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63A -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63A
KR20230085463A KR1020210173657A KR20210173657A KR20230085463A KR 20230085463 A KR20230085463 A KR 20230085463A KR 1020210173657 A KR1020210173657 A KR 1020210173657A KR 20210173657 A KR20210173657 A KR 20210173657A KR 20230085463 A KR20230085463 A KR 2023008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ot device
information
scenario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섭
Original Assignee
스마티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티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티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463A/ko
Publication of KR2023008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시나리오에 맞추어 IoT 기기를 자동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CREATING CUSTOMER-SPECIFIC OPTIMIZATION SCENARIO FOR BUILDING AI-BASED SMART IoT ENVIRONMEN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시나리오에 맞추어 IoT 기기를 자동 제어하는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통신 기술 및 홈 일렉트로닉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정 내의 기기 및 시스템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관리되는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가 등장하였고, 미래지향적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다.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가정 내의 모든 정보가전기기들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정 내의 모든 가전기기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어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신축공동주택을 건축 시 홈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여러 종류의 IoT 기기들을 옵션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신축공동주택에 입주하는 사용자들에게 더 편리한 삶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축건물의 경우 기존에 설치된 장치들을 IoT 기기들로 변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됨에 따라 기축건물에 입주한 사용자들은 스마트홈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기존의 스마트홈은 사용자 단말 장치나, IoT 기기를 제어하는 별도의 단말 장치를 통해 그때마다 제어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환자들의 경우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함에 따라 IoT 기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었다. 이에, 사용자들의 생활패턴에 따라 IoT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질문을, 시간, 요일,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로 구분하는 단계와, 구분된 각 분류에 해당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각 분류별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생활패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요일, 상황에 따라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생활패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단계와,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이 없는 경우, 상기 분석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된 시나리오에 따라 제어할 IoT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집안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IoT 기기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IoT 기기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집 내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내부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집 내부를 재현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공간에, 실제 사용자의 집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가 제어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된 결과에 따라, 실제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IoT 기기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치된 IoT 기기와 동일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단말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IoT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단말기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연결된 단말기의 순위를 추출하고, 단말기의 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하여,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러 기기들을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맞추어 IoT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해줌으로써, 더 편리하게 생활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행동을 감지하여 활동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 능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IoT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IoT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통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의 제어를 통해 실제 집안이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플랫폼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IoT 기기(300) 및 외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통해 집안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조절하여 쾌적한 집안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행동 또는 입력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하여 더 편리한 생활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집안에서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설명하였으나, 집안 환경에서만 사용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학교, 회사, 병원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고,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설계정보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내용에 따라 IoT 기기(30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IoT 기기(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기기의 제어, 관리 및 연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독립적인 기기로 존재할 수 있고, 다른 기기에 탑재될 수도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가정 내의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 중재하는 게이트 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복수의 IoT 기기(300)로 전송하거나, 복수의 IoT 기기(3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IoT 기기(3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에 대한 정보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인스트럭션을 