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695A -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695A
KR20230085695A KR1020210174120A KR20210174120A KR20230085695A KR 20230085695 A KR20230085695 A KR 20230085695A KR 1020210174120 A KR1020210174120 A KR 1020210174120A KR 20210174120 A KR20210174120 A KR 20210174120A KR 20230085695 A KR20230085695 A KR 2023008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vehicle
temperature
user interfac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695A/ko
Priority to US17/896,294 priority patent/US20230174014A1/en
Publication of KR2023008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은 통신부, 외부 유저인터페이스, 온도 조절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는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배송품 수령 요청을 바탕으로 활성화되며, 온도 조절 장치는 배송품 수령 요청의 대상이 되는 배송품이 수령된 것을 바탕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인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수령된 배송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VEHICLES, AND METHOD FOR PICK UP A SH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하고 물품 특성에 대응하여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에서, 온라인 쇼핑을 통해서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소비 형태가 변하고 있다. 공장에서 출하되는 제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방식 이외에도, 근래에는 음식 등을 배달하는 플랫폼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제품을 검색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까지 찾아가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할 경우,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는 시기가 불확실하여 배송품이 도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송품의 수령 시기가 불확실한 경우, 냉동식품 또는 냉장식품과 같이 온도에 민감한 제품은 배송이 된 이후에 품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배송품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안전하게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는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도 변화로 인해서 배송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은 통신부, 외부 유저인터페이스, 온도 조절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는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배송품 수령 요청을 바탕으로 활성화되며, 온도 조절 장치는 배송품 수령 요청의 대상이 되는 배송품이 수령된 것을 바탕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인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수령된 배송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비밀번호인 것을 바탕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제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서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한 이후, 상기 배송품이 위치한 실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실내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에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의 정보를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추출하고,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공조 장치 또는 냉장고 또는 온장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을 판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이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은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의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인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개방된 도어를 통해서 상기 차량 내에 수령된 배송품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제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는 터치 패널을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배송품이 위치한 실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실내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품 정보를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공조 장치 또는 냉장고 또는 온장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이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차량을 이용하여 물품을 수령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배송품의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로 인해서 배송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활성화 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배송품의 수령 장소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 내의 온도 조절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 차량(10) 및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일 수 있고, 사용자는 배송품의 수령인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스마트폰(smart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 또는 랩탑(laptop) 등일 수 있다. 배송품은 사용자가 유/무선 통화 또는 사용자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주문한 제조 상품일 수 있고, 배달 음식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배송인 단말기(4)으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배송인 단말기(4)는 택배 기사 또는 배달 기사 등의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배송품의 수령 장소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2)는 차량(10)으로 선택된 배송품 수령 장소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배송품 수령 장소가 차량(10)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2)는 구체적인 차량(10)의 주정차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배송품 수령 장소가 차량(10)일 경우, 차량(10)을 개방하도록 허가받은 배송인(3)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송인(3)은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10)의 도어(120)를 개방하고, 차량(10) 내부로 배송품을 배송할 수 있다.
