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668A -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 Google Patents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668A
KR20230083668A KR1020210171864A KR20210171864A KR20230083668A KR 20230083668 A KR20230083668 A KR 20230083668A KR 1020210171864 A KR1020210171864 A KR 1020210171864A KR 20210171864 A KR20210171864 A KR 20210171864A KR 20230083668 A KR20230083668 A KR 20230083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oad cell
finger
ho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소망
이대택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668A/en
Publication of KR20230083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6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61B5/1125Grasping motions of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테이블의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검사가 필요한 손가락의 근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쉽고 간편하게 검사대상자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ger muscle strength is disclos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ger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table and disposed from an elbow to a palm;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ositio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table;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 first hold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since it may include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grasp the ability of the test subject by measur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 that needs to be tested in real time.

Description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밍 분야에서 클라이밍 등급 및 능력 평가, 훈련의 성과를 확인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검사용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easuring finger muscle streng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testing that can be used to confirm or predict a climbing grade and ability evalu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in the field of climbing.

스포츠클라이밍(sports climbing, 人工岩壁登攀)은 인공으로 만들어진 암벽 구조물에 설치된 홀드를 따라 손과 발을 이용하여 목표 지점을 향해 올라가는 레저 스포츠로서, '인공암벽등반'이라고도 한다. 1940년대 프랑스 전문 산악인들의 교육 훈련용으로 시작된 이후, 제32회 올림픽경기대회(도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Sports climbing (sports climbing, 人工岩壁登攀) is a leisure sport that climbs toward a target point using hands and feet along a hold installed on an artificial rock wall structure, and is also called 'artificial rock climbing'. Since it began in the 1940s as an educational training for professional mountaineers in France, it was adopted as an official event of the 32nd Olympic Games (Tokyo Olympics).

클라이머들의 등급 및 개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은 실제 등반 코스를 오름으로써 코스의 등급을 획득하는 방법이 유일하고, 코스의 등급은 ‘등급 변환표’로 환산 및 적용된다.The only way to evaluate climbers' grades and individual abilities is to obtain a course grade by climbing the actual climbing course, and the course grade is converted and applied with a 'grade conversion table'.

동호인을 비롯한 선수가 클라이밍 훈련에 대한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등반 코스를 올라야 하지만, 전국적으로 산재된 등반 코스까지 이동하는 시간, 클라이밍 장비를 준비하는 시간, 소요 비용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order for club members and other athlete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climbing training, they have to climb the actual climbing course,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time to travel to the nationally scattered climbing courses, the time to prepare climbing equipment, and the cost involved.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간단하게 개인의 훈련 성과 및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손가락 근력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inger strength device that can easily identify individual training performance and ability in the field.

현재 개발되어 있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클라이밍의 특이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urrently developed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pecificity of climbing is not considered.

