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853A -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853A
KR20230083853A KR1020210172233A KR20210172233A KR20230083853A KR 20230083853 A KR20230083853 A KR 20230083853A KR 1020210172233 A KR1020210172233 A KR 1020210172233A KR 20210172233 A KR20210172233 A KR 20210172233A KR 20230083853 A KR20230083853 A KR 2023008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
communication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석
문용환
김명유
조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17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853A/ko
Priority to TW111146422A priority patent/TW202333127A/zh
Priority to PCT/KR2022/019523 priority patent/WO2023101517A1/ko
Publication of KR2023008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75Content or structure details of the error report, e.g. specific table structure, specific error fie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4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to protect a block of data words, e.g. CRC or checksu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술로서,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한 관리가 쉬워지고, 오류발생시의 복구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A DATA PROCESSING DEVICE, A DATA DRIVING DEVICE, AND A DATA DRIVING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각 화소는 R(red), G(green), B(blue)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영상데이터에 따른 계조(greyscale)로 발광하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영상데이터는 타이밍컨트롤러로 호칭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소스드라이버로 호칭되는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된다. 영상데이터는 디지털값으로 송신되는데,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화소를 구동하게 된다.
영상데이터는 각 화소의 계조값을 개별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지시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영상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레이트가 증가할수록 단위 시간에 송신해야하는 영상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 디스플레이패널이 고해상화 되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수와 프레임 레이트가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고해상화에 따라 증가된 영상데이터의 양을 처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데이터통신이 고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고속화된 데이터통신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저속통신회로; 제2모드에서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고,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속통신회로;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회로; 및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속통신회로; 제2모드에서 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기 위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에 따라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에 따라 제2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속통신회로; 및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2모드에서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는 단계;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3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구동방법은 상기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프레임구간 중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는 액티브구간에서 상기 제3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한 프레임구간 중 블랭크구간에서 상기 제4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데이터레이트는 상기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통신에서의 데이터유효성을 송수신데이터의 유형 및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유효성 확인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통신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통신오류에 의해 절전모드로 잘못 진입하는 오동작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 중 하나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데이터구동장치를 동시에 초기화시킬 수 있고,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를 간단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한 관리가 쉬워지고, 오류발생시의 복구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 사이의 메인통신과 보조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보조통신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맨체스터코드로 송신되는 메인통신신호의 프로토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신호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유효성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는 무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설정값의 예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의 비트오류를 치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장치의 모드 전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장치가 저전력동작을 수행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데이터처리장치(110), 데이터구동장치(120), 디스플레이패널(130) 및 게이트구동장치(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다른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호스트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120)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각 화소의 계조값을 디지털감마보정처리할 수도 있고, 각 화소의 특성에 맞도록 보상처리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소의 계조값에 따라 데이터전압(VD)을 생성하고 데이터전압(VD)을 화소(P)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30)에는 다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소(P)는 데이터라인(DL)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120)와 연결되고, 게이트라인(GL)을 통해 게이트구동장치(140)와 연결될 수 있다.
각 화소(P)에는 스캔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고, 스캔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자는 게이트라인(GL)과 연결되고, 소스단자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40)가 게이트라인(GL)으로 스캔신호(SCN)를 공급하면 스캔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데이터라인(DL)이 화소(P)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DL)이 화소(P)와 연결된 후에 데이터구동장치(120)가 공급한 데이터전압(VD)이 화소(P)로 전달되게 된다.
게이트구동장치(140)와 데이터구동장치(120)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데이터처리장치(110)는 타이밍제어신호를 게이트구동장치(140)와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게이트구동장치(140)로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는 전술한 타이밍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40)는 게이트제어신호(GCS)에 따라 스캔신호(SCN)를 생성하고 게이트라인(GL)을 통해 화소(P)로 스캔신호(SCN)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와 데이터구동장치(120) 사이에는 적어도 두 종류의 통신라인(CLM, CLA)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제1통신라인(CLM)을 통해 제1통신신호(MDT)를 송신하고, 제2통신라인(CLA)을 통해 제2통신신호(LCK)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통신라인(CLM)이 메인통신라인으로 호칭되고, 제2통신라인(CLA)이 보조통신라인으로 호칭된다. 그리고, 제1통신신호(MDT)가 메인통신신호로 호칭되고 제2통신신호(LCK)가 보조통신신호로 호칭한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메인통신신호(MDT)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타이밍제어신호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고,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보조통신신호(LCK)를 통해 상태정보를 데이터처리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 사이의 메인통신과 보조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장치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메인통신라인들(CLM)을 통해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과 통신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와 일대일로 통신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와 일대일로 통신연결되고,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와 일대일로 통신연결될 수 있다.
각 메인통신라인(CLM)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m(m은 자연수)개의 라인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m개의 라인은 두 개씩 페어(pair)를 이루면서 각 페어마다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연결구조,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10)와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인통신신호(도 1의 MDT 참조)를 통틀어서 메인통신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와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은 메인통신 이외에 보조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 사이에서의 보조통신은 캐스캐이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캐이드의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제1보조통신라인(CLAa)을 통해 제1보조통신신호(LCKa)를 제2데이터구동집적(120b)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는 내부에서 생성한 상태신호와 제1보조통신신호(LCKa)를 조합하여 제2보조통신신호(LCKb)를 생성하고 이를 제2보조통신라인(CLAb)을 통해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는 내부에서 생성한 상태신호와 제2보조통신신호(LCKb)를 조합하여 제3보조통신신호(LCKc)를 생성하고 이를 제3보조통신라인(CLAc)을 통해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로 송신할 수 있다.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는 내부에서 생성한 상태신호와 제3보조통신신호(LCKc)를 조합하여 제4보조통신신호(LCKd)를 생성하고 이를 제4보조통신라인(CLAd)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는 보조통신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10)로 보조통신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로부터 수신하는 보조통신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보조통신신호에 대한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보조통신피드백라인(CLAF)을 통해 캐스캐이드의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로부터 수신하는 보조통신신호와 동일한 형태로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생성해서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보조통신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보조통신입력단자(TML1)와 보조통신출력단자(TML2)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조합회로(310) 및 상태신호생성회로(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조합회로(310)는 보조통신입력단자(TML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와 상태신호생성회로(320)에서 생성된 상태신호(SIG1)를 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출력신호를 보조통신출력단자(TML2)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신호는 전술한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일 수 있고, 출력신호는 전술한 제1보조통신신호(LCKa)일 수 있다.
