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812A - 차량용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812A
KR20230084812A KR1020210172878A KR20210172878A KR20230084812A KR 20230084812 A KR20230084812 A KR 20230084812A KR 1020210172878 A KR1020210172878 A KR 1020210172878A KR 20210172878 A KR20210172878 A KR 20210172878A KR 20230084812 A KR20230084812 A KR 20230084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p plate
swivel
swivel top
pl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우
김상호
나선채
김도완
이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4812A/ko
Priority to US17/978,001 priority patent/US20230173954A1/en
Publication of KR2023008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위블상판부(421)와 스위블보강멤버부(422) 및 셋브라켓부(423)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42)로 구성되고, 스위블상판모듈(42)이 시트쿠션프레임(21)과 결합되며, 스위블상판모듈(42)의 좌우측 및 후방면은 시트(10)에 결합된 시트브라켓(60)의 좌우측 및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서 시트(10)의 하부디자인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구조{SEAT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블상판과 스위블보강멤버 및 셋브라켓이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이 시트프레임과 결합된 차량용 시트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승객이 탑승하여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차량의 시트는 보통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한다.
시트는 시트레일과 결합되어서 시트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스위블(swivel)장치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한편, 스위블장치가 구비된 시트의 경우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된 스위블상판, 스위블장치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 및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가 결합되는 셋브라켓이 모두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부품수가 많고, 원가가 비싸며, 중량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셋브라켓의 경우 시트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좌우측 전방에 각각 1개씩 그리고 좌우측 후방에 각각 1개씩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0-0078903호
본 발명은, 스위블장치가 구비된 시트에서 스위블상판부와 스위블보강멤버부 및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된 스위블상판모듈이 시트프레임과 연결되도록 결합된 차량용 시트구조로서, 부품의 모듈화구조를 통해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블상판모듈과 일체화된 셋브라켓부로 인하여 시트의 하단공간을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의 슬림화 디자인이 가능해지고, 슬림화된 시트의 하부 공간을 활용해서 후석 승객(2열 승객)의 발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시트구조는, 스위블장치를 구성하는 스위블상판부, 스위블상판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부,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 및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부가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셋브라켓부는 스위블상판부의 좌우측과 연결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스위블보강멤버부는 스위블상판부의 전면과 연결되면서 좌우양단이 셋브라켓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후방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경량화를 위해 비철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함금 중 어느 하나의 비철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의 좌우측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좌우측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어서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좌우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의 후방면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어서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후방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는, 스위블장치를 구성하는 스위블상판부,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 및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전면과 연결되면서 좌우양단이 셋브라켓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스위블상판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후방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는, 스위블상판부와 스위블보강멤버부 및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로 구성되고, 스위블상판모듈이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된 구성으로, 종래에 스위블상판과 스위블보강멤버 및 셋브라켓이 모두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구조에 비해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이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구조는 셋브라켓부가 스위블상판모듈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스위블상판모듈의 좌우측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좌우측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좌우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구조는 셋브라켓부가 스위블상판모듈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스위블상판모듈의 후방면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후방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를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10)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1),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12),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3)를 포함한다.
시트(10)는 시트프레임(20)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시트프레임(20)에는 폼패드 및 가죽재질의 시트커버가 커버링되도록 결합된다.
시트프레임(20)은 시트쿠션(11)의 골격이 되는 시트쿠션프레임(21), 및 시트백(12)의 골격이 되는 시트백프레임(22)을 포함한다.
시트(10)는 시트레일(30)과 결합되어서 시트레일(30)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시트레일(30)은 차량 실내의 바닥면에 전후로 연장되게 고정 설치된 고정레일(31), 및 고정레일(3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레일(32)을 포함하며, 이동레일(32)에 시트쿠션프레임(21)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서 시트(10)가 시트레일(30)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차량의 시트(10)는 필요에 따라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시트(10)의 회전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스위블장치(40)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스위블장치(40)는 시트레일(30) 중 이동레일(32)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스위블하판(41),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42), 및 스위블하판(41)과 스위블상판모듈(42)사이에 구비되어서 스위블하판(41)에 대해 스위블상판모듈(42)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스위블동작기구(43)를 포함한다.
스위블동작기구(43)의 구성은 특허문헌으로 공지된 일반적인 구조에 기반하므로 이에 대한 성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구조는, 스위블장치(40)를 구성하는 스위블상판모듈(42); 및 상기 스위블상판모듈(42)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트프레임(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42)은 시트쿠션프레임(21)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스위블상판부(421), 스위블상판부(421)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부(422), 시트(10)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50)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423)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상판부(421)와 스위블보강멤버부(422) 및 셋브라켓부(423)는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구성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42)은 1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서 형성되며, 여기에는 스위블상판부(421)와 스위블보강멤버부(422) 및 셋브라켓부(423)가 일체로 구비되어서 모듈화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스위블상판모듈(42)에서 스위블상판부(421)는 스위블장치(40)를 구성하는 스위블동작기구(43)와 연결되면서 시트쿠션프레임(21)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스위블상판부(421)의 좌우측에는 시트(10)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50)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423)가 각각 연결되게 구비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스위블상판부(421)의 전면에는 스위블보강멤버부(422)가 연결되게 구비되며, 스위블보강멤버부(422)의 좌우양단은 셋브라켓부(423)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서 스위블상판부(421)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스위블상판부(421)와 스위블보강멤버부(422) 및 셋브라켓부(423)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42)은, 종래에 스위블상판과 스위블보강멤버 및 셋브라켓이 모두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구조에 비해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42)은 스위블상판부(421)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후방보강부(424)를 더 포함하며, 후방보강부(424)에 의해 스위블상판부(421)의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상판모듈(42)은 원하는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스틸(steel)재질 대비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비철금속으로 제작되어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함금 중 어느 하나의 비철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틸재질 수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틸재질 대비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면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함금이외에 다른 종류의 재질을 사용해서 스위블상판모듈(42)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셋브라켓부(423)가 스위블상판모듈(42)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도 4와 같이 스위블상판모듈(42)의 좌우측은 시트(10)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10)에 결합된 시트브라켓(60)의 좌우측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10)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10) 하부의 좌우공간(A1)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셋브라켓부(423)가 스위블상판모듈(42)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도 5와 같이 스위블상판모듈(42)의 후방면은 시트(10)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10)에 결합된 시트브라켓(60)의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10)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10) 하부의 후방공간(A2)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구조는, 스위블상판부(421)와 스위블보강멤버부(422) 및 셋브라켓부(423)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42)로 구성되고, 스위블상판모듈(42)이 시트쿠션프레임(21)과 결합된 구성으로, 종래에 스위블상판과 스위블보강멤버 및 셋브라켓이 모두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구조에 비해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구조는 셋브라켓부(423)가 스위블상판모듈(42)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스위블상판모듈(42)의 좌우측은 시트(10)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10)에 결합된 시트브라켓(60)의 좌우측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10)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10) 하부의 좌우공간(A1)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구조는 셋브라켓부(423)가 스위블상판모듈(42)과 일체화된 모듈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스위블상판모듈(42)의 후방면은 시트(10)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10)에 결합된 시트브라켓(60)의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시트(10)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슬림화된 시트(10) 하부의 후방공간(A2)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시트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3 - 헤드레스트
20 - 시트프레임 21 - 시트쿠션프레임
22 - 시트백프레임 30 - 시트레일
31 - 고정레일 32 - 이동레일
40 - 스위블장치 41 - 스위블하판
42 - 스위블상판모듈 43 - 스위블동작기구
50 - 회전링크 60 - 시트브라켓
421 - 스위블상판부 422 - 스위블보강멤버부
423 - 셋브라켓부 424- 후방보강부
A1 - 시트 하부의 좌우공간
A2 - 시트 하부의 후방공간