한국등록특허 제10-1500483호 (등록일: 2015년03월03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0483 (registration date: March 03,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실제 등반 코스를 오르지 않고 클라이밍의 등급 및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evaluating climbing grades and abilities without climbing an actual climbing cour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손가락 근력 및 근지구력을 측정할 수 있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 strength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finge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테이블의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load cell);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is disposed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first plat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ositio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table;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 first hold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A transmitt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 및 제2로드셀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를 더 포함하고, 트랜스미터는 제2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a second hold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thumb, and the transmitter can amplify and out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플레이트는 테이블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table to adjust the height.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로드셀은 제2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ad cell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second plate to adjust the height.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홀드는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d can be replaced with a climbing hold for an artificial rock wall.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 또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 및 테이블 또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전완(前腕)을 고정하는 제2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able or the first plate and a first belt for fixing the wrist; and a second belt coupled to the table or the first plate and fixing the forearm.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팔꿈치를 고정하는 제1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for fixing the elbow.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reventing slipping of the palm.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면과 수평면에서 연장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제2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having a horizontal plan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vertical plan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lane and extending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hand;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first hold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 및 제2로드셀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를 더 포함하고, 트랜스미터는 제2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a second hold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thumb, and the transmitter can amplify and out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프레임은 테이블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table to adjust the height.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로드셀은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ad cell may be moved based on the second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홀드는 제1로드셀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1홀드를 잡는 그립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d may be rotated based on the first load cell to adjust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 및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전완을 고정하는 제2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elt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fixing the wrist; and a second belt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fixing the forearm.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에 결합되고 팔꿈치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받침대를 더 포함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elbow.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를 더 포함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for preventing slipping of the pal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테이블의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검사가 필요한 손가락의 근력을 수평 방향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쉽고 간편하게 검사대상자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disposed from the elbow to the palm;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ositio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table;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 first hold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since it may include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grasp the ability of the test subject by measur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 that needs to be tested in real time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면과 수평면에서 연장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제2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검사가 필요한 손가락의 근력을 수직 방향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쉽고 간편하게 검사대상자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having a horizontal plan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vertical plan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lane and extending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hand;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first hold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since it may include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grasp the ability of the test subject by measur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 that needs to be tested in real time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엄지손가락의 근력을 별도로 측정할 수 있다.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ly measure the muscle strength of the thum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검사대상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하고 손가락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test subject and measure the finger muscle str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검사대상자의 손목, 전완 및 팔꿈치를 고정하고 필요하지 않은 근육의 사용을 배제한 상태에서 손가락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finger muscle str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wrist, forearm, and elbow of the test subject are fixed and the use of unnecessary muscles is ex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홀드를 다양한 높이와 각도로 설정하고 손가락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the hold at various heights and angles and measure the finger muscle str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홀드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로 교체하여 홀드를 잡는 그립에 따른 손가락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hold of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climbing holds for artificial rock walls, and finger muscle strength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grip holding the hol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검사대상자의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데이터를 통해 향후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거나, 현재 훈련 수준 및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n a future training program or evaluate the current training level and ability through the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measurement data of the test su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의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front view of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Figure 3 shows a side view of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front view of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Figure 7 shows a side view of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FIG. 5 .
9 shows a climbing hold for an artificial rock wal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X, Y, and Z axes shown in the drawing are arbitrarily determ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not for limitation of rights. , and the Z-axis is defined as pointing up and down.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is, except for cases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Top (top), bottom (bottom), left and right (side or side), front (front, front), back (back, back), etc., which refer to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etc.,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use of righ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drawings and configurations is set as a standard, and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is, except when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100);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테이블(10)의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200); 제2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300);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400); 제1로드셀(30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500); 및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6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10 and disposed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first plate 100; A second plate 200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and positio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table 10; A first load cell 300 coupled to the second plate 200; A first hold 40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Transmitter 500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And it may include a data logger 600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900); 및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920)를 더 포함하고, 트랜스미터(500)는 제2로드셀(90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load cell 900 coupled to the second plate 200; And a second hold 920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and can be pulled with a thumb, and the transmitter 500 can amplify and out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검사가 필요한 손가락의 근력 및 근지구력을 수평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of the finger that needs to be te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00)는 검사대상자의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놓이는 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first plate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place to be placed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test subject.

제1플레이트(100)는 테이블(10)의 윗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

제1플레이트(100)는 테이블(10)의 윗면에 탈착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100 may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

제1플레이트(100)의 전방은 제2플레이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first plate 1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200 .

제1플레이트(100)는 후방 상부에 제1받침대(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150)이 형성될 수 있다.A rail 150 to which the first pedestal 130 is slidably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00 .

제1플레이트(100)는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00 may be coupled to adjust the height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table 10 .

테이블(10)은 제1플레이트(1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not shown) to elevate the first plate 100 .

제1구동부는 테이블(10)과 제1플레이트(100) 사이에 결합되어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제1플레이트(1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first driving unit is coupled between the table 10 and the first plate 100 and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first plate 100 relative to the table 10 .

제1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10) 또는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110); 및 테이블(10) 또는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전완을 고정하는 제2벨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able 10 or the first plate 100 and a first belt 110 for fixing the wrist; and a second belt 120 coupled to the table 10 or the first plate 100 and fixing the forearm.

제1벨트(110)는 검사대상자의 팔목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first belt 110 is configured to fix the wrist of the test subject so as not to move.

제1벨트(110)는 검사대상자의 팔목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can tighten or loosen the wrist of the test subject.

제1벨트(110)는 테이블(10)에 결합되거나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may be coupled to the table 10 or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

제1벨트(110)는 벨크로 등을 이용해서 팔목을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may fix the wrist using Velcro or the like.

제2벨트(120)는 검사대상자의 전완을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belt 120 is configured to fix the forearm of the test subject.

제2벨트(120)는 검사대상자의 전완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tighten or loosen the forearm of the test subject.

