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17A -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 Google Patents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17A
KR20230085417A KR1020210173560A KR20210173560A KR20230085417A KR 20230085417 A KR20230085417 A KR 20230085417A KR 1020210173560 A KR1020210173560 A KR 1020210173560A KR 20210173560 A KR20210173560 A KR 20210173560A KR 20230085417 A KR20230085417 A KR 2023008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dule
metaverse
owner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21017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417A/en
Publication of KR2023008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건축 정보 모델링을 기초 메타버스 공간에 가상의 건축물을 구현하는 제작모듈과, 상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는 가치반영모듈과, 상기 가상의 건축물 및 상기 대체불가토큰 중 적어도 하나의 매매를 중개하는 중개모듈과, 상기 건축물만 매매된 경우 매수자로부터 디자인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자인 변경 대한 비용을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지급받아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지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a metaverse, and relates to a production module that implements a virtual building in a metaverse space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vided from a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A value reflection module that grants the non-fungible token, a brokerage module that mediates the sale of at least one of the virtual building and the non-fungible token, and a design change request from the buyer when only the building is sold may include a payment module for receiving payment for the design change from the buyer of the building and providing it to the owner of the unreplaceable token.

Figure P1020210173560
Figure P1020210173560

Description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건축물 또는 토목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고, 건축물과 대체불가토큰의 매매를 별도로 하며, 건축물만 매매한 경우 건축물의 매수자가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종목 중 하나를 변경할 때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주에게 디자인 변경에 대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건축물의 창작에 대한 가치를 최초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a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Non-Fungible Tokens (NFTs) are assigned to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sale of buildings and non-fungible tokens is sold separately. It is about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provides value for the creation of a building to the original owner by paying the owner of the non-fungible token for design changes when changing one.

일반적으로,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 (Mixed Reality)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이 때,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In general, in recent year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applying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At this time, virtual reality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uses a computer to build a virtu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and then makes the virtual space feel like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technology is a computer-generated space on top of the real world. It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dds information and expresses it, tha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interaction with users in real time by combining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이들 중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예컨대, 방송 기술, 의료 기술 및 게임 기술 등)들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TV에서 일기 예보를 하는 기상 캐스터 앞의 날씨 지도가 자연스럽게 바뀌는 경우나, 스포츠 중계에서 경기장에 존재하지 않는 광고 이미지를 경기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화면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방송 기술 분야에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되어 활용된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이러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스마트폰(Smart phone)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구현되어 제공되고 있다.Among them,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are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eg, broadcasting technology, medical technology, game technology, etc.). When the weather map in front of a weather caster who makes a weather forecast on TV changes naturally, or when an advertisement image that does not exist in a stadium is inserted and transmitted on the screen as if it actually exists in the stadium in sports broadcas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technology.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grafted use. In particular, these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are implemented and provided as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with the advent of smart phones.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 이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As a representative service that provides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to users, there is a meta-verse. This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Meta', which means processing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real world, and mean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Metaverse is a concept that is more advanced than the term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in which virtual worlds such as the web and the Internet are absorbed into the real world.

한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건축 정보 모델링으로 2D캐드에서 구현되는 정보를 3D의 입체설계로 전환하고 건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3D의 가상 세계에서 미리 건물을 디자인하고 시공과 정을 볼 수 있는 기술로, 기획단계부터 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 단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모든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hat converts information implemented in 2D CAD into 3D three-dimensional design, and databases all information related to architecture to design buildings in advance in a 3D virtual world and process the construction process. With th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manage all information applied in various fields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from planning to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BIM 정보는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기반의 정보 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다양한 형태로 필요에 따라 정보를 표현할 수 있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BIM 기술을 적용할 경우 건축 분야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BIM information includes a 3D-based information system that has the actual shape and information of a building, stores all information included in a project in a computer database, and can be changed to express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as needed. . Therefore, when BIM technology is applied,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위와 같은 BIM 정보를 통해 다양한 건축물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건축의 구현이 용이하 대신에 건축물의 무분별한 복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건축물에 대한 창작의 가치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metaverse space,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various buildings through the above BIM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alue of the creation of the building is reduced because the realization of the building is easy and the indiscriminate copying of the building can be done instead.

