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389A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389A
KR20230085389A KR1020210173496A KR20210173496A KR20230085389A KR 20230085389 A KR20230085389 A KR 20230085389A KR 1020210173496 A KR1020210173496 A KR 1020210173496A KR 20210173496 A KR20210173496 A KR 20210173496A KR 20230085389 A KR20230085389 A KR 2023008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twin
platform
iot
sensing
computer graph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업
Priority to KR102021017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389A/ko
Publication of KR2023008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은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되어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하며,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win service using computer graphics }
본 발명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PI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과 가상 세계(또는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현실과 가상 세계의 공존을 촉진시키며, 현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물리적 한계를 해소하도록 한다.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 사물 및 시스템의 동적 소프트웨어 모델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리적 대상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변화에 대응하며, 운영을 개선하고 가치를 부가하는 기술이다
산업기반의 디지털화로 디지털 트윈의 활용이 크게 확대되고, 산업 전반에 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가상-현실의 융합경제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데이터 경제 성장 본격화에 따른 디지털 트윈 모델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가상 세계를 현실과 가능한 동일하면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29381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 세계를 현실과 가능한 동일하면서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는,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되어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및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센싱 플랫폼은, 다수의 IoT 센싱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측정값이 유효한지 검증하고, 유효하지 않으면 에러 코드를 센싱데이터에 추가한 후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파싱하여 엔터티 오브젝트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엔터티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WEB/WAS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는,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렌더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컴퓨터 그래픽 처리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으로 구현된 가상 세계에 반영한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방법은,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이,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단계; 및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가,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모델과 CG(컴퓨터 그래픽) 산업을 융합함으로써, 설계, 건설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트윈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모델의 적용 분야가 도시계획, 부동산, 헬스케어, 제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됨에 따라 현실 세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디지털 트윈 모델에 반영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의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터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디지털 트윈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 명세서에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의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터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100),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 및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센싱 플랫폼(100)은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되어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센싱 플랫폼(100)은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 및 센싱 처리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은 현실 세계 중 지정된 지역 또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데이터를 취득하여 센싱 처리모듈(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은 공기 상태 감지를 위한 위치, 화재 감지를 위한 위치, 주차장,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되거나, 건물 출입 사람수를 카운팅하거나, 주변을 촬영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실 세계가 주차장인 경우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은 주차장의 주차 구역 바닥, 주차 구역의 상부, 기둥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 처리모듈(120)은 전원이 인가되면 IoT 센싱모듈들(110)과의 무선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과의 연결을 확인한 후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센싱 처리모듈(120)은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데이터(또는 GET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HTTP 데이터의 측정값이 유효한지 검증할 수 있다.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센싱 처리모듈(120)은 에러 코드를 센싱데이터의 동작 상태 필드(Operational Status Field)에 추가하고, 실제 측정된 결과를 HTTP 데이터에 삽입한 후, IP 헤더를 추가하여 최종 센싱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싱 처리모듈(120)은 실제 측정된 결과를 HTTP 데이터에 삽입한 후, IP 헤더를 추가하여 최종 센싱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 처리모듈(120)은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에서 구축된 Restful API를 통해 최종 센싱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은 IoT 센싱 플랫폼(100)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은 인터페이싱 모듈(210), 프로세서(220), 데이터베이스(230), WEB/WAS 서버(240) 및 서비스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모듈(210)은 IoT 센싱 플랫폼(100)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 간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과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 간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모듈(210)은 IoT 센싱 플랫폼(100)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최종 센싱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220)에서 렌더링된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IoT 센싱 플랫폼(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파싱하여 엔터티 오브젝트(Entity Object)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엔터티 오브젝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세서(220)는 Restful API를 통해 들어온 최종 센싱데이터를 변수 파싱 과정을 통해 오브젝트(Object)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브젝트를 매핑 과정을 통해 엔터티 오브젝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면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되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최종 센싱데이터 중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렌더링한 후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에게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구축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된다.
WEB/WAS 서버(240)는 서비스 모듈(250)의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user query)를 프로세서(22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220)로부터 생성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 시 오브젝트에서 데이터와 처리가 간편한 GET 데이터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모듈(250)은 관리자 또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으로 IoT 센싱 플랫폼(100)을 관리하고, 디지털 트윈 화면의 시뮬레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의 요청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최종 센싱데이터(예를 들어, CCTV 촬영 영상)를 렌더링한 후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웹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모바일 폰, 스마트 와치 등의 전자기기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넘버에 의해 서버 엔드포인트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소켓 객체를 생성한다.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클라이언트 소켓을 WEB/WAS 서버(240)의 엔드포인트에 연결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이 성공하면,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한다.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렌더링 데이터를 언리얼 엔진 또는 리얼타임 엔진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컴퓨터 그래픽(CG) 처리하며, 그래픽 처리된 데이터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으로 구현된 3D 가상 세계에 반영함으로써 현실 세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3D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BIM 또는 GIS 기반으로 구현되는 3D 가상 세계(즉,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200)에서 생성될 수도 있으며,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IoT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실 세계의 현재 상태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3D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뷰어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300)는 IoT 센서와 같은 물리적 대상에서 수신되는 라이브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CG 기반 모델에 반영하고, 이로써 3D CG 기반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이 현실 세계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동작 및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 트윈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D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는 건물 내부, 주차공간 등 현실세계에 대한 통합 관제 환경을 제공하며, 공간을 보다 직관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경보 및 이벤트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컴포넌트 기반의 3D 공간 및 IoT 센서를 매핑하고, HTML5 표준 언어 기반을 통해 모바일 웹을 포함하는 모든 웹브라우저에서 호환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IoT 센싱 플랫폼 110: 다수의 IoT 센싱모듈들
120: 센싱 처리모듈 200: 디지털 트윈 플랫폼
210: 인터페이싱 모듈 220: 프로세서
230: 데이터베이스 240: WEB/WAS 서버
250: 서비스 모듈