제2벨트(120)는 제1벨트(110)와 이격되어 테이블(10)에 결합되거나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elt 110 and coupled to the table 10 or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

제2벨트(120)는 벨크로 등을 이용해서 전완을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fix the forearm using Velcro or the like.

제1벨트(110)와 제2벨트(120)는 어느 하나만 사용되거나 모두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and the second belt 120 may be used either alone or both.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팔꿈치를 고정하는 제1받침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130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and fixing the elbow.

제1받침대(130)는 검사대상자의 팔꿈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first support 130 is configured to fix the elbow of the test subject so as not to move.

제1받침대(130)는 팔꿈치를 기준으로 구부러진 팔을 고정할 수 있도록 대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so as to fix the bent arm based on the elbow.

제1받침대(130)는 사용자의 팔을 감싸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have a seating groove surrounding the user's arm.

제1받침대(130)는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

제1받침대(130)는 제1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레일(15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is coupled to the rail 150 formed on the first plate 100 and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1받침대(1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검사대상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팔꿈치를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13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elbow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test subject.

제1받침대(130)는 상완(上腕)을 고정하는 제3벨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include a third belt (not shown) for fixing the upper arm.

검사대상자가 제1홀드(400) 또는 제2홀드(920)를 당길 때, 제3벨트는 팔꿈치가 전방으로 혹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est subject pulls the first hold 400 or the second hold 920, the third belt can prevent the elbow from moving forward or left and right.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140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and preventing slipping of the palm.

제2받침대(140)는 검사대상자의 손바닥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support 14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alm of the test subject from sliding forward.

검사대상자가 제1홀드(400) 또는 제2홀드(920)를 당길 때,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est subject pulls the first hold 400 or the second hold 920, the second support 140 can prevent the palm from slipping forward.

제2받침대(140)는 제1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00 .

제2받침대(140)는 검사대상자의 손목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1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rist of the test subject.

제2받침대(140)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00 so as to adjust its position by moving left and right in relation to the first plate 100 .

제1플레이트(100)는 전방 상부에 제2받침대(1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rail (not shown) to which the second pedestal 140 is slidably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00 .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거친 면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have a rough surface or irregularities to generate friction to prevent slipping of the palm.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recessed with a locking groove into which a palm is inserted.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에 접촉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protruded with a locking jaw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200)는 제1로드셀(3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second plate 2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first load cell 300 is coupled.

제2플레이트(200)는 제2로드셀(90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load cell 900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second plate 200 .

제2플레이트(200)는 테이블(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able 10 .

제2플레이트(200)의 상부는 제1플레이트(1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2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plate 100 .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는 테이블(10)의 윗면과 전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테이블(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200 may be coupled to the table 10 in a form surrounding a corner where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table 10 meet.

제2플레이트(200)는 제1로드셀(300)을 고정하는 볼트가 결합되는 제1체결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00 may have a first fastening groove 210 to which a bolt fixing the first load cell 300 is coupled.

제1체결홈(21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grooves 2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플레이트(200)는 제2로드셀(900)을 고정하는 볼트가 결합되는 제2체결홈(2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00 may additionally have a second fastening groove 220 to which a bolt fixing the second load cell 900 is coupled.

제2체결홈(22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로드셀(300)은 손가락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1 to 4, the first load cell 300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force of a finger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1로드셀(300)은 상부에 제1홀드(4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ld 400 at the top.

제1로드셀(300)은 스트레인 게이지(가변저항)을 포함한다.The first load cell 300 includes a strain gauge (variable resistor).

스트레인 게이지는 제1로드셀(30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저항이다.The strain gauge is a resist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load cell 300.

스트레인 게이지는 형태가 변하는 만큼 저항도 변화하므로, 제1로드셀(300)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손가락의 힘을 측정할 수 있다.Since the resistance of the strain gauge changes as much as the shape changes, the force of the finger can be measured through the change in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

제1로드셀(300)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트랜스미터(500)로 전달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500.

제1로드셀(300)은 제1체결부(311)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 제2플레이트(200)의 제1체결홈(210)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of the second plate 200 with a bolt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311 .

제1로드셀(30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제1체결홈(210)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be coupled with a bolt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21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로드셀(300)은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load cell 300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

제1로드셀(300)은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제2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so as to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

제2구동부는 제2플레이트(200)와 제1로드셀(300) 사이에 결합되어 테이블(10)에 고정된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제1로드셀(3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second driving unit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plate 200 and the first load cell 300 and is configured to lift the first load cell 300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fixed to the table 10. .