상태신호생성회로(320)는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상태에 따라 상태신호(SIG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상태가 정상인 경우, 상태신호생성회로(320)는 하이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상태신호(SIG1)를 생성하고,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상태신호(SIG1)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조합회로(310)는 신호를 AND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조합회로(310)는 보조통신입력단자(TML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와 상태신호생성회로(320)에서 생성된 상태신호(SIG1)를 AND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는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성능을 평가하고 통신성능을 나타내는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조합회로(310)는 상태신호(SIG1)와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BER(Bit Error Rate)테스트패턴을 수신하고, BER(Bit Error Rate)테스트패턴에 대한 인식율을 바탕으로 통신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율이 일정 정도 이상일 경우,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는 하이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생성하고, 인식율이 일정 정도 미만인 경우,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조합회로(310)는 여러 가지 조합모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호조합회로(310)는 제1조합모드에서 보조통신입력단자(TML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와 상태신호생성회로(320)에서 생성된 상태신호(SIG1)만 AND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조합회로(310)는 제2조합모드에서 상태신호(SIG1)와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만 AND조합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조합회로(310)는 제3조합모드에서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신호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보조통신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을 나타내었는데,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도 동일한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캐스캐이드에서의 배치 위치만 다를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와 동일한 단자들(TML1, TML2)을 포함하고, 신호조합회로(310), 상태신호생성회로(320) 및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통신의 연결관계를 보면, 캐스캐이드의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의 보조통신입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110)와 연결되고, 보조통신출력단자는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의 보조통신입력단자는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와 연결되고, 보조통신출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다.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는 캐스캐이드 연결구조와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통해 자신 혹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는 내부에서의 상태신호(SIG1)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자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는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 및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내부에서의 상태신호(SIG1)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자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 및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데이터처리장치(110)로부터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수신한다. 그런데, 데이터처리장치(110)는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의 상태를 반영하는 제4보조통신신호(LCKd)에 따라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데이터구동집적회로가 자신 혹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일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이상에 대응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는 자신 혹은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b), 제3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c) 및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d)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통신라인의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메인통신라인에서의 통신이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상태신호(SIG1)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통신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보조통신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통신라인의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는 모드로 전환하고,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기 위한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로 송신할 수 있다.
캐스캐이드 구조에서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 중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가 아닌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캐스캐이드 구조 내에서의 보조통신신호만으로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의 이상을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신호로서, 하나의 캐스캐이드 구조에 묶여 있는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이 거의 동시에 이상을 감지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다른 용도로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를 통해 리셋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제4보조통신신호(LCKd)와 무관하게 리셋신호-예를 들어, 로우레벨의 전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하고 리셋신호를 보조통신피드백라인(CLAF)을 통해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 캐스캐이드 구조의 보조통신을 통해 리셋신호를 순차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통신을 통해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120a, 120b, 120c, 120d)은 모두 리셋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리셋신호가 수신되면,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는 초기화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120a, 120b, 120c, 120d)는 리셋신호가 수신된 후에 메인통신라인을 통한 메인통신의 데이터레이트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내용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해 보면, 데이터구동장치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보조통신이 캐스캐이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보조통신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 제4보조통신신호를 송신하고, 캐스캐이드의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제4보조통신신호에 대한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보조통신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와 메인통신라인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조합하여 보조통신출력단자로 출력하는 형태로 보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입력신호와 상태신호를 AND조합한 보조통신신호를 보조통신출력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의 보조통신출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로 연결되고,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의 보조통신입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입력신호 혹은 상태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입력신호 혹은 상태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메인통신라인의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제1보조통신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로우레벨의 전압으로 형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피드백신호를 통해 리셋신호를 송신하고,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보조통신을 통해 리셋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리셋신호가 수신된 후에 메인통신라인을 통한 메인통신의 데이터레이트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고속모드에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고속모드보다 데이터레이트가 낮은 저속모드에서 고속모드를 위한 설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메인통신회로와 보조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통신회로는 메인통신라인들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 영상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통신회로는 보조통신이 캐스캐이드 형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 중 캐스캐이드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제4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제4보조통신신호를 수신하고, 제4보조통신신호에 대한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캐스캐이드의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 송신할 수 있다.
메인통신회로는, 제4보조통신신호가 메인통신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데이터의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기 위한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메인통신라인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통신회로는, 고속모드에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고, 고속모드보다 데이터레이트가 낮은 저속모드에서 고속모드를 위한 설정데이터를 메인통신라인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통신회로는, 제4보조통신신호가 메인통신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고속모드에서 저속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조통신회로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를 리셋시키기 위해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통해 리셋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통신회로는, 제4보조통신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피드백신호를 로우레벨의 전압으로 형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통신회로는, 제4보조통신신호가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는 경우, 영상데이터의 통신클럭을 재트레이닝하기 위한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메인통신라인들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P-메인통신회로(410), P-보조통신회로(420), P-제어회로(430), P-메모리(440) 및 영상데이터처리회로(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4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로 메인통신신호(MDT)를 송신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4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액티브구간에서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블랭크구간에서 제2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제1제어데이터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라인단위 혹은 화소단위로 적용되는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제어데이터는 라인단위 혹은 화소단위보다 더 긴 주기로 적용되는 제어값 혹은 프레임단위로 적용되는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4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P-메인통신회로(4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제2데이터레이트로 영상데이터, 제1제어데이터 및 제2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1데이터레이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저속통신모드라고 호칭할 수 있고,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고속통신모드라고 호칭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410)는 고속통신을 수행하는 P-고속통신회로(411)와 저속통신을 수행하는 P-저속통신회로(416)를 포함할 수 있다.