Claims (5)

  1.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되어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및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
    를 포함하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싱 플랫폼은,
    다수의 IoT 센싱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측정값이 유효한지 검증하고, 유효하지 않으면 에러 코드를 센싱데이터에 추가한 후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파싱하여 엔터티 오브젝트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엔터티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WEB/WAS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는,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렌더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컴퓨터 그래픽 처리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으로 구현된 가상 세계에 반영한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시스템.
  5. IoT(Internet of Things) 센싱 플랫폼이, 현실 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 상기 IoT 센싱 플랫폼으로부터 Restful API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에 표시가능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단계; 및
    디지털 트윈 모델링 장치가, 상기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처리된 렌더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현실 세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방법.
KR1020210173496A 2021-12-07 2021-12-07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230085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96A KR20230085389A (ko) 2021-12-07 2021-12-07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96A KR20230085389A (ko) 2021-12-07 2021-12-07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89A true KR20230085389A (ko) 2023-06-14

Family

ID=8674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496A KR20230085389A (ko) 2021-12-07 2021-12-07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3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6644A (zh) * 2023-08-18 2023-09-19 浙江远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大坝运行监测仿真方法和系统
CN116823072A (zh) * 2023-06-27 2023-09-29 深圳翌万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数据孪生的智能运营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19B1 (ko) 2019-12-26 2021-08-26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기반 디지털트윈 서비스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19B1 (ko) 2019-12-26 2021-08-26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기반 디지털트윈 서비스 제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3072A (zh) * 2023-06-27 2023-09-29 深圳翌万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数据孪生的智能运营平台
CN116823072B (zh) * 2023-06-27 2024-04-09 深圳翌万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数据孪生的智能运营平台
CN116776644A (zh) * 2023-08-18 2023-09-19 浙江远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大坝运行监测仿真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2742B (zh) 非合成桌面中的基于窗口呈现框架的应用程序的远程发送
CN111614780B (zh) 一种云渲染的系统与方法
US982380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cording changes in visual stimuli observed through browser-based interfaces
KR20230085389A (ko)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IoT 건물 관제 디지털 트윈 구축 장치 및 방법
JP4302081B2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遠隔操作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遠隔操作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JP601272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06673A1 (en) Resource server providing a rapidly changing resource
CN104199723B (zh) 基于虚拟设备的摄像头映射方法
CN1154514A (zh) 在网络内传送嵌入式应用的系统
CN101506789A (zh) 用于在远程终端会话中提供辅助功能选项的技术
WO2019201287A1 (zh) 多联机空调系统的集控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8546103A (ja) 第三者ウェブ・プラグイン・コンテンツのためのウェブ使用オーバーレイ
Patti et al. Information modeling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N107908487B (zh) 任务控制管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3015793A (ja) ネットワーク上の監視対象の情報を監視画面上にダイナミックに変化させて表示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上の監視対象の情報を監視画面上にダイナミックに変化させて表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を実現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プレイヤープログラム
CN115409454A (zh) 基于人工智能的业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697399A (zh) 基于通用信息模型的网格监控系统
KR20140093849A (ko) Dom 변이 이벤트 기반 웹 화면 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62555A1 (en) Route a Service
CN113938698B (zh) 直播用户资料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4520806A (zh) 一种屏幕应用遥控交互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86104A (zh) 协议数据的录制、存储以及查询方法、系统和服务器
KR101966548B1 (ko) 다수의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을 위한 센서 메타 데이터 생성 시스템
US20080077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roxy interface object to communicate through a gateway software server to a remote software server
CN1459063A (zh) 实时控制用户网络浏览器的系统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