제2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홀드(400)는 손가락으로 제1로드셀(300)을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1 to 4, the first hold 400 is a component for pulling the first load cell 300 with a finger.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므로, 제1홀드(400)를 당기면 제1로드셀(300)을 당길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pulling the first hold 400 can pull the first load cell 300.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므로, 제1로드셀(300)을 승강시키면 제1홀드(4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when the first load cell 300 is moved up and down, the first hold 400 can also be moved up and down.

제1홀드(400)는 승강될 수 있으므로, 제1홀드(400)를 잡는 그립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can be moved up and down, the position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adjusted as needed.

제1홀드(400)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나무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d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wooden plate.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도 9 참조) 중에서 필요한 홀드로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it can be replaced with a necessary hold among various types of climbing holds for artificial rock walls (see FIG. 9).

제1홀드(400)를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로 교체하면, 교체된 홀드를 잡는 그립에 따른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 400 is replaced with a climbing hold for an artificial rock wall,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s according to the grip holding the replaced hold can be measured.

제1홀드(400)는 손가락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제1로드셀(300)을 당길 수 있다.In the first hold 400, the first load cell 300 can be pulled with all or part of a finger.

손가락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제1홀드(400)를 당기면, 제1홀드(400)를 당기는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 400 is pulled with all or part of a finger,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 pull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measured.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홀드(400)를 잡는 그립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first load cell 300, the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adjusted as needed.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로드셀(900)은 엄지손가락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1 to 4, the second load cell 900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force of the thumb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2로드셀(900)은 상부에 제2홀드(920)가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hold 9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ad cell 900 .

제2로드셀(900)은 스트레인 게이지(가변저항)을 포함한다.The second load cell 900 includes a strain gauge (variable resistor).

스트레인 게이지는 제2로드셀(90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저항이다.The strain gauge is a resist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load cell 900.

스트레인 게이지는 형태가 변하는 만큼 저항도 변화하므로, 제2로드셀(900)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엄지손가락의 힘을 측정할 수 있다.Since the resistance of the strain gauge changes as much as the shape changes, the force of the thumb can be measured through the change i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제2로드셀(900)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트랜스미터(500)로 전달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500.

제2로드셀(900)은 제2체결부(911)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 제2플레이트(200)의 제2체결홈(220)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220 of the second plate 200 with a bolt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art 911 .

제2로드셀(90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220)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be coupled with a bolt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grooves 22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로드셀(900)은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load cell 900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

제2로드셀(900)은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제3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include a third driving unit (not shown) so as to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

제3구동부는 제2플레이트(200)와 제2로드셀(900) 사이에 결합되어 테이블(10)에 고정된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제2로드셀(9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third driving unit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plate 200 and the second load cell 900 and is configured to lift the second load cell 900 based on the second plate 200 fixed to the table 10. .

제3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홀드(920)는 엄지손가락으로 제2로드셀(900)을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1 to 4, the second hold 920 is a component for pulling the second load cell 900 with a thumb.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므로, 제2홀드(920)를 당기면 제2로드셀(900)을 당길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pulling the second hold 920 can pull the second load cell 900.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므로, 제2로드셀(900)을 승강시키면 제2홀드(92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when the second load cell 900 is moved up and down, the second hold 920 can also be moved up and down.

제2홀드(920)는 승강될 수 있으므로, 제2홀드(920)를 잡는 그립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position of the grip hold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adjusted as needed.

제2홀드(920)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나무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d 92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wooden plate.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탈착할 수 있다.The second hold 920 can be detached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

엄지손가락으로 제2홀드(920)를 당기면, 제2홀드(920)를 당기는 엄지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hold 920 is pulled with the thumb, the muscle strength of the thumb pull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measured.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2홀드(920)를 잡는 그립의 위치 또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second load cell 900,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adjusted as needed.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트랜스미터(500)는 제1로드셀(300)에서 출력되어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구성이다.1 to 4, the transmitter 500 is a component for amplif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and transmitted.

트랜스미터(500)는 제2로드셀(900)에서 출력되어 전달되는 신호를 추가로 증폭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500 may further amplify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and transmitted.