통해 IoT 기기(30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컨을 키려는 경우,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인스트럭션을 따라 제어할 IoT 기기(300)로 에어컨을 선택할 수 있고, 에어컨이 수행할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에어컨을 켜고, 온도, 바람의 방향, 바람의 세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IoT 기기(300)의 설정을 저장할 수 있고, 이후, 해당 IoT 기기(300)가 다시 작동될 경우 저장되어 있는 설정을 기본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현재 집안의 환경정보에 따른 IoT 기기(300)를 제어한 결과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이후 저장된 환경정보와 유사한 환경정보일 경우, 자동으로 해당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집안의 온도가 28℃인데, 사용자가 에어컨을 켜고, 에어컨의 온도를 20℃로 설정했을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집안의 온도 및 에어컨 설정을 저장하고 있다가, 집안의 온도가 28℃가 되었을 때, 에어컨을 켜고, 에어컨의 온도를 20℃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에어컨의 설정은 이전의 설정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T 기기(300)는 집안 환경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전력측정센서 등)를 포함하고, 이러한 센서의 감지 대상이 되는 장치(예를 들어, 조명, TV, 에어컨, 현관문, 창문, 샤워기, 가스레인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부터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및 플랫폼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다른 범용적인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 외에 웹 기반으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한 형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400)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400)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0)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장치를 통해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집안에 설치된 스마트 액자를 통해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액자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이 구동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IoT 기기들(3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액자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 액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자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액자는 하나의 이미지만을 출력하거나, 여러 이미지들을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 지정된 길이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경우, 스마트 액자는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인스트럭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액자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IoT 기기들(300)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액자는 가정 내의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 중재하는 게이트 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스마트 액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복수의 IoT 기기(300)로 전송하거나, 복수의 IoT 기기(3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액자는 IoT 기기들(300) 각각에 대한 상태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연결되는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IoT 기기들(300) 각각에 대한 상태는, IoT 기기들(300)의 전력량, 네트워크 연결 여부, 스마트 액자와의 연결여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100)(이하,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제공하는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기상 및 취침 시간, 출퇴근시간, 출근 전 루틴, 퇴근 후 루틴, 쉬는 날 루틴 등을 포함하는 생활패턴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취미, 좋아하는 일, 싫어하는 일 등을 포함하는 성향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직접 입력하는 주관식의 형태로 질문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는 객관식의 형태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가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생활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직접적인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는 무엇인가요?", "퇴근 후 제일 먼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등의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답변을 조합하여 생활패턴을 판단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쉬는 날에는 주로 외출을 하나요, 집에 있나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나요?", "청소를 얼마나 자주 하나요?" 등의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인스트럭션을 따라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는, IoT 기기(300)를 제어한 내용 및 시간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IoT 기기(300)인 샤워기를 사용할 경우 샤워기를 튼 시간, 샤워기가 틀어져있던 시간, 물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른 IoT 기기(300)인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경우 가스레인지를 켠 시간, 가스레인지가 켜져 있던 시간, 가스레인지의 화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여러 종류의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IoT 기기(3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있다가 일어나는 경우, 의자에 설치된 무게 센서는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남에 따라 무게가 감소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무게가 감지된 결과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는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움직임이 감지된 결과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결과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일정 시간동안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일정 시간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긴 시간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주일 이상의 시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요청한 설문의 질문들을 시간, 요일,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질문들 중 기상 후 하는 일에 대한 질문을 오전 시간으로 분류, 퇴근 후 하는 일에 대한 질문을 저녁 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질문들 중 퇴근 후 하는 일에 대한 질문을 평일로 분류하고, 쉬는 날에 주로 하는 일에 대한 질문을 주말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취미에 대한 질문, 비정규적인 일정에 대한 질문을 상황에 따릉 질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구분된 각 분류에 해당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각 분류별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오전 시간으로 분류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가 