대한민국 공개특허제10-2017-0098037호는 가상현실 기법에 기반한 가변성 건축물의 공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공개특허의 경우에도 건축물에 대한 창작의 가치를 인정해주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창작의 가치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8037 provides a space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building based on a virtual reality technique. However, even in the case of published patent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alue of creation is lowered because there is no means to recognize the value of creation for a build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8037호(2017.08.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8037 (2017.08.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세하게는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건축물 또는 토목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고, 건축물과 대체불가토큰의 매매를 별도로 하며, 건축물만 매매한 경우 건축물의 매수자가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종목 중 하나를 변경할 때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주에게 디자인 변경에 대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건축물의 창작에 대한 가치를 최초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in detail,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a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and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Tokens (NFT, Non-Fungible Token) are granted, the sale of buildings and non-fungible tokens is sold separately, and only the building is sold. When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changes one of the items to which the non-fungible token is granted, the owner of the non-fungible token It is to provide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provides value for the creation of a building to the original owner by paying the cost for design change to the first ow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는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건축 정보 모델링을 기초 메타버스 공간에 가상의 건축물을 구현하는 제작모듈과, 상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는 가치반영모듈과, 상기 가상의 건축물 및 상기 대체불가토큰 중 적어도 하나의 매매를 중개하는 중개모듈과, 상기 건축물만 매매된 경우 매수자로부터 상긱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항목에 대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변경 대한 비용을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지급받아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지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ion module for implementing a virtual building in the metaverse space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vided from a terminal,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and building A value reflection module that assigns the Non-Fungible Token to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virtual building and the non-fungible An intermediary module that mediates the sale of at least one of the tokens, and if only the building is sold, when a request for a change to an item to which a non-fungible token is granted is received from the buyer, the cost for the change is paid from the buyer of the building and the replacement payment It may include a payment module provided to the owner of the car token.

상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될 상기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value calculation module for estimating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to be assigned to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nd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an do.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하는 리모델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치반영모듈은, 변경된 종목을 기초로 상기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재반영할 수 있다.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the same, at least among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non-substitutable owner When a change request is received, a remodeling module for changing a selected item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value reflection module may re-reflect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based on the changed item.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하는 리모델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급모듈은, 상기 종목 변경 대한 비용을 상기 매수자로부터 지급받아 상기 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different, at least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a remodeling module for changing the selected item when a change request is received, and the payment module may receive payment for the item change from the purchaser and provide it to the owner of the unpaid token.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매수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종목 변경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는 변경요청모듈 및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종목 변경에 대한 세부항목을 수신받아 상기 종목 변경에 대한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책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different,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When at least one change request is received, a change request module requesting the owner of the non-substitutable token for permission to change an item and receiving details of the item change from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set the cost for the item change It may further include a cost setting module that do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세하게는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건축물 또는 토목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고, 건축물과 대체불가토큰의 매매를 별도로 하며, 건축물만 매매한 경우 건축물의 매수자가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종목 중 하나를 변경할 때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주에게 디자인 변경에 대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건축물의 창작에 대한 가치를 최초 소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non-substitutable tokens for external and internal designs of buildings or civil engineering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buildings,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NFT, Non-Fungible Token) is granted, and the sale of buildings and non-fungible tokens is sold separately. Paying for design changes can provide value to the original owner for the creation of a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체불가토큰의 활용성과 더불어 대체불가토큰를 통해 광고 및 교육 산업 관련 컨텐츠 활용 자료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non-fungible tokens can be easily used as materials for use of contents related to the advertising and educational industries.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메타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a metavers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taverse server illustrated in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것은 본 발명을 어느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모든 변형(transform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 대체물(substitutions)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specific embodimen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한 구성이 어떤 서브 구성을 "구비(have)" 또는 "포함(comprise)" 한다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other)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having” or “comprises” a certain sub-configuration, it does not exclude other configuration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further includes other configurations. This means that it may contain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nit", "...module" and "component"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includes hardware, software or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a metaverse according to Embodiment 1;