제1로드셀(300) 및 제2로드셀(900)은 미세한 신호를 출력하므로, 트랜스미터(500)는 상기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load cell 300 and the second load cell 900 output fine signals, the transmitter 500 can amplify the signals.

트랜스미터(500)는 제1로드셀(300) 및 제2로드셀(900)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and the second load cell 9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는 데이터로거(600)로 전달될 수 있다.A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logger 60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데이터로거(600)는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아서 기록하고 저장하는 구성이다.1 to 4, the data logger 60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records, and stores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데이터로거(600)는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may record and store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in real time.

데이터로거(600)는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may have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데이터로거(600)는 손가락 근력의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추출 및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can monitor finger muscle strength in real time, extract and store data.

데이터로거(600)는 원하는 단위(kgf, N 등)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can extract data by changing it to a desired unit (kgf, N, etc.).

데이터로거(600)는 트랜스미터(50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5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데이터로거(600)는 검사대상자의 손가락 근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유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합격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may display on the display or generate a passing sound when the test subject's finger strength maintains a preset reference value.

데이터로거(600)는 검사대상자의 손가락 근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소정의 비율로 높거나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600 may display on a display or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test subject's finger muscle strength is higher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t a predetermined rate.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캠, 링크장치 등의 동력전달수단과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and a gear, and it is possible to use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cam and a link device, and a cylinder or a linear motor using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may be used.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700); 제1프레임(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면(810)과 수평면(810)에서 연장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수직면(820)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800); 제2프레임(8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300);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400); 제1로드셀(30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500); 및 트랜스미터(50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600)를 포함할 수 있다.5 to 8,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700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10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800 having a horizontal surface 81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and a vertical surface 820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surface 810 and extending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hand; A first load cell 3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800; A first hold 40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and can be pulled with a finger; Transmitter 500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And it may include a data logger 600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500.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800)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900); 및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920)를 더 포함하고, 트랜스미터(500)는 제2로드셀(90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load cell 900 coupled to a second frame 800; And a second hold 920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and can be pulled with a thumb, and the transmitter 500 can amplify and out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검사가 필요한 손가락의 근력 및 근지구력을 수직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of the finger that needs to be te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s of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1프레임(700)은 제2프레임(80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S. 5 to 8 , the first frame 700 supports the second frame 800 .

제1프레임(70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The first frame 700 may be a pipe or plat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프레임(700)의 하부는 테이블(10)의 윗면에 결합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

제1프레임(700)의 상부는 제2프레임(800)에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

제1프레임(700)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710)이 결합될 수 있다.An auxiliary frame 7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700 to prevent it from tilting.

보조프레임(710)은 제1프레임(700)과 테이블(10)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710 may be a pipe or plate that is obliquely coupled between the first frame 700 and the table 10 .

제1프레임(700)은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720)가 결합될 수 있다.A base plate 72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

베이스플레이트(720)는 상부에 제1프레임(700)이 결합되고, 하부에 테이블(10)이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plate 720 may have the first frame 700 coupled thereto and the table 10 coupled thereto.

제1프레임(700)이 베이스플레이트(720)에 결합되면, 제1프레임(700)을 지지하는 보조프레임(710)의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720)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rame 70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720,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710 supporting the first frame 7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720.

제1프레임(700)은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frame 700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table 10 .

제1프레임(700)이 베이스플레이트(720)에 결합되면, 베이스플레이트(720)는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first frame 70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720, the base plate 720 can be moved up and down based on the table 10 to adjust its height.

테이블(10)은 제1프레임(70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7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not shown) to move the first frame 700 or the base plate 720 up and down.

제1구동부는 테이블(10)과 제1프레임(700) 사이에 결합되어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제1프레임(7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거나, 테이블(10)과 베이스플레이트(720) 사이에 결합되어 테이블(10)을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7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first driving unit is coupled between the table 10 and the first frame 700 and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first frame 700 relative to the table 10, or the table 10 and the base plate 720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elevating the base plate 720 based on the table 10 by being coupled between them.

제1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800)은 제1로드셀(300)이 결합되는 장소 및 검사대상자의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놓이는 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이다.5 to 8, the second frame 8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first load cell 300 is coupled and a place where the subject's elbow to the palm are placed.

제2프레임(800)은 제1프레임(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면(810)과 수평면(810)의 전방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면(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800 may include a horizontal surface 81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and a vertical surface 8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urface 810 .