P-고속통신회로(411)는 패커(412), 스크램블러(413), 인코더(414) 및 제1시리얼라이저(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커(412)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데이터처리회로(45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패커(412)는 P-제어회로(430) 혹은 P-메모리(440)로부터 제1제어데이터 및/혹은 제2제어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패커(412)는 영상데이터, 제1제어데이터 및 제2제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키징하여 송신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크램블러(413)는 송신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스크램블링은 송신되는 데이터의 각 비티를 뒤섞는 과정으로 동일한 비트-예를 들어, 1 또는 0-가 데이터의 송신 스트림에서 K(K는 2 이상의 자연수)번 이상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램블링은 사전에 약속된 규약에 따라 진행되는데, 사전에 약속된 규약에 따라 데이터구동장치는 각 비트가 뒤섞인 스트림을 다시 원상태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스크램블러(413)는 영상데이터만 스크램블링하고 제1제어데이터 혹은 제2제어데이터는 스크램블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인코더(414)는 송신데이터에서 송신 스트림의 P개의 비트를 Q개의 비트로 인코딩시킬 수 있다. P는 예를 들어, 6이고, Q는 예를 들어, 7일 수 있다. 6비트의 데이터를 7비트의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것을 6B7B 인코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B7B 인코딩은 DC밸린스코드로 인코딩하는 방법의 일종이다.
인코더(414)는 송신 스트림의 비트가 증가하도록 송신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딩된 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에 의해 DC밸런스코드-예를 들어, 6B7B-로 디코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인코딩된 송신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에 의해 원래 비트로 복원될 수 있다.
인코더(414)는 송신데이터의 인코딩에서 LRLC(Limited Run Length Code)를 사용할 수 있다. "Run Length"는 동일한 비트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LRLC는 송신데이터에서 "Run Length"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송신데이터의 인코딩하는 것이다.
인코더(414)가 LRLC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인코더(414)가 이용한 LRLC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인코더(414)는 송신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구분하고 단위데이터별로 인코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더(414)는 P-메모리(440)에 저장된 인코딩 테이블에 따라 DC밸린스코딩 혹은 LRLC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인코딩 테이블에 대응되는 디코딩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서, 디코딩 테이블에 따라 단위데이터별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 내에서 병렬적으로 전달되는 송신데이터는 제1시리얼라이저(415)에 의해 직렬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시리얼라이저(415)는 직렬로 변환된 송신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직렬로 송신되는 일련의 데이터는 송신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신호적으로는 메인통신신호(MDT)의 형태일 수 있다.
메인통신라인(CLM)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m(m은 자연수)개의 라인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m개의 라인은 두 개씩 페어(pair)를 이루면서 각 페어마다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통신라인(CLM)이 두 개 이상의 페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시리얼라이저(415)는 송신데이터를 각각의 페어에 분산시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데이터는 비트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비트가 하나의 심볼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심볼은 8비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10비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심볼이 하나의 화소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화소데이터는 R(Red), G(Green), B(Blue) 등의 서브화소에 대응되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비트단위로 직렬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이트단위로 정렬시키고, 화소단위로 정렬시킬 수 있다.
P-저속통신회로(416)는 설정데이터처리회로(417) 및 제2시리얼라이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처리회로(417)는 P-메모리(440) 및/혹은 P-제어회로(430)로부터 설정값을 전달받고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는 저속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로서, 고속통신 전에 필요한 데이터구동장치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에서 고속통신을 수행하는 회로의 설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시리얼라이저(418)는 설정데이터를 직렬적으로 변환하고, 직별로 변환된 설정데이터를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시리얼라이저(418)는 설정데이터를 맨체스터코드의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맨체스터코드로 송신되는 메인통신신호의 프로토콜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맨체스터코드로 송신되는 메인통신신호는 6개의 파트(P1~P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파트(P1)를 통해 저속통신클럭이 송신될 수 있다. 메인통신신호에서 데이터 비트는 맨체스터-II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비트는 2개의 단위펄스(UI)로 구성될 수 있다. 맨체스터-II 코딩에서, 제1파트(P1)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비트가 모두 0을 나타내거나 모두 1을 나타내는 경우, 저속통신클럭과 동기화된 펄스가 송신될 수 있다.
수신측(데이터구동장치)에서는 제1파트(P1)에서 수신되는 저속통신클럭에 따라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저속통신클럭이 송신된 이후에 메세지의 시작을 지시하는 시작 신호가 제2파트(P2)에서 송신되고, 메세지의 마지막 부분인 제6파트(P6)에서 메세지의 종료를 지시하는 종료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제3파트(P3)에서는 메세지 헤더가 송신되는데, 메세지 헤더에는 데이터 타입, 모드, 수신측의 인식번호(ID : identification), 데이터 길이, 수신측의 설정 레지스터 주소 등의 파라미터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4파트(P4)에는 메세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5파트(P5)에는 CRC(cyclical redundancy check)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P-보조통신회로(420)를 포함하고, P-보조통신회로(420)는 P-보조통신제어회로(422)와 P-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421)를 포함할 수 있다.
P-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421)는 보조통신라인(CLA)으로부터 보조통신신호(LCK)를 수신하거나 보조통신라인(CLA)으로 보조통신신호(LCK)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하는 보조통신신호(LCK)를 보조통신피드백신호로 구분해서 호칭할 수도 있다.
P-보조통신제어회로(422)는 보조통신라인(CLA)으로부터 수신되는 보조통신신호(LCK)를 확인하고 보조통신신호(LCK)가 데이터구동장치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 보조통신신호(LCK)와 동일한 형태의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보조통신라인(CLA)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로부터 보조통신신호(LCK)를 수신하는 라인과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송신하는 라인은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라인일 수 있다.
P-보조통신제어회로(422)는 보조통신라인(CLA)으로부터 수신되는 보조통신신호(LCK)와 무관하게 보조통신피드백신호를 생성하여 보조통신라인(CLA)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보조통신제어회로(422)는 데이터구동장치의 모드를 전환시키고 싶을 때, 보조통신피드백신호에 리셋신호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P-제어회로(430)는 데이터처리장치(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P-제어회로(430)는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각 동작모드에서 수행되는 회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데이터구동장치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 구성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하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장치(120)는 D-메인통신회로(610), D-보조통신회로(620), D-제어회로(630), D-메모리(640) 및 데이터구동회로(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6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 메인통신신호(MDT)를 수신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6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액티브구간에서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블랭크구간에서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회로(650)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제1제어데이터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라인단위 혹은 화소단위로 적용되는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제어데이터는 라인단위 혹은 화소단위보다 더 긴 주기로 적용되는 제어값 혹은 프레임단위로 적용되는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6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D-메인통신회로(610)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제2데이터레이트로 영상데이터, 제1제어데이터 및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데이터레이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저속통신모드라고 호칭할 수 있고,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고속통신모드라고 호칭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610)는 고속통신을 수행하는 D-고속통신회로(611)와 저속통신을 수행하는 D-저속통신회로(616)를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610)는 제1디시리얼라이저(612), 디코더(613), 디스크램블러(614) 및 언패커(6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시리얼라이저(612)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직렬로 수신되는 메인통신신호(MDT)를 바이트단위 혹은 심볼단위로 병렬화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더(613)는 DC밸런스코드-예를 들어, 6B7B코드-로 인코딩되거나 LRLC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더(613)는 D-메모리(640)에 저장된 디코딩 테이블에 따라 단위데이터별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 단위데이터가 디코딩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디코더(613)는 오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코더(613)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LRLC코딩의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613)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런렝스(run-length)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부분이 확인되면, 오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크램블러(614)는 사전에 약속된 규약에 따라 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원상태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언패커(615)는 수신데이터를 화소단위로 정렬시키고, 각 화소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회로(650)로 송신할 수 있다.
