,
    상기 스마트글래스(SG)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글래스(SG)로부터 인가된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0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KR1020210174653A 2021-12-08 2021-12-08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KR20230086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653A KR20230086221A (ko) 2021-12-08 2021-12-08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653A KR20230086221A (ko) 2021-12-08 2021-12-08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221A true KR20230086221A (ko) 2023-06-15

Family

ID=8676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653A KR20230086221A (ko) 2021-12-08 2021-12-08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2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550B1 (en) Virtual reality system
US10642564B2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8862186B2 (en) Lapel microphone micro-display system incorporating mobile information access system
CN103324309A (zh) 可穿戴计算机
KR10232136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7016056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19718A (zh) 可穿戴眼镜和经由可穿戴眼镜显示图像的方法
CN105045375A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其控制方法、控制系统及计算机程序
CN105759422A (zh) 显示系统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JP5955348B2 (ja) 撮影画像のプライバシー保護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共有システム
JP2016039599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9074048A (zh) 用于食品工业的机器的操作系统
JP630327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970692B2 (en) Head mount personal comput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 same
JP2016033759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39448B2 (ja) 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8055416A (ja)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86221A (ko) 스마트글래스용 거치장치
CN203490651U (zh) 可穿戴计算机
JP6405878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90086677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2017062650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3401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75547B2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WO2022066350A1 (en) Head-mountable device for postur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