실시예1의 서버는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고, 건축물과 대체불가토큰의 매매를 별도로 하며, 건축물만 매매한 경우 건축물의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종목 중 하나를 변경할 때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주에게 선택된 종목 변경에 대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건축물의 창작에 대한 가치를 최초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1은 건축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토목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1은 건축물 외에 도로·교량·항만·제방·댐·철도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server of Example 1 is a non-fungible token (NFT, Non-Fungible Token) is granted, and the sale of buildings and non-fungible tokens is sold separately. It is about technology that provides value for the creation of a building to the original owner by paying the cost. Although Embodiment 1 is described by taking a building as an exampl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ivil engineering field. For example, Embodiment 1 can be applied to roads, bridges, ports, embankments, dams, railroads, etc., in addition to buildings.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Meta-vers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means processing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real world, and mean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Metaverse is a concept that is more advanced than the term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in which virtual worlds such as the web and the Internet are absorbed into the real world.

실시예1에서 사용자는 단말(예를 들면,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을 통해서 메타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메타버스 서버(300)에서 건축물의 생성하거나 생성된 건축물을 매매를 수 있다.In Example 1, the user accesses the metaverse server 300 through a terminal (eg,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nd creates or creates a building in the metaverse server 300 Buildings can be sold.

단말(100, 2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말(100, 200)은 메타버스 공간을 사실적으로 체험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s 100 and 200 may include any one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a desktop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Preferably, the terminals 100 and 200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o realistically experience the metaverse space.

단말(100, 200)에는 메타버스 서버(300)와의 원활한 통신과,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건축물 중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Applications or programs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metaverse server 300 and intermediation of buildings provided from the metaverse serve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s 100 and 200 .

단말(100, 200)은 통신망을 통해 메타버스 서버(300)와 통신한다. 통신망은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s 100 and 200 communicate with the metaverse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use wire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 (Fiber to The Curb), FTTH (Fiber To The Home)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Yes,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may be used, 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all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widely known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included.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을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지만 다른 사용자에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칭을 구분한다. 제1 단말(100)은 건축 정보 모델링을 생성하고 그 건축 정보 모델링에 기초하여 건축물을 최초 건설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제2 단말(200)은 메타버스 공간에 건설된 건축물을 매수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the same terminal, but since they are used by different users, names are distinguish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terminal 100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first constructs a building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the second terminal 200 purchases a building built in the metaverse space. It means a terminal used by one user.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메타버스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taverse server 300 illustrated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의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메타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etaverse server 3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200 and a metaverse server 300.

제1 단말(100)은 메타버스에 짓고 싶은 대상건축물에 대한 건축 정보 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생성한다. The first terminal 100 generat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a target building to be built in the metaverse.

제1 단말(100)에서 메타버스 서버(300)로 건축 정보 모델링을 메타버스 서버(300)로 전송하면 메타버스 공간에는 건축 정보 모델링에 따른 가상의 건축물이 구현된다. 사용자는 가상의 아바타(AVATAR)로 생성되어 제1 단말(100)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단말(100)을 통해 메타바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건축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건축물을 다른 사용자에게 매매할 수도 있다.Wh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metaverse server 300, a virtual building according to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 user can be created as a virtual avatar (AVATAR) and act in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user may connect to the metavas server 3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 to create a building in the metaverse space, and sell the created building to other users.