D-저속통신회로(616)는 제2디시리얼라이저(617) 및 설정데이터저장회로(6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디시리얼라이저(617)는 메인통신라인(CLM)을 통해 직렬적로 수신되는 설정데이터를 병렬화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는 맨체스터코드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는데, 제2디시리얼라이저(617)는 수신되는 설정데이터를 맨체스터코드로 디코딩한 후 설정데이터저장회로(618)로 전달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저장회로(618)는 설정데이터를 전달받고 설정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들을 D-메모리(640)에 저장하거나 설정값에 대응되는 회로에 적용시킬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에서의 P-메모리와 데이터구동장치에서의 D-메모리는 레지스터의 형태일 수도 있고, ROM(Read Only Memory) 혹은 RAM(Random Access Memory)의 형태일 수 있다.
D-보조통신회로(620)는 D-보조통신제어회로(621) 및 D-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622)를 포함할 수 있다.
D-보조통신제어회로(62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태신호생성회로(도 3에서 320 참조) 및 성능평가피드백회로(도 3에서 330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D-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62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신호조합회로(도 3에서 3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D-보조통신제어회로(621)는 메인통신신호(MDT)의 이상상태, 메인통신회로(610)의 이상상태 및/혹은 다른 구성의 이상상태를 확인하고 상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D-보조통신제어회로(621)는 메인통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신한 테스트패턴의 인식율을 바탕으로 메인통신의 성능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성능평가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622)는 상태신호 혹은 성능평가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보조통신신호(LCK)를 생성하고, 보조통신신호(LCK)를 보조통신라인(CLA)으로 송신할 수 있다.
D-보조통신신호처리회로(622)는 보조통신라인(CLA)으로부터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송신한 보조통신신호 혹은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송신한 보조통신피드백신호와 상태신호 혹은 성능평가피드백신호를 조합하여 보조통신신호(LCK)를 생성할 수 있다.
D-제어회로(63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D-제어회로(630)는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각 동작모드에서 수행되는 회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신호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전압(VCC)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전압(VCC)은 처음에 로우레벨의 전압을 가지다가 일정 시점에서 하이레벨의 전압으로 파형이 변하고 있다. 구동전압(VCC)이 하이레벨의 전압으로 변한 시점이 디스플레이구동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동시점 이후에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는 설정데이터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데이터모드에서의 동작이 완료된 후,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는 디스플레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구간(T710)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메인통신신호(MDT)를 통해 프리애임블패킷(P710) 및 설정데이터패킷(P720)을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프리애임블패킷(P710)을 보내면서 보조통신피드백신호(LCKf)의 전압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변경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구동장치들로 프리애임블패킷이 송신되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프리애임블패킷(P710)에서의 메인통신신호(MDT)의 전압은 하이레벨과 로우레벨로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데이터구동장치는 프리애임블패킷(P710)을 이용하여 설정데이터패킷(P720)을 수신하기 위한 저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대적으로 저속인 제1데이터레이트로 프리애임블패킷(P710) 및 설정데이터패킷(P720)을 송신할 수 있다. 저속통신클럭은 제1데이터레이트가 되는데, 데이터구동장치는 프리애임블패킷(P710)을 이용하여 저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저속통신클럭이 트레이닝되면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d)를 통해 클럭트레이닝 상태를 데이터처리장치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는 저속통신클럭이 트레이닝되면 보조통신신호(LCKd)의 전압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보조통신신호(LCKd)의 파형은 데이터구동장치에서 하나의 캐스캐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 중 끝부분에 배치되는 데이터구동집적회로의 보조통신신호이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d)를 통해 데이터구동장치가 저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했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설정데이터패킷(P720)을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설정데이터패킷(P720)은 설정데이터스타트패킷(P810), 설정데이터헤더패킷(P820), 설정데이터헤더검증패킷(P830),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 설정데이터바디검증패킷(P850) 및 설정데이터엔드패킷(P8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정데이터스타트패킷(P810)은 설정데이터패킷(P720)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데이터엔드패킷(P860)은 설정데이터패킷(P720)의 끝을 지시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헤더패킷(P820)은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의 통신을 위한 지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데이터헤더패킷(P820)은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의 길이에 대한 지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헤더검증패킷(P830)은 설정데이터헤더패킷(P820)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값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데이터헤더검증패킷(P830)은 설정데이터헤더패킷(P820)의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은 고속통신 전에 필요한 데이터구동장치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은 데이터구동장치에서 고속통신을 수행하는 회로의 설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바디검증패킷(P850)은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값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데이터바디검증패킷(P850)은 설정데이터바디패킷(P840)의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설정데이터패킷(P720)을 송신완료한 후에 메인통신신호(MDT)를 일정 시간 동안 하이레벨 전압으로 유지시키거나 로우레벨 전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패킷을 하이전압패킷 혹은 로우전압패킷(P730)이라고 호칭할 수 있는데, 데이터구동장치는 하이전압패킷 혹은 로우전압패킷(P730)을 수신하면 설정데이터구간(T710)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하이레벨 전압으로 유지되거나 로우레벨 전압으로 유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클럭이 깨지게 되는데, 이를 인지하여 설정데이터구간(T710)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통신신호(MDT)를 통해 설정데이터엔드패킷(도 8의 P860 참조)을 인식한 이후, 제1통신신호(MDT)이 일정 시간 동안 하이레벨 전압 혹은 로우레벨 전압으로 유지되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설정데이터구간(T710)의 종료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구간(T72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구간(T710)이 종료된 후에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디스플레이구간(T720)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구간(T720)은 클럭트레이닝구간(T730)과 프레임구간(T7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럭트레이닝구간(T730)에서 고속통신클럭이 트레이닝되면 이후에는 프레임구간(T740)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클럭트레이닝구간(T730)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구동장치로 제2데이터레이트로 클럭트레이닝패턴(P740)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클럭트레이닝패턴(P740)에 제2데이터레이트에 해당되는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데이터레이트는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클럭트레이닝구간(T730)에서 데이터구동장치가 고속통신클럭에 대한 트레이닝에 실패하게 되면,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d)를 통해 클럭트레이닝실패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d)의 전압을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낮추면서 클럭트레이닝실패를 데이터처리장치로 알릴 수 있다.