Claims (11)

  1. 스위블장치를 구성하는 스위블상판부, 스위블상판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부,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 및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부가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브라켓부는 스위블상판부의 좌우측과 연결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스위블보강멤버부는 스위블상판부의 전면과 연결되면서 좌우양단이 셋브라켓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후방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경량화를 위해 비철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함금 중 어느 하나의 비철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의 좌우측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좌우측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어서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좌우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의 후방면은 시트의 하부를 가리도록 시트에 결합된 시트브라켓의 후방면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게 구성되어서 시트의 하부디자인은 슬림화되고, 슬림화된 시트 하부의 후방공간으로 후석 승객의 발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9. 스위블장치를 구성하는 스위블상판부,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링크가 결합되는 셋브라켓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모듈화된 스위블상판모듈; 및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전면과 연결되면서 좌우양단이 셋브라켓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스위블상판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스위블보강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상판모듈은 스위블상판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후방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구조.
KR1020210172878A 2021-12-06 2021-12-06 차량용 시트구조 KR20230084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78A KR20230084812A (ko) 2021-12-06 2021-12-06 차량용 시트구조
US17/978,001 US20230173954A1 (en) 2021-12-06 2022-10-31 Seat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78A KR20230084812A (ko) 2021-12-06 2021-12-06 차량용 시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812A true KR20230084812A (ko) 2023-06-13

Family

ID=8660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878A KR20230084812A (ko) 2021-12-06 2021-12-06 차량용 시트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73954A1 (ko)
KR (1) KR202300848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903A (ko) 2018-12-24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903A (ko) 2018-12-24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3954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259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8267456B2 (en) Compact seating arrangement
US20060076795A1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023063393A5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乗物用シート
US20160176327A1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A2857942A1 (en) Frame structure for seat back
JP6438210B2 (ja) 車両用シート
US8757711B2 (en) Vehicle seat
US7597395B2 (en) Vehicle seat
US7255395B2 (en) Seat assembly with movable inner seat back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US20080001425A1 (en) Vehicle seat assembly
KR20230084812A (ko) 차량용 시트구조
US6695373B1 (en) Transparent auto headrest
JPH07205690A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取付構造
CN110920492B (zh) 车辆座椅的靠背结构
US7597376B2 (en)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22058119A (ja) 乗り物用シート
US10793037B2 (en) Vehicle seat back
JP2008284901A (ja) 自動車の車室内構造
JP2001097095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GB2455295A (en) Vehicle seating configuration
EP1612090B1 (en) Vehicle seat arrangement
US11938849B2 (en) Seat for vehicle having fold-and-dive function
KR20230144370A (ko) 윙아웃 헤드레스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