제1 단말(100)은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건축물 중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사용자가 건설하려 하는 대상건축물에 대한 건축 정보 모델링을 생성하여 메타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건축 정보 모델링은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단말(100)을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생성된 건축 정보 모델링을 메타버스 서버(300)로 송신한다.The first terminal 100 may b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or program for building mediation provided from the metaverse server 300 . The first terminal 100 generat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a target building that the user intends to construct and transmits it to the metaverse server 300 . For example,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y be generated by another computing device.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created by the other computing device to the metaverse server 300 .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에서 생성된 건축 정보 모델링을 기초로 메타버스 공간에 건설된 가상의 건축물을 제1 단말(100)로부터 매수할 수 있는 단말이다. 예컨대, 제2 단말(200)은 건축물만 매수하거나, 건축물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만 매수하거나 또는 건축물과 건축물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을 일괄로 매매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로부터 대체불가토큰을 제외한 건축물만 매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is a terminal capable of purchasing a virtual building constructed in the metaverse space from the first terminal 100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may purchase only the building, purchase only the non-fungible tokens assigned to the building, or buy and sell the building and the non-fungible token assigned to the building together.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0 purchases only buildings excluding non-fungible tokens from the firs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사용자는 가상의 아바타(AVATAR)로 생성되어 제2 단말(200)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2 단말(200)을 통해 메타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1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건축물을 매수할 수도 있다. 제2 단말(200)은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건축물 중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A user can be created as a virtual avatar (AVATAR) and act in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second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user may access the metaverse server 30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200 and purchase a building from a user using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metaverse space.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or program for building mediation provided from the metaverse server 300 .

메타버스 서버(300)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상의 건축물을 구현하고, 가상의 사용자들(예를 들면 아바타)에게 건축물 및 대체불가토큰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metaverse server 300 implements a virtual building in the metaverse space, and provides brokerage services for buildings and non-fungible tokens to virtual users (eg avatars).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작모듈(310), 가치반영모듈(320), 중개모듈(330), 리모델링모듈(340) 및 지급모듈(350)을 포함한다.The metaverse server 300 includes a production module 310, a value reflection module 320, a mediation module 330, a remodeling module 340 and a payment module 350.

제작모듈(310)은 제1 단말(100)로부터 건축 정보 모델링을 전송받는다. 제작모듈(310)은 제1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건축 정보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물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한다. 제작모듈(310)은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을 반영하여 건축물을 구현한다.The manufacturing module 310 receiv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The production module 310 implements a building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metaverse space. The production module 310 implements a building by reflect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e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예컨대, 제작모듈(310)은 3D그래픽랜더링 기술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건축물을 구현할 수도 있다. 3D그래픽랜더링 기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For example, the production module 310 may implement a building in the metaverse space through 3D graphic rendering technology. Since 3D graphic rendering technology i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가치반영모듈(320)은 제작모듈(310)에 의해 건설된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부여한다. 가치반영모듈(320)은 제1 단말(100)에서 생성된 건축 정보 모델링에도 대체불가토큰을 부여할 수도 있다.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is irreplaceable for at least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constructed by the manufacturing module 310,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Grant a token (NFT, Non-Fungible Token).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may also assign a non-fungible token to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enerated in the first terminal 100 .

대체불가토큰은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으로서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받음으로써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가치와 특성을 지니게 되어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다. 즉, 가치반영모듈(320)은 대치불가토큰을 통해 건축물의 창작에 대한 가치를 최초 소유자에게 부여한다.Non-fungible tokens are blockchain-based tokens with uniqueness and scarcity, and by being given a unique recognition value, they have values and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replaced with each other, making exchange and duplication impossible. That is,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gives the value of the creation of the building to the original owner through the non-substitutable token.

