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138A -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 Google Patents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138A
KR20230083138A KR1020210171272A KR20210171272A KR20230083138A KR 20230083138 A KR20230083138 A KR 20230083138A KR 1020210171272 A KR1020210171272 A KR 1020210171272A KR 20210171272 A KR20210171272 A KR 20210171272A KR 20230083138 A KR20230083138 A KR 2023008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air
channel
scalp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009B1 (ko
Inventor
김병술
손대웅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대
Priority to KR102021017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00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12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009B1/ko
Priority to CN202190000992.1U priority patent/CN220898760U/zh
Priority to PCT/KR2021/018871 priority patent/WO2023101083A1/ko
Priority to PCT/KR2022/010087 priority patent/WO2023101125A1/ko
Publication of KR2023008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구를 갖는 바늘;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바늘의 관통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늘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 채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Needle channel with rotor guide and multi-channel hair transpla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모기(모발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 이식용 바늘(이식침)을 다발형으로 다수개 장착한 다채널(멀티채널) 모발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모발 이식기(식모기)는 두피의 발모 영역으로부터 모발을 채취하여 이를 탈모된 다른 불모영역의 두피(불모환자)에 심어서 이식(transplant)하는 모발 시술법에 사용되는 의료 장비이다.
종래의 모발 이식기로서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19-0109321호의 "멀티채널 모발이식기"는 바늘(이식침)과 바늘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심축으로 구성된 시침채널을 다수개 장착한 다발형 모발 이식 장치를 공개하였다.
종래 멀티채널 식모기에 따른 식모(모발 이식) 동작을 도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우선 도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늘(1)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식모할 모낭을 삽입하고, 도1(b)와 같이 식모기를 하강하여 바늘(1)의 선단부를 두피에 삽입한다. 이 때 식모기의 노즐(5)의 하단부가 두피에 닿을 때까지 바늘(1)을 두피에 삽입한다. 그 후 바늘(1)이 노즐(5)과 심축(3)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로 움직여 상승하여 모낭을 두피 내에 남겨두고(도1(c)) 식모기 전체를 들어올려 식모 동작을 완료한다(도1(d)).
그런데 이러한 종래 식모 동작에 의하면 두피 내부로 바늘을 대략 7.5mm 내지 8.5mm 정도의 깊이로 삽입해야 하는데 삽입 깊이가 깊을수록 환자의 두피 손상과 출혈 등 환자에게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술자가 바늘을 얕은 깊이로(즉, 노즐(5)의 하단부가 두피에 닿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삽입하게 되면, 두피에 대해 식모기를 지지할 수 없어 식모기가 좌우로 흔들리게 되므로 이 경우에도 두피 손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109321호 (2019년 09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 비해 바늘을 두피에 삽입하는 깊이를 작게 하면서도 모낭을 두피 내의 적절한 깊이로 이식할 수 있는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로서, 상하 방향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구를 갖는 바늘;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바늘의 관통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늘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 채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시침 채널을 복수개 구비한 식모기로서, 상기 식모기의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나의 시침 채널의 바늘이 관통하는 노즐을 구비한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의 관통구는 관통구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소직경 영역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대직경 영역으로 구성되는 식모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시침 채널을 복수개 구비한 식모기를 이용한 모발 이식 방법으로서, 식모기를 두피를 향해 하강시켜 상기 로터 가이드의 하단부가 두피에 닿을 때까지 바늘을 두피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늘에 대한 상기 식모기의 본체의 상대적 하강 이동에 의해, 상기 식모기 본체와 바늘 내부의 상기 심축이 하강하는 단계; 및 상기 심축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바늘의 선단부 내에 위치한 모낭을 두피 내로 밀어넣어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바늘을 두피에 삽입시키는 깊이를 작게 하면서 모낭을 두피 내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 두피 손상이나 출혈을 줄이고 모발이식 시술에 대한 환자나 시술자의 거부감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침채널 하방으로 돌출한 바늘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로터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바늘과 로터가이드가 관통하는 식모기의 노즐의 관통구를 바늘과 로터가이드의 결합 구조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늘과 로터가이드가 관통구를 관통하며 슬라이딩 할 때 바늘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식모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침채널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기의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기의 단면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기의 분해 사시도,
도5는 하부 캡을 제거한 상태의 모발 이식기의 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채널 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 채널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 채널의 분해 사시도,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과 심축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축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축의 걸림 및 걸림 해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채널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의 길이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침채널, 바늘, 심축 등의 구성요소가 '전진'한다는 것은 이 구성요소가 두피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구성요소가 '후퇴' 또는 '후진'한다는 것은 이 구성요소가 두피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기(식모기)의 사시도, 도3은 모발 이식기의 단면도, 그리고 도4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모발 이식기는 케이스(10), 및 케이스(1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된 노즐부(20) 및 상부 캡(30)으로 구성된다. 노즐부(2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 캡(50) 내부에 위치한다.
