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41A -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841A
KR20230082841A KR1020210170688A KR20210170688A KR20230082841A KR 20230082841 A KR20230082841 A KR 20230082841A KR 1020210170688 A KR1020210170688 A KR 1020210170688A KR 20210170688 A KR20210170688 A KR 20210170688A KR 20230082841 A KR20230082841 A KR 2023008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plant
control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날씨
Priority to KR102021017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841A/ko
Publication of KR2023008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로서, 지지대(110) 및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에 구비된 램프(120)를 갖는 조명부(100);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240), 제1 지지부(240) 상에 구비된 물 저장부(230), 물 저장부(230)의 일측에 구비된 물 공급부(220), 및 물 저장부(230)의 상측에 구비된 포트 삽입홈(210)을 갖는 몸체부(200); 상기 포트 삽입홈(210)에 삽입되고,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되며, 통공(310)이 구비되어 물 저장부(230)의 물이 유입되는 식물 포트부(300);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조도센서, 수위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센서부(400); 및 상기 센서부(40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100) 및 몸체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of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body}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정한 식물 재배를 위하여, 식물에 알맞은 영양분을 공급할 뿐 아니라, 식물에 빛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식물재배의 경우, 토양에 고정된 식물을 이동시킬 수 없고, 각 식물이 상호 햇빛을 가리기 때문에, 각 식물들에 햇빛을 골고루 공급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최근,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스마트 팜(Smart farm) 또는 식물공장의 내부 공간에서 식물을 밀집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 재배되는 식물을 층상으로 배치하고, 각 층마다 햇빛이 아닌 LED 등의 빛을 골고루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 가정용 내지 사무실용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주로 소형으로 구비되고, 스마트팜 등과 같이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층층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곤란한 경우가 많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6488호(2021.10.20)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포트에서 재배되는 각 식물들에 빛을 골고루 공급하고자 한다.
둘째, 식물재배장치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고자 한다.
셋째, 식물의 상태 정보 및 각종 센서의 측정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된 램프를 갖는 조명부;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 상에 구비된 물 저장부, 물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된 물 공급부, 및 물 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포트 삽입홈을 갖는 몸체부; 상기 포트 삽입홈에 삽입되고,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되며, 통공이 구비되어 물 저장부의 물이 유입되는 식물 포트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조도센서, 수위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 및 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승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일측에 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물 저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해 물 저장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의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램프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광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광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지부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조도센서 측정값 중 기 설정값 미만이 발생되면, 제어부는 기설정값 미만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램프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 지지부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포트 삽입홈에는 삽입된 식물 포트부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 삽입홈의 둘레에 복수개의 조도센서가 이격 배치되며, 제어부는 최저 측정값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최대 측정값을 가진 조도센서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2 지지부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몸체부의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회전시켜, 포트에서 재배되는 각 식물들에 빛을 골고루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위센서의 측정값을 활용하여, 제어부가 알림정보 또는 물공급 제어를 하여, 식물재배장치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카메라로 취득한 식물사진 및 각종 센서의 측정값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포트부를 나타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포트 삽입홈과 물 공급부를 나타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물 저장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포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것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가 회전하는 실시예 및 제 2 지지부가 회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외부 단말기에 식물의 재배 목록이 표시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일 때, 제어부가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알림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외부 단말기에 의해 LED 색상을 선택하고 변경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관한 표현, 예를 들어 전/후/좌/우의 표현, 상/하의 표현, 종방향/횡방향의 표현은 도면에 개시된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로서, 지지대(110) 및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에 구비된 램프(120)를 갖는 조명부(100);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240), 제1 지지부(240) 상에 구비된 물 저장부(230), 물 저장부(230)의 일측에 구비된 물 공급부(220), 및 물 저장부(230)의 상측에 구비된 포트 삽입홈(210)을 갖는 몸체부(200); 상기 포트 삽입홈(210)에 삽입되고,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되며, 통공(310)이 구비되어 물 저장부(230)의 물이 유입되는 식물 포트부(300);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조도센서, 수위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센서부(400); 및 상기 센서부(40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100) 및 몸체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110)는 몸체부(2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의 'A'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지대(110)를 임의로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제어부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120)는 LED 등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외부 단말기에 식물의 재배 목록이 표시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조명부(100)는 일측에 카메라(130)를 더 구비하며(도 1 참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130)로 획득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휴대폰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 목적에만 사용되는 별도의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적용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포트부를 나타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포트 삽입홈과 물 공급부를 나타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물 저장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주입부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물을 공급해주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별도의 물탱크 등의 물 공급부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해 물 저장부로 공급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200)의 물 저장부(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물 저장부(23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식물 포트부(300)에 공통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물 저장부(230)가 각 식물 포트부(300)에 공통적으로 물을 공급한다면, 물 저장부(230)에는 1개의 수위센서만 구비되어도 각 식물 포트부(30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각 식물 포트부(300)가 각각 별개로 독립된 물 저장부(230)를 가지는 실시예로 구현된다면, 각 식물 포트부(300)는 수위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해 물 저장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의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일 때, 제어부가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알림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400)의 다양한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는 전송받은 측정값을 시각적 이미지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에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램프(120)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2는 외부 단말기에 의해 LED 색상을 선택하고 변경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제어부는 상기 램프(120)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제어부는 상기 램프(120)의 광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포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포트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의 포트 삽입홈(210)에 삽입되고,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식물이 수용되며, 통공(310)이 구비되어 물 저장부(230)의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식물 포트부(300)에는 천연토양, 인공토양 등이 충진될 수 있으며, 토양없이 수경재배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몸체부의 회전 제어에 의해 식물 포트부의 위치를 이동, 변경시켜, 식물포트부에 식재된 식물에 램프의 빛이 골고루 공급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식물의 경우, 잎에 의해 당해 식물 또는 다른 식물을 가려져서 빛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의 생장이 불균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가 회전하는 실시예 및 제 2 지지부가 회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부(240)가 회전하여, 식물 포트부(300)가 이동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200)의 제1 지지부(240)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몸체부(200)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240)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회전 'B'에 의해, 제1 지지부(240) 상에 배치된 식물 포트부(300)가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서(도 6의 410a)는 몸체부(200)의 상면에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도센서 측정값 중 기 설정값 미만이 발생되면, 제어부는 기설정값 미만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램프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 지지부(240)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충분한 광도와 광량을 받지 못한 식물이 위치한 부분을 램프 아래로 이동시켜, 식물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지지부(250)가 회전하여, 식물 포트부(300) 자체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200)의 포트 삽입홈(210)에는 삽입된 식물 포트부(30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제2 지지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트 삽입홈(210)의 둘레에 복수개의 조도센서(410b)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최저 측정값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최대 측정값을 가진 조도센서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2 지지부(250)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저 측정값의 위치에 충분한 빛이 공급되는 회전 과정이 반복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지지부(240)에 의한 회전 구성의 실시예로만 구현될 수도 있고, 제2 지지부(250)에 의한 회전 구성의 실시예로만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가 함께 구현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명부 110 : 지지대
120 : 램프 130 : 카메라
200 : 몸체부 210 : 포트 삽입홈
220 : 물 공급부 230 : 물 저장부
240 : 제1 지지부 250 : 제2 지지부
300 : 식물 포트부 310 : 통공
400 : 센서부 410a : 조도센서
410b : 조도센서