차량(10)은 배송인(3)을 확인하고 도어(120)를 개방하며, 배송품의 종류에 따라 공조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10)은 제어부(100),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 도어(120), 공조 장치(130), 냉온장고(140), 배터리(70), 배터리 센서(150),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밀번호가 입력된 것을 바탕으로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배송품 정보를 바탕으로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는 공조 장치(130) 또는 냉온장고(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공조 장치(130)를 제어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품이 냉온장고(140)에 보관될 경우 냉온장고(140)를 제어하여 배송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의 실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카메라(160)를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160)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을 바탕으로 배송품이 수령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는 차량(10)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윈도우의 외부면에 노출된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는 윈도우의 외부면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의 외부면에서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는 배송품 수령 요청을 바탕으로,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0)는 차량 내의 열순환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 및 난방을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일 수 있다. 냉온장고(140)는 냉장고와 온장고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의 구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냉온장고(140)는 서로 분리된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70)는 차량 내의 전장 부품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70)는 공조 장치(130) 및 냉온장고(140)가 구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150)는 배터리(70)의 전압, 전류, 내부저항, 배터리 잔존용량(State Of Charge; 이하, SOC)등의 배터리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를 모니터링하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면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 배송인 단말기(4) 및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GPS 신호 수신, V2X 통신, 광통신, 방송 송수신 및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차량(10)과 서버(20)(V2I: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 즉, V2X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의 각 모듈은 통신부(170) 내에 구비된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계(S310)에서, 차량(10)의 통신부(170)는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서버(20)로부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배송인 단말기(4)로부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배송품 수령 요청은 비밀번호 정보 및 배송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밀번호 정보는 배송인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의 입력 제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품 정보는 배송품의 종류, 크기, 및 보관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계(S320)에서, 배송품 수령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00)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활성화 단계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입력 영역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는 터치 패널과 결합된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활성화하고,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와 함께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111)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배송품 수령 방법에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는 비밀번호 입력 제한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비밀번호 입력 제한 시간을 안내할 수 있다.
제3 단계(S330)에서, 제어부(100)는 비밀번호가 입력된 것을 바탕으로,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는 활성화 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제어부(100)는 배송인(3)이 입력 영역(111)에 입력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터치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획득하는 단계와고, 터치 좌표들을 바탕으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표면에 렌더링되는 형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렌더링 형상을 바탕으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에 입력되는 문자, 숫자, 도형 등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120)를 개방하는 단계는 배송인(3)에게 배송품을 수령 장소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00)는 차량 내의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고, 도어(12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배송품의 수령 장소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배송품의 수령 장소는 차량 내의 좌석(11,12), 콘솔박스(13), 또는 냉온장고(140) 등이 될 수 있다. 배송품의 수령 장소는 사용자(1)가 미리 설정한 곳일 수 있고, 배송인(3)이 선택할 수 있다. 배송인(3)이 배송품의 수령 장소를 선택할 경우, 배송품 수령 장소에 대한 정보는 배송인 단말기(4)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2)로 전달될 수 있다.
도어(120)를 개방하는 단계는 배송품 수령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송품 수령을 확인하는 단계는 배송품 수령 위치, 및 배송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풍의 수령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배송품의 회수하는 절차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수령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차량 실내 모니터링을 위한 카메라(160)를 동작시키고, 카메라(160)를 통해서 획득되는 영상을 바탕으로 배송품의 수령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인 단말기(4)를 통해서 제공받는 배송 완료 정보를 바탕으로 배송품의 수령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배송인(3)은 배송인 단말기(4)를 통해서 배송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에 전달할 수 있고, 이때 배송 완료 정보는 차량(10)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제4 단계(S340)에서, 제어부(100)는 배송품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 온도는 배터리(7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장치는 공조 장치(130) 또는 냉온장고(14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0)는 공조 장치(130)를 제어하여 실내의 열순환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0)는 냉온장고(140)의 냉장고를 제어하여, 배송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0)는 냉온장고(140)의 온장고를 제어하여, 배송품을 온장 보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어느 하나의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온도 조절 장치를 복합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부(100)는 배송품 정보로부터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배송품의 보관 온도는 냉장, 상온, 고온, 온도 무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가 냉장인 것을 바탕으로, 공조 장치(130)의 냉방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가 고온인 것을 바탕으로, 공조 장치(130)의 히터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가 상온인 것을 바탕으로 차량 실내의 온도가 상온(18도 내외에서 선택되는 범위)을 유지하도록 공조 장치(130)의 냉방 기능 또는 히터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가 온도 무관인 것을 바탕으로 온도 조절 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00)가 공조 장치(130)를 제어하는 단계는 외기 순환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송품이 밀봉되지 않은 음식물일 경우, 제어부(100)는 외기 순환을 통해서 차량(10) 내부에 음식물 