케이스(1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시침 채널(1200)이 번들 형태로 다수개가 결합된 시침채널 번들(B)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시침채널 번들(B)은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유닛으로, 번들 본체부(1100) 및 그 외주면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시침 채널(1200)로 구성될 수 있다.
시침채널 번들(B)의 외주 둘레에는 시침채널 번들을 한 채널만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채널 회전수단이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채널 회전수단은 시침채널 번들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승강 기어 홀더(1400) 및 케이스(1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승강 기어 홀더(140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라쳇(ratchet) 받침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쳇 받침부(1300)는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승강 기어 홀더(140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기어 홀더(1400)가 상승 및 하강 동작을 1회 수행할 때마다 시침채널 번들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기어 홀더(1400)의 1회의 상승/하강 동작에 의해 시침채널 번들(B)을 하나의 시침 채널 간격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라쳇 받침부(1300), 승강 기어 홀더(1400) 등에 의한 채널 회전수단의 구체적 구성 및 동작은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19-0109321호 등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심축 걸림부(1700)가 배치된다. 심축 걸림부(1700)는 시침 채널(12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심축(도7의 1230)을 걸어서 심축이 일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케이스(10)의 하단부에는 노즐부(20)가 체결된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노즐부(20)는 링 형상의 노즐부 프레임(21) 및 프레임(21)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단부와 중심부에 각각 형성된 노즐(25)과 중심 지지부(22)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25)은 하나의 시침 채널(120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이며, 하나의 시침 채널(1200)이 노즐(25)을 통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중심 지지부(22)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가지며 노즐부(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샤프트(1550)가 케이스(10)의 중심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노즐부(20)를 케이스(10)에 체결하기 위해, 중앙 샤프트(1550)의 하단부가 노즐부(20)의 중심 지지부(22)의 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이 때 노즐부(20)의 프레임(21)은 케이스(10)의 하단부와 맞물려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 형상의 바늘길이 조절링(40)이 케이스(1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바늘길이 조절링(40)은 내측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이며 나사산(41)은 케이스(10)의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15)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바늘길이 조절링(40)은 승강 기어 홀더(40)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바늘길이 조절링(40)은 승강 기어 홀더(14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의 이상의 연결돌편(1420,1430)과 접하면서 아래쪽에서 승강 기어 홀더(1400)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바늘길이 조절링(40)은 승강 기어 홀더(1400)가 하강할 때 정지 위치를 결정해주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늘길이 조절링(40)이 케이스(10)와의 체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길이 조절링(40)의 나사산(41)과 케이스(10)의 나사산(15)의 맞물림으로 체결하는 경우 바늘길이 조절링(40)의 체결 회전량을 조절하여 바늘길이 조절링(40)이 케이스(10)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체결 높이를 조절하면 승강 기어 홀더(1400)의 하강시 정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강 기어 홀더(1400)에 맞물려서 아래로 하강하는 시침채널의 바늘(1220)이 노즐부(20)의 노즐(25)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하는 정도, 즉 시침채널 바늘(12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늘길이 조절링(40)은 노즐부 프레임(21)과 케이스(10)의 하단부가 확실히 맞물리도록 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바늘길이 조절링(40)이 노즐부 프레임(21)와 케이스(10)의 하단부를 둘러싸며 체결됨으로써 케이스(10) 하단부가 벌어져서 노즐부 프레임(2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즐부(20)의 중심 지지부(22)가 중앙 샤프트(1550)에 끼워져서 지지되고 노즐부(20)의 프레임(21)은 케이스(10)의 하단부 및 바늘길이 조절링(40)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면서 노즐부(20)가 케이스(10)에 보다 확실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노즐부(20)의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각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에 모낭을 로딩(장착)할 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5는 하부 캡(50)을 제거한 상태에서 모발 이식기의 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노즐(25)과 중심 지지부(22)를 제외한 노즐부(20)의 대부분의 영역이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시침채널 번들의 각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이 모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 바늘(1220)에 모낭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모낭 장착을 위해 노즐(20)을 제거해야 했던 종래 구조에 비해 훨씬 간편하고 신속하게 모낭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모발 이식기는 시침채널 번들(B)의 하나의 시침 채널(1200)을 아래 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 바(1530)를 포함한다. 