고속통신클럭에 대한 클럭트레이닝이 실패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추가적으로 클럭트레이닝패턴(P740)을 더 송신할 수도 있고, 설정데이터모드로 복귀할 수도 있다.
고속통신클럭에 대한 클럭트레이닝이 완료되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프레임구간(T740)으로 진입할 수 있다.
프레임구간(T740)은 액티브구간(T750)과 블랭크구간(T760)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구간(T750)은 라인단위로 영상데이터와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이고, 블랭크구간(T760)은 라인단위의 영상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구간일 수 있다. 블랭크구간(T760)은 수평블랭크구간과 수직블랭크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블랭크구간(T760)이 수직블랭크구간인 것으로 설명한다.
액티브구간(T750)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라인데이터패킷(P750)을 매 라인단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라인데이터패킷(P750)은 라인데이터스타트패킷(P910), 제1제어데이터바디패킷(P920), 영상데이터패킷(P930) 및 클럭트레이닝패턴(P9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인데이터스타트패킷(P910)은 라인데이터패킷(P750)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라인데이터스타트패킷(P910)에는 LRLC코딩이나 스크램블링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제어데이터바디패킷(P920)에는 라인단위로 변경되거나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설정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데이터바디패킷(P920)에는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내는 극성값이 포함될 수 있고, 스크램블러의 리셋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패킷(P930)에는 한 라인에 배치되는 화소들의 계조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클럭트레이닝패턴(P940)에는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패턴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액티브구간(T750)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모든 라인에 대해 라인데이터패킷(P750)을 송신한 후에 블랭크구간(T760)으로 진입할 수 있다.
블랭크구간(T760)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가상의 라인단위로 제어데이터패킷(P760)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데이터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데이터패킷(P760)은 제어데이터스타트패킷(P1010), 제2제어데이터바디패킷(P1020), 검증패킷(P1030), 더미패킷(P1040) 및 클럭트레이닝패턴(P10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데이터스타트패킷(P1010)은 제어데이터패킷(P760)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데이터스타트패킷(P1010)에는 LRLC코딩이나 스크램블링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제어데이터바디패킷(P1020)에는 프레임단위로 변경되거나 수시로 변경되지 않는 설정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혹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제어데이터바디패킷(P1020)에는 제1제어데이터바디패킷과 유사 혹은 동일한 설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검증패킷(P1030)에는 CRC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CRC데이터는 설정데이터구간에서 수신한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C데이터는 설정데이터헤더검증패킷(도 8에서 P830 참조)에 포함된 설정데이터헤더패킷(도 8에서 P820 참조)의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CRC데이터는 설정데이터바디검증패킷(도 8에서 P850 참조)에 포함된 설정데이터바디패킷(도 8에서 P840 참조)의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설정데이터구간에서 수신한 CRC값과 검증패킷(P1030)에서 수신한 CRC값을 비교하면서 통신오류를 체크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일 실시예는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유형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일 실시예는 데이터 유효성 검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각 구간에서의 통신유형에 최적화된 데이터 유효성 검증 방법을 제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유효성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10)는 설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102). 설정데이터에는 고속통신-예를 들어, 제2데이터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고속통신 설정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4).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제1규칙에 따라 설정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S1106).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설정데이터의 오류여부를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10)로 피드백할 수 있다(S1108).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에 적합하도록 영상데이터를 변환처리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10)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제2데이터레이트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12). 여기서, 제2데이터레이트는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제1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는 것을 저속통신이라고 볼 수 있고,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는 것을 고속통신이라 볼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제1규칙과 다른 제2규칙으로 영상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S1114).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영상데이터의 오류여부를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10)로 피드백할 수 있다(S1116).
데이터구동장치(120)에서 제1데이터레이트의 통신은 D-저속통신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제2데이터레이트의 통신은 D-고속통신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신오류를 판단하는 일 예로서, D-저속통신회로는 CRC체크를 통해 설정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D-고속통신회로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과정에서 오류가 확인되면, 영상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일 단위데이터가 디코딩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영상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일 단위데이터를 LRLC코딩하거나 6B7B코딩할 수 있는데, D-고속통신회로는 LRLC코딩 혹은 6B7B코딩에 대한 디코딩 테이블에서 해당 단위데이터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해당 단위데이터의 통신과정에 오류가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에서 런렝스(run-length)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부분이 확인되면, 영상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런렝스(run-length)의 길이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LRLC코딩하여 영상데이터를 송신했음에도 불구하고, D-고속통신회로가 이러한 기준값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것은 통신과정에서의 오류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D-고속통신회로는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에서 런렝스(run-length)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부분이 확인되면, 영상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오류는 더블체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저속통신회로는 CRC체크를 통해 설정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CRC체크값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D-고속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제2제어데이터에는 CRC비교값이 포함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CRC비교값과 CRC체크값을 비교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2데이터레이트의 고속통신으로 수신한 CRC비교값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고, 제1데이터레이트의 저속통신으로 수신한 CRC체크값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이 둘 중의 하나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통신오류를 데이터처리장치로 피드백할 수 있다.
메인통신신호는 임베디드클럭신호일 수 있다. 메인통신신호는 클럭이 임베디드되어 있어서, 데이터구동장치는 통신의 초기 구간에서 클럭트레이닝이 필요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클럭복원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클럭복원회로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킬 수 있다.