오전 7시에 기상하면 바로 욕실로 들어가 샤워를 한 후, 아침식사를 만들어 먹고 옷을 갈아입고 집을 나가는 것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주말에는 사용자가 10시에 기상한 후 TV를 보다가 점심식사를 만들어 먹고 집안 청소를 하고, 취미 생활을 하다가 취침하는 것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요일별, 시간별로 분류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정규적인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상황별로 분류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비정규적인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를 별로 하지 않는 사용자가 요리를 하는 경우, 집을 대청소하는 경우, 혼자 사는 사용자의 집에 지인이 초대된 경우 등 비정규적인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요일, 상황에 따라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욕실로 이동하는 것, 주방으로 이동하는 것, 옷장문을 여는 것 등 감지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복수의 IoT 기기(300) 각각으로부터 조명이 켜지는 것, 샤워기가 틀어지는 것, 가스레인지가 켜지는 것 등 제어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평일 오전 7시에 기상하여 바로 욕실로 들어가 샤워를 한 후, 아침식사를 만들어 먹고 옷을 갈아입고 집을 나가는 것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거실로 이동하는 것, 주방으로 이동하는 것 등 감지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복수의 IoT 기기(300) 각각으로부터 조명이 켜지는 것, TV가 켜지는 것, 가스레인지가 켜지는 것 등 제어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 및 IoT 기기(300)를 제어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주말 오전 10시에 기상하여 TV를 보다가 점심식사를 만들어 먹는 것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분석된 생활패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상하면 집안의 조명을 켜고 샤워를 한다는 시나리오, 사용자가 기상하면 TV를 켜고 아침식사를 준비하는 시나리오, 사용자가 귀가하면 창문을 닫고 커튼을 닫는 시나리오 등 여러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기상했을 때, 퇴근했을 때, 외출할 때, 쉴 때, 취침할 때, 운동할 때, 청소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들을 저장할 수 있고, 한 가지 상황에 대한 여러 시나리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분석된 생활패턴을 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과 비교하고, 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이 없는 경우, 분석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일부 동일한 생활패턴을 가지는 시나리오를 조합하여 새로운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된 생활패턴이 사용자가 기상하면 샤워를 하고 TV를 켜는 것인데, 저장된 생활패턴 중 이와 동일한 생활패턴은 존재하지 않고, 기상했을 때 집안의 조명을 켜고 샤워를 하는 시나리오와, 기상했을 때 TV를 켜고 아침식사를 준비하는 시나리오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두가지 시나리오를 조합하여 기상하면 샤워를 하고 TV를 켜는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새로 생성된 생활패턴을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생활패턴이 분석된 경우 저장된 생활패턴으로부터 시나리오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집안의 환경정보에 따른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안의 온도가 28℃인 경우 에어컨의 온도를 20℃로 설정하여 30분간 가동하는 것이 하나의 시나리오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집안의 습도가 80%인 경우 가습기를 켜는 것이 하나의 시나리오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집안의 환경정보에 따라 복합적으로 조합된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안의 습도가 80%이고, 온도가 28℃인 경우, 에어컨의 온도를 20℃로 설정하여 1시간동안 가동하는 것이 하나의 시나리오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집안의 습도가 80%이고, 온도가 18℃인 경우 보일러를 24℃로 설정하여 1시간동안 가동하는 것이 하나의 시나리오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보일러를 24℃로 설정하여 30분 가동하고, 이와 동시에 가습기를 1시간동안 가동하는 것이 다른 하나의 시나리오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규칙적인 생활패턴에 대해 직접 시나리오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전 7시에 기상하면 집안의 조명을 켜고 샤워를 하는 시나리오를 등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시나리오에 따라, 오전 7시가 되면 집안의 조명이 켜지고, 보일러가 온수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시나리오를 등록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등록된 복수의 시나리오 각각에 맞추어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취침을 위해 잠자리에 누우면 방안을 어둡게 하고, 방안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조절되도록 하는 시나리오를 등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가 잠자리에 누운 것이 확인되면, 방안의 조명이 꺼지고, 창문이 닫히고, 커튼이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취침에 대한 버튼을 클릭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취침에 대한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취침 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소에 대한 시나리오를 등록한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등록된 시나리오에 따라 창문이 열리고, 조명의 밝기가 최대가 되고, 로봇청소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시나리오에 따라 제어할 IoT 기기(30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시나리오가 사용자가 기상하면 집안의 조명을 켜고 샤워를 한다는 것일 때,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기상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센서, 집안을 밝히기 위한 조명, 온수를 데우기 위한 보일러를, 제어할 IoT 기기(300)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컴퓨팅 장치(100)는 샤워 후 욕실의 건조를 위한 습도 센서 및 서큘레이터를, 제어할 IoT 기기(300)로 결정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현재 집안의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집안의 환경정보는 현재 집안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작동중인 IoT 기기(300) 및 해당 IoT 기기(300)의 작동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환경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설계정보는 IoT 기기(300)를 제어할 정보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 조명의 색, 온수 온도, TV 볼륨, 서큘레이터의 작동 시간 등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100)는 집안의 환경정보에 따라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쪽 방향으로 창문이 난 집의 경우, 오전 시간에 해가 잘 들어 집안이 밝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집안의 조도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오전에는 조명의 밝기를 약하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나리오마다 제어할 IoT 기기들(300) 및 IoT 기기들(300)의 설계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획득된 시나리오에 매칭되는 IoT 기기(300) 및 매칭되는 IoT 기기(300)의 설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환경정보에 따라 기 결정되어 있는 설계정보의 비율을 조절하여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나리오에 따라 새롭게 IoT 기기들(300)이 결정되고, 