냄새가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701에서, 배송인 단말기(4)는 배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안내 메시지는 배송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인(3)은 사용자(1)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서 주문한 배송품을 배송하며, 배송인 단말기(4)를 통해서 배송품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은 배송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703에서, 사용자 단말기(2)는 배송인 단말기(4)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안내 메시지를 바탕으로 배송품 수령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배송품 수령 장소는 자택 또는 회사와 같이 사용자(1)가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장소가 될 수 있고, 사용자(1)가 머무르는 장소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차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배송품 수령 장소를 차량(10)으로 선택할 경우, 서버(2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을 배송인이 빠르게 찾을 수 있기 위한 정보이며, 차량 번호, 차종, 차량 색깔, 주차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배송품 수령 장소가 차량(10)으로 선택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2)는 배송인 단말기(4)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안내 메시지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705에서, 서버(20)는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송품 수령 요청을 차량(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비밀번호를 배송인 단말기(4)에 전송할 수 있다. 비밀번호는 차량(10)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허락된 배송인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S707에서, 차량(10)은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10)의 제어부(100)는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활성화하고,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배송인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S709에서, 차량(10)은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10)의 제어부(100)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의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바탕으로 터치 좌표를 획득하고, 터치 좌표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렌더링 이미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711에서, 차량(10)은 외부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비밀번호와 일치한 것을 바탕으로,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10)의 제어부(100)는 도어(120)가 개방되어 배송품이 수령된 사실을 통신부(170)를 통해서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배송품 수령 사실은 배송품이 차량에 수령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10)의 제어부(100)는 도어(12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카메라(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카메라(160)를 통해서 일정 시간 이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실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실내 영상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713에서, 서버(20)는 배송품 수령 사실을 확인하고, 배송품 수령 사실을 사용자 단말기(2)에 제공할 수 있다.
S715에서, 사용자 단말기(2)는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배송품 수령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는 차량(10)에 배송품이 수령된 사실을 차량 내의 실내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S717에서, 사용자 단말기(2)는 운전자 위치정보 또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은 사용자가 차량(10)에 도착하여 배송품을 회수할 수 있는 예상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바탕으로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S719에서, 서버(20)는 운전자 위치정보 또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차량(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위치정보 또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차량(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721에서, 차량(10)은 배송품 정보, 운전자 위치정보,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바탕으로,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의 제어부(100)는 배송품 정보를 바탕으로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확인할 수 있고, 배송품의 보관 온도에 따라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제어부(100)는 운전자 위치정보 및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바탕으로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S721의 구체적인 방법은 도 8 및 도 9를 결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버(20)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2)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배송인 단말기(4) 및 차량(10)과 연동되고, 도 7에 도시된 서버(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은 배송인 단말기(4)로부터 제공받는 배송 안내 메시지를 바탕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비밀번호를 차량(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은 차량(10)으로부터 제공받은 배송품 수령 사실을 사용자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810)에서, 제어부(100)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은 사용자가 차량(10)에 배치된 배송품을 수령하는 시간일 수 있다.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은 사용자(1)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기(2)를 통해서 차량(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은 차량(10)의 제어부(100)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도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2)에게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을 문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계(S820)에서, 제어부(100)는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터리 센서(150)를 통해서 배터리(70)의 잔존용량을 확인하고, 잔존용량을 바탕으로 배터리(70)의 동작 가능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은 배터리(70)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130) 또는 냉온장고(140)를 구동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단계(S830)에서, 제어부(100)는 배송품 예상 회수 시간 및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을 비교하고,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 내에 사용자가 배송품을 회수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4 단계(S840)에서,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 내에 배송품 회수가 가능할 경우, 제어부(100)는 배송품 회수 이전까지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배송인(3)이 배송품을 찾아가기 이전까지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5 단계(S850)에서,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 내에, 배송품 회수가 불가능할 경우, 제어부(100)는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 범위 내에서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동작 가능 시간이 1시간 30분이고, 배송품 회수 시간이 2시간일 경우, 제어부(100)는 차량 내의 온도 조절을 1시간 30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7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배송품이 회수되는 시각과 실내 온도 제어의 종료 시간이 일치되도록 실내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품 회수 시간이 90분 이후이고 차량 내의 온도 조절 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될 경우, 제어부(100)는 30분 이후에 온도 조절 장치를 턴-온 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배송품이 회수되기 이전까지, 온도 조절 장치의 턴-온 시간과 턴-오프 시간을 교번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품 회수 시간이 90분이고 차량 내의 온도 조절 시간이 60분일 경우, 제어부(100)는 초기 30분 