클럭트레이닝신호는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클럭트레이닝신호는 하이레벨의 전압과 로우레벨의 전압이 제2데이터레이트의 주파수로 교번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클럭복원회로는 이러한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에 대한 트레이닝을 완료한 후에, 클럭트레이닝신호에서의 패턴을 확인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복원회로는 클럭트레이닝을 완료한 후에,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데이터의 패턴이 정상적인지 확인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임베디드클럭신호에서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도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가 많이 변하는 경우는 통신오류의 가능성이 높다.
D-고속통신회로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고,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임베디드클럭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을 유지시키되, 트레이닝 완료 시점에서의 고속통신클럭의 주파수와 트레이닝 완료 시점 이후의 일 시점에서의 고속통신클럭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D-고속통신회로에서의 클럭복원회로는 PLL(Phase Lock Loop) 형태 혹은 DLL(Delay Lock Loop)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D-고속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수신되는 BER(Bit Error Rate)테스트패턴을 통해 통신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BER테스트패턴을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BER테스트패턴을 이용하여 수신오류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수신오류의 개수가 문턱값 이상일 경우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통신오류를 피드백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대한 BER테스트는 한 개씩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대해 BER테스트가 진행된 후 제2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 대한 BER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BER테스트가 진행되는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BER테스트가 진행되지 않는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는 무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가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보조통신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는 BER테스트결과에 따른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는 BER테스트에서의 수신오류의 개수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 혹은 정상수신율이 일정값 미만인 경우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의 전압을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낮출 수 있다.
이때, 신호조합회로(310)는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와 상태신호(SIG1)를 조합하여 보조통신신호(LCK)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성능평가피드백회로(330)가 BER테스트를 수행할 때, 신호조합회로(310)는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에서 전달받은 보조통신신호(LCK')는 무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집적회로는 BER테스트를 수행하지 않을 때, 성능평가피드백신호(SIG2)를 생성하지 않거나 상태신호(SIG1)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신호조합회로(310)는 다른 데이터구동집적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보조통신신호(LCK')를 바이패스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는 데이터구동집적회로들의 BER테스트결과를 개별적으로 피드백받을 수 있다.
한편, 데이터처리장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심볼들을 송신하고, 데이터구동장치는 각 심볼을 M(M은 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심볼 단위 비트값 송수신 방법은 절전제어값을 송수신할 때 사용될 수도 있고, 라인데이터패킷이나 제어데이터패킷 등 오류 가능성을 낮춰야하는 패킷을 송수신할 때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설정값의 예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장치는 8비트로 구성되는 제1심볼(141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심볼(1410)을 1의 값을 갖는 1비트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8비트로 구성되는 제2심볼(142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제2심볼(1420)을 0의 값을 갖는 1비트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심볼단위로 비트값을 송수신하게 되면 설정값의 오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일부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이를 스스로 치유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의 비트오류를 치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구동장치는 8비트로 구성되는 제3심볼(1510)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심볼과 제2심볼만 받는 것으로 약속된 경우, 제3심볼(1510)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제3심볼(1510)을 제1심볼 및/혹은 제2심볼(1420)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제3심볼(1510)과 보다 더 유사한 제2심볼(1420)을 선택하고 제3심볼(1510)의 오류비트를 제2심볼(1420)을 이용하여 치유할 수 있다.
혹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3심볼(1510)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심볼들 혹은 후에 수신한 심볼들을 이용하여 제3심볼(1510)이 약속된 심볼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고 제3심볼(1510)의 일부 비트의 오류를 복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유효성과 관련된 일부 내용을 데이터구동장치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데이터구동장치는 통신라인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로 제1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규칙에 따라 제1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하는 제1통신회로, 통신라인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제2데이터레이트로 제2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규칙과 다른 제2규칙에 따라 제2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하는 제2통신회로, 및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에 포함되는 일 단위데이터가 디코딩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2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에서 런렝스(run-length)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부분이 확인되면, 제2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과정에서 오류가 확인되면, 제2데이터를 오류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제1통신회로는, CRC(cyclical redundancy check)체크를 통해 제1데이터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회로는 CRC체크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제3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데이터에 포함되는 CRC비교값과 CRC체크값을 비교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고, 트레이닝이 완료된 후 클럭트레이닝신호에서의 클럭트레이닝패턴을 확인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통신라인을 통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고, 통신라인을 통해 임베디드클럭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클럭을 유지시키되, 트레이닝 완료 시점에서의 통신클럭의 주파수와 트레이닝 완료 시점 이후의 일 시점에서의 통신클럭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통신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수신되는 BER(Bit Error Rate)테스트패턴을 통해 통신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회로는, 제1데이터레이트로 BER테스트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를 통해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심볼들을 수신하고, 각 심볼을 M(M은 상기 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회로는, 일 심볼에 포함되는 일 비트의 오류를 일 심볼 전 혹은 후에 수신되는 다른 일 심볼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데이터 유효성과 관련된 일부 내용을 데이터처리장치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데이터처리장치는 통신라인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로 제1데이터와 제1데이터에 대한 제1검증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통신회로, 및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를 통신라인을 통해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제2데이터레이트로 송신하고, 제1검증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검증데이터를 제2데이터레이트로 송신하는 제2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증데이터는 제1데이터에 대한 CRC(cyclical redundancy check)체크값을 포함하고, 제2검증데이터는 CRC체크값에 대응되는 CRC비교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회로는, 한 프레임구간에 포함되는 액티브구간과 블랭크구간 중, 액티브구간에서 제2데이터를 송신하고, 블랭크구간에서 제2검증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인코딩 테이블에 따라 LRLC(Limited Run Length Coding) 방법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제1통신회로는 제1데이터레이트로 BER(Bit Error Rate)테스트에 대한 설정값을 송신하고, 제2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BER테스트패턴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회로는, M(M은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값을 N(N은 상기 M보다 큰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심볼로 매칭시키고, 심볼을 제2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유효성에서 오류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동작모드를 전환하면서 오류를 복구할 수 있다. 혹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한 모드에서의 동작이 모두 완료되면 다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장치의 모드 전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설정데이터구간(T710)에서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1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의 P-저속통신회로와 데이터구동장치의 P-저속통신회로는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LF11),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설정데이터구간(T710)에서의 동작이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LP11),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고 클럭트레이닝구간(T730)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킬 수 있다.