결정된 IoT 기기(300)에 따른 설계정보 또한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설계정보에 따라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S4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가 시간에 맞추어 IoT 기기(300)를 미리 제어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시나리오 상 사용자의 귀가 시간이 임박한 경우,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가 후 바로 샤워를 하는 사용자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가 시간에 맞추어 집안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고, 보일러가 온수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귀가 시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일정하게 귀가하더라도 특별한 상황에 따라 귀가가 늦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집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로 들어오는 경우 시나리오에 따른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캘린더 어플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일정을 리드할 수 있고, 리드된 일정을 기초로 IoT 기기(300)를 미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아무 일정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날의 경우 사용자가 귀가 시간에 맞추어 귀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귀가 시간에 맞추어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정이 등록되어 있는 날의 경우, 일정이 등록된 시간을 판단하고, 등록된 시간이 귀가 시간 인근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로 오후 8시쯤 귀가하는데, 캘린더 어플에 오후 7시에 일정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오후 8시에 귀가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하여 IoT 기기(300)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집안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IoT 기기(300)가 제어되어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기상(제1단계)하면 샤워를 하고(제2단계), 아침식사를 하고(제3단계), 옷을 갈아입고(제4단계), 외출하는 것(제5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300)를 결정하고,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하고, 설계정보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1단계에서, 사용자가 기상한 것이 감지되면, 집안의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고, 창문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잔잔한 음악이 재생되도록 음악플레이어, 스피커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2단계에서, 온수가 데워지도록 보일러를 제어하고, 욕실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가 데워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1단계에서 미리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시나리오 상 다음 단계를 판단하고, 시나리오 상 다음 단계에서 제어될 IoT 기기(300)를 미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3단계에서, 주방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고, 커피 머신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4단계에서, 옷장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5단계에서, 현관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각 단계에서 제어되는 IoT 기기(300) 및 IoT 기기(300)의 설계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더 다양한 IoT 기기(300)가 제어될 수 있고, 더 다양한 설계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각 단계가 끝난 후, 마무리를 위해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단계 시나리오를 진행 중에, 컴퓨팅 장치(100)는 욕실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하고, 욕실의 건조를 위해 서큘레이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보일러가 꺼지거나 외출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4단계 시나리오를 진행 중에, 주방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하고, 식기세척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가스 밸브가 잠기도록 제어하고, 5단계 시나리오 진행 중에, 옷장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5단계 시나리오까지 끝이 나면, 집안 전체의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하고, 창문이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IoT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단말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0). 한 집에서 사는 가족 구성원은 여러명일 수 있고,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스마트홈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IoT 기기(300)를 제어해주어야 한다.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과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 각각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명이 살고 있는 집에 현재 1명만 있는 경우 1명의 단말기만이 IoT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현재 집에 2명 이상이 있는 경우 2명 이상의 단말기가 IoT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IoT 기기(300)와 현재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가 어느 사용자의 단말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단말기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S230). 여기서, IoT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연결된 단말기의 순위를 추출하고, 단말기의 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IoT 기기(300)를 설계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1순위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2순위 사용자 단말만이 연결되어 있고, 2순위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하는 중에, 1순위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1순위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진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데, 1순위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나리오는 모두 완료된 상태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2순위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각각 시나리오에 따라 IoT 기기(3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의 시나리오는 귀가하면 안방에서 옷을 갈아입고, 욕실에서 씻은 후 부엌에서 저녁식사를 준비하는 것이고, 제2사용자의 시나리오는 귀가하면 작은방에서 옷을 갈아입고, 거실로 나와 TV를 시청하다가 부엌에서 저녁식사한 후 욕실에서 씻는 것일 수 있다.