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23A -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823A
KR20230082823A KR1020210170651A KR20210170651A KR20230082823A KR 20230082823 A KR20230082823 A KR 20230082823A KR 1020210170651 A KR1020210170651 A KR 1020210170651A KR 20210170651 A KR20210170651 A KR 20210170651A KR 20230082823 A KR20230082823 A KR 20230082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information
personal
schedule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익
Original Assignee
(주)진앤현웰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앤현웰빙 filed Critical (주)진앤현웰빙
Priority to KR102021017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823A/ko
Publication of KR2023008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은, 회원이 등록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상기 회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welfare information using personal calendar}
본 발명은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복지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가고 있는데, 사회복지의 확대로 인한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발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많은 수의 복지서비스가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미능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터넷 사용 등이 미능숙한 노인 등은 자아의식의 표현이나 전달력이 약해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인지하거나 요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생애주기에 따른 적합한 복지서비스를 안내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급증하게 되면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 중에서 개인의 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알려주는 웹(web) 기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반의 일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즉, 예전엔 다이어리, 달력 등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대다수가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즉, 근래에는 온라인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일정관리하는 것이 추세이므로 미능숙자가 이용하기 편리한 복지 일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5025 사회적 약자의 라이프 로그 빅데이터를 이용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 맞춤형 생애주기 복지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별 복지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회원이 등록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상기 회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임의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의 진행에 따른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하여 상기 회원이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담 서비스는 해당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서 운영하는 인공지능 상담자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개인 캘린더의 해당 일정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상담 내역이 존재하는 일정에 따른 개인 캘린더 영역에 해당하는 복지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날씨예보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노출혜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노출혜택에 상응하는 수익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등록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복지안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일정이 확인되는 상기 개인 캘린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된 맞춤형 일정에 따른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맞춤형 일정 중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된 일정에 상응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담인터페이스에 의해 진행된 상담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일정에 상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복지안내장치에 의해 검색된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개인 캘린더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회원정보 및 각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서비스 요청 회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하는 일정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상기 서비스 요청 회원에게 제공하는 캘린더관리부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캘린더관리부는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임의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의 진행에 따른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하여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캘린더관리부는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탐색하는 어려움 없이 캘린더 형식으로 개인 맞춤형 생애주기 복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캘린더를 이용한 일정별 복지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복지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에서 수행되는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에서 수행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상담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개인 캘린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일정에 따른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개인일정에 대한 복지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캘린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복수의 복지서비스장치(20) 및 복지안내장치(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물론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개인PC일 수도 있음은 이하의 설명은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복지안내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 개인 맞춤형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름, 성별, 나이, 거주지, 장애여부,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등에 대한 복지 서비스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등록하면,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생애주기형 복지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지서비스를 안내하는 것이다.
특히, 복지안내장치(30)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안내 방식에 있어 캘린더(도 6 또는 도 8 참조)를 이용한다. 즉, 개인 맞춤형 복지서비스에 대한 일정정보가 담긴 맞춤형 캘린더(이하 개인 캘린더라 칭함)를 제작하여 각 사용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복지서비스장치(20)는 실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들이 운영하는 서버장치로서, 일례에 따르면 복지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전문인력이 아닌 인공지능 상담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복지서비스장치(20)는 전문인력 상담자뿐 아니라 인공지능 상담자를 운영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을 진행한다. 일례에 따르면, 복지안내장치(30)는 API 방식으로 복지서비스장치(20)들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상담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복지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지안내장치(30)는 저장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되, 제어부(230)는 그 기능에 따라 일정생성부(231) 및 캘린더관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에는 각 사용자 회원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회원정보, 각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복지서비스장치(20)들에 대한 정보 등)가 저장된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0), 복지서비스장치(20) 등과의 통신망을 통한 통신 수단이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30)의 일정생성부(231)는 서비스 요청 회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한다.
캘린더관리부(232)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서비스 요청 회원에게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맞춤형 복지서비스에 대한 일정을 안내하는 개인 캘린더 제공 서비스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에서 수행되는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에서 수행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상담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개인 캘린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복지안내장치(30)는 회원이 등록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한다(S310). 예를 들어, 해당 회원이 70세 남성인 경우 [68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무상교통 서비스]라는 복지서비스가 탐색될 수 있을 것이다.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한다(S320). 위의 예시에 더하면,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무상교통 서비스]의 신청기간에 대한 일정정보, 더 상세하게는 회원의 거주지역에서의 신청기간을 탐색하여 [21021년12월7일-무상교통 서비스 신청]이라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한다.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제공한다(S330).
도 6을 참조하면, 개인 캘린더에 [무상교통 서비스 신청]이라는 복지#1이 해당 일자인 [21021년12월7일]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복지서비스에 대한 일정정보가 해당하는 날자(또는 하루가 아닌 며칠의 기간일 수도 있음)에 표시된다.
그리고,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복지안내장치(30)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복지서비스 상담 요청을 수신한다(S410). 즉 사용자는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상담하기 버튼(620)을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복지안내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 상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S420).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복지서비스에 상응하는 인공지능 상담자(예를 들어 챗봇 등)를 이용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문인력에 의한 상담이 진행될 수도 있다. 상담 인터페이스로서 음성상담 또는 채팅상담 등 모든 방식으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담이 완료되면,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개인 캘린더의 해당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한다(S430).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 캘린더에서 해당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상담내역 버튼(610) 등을 이용하여 언제든 상담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담내역 정보는 복지안내장치(30) 또는 사용자 단말(10) 어디든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상담내역이 존재한다는 것은 해당 복지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다 판단될 수 있으므로, 상담 내역이 존재하는 일정에 따른 개인 캘린더 영역에 해당하는 복지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날씨예보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서초복지센터에서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인 경우, 해당 일자 서초동의 날씨예보를 확인하여 개인 캘린더에 표시시킨다.
사용자 단말(10)에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수신하여 출력하며(S510), 사용자가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한 맞춤형 일정에 따른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한다(S510). 예를 들어 도 6의 복지#1이 선택되면,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무상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장치(20)로 접속하여 관련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담요청이 입력되면 상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S530), 예를 들어 상담 대화를 위한 음성입력수단(마이크로폰 등)을 구동하고 상담자와의 채팅을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지안내장치(30) 및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되는 개인일정에 따른 복지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개인일정에 대한 복지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캘린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지안내장치(30)는 회원의 개인 캘린더에 개인일정이 등록되면(S710), 해당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노출시킨다(S720).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10과 같이 개인일정1(예를 들어, 서초동 장애재활센터 방문)이 등록되면, 개인일정1의 일시와 내용을 분석하여 관련 있는 복지서비스(예를 들어, 장애인 픽업서비스)를 추천한다.
다른 예를 들면, 개인일정이 [친구A 약속]과 같은 복지와 무관한 일정의 경우 관련 복지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천되지 않을 수 있지만, 복지와 무관한 개인일정이더라도 일정에 장소가 포함된 경우 해당 일자에 해당 장소 주변에서 진행되는 복지서비스가 추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직접 검색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일정에 맞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편의성을 제공받는다. 마찬가지로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노출혜택(예를 들어 광고비 등)이 존재하는 경우, 그 혜택(예를 들어 수익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당 회원에게 배분한다(S730). 예를 들어, 민간 복지서비스 또는 복지와 관련된 광고 등이 개인 캘린더를 통해 홍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익금을 회원들과 배분하는 것이다.
개인일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10)에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개인 캘린더에 개인일정이 입력되면(S810), 복지안내장치(30)로 접속하여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여(S820) 개인 캘린더에 표시한다.
개인일정의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구비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조작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계정에 의해 특정 서버(예를 들어, 메일서버, 일정관리서버,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업체 서버 등)로부터 수신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
20 : 복지서비스장치
30 : 복지안내장치