수평면(810)은 제1로드셀(3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The horizontal surface 810 may provide a place where the first load cell 300 is coupled.

수평면(810)은 제2로드셀(90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

수평면(810)은 테이블(10)의 상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urface 810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table 10 .

수평면(810)의 하부는 제1프레임(7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rface 81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700 .

수평면(810)은 제1로드셀(300)을 고정하는 볼트가 결합되는 제1체결홈(811)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groove 811 to which a bolt fixing the first load cell 300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810 .

제1체결홈(811)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grooves 811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수평면(810)은 제2로드셀(900)을 고정하는 볼트가 결합되는 제2체결홈(81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groove 812 to which a bolt fixing the second load cell 900 is coupled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810 .

제2체결홈(812)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grooves 812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수직면(820)은 검사대상자의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놓이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The vertical surface 820 may provide a place from the elbow to the palm of the test subject.

수직면(820)은 수평면(810)의 전방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surface 82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urface 810 .

수직면(820)은 테이블(10)의 윗면과 이격될 수 있다.The vertical surface 8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

제1프레임(700)은 테이블(10)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프레임(700)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800)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frame 700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table 10, the height of the second frame 800 coupled to the first frame 700 can also be adjusted.

제2프레임(800)은 제1프레임(700)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frame 800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first frame 700 .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800)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110); 및 제2프레임(800)에 결합되고 전완을 고정하는 제2벨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8,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the first belt 110 for fixing the wrist; and a second belt 120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and fixing the forearm.

제1벨트(110)는 검사대상자의 팔목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first belt 110 is configured to fix the wrist of the test subject so as not to move.

제1벨트(110)는 검사대상자의 팔목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can tighten or loosen the wrist of the test subject.

제1벨트(110)는 제2프레임(8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

제1벨트(110)는 벨크로 등을 이용해서 팔목을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may fix the wrist using Velcro or the like.

제2벨트(120)는 검사대상자의 전완을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belt 120 is configured to fix the forearm of the test subject.

제2벨트(120)는 검사대상자의 전완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tighten or loosen the forearm of the test subject.

제2벨트(120)는 제1벨트(110)와 이격되어 제2프레임(8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elt 110 a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

제2벨트(120)는 벨크로 등을 이용해서 전완을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belt 120 may fix the forearm using Velcro or the like.

제1벨트(110)와 제2벨트(120)는 어느 하나만 사용되거나 모두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belt 110 and the second belt 120 may be used either alone or both.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테이블(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720)에 결합되고 팔꿈치를 고정하는 제1받침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8,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130 coupled to the table 10 or the base plate 720 and fixing the elbow. .

제1받침대(130)는 검사대상자의 팔꿈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first support 130 is configured to fix the elbow of the test subject so as not to move.

제1받침대(130)는 팔꿈치를 기준으로 구부러진 팔을 고정할 수 있도록 대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 '┛' shape so as to fix the bent arm based on the elbow.

제1받침대(130)는 사용자의 팔을 감싸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have a seating groove surrounding the user's arm.

제1받침대(130)는 테이블(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7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be coupled to the table 10 or the base plate 720 .

제1받침대(130)는 테이블(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72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table 10 or the base plate 720 .

제1받침대(130)를 승강시키면 검사대상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팔꿈치를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edestal 130 is lifted, the elbow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test subject.

제1받침대(130)는 상완(上腕)을 고정하는 제3벨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edestal 130 may include a third belt (not shown) for fixing the upper arm.

검사대상자가 제1홀드(400) 또는 제2홀드(920)를 당길 때, 제3벨트는 팔꿈치가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xaminee pulls the first hold 400 or the second hold 920, the third belt can prevent the elbow from moving upward.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프레임(800)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8 , the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140 coupled to the second frame 800 and preventing slipping of the palm.

제2받침대(140)는 검사대상자의 손바닥이 상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support 14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alm of the test subject from sliding upward.

검사대상자가 제1홀드(400) 또는 제2홀드(920)를 당길 때,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이 상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est subject pulls the first hold 400 or the second hold 920, the second support 140 can prevent the palm from sliding upward.

제2받침대(140)는 제2프레임(800)의 수직면(8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surface 820 of the second frame 800 .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거친 면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have a rough surface or irregularities to generate friction to prevent slipping of the palm.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recessed with a locking groove into which a palm is inserted.