제2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LF12),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로 전환한 후 제1모드의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클럭트레이닝구간(T730)에서의 동작이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LP12),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2모드에서 제3모드로 전환하고 액티브구간(T750)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제3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는 라인단위로 영상데이터와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라인에 대해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AL1), 다음 라인에 대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LF2),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2모드로 전환한 후 클럭트레이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3모드에서 오류 발생시 제1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제2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퀀스에 따라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오류 복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제3모드는 액티브구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시퀀스에 의하면 화면이 깨지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티브구간(T750)에서의 동작이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VB1),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3모드에서 제4모드로 전환하고 블랭크구간(T760)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4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제2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제4모드에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는 가상의 라인단위로 제2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가상 라인에 대해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VB2), 다음 가상 라인에 대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랭크구간(T760)에서의 동작이 모두 정삭적으로 수행된 경우(AL2),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4모드에서 제3모드로 전환하고 액티브구간(T750)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4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LF13),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제1모드로 전환하면서 대부분의 설정을 초기 상태부터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제4모드는 디스플레이패널이 갱신되지 않는 블랭크구간(T760)에 수행되기 때문에 복구 시간이 다소 길더라도 화질에서 문제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를 데이터구동장치의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구동장치는 D-저속통신회로, D-고속통신회로, D-제어회로 및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저속통신회로는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제2모드에서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고, 제3모드에서 고속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제4모드에서 고속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제어회로는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회로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데이터레이트는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D-제어회로는,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클럭복원회로를 포함하고, 설정데이터에는 클럭복원회로의 설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D-고속통신회로는 이퀄라이저회로를 포함하고, 설정데이터에는 이퀄라이저회로의 설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제1모드가 L(L은 2 이상의 자연수)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경우, 이퀄라이저회로의 설정값이 변경되어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후 한 프레임시간 이내에서 제1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이 L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D-고속통신회로의 이퀄라이저회로의 설정값을 변경하여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송신하는 D-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제어회로가 제3모드 혹은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를 확인할 때, D-보조통신회로는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제1제어데이터 및 제2제어데이터는 임베디드클럭신호이고, D-고속통신회로는 임베디드클럭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고속통신클럭을 유지시킬 수 있다.
D-제어회로는, 통신클럭이 유지되지 않을 때,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 프레임구간 중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는 액티브구간에서 제3모드가 수행되고, 한 프레임구간 중 블랭크구간에서 제4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를 데이터처리장치의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처리장치는 P-저속통신회로, P-고속통신회로, 및 P-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P-저속통신회로는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P-고속통신회로는 제2모드에서 고속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기 위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제3모드에서 고속통신클럭에 따라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제4모드에서 고속통신클럭에 따라 제2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P-제어회로는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2데이터레이트는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을 수 있다.
P-제어회로는,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의 전환이 L(L은 2 이상의 자연수)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경우, P-저속통신회로는, 제2데이터레이트의 통신을 위한 설정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값을 설정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수신하는 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제어회로는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각 모드에서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통신신호가 하이레벨 전압에서 로우레벨 전압으로 전환하면, P-제어회로는 이상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장치는 저전력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장치가 저전력동작을 수행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정상모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액티브구간(T750)에서의 동작과 블랭크구간(T760)에서의 동작을 교번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액티브구간(T750)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영상을 리프레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의 영상을 갱신하기 위해 데이터처리장치는 액티브구간(T750)에서 데이터구동장치로 영상데이터(RGB)를 송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RGB)는 라인단위로 송신될 수 있는데, 라인단위로 설정값을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처리장치는 액티브구간(T750)에서 제1제어데이터를 더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저전력동작을 위해 데이터처리장치는 블랭크구간(T760)에서 제2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데이터에는 저전력동작을 위한 절전제어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정상모드에서는 절전제어값이 디스에이블(D)로 설정되어 송신될 수 있다. 디스에이블(D)로 설정된 절전제어값이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출력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절전모드에서 리프레쉬 레이트를 낮추기 위해, 데이터처리장치는 절전제어값을 인에이블(E1, E2)로 설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인에이블(E1, E2)로 설정된 절전제어값이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일부 회로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의 데이터구동회로는 영상데이터를 화소별로 래치하는 래치회로, 래치회로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DAC(digital-analog-converter) 및 데이터전압을 화소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절전제어값에 따라 DAC 및 출력버퍼의 온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인에이블(E1, E2)로 설정된 절전제어값이 수신되는 경우, 메인통신회로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이때, 메인통신회로가 디스에이블되면 고속통신클럭이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의 전압을 로우레벨로 전환시킬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보조통신신호(LCK) 전압의 이러한 전환을 인식하여 데이터구동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통신회로는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하거나 임베디드클럭신호를 수신하여 고속통신클럭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절전모드에서 메인통신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고속통신클럭을 유지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구동장치는 액티브구간(T750)이 다시 시작되기 전에 클럭트레이닝신호(CT)를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는 클럭트레이닝신호(CT)를 통해 다시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고, 트레이닝이 완료된 것을 보조통신신호(LCK)를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 알려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할 때, 설정데이터(CFG)를 다시 보낼 수 있다. 영상데이터(RGB)는 제2데이터레이트로 송신되고, 설정데이터(CFG)는 제2데이터레이트보다 낮은 제1데이터레이트로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설정데이터(CFG)를 수신하는 동작을 모두 완료하면 보조통신신호(LCK)의 전압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시킬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를 절전모드 후에 고속통신클럭에 대한 클럭트레이닝부터 재시작할 것인지 아니면 설정데이터부터 다시 송수신할 것인지는 절전제어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절전제어값은 제1절전제어값과 제2절전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전제어값은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절전제어값이 인에이블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제1절전제어값이 디스에이블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구동장치는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정상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절전제어값은 절전모드가 종료된 후 어떤 프로세스부터 재시작할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절전제어값이 디스플레이모드를 지시하는 값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고속통신을 위한 클럭트레이닝 프로세스부터 재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절전제어값이 설정데이터모드를 지시하는 값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는 저속통신으로 설정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스부터 재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절전동작과 관련된 일부 내용을 데이터구동장치의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구동장치는 D-메인통신회로와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액티브구간에서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블랭크구간에서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회로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고, 제2제어데이터에 포함되는 절전제어값에 따라 출력회로의 절전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회로는 절전제어값에 따라 D-메인통신회로의 절전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송신하고,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D-메인통신회로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D-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하고, 보조통신신호는 고속통신클럭이 트레이닝된 