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827A -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827A
KR20230081827A KR1020210168016A KR20210168016A KR20230081827A KR 20230081827 A KR20230081827 A KR 20230081827A KR 1020210168016 A KR1020210168016 A KR 1020210168016A KR 20210168016 A KR20210168016 A KR 20210168016A KR 20230081827 A KR20230081827 A KR 2023008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rea
image
uni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6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827A/ko
Publication of KR2023008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probabilistic graphical models from image or video features, e.g. Markov models or Bayesian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은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 영상 수집부; 상기 화재영상 수집부에서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영상 분석부; 및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대응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FIRE DETEC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AND THE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장 장치로부터 화재 이미지를 수집하고, 화재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의 감지가 필요한 건물에는 화재 감지 센서 및 CCTV가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CCTV에 의한 화재 감지의 경우, 획득된 영상을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하여야만 화재를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리에 없거나, 자리에 있을 경우에도 화면을 보지 않을 경우 화재를 인식할 수 없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한 경우, 건물에 설치된 센서가 직접 화재 정보로서 연기나 온도를 감지하고 해당 정보를 중앙서버로 송신함으로써 화재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4709호는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여부를 초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화재 예방이 가능한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4679호는 광 중계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는 물론 그 회 화재 연동설비의 제어 기능을 일체로 통합시킨 광 센서 선형 감지기를 이용한 화재 감지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종래 화재감지 시스템에서는 화재가 아닌 경우에도 화재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중앙 서버에 오감지를 송신하여 불필요한 소방 출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감지 및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감지센서 및 영상장치를 이용하되,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고, 화재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화재 진압이 처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함으로써, 화재 근원지에 대한 신속한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분포 변화를 반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화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화재의 급격한 확산을 방지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영상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로 저장됨으로써, 화재 발생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은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영상 수집부, 화재영상 수집부에서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영상 분석부 및 화재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대응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화재영상 분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후보영역 산출부, 후보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화재영역 결정부 및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화재영역 결정부에서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비화판단부를 포함하며, 후보영역 산출부, 화재영역 결정부 및 비화판단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에 추가되어 화재 영역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화판단부는 화재 비발생 영역에서 수집된 제2 영상 이미지를 반복하여 분석하되,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화 의심 영역을 추출하고, 화재대응 처리부는 비화판단부에서 비화 의심 영역이 추출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형화재 알림신호를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은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 영상 수집 단계,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 및 산출된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 대응 단계를 포함하되,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제1 단계,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제2 단계 및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함으로써, 화재 근원지에 대한 신속한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분포 변화를 반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화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화재의 급격한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영상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로 저장됨으로써, 화재 발생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의 화재영상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의 화재영상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실시례 1>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부(110), 화재영상 수집부(120), 화재영상 분석부(130) 및 화재대응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110)는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재영상 수집부(120)는 상기 화재 감지부(11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화재영상 수집부(120)는 화재 감지부(110)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에 관계 없이,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130)는 상기 화재영상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화재대응 처리부(140)는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를 참고하면,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1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후보영역 산출부(131), 상기 후보영역 산출부(131)에서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화재영역 결정부(132)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영역 결정부(132)에서 상기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비화판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보영역 산출부(131)는 상기 제1 영상 이미지에서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복수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서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배경이 분리된 복수의 프레임을 영상 차분하여 프레임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차분 과정은 복수의 프레임 사이에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화판단부(133)는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에서 수집된 상기 제2 영상 이미지를 반복하여 분석하되,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화 의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대응 처리부(140)는 상기 비화판단부(133)에서 상기 비화 의심 영역이 추출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형화재 알림신호를 상기 관제시설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100)은 상기 비화판단부(13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화재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이 동작되고 있으나, 화재가 진압되지 않고, 화재 비발생 영역으로 화재가 확산되고 있는 경우를 즉시 감지할 수 있고, 대형 화재사고로 번지지 않도록 신속한 초기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영역 산출부(131), 상기 화재영역 결정부(132) 및 상기 비화판단부(133)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상기 학습 데이터에 추가되어 화재 영역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례 2>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은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 단계(310),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 영상 수집 단계(320), 상기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330) 및 상기 산출된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 대응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3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에 따르면,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함으로써, 화재 근원지에 대한 신속한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분포 변화를 반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화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화재의 급격한 확산을 방지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영상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로 저장됨으로써, 화재 발생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화재 감지부
120 : 화재영상 수집부
130 : 화재영상 분석부 131 : 후보영역 산출부
132 : 화재영역 결정부
133 : 비화판단부
140 : 화재대응 처리부

Claims (4)

  1.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영상 수집부;
    상기 화재영상 수집부에서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영상 분석부; 및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대응 처리부;
    를 포함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영상 분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후보영역 산출부;
    상기 후보영역 산출부에서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화재영역 결정부;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영역 결정부에서 상기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비화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보영역 산출부, 상기 화재영역 결정부 및 상기 비화판단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상기 학습 데이터에 추가되어 화재 영역 산출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판단부는,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에서 수집된 상기 제2 영상 이미지를 반복하여 분석하되,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화 의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화재대응 처리부는,
    상기 비화판단부에서 상기 비화 의심 영역이 추출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형화재 알림신호를 상기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4.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재 영상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제1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화재 발생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재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알림신호를 기지정된 관제시설에 송신하는 화재 대응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 발생 영역 산출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산출하되,
    온도 분포 정보, 불꽃 분포 정보, 연기 색상 정보 및 연기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화재 발생 후보 영역을 비교하여 최종 화재 발생 영역을 결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최종 화재 발생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화재 비발생 영역의 제2 영상 이미지를 추가로 더 수집하고, 상기 화재 비발생 영역의 비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 화재감지 방법.
KR1020210168016A 2021-11-30 2021-11-30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1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16A KR20230081827A (ko) 2021-11-30 2021-11-30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16A KR20230081827A (ko) 2021-11-30 2021-11-30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827A true KR20230081827A (ko) 2023-06-08

Family

ID=8676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016A KR20230081827A (ko) 2021-11-30 2021-11-30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8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00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080186191A1 (en) Smok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KR102195706B1 (ko) 침입 탐지방법 및 그 장치
US8159539B2 (en) Smoke detecting method and system
KR101980551B1 (ko) 기계학습 객체검출을 이용한 실시간 지능형 cctv 영상 분석 행위 탐지 시스템 및 기계학습 객체검출을 이용한 실시간 지능형 cctv 영상 분석 행위 탐지 방법
US20080137906A1 (en) Smok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JP6532106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用プログラム
US85380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the performance of a video-based fire detection system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300640B1 (ko)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26187A1 (ja) 映像監視装置及び映像監視方法
KR20200041849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5386744B2 (ja) 監視システム
EP2000952B1 (en) Smok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WO2019220589A1 (ja) 映像解析装置、映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25637A1 (en) Area monitoring
KR20150051630A (ko) 사람들의 움직임 불규칙성을 이용한 폭력 행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00134651A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8212B1 (ko)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1827A (ko) 영상인식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8788B1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CN114093117B (zh) 消防管控方法及其装置
KR102507540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통합 화재 감시 시스템
JP2005284652A (ja) 動きベクトルを用いた映像監視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