제2받침대(140)는 손바닥에 접촉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40 may be protruded with a locking jaw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1로드셀(30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5 to 8, the first load cell 300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force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1로드셀(300)은 전방에 제1홀드(400)가 결합될 수 있다.A first hold 4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load cell 300 .

제1로드셀(300)은 제1체결부(311)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811)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811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311 with a bolt.

제1로드셀(30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제1체결홈(81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be coupled with a bolt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811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1로드셀(300)은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을 기준으로 이동(전진 또는 후진)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first load cell 300 can be adjusted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relative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

제1로드셀(300)은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oad cell 300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to move relative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

제2구동부는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과 제1로드셀(300) 사이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을 기준으로 제1로드셀(3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second driving unit is coupled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and the first load cell 300 to move the first load cell 300 relative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It is a composition with

제2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1홀드(40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제1로드셀(300)을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Referring to FIGS. 5 to 8 , the first hold 400 is configured to pull the first load cell 300 with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므로, 제1홀드(400)를 당기면 제1로드셀(300)을 당길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pulling the first hold 400 can pull the first load cell 300.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결합되므로, 제1로드셀(300)을 이동시키면 제1홀드(40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300, when the first load cell 300 is moved, the first hold 400 can also be moved.

제1홀드(400)는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1홀드(400)를 잡는 그립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can be moved, the position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adjusted as needed.

제1홀드(400)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나무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d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wooden plate.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도 9 참조) 중에서 필요한 홀드로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load cell 300, it can be replaced with a necessary hold among various types of climbing holds for artificial rock walls (see FIG. 9).

제1홀드(400)를 인공암벽용 클라이밍 홀드로 교체하면, 교체된 홀드를 잡는 그립에 따른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 400 is replaced with a climbing hold for an artificial rock wall,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s according to the grip holding the replaced hold can be measured.

제1홀드(40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제1로드셀(300)을 당길 수 있다.In the first hold 400, the first load cell 300 can be pulled with all or part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제1홀드(400)를 당기면, 제1홀드(400)를 당기는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 400 is pulled with all or part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the muscle strength of the finger pull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measured.

제1홀드(400)는 제1로드셀(3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홀드(400)를 잡는 그립의 위치 또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d 40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first load cell 300,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400 can be adjusted as needed.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로드셀(900)은 엄지손가락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5 to 8, the second load cell 900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force of the thumb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2로드셀(900)은 전방에 제2홀드(920)가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hold 9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load cell 900 .

제2로드셀(900)은 제2체결부(911)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에 형성되는 제2체결홈(812)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812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art 911 with bolts.

제2로드셀(90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812)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be coupled with a bolt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grooves 812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2로드셀(900)은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을 기준으로 이동(전진 또는 후진)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second load cell 900 can be adjusted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relative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

제2로드셀(900)은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oad cell 900 may include a third driving unit (not shown) to move relative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

제3구동부는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과 제2로드셀(900) 사이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800)의 수평면(810)의 기준으로 제2로드셀(9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third driver is coupled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and the second load cell 900 to move the second load cell 90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810 of the second frame 800. It is a composition with

제3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홀드(920)는 엄지손가락으로 제2로드셀(900)을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5 to 8, the second hold 920 is a component for pulling the second load cell 900 with a thumb.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므로, 제2홀드(920)를 당기면 제2로드셀(900)을 당길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pulling the second hold 920 can pull the second load cell 900.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결합되므로, 제2로드셀(900)을 이동시키면 제2홀드(92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is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900, when the second load cell 900 is moved, the second hold 920 can also be moved.

제2홀드(920)는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2홀드(920)를 잡는 그립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can be moved, the position of the grip hold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adjusted as needed.

제2홀드(920)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나무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d 92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wooden plate.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에 탈착할 수 있다.The second hold 920 can be detached from the second load cell 900 .

엄지손가락으로 제2홀드(920)를 당기면, 제2홀드(920)를 당기는 엄지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hold 920 is pulled with the thumb, the muscle strength of the thumb pull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measured.