후 D-메인통신회로가 정상모드로 진입한 것을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절전제어값은 D-메인통신회로의 절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절전제어값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를 제어하는 제2절전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제2절전제어값이 제1값인 경우,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고속통신클럭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제2절전제어값이 제2값인 경우, 영상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제2데이터레이트보다 낮은 제1데이터레이트로의 데이터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2데이터레이트에 대응되는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메인통신회로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심볼들을 수신하고, 각 심볼을 M(상기 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절전제어값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데이터구동회로는, 영상데이터를 화소별로 래치하는 래치회로, 래치회로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DAC(digital-analog-converter) 및 데이터전압을 화소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포함하고, 절전제어값에 따라 DAC 및 출력버퍼의 온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절전동작과 관련된 일부 내용을 데이터처리장치의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처리회로 및 P-메인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회로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P-메인통신회로는 메인통신라인을 통해,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액티브구간에서 송신하고, 절전제어값을 포함하는 제2제어데이터를 블랭크구간에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수신하는 P-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메인통신회로는 절전제어값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의 절전동작을 지시하는 값을 송신하고, P-보조통신회로는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데이터구동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는, 데이터구동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일정 시간동안 절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P-보조통신회로를 통해 데이터구동장치가 클럭트레이닝된 것이 확인되면 영상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는 절전제어값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의 정상동작을 지시하는 값을 송신한 후에, P-보조통신회로를 통해 데이터구동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절전제어값은 데이터구동장치의 절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절전제어값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를 제어하는 제2절전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는데, P-메인통신회로는, 제2절전제어값을 제1값으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클럭트레이닝신호를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P-메인통신회로는, 제2절전제어값을 제1값으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영상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제2데이터레이트보다 낮은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통신에서의 데이터유효성을 송수신데이터의 유형 및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유효성 확인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통신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통신오류에 의해 절전모드로 잘못 진입하는 오동작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 중 하나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데이터구동장치를 동시에 초기화시킬 수 있고,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를 간단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한 관리가 쉬워지고, 오류발생시의 복구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저속통신회로;
    제2모드에서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고,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속통신회로;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회로; 및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데이터구동회로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레이트는 상기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데이터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데이터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통신회로는 클럭복원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데이터에는 상기 클럭복원회로의 설정값이 포함되는 데이터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통신회로는 이퀄라이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데이터에는 상기 이퀄라이저회로의 설정값이 포함되는 데이터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가 N(N은 2 이상의 자연수)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퀄라이저회로의 설정값이 변경되어 수신되는 데이터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송신하는 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제3모드 혹은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를 확인할 때, 상기 보조통신회로는 상기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상기 제1제어데이터 및 상기 제2제어데이터는 임베디드클럭신호이고,
    상기 고속통신회로는 상기 임베디드클럭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상기 통신클럭을 유지시키는 데이터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통신클럭이 유지되지 않을 때, 이상상태로 판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구간 중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는 액티브구간에서 상기 제3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한 프레임구간 중 블랭크구간에서 상기 제4모드가 수행되는 데이터구동장치.
  11.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속통신회로;
    제2모드에서 통신클럭을 제2데이터레이트로 트레이닝시키기 위해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에 따라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에 따라 제2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속통신회로; 및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상기 제3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회로
    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레이트는 상기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데이터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데이터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로의 전환이 N(N은 2 이상의 자연수)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저속통신회로는,
    상기 제2데이터레이트의 통신을 위한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설정값을 상기 설정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보조통신라인을 통해 보조통신신호를 수신하는 보조통신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보조통신신호를 통해 각 모드에서의 이상상태를 확인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신신호가 하이레벨 전압에서 로우레벨 전압으로 전환하면, 상기 제어회로는 이상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7. 제1모드에서 제1데이터레이트로 설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2모드에서 제2데이터레이트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클럭을 트레이닝시키는 단계;
    상기 제2모드가 완료되면 모드를 제3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1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4모드에서 상기 통신클럭을 이용하여 제2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제4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방법.
  18. 상기 제2모드에서 이상상태가 확인되면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구간 중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는 액티브구간에서 상기 제3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한 프레임구간 중 블랭크구간에서 상기 제4모드가 수행되는 데이터구동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레이트는 상기 제1데이터레이트보다 높은 데이터구동방법.
KR1020210172233A 2021-12-03 2021-12-03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KR20230083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33A KR20230083853A (ko) 2021-12-03 2021-12-03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TW111146422A TW202333127A (zh) 2021-12-03 2022-12-02 顯示面板之驅動裝置與驅動方法
PCT/KR2022/019523 WO2023101517A1 (ko) 2021-12-03 2022-12-02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33A KR20230083853A (ko) 2021-12-03 2021-12-03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53A true KR20230083853A (ko) 2023-06-12

Family

ID=8661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233A KR20230083853A (ko) 2021-12-03 2021-12-03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83853A (ko)
TW (1) TW202333127A (ko)
WO (1) WO20231015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546B (en) * 2004-05-14 2005-10-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Serial-protocol type panel display system and method
US7599439B2 (en) * 2005-06-24 2009-10-06 Silicon Image,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N-bit video data over a serial link
KR102535037B1 (ko) * 2018-09-12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598679B1 (ko) * 2019-01-31 2023-11-07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시스템
KR20210111664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시스템
US11763775B2 (en) * 2021-05-31 2023-09-19 Lx Semicon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display panel driving device for driving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3127A (zh) 2023-08-16
WO2023101517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679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시스템
KR102463789B1 (ko) 디스플레이 패널구동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영상데이터송수신방법
US2024001374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display panel driving device for driving display panel
US11817027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18314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ing two communication lines
US11164493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TW202134854A (zh) 用於驅動顯示裝置的資料處理裝置、資料驅動裝置和系統
KR20230083853A (ko)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KR20230083852A (ko)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디스플레이구동장치
KR20230083851A (ko)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KR20230083850A (ko)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KR20220162037A (ko)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방법
KR20210081867A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872672B (zh) 数据驱动装置、数据处理装置以及显示驱动系统
US11521532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108886368A (zh) 通过多媒体链路的视频数据传输的前向纠错和不对称编码
TWI842822B (zh) 數據處理裝置、數據驅動裝置和用於驅動顯示裝置的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