건축물의 외형 디자인은 건축물의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건물의 층수 일 수도 있고, 건축물의 내형 디자인은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등일 수도 있다. 가치반영모듈(320)은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건물의 층수,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등 각각에 대체불가토큰을 부여할 수 있다. 가치반영모듈(320)은 건축물의 관리방법에 대해서 대체불가토큰을 부여할 수도 있다. 가치반영모듈(320)은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도 대체불가토큰을 부여할 수도 있다.The exterior design of a building may be the painting of the exterior wall, subsidiary materials of the exterior wall, and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and the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may be flooring materials,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cabinets.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may assign a non-substitutable token to each of exterior wall painting, exterior wall subsidiary materials, building floors, flooring materials,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wardrobes.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may assign a non-fungible token to the management method of a building.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may also assign non-fungible tokens to building,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대체불가토큰은 해당 건축물의 매매가 이루어지더라도 대체불가토큰을 별도로 매매하지 않는 경우 대체불가토큰의 소유권은 변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 메타버스 공간에서 건축물의 매매가 이루어지면 건축물의 형상만 매매될 뿐 해당 건축물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은 최초 소유자(즉, 건축 정보 모델링을 생성한 소유자)에게 소유된다. For non-fungible tokens, even if the building is sold, the ownership of the non-fungible tokens does not change unless the non-fungible tokens are sold separately. In this case, when a building is sold in the metaverse space, only the shape of the building is sold, and the non-fungible token assigned to the building is owned by the original owner (ie, the owner who created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예를 들면, 건축물의 매매가 이루어지더라도 건축물의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층수,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등에 대한 디자인권리는 최초 소유자(즉,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자)에게 소유된다. 만약, 건축물을 매수한 다른 사용자(즉, 제2 단말의 사용자)가 매수한 건물의 디자인을 변경하려면,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자에게 승인을 받고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For example, even if a building is sold, the design rights for the exterior wall painting, exterior wall materials, floors, flooring,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 built-in wardrobes are owned by the original owner (i.e., the owner of the non-fungible token). . If another user (ie,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who has purchased the building wishes to change the design of the purchased building, he or she must obtain approval from the owner of the non-fungible token and pay a fee.

중개모듈(330)은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건축물들 및 건축물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간에 중개한다. 중개모듈(330)은 제1 단말(100)에서 소유중인 건축물과 해당 건축물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 중 건축물만 제2 단말(200)에 매매하게 할 수도 있고, 건축물은 제2 단말(200)에 매매하게 하고 대체불가토큰은 제3 단말(미도시)에 매매하게 할 수도 있으며, 건축물과 대체불가토큰을 일괄적으로 제2 단말(200)에 매매하게 할 수도 있다. 중개모듈(330)은 건축물 또는 대체불가토큰을 매매할 때 가상화폐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mediation module 330 mediates at least one of the building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nd the non-fungible tokens assigned to the buildings between users. The mediation module 330 may allow the second terminal 200 to sell only buildings among the buildings own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non-fungible tokens assigned to the buildings, and the buildings may be sold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non-fungible token may be sold to a third terminal (not shown), or the building and the non-fungible token may be collectively sold to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mediation module 330 may use virtual currency when buying and selling buildings or non-fungible tokens.

이하에서는 제1 단말(100)로부터 건축물만 제2 단말(200)에 매매하게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건축물의 소유자는 건축물의 매수자인 제2 단말(200)이지만 건축물에 대한 대체불가토큰의 소유권은 제1 단말(100)에 있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only buildings are sol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the owner of the building is the second terminal 200,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but the ownership of the non-fungible token for the building is in the first terminal 100.

리모델링모듈(34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타버스 공간에 건설된 건축물의 디자인을 변경한다.The remodeling module 340 changes the design of the building built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제1 단말(100)에서 건축물을 다른 사용자에게 매도하지 않고 직접 소유하고 있는 중에, 리모델링모듈(340)은 제1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즉, 리모델링)한다. 여기서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기능 향상 또는 심미성 향상 등을 위하여 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이나 실시예1에서는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하는 모든 것을 리모델링으로 정의한다While the first terminal 100 directly owns the building without selling it to another user, the remodeling module 340 performs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owned by the user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When a change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elected item is changed (ie, remodeling). Here, remodeling is the act of repairing or partially extending a building to improve its function or aesthetics, but in Example 1,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a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When a request to change one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everything that changes the selected item is defined as remodeling.

이하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된 종목이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하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in Examples 1 and 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selected item is one of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a building will be described.

예컨대, 건축물의 외형 디자인의 변경은 건축물의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층수 증설의 변경일 수도 있고, 건축물의 내형 디자인의 변경은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등의 변경일 수도 있다.For example, a change in the exterior design of a building may be a change in painting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subsidiary materials for the exterior wall,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loors, and a change in the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may be a change in flooring,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closets.