푸쉬 바(1530)는 케이스(10) 내에서 시침채널 번들(B)의 상부와 상부 캡(30) 사이에 배치되고, 이 때 푸쉬 바(1530)는 스프링(1540)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캡(3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푸쉬 바(1530)와 노즐부(20)의 노즐(25)은 일직선 상에 정렬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푸쉬 바(1530)가 시침 채널(1200)을 아래 방향으로 푸쉬하면 푸쉬된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이 노즐(25)을 통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채널 번들(B)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시침채널 번들(B)은 번들 본체부(1100) 및 이 번들 본체부(110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시침 채널(120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번들 본체부(1100)는 통 형상의 채널 결합부(1110) 및 채널 결합부(1110)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1120)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 결합부(1110)와 헤드부(1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채널 결합부(1110)와 헤드부(1120)는 내부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샤프트(1550)가 번들 본체부(110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채널 결합부(1110)의 외주면에는 채널 결합부(1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슬라이드 레일(1115)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레일(1115)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음각되어 있고, 각 시침 채널(1200)이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1115)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결합된다.
헤드부(1120)는 채널 결합부(1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시침 채널(1200)들이 위로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4에 도시한 것처럼 헤드부(1120)와 상부 캡(30) 사이에 스프링(1520)이 개재되고, 스프링(1520)은 시침채널 번들(B)을 아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시침채널 번들(B)의 하부에는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60)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시침채널 번들(B)을 모발 이식기에 장착할 때에는 보호 캡(60)을 제거한 후 케이스(10)에 삽입하여 장착하고(도3 또는 도4 참조), 교체나 교환을 위해 시침채널 번들(B)을 케이스(10)에서 탈거하면 보호 캡(60)을 시침채널 번들(B)에 체결하여 바늘(1220)을 보호할 수 있다.
도7과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침 채널(12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a)는 시침 채널(1200)의 사시도이고 도7(b)는 단면도이며 도8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시침 채널(1200)은 상하 방향의 관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바디부(1210), 이 바디부(1210)의 하부에 결합된 바늘(1220), 및 상기 관 형상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축(1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210)의 관 형상의 내부 공간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부의 제1 직경부(1210a) 및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부의 제2 직경부(1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의 제2 직경부(1210b)는 심축(1230)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상부의 제1 직경부(1210a)는 심축(1230)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1241)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모근 이식용 바늘(1220)은 바디부(1210)의 제2 직경부(1210b)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바디부(1210)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바늘(1220)은 중심이 비어있는, 즉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가 형성된 통 형상을 가지며, 바늘(1220)의 관통구는 바디부(12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220)의 하단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9(a)는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외측에서 중심축을 향해 바라볼 때의 모습이고 도9(b)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바늘(1220)의 하단부 측면에는 모낭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슬롯홀(1221)이 형성되어 있다. 바늘(1220)의 내부 공간에 심축(1230)이 삽입 배치되되 심축(1230)의 하단이 슬롯홀(1221)의 최상단 보다 아래쪽이면서 바늘(1220)의 최하단 단부 아래로는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 슬롯홀(1221)은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시술자의 모낭 장착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바디부(1210)는 일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면 돌출부(1213)를 포함한다. 측면 돌출부(1213)는 채널 결합부(1110)를 향하는 방향, 즉 방사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 돌출부(1213)의 돌출부 형상은 채널 결합부(1110)의 슬라이드 레일(1115)의 요홈부 형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부(1210)의 측면 돌출부(1213)가 채널 결합부(1110)의 슬라이드 레일(1115)에 끼워져 맞물림으로써 시침 채널(1200)이 슬라이드 레일(111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다시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시침 채널(1200)은, 바디부(1210)의 측면 돌출부(1213)의 반대 방향, 즉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바디부(1210)에서 연장 형성된 걸림돌출부(1211)를 포함한다. 걸림돌출부(121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1215), 걸림돌출부(1211)의 표면에서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더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된 돌기부(1217), 및 걸림돌출부(1211)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톱니형의 라쳇기어치(1212)를 포함한다.