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가 같이 귀가한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안방 및 작은방의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여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 각각이 각 방에서 옷을 갈아입도록 하고, 거실 조명 및 TV가 켜지도록 제어하고, 보일러가 온수모드로 동작되도록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IoT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커피를 마시면서 책을 읽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커피잔을 올렸다가 내려놓는 행동, 책을 넘기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집안을 대청소하는 경우,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는 행동, 창문을 여는 행동, 청소도구를 드는 행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oT 기기(300)는 이러한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판단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300)를 결정할 수 있고(S320),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커피를 마시면서 책을 읽고 있는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독서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조명색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잔잔한 음악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300)를 조명, 음악플레이어,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조명의 밝기 및 색을 결정하고,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 등의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집안을 대청소하고 있는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집안의 먼지가 잘보이도록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고, 욕실청소 후 욕실의 건조를 위해 서큘레이터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300)를 조명, 서큘레이터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조명의 밝기를 가장 밝게 결정하고, 서큘레이터가 작동할 시간 및 세기 등의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취침하다가 화장실을 가기 위해 일어난 경우, 방 안은 깜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인근의 조명(301)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어두운 방에서 사용자가 눈이 부시지 않도록 은은한 밝기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선에 따라 사용자 인근의 조명(301, 302, 303)이 순차적으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깜깜한 방에서 조명을 켜기 위해 헤매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나와 다시 침실로 돌아갈때까지 조명이 켜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화장실에 들어가는 것이 감지된 경우 조명이 모두 꺼지도록 제어하거나, 화장실에서 나오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이 다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TV를 시청하고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IoT 기기(30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TV 시청을 보조할 IoT 기기(300)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조명(304), 창문(305), 커튼(306)을 보조할 IoT 기기(300)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IoT 기기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조명(301)이 꺼지도록 제어하거나, TV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색으로 조명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창문(302) 및 커튼(303)이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통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집 내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0). 사용자의 집 내부정보는 센서 및 카메라의 IoT 기기(300)를 이용하여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집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집 내부를 재현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S410). 컴퓨팅 장치(100)는 가상 공간 내에, 사용자의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 또한 동일한 위치에 표시해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20). 컴퓨팅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상 공간에서의 IoT 기기(300)는 실제 사용자의 집에서의 상태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의 집에서 욕실 조명이 켜져 있는 경우, 가상 공간에서의 욕실 조명 또한 켜진 상태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가상 공간에, 실제 사용자의 집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43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가상 공간에서, 제어를 원하는 IoT 기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IoT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은 IoT 기기(300)를 켜거나 끄는 것, 온도를 제어하거나, 세기를 조절하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등 모든 제어 가능한 설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제어 설정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된 설정에 따라 가상 공간의 IoT 기기(300)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을 끄는 제어를 한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가상 공간의 조명을 끌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가상 공간에서 IoT 기기(300)가 제어된 결과에 따라 실제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가상 공간에 설치된 IoT 기기(300)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S440). 즉,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가 조명을 끄는 제어를 한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실제 집에 설치된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100)는 가상 공간에서 IoT 기기(300)의 제어 결과를 표시한 후, 바로 실제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가상 공간에서 IoT 기기(300)의 제어 결과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제어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버튼을 한번 더 누르는 경우 실제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의 색을 제어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조명의 색을 바꿔보고 맘에 드는 조명의 색으로 설정한 후 적용하기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설정된 조명의 색으로 실제 집안에 설치된 IoT 기기(30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서의 제어를 통해 실제 집안이 제어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집안의 내부를 재현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공간에서 제어할 IoT 기기(300)인 TV를 선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TV를 제어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TV를 끄는 제어를 선택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TV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실제 집안에 설치된 TV 또한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회사, 병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병원의 경우 환자들이 거동을 편하게 할 수 없음에 따라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의 도입은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는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활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라이다 센서에서 환자의 활동 상태를 감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휴식, 수면, 독서, 식사, TV 시청, 