제1 단말(100)에서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면 가치반영모듈(320)은 변경된 디자인을 기초로 대체불가토큰을 다시 부여한다. 여기서 대체불가토큰의 다시 부여라 함은 해당 건물의 외형 및 내형의 디자인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을 제거하고, 새롭게 디자인된 건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을 기초로 대체불가토큰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When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s chang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re-grants a non-substitutable token based on the changed design. Here, the re-assignment of the non-fungible token means removing the non-fungible token assigned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and granting the non-fungible token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newly designed building.

제1 단말(100)에서 제2 단말(200)로 대체불가토큰을 제외한 건축물만 매매한 경우, 리모델링모듈(340)은 제2 단말(200)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디자인을 변경(즉, 리모델링)한다. 이 때, 전술한바와 같이 건축물을 매매하더라도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은 제1 단말(100)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단말(200)은 디자인 변경에 대한 비용을 제1 단말(100)로 제공해야 한다. 만약, 대체불가토큰이 제3 단말(미도시)에서 매수한 경우, 제2 단말(200)은 디자인 변경에 대한 비용을 제3 단말로 제공해야 한다.When only buildings other than non-fungible tokens are sol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remodeling module 340 requests a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When received, the selected design is changed (ie, remodeled). At this time, even if the building is sold or sol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owns the non-fungible token assigned to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the second terminal 200 pays for the design change. It should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100. If the non-fungible token is purchased by the third terminal (not shown), the second terminal 200 must provide the cost for the design change to the third terminal.

지급모듈(350)은 제1 단말(100)에 의해 건설된 건축물을 매수한 상기 제2 단말(200)에서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200)로부터 디자인 변경 대한 비용을 제2 단말(200)로부터 지급받는다. 참고로 지급모듈(350)은 제2 단말(200)로부터 비용을 가상화폐로 지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지급모듈(350)은 제2 단말(200)로부터 지급받은 비용(즉, 가상화폐) 대체불가토큰의 소유자 즉, 제1 단말(100)로 지급한다.The payment module 350 receives a request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hat has purchased the building constructed by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A cost for design change is pai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For reference, the payment module 350 may receive payment in virtual currency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payment module 350 pays the cost (ie virtual currency)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owner of the non-fungible token,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0 .

일 예로, 지급모듈(350)은 제2 단말(200)에서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중 동일한 항목에 변경 요청이 올 경우 최초 1회에 대해서만 제1 단말(100)로부터 비용을 지급받을 수도 있고, 동일한 항목의 변경이더라도 매 회 변경때마다 제1 단말(100)로부터 비용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ayment module 350 may receive payment from the first terminal 100 only for the first time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requests a change to the same item among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s of the building, Even if the same item is changed, the cost may be pai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t every change.

지급모듈(350)은 제2 단말(200)에서 변경하는 디자인의 종류, 개수 등에 따라 제2 단말(200)로부터 지급받는 비용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payment module 350 may set the degree of paym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designs changed in the second terminal 200 .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2의 메타버스 서버(600)는 제작모듈(610), 가치반영모듈(620), 중개모듈(630), 리모델링모듈(640), 지급모듈(650), 가치 산정모듈(660), 변경요청모듈(670) 및 비용책정모듈(680)을 포함한다. 실시예2의 제작모듈(610), 가치반영모듈(620), 중개모듈(630), 리모델링모듈(640), 지급모듈(650)은 실시예1의 제작모듈(310), 가치반영모듈(320), 중개모듈(330), 리모델링모듈(340), 지급모듈(35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가치 산정모듈(660), 변경요청모듈(670) 및 비용책정모듈(68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metaverse server 600 of Embodiment 2 includes a production module 610, a value reflection module 620, a mediation module 630, a remodeling module 640, a payment module 650, a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a change It includes a request module 670 and a costing module 680. The production module 610, the value reflection module 620, the mediation module 630, the remodeling module 640, and the payment module 650 of Example 2 are the production module 310 and the value reflection module 320 of Example 1. ), the mediation module 330, the remodeling module 340, and the payment module 350, so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the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the change request module 670, and the cost setting module 680 Explain.