슬롯(1215)은 바디부(1210)에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디부(1210)의 일 측면을 향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슬롯(1215)은 걸림돌출부(1211)의 방사상 바깥 방향의 표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디부(1210)의 관 형상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관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심축(1230)이 배치되며 심축(1230)의 상단에 레버(1231)가 결합되어 있다. 레버(1231)는 슬롯(1215)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심축(1230)의 둘레에 스프링(1241)이 끼워져 있다. 스프링(1241)의 상단부는 레버(1231)의 하부면에 지지되며, 스프링(1241)의 하단부는 바디부(1210) 내의 제1 직경부(1210a)와 제2 직경부(1210b) 사이의 단차부에 지지된다.
슬롯(1215)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상단부에 상부마개(1250)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상부마개(1250)는 레버(1231)가 상방향으로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마개(1250)의 상면은 시침채널 번들(B)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가진다. 즉 상부마개(1250)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푸쉬 바(1530)로 인해 시침채널 번들(B)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부마개(1250)의 표면(1251)이 시침채널 번들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경사각(1253)만큼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시침 채널(1200)의 바디부(1210)는 걸림홈(1219)을 더 포함한다. 걸림홈(1219)은 바디부(121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서 걸림돌출부(1211)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걸림홈(1219)은 시침채널 걸림부(1900)의 걸쇠(191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210)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뻗어있는 로터 가이드(1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터 가이드(1270)는 바디부(121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늘(12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7과 도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로터 가이드(1270)는 바늘(1220)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즉, 360도) 중 대략 절반의 둘레(즉, 180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컨대 대안적 실시예에서 로터 가이드(1270)가 바늘(1220)의 둘레의 90도 내지 270도 사이에서 바늘(1220)을 둘러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1210)의 하단부에서 연장된 로터 가이드(1270)의 길이에 대해, 도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모발 이식을 위해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이 노즐부의 노즐(25)의 관통구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로터 가이드(1270)의 하단부가 노즐(25)의 하단부 보다 아래로 돌출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3과 도4에 도시하였듯이, 모발 이식기는 시침채널 번들(B)의 하나의 시침 채널(1200)을 아래 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 바(1530)를 포함한다. 푸쉬 바(1530)는 스프링(1540) 등의 탄성부재를 통해 상부 캡(3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시침채널 번들(B)의 하나의 시침 채널(1200)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도록 배치된다. 푸쉬 바(1530)와 노즐(21)은 동일 수직 선상에 정렬되어 배치되며, 따라서 푸쉬 바(1530)가 시침 채널(1200)을 아래 방향으로 푸쉬하면 이 푸쉬된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이 노즐(25)을 통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20)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10(a)는 노즐부(20)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바라본 모습이고 도10(b)는 도10(a)의 일부를 확대하되 시침 채널(1200)의 바늘(1220)과 로터가이드(1270)가 노즐(25)을 관통하고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노즐(25)은 바늘(12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26)를 구비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관통구(26)는 바늘(1220)과 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로터 가이드(1270)가 관통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10(a)의 실시예에서 관통구(26)는 관통구(26)의 중심(C)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소직경 영역(26a) 및 중심(C)으로부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대직경 영역(2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직경 영역(26a)은 로터 가이드(1270)에 둘러싸이지 않은 바늘(1220)이 관통하는 영역이고, 대직경 영역(26b)은 바늘(1220)을 둘러싸는 로터 가이드(1270)가 관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25)은 관통구(26)에서 노즐(25)의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슬롯(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롯(27)은 바늘(1220)의 슬롯홀(1221)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노즐(25)의 관통구(26)의 내측 둘레(내주면)가 소직경 영역(26a)의 둘레를 정의하는 제1 내주면(261), 대직경 영역의 둘레를 정의하는 제2 내주면(262), 및 제1 내주면(261)과 제2 내주면(262) 사이를 연결하는 단차부(263)로 구성된다. 