Claims (14)

  1.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회원이 등록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상기 회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임의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의 진행에 따른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하여 상기 회원이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는 해당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서 운영하는 인공지능 상담자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개인 캘린더의 해당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담 내역이 존재하는 일정에 따른 개인 캘린더 영역에 해당하는 복지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날씨예보정보를 표시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노출혜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노출혜택에 상응하는 수익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8.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등록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복지안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일정이 확인되는 상기 개인 캘린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된 맞춤형 일정에 따른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일정 중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된 일정에 상응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담인터페이스에 의해 진행된 상담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일정에 상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복지안내장치에 의해 검색된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개인 캘린더에 표시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제8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2. 회원정보 및 각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서비스 요청 회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지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맞춤형 일정을 생성하는 일정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일정이 반영된 개인 캘린더를 상기 서비스 요청 회원에게 제공하는 캘린더관리부를 포함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관리부는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임의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의 진행에 따른 상담 내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하여 상기 개인 캘린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관리부는 상기 개인 캘린더에 상기 회원에 의한 개인일정이 등록되면, 상기 개인일정에 상응하는 추천 복지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장치.
KR1020210170651A 2021-12-02 2021-12-02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82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51A KR20230082823A (ko) 2021-12-02 2021-12-02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51A KR20230082823A (ko) 2021-12-02 2021-12-02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823A true KR20230082823A (ko) 2023-06-09

Family

ID=8676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51A KR20230082823A (ko) 2021-12-02 2021-12-02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8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25B1 (ko) 2015-12-18 2018-03-22 주식회사 디커뮤니케이션즈 사회적 약자의 라이프 로그 빅데이터를 이용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25B1 (ko) 2015-12-18 2018-03-22 주식회사 디커뮤니케이션즈 사회적 약자의 라이프 로그 빅데이터를 이용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8732B2 (en) System for minimizing repetition in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 conversations
KR102050334B1 (ko) 언어 모델을 사용한, 메시지들에서 수신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적인 제안 응답들
US20180268051A1 (en) Automatic conversation analysis and participation
TWI417800B (zh) 以興趣為基礎之目標銷售的使用者介面
US20130013550A1 (en) Inception of Live Events
CN106663241A (zh) 列表累积和提醒触发
KR20180086278A (ko) 원격 서비스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359087A (zh) 自动日历安排
US201601108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storylines
CN105074770A (zh) 用于提供电子邮件的视觉表示以使得能够进行有效的电子邮件处理的系统和方法
US10530733B2 (en) Inferring preferences from message metadata and conversations
US20100228732A1 (en) Information offering apparatus and method
US11309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ngagement
JP2008533576A (ja) 電子デバイスのカレンダー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情報の形成
Kang Just another platform for television? The emerging web dramas as digital culture in South Korea
WO2013184793A1 (en) Communications from one party to another
Xu et al. Adapting to social media: the influence of online reviews on tourist behaviour at a world heritage site in China
US202301862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KR20230082823A (ko) 개인 캘린더를 이용한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249676A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Summers et al.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ne smartphone at a time
US10055749B2 (en) Local contextual display
Babu et 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e-tourism service quality in Kerala
Wang et al. Shaping in-destination group decision-making: The sociomateriality of smartphones
WO2018051596A1 (ja) 情報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