Claims (12)

  1.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된 램프를 갖는 조명부;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 상에 구비된 물 저장부, 물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된 물 공급부, 및 물 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포트 삽입홈을 갖는 몸체부;
    상기 포트 삽입홈에 삽입되고,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되며, 통공이 구비되어 물 저장부의 물이 유입되는 식물 포트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조도센서, 수위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 및 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일측에 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물 저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해 물 저장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에 물공급 알림 정보의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물 공급부를 통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램프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광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값 초과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광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지부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조도센서 측정값 중 기 설정값 미만이 발생되면,
    제어부는 기설정값 미만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램프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 지지부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포트 삽입홈에는 삽입된 식물 포트부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 삽입홈의 둘레에 복수개의 조도센서가 이격 배치되며,
    제어부는 최저 측정값이 측정된 조도센서 위치가 최대 측정값을 가진 조도센서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2 지지부를 회전시켜, 식물 포트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1020210170688A 2021-12-02 2021-12-02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20230082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88A KR20230082841A (ko) 2021-12-02 2021-12-02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88A KR20230082841A (ko) 2021-12-02 2021-12-02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841A true KR20230082841A (ko) 2023-06-09

Family

ID=8676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88A KR20230082841A (ko) 2021-12-02 2021-12-02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8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88A (ko) 2020-04-10 2021-10-20 금아코텍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88A (ko) 2020-04-10 2021-10-20 금아코텍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30905A (zh) 一种植物水培架和植物生长环境保障系统
CN205052411U (zh) 一种多功能智能花盆
CN105104153A (zh) 基于物联网的室内植物智能培育装置和培育方法
KR20190081966A (ko)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CN205052297U (zh) 一种智能型花盆
KR20160065236A (ko) 실내용 led 재배장치 및 트레이
CN206641049U (zh) 一种室内观赏植物的互动监控种植装置
CN207210073U (zh) 一种自动升降式环保材料沉水植物种植平台
CN203851579U (zh) 自动喷水型智能无土栽培装置
KR101870882B1 (ko) 스마트 화분
KR20230082841A (ko) 몸체부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106797817A (zh) 一种智能花盆
CN108419661A (zh) 一种厅室吊顶上的家庭种菜装置
KR101693029B1 (ko) 실내 식물재배장치
JP3212659U (ja) 動植物共生観賞容器
CN108401888A (zh) 一种智能无土栽培装置
KR20200000568U (ko)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 키트
CN207099896U (zh) 植物生长箱
KR101735343B1 (ko) 식물재배장치
KR20160090023A (ko) 수직걸이 식생장치
CN204907425U (zh) 一种家庭用植物栽培设备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TWM609324U (zh) 光照培養系統
KR200493903Y1 (ko) 수경 재배용 수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