단차부(263)의 길이는 소직경 영역(26a)의 제1 반경과 대직경 영역(26b)의 제2 반경 사이의 차이에 해당함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대직경 영역(26b)의 제2 반경은 바늘(1220)의 중심축에서 로터 가이드(1270)의 방사상 방향의 제1 외주면(1271)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길이일 수 있고, 따라서 도10(b)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 가이드(1270)의 제1 외주면(1271)이 관통구(26)의 제2 내주면(262)에 밀착한 상태에서 로터 가이드(1270)가 관통구(26)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이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로터 가이드(1270)는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는(즉,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표면의 법선 벡터 방향이 방사상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갖는) 제2 외주면(1272)을 가진다. 제2 외주면(1272)은 관통구(26)의 단차부(26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로터 가이드(1270)가 관통구(26)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로터 가이드(1270)의 제1 외주면(1271)과 제2 외주면(1272)이 각각 관통구(26)의 제2 내주면(262)과 단차부(263)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바늘(1220) 및 로터 가이드(1270)가 식모기 본체에 대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전진 및 후진 할 수 있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축 걸림부(1700)를 나타낸 것으로, 도11(a)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11(b)는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식적으로 도시하였다. 심축 걸림부(1700)는 상기 푸쉬 바(1530)에 의해 하방으로 푸쉬되는 시침 채널의 상기 방사상의 바깥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심축 걸림부(1700)는 케이스(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심축 걸림부(1700)는, 시침 채널(1200)이 푸쉬 바(1530)에 의해 하방으로 푸쉬된 후 다시 상승하는 동안 이 시침 채널(1200) 내의 심축(1230)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심축 걸림부(1700)는 걸쇠(1710), 걸쇠(1710)를 수용하는 걸쇠 수용부(1720), 및 걸쇠(1710)와 걸쇠 수용부(172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730)로 구성될 수 있다.
걸쇠 수용부(1720)는 예컨대 좌우 양측면의 연장 영역(1723)의 볼트 홈을 통해 케이스(10)의 일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걸쇠 수용부(1720)의 볼트 홈을 장방형 형태로 하여 걸쇠(1710)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걸쇠의 위치는 모낭 삽입 작업 시 노즐(25) 밖으로 돌출되는 심축(1230)을 길이를 결정하여 식모되는 모낭의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 걸쇠 수용부(1720)는 내부에 걸쇠(1710)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730)가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쇠(1710)는 레버(1231)의 상하 움직임을 간섭하는 거리 내에 배치되되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걸쇠(171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걸쇠(1710)는 걸쇠 수용부(1720)로부터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레버(1231)가 상하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 레버(1231)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도11(a)에 도시한 것처럼 레버(1231)와 접촉하는 걸쇠(1710)의 접촉면의 위쪽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아래쪽의 레버 접촉면(1711)은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1231)가 걸쇠(1710)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강할 때는 레버(1231)가 걸쇠(1710)를 걸쇠 수용부(1720)측으로 밀면서 하강할 수 있지만, 레버(1231)가 걸쇠(1710)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상승할 때는 레버(1231)의 상부면이 걸쇠(1710)의 레버 접촉면(1711)에 접촉하여 걸리므로 레버(1231)가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시침 채널(1200)의 슬롯(1215)의 측면에는 시침채널 번들(B)의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2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217)는 상기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레버(1231)와 동일하거나 레버(1231) 보다 좀 더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걸쇠(1710)는 레버(1231)뿐만 아니라 돌기부(1217)의 상하 움직임과도 간섭하도록 걸쇠(1710)의 좌우 폭이 설정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돌기부(1217)와 접촉하는 걸쇠(1710)의 접촉면의 위쪽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아래쪽의 돌기부 접촉면(1713)도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시침 채널(1200)이 걸쇠(1710)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상승하거나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어느 경우이든지 돌기부(1217)가 걸쇠(1710)를 걸쇠 수용부(1720)측으로 밀면서 시침 채널(1200)이 상승/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심축 걸림부(1700)에 의한 심축(1230)의 걸림 및 걸림해제 동작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2(a)는 시침채널 번들(B)에 부착된 시침 채널(1200)이 아래로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시침채널(1200)의 레버(1231)와 돌기부(1217)는 모두 심축 걸림부(1700)의 걸쇠(1710) 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푸쉬 바(1530)가 시침 채널(1200)을 하방으로 푸쉬하면 시침 채널(1200)이 아래로 하강한다. 시침 채널(1200)이 하강할 때 돌기부(1217)와 레버(1231)가 걸쇠(1710)의 경사진 표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걸쇠(1710)를 걸쇠 수용부(1720)측으로 밀면서 시침 채널(1200)과 레버(1231)가 하강할 수 있다.