동안 온도 조절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초기 30분의 온도 조절 장치를 동작시킨 이후, 30분 동안 온도 조절 장치를 턴-오프시키고, 이어지는 30분 동안 다시 온도 조절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 내의 온도 조절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 내의 온도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910)에서,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 정보의 확인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단계(S920)에서, 배송품의 보관 온도 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100)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단계(S930) 및 제4 단계(S940)에서, 배송품의 보관 온도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00)는 배송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배송품 보관 온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배송품 정보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학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00)는 AI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AI 프로세서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을 위한 신경망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모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는 뉴런의 시냅틱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신경망은 신경망 모델에서 발전한 딥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예는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Boltzmann Machine),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s),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와 같은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온도 조절을 위한 AI 모델의 학습 대상은 배송품 정보가 될 수 있고, AI 학습의 결과는 배송품의 보관 온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프로세서는 배송품의 명칭, 제조사, 판매자, 사용자의 배송시 요청 사항 등을 바탕으로 배송품의 보관 온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AI 프로세서를 통해서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추출한 이후, 배송품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배송품 수령 요청을 바탕으로 활성화되는 외부 유저인터페이스;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의 대상이 되는 배송품이 수령된 것을 바탕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며,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인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수령된 상기 배송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비밀번호인 것을 바탕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제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서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한 이후, 상기 배송품이 위치한 실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실내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에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품의 정보를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를 추출하고,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공조 장치 또는 냉장고 또는 온장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을 판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의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개방된 상기 도어를 통해서 상기 차량 내에 수령된 배송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제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는 터치 패널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배송품의 보관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배송품이 위치한 실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실내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수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품 정보를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배송품의 보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공조 장치 또는 냉장고 또는 온장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송품의 회수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동작 가능 시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KR1020210174120A 2021-12-07 2021-12-07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KR20230085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20A KR20230085695A (ko) 2021-12-07 2021-12-07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US17/896,294 US20230174014A1 (en) 2021-12-07 2022-08-26 Vehicle and Method for Picking Up Ship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20A KR20230085695A (ko) 2021-12-07 2021-12-07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95A true KR20230085695A (ko) 2023-06-14

Family

ID=8660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120A KR20230085695A (ko) 2021-12-07 2021-12-07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74014A1 (ko)
KR (1) KR2023008569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4014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299B1 (ko) 데이터 학습 서버 및 이의 학습 모델 생성 및 이용 방법
KR102443052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US106112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0223904B2 (en) Automatic security system mode selection
CN110667332B (zh) 远程管理车队的气候控制系统的系统和方法
US9869484B2 (en) Predictively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10452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stic calculation of recovery time for an environmental system
US11754983B2 (en) Environment controller and method for inferring one or more command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taking into account room characteristics
US20180293367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via Network-Connected Devices
US20160201933A1 (en) Predictively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11747771B2 (en) Inference server and environment controller for inferring one or more command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taking into account room characteristics
WO20150477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stic calculation of recovery time for an environmental system
US20190278242A1 (en) Trai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redictive model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JP2018518408A (ja) 自動環境制御システム
CN108944335A (zh) 一种调节车内环境的方法和设备
US20230016900A1 (en) Anomalous path detection within cameras' fields of view
JP6355850B2 (ja) 判定支援装置、判定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71741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learned sleep modes
US20230403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KR20230085695A (ko)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배송품 수령 방법
US20200012273A1 (en) Communication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GB2522128A (en) Automated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9199287A1 (en) Adaptive comfort control system
US20240019155A1 (en) Distributed smart thermostat
CN118111076A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