가치 산정모듈(660)은 제작모듈(610)에서 건축물을 건설하면 해당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 부여될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한다. When a building is constructed in the production module 610, the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replaces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and construction,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alculate the value of the bull token.

예컨대, 가치 산정모듈(660)은 건축물의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건물의 층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축물의 외형 디자인에 통합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할 수도 있고, 건축물의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건물의 층수 각각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할수도 있다.For example, the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may calculate the value of the non-substitutable token integrated into the ex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pain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ubsidiary materials of the outer wall, and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the pain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value of non-fungible tokens assigned to the subsidiary materials of the exterior wall and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가치 산정모듈(660)은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축물의 내형 디자인에 통합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할 수도 있고,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 각각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할 수도 있다.The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may calculate the value of the non-substitutable token integrated into the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looring,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cabinets, and may also calculate the value of flooring materials,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cabinets.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given to each built-in wardrobe can be calculated.

가치 산정모듈(660)에서 대체불가토큰에 대한 가치를 산정하면 가치반영모듈(620)은 산정된 가치의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을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에 부여한다. When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is calculated in the value calculation module 660, the value reflection module 620 converts the non-fungible token of the calculated value to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It is assigned to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변경요청모듈(670)은 제1 단말(400)에 의해 건설된 건축물을 매수한 제2 단말(500)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대체불가토큰을 소유하고 있는 제1 단말(400)로 선택된 종목의 변경에 대한 권한을 요청한다. 변경요청모듈(670)은 제1 단말(400)로부터 선택된 종목의 변경에 대한 권한이 승락되면, 이를 리모델링모듈(640)로 제공한다. 만약, 변경요청모듈(670)이 제1 단말(400)로부터 변경에 대한 권한을 승락받지 못하면 제2 단말(500)은 해당 건축물의 선택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다.The change request module 67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500 that purchases the building constructed by the first terminal 400,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When a change request for at least one of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first terminal 400 possessing the non-fungible token is requested to change the selected item. The change request module 670 provides the remodeling module 640 with permission to change the item selected from the first terminal 400 . If the change request module 670 does not receive permission for change from the first terminal 400, the second terminal 500 cannot perform the selected change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제1 단말(400)로부터 선택된 종목의 변경에 대한 권한이 승락되면 비용책정모듈(680)은 제2 단말(500)로부터 변경할 종목의 세부항목을 수신받고, 세부항목을 기초로 변경에 대한 비용을 책정한다. 비용책정모듈(680)에서 책정되는 비용은 각 항목에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의 가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변경할 세부항목의 개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용책정모듈(680)은 건축물의 외형 디자인 즉, 외벽 도색, 외벽의 부자재, 건물의 층수에 대한 변경 비용을 건축물의 바닥재, 마감재, 도배, 고정 설치된 붙박이장에 대한 변경 비용보다 높게 책정할 수도 있다.When the right to change the selected item is accepted from the first terminal 400, the cost setting module 680 receives details of the item to be changed from the second terminal 500, and sets the cost for the change based on the detailed items. set out The cost set by the cost setting module 680 may vary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assigned to each item,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type of detailed items to be changed. For example, the cost setting module 680 sets the ex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that is, the cost of changing the external wall painting, auxiliary materials of the external wall, and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higher than the cost of changing the building's flooring, finishing materials, wallpaper, and fixedly installed built-in closets. can also be set.

지급모듈(650)은 비용책정모듈(680)에서 책정된 비용을 제2 단말(500)로부터 지급받아 제1 단말(400)로 지급한다.The payment module 650 receives the cost set by the cost setting module 680 from the second terminal 500 and pays it to the first terminal 4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100: 제1 단말
200: 제2 단말
300: 메타버스 서버
310: 제작모듈
320: 가치반영모듈
330: 중개모듈
340: 리모델링모듈
350: 지급모듈
100: first terminal
200: second terminal
300: metaverse server
310: production module
320: value reflection module
330: mediation module
340: remodeling module
350: payment module