도12(b)에 도시한 것처럼 레버(1231)가 걸쇠(1710) 보다 더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되면 레버(1231)는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스프링(1241)에 의해 상방향으로 올라가지만 레버(1231)의 상부면이 걸쇠(1710)의 레버 접촉면(1711)에 접촉하면서 레버(1231)가 걸쇠(1710)에 걸리게 된다.
그 후 도12(c)에 도시한 것처럼 시침 채널(1200)이 상승할 때, 레버(1231)가 걸쇠(1710)에 걸려있기 때문에 레버(1231) 및 이에 일체로 결합된 심축(1230)이 상승하지 못한다.
시침 채널(1200)이 더 상승하게 되면 도12(d)와 같이 돌기부(1217)가 걸쇠(1710)와 접촉하면서 걸쇠(1710)를 걸쇠 수용부(1720)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걸쇠(1710)가 걸쇠 수용부(1720)측으로 후퇴함으로써 레버(1231)에 대한 걸쇠의 걸림이 해제되고, 레버(1231)와 심축(1230)은 스프링(124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도12(a)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발 이식을 위한 시침채널(1200)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a)는 모발 이식을 위한 시침채널(1200)의 바늘(1220)을 두피의 모발 이식 위치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바늘(1220)의 내부에는 이식을 위한 모낭이 수용되어 있고 바늘(1220) 및 로터 가이드(1270)의 일부가 노즐(25)의 하단부(25a) 아래로 돌출하여 있다. 구체적으로, 바늘(1220) 내의 심축(1230)은 노즐(25)의 하단부(25a)에서부터 제1 거리(d1)만큼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고, 로터 가이드(1270)의 하단부(1270a)는 노즐(25)의 하단부(25a)에서부터 제2 거리(d2)만큼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 때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거리(d2)는 노즐(25)의 하단부에서부터 바늘(1220) 선단부의 테이퍼 형상이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제3 거리(d3)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시술자가 수동으로 또는 자동 식모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모기를 아래로 움직여 바늘(1220)을 두피에 삽입한다. 로터 가이드(1270)의 하단부(1270a)가 두피에 닿으면 바늘(1220)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으므로, 로터 가이드(1270)는 바늘(122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13(b)에 도시한 상태에서, 바늘(1220) 내의 모낭이 두피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후 식모기의 본체에 대해 바늘(1220) 및 로터 가이드(1270)가 상대적으로 상승 운동을 시작한다. 예컨대 도12(C)에 도시한 것처럼 시침 채널(1200)이 상승하게 되는데, 레버(1231)가 걸쇠(1710)에 걸려있기 때문에 레버(1231) 및 이에 일체로 결합된 심축(1230)은 상승하지 못하고 시침 채널(1200)의 (로터 가이드(1270)와 일체로 된) 바디부(1210) 및 바늘(1220)이 상승한다. 그런데 도13(b)에 도시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식모기 본체를 두피를 향해 누르고 있으므로, 바늘(1220)과 로터 가이드(1270)에 대해 식모기 본체가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즉 도13(b)의 상태에서 도13(c)의 상태로 변하는데, 바늘(1220)과 로터 가이드(1270)는 두피에 대해 정지하여 있고, 노즐(25)과 심축(1230)을 비롯한 식모기 본체가 노즐(25)의 하단부(25a)가 두피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도13(c)와 같이 노즐(25)의 하단부(25a)가 두피에 닿으면, 하단부(25a)보다 제1 거리(d1)만큼 아래로 더 돌출하여 있는 심축(1230)이 모낭을 아래로 더 밀어 넣으므로 모낭을 두피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12(c)와 도12(d)에 도시한 것처럼 바늘(1220)이 일정 높이 상승하는 동안 심축(1230)이 정지해 있는 반면, 심축(1230)을 제외한 바디부(1210), 바늘(1220), 및 로터 가이드(1270) 등 시침채널(120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위로 계속하여 상승한다. 즉 도13(c) 및 도13(d)와 같이, 노즐의 하단부(25a)가 두피에 닿은 이후부터는 두피에 대해 바늘(1220)과 로터 가이드(1270)의 상대적 상승 운동이 일어나고(도13(d)), 그 후 바늘(1220)이 일정 높이 상승한 이후부터 심축(123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시술자 또는 자동 식모장치는 바늘(1220)이 상승하여 두피에서 이탈할 때까지 노즐 하단부(25a)가 두피에 접촉하고 있도록 식모기 본체를 두피에 계속 밀착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술자 또는 자동 식모장치는 심축(1230)이 상승하여 두피에서 이탈할 때까지 노즐 하단부(25a)가 두피에 접촉하고 있도록 식모기 본체를 두피에 계속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늘(1220) 및/또는 심축(1230)이 