제2홀드(920)는 제2로드셀(9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2홀드(920)를 잡는 그립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hold 92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second load cell 900, the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second hold 920 can be adjusted as need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테이블
100: 제1플레이트
110: 제1벨트
120: 제2벨트
130: 제1받침대
140: 제2받침대
150: 레일
200: 제2플레이트
210: 제1체결홈
220: 제2체결홈
300: 제1로드셀
311: 제1체결부
400: 제1홀드
500: 트랜스미터
600: 데이터로거
700: 제1프레임
710: 보조프레임
720: 베이스플레이트
800: 제2프레임
810: 수평면
811: 제1체결홈
812: 제2체결홈
820: 수직면
900: 제2로드셀
911: 제2체결부
920: 제2홀드
10: table
100: first plate
110: first belt
120: second belt
130: first pedestal
140: second pedestal
150: rail
200: second plate
210: first fastening groove
220: second fastening groove
300: first load cell
311: first fastening part
400: first hold
500: transmitter
600: data logger
700: first frame
710: auxiliary frame
720: base plate
800: second frame
810: horizontal plane
811: first fastening groove
812: second fastening groove
820: vertical plane
900: second load cell
911: second fastening part
920: second hold

Claims (16)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의 옆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상기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상기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 first plate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disposed from the elbow to the palm;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ositio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table;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 first hold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pable of being pulled by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 및
상기 제2로드셀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2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ld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and pullable with a thumb,
The transmitter is a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mplifi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is a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셀은 상기 제2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oad cell is a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드는 상기 제1로드셀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홀드를 잡는 그립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ld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load cell to adjust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또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 및
상기 테이블 또는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전완을 고정하는 제2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elt coupled to the table or the first plate and fixing the wrist; and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lt coupled to the table or the first plate and fixing the fore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팔꿈치를 고정하는 제1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upport for fixing the elb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preventing the slip of the palm.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연장되고 팔꿈치부터 손바닥까지 배치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로드셀;
상기 제1로드셀에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1홀드;
상기 제1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 및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 first frame coupled to the top of the table and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having a horizontal surfac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surface and extending from the elbow to the palm;
a first load cel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first hold coupled to the first load cell and capable of being pulled by a finger;
a transmitter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oad cell; and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data logger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t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로드셀; 및
상기 제2로드셀에 결합되고 엄지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제2홀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2로드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second load cell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ld coupled to the second load cell and pullable with a thumb,
The transmitter is a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mplifi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oad cel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frame is a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셀은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load cell is a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by moving relative to the second fr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드는 상기 제1로드셀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홀드를 잡는 그립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hold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load cell to adjust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 holding the first hol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손목을 고정하는 제1벨트;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전완을 고정하는 제2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first belt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fixing a wrist; and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lt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fixing the forear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고 팔꿈치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upport coupled to the table and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elbo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손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Finger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preventing the slip of the palm.






KR1020210171864A 2021-12-03 2021-12-03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KR202300836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64A KR20230083668A (en) 2021-12-03 2021-12-03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64A KR20230083668A (en) 2021-12-03 2021-12-03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668A true KR20230083668A (en) 2023-06-12

Family

ID=8677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864A KR20230083668A (en) 2021-12-03 2021-12-03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66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83B1 (en) 2014-04-17 2015-03-19 (주)노아텍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83B1 (en) 2014-04-17 2015-03-19 (주)노아텍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883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balance, stability, and tremor
US9750343B2 (en) Exercise device with adjustable desk
US7608025B1 (en) Compact exercise and strength measuring device
US5150902A (en) Golfer weight distribution measurement system
US9855478B2 (en) Train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climbing
US10507359B1 (en) Core muscle exercise system
US4226414A (en) Weight exercise device
US200501596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ulomotor performance testing
US6149550A (en) Muscle strength testing apparatus
KR20230083668A (en) Finger strength measuring device
CN109224397B (en)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quality and using method thereof
US6186961B1 (en) Physical capacity assessment system
WO201704502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physical condition of a person
EP2707107B1 (en) Dual force plate apparatus
CN109247930B (en) System comprising step tester and use method
US6904801B1 (en)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70286A1 (en) Exercise apparatus such as a treadmill
CN108962374B (en) Method for testing and training using integrated physical examination system
CN109222898B (en) Integrated physique detection system
US4119318A (en) Golf ball flight indicating device
Dales et al. The ‘Liftest’strength test—an accurate method of dynamic strength assessment?
US4603859A (en) Implement for heavy athletics
JP2010088703A (en) Handy type training apparatus
RU2382602C2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force endurance in process of body pull-ups in bent position
US6572567B1 (en) Mobile lift system and method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