운동 등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조명환경을 판단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은 HCL LED(human Centric Lighting)가 이용될 수 있고, HCL LED는 특정 영향을 주는 영역대의 발광 파장 제어를 통해 인공광 조명 환경에서 유익한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시신경의 멜라놉신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460~490nm 파장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CL LED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의 빛을 내어 인지력, 운동능력 등 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키거나,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내어 휴식을 유도하고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HCL LED를 통해 의료진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에게 쾌적한 개별환경을 제공하고, 환자의 인지력, 운동능력 증대 및 불면증/우울증/치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라이더 센서 및 HCL LED는 병원 곳곳에 설치되어, 환자의 행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며, 라이더 센서 및 HCL LED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환자의 행동 감지 및 조명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적외선, MIC, 온습도, 조도 센서 등은 기타 실내 환경과 환자의 체온 및 호흡을 관찰하여 환자의 환경과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부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환자마다의 스케줄 입력을 통해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시나리오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컴퓨팅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제어할 IoT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질문을, 시간, 요일,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로 구분하는 단계;
    구분된 각 분류에 해당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각 분류별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생활패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요일, 상황에 따라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생활패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4. 제2항 및 제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저장된 생활패턴 중 분석된 생활패턴과 동일한 생활패턴이 없는 경우, 상기 분석된 생활패턴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된 시나리오에 따라 제어할 IoT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집안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IoT 기기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보조할 IoT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IoT 기기를 제어할 설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집 내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내부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집 내부를 재현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에, 실제 사용자의 집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가 제어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결과에 따라, 실제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IoT 기기를 상기 가상 공간에 설치된 IoT 기기와 동일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단말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IoT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단말기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연결된 단말기의 순위를 추출하고, 단말기의 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10173657A 2021-12-07 2021-12-07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085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57A KR20230085463A (ko) 2021-12-07 2021-12-07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57A KR20230085463A (ko) 2021-12-07 2021-12-07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63A true KR20230085463A (ko) 2023-06-14

Family

ID=8674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57A KR20230085463A (ko) 2021-12-07 2021-12-07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4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2408B (zh) 智能空调控制器、控制方法及空调器
JP6490675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Jiang et al. Smart home research
WO2016155021A1 (zh) 环境控制系统
Pink et al. Applying the lens of sensory ethnography to sustainable HCI
EP3521718A1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204016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leep patterns
KR20170137724A (ko) 빌딩 내의 환경 관리 시스템을 통제하는 방법 및 장치
Aryal et al. Smart desks to promote comfort, health, and productivity in offices: A vision for future workplaces
JP6150913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505947B (zh) 家电设备控制方法、智能门锁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150612A (ko) 스마트 조명 맞춤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1905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hich uses biometrics as a feedback for home control monitoring to enhance wellbeing
CN113359503B (zh) 设备控制方法及相关装置
JP2020021260A (ja) 決定システム、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85463A (ko)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073714A (ko)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스마트 액자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20230073715A (ko)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hcl 및 라이더 센서를 이용한 헬스케어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73713A (ko) 고객별 최적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홈 제어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o et al. Routinoscope: Collaborative routine reflection for routine-driven do-it-yourself smart homes
CN115718433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智能系统和存储介质
JP2021033662A (ja) 環境構築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ー
Iversen et al. Exploring spatial inter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through prototyping
US20230341825A1 (en) Dynamically optimiz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ecs)
Kempter et al. Guiding light for the mobility support of sen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