두피에서 이탈하여 위로 상승한 이후 식모기 본체를 위로 상승시킴으로써 1회의 식모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식모기는 바늘(1220)과 심축(1230)이 소정 높이 상승했을 때 라쳇 받침부(1300)와 승강 기어 홀더(1400) 등의 구조에 의해 시침채널 번들(B)이 소정 각도 회전하며, 방금 식모 작업에 사용된 시침채널에 이웃하는 시침채널을 푸쉬 바(1530)가 푸쉬하여 도13(a)와 같이 바늘(1220)이 노즐(25)을 통과하여 아래로 돌출한 상태가 됨으로써 2회째의 식모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도1의 종래기술에 따른 식모 동작과 도1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 동작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바늘(1220)을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로 두피에 삽입하고 그 후 노즐(25) 및 심축(1230)을 비롯한 식모기 본체가 두피를 향해 하강하는 추가 동작을 함으로써 모낭을 두피 내에 안정적으로 이식할 수 있으며 환자 두피 손상이나 출혈을 줄이고 모발이식 시술에 대한 환자나 시술자의 거부감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케이스 20: 노즐부
21: 노즐부 프레임 22: 중심 지지부
25: 노즐 30: 상부 캡
40: 바늘길이 조절링 50: 하부 캡
60: 보호캡
1100: 번들 본체부 1110: 채널 결합부
1115: 슬라이드 레일 1120: 헤드부
1200: 시침 채널 1210: 바디부
1211: 걸림 돌출부 1212: 라쳇기어치
1213: 측면 돌출부 1215: 슬롯
1217: 돌기부 1219: 걸림홈
1220: 바늘 1221: 슬롯홀
1230: 심축 1231: 레버
1241: 스프링 1250: 상부마개
1253: 경사각 1270: 로터 가이드
1300: 라쳇 받침부 1310: 받침부 상부면
1350: 승강 가이드
1400: 승강 기어 홀더 1410: 쐐기형 돌출부
1420, 1430: 연결돌편 1520, 1540: 스프링
1530: 푸쉬 바 1550: 중앙 샤프트
1700: 심축 걸림부 1710: 걸쇠
1720: 걸쇠 수용부 1730: 탄성부재
1711: 레버 접촉면 1713: 돌기부 접촉면
1900: 시침채널 걸림부 1910: 걸쇠
1920: 걸쇠 수용부 1930: 탄성부재
1800: 수동조작용 손잡이 1810: 손잡이홈
1820: 스프링 수용부 1830: 스프링
1840: 스프링 하부결합 부재

Claims (10)

  1.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로서,
    상하 방향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바디부(1210);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구를 갖는 바늘(1220);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과 바늘의 관통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축(123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늘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로터 가이드(12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침 채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가이드가 상기 바늘의 적어도 일부 길이에 걸쳐 바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침 채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바디부의 일 측면을 향해 개방된 슬롯(1215);
    상기 심축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슬롯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레버(1231); 및
    상기 심축의 둘레에 끼워지되 상단부는 상기 레버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슬롯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프링(12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침 채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침 채널을 복수개 구비한 식모기로서,
    상기 식모기의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나의 시침 채널의 바늘이 관통하는 노즐(25)을 구비한 노즐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25)의 관통구(26)는 관통구(26)의 중심(C)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소직경 영역(26a) 및 상기 중심(C)으로부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대직경 영역(26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가이드(1270)의 제1 외주면(1271)이 상기 관통구(26)의 대직경 영역(26b)의 내주면(261)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가이드(1270)의 제2 외주면(1272)이 상기 관통구(26)의 소직경 영역(26a)과 대직경 영역(26b) 사이의 단차부(263)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침 채널을 복수개 구비한 식모기를 이용한 모발 이식 방법으로서,