Claims (5)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건축 정보 모델링을 기초 메타버스 공간에 가상의 건축물을 구현하는 제작모듈;
상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을 부여하는 가치반영모듈;
상기 가상의 건축물 및 상기 대체불가토큰 중 적어도 하나의 매매를 중개하는 중개모듈; 및
상기 건축물만 매매된 경우 매수자로부터 상긱 대체불가토큰이 부여된 항목에 대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변경 대한 비용을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지급받아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지급모듈
을 포함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
A production module that implements a virtual building in the metaverse space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vided from the terminal;
A value reflection module that assigns the non-fungible token to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an intermediary module for mediating the sale of at least one of the virtual building and the non-fungible token; and
When only the building is sold, when a request for a change to an item to which a non-substitutable token is granted is received from the buyer, a payment module for receiving the cost of the change from the buyer of the building and providing it to the owner of the non-substitutable token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여될 상기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alue calculation module for estimating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to be assigned to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nd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facilit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A virtual architecture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do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하는 리모델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치반영모듈은, 변경된 종목을 기초로 상기 대체불가토큰의 가치를 재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
According to claim 1,
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the same,
A remodeling module that changes the selected item when a request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non-substitutable owner Including more,
The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reflection module re-reflects the value of the non-fungible token based on the changed i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종목을 변경하는 리모델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급모듈은,
상기 종목 변경 대한 비용을 상기 매수자로부터 지급받아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
According to claim 1,
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different,
When a request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uyer of the building, a remodeling module that changes the selected item include more
The payment module,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receives payment for the item change from the purchaser and provides it to the owner of the non-substitutable tok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소유자와 상기 대체불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매수자로부터 건축물의 외형 및 내형 디자인,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 처리 및 관리 과정, 건축, 구조, 토목, 설비,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체불카토큰의 소유자에게 종목 변경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는 변경요청모듈; 및
상기 건축물의 매수자로부터 종목 변경에 대한 세부항목을 수신받아 상기 종목 변경에 대한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책정모듈
을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건축물 거래 플랫폼 서버.
.
According to claim 1,
If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non-substitutable owner are different,
When a request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esig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ces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rchitecture, structure, civil engineer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uyer of the building, the non-substitutable token A change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the owner's permission to change an item; and
A cost setting module that receives detailed items on item change from the purchaser of the building and sets the cost for the item change
A virtual building trading platform server in the metaverse that further includes.
.
KR1020210173560A 2021-12-07 2021-12-07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KR202300854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60A KR20230085417A (en) 2021-12-07 2021-12-07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60A KR20230085417A (en) 2021-12-07 2021-12-07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17A true KR20230085417A (en) 2023-06-14

Family

ID=8674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60A KR20230085417A (en) 2021-12-07 2021-12-07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4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037A (en) 2016-02-19 2017-08-29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of simulating for variable structure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037A (en) 2016-02-19 2017-08-29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of simulating for variable structure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200020172A1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Hagiu Strategic decisions for multisided platforms
KR102432524B1 (en) Metaverse hybrid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03275A (en) Block-chain based sharing system of game resources
JP2007500883A (en) Information display
US81506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bining models of goods and services
KR102294495B1 (en) Virtual interior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and augmented reality linked therewith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100017283A1 (en) Dynamic advertising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universes
KR20220146298A (en) Metaverse system that provides an economic operating system to a fusion space where reality and virtualization are fused
US20100161439A1 (en) Asset discovery and transfer within a virtual universe
KR20230085417A (en) Virtual Building Trading System in Metaverse
KR102072714B1 (en)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ing head mounted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2394307B1 (en) Method for real estate investment simula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US2022027004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 to project design and space layout planning
KR102161786B1 (en) Product sales revenue sharing method based on integrated platform
Satterlee E-commerce: A knowledge base
KR20230109007A (en) Method of operation of metaverse platform providing server and metaverse platform providing server
KR20230080115A (en) Metaverse platform server for online business of publisher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220031A1 (en) Platform for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for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KR20100130745A (en) On-line automobile shopping system and the method
KR20230160415A (en) Metaverse system for using modifiable objects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KR20230159923A (en) Metaverse system for using non-fungible token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KR20240034013A (en) Block-chain based sharing system of game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