    식모기를 두피를 향해 하강시켜 상기 로터 가이드의 하단부(1270a)가 두피에 닿을 때까지 바늘을 두피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늘에 대한 상기 식모기의 본체의 상대적 하강 이동에 의해, 상기 식모기 본체와 바늘 내부의 상기 심축이 하강하는 단계; 및
    상기 심축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바늘의 선단부 내에 위치한 모낭을 두피 내로 밀어넣어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기 본체와 심축이 하강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모기 본체의 노즐 하단부(25a)가 두피에 닿을 때까지 식모기 본체와 심축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단부(25a)가 두피에 닿은 이후부터, 상기 식모기 본체에 대한 상기 바늘의 상대적 상승 운동에 의해, 상기 바늘이 상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상승하여 적어도 두피에서 이탈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상기 노즐 하단부(25a)가 두피에 접촉하고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방법.
KR1020210171272A 2021-12-02 2021-12-02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KR10267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72A KR102670009B1 (ko) 2021-12-02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CN202190000992.1U CN220898760U (zh) 2021-12-02 2021-12-13 具有转子导向器的针通道及包含其的多通道植毛器
PCT/KR2021/018871 WO2023101083A1 (ko) 2021-12-02 2021-12-13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PCT/KR2022/010087 WO2023101125A1 (ko) 2021-12-02 2022-07-12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72A KR102670009B1 (ko) 2021-12-02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138A true KR20230083138A (ko) 2023-06-09
KR102670009B1 KR102670009B1 (ko)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321A (ko) 2019-04-30 2019-09-25 오대금속 주식회사 멀티채널 모발이식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321A (ko) 2019-04-30 2019-09-25 오대금속 주식회사 멀티채널 모발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20898760U (zh) 2024-05-07
WO2023101083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493B1 (ko)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KR20190109321A (ko) 멀티채널 모발이식기
KR102607293B1 (ko) 자동 주사 장치용 강성 바늘 쉴드 분리기
EP3513750B1 (en)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KR102540230B1 (ko) 심축 이송부를 구비한 식모기
EP1383560B1 (de) Infusionsset
EP0719565B1 (en) Safety catheter assembly having safety stop push button
CN106102815B (zh) 用于进入植入的进入接口的稳定和引导装置以及相关的方法
MX2007006447A (es) Dispositivo para retroinyectar un implante.
KR20010071316A (ko) 자체 철수형 아이브이 카테테르 도입기
US11864796B2 (en) Needle channel used for hair transplanter and needle channel bundle having the needle channels
JP7236727B2 (ja) 患者にセンサを経皮挿入するための注入器
KR20080092386A (ko) 임플란트 삽입용 어플리케이터를 조립하기 위한 키트 및 그방법
KR20230083138A (ko)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KR20230091662A (ko)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JP4541491B2 (ja) 耳たぶ穴あけ装置
KR102102400B1 (ko) 모낭이식장치
KR20230118423A (ko)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KR102670009B1 (ko) 로터 가이드를 구비한 시침채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채널 식모기
KR20200126712A (ko) 탄성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멀티채널 모발 이식기
WO2023101125A1 (ko)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KR20200126503A (ko) 개방형 노즐을 가진 멀티채널 모발이식기
KR20240021564A (ko) 슬라이딩 블록 감지센서를 구비한 식모기
KR20240021558A (ko) 교체 편의성이 향상된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식모기
US5623762A (en) Hypodermic needle dispos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